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국내·외 캔 맥주 패키지디자인 브랜드 연상에 관한 연구

        김지윤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83

        패키지 기술의 발달에 따라 포장 재료와 포장 기법이 다양화되면서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발전하고 있다. 브랜드 연상에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들은 소비자와 의사소통을 갖는 것으로서 소비자에게 제품의 품질과 정보를 확인시켜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여주고 소비자의 구매력을 자극하는 요인이 된다. 패키지디자인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매장의 진열대 앞에서 얼마든지 구매 선택 결정을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소비자는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통해 수많은 상품 중 자신이 어떤 이미지를 좋아하는지 알게 되고 선택할 수 있는 기쁨을 느끼게 된다. 패키지디자인 시각요소의 브랜드 연상을 통한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패키지는 브랜드의 확장성, 유연성이 반영되는 핵심적인 마케팅 요소의 하나로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소비자와의 감성적 유대를 형성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준다. 본 연구의 진행은 국내·외 캔 맥주 패키지디자인 시각요소의 우선순위와 브랜드 연상의 강도를 확인하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브랜드 연상을 위한 시각요소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마케팅 실무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결정적인 역할을 제공하는 강한 브랜드 연상은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될 때 이루어진다. 다른 제품과 차별화 될 수 있는 브랜드 연상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은 마케팅 담당자에게 있어서 큰 고민거리일 것이다. 본 논문은 캔 맥주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연상 강화를 위하여 마케터의 입장에서 대응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중저가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 현상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 PB상품을 중심으로

        진주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51

        디자인은 시장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선택 받으며 시장의 흐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적 활동의 일부분이다. 세계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백화점, 대형마트, 길거리 등에 판매되고 있는 생필품, 의류, 심지어 고가의 가구, 가전 등 많은 브랜드들이 중저가를 외치며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중저가브랜드라 하여 저 품질의 값싼 이미지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효과적인 패키지디자인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질 수도 있다. 고급브랜드와 중저가브랜드의 제품사양이 동일하다면 저렴한 쪽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PB상품 패키지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디자인은 판매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경쟁 우위요소로 간주되어 일반 제품과 차별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때문에 중저가브랜드를 기업의 이미지 향상 차원에서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현상과 함께 생각해 봐야한다. 미니멀 현상이란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아 어떠한 이미지나 사물의 조형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상을 기본적인 구조로 되돌려 놓고, 부분보다 전체를 강조하면서 관람자가 이것을 보고 형태의 본질적인 요소를 바로 지각할 수 있도록 단순한 색채와 크기로 강조하여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이 주를 이루며, 기하학적인 형태의 제시로 분명함을 느끼게 해 줌으로써 간결함에서 느껴지는 명확한 느낌과 엄격함을 전달해 준다. 반복성은 어떠한 계층적 관계에 있어서 이를 허용하지 않고, 비관계적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물체를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쌓아 올리거나 늘어 놓아가며 반복적인 구성방식을 취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대형마트인 미국 월마트, 영국 테스코, 일본 이온과 국내 대형마트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식품군 중간 가격대를 형성하는 PB상품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해외 대형마트는 인터넷과 문헌을 통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하였고, 국내 대형마트는 방문조사 및 제품 구매를 통한 현황조사로 진행하였다. 패키지디자인 구성요소 중 시각적인 분석을 통하여 미니멀 현상을 검토해보았다. Great Value는 기본적으로 로고에 쓰인 색을 적극 활용하는 단순성과 반복성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로고를 크게 넣는 일관된 패키지디자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TESCO는 브랜드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포장용기 등의 시각적 요소를 잘 활용하고 있으며 컬러풀한 색상과 브랜드 로고타입으로 한눈에 테스코 PB상품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단순성과 명료성을 보인다. TOPVALU는 중앙상단에 로고타입과 그 밑으로 제품명이 오면서 하나의 큰 이미지로 볼 수 있게 명료성과 반복성을 주어 디자인하고 있다. E-MART는 전체적으로 깔린 하얀색 배경이 깔끔하고 단순해 보이지만 일러스트레이션을 크게 넣어 디자인이 복잡해졌다. 좋은상품은 제품용기 또는 포장제의 성격이나 색상에 따라 브랜드 로고 색상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어 일관된 컬러의 적용이 주는 아이덴티티의 힘이 다소 약해 브랜드 구분이 어렵다. CHOICE L은 제품 상·하단에 PB Bar가 기본으로 배열된 레이아웃을 갖추고 있고, Bar적용이 인쇄 도수를 올려 가격부담을 안고 있다. 