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신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미 남장로교 선교사 신학 : - 조직신학 교수 레이놀즈와 크레인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93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연구는 장로회신학대학교(이하 장신대, 1901-현재)의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초 기 선교사의 신학, 특히 미국 남장로교의 선교사 신학에 대하여 고찰한다. 선교사들...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연구는 장로회신학대학교(이하 장신대, 1901-현재)의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초
      기 선교사의 신학, 특히 미국 남장로교의 선교사 신학에 대하여 고찰한다. 선교사들은
      초기 장신대의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으나 연구자들은 이들의 신학에 대하여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으며, 이들의 신학은 지금까지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요약하면
      이들의 신학은 보수적이고 근본적이라고 간주되었고, 이러한 점이 한국의 장로교회와
      신학교의 분열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왔다. 그 이유는 J. C. 크레인의 신학과 같은 대표
      적인 예를 볼 때 초기 선교사 신학이 매우 다양했음에도 불구하고 W. D. 레이놀즈와
      그의 충실한 제자 박형룡의 신학이 한국 장신신학의 주류라는 관점에서 주로 선교사
      신학을 평가해 왔기 때문이다.
      크레인은 평양에 위치한 장로회신학교(장신대의 전신, 1901-1938, 1938[1940]-1949)
      에서 레이놀즈의 후임으로 1937-1938년까지 조직신학을 가르쳤으며, 다시 총회신학교
      (평양장로회신학교를 계승, 1951-1959)에서 1954-1956년까지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그
      는 조직신학 교수였으며, 최초의 공식적인 교과서인 『조직신학』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그의 신학은 주목받지 못했다. 지금까지 그의 생애와 종말론에 관한 몇 편
      의 연구들 외에는 그의 신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신학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1901-1940년까지 장신대에서의 신학교육과 한국의 근대 신학적 상
      황 및 장신대의 반응을 고찰한다. 이와 더불어 레이놀즈와 크레인의 생애 및 신학사상
      을 살펴보고, 양자를 비교하여 이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레이놀즈와 크레인
      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개혁교회의 신조를 강조,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 계시에 대한 관점에 대해서는 공통점을 가진다. 신학 교과서로서의 차이, 아르미
      니우스주의에 대한 태도, 장로교 신학에 대한 강조, 전천년설에 대한 견해 및 현대 신
      학 사조에 대한 태도와 영세(靈洗) 개념의 사용, 필리오케의 사용과 같은 주요 개념들
      에 대한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크레인의 신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기 장신대의 한국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초기 선교사의 신학이 다양했음을 밝힌다. 둘째 본 연구는 한
      국 장로교 신학에서 초기 선교사 신학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 대한 철저하고도 새로운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크레인은 남장로교 전통에 기초하여 신
      학을 전개하였으며, 크레인은 개혁신학에 비추어 현대 신학 사상의 일부 중요한 사상을
      수용하였으므로 그의 신학은 보수적이지만 포용적이며 개방적이었으나 레이놀즈는 배타
      적이고 폐쇄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크레인의 신학을 조명
      한다. 실제로 그의 신학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또한 한국의
      조직신학의 신학 발전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주제어: 장신신학, 초기 선교사 신학, J. C. 크레인, W. D. 레이놀즈, 남장로교 전통,
      『조직신학』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Influence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Theology on the Formation of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W. D. Reynolds and J. C. Crane This study mainly ...

      ABSTRACT

      The Influence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Theology on the Formation of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W. D. Reynolds and J. C. Crane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s early missionary theology, in particular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theology,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y Seminary(hereafter PUTS, 1901-present). It is believed that while missionaries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PUTS in its early years, scholars paid scant attention to their theology and it has been negatively evaluated until now. In sum, their theology is considered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which led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seminary. It is because their theology has mainly be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ology of W. D. Reynolds and his faithful follower, Hyungryong Park, is the mainstream of Korean Presbyterian theology, while there was a rich variety of early missionary theology, with J. C. Crane’s theology as a representative example.
      Crane taught systematic theology at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Pyungyang (hereafter PTS; the forerunner of the PUTS, 1901-1938, 1938[1940]-49) after Reynolds from 1937 to 1938 and again at the General Assembly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South Korea (the decendent of the PTS in Pyungyang, 1951-1959) from 1954 to 1956. In general, his theology has been unheeded, even though he was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and wrote the first official textbook Systematic Theology.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study his theology because besides a few articles regarding his life and eschatology, there has been no overall study on his theology.
      This study first reviews theological education at the PUTS from 1901 to 1940, the Korean modern theological situ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PUT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lives and theologies of Reynolds and Crane, and compares these two theologies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hile Reynolds and Crane agreed on the following points such as the Scripture as God’s words, the creed of the Reformed church,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in salvation, and the perspectives on revelation,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ose aspects including referential theological textbooks, the attitude towards Arminianism, the emphases of Presbyterian theology, perspectives on modern theological thoughts, and primary concepts lik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the use of Filioque, and the opinion regarding premillennialism.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firstly that there was a diversity in early missionary theology which influenced Korean theology at the early PU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Crane’s theology. Secondly, it insists that a new thorough evaluation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early missionary theology in Korean Presbyterian theology needs to be carried out. Crane built his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tradition, and his theology was conservative but inclusive and open-minded since he accepted some valuable ideas of modern theological thoughts in the light of Reformed theology, while Reynolds was exclusive and closed-minded. Last but not least, it sheds light on Crane’s theology which has been ignored. Indeed, the study of his theolog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itself and is also necessary for the correct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heology in Korea.

