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에서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의 체험 연구

        신지혜 서울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15

        오늘날의 급변하는 사회 속에 현대인들은 매일 치열하게 살아가면서 그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개인의 삶에 영향을 받는다. 현대인들은 물질적이나 신체적으로는 편안하고 안정된 삶을 살고 있지만, 그들에게서는 삶에 대한 만족도나 행복감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점점 사회가 발달하면서 특정한 장애나 질병을 가지지 않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며 많은 이들은 정신건강에 관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 중에 미술치료에 관심을 보였고 미술치료는 미술과 심리학으로 결합된 학문으로 치료사와 함께 내담자 개인의 내면적 세계를 미술로 표현함으로써 치유와 성장을 해나가는 과정이다. 미술의 이미지는 우리 자신이 누구인가를 이해할 수 있고 언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며 자아 표현을 통해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준다(Malchiodi, 2001). 이로 인해 미술치료 학위과정 중심으로 전공하고자 하는 수요가 급증하였고 국내의 많은 대학과 대학원에서 미술치료 전공이 생겨나 학위를 수여하는 미술치료學 전공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장연집, 2014). 대학원의 과정은 책임 있고 전문적인 미술치료를 하기 위한 이론과 실습 그리고 자기 인식에 필요한 2년 동안의 훈련 과정이 필수적인 첫 단계이며(Rubin, 2006), 이러한 과정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 양성을 위한 미술치료 훈련의 초석이 된다(임은영, 2013). 미술치료에는 미술치료를 받기 원하는 대상자 중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임상 미술치료는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미술치료로 환자의 정신건강과 때로는 생명까지 다루는 역할을 하게 되어 타 분야보다 힘든 경험과 철저한 학문적 공부를 해야만 한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에게는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 과정 속에서 환자들이 폐쇄된 공간에서 오는 답답함과 무력함을 자주 보게 된다. 그리고 한 인격체가 자율성을 침범하는 경험을 지속적으로 보게 되면서 그 속에서 안쓰러운 마음과 도와줄 수 없는 다양한 감정들이 공존하게 된다. 또한, 석사과정생들은 계속되는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에서 소진이 되면, 내담자에 대한 관심이 저하되어 치료 장면에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만성피로나 불면과 같은 신체 증상, 자존감 저하, 정체감 혼란 등을 경험하게 된다(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그러므로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한계가 초과하여 과부하가 되었을 때, 이를 원활하게 해결하지 않으면 심리적 소진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 대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의 생생한 체험으로 기술하여 그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고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이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의 체험은 어떠하며,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 8명으로 모집하였다. 하지만 그중 한 명의 연구 참여자는 2019년 2월에 졸업했지만 가장 최근에 졸업하여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서 경험한 심리적 소진에 대해 생생하게 전달될 것 같아 함께 포함을 시켰다. 그래서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심층 면담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가 포화 상태까지 이를 때까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어떤 환자든 환자를 만난다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고 긴장됨>, <예측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는 환자들의 행동이 당황스럽고 불쾌함>, <세션 중 환자들의 여러 가지 행동 때문에 치료사가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옴>, <미술치료사가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답답함을 느낌>, <치료사가 평범한 삶을 살지 못하는 환자를 보고 안타까움과 무력감을 느낌>, <미술치료 회기가 끝나고 환자의 말이 계속 생각나 지치고 힘듦>, <정신과 세션으로 인해 치료사가 육체와 정신적으로 고갈됨>, <슈퍼비전을 통해서 치료적 개입과 자기 탐색을 할 수 있는 반면에 경제적인 부담으로 받기 망설여짐>과 같은 본질적 주제 8개와 하위주제 21개를 도출하였다.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와 더불어 현상학적 자료, 실존적 체험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와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들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실습 중에 예측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는 환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였다. 둘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들은 실습 도중에 사회복지사와 동료 치료사의 개입으로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오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들은 실습이 끝난 후에도 환자들의 말이 계속 생각이 나고 육체와 정신적으로 고갈되는 경험을 하였다. 넷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들은 슈퍼비전을 통해 치료적 개입과 자기 탐색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반면에, 몇몇 석사과정생들은 참을 수 없을 만큼 힘들었을 때 개인적으로 따로 슈퍼비전이나 심리치료를 받고 싶은데 경제적인 부담감으로 인해 받기가 망설여진다고 말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의 기여점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과정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현재 교과과정을 수행하는 석사과정생들에게는 임상 현장실습에서 경험할 수 있는 소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With the advancement of society, people have complained of various forms of psychological distress even without specific disorders or diseases and consequently, many began to give attention to mental health. Therefore, people began to show interest in art therapy among various psychotherapy techniques. Art therapy, being a combined discipline of art and psychology, is a process of healing and growing by expressing the inner world of the client through art with the therapist. The images of art can help individuals understand who they are, express their emotions and thoughts which cannot otherwise be explained through language, and enrich life through self-expression (Malchiodi, 2001). As a result, the demand to major in art therapy degrees rapidly increased and program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been offered in numerou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South Korea to now have become established as a discipline which confers degrees for majoring in art therapy (Jang Yeon jip, 2014). The graduate program is a two-year training course and is an inevitable first step to learn the theory, practice and self-awareness which are required to provide responsible and professional art therapy (Rubin, 2006). Such course becomes the cornerstone of art therapy training which fosters professional art therapists (Lim Eun young, 2013). Art therapy can vary according to the clients who want to receive the therapy. Clinical art therapy is an art therapy centered on patients who are admitted to psychiatric wards. It plays a role of dealing with mental health and beyond, the life of patients at occasions, which results in arduous experiences compared to other fields and demands thorough academic studying. Henc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often identify frustration and powerlessness of patients in enclosed area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s. When the students, as human beings, continue to observe patients experiencing invasion in their autonomy, they begin to feel diverse emotions including pity and helplessness. Therefore, when the graduate students become exhausted from continuous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s, their interest in clients decrease which not only affects the therapy scene but also causes students to experience physical symptoms such as chronic fatigue and insomnia, low self-esteem, and identify confusion (Choi Yoon mi, Yang Nam mi, Lee Ji yeon, 2002). When the students feel that their limitations have been exceeded and overloaded, but the issue does not become skilfully resolved, students may appear to have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vivid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during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s and thereby explore the nature of such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study is “what are