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전공남학생과 비전공남학생의 체지방 조성과 식행동 및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비교 연구

        박현옥 명지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979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ody fat contents by BMI,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physical education (PE) major and non-major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area. Survey questionnaire o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and one-day dietary intake by 24-hour recall method were performed in 253 male college students (117 PE majors and 136 PE non-majors). Also, body weight and height, blood pressure, and body fat conte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a trained research investigator. The recognition for the health of the self in PE major students was 63.2%, which was higher than 47.8% in non-major students. Also, the recognition that the subject was always tired and weak without the presence of specific diseases was 24.3% in non-major students, which was higher than 15.4% in PE major students and significantly different(P<0.5). Thus it revealed that PE major students had better health status than non-major students. The height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176.95±6.57cm and 175.86±4.84cm, respectively, and the weight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71.91±8.47kg and 70.69±11.05kg, respectively, and the WHR(waist÷hip)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0.82±0.04 and 0.82±0.05, respectively. The BMI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52.1% and 50.7%,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most of students were in the range of normal body weight. The overweight (BMI>23) ratio in PE major students was 47.9% and the normal weight (BMI 18.5~22.9) ratio was 52.1%, while the overweight ratio in non-major students was 44.9% and the normal weight ratio was 50.7%, and the underweight ratio(BMI<18) was 4.4%.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systolic blood pressure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123.40±10.94 and 125.90±12.23, respectively. The diastolic blood pressure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74.50±10.29 and 77.66±10.65, respectively, showing that non-major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jor students(P<0.05). Therefore, non-major students had higher diastolic blood pressure than PE major students. The body fat content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16.66±4.53% and 18.27±5.74%, respectively, showing that non-major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E major students(P<0.05). The fat-free mass(FFM) of PE major students was 59.75±5.74, which was higher than 57.38±6.15 in non-major stud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The abdominal obesity (WHR> over 0.9) in non-major students was 4.4%, which was higher than 1.7% in PE major student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obesity by waist circumference (over 91cm) was 13.2% in non-major students, which was higher than 4.3% in PE major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refore, it showed that non-major students had more obesity by waist circumference than PE major students. The ratio of skipping meals in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66.3% and 54.7%, respectively, and the reasons for skipping meals were mostly lack of time and then lack of appetite with 22.7% in PE major students and 14.1% in non-major student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most students including both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skipped the breakfast due to lack of time. The calorie intake of PE major students was 2829.22±1280.28,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2382.63±884.68 in non-major students. Also, the intakes of protein and calcium, phosphorus, zinc, vitamin A, vitamin B₁, vitamin B₂, vitamin B_(6) , folic acids,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 major students than in non-major students. Also, the intakes of iron and niacin, vitamin C, vitamin E, total fatty acids, saturated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PE major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major students. In general, the intakes of calcium, zinc, vitamin B₂, and folic acids were low both in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in non-major students was 12.60±3.36, which was higher than 10.90±3.95 in PE major students and also significantly different(P<0.01). Dietary behavior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2.74±0.78 and 2.62±0.68, respectively, and the score of dietary behaviors in PE major students was higher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ietary behaviors were better as nutritional knowledge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drinking and smoking in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 exercise lifestyle in non-major students is recommended because they had more obesity and worse health status due to lack of exercise than PE major students. The average meal time was 10~20 minutes in 60.7% of PE major students and 66.2% of non-major students. The number of meals a day was two in 46.2% of PE major students and 54.4% of non-major students, showing more non-major students had higher rate than PE major students. But 12.8% of PE major students had more than 3 meals a day, which was higher than 3.7% of non-major stud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number of eating ou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ut mostly 1~3 times a week with 47.9% in PE major students and 46.3% in non-major students. The choice of meals when eating out was Korean foods in 59.8% of PE major students and 52.9% of non-major students. The source of nutritional information showed that 35.9% of PE major students obtained nutri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TV and radio, while 31.6% of non-major students obtained through Internet and PC communication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lso, 37.6% of PE major students generally took more nutritional supplements and healthy foods when compared to 22.8% of non-major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mostly used nutritional supplements and healthy foods was vitamin C, and then multivitamins & minerals and Oriental invigorating tonics. These supplements were usually provided from parents or siblings in 63.6% of PE major students and 80.6% of non-major students. Dietary behaviors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3.11±0.3 and 3.16±0.34,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utrient adequacy ratio(NAR) is the ratio of adequate intakes of calorie and protein, calcium, phosphorus, zinc, vitamin A, vitamin B₁, vitamin B₂, vitamin B_(6), and folic acid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E major students than in non-major students in this study. Nutrients with less than 0.90 in NAR were calcium, zinc, vitamin B₂, and folic acids, among which the ratio of calcium was the lowest. Also, the ratio of calcium intake in PE major students was the lowest as 0.98±0.57, while the ratio of vitamin B₂ intake in non-major students was the lowest as 0.79±0.46. Mean nutrient adequacy ratio(MAR) of PE major and non-major students were 1.43±0.73 and 1.17±0.50, respectively, and the value of PE majo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nutrient density(ND) of all subjects showed that vitamin B₂ was the lowest as 0.85 and vitamin B_(6) was the highest as 1.65. Nutrient density(ND) was the highest for vitamin B_(6) as 1.75 in PE major students and for iron as 1.89 in non-major students. Nutrients with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density(ND) in PE major students than in non-major students were vitamin B_(6), phosphorus, vitamin B₁, and vitamin B₂ , among which vitamin B_(6)was the highest. 본 연구는 체육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의 인체 특성과 식생활 실태, 식습관, 식생활태도, 영양지식, 영양소섭취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남자대학생 253명(체육학과 학생 117명, 일반학과 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및 영양지식, 식습관에 대한 설문지와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1일 섭취량을 기록하도록 하고 체중과 신장 혈압을 훈련 된 조사원을 통하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체육학과 남학생과 일반학과 남학생의 건강상태를 살펴 본 결과는 체육학과 남학생과 일반학과 남학생 모도 아무 병 없이 아주 건강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나 체육학과 남학생이 63.2%로 일반학과 남학생 47.8%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고 일반학과 남학생은 24.3%로 체육학과 남학생 15.4%보다 특별한 병은 없으나 늘 몹시 피곤하고 몸이 약한 학생이 많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체육학과 남학생과 일반학과 남학생의 인체특성을 살펴 본 결과는 신장은 체육학과 남학생의 176.95±6.57cm 일반학과 남학생은 175.86±4.84cm, 체중은 체육학과 남학생이 71.91±8.47kg 일반학과 남학생은 70.69±11.05kg 이었으며, 복부비만(WHR)은 체육학과 남학생은 0.82±0.04 일반학과 남학생은 0.82±0.05이었다. 체육학과 남학생과 일반학과 남학생의 BMI를 살펴 본 결과는 체육학과 남학생과 일반학과 남학생 모두 각각 52.1%, 50.7%로 BMI가 정상체중인 학생이 가장 많았다. 혈압을 살펴 본 결과 수축기 혈압은 체육학과 남학생이 123.40±10.94 일반학과 남학생이 125.90±12.23이었다. 이완기 혈압은 체육학과 남학생이 74.50±10.29 일반학과 남학생이 77.66±10.65로 일반학과 남학생이 체육학과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따라서 일반학과 남학생이 체육학과 남학생보다 이완기 혈압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체지방은 체육학과 남학생이 16.66±4.53 일반학과 남학생이 18.27±5.74로 일반학과 남학생이 체육학과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식생활 실태를 알아본 결과 1일 식사횟수는 체육학과 남학생은 46.2%와 일반학과 남학생은 54.4%로 식사를 2회 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나 체육학과 남학생은 12.8%로 일반학과 남학생 3.7%보다 3회 이상 먹는 학생이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영양에 관한 지식과 정보 습득 경로에 있어서는 체육학과 남학생의 35.9%는 영양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TV와 라디오에서 가장 많이 얻었고, 일반학과 남학생은 31.6%로 인터넷과 PC통신을 통해 가장 많이 얻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영양지식은 일반학과 남학생이 12.60±3.36으로 체육학과 남학생 10.90±3.95보다 영양지식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영양소 적정도비(NAR)를 살펴본 결과, 열량과 단백질, 칼슘, 인, 아연, 비타민A, 비타민B₁, 비타민B₂, 비타민B_(6) 엽산의 적정 섭취 비율도 체육학과 남학생이 일반학과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평균 영양소 적정도비(MAR)는 체육학과 남학생 1.43±0.73, 일반학과 남학생 1.17±0.50으로 체육학과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밀도(ND)는 두 군 모두에서 비타민B_(6) 이 1.75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학과 남학생은 철이 1.89로 가장 높았다. 체육학과 남학생이 일반학과 남학생보다 영양밀도(ND)가 가장 크게 나타난 영양소는 비타민B_(6) 이었으며 인과 비타민B₁, 비타민B₂ 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양지식과 식습관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영양지식이 증가할수록 식습관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좋지 않은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체육학과 남학생들보다 일반학과 남학생들이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오는 비만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므로 일반학과 남학생들의 운동하는 생활습관을 갖도록 권장하여야 한다.

