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디어의 뉴스 보도틀에 관한 연구 : 9.11 사건에 대한 신문과 방송의 뉴스 보도를 중심으로

        정희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뉴스가 현실 그 자체가 아닌 상징적 현실로서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틀(frame)을 제공한다는 구성주의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즉 언론보도가 사회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구성, 재구성한다는 가정 하에 국제적 위기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언론보도는 매체적 성격과 이념적 성격에 따라 어떠한 보도틀(news frame)을 형성하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발생한 테러리즘에 대한 한국의 뉴스 매체들의 보도틀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 연구문제 1 > 방송 뉴스와 신문 뉴스의 9·11 사건에 관한 보도틀 (news frame)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연구에서는 먼저 각 뉴스매체들이 방송과 신문이라는 매체적 특성에 따라 보도틀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 연구문제 1 >을 설정하였다. 두 매체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기사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차이가 날 수 있고, 전달되는 과정에서도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도틀을 형성하는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던 요소들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즉, 뉴스주제, 중심주체, 정보원, 진술방식, 진술내용, 기사의 논조, 그리고 용어의 상징적 표현을 분석유목으로 선정하였다. 일곱 가지 요인들 중에서 연구자가 가장 초점을 맞추었던 부분은 상징적 표현에 관한 것이다. 뉴스는 언어를 통해 형성되고,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도틀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논의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정보가 사람들에게 전달되기 위해 기사화되는 과정에서 매체의 보도정책이나 이념과 같은 특성도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미국에서 발생한 테러에 대해서 이념적 기제가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 연구문제 2 >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2 > 위의 일곱 가지 분석항목에 대한 보도틀(news frame)은 각 매체 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뉴스매체에서 이념적으로 대비된다고 할 수 있는 언론사를 하나씩 선정하였다. 방송에서는 공영방송인 KBS와 민영방송인 SBS를, 신문에서는 보수지인 조선일보와 진보지인 한겨레를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은 방송뉴스와 신문뉴스의 보도틀의 차이를 규명해보기 위해 설정한 것이다. 연구 결과 방송뉴스와 신문뉴스는 9·11 사건에 대한 상이한 보도틀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보도틀을 형성하는 각 분석유목들을 매체별로 비교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방송뉴스는 시각적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따른다는 매체적 특성으로 인해 신문에 비해 인간적인 면을 강조하는 등 보다 쉽게 관심을 끌 수 있는 보도를 한다. 이는 특정 사건에 대해 흥미위주로 보도하는 방송뉴스의 경향을 말하며, 선행 논의들에서도 많이 지적된 바 있다. 둘째, 신문뉴스는 사설기사, 논평기사, 의견 칼럼 등 방송에 비해 다양한 형식의 기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건에 대해 심층적, 분석적으로 접근한다. 정보원에 있어서도 방송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소스로부터 정보를 구하고 있다. 기사의 논조를 살펴볼 때, 신문뉴스에서 보다 분명한 태도가 나타나고 있는 것도 이러한 특성에 기인한다. 신문뉴스에서는 테러리즘 뿐 아니라 미국에 대한 평가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보도틀을 형성하는 데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인 기사의 논조는 언어의 상징적 표현의 사용과 일치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건에 대한 논조는 방송뉴스보다 신문뉴스에서 분명한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징적 표현의 비교에서도 유사한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신문에서의 함축적 용어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다. 함축적 용어는 태도, 입장, 감정 등을 내포하는 상징 표현으로 함축적 상징이 많이 사용된 것은 기사의 태도가 특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연관이 된다. 예를 들어, 9·11 사건에 대해 지시적 상징인 ‘공격’을 사용하는 것과 함축적 상징인 ‘반인륜적 범죄’를 사용하는 것을 비교해 볼 때 후자를 사용하여 묘사할 경우 테러리즘에 대해 부정적인 기사의 논조를 형성하게 된다. 넷째, 두 뉴스매체는 사건에 대한 보도에 있어서 편파적이다. 주제와 중심주체에 있어서 이슬람, 유럽 등을 고루게 다루지 못하고 있고, 정보원도 공식적·관행적인 채널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방송뉴스와 신문뉴스 모두 사건의 원인에 대한 기사는 미흡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뉴스보도의 다양성을 저하시키는 이러한 요인들은 개선의 필요가 있다. 다섯째, 방송뉴스에서의 추측성, 추론적 보도의 과용이다. 방송뉴스에서는 진술방식에서 사건에 대해 부정적으로 추론하는 경향이 강하고, 진술 내용에 있어서도 부정적 추측 기사가 많았다. 이는 정보원이 부정확하거나 무분별하게 사용될 경우 객관보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 연구문제 2 >는 기사의 보도틀의 차이가 매체의 이념적 특성에 따라서는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기 위해 설정하였다. 전반적으로 두 방송사와 신문사는 이념적 특성에 기인하여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매체의 이념적 특성에 따라 국가의 정치적 태도와 연관되는 정도가 다르다. 즉 민영 방송은 공영 방송에 비해 정치적으로 독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KBS가 공영방송인 만큼 한국정부와 밀접한 연관이 있고, 이는 보도틀에 반영된다. KBS는 뉴스의 중심주체에서 SBS에 비해 한국정부를 많이 다루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 긍정적이고, 테러을 부정하는 논조의 기사가 SBS에 비해 많았던 것은 한국정부와 미국과의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한 한국정부의 태도가 반영된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정부의 태도와 뉴스보도의 논조와는 큰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KBS 뉴스 기사의 이러한 논조는 함축적 상징용어를 상당한 비중을 두고 사용한 것과도 연관된다. 둘째, 이념적 특성으로 인한 이러한 보도틀의 차이는 신문뉴스에서도 나타난다. 두 신문사를 비교했을 때, 보수지인 조선일보는 친미 성향이 강하고, 진보지인 한겨레는 반미 성향이 강하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선일보는 한겨레에 비해 전반적으로 반(反)테러리즘에 대한 논조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한겨레에서는 반(反)테러리즘 태도는 유사하지만, 미국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도 드러나고 있었다. 셋째, 민영방송과 진보언론에 비해 공영방송과 보수언론이 한국 언론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KBS와 조선일보는 정보원으로서 한국 언론 종사자를 대부분으로 하고 있는 반면, SBS와 한겨레는 미국 언론이나 외신종합에도 의존한다. 넷째, SBS는 민영방송인만큼 시청률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인간적 흥미를 강조하는 연성적 뉴스를 선호함을 알 수 있다. SBS는 피해자를 주제로 하고 중심주체로 하는 기사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흥미 위주의 기사가 SBS에 더많은 것은 추측성 기사가 KBS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있다. 한가지 주목할 점은 SBS에서 흥미위주의 보도를 하지만, 상징적 용어사용을 분석한 결과 감정적인 함축적 용어보다는 객관적인 지시적 용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다섯째, KBS와 조선일보는 추측성 기사를 보도할 때 부정적인 측면을 자제시키고 있고, SBS와 한겨레는 부정적 측면을 상대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hat regarded news as a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d Korean news media coverage of the international crisis - the Event of September 11 -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media characteristic and the ideological dis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ws frame of terrorism by media organizations in Korea b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 (1) What differences can be noted in the news frame of the Event of September 11 between newscasts and newspapers? The question (1) was set to know the impact of news media characteristic on the news frame. Considering prior studies, seven factors shaping news frame were of particular concern to this study. Those were major topics, major subjects, news sources, types of reports, contents of reports, tone, and symbolic terms. Symbolic terms were strongly emphasized in this research because the news language of coverage was insignificantly missed in framing studies despite its importance and influence.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ideological disposition on the new frame, the study accomplished the question (2). (2) What differences can be noted in the news frame of the Event of September 11 within media organizations depending on ideological dispositions respectively? So this study examined the contrasting news frames employed by four Korean media organizations - Chosun Ilbo, Hankyoreh, KBS Evening News, and SBS Evening News - in covering the terrorism. A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news media reported the terrorism in different ways. Research question (1) offered five results listed below. First, newscasts were inclined to cover accidents for the sake of arousing the interest such as emphasis on human interest because of time and space limit. Second, several sections of editorials, comments about a single event made newspaper coverage indepth and analytic. Newspapers used more various sources and had clearer point of view than newscasts. Third, this finding supported the notion that the essence of framing was symbols.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news tone were consistent with the different use of symbolic terms. Connotations of symbolic term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news tone. Fourth, Korean news media reported the terrorism partially in some aspects. Both major topics and subjects were not equally adopted from various angles, and journalists were depending on official, habitual channel as news sources. Fifth, broadcasting news coverage carried excessively speculative news stories which could obstruct the objectivity of the news. And those needed to be controlled. The question (2) was for ideological inclination of the news media. In terms of seven variables listed above and their effects, there seemed to b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wo broadcast stations and between two newspaper companies. The first notable aspect of the results produced in this analysis was that media systems were differently affected by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the terrorism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dispositions. Government's political attitude had a more profound impact on the public-managed broadcast station than privately-managed broadcast station. Ideological influences also were founded in two newspapers. Contrary to the progressive newspaper, the conservative newspaper had an inclination toward pro-American which had already been formed in past Korean foreign policy. Third, both privately-managed broadcast station and progressive newspaper were more dependent upon foreign news sources. Fourth, the more broadcast station was connected with ratings, the more its coverage contained soft news. The privately-managed broadcast station, SBS was this case. Finall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n reporting speculative information the public-managed broadcast station and conservative newspaper control the negative aspects slightly more than the other two.