the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encountered b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during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s and what is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Therefore, eigh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ere recruited for data collection. One study participant graduated in February 2019, but the participant was included as they were likely to deliver vivid encounter of psychological exhaustion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 as the most recent graduat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9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By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eight essential topics and 21 subtopics were derived. The eight topics are as follows; <Meeting patients, regardless of who they are, is burdensome and causes nervousness>, <The unpredictable and incomprehensible behaviors of patients were flustering and uncomfortable>, <Art therapists felt negative emotions from various behaviors during therapy sessions>, <Art therapist felt frustration due to the confined space>, <Art therapists felt pity and helplessness towards patients who were unable to live a normal life>, <The words of the patients were constantly remembered after the art therapy session, which caused fatigue and exhaustion>, <Art therapists were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from therapy sessions in psychiatric ward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self-exploration is possible through supervision, but the financial burden causes hesitancy>. In addition to the topics derived abov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derived from additional phenomenological data, exploration of existential experienc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d experience of being flustered by patient's unpredictable and incomprehensible behaviours during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s. Seco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d experiences of feeing negative emotions caused by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fellow therapists during clinical practice at psychiatric wards. Thir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d experiences of constantly remembering words patients said even after the art therapy sessions and being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can receive immed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self-exploration through supervision but few of the students expressed hesitancy in this due to the financial burden despite desiring to receive personal supervision and psychotherapy when they felt that the difficulties were beyond what they could endure.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i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exhaustion experienced in the clinical setting b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through vivid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which were previously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연구

        신희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67

        Art therapy was created by blending art and psychotherapy and it is a psychotherapy using medium of art. In art therapy, art makes a unique identity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istinguishes art therapy from other psychotherapy. And art that is referred in art therap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rt which is referred in art college in a way that it is a tool for psychotherapy even though the term of art is the same in the notation. However, art used in art therapy is mixed with art as art due to the fact that art having a long history compared to art therapy and the notation of ‘art’ are being shared. The academic identity of art therapy is based on the subdivided study in psychotherapy as a social science field. As a result, art in art therapy is treated as an image language connected to the inside and it is important in terms of a tool for psychotherapy. In the case of student majoring art therap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is speciality of art that is dealt with in art therapy because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When acquiring a bachelor of arts, they will the identity of an artist and once they enter a master’s degree course in art therapy major, they will experience fus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art concept in art therapy. This is difficult at the beginning of the master's degree course when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major field. This difficulty gradually disappears a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art therapy major increases with master’s degree courses and they grow as art therapists. During the training for the growth of the art therapy student, experiencing own artistic expression leads to the empirical understanding of art in art therapy,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nd inspiring self-awareness. When these art works are done within the curriculum, it becomes more meaningful as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training with structure and system. Studies (Han, 2015; Deaver, 2012; Orkibi, 2012)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rtwork as part of the training of professionalism in master's degree programs in art therapy and dealing with these experiences have been made.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Han, 2015; Deaver, 2012; Orkibi, 2012) about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of master's degree course in art therapy, the experience of art work performed within the curriculum is meaningful to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s an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academic approach to art that is handled in the Art Therapeutics major and to become a major in art therapy.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earches dealing with the experiences of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Kang, 2016; Kim, 2011; Ahn, 2009), the difficulty with the concept of art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experience early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comes from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art before entering graduate schoo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art work experience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earn is a different experience from the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who does not have experience of bachelor's degree in art prior to graduate school.