      • 한국의 재난 시 식품 지원을 위한 영양기준 및 활용방안 개발

        아베사토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75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재난 발생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재난 발생 시에는 식품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이재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재난 시 식품을 지원하기 위한 영양기준을 개발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재난 시 영양기준이 마련된 일본의 재난 시 식품 지원에 대해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을 실시하고(연구 1), 한국에서의 재난 시 영양기준을 개발하고(연구 2), 개발한 영양기준의 활용방안을 개발하였다(연구 3). 첫 번째 연구에서는,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일본의 국립국회도서관의 재난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 일본 정부 및 연구기관 웹 사이트, Google에서 정부나 지자체 문서, 서적, 신문 기사 등을 검색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57건의 자료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재난 관련 법률 중 재난대책기본법과 재해구조법이 식품 지원과 관련되어 있었다. 2011년 동일본 대재난을 계기로 재난 시 영양기준이 제시되었으며, 2012년 재난대책기본법이 개정되어 지자체로부터의 요청 없이 중앙정부가 물자를 긴급 지원하는 푸시형 지원 제도가 구축되었다. 그러나 이후 물자에 대한 이재민들의 요구와 정부의 지원이 맞지 않아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2020년에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에서 물자 조달과 수송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하고 원활한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 물자 조달·수송 조정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재난 시 식품 지원에 관련한 주요 문제는 시설 및 설비 장애, 위생 관리 부족, 대상자 배려 부족, 식품 부족, 영양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재난 시 영양기준이 제시되기 전에는 정부나 지자체가 이재민들에게 제공한 식품이 영양적으로 불균형 하였으나, 2011년 재난 시 영양기준이 제시된 이후 보다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재난 시 식품 지원을 위한 영양기준을 개발하였다. 영양기준에 포함할 영양소를 선정하기 위해 국제기구나 외국의 재난 시 영양기준에 포함된 영양소, 외국에서 과거 재난 시에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된 영양소, 한국인이 과잉 또는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를 후보 영양소로 포함하였다. 이중 한국에서 결핍 우려가 없는 영양소, 섭취량 데이터가 없는 영양소, 기준을 제시해도 현실적으로 기준에 따른 섭취가 어려운 영양소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영양소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C,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철의 아홉 개 영양소와 에너지가 선정되었다. 재난 시 상황을 고려하여 영양기준을 간소화하기 위해 성별 구분없이 1세 이상의 모든 연령을 대상으로 한 영양기준과 연령 구분별(1–5세, 6–11세, 12–64세, 65세 이상) 영양기준을 개발하였다. 에너지 및 선정된 영양소의 1세 이상 모든 연령을 위한 1일 기준값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연령 및 성별 에너지필요량 또는 선정 영양소 권장섭취량에 한국의 2019년 기준 인구구성 비율을 가중평균하였다. 그 결과 1세 이상 모든 연령의 1인 1일 기준값은 에너지 2,000 kcal, 단백질 55 g, 비타민 A 650 ㎍ RAE, 비타민 C 95 mg, 티아민 1.1 mg, 리보플라빈 1.3 mg, 니아신 14 mg NE, 엽산 350 ㎍ DFE, 칼슘 750 mg, 철 11 mg으로 산출되었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우선 코로나19 시기 지자체가 자가격리자에게 지원한 3개 구호식품세트에 대해 영양학적 평가를 하였다. 제품의 영양정보, 식품영양성분 DB 통합본,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각 구호식품의 에너지 및 영양소 함량을 파악하고 구호식품세트의 재난 시 영양기준 충족 여부 등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조사한 3개 구호식품세트 중 영양기준을 모두 충족한 구호식품세트는 없었다. 구호식품세트는 공통적으로 리보플라빈과 철의 영양기준을 충족하였으나, 비타민 A, 비타민 C, 티아민, 엽산, 칼슘의 영양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년)와 제8기(2019-2020년)의 식품섭취조사 원자료를 분석하여 재난 시 영양기준의 기준값을 충족할 수 있는 재난 시 권장식사패턴을 개발하였다. 여섯 개 식품군 내 식품 1인 1일 섭취량의 평균값의 내림차순 누적 가중치 90%까지 목록에 포함되거나 섭취자 비율이 10% 이상인 식품을 각 식품군의 대표식품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량을 이용하여 각 식품군의 대표영양가를 산출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난 시 영양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식품군별 1일 섭취횟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곡류 3.5회, 고기·생선·달걀·콩류 4.5회, 채소류 8.5회, 과일류 2회, 우유·유제품류 1회, 유지·당류 4회가 도출되었다. 그 다음 권장식사패턴을 이용하여 6개월 이상 실온보관 가능하고 바로 섭취가능한 구호식품세트와 독거성인과 독거노인, 4인가구 각각을 위해 6개월 이상 실온 보관 가능하고 바로 또한 간단한 조리 후 섭취가능한 가정 비축식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의 재난 시 영양기준은 영양사가 피난소 급식의 식단을 작성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권장식사패턴은 영양소 기반의 식단작성 프로그램 사용이 어려운 재난 상황에 있는 영양사가 피난소 급식의 식단 작성 시, 지자체가 구호식품세트 구성 시, 일반인이 가정 비축식품 구성 시 유용할 것이다. 또한 제안한 구호식품세트와 가정 비축식품 목록은 지자체의 식품 지원이나 국민의 식품 비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occurrence of disasters is increasing globally due to climate change. During disasters, food supply disruptions can occur, which can have adverse effects on the health of victi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al standards for food assistance during disaster and propose their utiliz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a scoping review on disaster food support in Japan, where nutritional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Study 1);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standards during disasters in South Korea (Study 2); and the proposal of utilizations of the developed nutritional standards (Study 3). In the first study,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2022, using digital archives at the National Diet Library, Japanese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ion websites, and Google searched for relevant government or local authority documents, books, newspaper articles, and other sources related to disasters. A total of 57 sources were selected and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asic Act o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Disaster Relief Act were related to food assistance. In 2011, nutritional standards during disasters were established in response to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n 2012, the Basic Act on Disaster Management was amended to establish a “push-mode” support system enabling the central government to provide relief goods without awaiting special requests from affected local government. However, issue of mismatched demands from victims and central government support for food supplies prompted the development of the “Relief Goods Procurement and Transport Coordination Support System” in 2020. This system aimed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ensuring swift and smooth supply of relief goods during disasters. Key issues related to food assistance during disasters were identified as facility and equipment disruptions, inadequate hygiene management, lack of consideration for targets, food shortages, and nutritional imbalances. Before the presentation of the nutritional standards during disasters, evacuees were provided with nutritionally unbalanced foods, however after the presentation of the nutritional standards, they were provided with nutritionally balanced foods. In the second study, nutritional standards during disaster in South Korea were developed. The standards were developed in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nutrients to be included in the standards were selected. Initial candidate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ree aspects: preceding standards, insufficient intake during disasters, and inadequate intake among South Koreans. Final selection was made by excluding nutrients for three reasons: nutrients for which there is no deficiency concern in South Korea, nutrients whose intake data were not available, or nutrients whose values presented by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are difficult to achieve based on the current diet among South Koreans. In the second phase, the reference values of energy and the selected nutrients were calculated. The reference values for the entire population who were 1-year-old and over we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or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and the proportion of each age and sex group. Respective reference values were also calculated for four different age groups (1–5, 6–11, 12–64, and ≥64-year-old). As a result, the standards for the entire population were 2,000 kcal for energy, 55 g for protein, 650 ㎍ retinol activity equivalents for vitamin A, 95 mg for vitamin C, 1.1 mg for thiamin, 1.3 mg for riboflavin, 14 mg niacin equivalents for niacin, 350 ㎍ dietary folate equivalents for folic acid, 750 mg for calcium, and 11 mg for iron. In the third study, nutritional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three relief food set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to individuals in self-isol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utrition labeling, Integrated Food Composition Database, and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were used to assess energy and nutrient content of each relief food set. Three relief food se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nutritional standards. Results showed that none of the three relief food sets fully met the nutritional standards. While all the sets met the nutritional standards for riboflavin and iron, they could not meet the nutritional standards for vitamin A, vitamin C, thiamine, folate, and calcium. The recommended meal composition during disasters that can meet the nutritional standards was developed using the dietary intake data from the 2013–2020 KNHANES. Representative foods for each food group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verage daily intake of up to 90% of the descending cumulative weights or foods consumed by 10% or more of the subject. The representative nutritional values for each food group were calculated using the intake amount per serving size, and the daily frequency of each food group to meet nutritional standards during disaster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recommended meal composition for entire population were 3.5 SV of grains, 4.5 SV of meat/fish/eggs/beans, 8.5 SV of vegetables, 2 SV of fruits, 1 SV of milk/dairy products, and 4 SV of oil/sugars. Based on the recommended meal composition, relief food sets that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over 6 months and are ready for intake were proposed. Additionally, household stockpiling food lists were proposed for adults and elderly living alone and 4-member households. These foods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over 6 months and are ready for immediate intake or simple preparation, were also proposed. The nutritional standards for food assistance during disaster in Korea,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by dietitians when planning menus for shelters during disasters. Moreover, the recommended meal composition will be useful/beneficial for dietitians in menu planning for shelters during disasters, particularly when they cannot use nutrition software. Additionally, it will be valuable for local governments in designing relief food sets and for individuals preparing household stockpiling.