국내 3사의 상품들은 대부분 일러스트레이션이 들어가 있다. 일러스트레이션만 제거하여 레이아웃을 다시 한다면 더욱 단순한 구조의 명료성이 강한 디자인이 될 것이다. 또한, 인쇄 도수를 줄여 가격을 낮추는 것도 패키지디자인 미니멀의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디자인은 변하며 중저가브랜드의 소비가 늘면서 새로운 창출 역시 어느 때 보다 더 큰 가능성으로 열려있는 이때, 미니멀이 일반생활 속으로 보다 빠르고 누구나 부담 없이 향유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다. 무조건적인 미니멀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이시대의 효과적인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니멀 특성을 이용하여 대형마트 자체의 브랜드이미지 개선으로 기업 가치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design is a part of economic activity which can be chosen by consumers through a market and would be affected by a flow of the market. According to a fall of world economy, many brands such as daily necessaries, garments, even expensive furnitures and home appliances which are being sold at the department store, wholesale store and street that are very close to our life seduce consumers, emphasizing reasonable prices. Reasonable price brands do not just have low-quality images, but can have high-class images by efficient package designs. When a product specification between a high-class and reasonable price brands are equal, the latter is likely to be chosen. So PB product-package design attracts public attention. A design is a effective way because it is regarded as a superiority of competition which has an direct influence on sales. Thus we have to consider reasonable price brands with minimal phenomenons of package design in a view of improvement of enterprise's images. A minimal phenomenon means that it restores some images and shapes of things to a basic structure, and emphasizes the whole than a part. So it emphasizes simple colors and sizes in order that a spectator perceives essence of a shape by observing. It consists of repetition of simple geometric shapes and transmits definite and strict senses through the repetition for a brevity. The repetition doesn't allow any relationship of a class and makes non-relational systems, and takes a repetitive composing way.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present condition of PB product-package design which takes up middle prices of groceries in Wall-mart of U.S.A, TESCO of U.K, Ion of Japan and domestic wholesale stores such as E-mart, Homeplus, and Lotte-mart. I have used internet and documents for foreign wholesale stores ,and also used visiting researches and present condition researches by purchase of products. I investigated minimal phenomenons through a visual analysis of package designs. Basically Great Value makes the best use of colors in the logotype, meaning simplicity and repetition, and has a coherent package design system by putting a big logo. TESCO makes the best use of visual elements such as a logo, illustration and container, and has simplicity and clearness with TESCO PB products by colorful color tones and brand logotypes. TOPVALU designs a big image which has a logotype on mid-top and product name below it, making clearness and repetition. Though E-Mart makes clear and simple through a totally white background, it looks complex due to a big illustration. 'Joeunsangpum' has so different colors and brand logos for containers that makes an identity weak in spite of consistent colors. CHOICE L has a layout arranged PB Bar on the top and bot, and the Bar makes a burden of price. Three domestic stores' products mostly have illustrations. It can be a much simpler design with clearness if the illustrations are removed. Also a decrease of printing frequency and low price are the competitive power of a minimal. In this way, designs can be changed by conditions, and now new possibility for consumption of reasonable price products are available. Similarly minimal has an strong influence on daily lives, so not an unconditional but mobile application is needed and effective now. Moreover, a character of minimal can raise a value of enterprise through an improvement of brand images.

