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방정국기 한경직의 건국신학 연구 : 전도입국론을 중심으로

        김일석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논문은 해방정국기 한경직의 건국신학을 살펴보아 교회 내외적으로 어떠한 기여를 했고 동시에 어떠한 한계를 갖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한경직은 해방 당시 서북 지역을 대표하는 목회자였으며 월남 이후 영락교회를 창립하여 부흥시키는 과정을 통해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인물로 부상하게 된다. 따라서 해방정국에서 한경직이 견지하던 국가관 및 정교분리관 곧 교회와 국가의 상관성을 추적하여 밝히는 작업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갖고 있는 국가관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이 되는 것이다. 해방을 맞아 한경직은 건국이라는 민족적이고 역사적인 과제 앞에서 영락교회 강단을 통해 기독교적 민주주의 국가가 세워지기를 열망하는 설교를 행한다. 그러나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교회로서는 직접적인 정치운동에 나설 수가 없다고 생각한 한경직은 교회만이 할 수 있는 건국운동을 창안해내는데 그것은 바로 전도였다. “전도가 곧 최대의 정치운동”이라는 이른바 전도입국론(傳道入國論)을 확립하여 건국을 위한 교회의 방법론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는 대의민주제를 교회정체로 삼는 장로교회가 많이 세워지면 그 교회를 통하여 민주제도를 접하고 익힌 성도들이 사회의 곳곳에 포진하여 민주정신을 발휘하면서 새로이 세워진 나라 역시 자연스레 민주화된다는 논리였다. 이러한 한경직의 전도입국론은 어디에서 기원했고 어떻게 형성되어 등장했는지 그 지적인 배경을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목적이다. 이를 위해 지적배경사 연구방법론을 원용하여 한경직이 학습한 사상과 사사한 스승들을 통해 배우고 익힌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복원하고자 한다. 나아가 해방정국기에 행한 설교 모음집인 『건국과 기독교』를 분석하여 여기에 드러난 한경직의 정체 이해와 국가관을 추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해방 이후 한국현대사에서 등장하는 교회와 국가의 상관성에 대한 시원을 고찰함과 동시에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한경직의 건국신학과 그 방법론, 또한 정교분리 이해가 오늘날에도 유효한지 되물음으로서 앞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교회의 국가관 재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ev. Han Kyung-chik’s theology of nation-building dur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and investigates what kind of contribution it made to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and what limitations it had. The Rev. Han was a leading pastor who represented northwest region of Korea at the time of Liberation, and after moving to the south, he emerg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the process of founding and developing the Youngnak Church. Therefore, since his view of the state and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 post-Liberation years is one of the prototypical views of the related issues of the Korean church today, it is necessary to explore his theology of nation-building.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Rev. Han began to deliver sermons to establish a Christian democracy through the pulpit of the Youngnak Church ahead of the national and historical task of establishing a nation. However, while the Rev. Han thought that the church could not engage directly in the polit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e instead started the movement of nation-building in a way that only the church could do, that is, evangelism. He established the discourse on ‘Evangelism for Nation-building’, arguing that “evangelism is the greatest political movement,” and presented it as the church's methods for nation-building. He maintained that if many Presbyterian churches practising the syste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were established, church members would come to learn the system through church life, spread the spirit of democracy into every branches of the society and democratize a newly established count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the Rev. Han’s discourse on Evangelism for Nation-building from where it came and how it was formed. To this end, by using the research methodology of intellectual background history, I intend to restore in detail the ideas that the Han encountered and what he learned through his teachers. Furthermore, by analyzing Nation-building and Christianity(『건국과 기독교』), a collection of sermons given dur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I attempt to unearth his identity and his view of the state. Through this, I want to examine the origi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which has run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fter Liberation and raise a question whether his theology of nation-building, his methodology, and his view of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re still valid, especially regarding the unification in the future. Finally, I want to contribute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urch’s view of the state.