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basic data dealing with what kind of experience students are mak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art work performed within the course of art therapy major by considering the experience of acquiring a bachelor of arts. Therefore, the need for this study is in dealing wit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as a practical and important training in art therapy master course by considering art experience in the bachelor progra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hat meaning art work experience in the course brings to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ind of experiences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have while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and what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and based on these, provide basic data for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to understand art work experience in the class. Therefore,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perform art work in the course?’. For this,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ere the essence of experience is explored by 11-step study procedure was appli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4 enrolled students and one attending student from the third semester to the sixth semester who hav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 in the curriculum during the master’s degree course of art therapy after acquiring a bachelor of art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done through at least one to three of in-depth interviews for 7 months from May 2016 to November 2016. Through this study, in the art work experience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perform art work in the course, 8 essential topics and 24 sub-topics were derived and main themes are as follows. <Expectations and burdens of art work in arts therapy major courses>, <Feeling the limit to do art work according to the frame of the subject>, <Handling art media is familiar as habit, but it is strange and novel that it is treated as an inner expression of art work>, <The presence of professors and colleagues is a great power for art work>,<Understanding art in art therapeutics through experience in art work within the curriculum>, <Recognizing me growing, recognizing and accepting what I was>, <The existing framework of art at school has been broken down and expanded>,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extends beyond the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the study based on this essential theme is as follows. First,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escap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formed in bachelor of arts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in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a new perspective on art in art therapy. Second,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would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the art that is discussed in art therapy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in the curriculum. Third,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would deepen understanding of art therapy major so that it becomes a first step to have a clearer identity as a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미술치료는 미술과 심리치료를 융합하여 만들어졌고 미술이라는 매체를 활용하는 심리치료이다. 미술치료에서 미술은 독특한 정체성을 갖도록 하며 미술치료를 다른 심리치료와 구분 짓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리고 미술치료에서 다루는 미술은 미술이란 용어의 표기는 같아도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라는 점에서 예술대학에서 다루는 미술과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술치료보다 그 역사가 오랜 예술과‘미술’이라는 표기가 공유됨으로 인해 미술치료에서 다루는 미술은 예술로서의 미술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사회과학 분야로 심리치료에서 세분화된 학문에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은 내면과 연결되는 이미지 언어로서 다루어지며,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라는 측면에서 중요시 된다. 미술치료학 전공자의 경우 미술치료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미술치료에서 다루는 미술의 이와 같은 특수성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술학사를 취득하게 되면 예술가의 정체성을 가지게 되는데,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 진학하게 되면 미술치료에서의 새로운 미술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전공 영역에 적응하는 석사학위과정 초반에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이 같은 어려움은 석사학위과정을 거치면서 미술치료학 전공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해소되고, 미술치료사로 성장해나가게 된다.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성장을 위한 훈련 중 자신의 미술표현을 해보는 경험은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을 경험적으로 이해하고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며 자기각성을 고취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이러한 미술작업이 교과목 내에서 이루어질 때 구조와 체계를 가진 전문적 훈련의 체험으로서 더욱 의미를 지닐 수 있게 된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훈련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미술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체험을 다룬 연구들(한경아, 2015; Deaver, 2012; Orkibi, 2012)이 수행된 바 있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다룬 선행연구(한경아, 2015; Deaver, 2012; Orkibi, 2012)들에 따르면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교과목 내에서 수행하는 미술작업 체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에서 다루어지는 미술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이해하고 미술치료 전공자가 되어가는 체험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체험을 다룬 연구들(강한나, 2016; 김현미, 2011; 안성원, 2009)에 따르면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석사학위과정의 초반에 경험하는 미술의 개념에 대한 어려움은 대학원 진학 이전에 미술을 다룬 경험에서 비롯된다. 다시 말해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수행하는 미술작업 체험은 대학원 진학 이전에 미술학사 경험을 갖지 않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과는 다른 체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술치료학 전공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되어지는 미술작업 체험을 통해 전공생들이 어떤 체험을 하는지에 대해서 미술학사를 취득한 경험을 고려하여 다룬 연구의 수행과 기초자료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학부 전공에서의 미술경험을 고려하여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서 실제적이고 중요한 훈련으로서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다루고자 한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교과목 내에서 수행하는 미술작업 체험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면서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1단계의 연구절차에 따라 체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학사를 취득한 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 진학하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3학기에서 6학기의 재학생 14명과 수료생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 간 최소 1회에서 최대 3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에서 본질적 주제 8개와 하위 주제 24개를 도출하였으며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학 전공 교과목 내에서 하는 미술작업에 대한 기대와 부담을 함께 가짐>, <교과목이라는 틀에서 내키는 대로 미술작업을 하기에는 한계를 느낌>, <미술매체를 다루는 것은 습관처럼 익숙하지만, 미술작업이 내면의 표현으로서 다루어지는 것은 낯설고 새로움>, <교수님과 동료들의 존재는 미술작업을 하는 데 큰 힘이 됨>,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한 경험을 통해 미술치료학에서의 미술을 이해함>, <성장하는 나를 인식하며, 과거의 나를 인정하고 받아들임>, <미술에 대해 학부에서 지녔던 기존의 틀이 허물어지고 확장됨>,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한 경험이 교과목 바깥으로 확장됨> 이러한 본질적 주제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통해 미술학사에서 형성한 미적인 관점을 탈피하여 미술치료학에서의 미술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확립한다. 