      • 中國 CCTV 報道 프로그램의 特性에 관한 研究 : [新聞联播]의 경우를 중심으로

        진즈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43

        CCTV as a television station belongs to the country and the Party, it stands for the people and the Party in domestic, and stands for the nation and the states on abroad. This is the most notable characters of the brand of CCTV. “News Syndication” is the mouthpieces of the Party, the country and the people, it reflects almost all the characters of CCTV brand con- centratly. As the most important, the highest viewing rate and the most effective multiple news program in China, “News Syndication” represents the image of Chinese TV news. It emerged the current situation of hookup news program in China to a certain extent. It could not express all the respects by being two weeks of sample, but we could still hold its arteries and veins to a certain extent. “News Syn- dication” has a good brand image in China,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advertising the Party’s principles, policies and the government orders, guiding public opinions, disseminating information and soon. So there search on broadcasting characters of “News Syndication” will be the center of this thesis, to express the characters In contents, broadcasting directions and form so fall respects by way of content analysis and document deliberation. This thesis established four researching questions to express these characters more thoroughly. No. 1 Ho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ing policies of Chinese government and the broadcasting policies of CCTV after The Reform and The Opening? No. 2 What is the performance of the broadcasting characters of “News Syndication” ? No. 3 Ho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ing polices of Chinese government and the characters of “News Syndication” program? No. 4 What is the restriction and the improve sceme of “News Syndication” program? From the research results can be found in various areas of news coverage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largest, CCTV is mixed in with the political rights of the media, reported that most of the direction is also reported positive news, followed by a time when international news reports showed the attitude of neutrality This is China's basic national conditions at this stage of the decision, in repor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ner in which the largest is in China for earthquake relief in the majority live and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the media. So that no matter from the broadcasting contents, directions or the forms, “News Syndication” takes aim of serving for the people and the Party, with continuously develop- ment and improvement, make erery efforts to construct the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中央电视台是党和国家的电视台,对内代表党和人民,对外代表国家和民族,CCTV这个品牌最大的特点就在于此。 《新闻联播》是党、国家和人民的喉舌,它身上集中体现了中央电视台品牌的种种特性。 《新闻联播》是中国最重要、收视率最高、影响力最大的综合电视新闻节目。它在一定程度上反映了中国联播类新闻节目的现状,代表了中国电视新闻的形象。 以两个星期为样本管窥《新闻联播》,虽然不能见“豹之全貌”,但一定程度上也把握其大体脉络。《新闻联播》在国内拥有良好的品牌形象,在宣传党的方针政策、国家政令,引导舆论,传播信息等方面发挥了重要的作用。所以本论文以研究《新闻里联播》的报道特点为中心,通过内容分析法略加文献研究法,表达出了《新闻联播》的报道内容,报道方向,报道形态,报道方式等各方面的特点 为将这些特点表现得淋漓尽致,在本论文中提出了三个研究问题。 研究问题一:改革开放以后中国政府的放送政策和中央电视台的报道政策关系如何? 研究问题二:《新闻联播》的新闻内容报道的特点是如何表现的? 研究问题三:中国政府的放送政策和《新闻联播》节目的特性关系如何? 从研究结果可以发现新闻报道各领域中政治方面的报道最多,中央电视台是混合政治权利里在一起的媒体,报道方向中也是大多报道肯定性新闻,其次是报道国际新闻的时候表现为中立性态度,这都是中国现阶段的基本国情所决定的,在报道方式方面最大的特点就是在中国抗震救灾中多数为现场报道,实现了媒体的最终目的。所以说无论是从报道内容,方向,形态还是方式而言,《新闻联播》都是以为党和人民的利益服务作为宗旨,为发展中国的社会主义特色,不断改进,不断发展。 最后我向清州大学新闻舆论情报学科新闻放送学的全焕盛教授致以衷心的感谢,感谢全教授对我进行的精心指导。