      • 장신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미 남장로교 선교사 신학 : - 조직신학 교수 레이놀즈와 크레인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

        김영웅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35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연구는 장로회신학대학교(이하 장신대, 1901-현재)의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초 기 선교사의 신학, 특히 미국 남장로교의 선교사 신학에 대하여 고찰한다. 선교사들은 초기 장신대의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으나 연구자들은 이들의 신학에 대하여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으며, 이들의 신학은 지금까지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요약하면 이들의 신학은 보수적이고 근본적이라고 간주되었고, 이러한 점이 한국의 장로교회와 신학교의 분열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왔다. 그 이유는 J. C. 크레인의 신학과 같은 대표 적인 예를 볼 때 초기 선교사 신학이 매우 다양했음에도 불구하고 W. D. 레이놀즈와 그의 충실한 제자 박형룡의 신학이 한국 장신신학의 주류라는 관점에서 주로 선교사 신학을 평가해 왔기 때문이다. 크레인은 평양에 위치한 장로회신학교(장신대의 전신, 1901-1938, 1938[1940]-1949) 에서 레이놀즈의 후임으로 1937-1938년까지 조직신학을 가르쳤으며, 다시 총회신학교 (평양장로회신학교를 계승, 1951-1959)에서 1954-1956년까지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그 는 조직신학 교수였으며, 최초의 공식적인 교과서인 『조직신학』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그의 신학은 주목받지 못했다. 지금까지 그의 생애와 종말론에 관한 몇 편 의 연구들 외에는 그의 신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신학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1901-1940년까지 장신대에서의 신학교육과 한국의 근대 신학적 상 황 및 장신대의 반응을 고찰한다. 이와 더불어 레이놀즈와 크레인의 생애 및 신학사상 을 살펴보고, 양자를 비교하여 이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레이놀즈와 크레인 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개혁교회의 신조를 강조,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 계시에 대한 관점에 대해서는 공통점을 가진다. 신학 교과서로서의 차이, 아르미 니우스주의에 대한 태도, 장로교 신학에 대한 강조, 전천년설에 대한 견해 및 현대 신 학 사조에 대한 태도와 영세(靈洗) 개념의 사용, 필리오케의 사용과 같은 주요 개념들 에 대한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크레인의 신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기 장신대의 한국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초기 선교사의 신학이 다양했음을 밝힌다. 둘째 본 연구는 한 국 장로교 신학에서 초기 선교사 신학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 대한 철저하고도 새로운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크레인은 남장로교 전통에 기초하여 신 학을 전개하였으며, 크레인은 개혁신학에 비추어 현대 신학 사상의 일부 중요한 사상을 수용하였으므로 그의 신학은 보수적이지만 포용적이며 개방적이었으나 레이놀즈는 배타 적이고 폐쇄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크레인의 신학을 조명 한다. 실제로 그의 신학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또한 한국의 조직신학의 신학 발전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주제어: 장신신학, 초기 선교사 신학, J. C. 크레인, W. D. 레이놀즈, 남장로교 전통, 『조직신학』 ABSTRACT The Influence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Theology on the Formation of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W. D. Reynolds and J. C. Crane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s early missionary theology, in particular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theology,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y Seminary(hereafter PUTS, 1901-present). It is believed that while missionaries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PUTS in its early years, scholars paid scant attention to their theology and it has been negatively evaluated until now. In sum, their theology is considered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which led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seminary. It is because their theology has mainly be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ology of W. D. Reynolds and his faithful follower, Hyungryong Park, is the mainstream of Korean Presbyterian theology, while there was a rich variety of early missionary theology, with J. C. Crane’s theology as a representative example. Crane taught systematic theology at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Pyungyang (hereafter PTS; the forerunner of the PUTS, 1901-1938, 1938[1940]-49) after Reynolds from 1937 to 1938 and again at the General Assembly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South Korea (the decendent of the PTS in Pyungyang, 1951-1959) from 1954 to 1956. In general, his theology has been unheeded, even though he was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and wrote the first official textbook Systematic Theology.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study his theology because besides a few articles regarding his life and eschatology, there has been no overall study on his theology. This study first reviews theological education at the PUTS from 1901 to 1940, the Korean modern theological situ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PUT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lives and theologies of Reynolds and Crane, and compares these two theologies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hile Reynolds and Crane agreed on the following points such as the Scripture as God’s words, the creed of the Reformed church,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in salvation, and the perspectives on revelation,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ose aspects including referential theological textbooks, the attitude towards Arminianism, the emphases of Presbyterian theology, perspectives on modern theological thoughts, and primary concepts lik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the use of Filioque, and the opinion regarding premillennialism.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firstly that there was a diversity in early missionary theology which influenced Korean theology at the early PU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Crane’s theology. Secondly, it insists that a new thorough evaluation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early missionary theology in Korean Presbyterian theology needs to be carried out. Crane built his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tradition, and his theology was conservative but inclusive and open-minded since he accepted some valuable ideas of modern theological thoughts in the light of Reformed theology, while Reynolds was exclusive and closed-minded. Last but not least, it sheds light on Crane’s theology which has been ignored. Indeed, the study of his theolog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itself and is also necessary for the correct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heology in Korea. Key words: theology of the PUTS, early missionary theology, J. C. Crane, W. D. Reynolds, Southern Presbyterian tradition, Systematic Theology.