둘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통해 미술치료학에서 다루는 미술의 특수성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셋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을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하며, 이는 미술치료학 전공자로서 보다 명료한 정체성을 갖는 단초가 된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송지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35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중요한 발달시기에 있는 개인의 대인관계 기능과 학업성취에 악영향을 미쳐 지속적인 성장을 저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만성화 되거나 다른 정신 장애로 발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살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과 함께 심리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술심리치료는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들이 미술매체를 매개로 하여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고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켜주며 창조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미술치료 초기 훈련과정에 있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우울증 청소년과 라포를 형성하고 미술작업을 통해 내면에 누적되어 있는 정서적 고통이나 어려움을 표현하고 완화되도록 이끄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현장실습을 앞둔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실습체험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문제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의 체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의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체험한 것들을 탐색하고, 그들의 경험을 전달하며 그들이 각자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해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 미술치료 실습 경험이 3개월 이상 있는 미술치료학 석사학과정생 11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들을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본질적 주제 9개와 하위주제 33개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울증 청소년이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지만 난관에 부딪힘>, 초보 실습자인 나의 무능력함을 통감하며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란스러움>, <우울증 청소년을 보면서 올라오는 감정과 나의 문제를 깨달음>, <우울증 청소년을 기다려주고 버텨주는 것은 힘들지만 필요한 시간임을 깨달음>, <진심을 전하는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함>, <미술치료가 지닌 치료적인 힘을 몸소 체험하게 됨>,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현장경험의 필요함을 절실함>, <수퍼비전을 통해 도움을 받고 동기들에게 든든한 지지를 받음>, <미술치료사로 성장하는데 발판이 됨> 이상이다. 본질적 주제와 더불어 현상학인 자료, 글쓰기 등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실습현장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과의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지만 침묵하고 저항하는 청소년 내담자를 보면서 초보 실습생으로서 불안과 혼란을 경험한다. 둘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실습현장에서 우울증 청소년을 향한 역전이를 경험하고 본인의 문제를 깨달음으로써 내담자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우울증 청소년을 기다려주고 견뎌주는 시간이 필요함을 알게 되고, 진심을 다하는 미술치료사의 존재의 중요성을 느끼며 청소년을 지지해주려고 노력한다. 넷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조금씩 변화하는 청소년 내담자들을 보며 막연하게 느껴지던 미술치료의 힘을 몸소 경험하게 되고, 미술치료 전공자로 성장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를 진행한 실습생들의 경험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실습생들의 구체적인 이해와 훈련을 돕는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정신장애 및 통계 편람(DSM)에 따라 진단된 우울장애 청소년들과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것을 미술을 매개체로 표현하고 탐색하는 것을 체험함으로써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이 가진 특수성과 임상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생으로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를 진행한 자를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따라서 실습생으로 겪게 되는 어려움 및 극복 과정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후속연구로는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의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치료 전문가들의 체험연구를 제언한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한부모 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신혜윤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35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 따라 가족 구조도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고 있으며, 그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부모 가정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많은 한부모들이 홀로 경제 활동 및 가사, 양육을 부담하며 육체적,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 한다. 또한 한부모 가정 아동들은 이혼, 사별 등의 사건으로 상실감을 경험하며, 한부모의 양육시간 부족에 따른 정서적 취약 환경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한부모 가정의 가족 기능회복과 정서적 자립을 위해, 한부모가족지원법을 통해 상담·심리치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 중 미술치료는 한부모 아동의 치료적 개입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부모 아동 미술치료 효과성 입증에 따른 미술치료의 치료적 접근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수행하는 미술치료사,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한부모 가정아동을 대상으로 한 현장실습 체험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부모 아동과 만나는 석사학위과정생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한부모 가정아동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현장실습 체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현장실습을 앞둔 이들의 효과적인 한부모 아동미술치료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한부모 아동을 대상으로 한 현장 실습 경험을 보다 본질적이고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사태 자체로 돌아가 현상의 고유함을 진솔하게 연구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한부모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개인미술치료 실습 경험이 2개월 이상 있는 미술치료 석사학위과정생 12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자료 분석을 한 결과, 본질적 주제 11개와 하위주제 31개를 도출하였다. 한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현장실습 체험 과정에서 나타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실습생을 대하는 아동의 상반되는 반응을 경험하며 적절한 치료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음 > <한부모 가정 아동에 대한 선입견을 품은 채 현장실습에 임함> <자기표현이 서툴고 어려워하는 아동의 모습에 가슴이 저림> <자기 자신보다는 주변 환경에 맞추려 노력하는 아동을 보며 안타까움을 느낌> <미술치료 실습생으로서 위축되고 작아지는 자신을 발견하고 속상함> <아동에게 느껴지는 한부모의 빈자리가 너무 커 나의 마음을 흔들어 놓음> <아동과의 관계 속에서 나의 모습을 발견하게 됨> <미술작업에 표현된 아동의 마음을 느끼며 미술치료의 치료적 힘을 알게 됨><아동이 진흙 속에 핀 작은 꽃 같이 느껴짐><시작은 어려웠지만, 회기가 진행되면서 조금씩 변화하는 아동과 함께하며 기쁨><아동과 함께 성장해가는 나를 느낌> 본질적 주제와 실존적 체험 탐구 및 글쓰기 등을 토대로 한부모 가정 아동과 현장실습을 수행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의 체험의 본질과 의미에 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정 아동과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아동과의 초기 치료관계 형성에서 원활한 정서적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아 좌절과 혼란을 경험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습과정에서 아동내면에 존재하는 성인에 대한 불신을 인지한 실습생들은 정기적이고 주기적인 치료실에서의 만남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 성인에 대한 아동의 신뢰가 형성됨을 발견한다. 건강한 치료관계가 아동의 심리적, 행동적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체험한 실습생들은 초기의 좌절감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태도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진행한다. 둘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한부모 가정 아동 현장실습을 수행하며 미술치료의 장점과 미술 작업이 갖는 특수성을 인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내담아동의 특성과 치료적 변화를 알아차린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한부모 가정 아동에 대해 선입견을 갖고 있지만, 현장실습을 수행하면서 아동 본연의 모습과 마주하게 되고, 그들의 긍정적 자원을 발견한다. 넷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한부모 가정 아동을 현장실습에서 만나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실습생으로서 부족함을 느끼거나 다양한 역전이 감정에 휩싸이기도 하지만, 자신을 탐색하고 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였음을 경험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한부모가정 아동 현장실습 경험에 대해 생생한 자료를 제공한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에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의 한부모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제적 측면에서 석사학위과정생들이나 관련 전문가들의 이

      •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이혜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35