      • 공영방송 정책 주체들의 담론 특성에 관한 연구 : ‘KBS 수신료 인상’ 관련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박옥규 광운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43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rsive characteristics on public television as revealed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s expected to delineate the process through which public broadcasting policies are initiated and developed. This study assumes that discourses among various social actors would create the framework for the social deliberation on public broadcasting in Korea. As such, this study will attempt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to public broadcasting and governance. Ever since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launched, public broadcasting has been exposed to a newer media environment and has entered a new phase.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the normalization of public funding public broadcasting, primarily on the case analysis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KBS license fee hike. Considering that the actual owners of public service broadcasters are the populace of the nation where they base themselves, this thesis opens that the policy debates of the TV license fee should be put to a vote from various viewpoints of main and diverse interest groups of the society. In particular, the disputes on the issue of the TV license fee witnessed that they have been very much a subject for debate relied on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vs. the liberalism-oriented newspapers – and that of the liberal government vs. the conservatism-oriented ones, ever since the Roh Moo-Hyun Government. The study was conducted largel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summarized the issues regarding ideals, principles, and the license fee system of public broadcasting. It includes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discourse in the new digital age, revolving around the historical changes in defining the new public broadcaster of Korean broadcasting. The empirical study content analyzed reports of major daily newspapers, including the claims of the various social actors involved in the discussions on public broadcasting. Secondary analysis tools were employed to examine specifically of the debates over the KBS license fee hike attempts, which were made four times to this date.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by this study include the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s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ary analysis by applying Toulmin's Model. Particularly, various discussion by the social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process of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s (KBS) license fee hike attempts – which is one of the many issues related to public broadcasting - will be analyzed by Toulmin's Model. The three elements of the Toulmin's Model – 'fact' (data), 'reasoning' (warrant), 'claim' (conclusion) – will comprise the dominant frame of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ocial actors involved in discussions about the raising of the license fee were mostly the National Assembly (policy committees), government, academic field (as professors and/or experts), and civil society groups. Additionally, the dominant themes of the discourses on the public broadcasting are: 'Fairness Enhancement Frame,' 'Management Rationalization Frame,' 'Public Accountability Frame,' 'Viewers Welfare Frame' and 'General Programming Preferentialism Frame.' Besides these, however, other frames, such as 'Media Industry Development Frame' and Governance Renovation Frame.' were also revealed. Among these frames, 'Fairness Enhance Frame' and 'Management Rationalization Frame' have consistently appeared over the entire duration of all governments. Each frame delineated by this study shows the terrain of discussion of various actors and a shift of public values regarding public broadcasting. Specifically, the discussions at the center of academics and the government present the 'Media Industry Development Frame' for consideration. This change demonstrates how the issue of TV license fee must not remain inherent only in the public service broadcasters, but that it also must take root in the media industry as a whole in which the public service broadcasters and other related media industry should advance their growth.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the set of values of 'improvement of broadcasting environment,'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maintaining good balance and growth of overall media disregarded in past year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nding of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public broadcasting. 이 논문은 신문보도에서 드러난 공영방송에 관한 논의구조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공영방송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최근 신문매체를 모기업으로 하는 종합편성 채널 등장 이후 공영방송은 또 다른 새로운 매체 환경에 노출되며 위기 국면을 다시 맞이했다.이에 본 연구는 공영방송의 존립 기반인 수신료 현실화 논의에 주목하였다.공영방송의 실질적인 주인은 국민이기에, 수신료에 대한 정책적 논의는 이 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의 입장과 주장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노무현 정권 이후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한 논쟁은 보수․진보정권 대 보수․진보 성향의 신문과의 역학관계 속에서 보다 이슈화되고 쟁점화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러한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수신료 인상 논의 과정에 참여한 다양한 정책 주체들의 담론이 우리나라 공영방송에 대한 논의를 어떻게 틀 지우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이 논문은 크게 문헌연구와 실증 연구로 이루어졌다. 문헌 연구에서는 공영방송의 이념과 원칙, 공영방송 수신료 제도 등에 관한 쟁점들을 정리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담론분석을 위한 전단계 작업으로 일차적으로 주요 일간신문의 보도를 내용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영방송 담론의 생산 주체, 담론 프레임의 유형 등을 시기별로 파악하였다. 2차 분석으로는 툴민의 논증모형을 분석유목으로 삼아 최근 10년 동안 네 차례에 걸쳐 시도된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한 담론 분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신료 인상’이라는 문제를 놓고 전개되는 다양한 정책 행위자들의 논의를 툴민이 제시한 논증의 세 가지 요소인 사실(data)→논거(warrant)→주장(claim) 이라는 논증구조를 통해 공영방송에 관한 지배적인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수신료 인상 논의에 참여한 담론 생산자들은 주로 언론, 국회, 정부, 전문가 그룹, 시민단체 등이 주를 이루었다. 수신료 인상에 관한 지배적인 프레임은 ‘공정성 제고론’, 경영 합리화론‘, ‘공적 책무론’ ‘수용자 복지론’ ‘종편 특혜론’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소수 담론으로는 ‘미디어산업 발전론’과 ‘지배구조 개선론’ 이 드러났다. 이 가운데 ‘공정성 제고론’과 ‘경영 합리화론’ 프레임은 분석대상 전 기간인 모든 정권에 걸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각 프레임들은 공영방송을 둘러싸고 논의된 다양한 정책 행위자들의 논의 지형과 공적 가치의 변화들을 보여주었다. 특히 학계와 정부를 중심으로 한 담론에서는 ‘미디어산업 발전론’이 부각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수신료 문제가 단지 공영방송만의 문제가 아니라 여타 미디어와 동반 성장의 기반을 만들어나가는 계기가 되어야 할 미디어산업 전반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공영방송의 이념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방송환경 개선’, ‘경쟁력 강화’, ‘매체균형발전’ 등의 새로운 공적 가치 부상은 한국 공영방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공영방송의 현대적 가치로서 기대된다.