      • 마르틴 루터의 신학 사상과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 16세기 독일에 미친 영향

        유동진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19

        본 논문은 루터의 신학 사상에 투영되어 논지의 방향을 그의 사회복지 사상과 연관성을 두어 양자 간의 긴밀성을 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적 고찰은 루터의 해당 문헌 내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관련성 있는 것을 식별하고 인식하여 핵심적 사회복지 사상을 드러내어 밝히는 연구자의 의도적 작업이다. 루터의 신학 사상과 사회복지 사상은 시대적으로 혼탁했고 현실적으로 핍절했던 시기에 한 줄기 희망으로 밝혀졌다. 특히 루터의 사회복지 사상이 당시 독일의 의식구조, 교육복지, 그리고 독일의 사회복지 영역과 세부적인 범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루터가 사회복지의 큰 줄기로써 이 같은 세 가지 영역과 그 영역 가운데 다시 각각 세부적으로 세 범주에서 어떠한 주요 영향을 주었는지 의미를 논급하였다. 먼저 독일의 의식구조 영향 영역에서 현실적인 사건의 인식은 하나님의 뜻이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통해 사건화되는 과정으로 인식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이웃에게 실천하는 사회복지 의제를 발전시켰다. 루터가 농민봉기에서 보여준 그의 초기 의도는 통치자들의 농민에 대한 압제로 딜레마에 빠진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하였고, 그들의 고통에 분노했던 루터의 적극적인 문제 해결의 시도는 현실적 평화를 채택하여 농민 계층에게 보여준 사회복지의 원칙이 무엇인지를 숙고하게 하였다. 이러한 루터의 사회복지 수행은 현실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비텐베르크와 라이스니히 공동기금 법령 제정의 주체로써 그가 사회복지 교회와 국가의 연합적인 차원의 협력적 사회복지 모형을 수립하여 실증(實證)을 통한 사회복지 발전에 중요한 견인차였음을 주목해야 한다. 루터의 독일 교육복지 개혁 영역을 통해 독일의 미래를 담보하고 장차의 인적 자원인 자녀들의 전인격적 교육의 청사진을 위하여 성별과 빈부를 초월한 차별 없는 교육복지의 수행은 괄목하였다. 더 나아가 미래 지향적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이를 특히 정부 당국자들의 책무로 부과하고 교육복지 차원으로 한 단계 발전시켰다. 루터의 사회복지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의제는 독일의 사회복지 개혁의 영역이다. 루터의 사회복지 사상의 실제적 내용을 포괄한 비텐베르크와 라이스니히 공동기금 법령은 제도화, 법제화를 통해 사회복지의 안정성, 조직적, 그리고 체계화를 이룬 일을 매우 중요하다. 루터가 공동기금에 대한 교회공동체와 국가 차원의 협력으로 연합적 성격의 공동기금 법령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상호 간의 부조화(不調和)는 그가 예측하지 못한 것이었다. 그러나 조화를 이루고 교회의 공동체성과 직분의 회복을 위해 그가 기울인 노력은 성서의 본질을 유지하고 사회복지의 열매를 얻고자 한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루터의 신학 사상에 토대를 둔 사회복지 영역과 범주의 영향은 당시 독일 사회에 그의 전반적인 개혁 사상적 기반에서 사회복지 정책운영과 관리의 의제에서 함의가 매우 크다. 루터의 사회복지 사상은 루터 당대의 16세기 독일뿐만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어 유럽 사회 대부분이 오늘날과 같은 복지선진국을 이룩하게 만든 요체로서 이론적 초석을 놓게 되었다. 루터의 신학 안에 실제 담지된 사회복지 사상을 오늘에 맞도록 새롭게 재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삶을 통해 교회공동체와 그리스도인답게 비전을 제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의 배경, 본문, 의미 : 역사적 배경과 맥락에 초점을 맞춘 연구