      • 국내 여성기초화장품 브랜드 자산 구축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김영욱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화장품 산업은 전형적인 내수 산업으로 내수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2006년 국내 화장품 시장은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업계 전반으로 건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영향으로 국내 화장품시장은 소비자 요구의 변화와 판매채널의 시장 개편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은 초저가 제품 시장의 급성장 및 전문점, 직판 등의 감소에 대응해 저렴한 브랜드샵 진출 및 채널 별 유통구조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백화점 판매 및 방문 판매를 통한 프리미엄급 화장품과 브랜드샵 위주의 초저가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의 판매액 기준 시장 점유율은 태평양의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전체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과점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뒤를 수입화장품인 에스티로더와 랑콤이 이어가고 있다. 고가 시장인 국내의 백화점 시장 중심으로 국외 브랜드 기업들이 명품 브랜드를 내세워 시장을 잠식하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 경쟁에서 국내 브랜드가 받는 위협도 커지고 있으며 강력한 브랜드 자산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운 국내 화장품 시장상황에서 국내 브랜드 화장품이 국외 브랜드 화장품과의 경쟁에서 시장 우위를 확보하고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브랜드 자산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문헌적 연구와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조사, 분석 하고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의 여성기초화장품을 디자인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이 화장품 구매시 많은 영향을 준다고 조사되어 화장품의 감성적인 상품적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브랜드 인지율이 높은 브랜드일수록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주며, 품질 또한 브랜드와 함께 연계되어 브랜드와 품질은 동일한 연상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여성기초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은 한방화장품을 제외하고 수입 브랜드와의 유사성으로 독창성과 상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브랜드 컨셉에 대한 명확한 정체성이 결여되어 제품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제품의 컨셉이 잘 표현된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주고 있다. 결국, 제품의 품질은 브랜드인지도와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에 따라 자연히 높아진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가격은 구매 요소에 그다지 중요한 요소가 되지 않으며, 소비자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연관성 없이 자아의 만족을 위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비싼 화장품을 구입할 의사가 잠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강하고 보이고 있는 한방화장품들은 국내 여성기초화장품의 브랜드가치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브랜드패키지디자인에 정체성을 구체화 시키고, 브랜드 자산으로 구축하면 국외 브랜드와의 경쟁력 확보뿐 아니라 수출 전략 브랜드로 육성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글로벌 브랜드 전략을 제안 하였다. 패키지디자인을 명확하고 차별화되는 독창적 브랜드이미지로 만들기 위해 한국 고유의 문화와 전통미를 현대적 감각에 재창조하여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에 심도있게 접목, 개발하여 세계화하는 것이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 자산 구축을 위한 전략이 될 것이다. Keyword : 명품브랜드, 브랜드자산, 브랜드이미지, 브랜드디자인, 소비자 구매행동, 패키지디자인, 전통문화

      • 한우브랜드 이미지강화를 위한 택배용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상기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A Korean beef brand implies that the beef to which it is given is a safe, reliable product produced by a Korean beef producer equipped with a consist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upplying reliable quantities of safe beef to consumers. With the recent opening of the Korean market to American beef, the Korean beef industry is facing the fiercest level of competition it has seen yet. Partly in response to this increased competition, the Korean beef brands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to retain customers loyal to the bran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eef brands. In particular, the large discount department stores as well as online shopping and the accompanying increase in the volume of home delivery service required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the main venues of selling and distribution in the industry. Packaging standards determined by the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under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Economics in 2005 are disregarded by consumers and distributors due to inadequate advertising efforts and the lack of efficient control. The door-to-door delivery of products bearing the Korean beef brands must be quick and accurate, ensuring the maintenance of the suitable temperatures throughout the delivery process. There is, however, a dearth of studies on the designs of packages for beef products that are important parts of visual communication of brand images. In order to examine the designs of packages used in the door-to-door delivery Korean beef products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is study selected the six brand packages for representing the collective Korean beef brands in six regions, all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They are: Hanuram of Gyeonggi-do; Hairok of Gangwon-do; Cheongpungmyeongwol of Chungcheonbuk-do; Tobau of Chungcheongnam-do; Sunhanhanu of Jeollanam-do; and Hanujiye of Gyeongsangnam-do. Most of these Korean beef brands had insufficient appreciation for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s in shaping and communicating their brand images. Their package designs even failed to expose the brands adequately to the public. The packages of some brands were inadequate even in terms of protecting products they contained. The investigation involved the purchase of the products bearing these brands on the Internet and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structures, and graphic designs of the packages and their inefficien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the brands they