      • 인디밴드 카우치 사건보도에 나타난 사회적 담론에 관한 연구

        박지연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43

        신문의 선정주의적 보도행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늘 논쟁의 중심에 서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문들은 선정적인 사건 및 이슈가 발생하면 이를 부각하며 더욱 선정적인 톤으로 다루는 악습을 되풀이 하고 있다는 데에서 문제의식을 찾을 수 있다. 이는 2005년 7월 30일 MBC TV의 ‘생방송 음악캠프’에서의 일어났던 인디밴드 카우치 멤버의 성기 노출 사건과 관련한 신문사의 기사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생방송 상황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단순 사고를 신문들은 1면에 대대적으로 기사를 게재하면서부터 사건의 파장은 커져갔다. 또한 이 사건은 본의 아니게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갈등구도에 접해있는 다양한 담론을 한꺼번에 수면위로 끄집어내는 구실도 했다. 성과 육체의 문제, 남녀간의 권력문제, 음란과 포르노그래피,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주류음악과 비주류음악, 신문권력과 방송권력 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새삼 환기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신문들은 이 모든 사회적인 인식에 대해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생각을 공론의 장으로 끄집어내는 역할이 아닌 단지 인디문화와 방송매체 전체를 비난하는 선정적 보도행태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언론의 외곡보도는 시민들의 공포와 분노를 더욱 부추기는데 큰 역할을 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신문이 카우치 사건의 본질을 어떻게 파악하고 보도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선정하여 사건이 일어난 시점부터 두 달간 각 신문의 기사유형중 스트레이트, 해설, 사설, 논단, 칼럼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 확립 및 신문의 보도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카우치 사건에 대한 신문의 보도경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모두 카우치 사건으로 인해 비주류인 인디음악이 매도당하지 않고 오히려 실험정신과 독립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새로운 음악을 꽃 피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에는 모두 동의하고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카우치 사건과 관련하여 정작 그 본질에 대해 깊이 관심을 갖고 정확한 보도를 한 신문사는 없었다. 대부분 사건의 객관적인 전달이나 대안에는 관심이 없고 생방송중 벌어진 작은 해프닝을 방송 프로그램 전체의 문제로, 나아가 모든 프로그램과 심지어 방송사 전체의 문제로 확대시키는 데에만 골몰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정적인 제목 뽑기와 사진 등은 가히 ‘사고’ 자체보다 더 선정적이었다. 진보신문으로 불리는 한겨레신문이 좀더 사건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보도하려는 노력을 보였으나 실질적인 대안이나 해법에는 근접하지 못했다. 조선일보와 같은 보수 신문은 카우치 사건의 본질을 떠나 초반 이들이 몸담고 있는 ‘인디음악’과 ‘홍대문화’를 강력하게 비판하는 보도태도를 보였으며, 여기에 이명박 서울시장의 ‘퇴폐공연 블랙리스트’ 발언은 언론의 선정주의적 보도에 힘을 실어주었다. 조선일보는 이 과정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더욱 합리화하기 위해 ‘인디문화’와 전혀 무관한 강남의 한 나이트클럽의 분위기를 인디문화와 악의적으로 뒤섞어놓는 대범함을 보이기까지 했다. 이들 신문은 또한 카우치 사건과 연예오락프로그램의 폐해나 상업성을 한데 묶어 TV를 저급한 매체로까지 매도하는데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제는 ‘카우치’라는 밴드의 돌출행동이 인디문화 전반의 잘못으로, 즉 특수성을 일반화하는 잘못된 경향을 보이는 오류가 나타났다. 결국 이 모두는 시민의 공포와 분노를 부추긴 언론의 왜곡된 보도태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언론의 역할의 중요성을 되짚어 볼 수 있다.

      • 인터넷 시대의 뉴스와 사회 문화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중국을 중심으로

        장정정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43

        지금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고 생활할 수 없는 상황이 점점 가속화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하루에 수십 통씩 이메일을 주고받고, 정보를 찾고, 뉴스를 보고, 음악을 듣고, 게임을 하고, 금융거래를 하고, 물건을 구입한다. 인터넷은 더 없이 편리한 도구가 되었고, 정보화 사회에서 생활에서 생활의 상당 부분은 인터넷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제 활자에 의한 종이신문 시대는 가고 컴퓨터에 의한 신문 시대가 도래하고있다. 거기다 인터넷이라는 도구를 통해 다가오는 인터넷신문은 여러 가지의 한계를 극복하며 우리들 생활에 깊게 파고들고 있다. 인터넷 신문은 현대에 이르러 개발되고 컴퓨터 문명이 탄생시킨 새로운 개념의 매체이다. 인터넷신문은 정치경제·사회·시사 등에 관한 문제를 보도·논평하고 여론을 전파하기 위해 인터넷망을 통해 텍스트 중심의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미디어다. 이러한 인터넷신문의 등장으로 지금 인터넷신문이 종이신문을 대체할 수 있느냐,아니면 보완하느냐 하는 매체기능적 논쟁이 일고 있는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사회를 변화시킨다. 인터넷이 우리의 생활 속으로 등장한 지 몇 년 만에 우리의 일상은 많이 달라졌다.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고, 이메일과 웹 서핑은 기본적인 일상으로 들어왔다. 휴대폰을 안 가지고 나가면 왠지 불안해지는 것처럼, 며칠 이메일을 확인하지 못하면 왠지 답답하다. 찾고 싶은 정보가 있을 때 백과사전을 뒤적이는 것보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편리하다. 인터넷이 등장한 후에 제일 큰 변화는 정보와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 무한대로 확대됐다는 사실이다. 신문은 지면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크고 주요한 사건이나 정보라 할지라도 무한정 길게 기사를 실을 수 없다. 해설도 1.600자에서 2천 자 안팎으로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방송기사도 마찬가지다. 라디오뉴스는 한 아이템에 40초,TV는 1분 10초 미만으로 끝나야 한다. 그래서 신문과 방송의 기사는 짧고 간결하게 써야 된다고 강조되었다. 인터넷의 발달으로 전자신문이 가능해지자 사정이 달라졌다. 인터넷신문은 종이 신문과는 달리 지면의 제한이 없어서 장문의 기사도 얼마든지 소화할 수 있다.따라서 기사 길이에 제약을 받는 일간신문의 자신들의 자기네 인터넷신문에는 길게 글을 쓰고 있다. 24시간 동안 뉴스를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일정시간에 맞춰 신문을 인쇄하고 방송하는 마감시간(데드라인) 제가 유명무실해졌다. 뉴스전달의 생명인 속보성 경쟁은 이미 판가름이 난 셈이다. 인터넷에 들어가면 수많은 디지털신문과 방송이 시간에 구애됨 없이 많은 양의 정보를 띄우고 있다. 인터넷방송은 일반방송과는 달리 시청자가 언제고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볼 수 있으며, 방송국과 쌍방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면서 매체환경이 엄청나게 변한 것이다. 인터넷 신문이 오늘날 신 매체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인터넷이 개인생활이나 교육, 학습생활은 물론 다양한 전보검색과 증권거래 등에 무궁무진하게 이용되면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신문도 매우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인터넷신문은 기존의 신문과 동일한 양의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방대한 기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종이신문에서 다루지 못하는 멀티미디어정보의 활용 및 뛰어난 속보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Nowadays, the trend that we can not live without the Internet is more and more obvious: sending and receiving E-mails, finding information, watching news, listening music, playing games, financial transactions, shopping, etc. Actually i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ternet has become the most convenient tool and a considerable part of our life has to rely on it. The printed newspaper is history and the era of computer newspaper has arrived. The Internet news overcome many restrictions of printed newspapers, and is gradually permeating into our life. The Internet newspaper is a new media after the birth of the modern computer civilization. The Internet newspaper mainly reveal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rrent affairs and related issues, while the report and the review are the online media through Internet to provide text of information center in order to spread. The advent of Internet newspaper causes the debate about whether the network newspaper can replace the printed newspaper or it can improve the media function of network newspape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has changed the society. Although the history of Internet is not very long but it had already made our life much more different. Internet is indispensible to our life and net surfing became a part of daily life. Like the inconvenience of going out without mobile phone, it is depressing if we do not check e-mail every day. Compared with looking up the encyclopedia, check the information you need from Internet is more fast and convenient. After the advent of Internet, the biggest change is that the space of providing information has been boundlessly enlarged. The traditional newspaper is limited by the size of paper, no matter how great and important event or information, it can not report without restriction, and it is limited to report only from 1,600 words to 2,000 words. So does the broadcast report, the time of an event through the broadcast is limited in 40 seconds, and that of television is 70 seconds. All the report is ended in the limited time. Therefore, the reports of newspaper and broadcast emphasize clearance and conciseness. The development of Interne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Internet news. Compared with the printed newspaper, the Internet news is different, it can report without any limit of size. Therefore, a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has to control the length of its report on printed newspaper but could make the report longer on its Internet news web site. Nowadays, news could be reported 24 hours a day, so print and broadcast news in a fixed time become nominal. In one word, the times of making the speediness of news as the core competitiveness has already past. Internet has brought a lot of digital news, and because of no consideration of play duration, many types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The Internet broadcasting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ones. Audiences can watch any expected shows at any time, and it is paid much attention for them to interact with broadcasting station. With the arrival of information age, the circumstance of the multimedia has changed a lot. Nowadays, Internet newspapers are considered as a new media. Internet has been widely used in personal life and education, study, searching information and stock exchange, etc. Internet news also spread very rapidly, With the explosive increase of its users. From the view of readers, the existing Internet news can have not only the same function as the traditional newspapers, but can also gain more information. Besides, compared with the printed newspaper, Internet news can get the multimedia information with the help of the database. Therefore, it has won people`s highly approvals.