        이성진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19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시대에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The First Book of Discipline, 1560)의 배경(context)과 본문(text)과 의미(subtext)를 탐구하고 있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제1치리서』가 추구하던 말씀에 기초한 개혁 정신을 살피는 것이다. 이 논문은 16세기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을 위해 제시한 교회 정책과 그 적용방침과 의미를 확인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문의 역사적 배경을 ‘사회문화, 종교, 정치, 문헌사’로 세분하여 상세히 살피고 있다. 그동안 『제1치리서』에 관한 연구는 주로 본문의 일부분을 다루면서 특정 주제만을 살피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관한 연구에서도 존 녹스라는 인물을 소개하면서 본문의 중요성만을 간략히 언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심지어 『제1치리서』가 장로교 체제의 근간이라고 하지만, 국내에는 본문 전체가 비교적 최근에 번역되어 소개되었을 정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청사진이 되었던 본문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살피는 종합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질서 회복이라는 종교개혁 정신을 깊이 살피는 것으로 이어진다. 16세기의 사회문화, 종교, 정치, 그리고 전후의 문헌사적 상황이라는 거대한 숲을 바라보고, 그러한 배경 아래에서 본문이 담고 있는 개혁 사상의 순수한 정신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전체 Ⅴ장으로 이루어진다. 제Ⅰ장은 연구의 개관 및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에 관한 연구사를 다루고 있다. 제Ⅱ장은 본문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을 ‘사회문화, 종교, 정치’라는 항목으로 나누어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제Ⅲ장은 문헌사적 영향을 고찰하고 있다. 제Ⅳ장은 본문의 직접적인 작성 배경과 본문의 구조와 내용, 그리고 본문이 담고 있는 의미들을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Ⅴ장은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하면서 본 연구가 지니는 신학적이며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더불어 한국교회가 헤치고 달려갈 방향을 제언하고 있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Scottish context, text, and subtext during the sixteenth century Reformation era in The First Book of Discipline(1560).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formation’s Spirit based on the Bible which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pursued.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llustrating the Scottish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on church policy of the text, its application policy and meaning. Hence, the historical background was subdivided into ‘socioculture, religion, politics, and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meantime, most research on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has mainly dealt with a part of the main text, which has focused on a specific area of study. Most of the studies on the Scottish Reformation also briefly mentioned the importance of the text while introducing a man named John Knox. Even though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is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e entire text has been translated and introduced relatively currently in Korea. However,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text which became the blueprint for the Scottish Reformation. It leads to deeply inspect the Spirit of Reformation behind the restoration of order. Looking at the vast majority of Socioculture, religion, politics, and history of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pure spirit behind the reformation ideas contained in the text.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 I examines the overview and importance of this study, followed by the history of the Scotland First Book of Discipline. Chapter II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surrounding the text in a multiple dimensional way by dividing it into the categories namely ‘Socioculture, religion, politics.’ Chapter III examines the history of literature. Chapter Ⅳ shows the direct background of the written text,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text, an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text. Finally, Chapter Ⅴ presents the theolog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dissertation by incorporate the discussions made so far, and also suggests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church.