represent. In terms of the materials and structures used in the packages, plastic wrap used to pack individual items was not sufficient to prevent the items from changing in quality. The insulating materials used as inner packages touching the meat directly changed the color of the meat, appalling consumers who received them. The brands also used as the outer packing materials conventional Styrofoam, without making any efforts to make them visually appealing and differentiated. To overcome some of these disadvantageous effects, packing materials themselves need to change. Individual packaging should involve vacuum packing or gas substitution. Inner package materials should include corrugated cardboard or 우드락 between the insulator and the meat so that the coldness from the insulator would not directly teach the individual wrapper surrounding the meat. The outer packing material should be given more effective graphic designs and visual effects, combining Styrofoam with corrugated cardboard boxes or double PVC-vinyl wrapping. Graphic designs in the current packing materials also revealed some problems, including the fact that the brand logos were shown only using small stickers attached to the individual and inner packing materials and the fact that the outer packing materials did not bear effective graphic designs. To maximize the exposure of the brands to consumers, double-wrapping, ribbons, and double stickers should be used for individual and inner packing materials. Plastic ribbons, corrugated cardboard boxes, fabrics, and so forth may also be added to the outer pacing materials. The overall package should also use much of the main colors used in the brand logos. The difficulties and limits of this study partly arose from the fact that not all of the 202 Korean beef brands provided clear evidence of channels of distribution and sales. This study also did not conduct any consumer polls regarding the package designs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While these difficulties may not have amounted to much had the selected brands used similar package designs, the selected brands in reality used incomparably different packing designs and materials, making it difficult to prepare objective data necessary to forming polling questions. If supplemented with objective data and further, more thorough investigations and analyses, this study could nonetheless contribute much to increasing the income levels of the Korean beef ranchers and industry struggling to overcome the effects of recent competition from overseas beef. 한우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물량공급이 가능한 균일한 관리 시스템을 갖춘 한우 경영체에서 생산된 믿을 수 있고 안전한 쇠고기를 말한다. 최근 한우시장은 미국산 쇠고기의 개방과 함께 최대의 위기에 놓여 생존차원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우 브랜드는 신뢰성 제고를 통한 충실한 고객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대형할인점을 통한 판매구조의 변화와 온라인을 통한 소비변화로 택배를 이용한 물류시스템은 판매에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다. 택배용 포장규격은 2005년 지식경제부 산하 기술표준원에 의해 표준화규격을 마련하였으나 홍보부족과 총괄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원인으로 소비자와 물류업체에 외면을 받고 있다. 한우브랜드의 상품을 택배를 이용하여 배송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정온도를 유지하며 신속, 정확한 배송으로 상품의 변질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적 측면에 치우쳐 브랜드이미지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일환인 패키지디자인은 연구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한우브랜드 택배용 패키지디자인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농협중앙회가 주관하는 광역단위 한우공동브랜드 경기도(한우람), 강원도(하이록), 충청북도(청풍명월), 충청남도(토바우), 전라남도(순한한우), 경상남도(한우지예)의 6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실증조사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우브랜드는 브랜드이미지형성에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심지어 브랜드의 노출도 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브랜드는 심지어 택배포장의 기본 기능인 제품 보호 기능 측면에서도 미흡한 상태로 배송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들어났다. 실증조사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직접 구입하였으며 이를 조사·분석한 결과 한우브랜드이미지향상에 저해되는 재질·지기구조 측면, 그래픽디자인 측면의 비효율성을 찾을 수 있었다. 재질·지기구조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낱포장은 랩 포장을 사용함으로 변질의 우려가 있었고, 속포장은 육류에 보냉재가 직접 닿아 육색이 변질됨으로 식감이 떨어지고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겉포장은 특별한 효과나 지기구조의 차별화보다는 스티로폼 재질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는 낱포장의 경우 진공포장방식 또는 가스치환방식과 속포장은 보냉재와 육류사이에 골판지나 우드락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냉기가 직접 낱포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겉포장으로는 스티로폼위에 골판지재질의 상자나, PVC비닐을 이중으로 포장하여 그래픽디자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래픽디자인측면의 문제점으로는 낱포장과 속포장에 단순하게 브랜드 로고만 스티커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과 겉포장의 경우 그래픽디자인을 적절히 사용하고 있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낱포장, 속포장에는 브랜드이미지의 노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종이 2중 포장방식, 띠를 이용한 방식, 이중스티커 방식을 제언하였다. 겉포장 또한 비닐 띠를 이용한 방식, 골판지를 사용한 방식, 천을 사용한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외에 브랜드이미지강화를 위한 그래픽디자인으로 브랜드로고의 메인컬러를 활용하는 색상의 차별화 방안을 추가적으로 제시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200여개에 달하는 한우브랜드 중 연구범위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에서 판매경로 또는 매출근거가 정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아 기준을 삼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의 현황을 소비자 설문조사를 할 수 없음이 아쉬움이었다. 이는 선정된 브랜드들이 비슷한 수준의 패키지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었다면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선정한 브랜드들은 서로 상호비교가 힘들 정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설문을 통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추후 객관적 자료의 확보와 면밀한 조사·분석이 지속된다면 외국산 쇠고기 수입개방에 힘들어하는 한우사육농가의 소득증대와 한우산업 전반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감성사회에서 농산물 브랜드 가치 증대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 연구 : 과실류 패키지 중심으로