      • 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 간의 경쟁관계연구

        김의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매체 환경의 급변화는 광고시장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광고소비패턴의 변화에도 영향을 주어 광고매체의 경쟁구도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광고매체간의 경쟁구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우선, 한국방송광고공사에서 제공되는 소비자행태조사(MCR: Media & Consumer Research) 자료를 활용하여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지상파방송, 라디오, 신문, 잡지, DMB 등의 광고매체를 이용하는 수용자들의 성별, 연령, 광고 주목도에 따라 경쟁구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봤다. 그리고 지상파방송, 라디오, 신문, 잡지, 케이블/위성, 인터넷, DMB 등의 광고매체를 다양하게 많이 이용하고 있는 20대 150명을 대상으로 수용자설문을 실시하여 정보성, 흥미/오락, 구매결정, 접근 용이성 등 4개의 차원에 대한 각 광고매체별로 수용자들이 충족하는 정도를 살펴봤다.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의 적소폭의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개체군이 성별일 때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신문광고가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잡지광고는 가장 작은 적소폭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간의 적소중복의 차이에 관한 결과에서는 개체군이 연령일 때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지상파방송,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은 유사한 자원을 활용하는 경쟁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2004년에는 모든 광고매체간의 경쟁관계가 매우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5년 이후로는 점차 지상파방송, 라디오, 신문, 잡지, DMB 등 모든 광고매체가 보완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더니 점차 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셋째, 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의 경쟁우월성을 비교한 결과, 개체군이 연령, 성별, 광고 주목도일 때의 결과 모두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장 우월한 위치에 있는 광고매체는 지상파방송광고였고, 반대로 가장 열등한 위치에 있는 광고매체는 잡지광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충족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의 적소폭의 차이는 정보성과 흥미/오락 차원에서 지상파방송광고의 적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구매결정과 접근용이성차원에서는 인터넷광고의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DMB광고는 모든 차원에서 가장 적은 적소폭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충족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간의 적소중복을 살펴봤다. 그 결과, 정보성, 흥미/오락, 구매결정 등의 차원에서는 라디오광고와 DMB광고의 적소중복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용이성차원에서는 라디오광고와 케이블/위성광고가 높은 적소중복을 보였다. 이와는 반대로 정보성, 흥미/오락, 접근 용이성 등의 차원에서는 지상파방송광고와 DMB광고간의 적소중복이 구매결정차원에서는 라디오광고와 인터넷광고간의 적소중복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충족적소이론을 이용한 광고매체간의 경쟁우월성을 비교한 결과, 정보성과 흥미/오락 차원에서는 지상파방송광고가, 구매결정과 접근용이성차원에서는 인터넷광고이 가장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DMB광고는 모든 차원에서 가장 열등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sudden change of media environment has brought the change of competition structure in advertising media. therefore th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mpetition structure of advertising media by using Niche Theory. First, it analyzed competition structure, which exists among user of advertising media such as Terrestrial TV, Radio, Newspaper, Magazine, and DMB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attraction of advertisement by using the MCR(Media & Consumer Research) data provided from Korea Broadcast Advertisement Corporation (KOBACO) from 2002 to 2007. And Then it has examined the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through the survey in four dimension (information, entertainment/fun, buying decision, accessibility of 150 people of twenties who are using advertising media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ach advertising media(Terrestrial TV, Radio, Newspaper, Magazine, Cable/Satellite Broadcasting. Internet, and DMB).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compared the niche breadth of advertising media which used Niche Theory. The result, Newspaper advertisement was the largest niche breadth and Magazine advertisement was the smallest niche breadth from 2002 to 2007 when population was sex. Second, in the result on niche overlap between advertising media which applied to Niche Theory, when population was age, from 2002 to 2004, found the level of competition among Radio, Newspaper, Magazine was very competitive. Particularly in 2004, the level of competition was very high among all advertising media. However, as from 2005 all advertising media including Terrestrial TV, Radio, Newspaper, Magazine, DMB has started to develop complementary relation gradually and it found that the relation become much strong gradually. Third, the result on competition superiority between the advertising media which used Niche Theory, all results found same when population was sex, age, and attentiveness. Terrestrial TV held a prominent position as an advertising media, while Magazine advertisement held lower position. Fourth, the niche breadth of Terrestrial TV advertisement found much higher among from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fun. From the dimension of buying decision and accessibility, niche breadth found much higher in Internet advertisement. Oppositely, from the all dimension DMB advertisement placed much lower niche breadth. Fifth, the niche overlap of advertising media analyzed which used Gratification Niche Theory. The result, niche overlap found much higher between Radio and DMB advertisement in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entertainment/fun and buying decision. From the dimension of accessibility Radio advertisement and Cable/Satellite advertisement found higher niche overlap. Oppositely, the niche overlap found very lower between Terrestrial TV and DMB advertisement from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entertainment/fun, accessibility, and also in Radio advertisement and Internet advertisement from the dimension of buying decision. Sixth, the result on competition superiority between the advertising media applied to Gratification Niche Theory, Terrestrial TV held superiority in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fun and Internet advertisement held superiority on buying decision. Oppositely, DMB advertisement found much lower position on each dimension.