      • 저체중 청소년의 영양소ㆍ식품 섭취 수준 및 식습관 특성에 관한 연구

        권민경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남여 청소년에서 저체중군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2001년 국민건강ㆍ영양조사에서 신체계측과 식품섭취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에 응답한 12~19세 청소년 중에서 체형이 정상체중과 저체중으로 판정된 남자 326명, 여자 339명으로 총 665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체형의 분류는 대한소아과학회(1998)의 체질량지수백분위수를 기준으로 BMI 15th percentile 미만은 저체중, BMI 15th percentile이상 ~85th percentile 미만은 정상체중군으로 분류하였다. 2001년 국민건강ㆍ영양조사 자료로부터 영양소섭취량, 식품군 섭취빈도, 식습관 및 건강관련사항을 분석하였으며 영양소 섭취량은 %EAR과 영양섭취부족비율, INQ 및 MAR를 구하여 양적 및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치를 체형별로 비교한 결과, 신장과 WHR은 체형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체중과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BMI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액 및 뇨 지표들은 고등학생이상 남자 청소년의 적혈구 수치와 중학생 여자 청소년의 혈청 BUN의 수치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각각 p<0.05와 p<0.01), 그 외 다른 혈액 및 뇨 지표들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모두에서 두 체형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EAR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낮고 특히 고등학생이상에서 두드러졌다. 영양 섭취 부족의 비율과 INQ, NAR은 남학생의 경우 전반적으로 저체중군이 오히려 낮게 나타나 양적으로는 부족하였으나 질적으로는 덜 불량함을 보인 반면, 여학생의 경우는 고등학생은 저체중군이 질적으로도 더 불량하였고 중학생은 저체중군이 덜 불량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MAR에서 남녀 청소년 모두 고등학생은 식사의 전반적인 질이 불량하였고 중학생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식습관 특성을 살펴보면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결식률이 높았다. 그리고 저체중군에서 간식과 외식섭취는 ‘하루 1회’가 가장 높았고, 튀김음식 섭취횟수는 ‘주 1회’가 가장 높았으며 주로 섭취하는 간식의 종류는 ‘과자와 스낵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련 일반사항에서 여자 청소년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 실천 여부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자기 인식 체형에서 여자 청소년은 자신의 체형을 과대평가하고 남자 청소년은 과소평가함이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나 건강상의 문제가 염려된다(남자 p<0.01, 여자 p<0.001). 저체중 청소년들이 건강한 체형을 갖게 하기 위해 건강한 체형 인식과 올바른 식습관 및 식품선택과 영양소ㆍ식품섭취, 규칙적인 운동 실천 등에 관한 교육이 하루 빨리 제공되어야 함이 사료된다. A analysis to identify underweight-relate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ged 12~19 year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ㆍNutrition Survey in 2001. We selected subjects of 665 youngsters (326 of male and 339 of female). Body types were classified on base of body weight into underweight group as below 15th percentile BMI data of The Korea Pediatrics Academy(1998) and normal group as between 15th percentile and 85th percentile BMI. Nutrient intakes and frequencies of food group intakes were obtained and eating habit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e found that height and WHR among several physical measures were not good tools to classifying underweight and normal body shap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ost blood and urea concentrations between normal and underweight groups, however only RBC was significantly low in male underweight group(p<0.05) than the normals. They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of nutrient intakes and nutrients' deficiency proportions, INQ and NAR of nutrient intakes between two body weight groups. However male underweight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Q of iron intake than the normals and it seemed with no significance that underweight subjects consumed less nutrients and less poor INQ. Eating habi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t regular exercising was lower in underweight group than the normals and male subjects practiced "rest and sleep" for their good health butt female ones did "diet control". Their perceived body shapes were underestimated and tried to increase body weights in males but exaggerated and tried to keep the present weights in females(p<0.001).