        In the Korean society, government subsidies for medical treatment for low birthrate are increasing. Accordingly,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are actively used as a treatment for infertility, there is little interest in the fact that infertile women who perform that suffer from severe mental pain. If the medical measurement for infertility is an urgent problem to be solved for low fertility in Korea, it is time to recognize that national efforts to solve various mental and psychological pains that infertile women is being Recently, as the voice of the thirst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and the necessity of psychotherapy in the field of infertility treatment increases, the special infertility hospitals that is performs the art therapy is increasing. However, studies of art therap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ertile women performing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particularly medical art therapy performed at infertility hospital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places the need for research on that aware of the absence of the above study on art therapy and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reflecting the stream of time in infertility treatment and the phenomenon of in infertility medical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in detail the vivid contents that infertile women is being experience in opportunity of art therapy session and to explore their various experiences so that establish what is their original nature and meaning.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medical staff of infertility hospital, art therapists of medical field, art therapy education specialists, art therapy supervisor so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infertile women in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art therapy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is study, with application of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four steps of that are the first,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lived experience, the second, exploration of realistic experiences, the thir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the fourth,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and the subdivided eleven steps of research procedure belong to each step were faithfully perform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women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individual art therapy, or art therapy performed in two forms while performing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n A, B, C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it consisted of total 7 women who aged 30 to 43 years and participated in a minimum of 7 sessions and a maximum of 36 sessions of art therapy. The data of study was collected from June, 2018 to August, 2018 through1:1 in - depth interviews on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the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from 7 people. As a result that analyses the date through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total of 10 essential themes and 29 sub-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Started with art therapy in order to get sympathy and to seek help to hard heart, rather than interest in art>, <Feel that I did never take care of my mind at all to in order to succeed in the hard procedure that has progressed focused to the body, through art therapy>, <Through the listening and empathy of art therapists, emotions are expressed and sorrow is assuaged>, <As became interested in materials and became absorbed in art work, I was felt happy and comfortable>, <In group art therapy, I feel universality of pain for infertility and receive comfort>, <There were also some uncomfortable feelings in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 <Taking care of my mind through group art therapy, I can take care of other people's pain>, <Through art therapy, I rediscover myself and became check my inner strength >, <Feels that art therapy performed by a familiar infertility hospital helps in the process of infertility treatment>, <I think art therapy gives me the courage to start again after failing of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on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women with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based on the existential subject,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for women with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leads to expresses the oppressed emotions of the infertile women and to strengthens the self, and to discovery of the inner strength. Second, th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experience to reach a positive emotional state by gaining the universality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particularly in infertility treatment and expanding it to altruism. Third, in the event that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fails in procedu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n be overcome by art therapy and it gave courage to restart the infertility treatment. Forth, when the opportunity of art therapy has been provided by hospital which is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he infertile women experience psychological help from art therapy as psychotherapy combined with procedure treatment. When reflecting on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hese four conclusions, the art therapy for infertile women provides psychological therapy for the women as medical art therapy, and for infertility hospitals, it has the meaning that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supplement, and ultimately, there is an essential meaning to deal with life. This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of art therapy in the infertile women who performs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contributes to the academic aspect and the field of art psychotherap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specific and useful data to medical practitioners of the hospital, the art therapist, the art therapy educator, and the art therapy supervisor in the medical field about that the art therapy become establish the complementary medicine for women who are in the process of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Second, by clarifying the therapeutic specialties 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art therapy for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and careful psychotherapy intervention for infertile women who perform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was vividly suggested. Third,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art therapy of the infertile women who performs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field of art psychotherapy. 한국 사회에서 저출산 완화를 위해 난임 치료에 대한 정부의 의료비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험관 아기 시술이 난임의 치료법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지만, 이를 시행하는 난임 여성들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는다는 사실에 관해서는 관심이 크지 않다. 