      • 신문의 뉴스프레임이 정치인 발언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미디어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유재광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Politician's speaking is the media major exposure. But every politician's speaking cannot become news. Sometimes, even the most important politician's speaking doesn't become news. However, speaking of a newly-elected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becomes a big news all of a sudden. That is because of newsframe of the media. Newsframe is the frame that make the reader think and understand the reality to the particular direction by selecting and emphasizing particular aspect of the issue. Politician's speaking is selected and emphasized to the particular direction by the newsframe of each newspaper companies. Choosing and emphasizing of politician's speaking happens more directly and sharply in case that the interests of newspaper companies is connected to the issue. In December, 2008. the media bill that licenses newspaper company to operate the broadcasting company was proposed. From this moment to July, 2009 that the media bill was passed, the rul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have struggled to the extremes. During the struggling, the tone of the press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 and the progressive newspaper is divided to the extreme. The conservative newspapers like Choseon-Ilbo, Joongang-Ilbo, and Donga-Ilbo that want to run a broadcasting company have written a lot of related articles that urge to pass the media bill. They seem like at risk to themselves to pass the media bill for there own interests. However the progressive newspapers like Hankyoreh and Kyunghyang newspaper that cannot own a broadcasting company because of the financial difficulty have written a lot of related stories that oppose stubbornly to the pass of the media bill. Those progressive newspapers are concerned about that the monopoly and oligopoly of public opinion by the conservative newspapers become more severe if the media bill is passed. I have observed all this process as a MBC TV reporter who cover the National Assembly. On this ground, the thesis has searched the differences of the newsframe to the same issue like the media bill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s and the progressive newspapers. The thesis has studied how the news content about the same issue is divided to the different way by the newspaper's own newsframe. For that, the study of methods uses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is used to search how politician's speaking is chosen and used by the each newspaper company's newsframe to the same issue. By this process, I have found out that all newspaper companies have there own interests to the particular issue and according to there own interests they have written completely different articles even to the same issue like the media bill. Also, I have found out that newspaper companies intend to choose and interpret politician's speaking to there own advantage and even make the necessary politician's speaking regardless of the conservative newspapers and the progressive newspapers This study goes further from simply analyzing the stories on newspaper and find out that which part of politician's speaking becomes an article and which part doesn't become an article by comparing to particular politician's whole speaking and the politician's speaking on the newspaper articles. This thesis also find out why newspaper companies do those things. So, this thesis has advanced significance distinguished from the study that just simply analyzed the stories on newspaper. 정치인의 발언은 언론의 주요 취재 대상이다. 그러나 모든 정치인의 발언이 다 기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중요한 정치인이라고 해도 그의 발언이 기사가 안 될 때도 있다. 반대로 정치적 무게가 덜한 초선의원이라 하더라도 어느 순간 해당 의원의 발언이 크게 인용돼 기사화되는 경우도 많다. 이는 언론사가 가지고 있는 뉴스프레임 때문이다. 뉴스프레임은 특정한 사안이나 이슈에 대해 벌어지고 있는 현상의 어느 특정 부분을 선택하고 강조함으로써 수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방향으로 현실을 인식, 해석하게 만드는 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정치인의 발언도 각 언론사가 가지고 있는 자사의 뉴스프레임에 맞춰 선택되고 강조되면서 특정 방향으로 해석된다. 언론사가 이렇게 특정 정치인의 특정 발언을 취사선택해 보도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사실의 은폐와 왜곡은 특히 해당 언론사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는 사안일 경우엔 더 직접적이고 첨예하게 일어난다. 지난 2008년 12월, 신문의 방송 진입을 골자로 한 미디어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된 뒤 법안이 통과된 2009년 7월까지 여당인 한나라당과 야당인 민주당은 극한 대립을 거듭했다. 야당 국회의원들이 국회 본회의장을 점거하고 등산용 자일로 서로의 몸을 묶는 헌정 사상 초유의 일도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이른바 조.중.동으로 불리는 보수신문들과 경향.한겨레신문 같은 진보신문들의 논조도 극과 극으로 엇갈렸다. 방송에 진출하려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 같은 보수신문은 미디어법이 통과돼야 방송에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문사의 사활을 걸고 미디어법 통과를 촉구하는 기사들을 쏟아냈다. 반대로 자금이 부족해 방송 사업에 진출하기 어려운 경향신문이나 한겨레신문 같은 진보신문들은 보수 신문들의 여론 독과점 심화를 우려하며 미디어법 처리의 부당함을 알리는 기사들을 쏟아냈다. 당시 본 연구자는 MBC 국회출입기자로 이 과정들을 지켜봤다. 이에 본 논문은 미디어법 처리라는 동일한 사안에 대해 보수신문과 진보신문들의 뉴스프레임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갖게 되는지, 이 프레임 차이에 따라 미디어법 이슈에 대한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보도행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등을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 자사의 뉴스프레임에 맞춰 미디어법 이슈에 대한 정치인의 발언이 어떻게 취사선택돼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 발언과 기사화된 내용을 참여 관찰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신문들이 특정 사안에 대해 저마다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고, 그 이해관계에 따라 같은 사안이라도 완전히 다른 보도를 쏟아냈다는 걸 밝혀냈다. 이처럼 자사의 뉴스프레임에 맞는 기사를 만들어내기 위해 우리 신문들은 진보와 보수를 가리지 않고 정치인들의 발언을 자의적으로 취사선택해 해석하고, 취사선택의 수준을 넘어 필요한 발언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내고 있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지면에 나타난 기사를 단순 분석하는데서 더 나아가 취재원의 발언이 실제 발언과 기사로 나타난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어떤 발언은 기사가 되고 어떤 발언은 그냥 묻혔는지, 왜 어떤 발언은 키우고 어떤 발언은 외면하는지 등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단순히 신문 지면에 나타난 기사의 뉴스프레임을 비교한 기존 연구화 차별성을 갖는다.