      • Effects of individualized nutrition intervention on the disease severity and nutritional status in children with food allergy and atopic dermatitis

        김성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9775

        식품알레르기는 식품에 함유된 특정 알레르겐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보여지는 특이적 면역반응으로 유아나 아동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만성 감염성 피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우유, 달걀, 땅콩, 밀가루, 콩 등이 유아기 및 아동기에서 발생하는 식품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주거 지역이나 연령 등 환아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임상병력 조사, 식품알레르겐 피부반응검사, 혈청 총 IgE 및 식품 특이 IgE 측정 등이 식품알레르기의 진단에 이용되지만 진단방법 및 해석에 따른 오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알레르기 반응 유발 식품으로 의심되는 식품을 직접 섭취하게 한 후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식품알레르기 여부를 진단하는 식품 경구유발시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식품알레르기가 동반된 아토피 피부염을 관리하는 주요 방법은 다양한 검사 방법에 의해 밝혀진 원인 식품의 섭취를 회피하는 것이지만 정확한 근거에 의하지 않고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식품의 과도한 제한은 불필요한 식품섭취 제한을 유발하고 이는 환아의 영양결핍과 성장부전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 식품알레르기가 동반된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환아의 주요 원인 식품을 다양한 진단방법을 통해 파악하고, 2) 환아의 아토피 피부염 및 영양상태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여, 3) 환자의 영양상태 및 질환의 중증도를 개선하고자 계획된 개인별 맞춤형 영양관리의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77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력 및 혈청 면역글로불린 수준, 식품 섭취 후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을 조사하였고, 동일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4개월간 개인별 맞춤형 영양관리를 시행하였다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식품 경구유발시험 결과와 혈청 총 IgE 및 식품 특이 fsIgE, 혈청 호산구 수준, 아토피 피부염 진단 기준으로 이용되는 SCORAD 지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식품 경구유발시험 결과, 양성반응군과 음성반응군의 총 IgE 및 식품 특이 fsIgE, 혈청 호산구 수준, SCORAD 지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양성반응군 환아들은 쇠고기, 조기나 갈치 등의 어류, 감자나 밤 등의 곡류, 무, 호박, 양파 등의 채소류, 파인애플이나 바나나 등의 과일류를 섭취한 후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어 우유, 달걀, 밀가루 등 기존에 알려진 주요 식품알레르기 유발 식품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식품군별 양성반응을 보인 식품 가짓수의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총 IgE 수준 정도에 따른 식품 특이 IgE 수준을 예측하기 위해 단일회귀분석 및 연령, 성별, 아토피 피부염 진단 시기, 모유수유 기간 등을 변수로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아의 연령과 혈청 총 tIgE 수준만이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환아의 영양상태 및 질환의 중증도를 개선하기 위해 실시한 개인별 맞춤형 영양관리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환아의 성장상태, 영양섭취상태, 임상지표를 분석하였다. 영양관리 이전에는 체중에 대한 신장의 z-score가 -2.0 이하인 환아가 77명중 5명이었고, 48.1%의 환아들이 식품제한을 경험하였으며, 환아들의 n-6 / n-3 지방산, 칼슘, 엽산, 비타민 D 수준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여 낮았다. 4개월간의 영양관리를 받은 35명의 환아들은 유의하게 증가한 신장에 대한 체중의 z-score를 보였고 (0.02 to 0.20, p<0.05), 이들의 SCORAD 지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4.04 to 18.97, Z=-5.50,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식품 경구유발시험을 시행하지 않고 임상지표를 이용하여 식품알레르기를 진단하는 것은 개인에 따른 원인식품의 차이를 간과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특이도 및 민감도가 더 우수한 진단방법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시간 및 노력 소모가 비교적 적고, 구체적이고 안전하게 계획된 식품 경구유발시험의 병행이 필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환아의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를 개선하고 불필요한 식품 섭취 제한을 방지하여 영양섭취상태를 개선하고 적절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영양상태를 유지하고자 실시된 개인별 맞춤형 영양관리가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차후 식품알레르기가 동반된 아토피 피부염 환아들의 식이제한 시에 영양결핍과 성장부전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식품 섭취에 대한 교육이나 질환의 중증도를 개선시키고자 실시되는 개인별 맞춤형 영양관리 계획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od allergy (FA) is an adverse health effect caused by a specific immune response that occurs replicably on exposure to specific components or ingredients in a given food allergen. It is commonly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AD), one of the most common pediatric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s, and has the prominent role in initiating and aggravating AD. While cow’s milk, eggs, peanuts, wheat, and soy are known as the common causes of FA in childhood, the typical food allergens tend to vary in different countries and age-groups. Detailed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food-specific immunoglobulin E (fsIgE) to assess immunoglobulin E (IgE) -sensitization are the commonly used diagnostic tests for FA, however, the results of the test do not always imply clinical reactivity. Despite it is a cost, time and labor consuming investigation, oral food challenge (OFC) of which result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symptoms with elimination diet has been recommended for confirmation of FA. While avoidance of the causative foods disclosed by accurate diagnostic tests is considered the mainstay of treatment for AD with FA, unverified excessive restriction might induce unnecessary limitations in the food intake, consequently leading to nutritional deficiencies and poor growth.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causative foods in children diagnosed with AD accompanied by FA, and the difference in the prevalences of FA between diagnosed b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fsIgE level in each food and observed by the results from the OFC, 2)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severity of AD and nutrient status, and 3)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nutrition intervention in these pati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77 pediatric patients with AD tested for allergic response to a number of foods and received 4 months of individualized nutrition intervention combined with an elimination diet. Clinical indices such as total IgE and fsIgE levels, objective SCORAD index, and the percentage of serum eosinophi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outcomes of the OFC. Prominent differences in clinical indices were not shown between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response groups, however, certain foods elicited a positive OFC response were different from the common allergenic foods. The percentages of positive response to OFC by food group in each patient has not significantly varied. To predict and interpret fsIgE level in the context of tIgE, a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which revealed age and tIgE as the only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for the estimation of fsIgE. The patients’ growth status, nutrient intake status, and clinical statu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efore the intervention, 5 children had a weight for height z-score below -2.0, and 48.1% had experienced food restriction. The intakes of n-6 and n-3 fatty acids, calcium, folate, and vitamin D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s for Koreans. After the intervention, the weight for height z-score of 35 childr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0.02 to 0.20, p<0.05) and their SCORing of Atopic Dermatitis index was significantly reduced (34.04 to 18.97, Z=-5.50, p<0.05). Our results suggest that a positive response to a specific food without an OFC might be difficult to predict, and that a well-planned OFC may be of considerable value until improved diagnostic criterion is introduced. Furthermore, the individualized nutrition intervention will be useful for alleviating the disease severity and improving the growth status by improving the nutrient intak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s for planning comprehensive nutrition interventions as a means to supply proper alternatives to restricted foods in order to prevent nutrition deficiency and poor growth in children with AD and FA, and to improve the severity of AD.