      • 1930년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의 자아정체성과 치리권 청원

        서선영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03

        본 논문의 목적은 ‘짧고 작은 기록들’ 속에서 1930년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을 찾아내어 교회사 속의 인물들로 서술하고 이들을 ‘자율적이고 주체적이며 독립적인 자아정체성’을 지닌 ‘교회의 신여성’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논문의 질문은 두 가지이다. ‘이들은 누구였는가?’ ‘왜 함경남도에서 이 일이 일어났는가?’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미시사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선교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에는 긴 역사를 품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일방적인 역사는 없으며, 사람들과 그들의 삶으로부터 교회사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고민에서 몇 가지의 미시사적 방법을 시도할 것이다. 필자는 함경남도 여성의 독립적인 자아정체성의 뿌리와 맹아를 그들의 역사로부터 발견하고자 했는데 그 핵심은 분쟁과 생존이었다. 고토와 강역 사이의 끊임없는 분쟁 속에서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남녀를 불문하고 협력해야 했다. 여기서 기원한 개방적이고 여성을 존중하는 전통이 개항기까지 계속해서 이어졌다. 여기에 더하여 캐나다에서 내한한 여성 선교사들이 선교 과정에서 드러낸 자아정체성, 여성교육의 기회 확대로 인한 교회의 변화, 조선예수교장로회 여전도총회의 창립 등은 이들의 독립적인 자아정체성을 성장시키는 동력이 되었다. 때마침 1930년대 초반에 미국 장로교 북장로교회에서 여성장로제도가 통과되었고, 조선감리교회가 출범하면서 미국에서 내한한 여성 선교사들을 목사로 안수하였다. 그런데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여전도총회’라는 이름이 교단 총회와 혼선을 빚을 수 있다는 이유로 이름을 바꿀 것을 요구함으로써 갈등이 발생했다. 이런 외부와 내부의 상황들은 이들의 자아정체성을 발현시키게 하는 촉매가 되었다. 1933년에 최영혜 외 103명의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이 연서한 여성치리권 청원이 함남노회를 통과하여 총회에 상정되었다. 그러나 청원은 거부되었고 성경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호도된 채 긴 논쟁과 상처를 남겼다. 비록 치리권 청원은 실패로 끝났으나 이들은 기독교와 한글을 수용한 근대적 개인으로서 분열적 자아정체성을 극복하고 청원 과정을 통하여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주체적인 자아정체성을 발현시킨 ‘교회의 신여성’들이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최영혜’를 중심으로 일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의 면모를 파악하였고, 한국의 교회여성사에서 장로교회 여성들만을 분리하여 지역적인 서술을 시도하였으며, 문학작품을 역사서술에 접목하여 더 풍성한 역사 해석을 시도하였다. South Hamgyong Presbyterian Churchwomen's Self-Identity and the Overture to Call for Ruling Eldership in the 1930s Suh, Sunyoung Doctor of philosophy Graduate Department of Historical Theology February 2022 This thesis explores Presbyterian churchwomen of South Hamgyong Province from "short and small records" in the 1930s, highlights their place in Korean church history, and defines them as "new women in the church" with "independent, autonomous, and dynamic self-identity." The thesis has two questions. 'Who were they?' and 'Why South Hamgyong Province?’ To this end, this thesis uses micro-historical methods through historical text research. The indigenous people of the mission field have a long and rich history. There is no one-sided history. The writer applies several micro-historical methods out of the awareness that it is desirable to approach church history from below,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and their lives. The writer tried to discover the roots and embryos of the independent self-identity of women in South Hamgyong Province from their history. Its cores were disputes and survival. People, male and female, had to cooperate in order to survive the constant and endless territory disputes - between the old territory and the present territory -. The tradition of openness and respect for women that originated here continued until the Port opening era. In addition, the self-identity revealed by Canadian female missionaries in Korea during the mission work, changes in churches due to the expanded opportunities for women's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Assembly of Women's Missionary Societie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se were the driving forces to grow their independent self-identity. In the early 1930s,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admitted women to the eldership, and the newly organized Korean Methodist Church ordained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in Korea as ministers. However, the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demanded that the name "General Assembly of Women's Missionary Societies" be changed because it could cause confusion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the denomination. This led to conflict. These external and internal situations have became catalysts that revealed their self-identity. In 1933, Choi Young-hye and 103 other churchwomen from South Hamgyong Presbyterian Church co-signed the peititon of ruling eldership. It was presented to the General Assembly after being approved by the Hamnam(South Hamgyong) Presbytery. However, the overture was rejected and was misrepresented as a challenge to the authority of the Bible, leaving long debates and wounds. Although the petition ended in failure, they were "new women in the church" who overcame fragmented self-identity and expressed independent, autonomous, and dynamic self-identity through the petition process. The writer sought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some churchwomen including Choi Young-hye in South Hamgyong Province, tried to write the regional history of Presbyterian churchwomen by separating them from the macrohistory of churchwomen in Korea, and tried to interpret history more abundantly by grafting literary works onto historical writing.