      • 지역 언론의 지역 의제 보도 방식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지역 언론의 2012여수세계박람회 관련 보도에 대한 공중의제(Public Agenda) 소외현상을 중심으로

        최우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의제 설정(Agenda-Setting) 이론은 미디어가 다룬 의제가 공중에게 중요한 의제로 전이되고 이것이 중앙 또는 지방 정부의 정책 의제로 반영된다는 것이다. 이는 강력한 미디어의 역할을 전제로 수용자를 뉴스 소비자로만 본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과 SNS 등, 온라인 상에서는 이런 상황과는 다른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의제 설정 과정이 달라지고 있다. 최근의 온라인 저널리즘은 과거의 뉴스 생산 과정과는 달리, 시민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의제가 온라인 상에서 의제 확산(agenda-priming) 과정을 거쳐 미디어의 의제가 되고 이를 통해 여론 형성과 정책 반영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만큼 시민 참여에 의한 이슈 결정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이 같은 역의제설정 개념은 위기에 처해 있는 지역 언론의 대안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역 언론의 현실은 이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에 대한 지역 언론의 보도를 연구의 대상으로 공중 의제와 미디어 의제, 정책 의제 간의 연관성과 지역 언론의 현실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 언론 보도에 반영된 공중 의제와 정책 의제는 어떤 유형적 특성과 상호 연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정책 의제와 상이한 공중 의제에 대한 지역 언론의 보도 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정책 의제가 미디어 의제로 채택 또는 소외되는 원인은 무엇이며, 그것은 신문과 방송에서 각각 어떻게 나타나고 있고 각 의제의 주체별로 어떤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정책 의제와 상이한 공중 의제가 미디어 의제로 채택 또는 소외되는 원인은 무엇이며, 이는 신문과 방송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고, 각 의제의 주체별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사 방법으로 내용 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사 주최 측에서 제공한 정책 의제들이 가장 주요한 취재원이었고 전반적으로 보도 태도도 긍정적이었다. 정책 의제와 공중 의제는 상반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정책 의제는 공중 의제의 미디어 의제 반영을 소외 또는 기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공중 의제는 광고를 매개로 하는 정책 의제와 미디어 의제 사이에서 소외되고 있었다. 둘째, 정책 의제와 상충되는 공중 의제에 대한 보도 방식을 보면, 지역 방송은 리포트를 단신으로 보도하거나 단신은 횟수를 줄여 보도했다. 또, 시청률이 낮은 시간대에 편집하거나 지나치게 반론권을 보장해 주는 식으로 보도했다. 서울로 송고할 때는 관점을 달리하거나 비판의 강도를 줄이는 방식이 사용됐다. 지역 신문은 공공기관의 고위 인사들로부터 제공된 정책 의제들이 취재 지시로 내려지는 방식으로 공중 의제를 차단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에서 중요시하는 공중 의제는 자료 자체의 한계와 언론사 내부 사정, 데스크의 역량, 출입처 제도 등으로 인해 미디어 의제에서 구조적으로 배제되고 있었다. 넷째, 신문은 공공 정책 설명, 방송은 행사나 이벤트 소개 등, 정책 의제를 집중 보도했다. 방송 보도가 신문보다 더 긍정적이었고, 자체 기획기사는 신문보다 방송이 다소 많았지만 취재원은 대부분 정책 의제였다. 언론사와 공공기관이 같은 지역에 있을 경우 비판적인 시각보다 우호적인 기사가 많아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SNS와 인터넷 포털보다 신문과 방송의 영향력이 크게 줄었음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지방 정치권력의 언론에 대한 영향력 증대와 지역 언론의 경영 악화 등으로 정책 의제에 의해 공중 의제가 소외되는 현상이 심각하다는 게 핵심적인 문제의식이었다. 공중 의제와 정책 의제, 미디어 의제의 특성과 상호 연관성에 대한 현상이 규명된 만큼 지역 언론의 언론으로서의 기능을 정립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각각의 주체들이 공동 노력해야 할 것이라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이번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 인터넷뉴스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강래성 중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외국의 주요 신문사들이 인터넷 신문 사업에 뛰어 들기 시작한 90년대 초는 전 세계적으로 인쇄 신문의 위기가 심화되던 시절이었다. 이 시기 인터넷 신문은 기술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는 신문산업의 필요에 의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기 시작했다.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면서 인터넷 이용자가 급격히 늘어났다. 자연스럽게 인터넷은 새로운 광고시장을 형성해갔다. 또한 인쇄신문에서 멀어지던 젊은 사이버 세대는 인터넷 상에서 읽는 신문에 익숙해 지면서 인터넷 신문은 독자적인 사업영역으로 자리를 구축해 가고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추세속에서 인터넷 신문의 현황과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1. 인터넷 뉴스의 개념과 특성으로 살펴본 인터넷 뉴스의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인터넷 신문의 발전으로 인한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력은 무엇인가? 3. 인터넷 언론에서 언론윤리는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출간되어있는 단행본과 각종 언론연구자료 및 세미나 자료 그리고 논문자료등을 이용한 문헌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인터넷 신문은 언론환경에 대한 신중한 분석이나 철저한 경영계획에 근거한 것은 아니었다. 특히 중앙일간지들은 인터넷에 뒤지면 장차 살아남기 힘들다. 경쟁사가 운영하니까 우리도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속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며 인터넷 신문을 만들었다. 인터넷 신문의 광고, 매출과 지출, 조회수 및 순수 방문자수 등은 신문별로 격차가 커서 열악한 신문 집단과 계속적으로 덩치를 키우고 있는 인터넷 신문 집단으로 분화되고 있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기존 인쇄신문업계에도 나타난 현상이지만 인터넷 신문의 빈익빈 부익부는 그 속도가 더욱 빠르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었다. 또한 광고수입에 전적으로 의지했던 인터넷 신문들이 새로운 수익모델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는 한계상황에 부딪히면서 콘텐츠 유료화, 오프라인 창간 등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난관을 극복하려 하고 있으며, 전문 인력의 부재로 인해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기엔 기자수가 적을 뿐 아니라 제대로 훈련된 기자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미흡한 인터넷 신문 관련 법제도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사실 확인과 취재원간의 상호검증에 기초해 기자가 쓴 기사를 내보내는 전통적인 저널리즘 방식을 무시하고 온라인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정보를 끌어 모아 이 중 흥미롭고 선정적인 기사거리만 골라 온라인으로 공급하는 온라인 뉴스 매체는 정보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인터넷 신문의 발전은 민주주의에도 상당한 변화와 대안미디어의 발전을 가져왔다. 인터넷은 유통과 배급의 영역까지 허물고 있다. 인터넷 미디어는 개인만의 표현작업이 아닌 보다 적극적인 미디어 운동적 지향을 가진 작업의 재활성화를 함께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은 채널수에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운영 및 배급에 있어도 단지 몇 대의 컴퓨터와 전용회선이 필요할 뿐, 일간신문 제작이나 공중파 방송에 필요한 송출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간소하다. 또한 인터넷 신문이나 인터넷 방송에 대한 규제가 기존 방송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점도 고려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한 새로운 문제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존의 미디어에서 적용되던 언론 윤리를 과연 인터넷이라는 매체에 어떻게 적용시켜야 하는것이가 이다. 인터넷상의 미디어 윤리는 기존의 규제론적 사고를 그대로 인터넷에 접합시킬 수는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규제에 대한 접근방법의 질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익명성과 무국적성과 같은 인터넷만의 공간적인 특성 때문에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다. 결국 인터넷은 자율적인 윤리가 중시되어야 하는 공간일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개개인의 자율성에 기초한 미디어 윤리관의 정립이 필요하다. 인터넷상의 미디어 윤리는 기존의 전통적 윤리관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혀 새로운 윤리전통관이 인터넷 공간에서 요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인터넷상에서 법적 규제내지는 자율규제의 윤리적 모토가 되고 있는 것은 그다지 전통적인 윤리관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기존의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저작권 등에서 요구되는 전통적인 윤리가 그대로 인터넷 상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현실을 보더라도 충분히 알 수 있다. 즉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대표되는 기술의 발달이 전통적인 미디어윤리가치의 질적변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하기보다는 상대적 비중의 변화 또는 재배역을 요청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도 알수 있는 것처럼 일반인들, 특히 사이버세대라 일컬어지는 젊은 세대들은 매체로서 인터넷을 선호하고, 실테 매체이용량도 기존 매체보다 훨씬 많다. 그러나 이것이 인터넷이 기존 언론매체보다 더욱 신뢰성을 갖춘 저널리즘 매체로 부상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인터넷이 현재 가상공간을 넘어 우리 현실세계에 변화를 가져오고 영향을 미치는 저널리즘 매체로 기능하고 있다고는 하나, 온라인 저널리즘 환경에서도 역시 변하지 않는 기존 저널리즘에서와 같은 저널리즘의 기본원칙들이 이용자의 신뢰를 얻고 발전해 나아가는 중요한 요소들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 노무현 관련사건의 자살 전·후 뉴스 프레임 비교 분석 : 신문사의 사설을 중심으로