      • 충남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식행동 단계에 따른 사회심리적 요인과 영양교육 효과

        서윤석 忠南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9775

        최근 아동들의 채소와 과일 섭취 부족이 문제시 되고 있어 채소와 과일 의 섭취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이에 본 연구는 식 행동 단계별 아동의 사회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채소와 과일 섭취 증진 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교육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이와 함께 식행동 단계별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상태와 식품군의 기호도를 살펴보고 자 하였다.아울러 식행동 초기 단계의 아동에게 영양교육을 한 후 식행 동 단계별로 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2007년 4월 19일부터 5월 30일까지 충남 연기군 1개 초등학교 4,5,6학 년 남자 122명,여자 134명,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3일간의 24시간 회상법과 식품기록법에 의한 식품섭취상태를 조사하였다.채소와 과일 섭취에 대한 식행동 단계의 진단은 채소와 과일 섭취를 생각·계 획·실행 하는지에 대하여 4단계로 구분하였다(고려전,고려,준비,행동). 사회 심리적 요인은 채소와 과일 섭취에 대한 잇점과 장애 인지의 판단균 형 11항목,인지적,행위적 변화 과정의 10개 변수와 자아효능감 5항목으 로 구성하였고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처리하였다.또한 2007년 11월 19일 부터 12월 24일까지 6주간 식행동 초기단계(고려전,고려,준비)에 있는 5 학년 남자 30명(63.8%),여자 17명(36.2%)총 47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을 한 후 아동의 식행동 단계별로 사회심리적 요인,식품 및 영양소 섭취 상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1.조사대상 아동의 식행동 단계 분포는 고려전 단계에 81명(31.6%),고려 단 계에 64명(25%),준비 단계에 26명(10.2%),행동 단계에 85명(33.2%)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준비 단계에 속한 대상자 수가 매우 적어 본 연구 에서는 고려 단계와 준비 단계에 속한 대상자를 합하여 고려전,고려 및 준비,행동 등 3단계로 하였다. 채소와 과일 섭취에 대한 잇점 인지의 판단균형은 식행동 단계 간에 차이가 없었고,장애 인지의 판단균형은 고려전 단계에 있는 대상자가 채소 에서 2.74±0.92점,과일은 2.24±0.65점으로 가장 높았고 행동 단계의 진전 에 따라 낮아졌다.채소섭취 행동의 변화과정에서는 인지적 변화과정에서 의식향상(p<0.001),걱정해소(p<0.05),자기재진단(p<0.05),환경재평가(p<0.01) 변수에서,행위적 변화과정은 자기결심(p<0.05),자극조절(p<0.05)변수에 서 고려전,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는 대상자보다 행동 단계에 속한 대상 자의 점수가 높았다.그 외에 인지적 변화과정에서 사회규범변화,행위적 변화과정에서 조력관계,강화관리,대응조절의 변수에서는 채소와 과일 모 두 식행동 단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인지적 변화과정이 행위적 변화과 정 보다 식행동 단계별로 차이를 나타낸 변수가 많았다.과일에서는 인지 적 변화과정의 의식향상 변수에서,행위적 변화과정의 자기결심 변수에서 만 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 단계보다 행동 단계에서 높았다.자아효능감의 결과는 채소와 과일 각각에서 식행동 단계가 높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 내었다. 2.식품군 섭취 횟수는 행동 단계의 대상자에서 난류,김치류,전체 채 소류의 섭취 횟수가 높았다.식행동 단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는 행동 단계에 있는 대상자가 식물성 지방과 비타민 C 섭취량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다.영양소별 평균필요량(EAR)미만 섭취자의 비율은 남아에서 단백 질,여아에서는 비타민 B₂와 비타민 C가 고려전 단계 보다 식행동 단계가 높아질수록 유의성 있게 낮아졌다. 식행동 단계에 따른 식품군의 기호도는 빵류와 감자류,유제품은 고려 및 준비 단계에서 높았고,씨리얼류,묵류,콩류,채소류,우유는 행동 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 높았다. 3.식행동 초기단계(고려전,고려 및 준비)에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한 결과'고려전'단계에 있던 아동들이'고려 및 준비'단계 로 14명(48.3%),행동 단계로 13명(44.8%)으로 진전되었고,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던 아동은 11명(61.1%)이 행동 단계로 식행동 단계가 높아졌다. 영양교육 후 고려전 단계와 고려 및 준비 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 채소 섭취에 대한 판단균형에서 잇점 인지 점수는 높아졌고,장애에 대한 인지 점수는 낮아졌으나,식행동 단계(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간의 차이는 없 었다.과일 섭취에서는 고려전 단계 아동에게서만 장애에 대한 인지 점수 가 낮아졌다.영양교육 후 채소섭취 행동의 변화과정에서는 고려전 단계 에 속한 아동들이 인지적 변화과정 중 의식향상의 변수에서 점수가 높아 졌으며,고려 및 준비 단계에 속한 아동들은 인지적 변화과정 중의 걱정 해소,자기재진단,환경재평가,사회규범변화의 변수에서 점수가 높아졌다. 행위적 변화과정은 인지적 변화과정 보다 영양교육 후 점수 증가를 보인 변수가 적었다.과일섭취 행동의 변화과정에서는 고려전 단계에 속한 대 상자에서는 환경재평가 변수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식행동 단계(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간의 차이는 없었다. 채소섭취 자아효능감의 결과는 영양교육 후에 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 단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그러나 과일섭취 자아효능감에서 는 교육 전 과 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영양교육 후 영양소 섭취량 은 고려전 단계에 있는 대상자에서 식물성 칼슘은 40.60±91.0㎎,비타민 C는 62.27±71.98㎎ 만큼 증가하였다.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는 대상자에 서도 교육 후 식물성 지방과 동물성 지방의 섭취량은 감소하였고 비타민 C의 섭취량은 51.97±67.87㎎만큼 증가하였다.식품군 섭취 횟수는 영양교 육 후 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 단계 모두에서 채소류와 과일류의 섭취 횟 수는 증가하였고 버섯류와 주스류의 섭취 횟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영양교육 후 식행동 단계가 높아지면서 사회심리적 요인과 식품 및 영 양소 섭취량이 증가 되었으나 두 단계(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간의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앞으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서는 채소와 과 일 섭취 식행동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잇점에 대한 강화 교육과 인지 적 변화과정 외에도 행위적 변화과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자아효능감을 높 여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as known to be insufficientinKoreanchildren.Itisrequiredtoprovideapropernutrition education device to increase the intake offruits and vegetables of children.Thisstudyaimsatidentifyingsociopsychological factors thatinfluence on theincrease of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ccordingtothestageofchangeofthechildren.Inaddition,foodsand nutrientsintakeandfood grouppreferenceofthesubjectby stageof change were examined,and also the effectofnutrition education on sociopsychological factor for children in the early stage of change(precontemplation,contemplation,preparation)wereexamined.The subjects ofthis studys are total256 students,122 males and 134 female,who are in fourth,fifth and sixth grades ofan elementary schoollocated in Yeongi-Gun,Chungnam-Do from April19 2007 to May 302007.Thedietary survey wasperformed 1day 24hrdietary recalland 2day foodrecord.Stageofchangeofintakeoffruitsand vegetables of the students was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precontemplation,contemplation,preparation andaction.Sociopsychological factors consistofdecisionalbalance based on pros and cons of11 items,process of change of 10 items of cognitive processes and behavioralprocesses,andself-efficacyof5itemsaskedtoevaluatethe levelofagreeondisagreewith5pointLikertscale. Also,afterimplementing six weeks nutrition education on fruitand vegetable intake to 47 students,30 males,and 17 females offifth grade,who were in the early stage of change,from November19, 2007toDecember24,2007,theeffectwasevaluated according tothe stageofchangeasabove. 