난임 치료에 대한 의료 대책이 한국의 저출산 완화를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시급한 문제라면,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이 시술 중에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을 해결하려는 노력 또한 중요한 과제라는 인식이 필요한 때이다. 최근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들의 심리적 개입에 대한 갈증과 난임 치료 현장에서 심리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그 대안으로 미술치료를 수행하는 난임 전문병원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미술치료 연구, 특히 난임 전문 병원에서 수행되는 의료미술치료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미술치료 연구의 부재를 인식하고, 난임 치료에서의 시대적 흐름, 난임 의료 현장에서의 현상을 반영하여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필요성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들이 미술치료에서 체험하는 생생한 내용을 탐구하여 상세히 기술하고 그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미술치료 현장에 있는 미술치료사, 난임 병원 현장의 전문가 그리고 미술심리치료학 전문가에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시험관 아기 시술 중인 난임 여성이 이해를 높이고 의료미술치료로서 미술치료가 난임 여성의 건강과 행복 증진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Max van Me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4단계와 그에 속하는 11개의 하위단계의 연구 절차를 충실히 따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A, B, C 난임 병원에서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중에, 집단미술치료, 개인미술치료의 형태로 해당 병원에서 수행된 미술치료를 체험한 난임 여성으로, 최소 7회기에서 최대 36회기의 미술치료에 참여한, 30세 이상 43세 이하의 여성, 총 7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자료는 2018년 6월부터 2018년 8월에 걸쳐 연구 참여자 총 7명으로부터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일대일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Max van Me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총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2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미술에 대한 관심보다는 힘든 마음에 대한 공감과 도움을 받고자 미술치료를 시작함>, <몸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고단한 시술을 성공시키려고 내 마음을 전혀 돌보지 않았다는 것을 미술치료를 하면서 느껴봄>, <미술치료사의 들어줌과 공감을 통해서 감정이 표현되고 슬픔이 달래짐>, <재료에 흥미가 생기고 미술작업에 몰입하면서 즐겁고 편안함>, <집단미술치료에서 난임의 고통에 대한 보편성을 느끼며 위로받음>, <집단으로 진행되는 미술치료 회기에서 불편한 감정이 들기도 함>,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내 마음을 돌보면서 타인의 아픔까지 돌볼 수 있는 마음이 생겨남>, <미술치료를 통해 잊고 있었던 나를 재발견하고 내 안의 힘을 확인하게 됨>, <친숙한 난임병원에서 수행하는 미술치료가 난임 치료 과정에서 도움이 된다고 느낌>, <미술치료가 시험관 아기 시술 실패 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용기를 준다고 생각됨> 본질적 주제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그리고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에 대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는 난임 여성의 억압되었던 감정을 표출시키고 자아를 강화하여, 내면의 힘을 발견토록 이끌어준다. 둘째,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은 특히, 집단미술치료 안에서 난임 치료에서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보편성을 확보하고, 이타성으로 확장하여 긍정적 정서 상태에 이르는 것을 체험한다. 셋째,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이 특히, 시술을 실패했을 경우, 그 심리적 어려움을 미술치료로 극복할 수 있고, 이후 난임 치료를 재시도할 수 있는 자기 회복력을 갖는다. 넷째,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병원에서 미술치료의 기회를 제공하였을 때, 난임 여성들은 시술 치료와 병행된 심리치료로서의 미술치료로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 체험을 한다. 이 같은 네 가지의 결론을 통해 볼 때, 난임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가 의료미술치료로써 해당 여성에게는 심리적 치유를 제공하고, 난임 병원에게는 대체보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생명을 다룬다는 본질적 의미가 있다 하겠다.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본 연구가 미술심리치료학의 학문적 측면과 현장에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난임 치료 병원의 의료진과 의료현장의 미술치료사, 미술치료 수퍼바이저에게 미술치료가 시험관 아기 시술 과정에 있는 난임 여성에게 대체보완의학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이 갖는 치료적 특수성과 미술치료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써,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지속적이고 세심한 심리치료 개입의 필요성을 생생하게 제시하였다. 셋째,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수행은 미술심리치료학의 학문분야에 기여를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한경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35

        The graduate programs in art therapy are offered without any undergraduate programs. By combining fine arts and psychological therapy, art therapy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psychological therapeutic studies by using art as a medium to treat patients. Upon examination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in the graduate program, there are more classes focusing on the theoretical approaches to art therapy and few classes focusing on the practical approaches to art therapy,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 actual practice of art therapy.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the experience of art-making in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which best reflects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among the latter approaches. Among the curriculums offered in graduate program in Art Therapy,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is the one that gives practical experience of 'art' to students;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those courses; Creative Art Therapy, Art Therapy for Art Therapists, Art Therapy Techniques, Techniques and Use of Media, Use of Art in Group Therapy. Although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deals with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and taking an important par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relatively few courses are being offered in Korea compared to courses that take a theoretical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 current curriculum for art therapy does not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tually create and experience art. The experience of art-making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is an important and meaningful experience fo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s it exposes the uniqueness of the discipline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implications of the art-making experiences for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and raise awareness for the significance of art-making experience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data. By apply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as described above using 11 steps, which consist of focusing on the nature of experience, exploring it as it is experienced, reflect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and writing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discussions, pictures and journals. In-depth discussion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13 to April 2014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15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eir 2nd - 5th semester of art therapy program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ag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e participants derived 12 broad subjects and 31 sub-topics through analysis of in-depth discussions, pictures, journals and other materials. The 12 broad subjects are as follows; <Anticipation of taking art-making class as Art Therapy student>, <Hesitation to express oneself in Art-making class as it causes fear and anxiety>, <Being upset and sad when deep emotions were revealed despite the attempts to hide it>, <Being free from hardships through direct confrontation of the ‘inner self'>, <Keeping