      • 칼뱅의 기도 개혁과 『제네바 시편 찬송가』

        정중혁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287

        This dissertation examines Jean Calvin’s reformation of prayer and the Genevan Psalter(1562) to overcome the Korean church’s cold worship mood, which was visible due to “COVID-19.” In the 16th century, Geneva experienced constant conflict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enemies. Also, it was a city where moral hazard was prevalent in society. However, Geneva has become an international and prosperous city comparable to other cities, choosing the Protestant faith, accepting Calvin and highly educated refugees. The most critical element in Geneva’s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reformation of Prayer’ because prayer was Calvin’s most important element of worship. On the conceptual level of prayer, Calvin redefined prayer as an “exercise of faith” and a “standard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ith.” On the practical level of prayer, Calvin achieved three reforms. The first is to pray in the name of Christ, the second is about how to pray correctly, and the third is to pray in vernacular. Calvin’s prayer reform has edifying, biblical, historical, practical, existential, and public characteristics. Calvin’s prayer reform peculiarities are ‘prayer with the song’ and ‘prayer with psalms.’ Therefore, the Genevan Psalter, sung in psalms, can be said to be “the Fruits of Calvin’s reformation of prayer.” In fact, Calvin’s Genevan Psalter is said to have passionately changed the cold worship mood at the time, created an atmosphere where the entire generation could worship together, and altered the congregation to pray every day and live in God’s grace. Accordingly, I believe that Calvin’s reformation of prayer and the Genevan Psalter has significant probability with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oday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church.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가시화된 한국 교회의 냉담한 예배 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16세기 제네바에서 활동한 종교개혁자 칼뱅의 기도 개혁과 『제네바 시편 찬송가』(The Genevan Psalter, 1562)를 탐구했다. 16세기 제네바는 정치적으로 외부의 적과 내부의 적이 일으키는 끊임없는 분쟁을 겪었다. 또, 사회 전반적으로 도덕적 해이가 만연한 도시였다. 그러나 제네바는 프로테스탄트 진영을 택하고, 종교개혁자 칼뱅을 받아들이고, 고등 교육을 받은 외국인 이주민을 받아들이면서 다른 도시들에 견줄 만큼 국제적이고 번영하는 도시가 되었다. 16세기 제네바의 종교개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기도 개혁’이라고 할 수 있다. 칼뱅에게 기도는 예배의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이다. 기도의 개념적 차원에서 칼뱅은 기도를 “믿음의 훈련”이며, “믿음의 유무를 확인하는 기준”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내렸다. 기도의 실천적 차원에서 칼뱅은 세 가지 개혁을 이루어냈다. 첫째는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것, 둘째는 올바르게 기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 셋째는 자국어로 기도하는 것이다. 칼뱅의 기도 개혁은 교훈적, 성서적, 역사적, 실천적, 실존적, 공공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칼뱅의 기도 개혁의 특이점은 ‘노래로 하는 기도’와 ‘시편으로 하는 기도’이다. 그래서 시편으로 노래하는 『제네바 시편 찬송가』는 칼뱅의 기도 개혁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칼뱅의 『제네바 시편 찬송가』는 당시의 냉랭하던 예배 분위기를 열정적으로 변화시켰고, 온 세대가 함께 즐겁게 예배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었으며, 회중들이 일상생활 속에서도 매일 기도하며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생활하도록 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필자는 칼뱅의 기도 개혁과 『제네바 시편 찬송가』가 오늘날 한국 교회의 상황과 큰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한국 교회에 적용할만한 점을 제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