1.Distribution ofthestudentsin theearly stageofchangeamong subjectsis81students(31.6%)inthestageofprecontemplation,64(25%) inthestageofcontemplation,26(10.2%)inthestageofpreparationand 85(33.2%)inthestageofaction.Duetothesmallsizeofthesubjects inpreparationstage,thestudentsincontemplationandpreparationstage were combined into 3 stage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 preparationeandaction. The recognition ofbarriers outofdecisionalbalance showed the highestscore of2.74±0.92 in vegetable and 2.24±0.65 in fruitin the subjects at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and the above scores progressively decreased asthebehaviorstagegoing up.In theresult of process of change of vegetable intake, consciousness raising, dramatic relief,self-reevaluation and environmentreevaluation outof process ofcognitive,and selfliberation and stimulus controloutof processofbehavioralinthesubjectsofactionstagemarkedthehigher scorecomparedtotheresttwogroups.Socialliberationoutofprocess ofcognitiveandhelpingrelationship,reinforcementmanagement,counter conditioning outofthe process ofbehavioral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stages of change.The process of cognitive had more variablesshowing significantdifferencethan processofbehavioral.In fruits,consciousness raising out of process of cognitive,and self liberation outofprocess ofbehavioralshowed the increase in action stagecomparedtotheresttwostage. The results of self-efficacy showed that,in both of fruits and vegetables,thehigherstagesofchange,thehigherself-efficacyscore. 2.The subjects atthe stage ofaction more frequantly took eggs, Kimchiand totalvegetables,and also took more vegetable oiland vitaminC aswell.Inmalesubjects,proteinwastheonlynutrientthat showed thedecreasein thenumberofsubjectwith theintakebelow EAR ofindividualnutrientsasthestageofchangegoingup. And in female,vitamin B2 and vitamin C were the nutrients in the samecontextabove.Themostprefered foodsby thesubjectsin the stage ofcontemplation & preparation were bread,potatoes and dairy products while cereals products,starch jelly,beans,vegetables and milkweremostpreferedinthestageofaction. 3.Afternutritioneducationwasprovidedtothechildrenintheearly stage of change(precontemplation,contemplation and preparation),the effect of the education promoted children to the higher stage of change; 14 children(48.3%) from precontemplation to contemplation & preparation,13 children(44.8%)to action stage and 11children(61.1%) whowereinthestageofcontemplation& preparationtoactionstage. The score on recognition ofthe benefits ofvegetable intake was increased,while the score on the recognition of the barrier was decreased in the subjects i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preparation.Howevernosignificantdifferencewasand betweenprecontemplationandcontemplation& preparationstage. In caseoffruitstherecognition ofthebarrierdecreased only in the children in the stage ofprecontemplation.The score ofconsciousness raising belonging to thechangeprocessofcognitiveincreased in the subjectsinthestageofprecontemplation.Whileinchildreninthestage ofcontemplation& preparation the scores ofin terms ofcognitive of variablesof dramaticrelief,self-reevaluation,environmentreevaluation andsocialliberationbelongingtothestageofcognitiveincreased.The variables showing the increased score for vegetable intake after nutrition education showedfewerin theprocessofbehavioralprocess than intheprocessofcognitiveprocess.Intheprocessofchangefor fruit intake the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variable of environmentreevaluation in the subjects ofprecontemplation was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stages of change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 preparation.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score of self-efficacy increased in the subjects in both stages for vegetable intake,whilenodifferencewasshowedintheaspectoffruits. The increase ofthe intake ofvegetable Ca and vitamin C were 40.60±91.0㎎ and62.27±71.98㎎ respectivelyinthesubjectsofthestage of precontemplation.In the subjects ofcontemplation& preparation,the increaseofvitaminC intakewas51.97±67.87㎎ aswellandanimaland vegetable oilintake was decreased.The intake numberoffrequency increased by 0.31±0.76 in vegetables and 1.00±1.34 in fruits but decreased in mushrooms 0.10±0.12 and fruitjuice 0.12±0.14 after 6 weeks nutrition education i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preparation. From theresults,thestageofchangewasprogressedafternutrition education,in linewith changestothehigherstageofaction and the in many variables score of sociopsychological factor increased.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preparation.Itissuggested thatthefurthereducation program focuseson enhancementofbenefitrecognition,facilitation of dietary behavioral change as well as cognitive change and self-efficacy.