camaraderie with fellow Art Therapy students by supporting and guiding each other>, <The experience of art media and techniques constantly creates a link to the actual work field>, <Finding ways to connect with the patients and the meanings of their work as a trainee of Art Therapy>, <Excitement of enhancing one’s theoretical knowledge of art-making based on actual personal experience>, <Continuous exposure to art-making experience is fundamental for one’s development as professional art therapist as well for personal growth>, <Regrets and frustrations from not sharing one’s work and addressing the related emotions in-depth>, <Discovering and seeking for skills necessary for art therapy students>. In the stag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inputs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including statements, images and writings associated with imag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ing art-making classes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for art therap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thre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art therapy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mselves by expressing and navigating suppressed or unresolved feelings and take a different perspective in life. In the process,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can be appreciated where it actually allows internal communication sand internal changes through 'art' in the course of the art therapy. Second, the art-making experience causes students to realize that one’s personal growth is interconnec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iscover and pursu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ir own through self-analysis and voluntary art-making. Third,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rt media and techniques, the process of art-making. By integrating theoretical knowledge with actual concepts, students can actually practice these practical findings during on-site training, as well as overcome any difficulties in the future and continue developing their expertise.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the study of art therapy in the following ways. By providing basic data to furth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rt-mak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art-making experience and further raises awareness of its signific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 number of alternatives in the context of limited art-making classes offered in the art therapy curriculum, as well as suggestions to substitute art-making classes with expert group discussions, colloquiums and graduate-level workshops. Lastly,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미술치료학 전공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부터 개설되었다. 미술학과 심리치료학이 융합된 미술치료학은 미술을 매개로 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심리치료학과 구분되므로, ‘미술’에서 고유성과 특수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과정에 설치된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미술치료학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술작업에 대한 실제적 접근과 실습 현장을 직접 연계할 수 있는 교과목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후자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도 미술치료학의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체험을 다루고자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에 설치된 교과과정에서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은 ‘미술’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교과목이다. 창의적 미술치료 세미나 또는 창의적 미술치료, 미술치료사를 위한 미술치료, 미술치료기법 연구, 미술치료매체 연구 또는 미술매체 연구, 집단미술치료 등이 대표적이다.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이 학문의 고유성을 다루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전문성 발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접근을 하는 교과목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소수가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실제적 미술작업 경험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현 교과과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 하여금 미술치료학의 고유성을 경험하게 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피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경험이 어떠한지 그 체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고, 심층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작업 경험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있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 순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심층면담 자료와 이미지, 이미지와 관련된 글 등에서 수집되었다. 그 중 심층면담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 2학기에서 5학기 재학 중인 석사학위과정생 15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 사이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단계에서 참여자들의 심층면담 및 그림, 저널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12가지 대주제와 31가지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 미술작업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수업에서 다루는 미술작업은 두려움과 불안함을 일으켜 표현을 망설이게 함>, <감정을 애써 참았지만 가슴이 뭉치는 아픔과 표현하지 못한 후회스러움>, <필사적으로 가리려 했던 찢겨진 마음이 들추어져 속상하고 울컥함>, <‘내면의 나’를 명확하게 보고 힘겨움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짐>, <동료는 서로 지지하고 비춰주며 끝까지 함께 가는 미술치료 동지로 남음>, <미술매체와 기법의 경험은 실습 현장과 끊임없이 연결고리를 만듦>, <실습생으로서 내담자와 그들의 작업에 담긴 의미와 만나는 길을 찾음>, <실제적 경험이 다리가 되어 이론적 지식이 더욱 풍성해지는 짜릿함과 뿌듯함>, <지속적인 미술작업 경험은 개인적인 변화와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밑거름이 됨>, <내 작업을 충분히 나누고 올라온 감정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아쉬움과 답답함>,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 필요한 것들을 발견하고 스스로 찾고자 함> 이상이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단계에서는 15명의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과 그들이 제공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와 관련된 글을 바탕으로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체험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다. 첫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 하여금 억압하고 있거나 미해결된 감정을 표현하고 탐색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전과는 다른 삶의 자세를 갖게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전공생은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이 가진 인간 내면과의 소통 및 내적 변화의 추동이라는 치료적 특성을 체험함으로써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이 지닌 특수성을 인식하게 된다. 둘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에게 개인적 성장과 실습생으로서의 자기 각성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체험을 통해 전공생은 개인적·전문가적 성장을 위한 자기분석이나 자발적인 미술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방안을 찾게 된다. 셋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매체와 기법, 미술작업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식과 개념을 통합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생은 실습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배움을 습득하고, 실습생이 가질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며 더 나아가 전문성을 함양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에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경험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학 전공에서의 미술작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 중요성을 알린다. 또한 수강과목 개설 현황의 제한성을 감안해 볼 때,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여 전문가 집단이나 학회 또는 대학원 차원에서의 워크샵 등의 다양한 형태로 미술작업이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자평하였다.