        마정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은 국내에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분향소에는 많은 참배객들이 길게 줄을 늘어서는 모습을 보였다. 방송매체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해 추모 방송을 내보내고, 신문들은 호외를 발행했다. 한국 사회는 전 대통령의 자살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을 겪으며 사회적 갈등과 함께 인간적 삶의 존엄성과 자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계기를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노무현 관련 사건에 대한 세 신문사의 프레임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를 사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진보와 보수 그리고 기업사주라는 다른 배경을 가진 신문사들이 사설이라는 신문사의 자주적 목소리를 이용하는데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세 신문사 사설의 프레임을 통하여 신문사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겨레 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를 선정하였다. 이념적으로 대비되는 한겨레 신문과 조선일보를 선정하였고, 중앙일보는 기업사주로서 진보와 보수와는 다른 이념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선정하였다. 귀납적인 방법을 통하여 내용분석을 하여 8개의 프레임을 추출하였다. 프레임은 비리의혹 프레임, 수사촉구 프레임, 부패 프레임, 개인적 불행 프레임 추모 프레임, 실망 프레임, 책임 프레임, 자살의혹 프레임으로 8개가 추출되었다. 첫 번째는 노무현 관련 사건의 신문사별 양적 분석은 신문사 개별적인 사설의 보도량은 거의 대동소이했다 하지만 월별 보도량을 살펴보면 2009년 4~5월의 2개월동안 총 사설 보도량의 66.3%를 보도했다. 세 신문사가 노무현 사건 관련 사설을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편중해서 보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노무현 관련 사건 사설의 핵심 프레임은 자살전에는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자살이 있었던 5월 이후에는 한겨레 신문은 추모와 책임프레임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수사촉구와 추모 프레임을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겨레 신문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에 추모와 정부와 검찰에 책임을 묻고 있으며,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자살에 대한 추모는 하고 있지만 검찰의 수사는 계속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살 전과 자살후의 사설의 보도량은 한겨레 신문은 증가하였고,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줄어들었다. 사설의 프레임은 자살 전에는 비리의혹, 수사촉구, 부패 프레임이 주류를 이루었고, 자살 후에는 추모와 책임프레임이 주류를 이루었다. In 2009, the ex-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Mu-Hyun Roh's suicide gave a big shocking to inside of South Kore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Many worshipers waited for a line to get in the Mu-Hyun Roh's memorial altar. Broad-casting medias broadcast a program for cherishing the memory of Mu-Hyun Roh, and the newspapers issued an extra. Korean society finally had an opportunity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dignity of man, suicide and social conflict together by undergoing the shocking incident, ex-president's suicide. In this paper, it would like to show you the column focused analysis that how the representative three newspapers have been changing their news frames about Roh's suicide. It will be also showing you that how the various newspaper companies that have different backgrounds such as progressive, conservative and private company owned display differences to emphasize their opinion by using their editorial articles. Moreover, it also wants to analyze the three representative newspapers' differences by using their own editorial article's frames. the representative three newspapers, subjects of analysis are HanKyere news,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each of them is seriously selected because the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For example, HanKyere news is the representative for progressive and Chosun Daily is the representative for conservative. Besides, Jungang Daily is the representative for private company owned. There are eight abstracted news frames that are analyzed by using inductive method. The eight abstracted frames are unreasonably doubted frame, investigation demanded frame, decay frame, personal misery frame, cherishing frame, disappointment frame, responsibility frame, and suicide doubted frame.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newspapers for Roh's incidents, the newspapers' editorial article numbers are almost even. However, if you look at the amount of news for a month about Roh, 66.3% of all the editorial news are reported from April 2009 to May. It was concentrated in two months. From the fact above, you can see that the three major newspapers tried to report too much of their editorial articles about Roh's incidents in short two months. Second, the essential frame for Roh's incident was actually not changed too much before his death. However, after may 2009 that he committed suicide, Hankyere news mainly used Cherishing and responsibility frames. On the other hand,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mostly used investigation demanded frame and cherishing frame. HanKyere news charged the Government and the prosecution with responsibility for Roh's death and cherished the memory of him. On the other side,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also cherished but they still wanted the prosecution to investgate Mu-Hyun Roh. Lastly, Hankyere news increased the amount of editorial articles during the incident season, but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decreased the quantity of columns for Roh's incident. Columns' frame was focused on unreasonably doubted frame, investigation demanded frame and decay frame before Roh's incident. After his death, cherishing frame and responsibility frame were the main cur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