      • 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한국형 기존 편의식의 영양균형성 평가 및 편의식 균형식단 개발

        김갑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9775

        최근 우리 사회는 생활 패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식생활 방식에서 편의식을 많이 이용하는 경향으로 변화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식 이용율의 증가에 비하여 편의식에 대한 영양균형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양소, 지방산 조성비율, 항산화 비타민 및 단백가 등의 종합적인 영양균형성 평가와 영양균형성을 갖춘 식단작성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전산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종합적 영양평가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중 김밥, 도시락, 비빔밥류, 만두 및 떡볶이 등의 41종의 한국형 기존 편의식과 일부의 기존 편의식에 대하여 영양균형성을 보완한 기존 편의식 균형식단을 작성하여 이에 대한 종합적인 영양균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음식의 영양균형성과 전통 문화의 계승면에서 새로운 한국형 건강 편의식과 이를 모듬으로 한 균형식단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영양균형성 평가와 관능검사 및 영양표시를 위한 영양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발한 전산 프로그램은 식단에 대한 일반영양소,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등의 종합적인 영양균형성 평가와 편의식 등의 식단 작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2. 기존 편의식에 대한 영양균형성 평가 결과에서 1) 시중 김밥의 열량은 한국인 남자 성인 한 끼 권장량의 47.4% 수준, 단백질은 40% 정도, 그리고 칼슘은 1/3수준으로 특히 부족하였다. 지방산 균형에서, P/M/S 지방산 비율은 1.6∼3.3/ 1.2∼1.9/ 1, ω6/ ω3계 지방산 비율은 8.5∼21.1로 ω6계 지방산 비율이 높았다. 항산화 비타민인 비타민 A, C 및 E는 권장량에 비하여 부족하였다. 2) 도시락의 열량은 521.0∼898.0kcal로서 권장량의 약 62.5∼107.9%이었고 단백질량은 17.8∼41.6g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시중 도시락에 포함된 배추김치, 오이소배기, 고추장, 장조림 등이 나트륨 함량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도시락의 지방산 함량의 조성비율은 P/ M/ S 지방산 비율은 1.5∼4.2/ 1.2∼1.6/ 1,. ω6/ ω3계 지방산 비율은 4.8∼15.1로 나타나고 있었다. 지방산 조성비율에서 가장 이상적 비율을 나타낸 도시락은 삼색말이 도시락으로 P/ M/ S 지방산 비율이 1.5/ 1/ 2/ 1, ω6/ ω3계 지방산 비율이 4.8로 나타났다. 항산화 비타민으로 비타민 A는 시중 도시락 1종과 삼색말이 도시락은 각각 262.7㎍R.E., 269.0㎍R.E.로 권장량 이상을 나타내었고 다른 도시락류는 모두 권장량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C는 주먹밥도시락을 제외하고 모두 권장량의 80% 이상의 수준이었다. 비타민 E는 6종의 도시락 모두 권장량 이상을 나타내었다. 3) 비빔밥, 볶음밥, 덮밥의 열량은 권장량의 67.3∼99.8% 수준을 유지하나 대부분의 영양소는 권장량에 못미치고 지방산 조성비율에서도 다중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이상비율보다 높은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항산화 비타민은 대체적으로 권장량 이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4) 만두의 열량은 다른 편의식에 비하여 낮은 편이며 당질의 열량 구성 비율이 적으면서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이 높은 편이었고 지방산 비율에서는 다중불포화 지방산이 높았으나 심한 불균형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5) 떡볶이의 영양균형성 평가에서는 당질의 열량 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비율은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시에 참기름을 많이 사용한 궁중떡볶이, 절편떡볶이의 경우 ω6/ ω3 지방산 비율이 84.2, 70.9의 심한 불균형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항산화 비타민도 권장량 이하였다. 3. 기존 편의식의 식품 재료의 일부를 수정·보완하고 후식 및 간식류를 넣어 영양균형성을 보완하여 작성한 한 끼분의 기존 편의식 균형식단의 영양균형성은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지방산의 균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는 참기름, 옥수수기름의 일부를 콩기름, 들기름 등을 섞어서 혼합기름으로 사용했을 때에 그 지방산 조성비율이 향상되었으며, 부식의 재료로 ω3계 지방산 및 항산화 비타민이 비교적 많이 들어 있는 부추, 깻잎, 당근 등을 적절히 사용했을 때에 지방산 조성비율이 일부 보정되고 항산화 비타민 함량도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4. 영양적으로 균형되면서 현대인의 식생활에 적합한 건강 편의식으로 증편피자, 영양부침 및 건강만두와 이에 곁들이는 음식을 넣어 한 끼분의 균형식단를 개발하고 또한 이를 모듬으로 제시한 모듬 균형식단에 대한 영양균형성 평가 결과는 일부 편의식에서 비타민 B_(6), 비타민 E를 제외하고 모두 권장량 이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건강 편의식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일부 의견에서 맛, 냄새 및 질감에 대한 의견이 나와서 새로운 편의식의 개발을 실용화하는 데는 좀 더 심도있는 조리 방법에 대한 연구와 대량 생산 체제의 실험적 연구 및 소비자의 반응을 확인 할 수 있는 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전산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좀 더 높이기 위한 전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up-grade가 필요하며 정확한 식품의 database자료의 보충이 요망된다. 개발한 전산 프로그램은 여러 년령층과 정상인 뿐만 아니라 특수한 식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영양균형성을 갖춘 균형식단 개발에 한 몫을 하여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Nowadays convenience foods are getting much more popular than conventional meal pattern due to rapid change of life style. Unfortunately, not many people consider that nutritional balance of convenience foods are important despite of increasing usage of them.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computer program, modified from previous one, intending for evaluation of contents of overall nutrients and antioxidant vitamins, calculation of amino acid score and free fatty acid (FFA) composition of foods. Simultaneously, this program also can be used to produce nutritionally balanced menu. This study evaluated nutritional balance of forty one kinds of conventional Korean convenience foods purchased in market including kimbab, lunch box, bibimbab-like foods, mandu and ttuckbokki, and also examined overall nutritional balance of some of modified market convenience foods by considering nutritional balance. In addition, this study developed new Korean healthy convenience foods and their set menu in order to compromise nutritional bala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succeed Korean traditional dietary culture. These new developed foods and their set menu were analysed using nutritional balance, sensory evaluation and nutrient composition which w as especially for nutritional label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is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was able to evaluate overall nutritional balances of general nutrients, FFA, amino acids and antioxidant vitamins of meal efficiently and make it easier to plan menu including convenience foods. 2. The results from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balance of convenience foods : 1) It was found that Market kimbab contained only 47.4% of calorie and protein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Korean RDA) of each nutrient, and in particular its calcium content was as low as 1/ 3 to the Korean RDA. The ratio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monounsaturated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PUFA/ MUFA/ SFA, P/ M/ S) of market kimbab was 1.6∼3.3/ 1.2∼1.9/ 1 and that of ω6/ ω3 series was 8.5∼21.1/ 1, which showed high content ω6 of FFA in these foods. Also, antioxidant vitamins including vitamin A, C and I were deficient to the Korean RDA. 2) Calorie content of market lunch box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521.0∼898.0kcal, that was 62.5∼107.9% of the Korean RDA for one of three meals per day and its protein content was desirable with the range of 17.8∼41.6g. Sodium contents of Korean cabbage kimchi, cucumber kimchi, red pepper paste and marinated beef with soybean sauce, side dishes of lunch box, were high, thus these high contents were major factors for increasing the sodium content of lunch box. Its ratio of P/ M/ S was 1.5∼4.2/ 1.2∼1.6/ 1, and that of ω6/ ω3 was 4.8∼15.5/ 1. From the lunch boxes examined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o be that samsakmari lunch had the most desirable ratio of FFA which contained 1.5/ 1.2/ 1 for P/ M/ S and 4.8/ 1 for ω6/ ω3. Except one kind of market lunch box and samsakmari lunch box, which had 262.7㎍R.E. and 269.0㎍R.E. of antioxidant vitamin A, other lunch boxes were contained vitamin A lower than the Korean RDA. Vitamin C contents of lunch box were more than 80% of the Korean RDA except chumokbab lunch box. Vitamin I contents of all six kinds of lunch box were higher than the Korean RDA. 3) Calorie contents of bibimbab, bbokeumbab and dupbab were 67.3∼99.8 % of the Korean RDA, but most of other nutrients were less than the Korean RDA. The ratio of PUFA to total FFA of these foods was higher than desirable ratio so which showed unbalanced contents. While their antioxidant vitamin contents were higher than the Korean RDA. 4) Mandu had low calorie than other convenience foods and its calorie ratio of carbohydrate was low while that of fat was high. It contained high PUFA, but that was not such a bad imbalance. 5) Ttukbokki had high calorie ratio of carbohydrate and high PUFA content to total FFA. Some ttukbokki such as supreme and sliced ttukbokki using sesame oil had severely unbalanced FFA composition which had 84.2 and 70.9 of ω6/ ω3 fatty acids ratio respectively Antioxidant vitamin contents were also lower than the Korean RDA. 3. A nutritionally adjusted menu for one meal, which was developed by modifying some ingredients of conventional convenience foods and adding dessert and snack to them, was able to improve overall nutritional balance of the conventional convenience foods. Especially, to compromise the FFA balance sesame oil, corn oil, soy bean oil and perilla oil were mixed and when this mixed oil was used for cooking the conventional convenience foods, the FFA balances were improved. If leek, perilla leaf and carrot, which contain comparably high ω3 series FFA and antioxidant vitamins, were used adequately to make side dish of convenience foods, it showed that the FFA balances were compromised and antioxidant vitamin contents were increased. 4. Healthy convenience foods such as zeungpyun-Pizza, Bindaedduk, healthy Mandu were developed for balanced nutrition and convenient use of modern people, and adjusted menu was also produced by including side dish to these healthy convenience foods. Healthy convenience foods, adjusted menu and combined set menu which were proposed in this study had most of nutrients more than the Korean RDA except vitamin B_6 and vitamin E. Although healthy convenience foods had good results from sensory evaluation, some panel showed unfavorable response to taste, flavor and texture of them.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on cooking method, experiment of mass production system and monitoring consumer's response in order to develope and utilize convenience foods more practically. With the results of follow-up study as foundation, computer program should be up-graded to increase usage of it and more exact food database should be added. This computer program have to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balanced menu for various age groups and healthy individuals as well as patients who require special diet and for the health promotion of modern people.