        송영림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A customer-oriented era, in other words, we live in a society where various marketing and product differentiation is needed even within the fruit industry following the start of a customer-oriented era, or society of sensitivity, as well as the creation of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and opening of the agricultural market. In addition, with the opening of our agricultural market following the WTO and FTA agreements, consumer trends have shifted to one where consumers are now purchasing small amounts of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It has become increasingly more difficult for our agricultural product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and expect growth through just the exist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Within such framework, fruits have continued to solidify its market position as a well-being product and various research results have shown fruits to be one of the best nutritional products. Consequently, this study desires to change consumer trends by changing the social and consumer perceptions regarding fruit from just a simple thing to eat, into a purchase of sensitivity. Within such scope, many domestic fruit products have begun product differentiation and continued to raise its competitiveness, but their value still is relatively lower compared with overseas brands. Particularly, package design serve as a key marketing tactic which can attract consumers to a purchase, but have yet to be effectively expressed. In order to propose solutions to such problems, domestic and overseas agricultural package desig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logo, color, and graphic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n each sensitivity values. In addition, an investigation on visualization methods for fruits packages was conduced in order to maximize the marketing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ree categories.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reasons on why brand value must be raised through sensitivity communication. Through a sensitivity response survey, relationships were output as probabilities by using the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e following four results. First, the level of sensitive expression within our fruits packages was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in consumer attitudes for a brand. As for logos, there is a need for domestic brands to expand the size of the logo. As for colors, excessive use of colors must be limited, while graphics must be effective in eliciting sensitive stimulation for consumers. Second, the lifestyles of the consumer was shown to have no effect on the sensitive value of brand package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on the effects which customer sensitivity has on brand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variables of communication effects, reliability, and PR had an influence. Fourth, the brand value created in accordance to sensitive expression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a brand. Consequently, designs which strategically differentiates a product from ot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raise the brand value for fruits. For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needed within the opened fruits market, more studies presenting directions and methods for efficient package designs are needed. This is because superior package designs are most effective to strengthen the brand values of practical and economic domestic fruits products. During the brand selection process within this study, a lacking of a representative brand was observed due to the numerous domestic brands in the market.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 the resolving of such problems. It was discovered during the brand selection process that there is a lack of a representative brand within domestic fruit brands. As a result, additional studies must be conducted on various brands and brand design elements in the future. A hop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fruits from our country and further the development of the fruit industry of South Korea. 고객중심시대 즉, 감성사회가 도래하고 다양한 유통채널이 생기면서 농산물 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과실 산업에서도 다양한 마케팅과 제품차별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WTO, FTA 협상 등에 따른 우리 농산물 시장의 개방으로 소비자는 고품질 농산물의 소량 구매로 소비패턴을 전환하고 있다. 기존에 이행되던 생산 및 유통 체계로는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현재, 과일은 새로운 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나아가 최고의 건강식품이라는 연구결과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 같은 과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소비자의 의식변화는 단순히 먹을거리의 구매가 아니라 감성의 구매로 과일 소비 경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국내 과실 제품들은 제품을 차별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고자 브랜드화해 나가고 있지만, 외국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중요한 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표현되고 있지 못해서 그 해결책이 요구된다. 이에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농산물 패키지 디자인을 로고, 컬러, 그래픽의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감성적 가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앞의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마케팅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과실류 패키지의 시각화 방법을 모색해 보고, 아울러 과실 패키지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하는 이유를 검증하고자 한다. 