      Key words: theology of the PUTS, early missionary theology, J. C. Crane, W. D. Reynolds, Southern Presbyterian tradition, Systematic The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표 차례 ⅴ
      • 부록 차례 ⅴ
      • 국문초록 및 주제어 ⅵ
      • Ⅰ. 서론 1
      • 차 례
      • 표 차례 ⅴ
      • 부록 차례 ⅴ
      • 국문초록 및 주제어 ⅵ
      • Ⅰ. 서론 1
      •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B. 연구범위와 방법 4
      • C. 선행연구 6
      • D. 논문개요 10
      • Ⅱ. 장로회신학교와 신학교육 13
      • A. 19세기 말 미국장로교회의 상황 13
      • B. 장로회신학교와 신학교육 15
      • 1. 선교 초기에서 장로회신학교 설립까지: 1884-1901년 17
      • 2. 장로회신학교 설립 후의 신학교육: 1901-1924년 22
      • a. 1901-1915년: 1학기 5년제 23 b. 1916-1919년: 2학기 5년제 25 c. 1920-1924년: 2학기 3년제(춘기: 3-6월, 추기: 9-12월) 27 3. 체계적인 조직신학의 교육: 1925-1940년 29
      • 4. 이후의 신학교육: 1940-1945년 32
      • C. 변화하는 한국의 신학적 상황과 장로회신학교 32
      • 1. 성서고등비평에 대한 대응 32
      • a. 성서고등비평의 유입과 황해노회 김장호 목사의 징계 32 b. 창세기 모세 저작권 문제와 교회 내 여성의 권리 문제 34 c. 아빙돈 단권 성경주석 문제 36
      • 2. 종교변호선언(1927) 37
      • 3. 신정통주의에 대한 태도 39
      • Ⅲ. 레이놀즈(W. D. Reynolds)의 생애와 신학 42 A. 레이놀즈의 생애 42
      • B. 레이놀즈의 신학의 특징: 조직신학(1931) 44
      • 1. 조직신학(1931)의 저술배경과 구성 44
      • 2. 기독교증험론 45
      • 3. 신도론 50
      • 4. 인죄론 54
      • 5. 구원론 56
      • 6. 성령론 58
      • 7. 내세론 65
      • C. 정리 71
      • Ⅳ. 크레인(J. C. Crane)의 생애와 신학 72 A. 크레인의 생애 72
      • B. 크레인의 조직신학에 영향을 준 남부개혁주의 전통 78
      • 1. 크레인에게 영향을 준 남장로교 신학자들 79
      • a. 톤웰(J. H. Thornwell) 79 b. 답네(R. L. Dabney) 80 c. 웹(R. A. Webb) 82 2. 크레인의 신학에 나타난 남부개혁주의 전통 83
      • a. 신학과 인식론 84 b. 하나님 86 c. 인간 91
      • d.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 93 e. 성령 97 f. 교회 104 g. 종말과 심판 107 3. 정리 109
      • C. 크레인의 신학의 특징: 조직신학(1954/5) 109
      • 1. 조직신학(1954/5)의 저술배경과 구성 109
      • 2. 조직신학 (상)(1954) 113
      • a. 제1편: 총론 113 b. 제2편: 신론 118 c. 제3편: 인론 125 3. 조직신학 (하)(1955) 129
      • a. 제4편: 기독론(교리) 129 b. 제5편: 성령론(경험) 134 c. 제6편: 교회론과 말세론 140 1) 1부: 교회론 140
      • 2) 2부: 말세론 145
      • D. 정리 150
      • Ⅴ. 레이놀즈와 크레인의 신학 사상의 비교 153
      • A. 공통점 153
      • 1.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 153
      • 2. 개혁교회의 신조를 강조 154
      • 3.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 155
      • 4. 계시에 대한 견해 156
      • B. 차이점 157
      • 1. 신학교과서로서의 차이 157
      • 2.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대한 태도 160
      • 3. 장로교 신학에 대한 강조 162
      • 4. 현대 신학사조에 대한 태도 162
      • 5. 주요 개념들 164
      • a. 영세(靈洗)의 사용 164 b. 필리오케(Filioque)의 사용 164 c. 전천년설에 대한 입장 164 C. 정리 168
      • Ⅵ. 장신신학 안에서의 선교사 신학 평가 172
      • A. 장신신학 안에서의 선교사 신학 172
      • B. 선교사 신학의 특징과 장신신학에 미친 영향 174
      • 1. 개혁신학 전통의 계승 174
      • 2.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에 대한 강조 175
      • 3. 장로교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176
      • 4. 건강한 종말론의 제시 177
      • Ⅶ. 결론 및 제언 180
      • A. 요약 180
      • B. 제언 185
      • 참고문헌 187
      • 부록 198
      • ABSTRACT 2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