      •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의 심리에 관한 연구 : 배우자 상실을 경험한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안지영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심리치료에 나타난 노인의 인생 회상과 상실 경험에 관한 심리적 특성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Y시의 R경로당과 S시의 C교회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배우자와 사별한 만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10명이다. 본 연구는 총 8회기의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프로그램 8회기 과정과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265 구성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2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회상 경험’과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상실 경험’ 및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정서 경험’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회상 경험은 ‘어린 시절의 신세 한탄’과 ‘어린 시절의 회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상실 경험은 ‘남편 생각’, ‘상실’, ‘사별 후 변화’, ‘삶의 처절함’, ‘외롭고 불안함’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정서 경험은 ‘나이 들어감’, ‘신앙생활’, ‘삶의 태도’, ‘음악을 통한 기쁨’, ‘음악을 통한 감사와 자유로움’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음악심리치료를 통해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심리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음악심리치료 방법을 사용한 인터뷰는 참여자의 심리적 방어를 극소화하며, 악기연주와 가사토의, 즉흥연주 등의 방법을 통해 참여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과거의 사건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과거 어린 시절 회상에서부터 현재의 삶을 넘어 미래의 삶에 대한 태도까지 인생의 전반에 거쳐 통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심리에 대한 추후 프로그램이나 심리, 상담적 접근에 기틀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s life recall and loss experience in music psychotherapy a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d the loss of 65 years or older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through the R-Christian Party in Y City and the C-Christian Church in S City.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8 sessions of music psychotherapy program, and collecte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the pre-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Thi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265 meanings, 36 themes, and 12 them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recalling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loss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and 'emotional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First, the recall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was 'the lament of childhood' and 'the recall of childhood'. Second, the experience of loss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was 'husband's thoughts', 'loss', 'change after death', 'depression of life', 'lonely and anxious'. Third,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were 'ingraining old', 'belief life', 'life attitude', 'joy through music', 'appreciation and freedom through mus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d loss through music psychotherapy more deeply. Second, the interview using the music psychotherapy method minimizes the psychological defense of the participant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inner side in various ways through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housekeeping discussion, improvisation, etc., and provided help to look objectively at past events. Thir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help to the elderly who experienced loss to have insights through the whole life from the past childhood recollection to the attitude toward the future life beyond the present life. Fourth, it is meaningful that the elderly who experienced the loss in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programs,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approaches.

      •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PTSD 증상에 미치는 효과 : 단일 사례 중심으로

        범주환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친족 성폭력으로 인하여 PTSD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연구대상에게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00시에 거주하는 아동기 때부터 성인 전기까지 친족 성폭력 피해를 입은 30대 성인 여성으로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심리치료프로그램을 2018년 7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최면심리치료 전문가와 미술치료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PTSD 증상 감소를 위하여 설정한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5회기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이전에 사전검사로 한국판 성격평가 질문지(PAI) 검사, 1회차 만다라 그리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전검사들을 통해 치료목표를 설정하고, 1∼5회기 과정에서 최면을 활용하여 심리치료를 진행하면서 2∼4회기 최면 이후에 2∼4회차 만다라 그리기를 함께 실시하였다. 이러한 5회기의 심리치료 프로그램 이후, 사후검사로 한국판 성격평가 질문지(PAI) 검사와 5회차 만다라 그리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치료 1개월 경과 후 추적검사 개념으로 6회차 자유 만다라 그리기를 실시하고, 연구대상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결론을 내렸다. 첫째,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PTSD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PAI 사전·사후검사에서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외상적 스트레스 장애(ARD-T) 척도의 T점수는 87점에서 36점으로 41점이 감소하였고, 피해의식(PAR-P) 척도의 T점수는 89점에서 41점으로 48점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우울(DEP-C) 척도의 T점수는 81점에서 38점으로 43점이 감소하였고, 자살관념(SUI) 척도의 T점수는 98점에서 44점으로 54점이 감소하였다. 둘째,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1회차 자유 만다라에서부터 5회차 자유 만다라 그림과 추적검사 때의 6회차 자유 만다라 그림까지의 색, 형태, 숫자 등의 상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이 과거 부정적 경험을 인지하고 이를 극복하여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과정임이 나타났다. 셋째,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PTSD 증상 치료를 위해 재노출, 재경험, 감정 배출, 왜곡된 인지 변화 순으로 진행함에 따라 치료 과정에서의 연구대상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친족 성폭력 피해자에게 최면과 만다라 그림을 통해 접근함으로써 저항감을 줄이고 내면의 심리적 문제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최면심리치료를 진행한 후 자유 만다라를 그리고 분석하고 일반 상담을 하는 순서의 프로그램 구성은 연구대상의 심리치료 진행 경과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원활한 프로그램 진행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최면과 만다라 그리기를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PTSD 증상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박진희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고찰한 것으로, 음악치료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임상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학사학위이상을 소지한 남녀 음악치료사 117명이다.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척도로 구성 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위해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거쳐 통계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기술통계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결과에서 연령(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 최종학력(직업적 자기효능감), 경력(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이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의 인과모형은 완전매개모형을 가진다. 이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소진의 매개역할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과 고용안정성과 관련 된 후속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