감성적 반응은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t-test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유의확률(Probability)로 관계를 입증하였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실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 과실 패키지의 감성적 표현 수준은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로고에 있어서 국내 브랜드는 로고의 면적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컬러에 있어서 과다한 컬러 사용을 줄여야 하고, 그래픽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 일러스트를 이용하여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가 다를 것이라 판단되어, 소비자 개성주의, 소극주의, 전통 알뜰주의 성향의 세 가지로 라이프스타일을 구분하였다. 이에 따른 조사 결과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 패키지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의 감성이 브랜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패키지 디자인의 마케팅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신뢰, PR의 변수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성적 표현에 의해 형성된 브랜드 가치는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브랜드의 가치 증대를 위한 전략으로 차별화된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격적인 과실류 시장 개방 상황에 맞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방안 제시와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국내 과실류 상품의 브랜드 강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패키지 디자인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브랜드 선정 과정에서 국내 과일 브랜드가 많아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다양한 브랜드와 디자인 요소의 전반을 대상으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우리 과실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우리나라 과실산업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화장품 패키지에 나타난 아르데코 스타일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전수진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19

        오늘날 화장품 패키지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을 부각시키고 세련미를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절제 되어있는 디자인성향이 주류였다. 또한 최소한의 조형을 사용하여 절제된 이미지를 표현한 화장품과 대중을 겨냥한 중·저가 브랜드의 등장으로 인한 화장품 유통구조의 변화로 심플하고 절제된 디자인이 각광을 받았다. 이러한 추세는 전자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힘입어 치밀하고 극소하고 완벽한 마감이 가능해진 전자제품을 선두로 가구, 패션, 건축의 디자인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화장품 소비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습득이 용이해졌으며, 정보의 일반화로 인해 다양화되고 세분화 되어,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똑똑해진 소비자는 개인의 성향이 분명해지고,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도 커져가고 있기 때문에, 정형화 되고 절제되고 모더니즘(Modernism)적 심플함이 강조된 미니멀리즘 스타일에서 식상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찾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역사를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자인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새로운 스타일은 그 당시의 미적가치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을 다방면으로 반영하고, 시대의 변천에 따른 기술적 발달이나 도덕적 가치관의 변화 등을 과거의 요소들과 절충하여 새로운 조형의식을 갖고 창조한다. 즉, 새로운 스타일은 문화의 순환적 특성을 인정하고 과거의 조형적 특징을 토대로 새롭게 발전하고 그 시대에 맞추어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니멀리즘에서 차별화 된 새로운 양식을 모색하기 위해선 과거의 조형의식을 탐구하고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20세기 디자인의 역사에서 특히 1920년대와 1930년대를 풍미하였던 아르데코 디자인은 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형태 및 재료, 미적가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과거의 전통성을 수용하여 대중과 유리(遊離)된 다양한 양식과 대중 생활 사이에 중간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60년대 다시 재현된 현상에서 나타난 것처럼 현대 또는 앞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아르데코 디자인의 수용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아르데코 양식의 미적가치는 재해석, 평가되어 현대 디자인뿐만 아니라 패키지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의 성향이 강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차별화 된 다양한 표현의 방법으로 형태, 재료, 색채, 장식을 부여해 줄 수 있고, 현재의 양상을 반영한 미적가치를 전달 할 수 있는 아르데코 스타일이 유용하다는 가정 하에 이를 입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아르데코 양식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을 정립하고, 디자인적 특징을 다방면으로 고찰한다. 두 번째, 아르데코 시대의 화장품 패키지를 중점으로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화장품 패키지를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디자인 흐름에 따른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세 번째, 우리나라 화장품패키지의 시대적 동향에 따른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사례를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에 대한 유용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아르데코 스타일의 패키지 접목에 따른 유용성은 다른 어떠한 스타일보다도 디자인 가능성을 많이 내재 한다. 그러므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과거에 쉽게 여과시키지 못하고 받아들여진 서구문물의 디자인 영향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조형 개념들의 정당성과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어져야 한다. Today, cosmetics packaging is influenced by minimalism and extremely moderated to stress functionality and sophistication. Also, minimum figuration is used for moderated images and simple, moderate design has been popular with the emergence of low/mid-priced brands that have changed the distribution cycle for cosmetics. This trend has affected electronic appliances, which have been made more elaborate and perfect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as spread to furniture, fashion, and architecture. However, consumer culture in cosmetics is changing. Consumers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ir needs have become diverse and ever-changing in a great speed. Consumers who are smarter than ever have clear individual traits and greater desire for something new and are already tired of modernism, simple minimalist styles that are uniform and moderate.