      • 전국 광역지자체 초등학생의 식생활 인지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이나래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 of the dietary life according to meal regula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Data on level of nutritional balance management, level of perception and practice to children's safety supervision special law and level of perception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were collected from 2,355 fifth grade students in 118 schools in Korea which were selected from 16 wide area local governments. Regular meal group (n=1,476) ate breakfast, lunch and dinner more than 6∼7 times per week, while irregular meal group (n=859) ate breakfast, lunch and dinner under 6∼7 times per week. The regular meal(RM) group ate fruit, vegetable, kimchi and milk (p<0.001) more than irregular meal (IRM) group, while IRM group ate soft drinks (p<0.001) and instant noodle (p<0.05) more than the RM group during the last week.. Level of perception to children's dietary life safety supervision special law was as follows. RM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erception about the food labeling than the IRM group, but the frequency of checking the food labeling attached to the food packa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RM group had higher knowledge level about the energy-dense and nutrient-poor food and food labeling than the RM group. Level of perception on hygiene management was as follows. About 79.4% of RM group and 71.8% of IRM group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wash their hands after using bathrooms. Perception on personal hygiene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About 26.9% of RM group and 17.9% of IRM group considered the hygiene condition of the snack stores when purchasing snack. The regular meal group had higher rate of the consideration on hygienic condition when purchasing snack than the IRM group (p<0.001). In conclusion, an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courage nutritional balance management, to inform the children's dietary life safety supervision special law and to improve children's dietary life environment. 본 연구는 16개 광역지자체 초등학생의 식사의 규칙성과 비만도에 따라 식생활 인지실천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전국 16개 시도에서 비례층화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118개교 초등학생 5학년 2,355명(남학생 : 1,141명, 여학생 : 1,194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총 25문항으로 ‘영양균형 관리수준’에 관한 14문항,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인지실천 수준’에 관한 5문항, ‘위생관리 인지실천 수준’에 관한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설문조사지는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및 보안하여 본 조사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은 SAS 9.1.3과 SUDDA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규칙적인 식사여부에 따른 분류는 지난 일주일간 매 끼니를 6∼7일 이상 섭취했다고 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비만도에 따른 분류는 2007년 소아·청소년 표준성장 도표의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85 백분위수 미만인 저체중군과 정상군은 비비만군으로, 85 백분위수 이상인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비만군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10.9±0.0세, 신장은 149.7±1.6cm, 체중은 39.5±0.3kg, BMI는 18.5±0.1kg/m2이었다. 영양균형관리 수준을 살펴보면, 지난 일주일간 아침식사를 섭취한 횟수는 5.55±0.05회, 점심식사를 섭취한 횟수는 6.15±0.03회, 저녁식사를 섭취한 횟수는 6.14±0.03회로 조사되어, 아침결식 횟수가 점심과 저녁을 결식한 횟수에 비해 많았다. 초등학생들의 일일 평균 과일 섭취 횟수는 0.71±0.02회이었고, 채소 섭취 횟수는 1.03±0.02회, 김치 섭취 횟수는 1.32±0.02회이었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일일 평균 흰 우유와 가공우유의 섭취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학생들의 일일 평균 패스트푸드 섭취 횟수는 피자가 0.08±0.01회, 햄버거가 0.07±0.01회, 닭튀김이 0.12±0.01회이었고, 탄산음료가 0.22±0.01회, 라면은 0.20±0.01회, 과자 및 초콜릿은 0.25±0.01회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반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인지 수준의 경우 조사대상자 중 25.2%의 학생만이 어린이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를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 편, 고열량·저영양 식품을 먹지 않으려는 노력을 한다라고 답한 비율은 80.2%이었고, 고열량·저영양 식품에 적게 들어있는 영양소를 정확히 알고 있는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 (p<0.05). 조사대상자의 87.3%는 식품영양성분표시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라고 답했으나, 식품영양성분표시를 항상 확인하고 간식을 먹는다라고 답한 비율은 55.0%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품영양성분표시에 관한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에 올바르게 답한 비율은 38.7%에 불과하였다. 위생관리 인지실천수준을 알아보고자 조사한 식사 전 손 씻기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답한 학생은 69.7%이었으나, 식사 전에 손을 항상 씻는다라고 답한 비율은 33.7%에 불과하였다. 한 편, 화장실 이용 후에 손 씻기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답한 학생은 75.6%인 반면, 항상 손을 씻는다고 답한 학생은 54.4%로 조사되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화장실 이용 후에 손 씻기 중요성에 관한 인지 수준이 높았다 (p<0.05). 간식을 구매할 때 식품판매처의 위생 상태를 고려한다라고 답한 비율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2. 규칙적인 식사여부에 따라 일주일에 6∼7일 이상 세 끼 식사를 하는 1,476명(64.2%)과 그렇지 않은 군 859명(35.8%)을 나누어 보면 세 끼 식사를 거의 매일 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일일 평균 과일, 채소, 김치 및 흰 우유의 섭취 횟수가 많았다 (p<0.001). 한 편, 세 끼 식사를 자주 하지 않는 군은 일일 평균 탄산음료와 라면 섭취 횟수가 세 끼 식사를 자주하는 군에 비해 각각 p<0.001, p<0.001 수준에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인지 수준의 경우 세 끼 식사를 자주하는 학생이 식품영양성분표시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라고 답한 비율은 높았지만 (p<0.01), 항상 확인을 하고 먹는다라고 답한 비율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한 편, 세 끼 식사를 자주하지 않는 학생이 세 끼 식사를 거의 매일하는 학생보다 고열량․저영양식품과 식품영양성분표시에 관한 지식수준은 더 높았다 (p<0.05). 위생관리 인지실천수준을 알아보고자 조사한 화장실 이용 후 손 씻기의 중요성에 관한 항목에서 세 끼 식사를 자주 하는 학생(79.4%)은 그렇지 않은 학생(71.8%)에 비해 화장실 이용 후의 손 씻기 중요성에 관한 인지 수준이 높았다 (p<0.05). 간식을 구매 할 때 식품판매처의 위생 상태를 매우 고려한다라고 답한 비율은 세 끼 식사를 자주하는 학생이 26.9%인 반면에 그렇지 않은 학생의 비율은 17.9%에 그쳐 세 끼 식사를 자주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간식을 구매 할 때 식품판매처의 위생 상태를 고려하는 비율이 높았다 (p<0.001). 3. 조사대상자를 비만도에 따라 나누었을 때 비비만군은 1,886명(80.8%), 비만군은 449명(19.2%)으로 구분되었다. 지난 일주일간 아침식사 횟수는 비비만군이 5.61±0.05회, 비만군이 5.27±0.12회이었고, 저녁식사 횟수는 비비만군이 6.17±0.03회, 비만군이 6.01±0.06회로 조사되어 비비만군이 비만군보다 아침식사와 저녁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비비만군의 일일 평균 과일 섭취 횟수는 0.73±0.02회로 비만군의 일일 평균 과일 섭취 횟수 0.62±0.03회보다 많았으며 (p<0.01), 채소 섭취 횟수 또한 비비만군은 일일 평균 1.05±0.02회, 비만군이 0.93±0.04회로 비비만군이 비만군에 비해 일일 평균 채소 섭취횟수가 많았다 (p<0.01). 김치와 흰 우유 섭취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일일 평균 가공우유 섭취 횟수는 비비만군이 0.22±0.01회이고, 비만군은 일일 평균 0.17±0.02회를 섭취하여 비비만군이 비만군에 비해 일일 평균 가공우유 섭취 횟수가 많았다 (p<0.05). 대부분의 패스트푸드의 일일 평균 섭취 횟수는 두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과자 및 초콜릿 섭취 횟수는 비비만군이 0.26±0.01회로 비만군의 0.22±0.01회로 조사되어 일일 평균 섭취횟수가 많았다 (p<0.01). 또한, 식품영양성분표시에 관한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에 올바르게 답한 비율은 비만군이 46.9%로 비비만군의 37.0%에 비해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p<0.01). 한 편, 식사 전에 손을 항상 씻는다라고 답한 비비만군은 35.5%로, 비만군의 24.9%로 조사되어 비비만군이 비만군보다 식사 전에 손을 항상 씻는 비율이 높았다 (p<0.01). 초등학생의 식생활 인지실천수준은 규칙적인 식사여부와 비만도와 관련이 있었다. 한 편,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이 아직 시행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지실천수준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세 끼 식사를 거르지 않는 규칙적인 식사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과일과 채소의 섭취를 권장하고, 패스트푸드의 섭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식생활 영양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