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new consumer culture and find new trendy style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design, new style reflects the contemporary aesthetic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combines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ethical changes with the past elements to create new figuration. In other words, new styles accept the circulatory character of culture and update the past figures for new developments and times. In this respec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past figures to seek for new sty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minimalism. Art Deco design, which was popular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the 1920s and 1930s, actively absorbed new forms, materials, and aesthetic values that com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bridged the tradition to new public culture. Considering it reemerged in the 1960s, Art Deco is highly likely to come again for the modern or future design. The aesthetic value of Art Deco style is reinterpreted and evaluated and widely influences modern design and package design. This study set up the hypothesis that Art Deco style would be valid for cosmetics package design with distinguished forms, materials, colors, and decorations that makes the latest minimalist character more interesting and proved this hypothesi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the background of Art Deco style was examined to define the concept of Art Deco and study its design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osmetics packaging from the time of Art Deco was analyzed and classified to see how cosmetics packaging design with Art Deco elements have changed with time. Third, the trend of Korea's cosmetics packaging and examples of Art Deco style were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Art Deco style was studied from the aesthetic approach. There are not enough resourc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Art Deco style. Packaging design has changed with design and time and Art Deco is more useful for packaging design than any other style of design.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unfiltered Western influence which greatly impacted our cosmetics packaging design and understand the essential figurative concepts and validity of Western styles. This study would support understanding of changes in packaging design and motivate further studi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 지역특화상품 브랜드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완도군 농수산물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이경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19

        We've already living our lives in the 21st century. This centuty, even along, means enormous changes and innovations. We are facing the era of multi-identities in which locals got emphasized, whereas nations'boundary are breaking off under the expansion of de-bounadarisim. in this trend, local autonamous governments are striving to have foreign competitiveness through reforming their administration, such as adopting management styles of companies. if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is set for developing quality of residents' life', introducing 'design' into administration would be one of the best ways. By adopting this design concept, resident's 'happiness index' will be increased so that residents' capability will be consolida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given rise to ill effects in areas such as standardization and simplification As a result, each area has developed abnormally losing its own uniqueness. During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country, the diverse economic cultural activities adopting the area,s uniqueness are the starting point for development and widening its identity.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in the advertisement media and large discount marts, there needs to be a strong brandimage with a competitive and distinctive packing design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cking designs and investigated consumers' preference for brands depending on packing brand designs of drinks in order to braw out consumers' positive atitiudes toward the brand. if local autonomous entities operate the design based administration proposed by this study, and if this is relevant to locals, it will create its unique local image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s well. Excavating and developing local cultural industries are urgen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conomic profits not having environmental problems. Factors identifying an area's characteristics may be classified as formation works of urban identity. brand design, cultural industry, developing local areas, etc, Namely, we have been encountering various forms of generation changes such as digital generation, glovalization generation, consumer generation, and brand power generation, Among these, these have been extraordinary changes in consumers and the environment of consumer market, and it is noteworthy of paying attention to the tansition of the leader of the consumer market from producer to consumers. Such changes will affect not only all fields related to market environment but also entire fields including future products and sales. Hereupon, it is intended to foresee and analyze the trend in the consumer market of the 21st century and investigate changes in the consumer market and the environment of consumers. Also, the world has brought a single apace of economy along with globalization and the are of self-imposed competion, and multi-national enterprise have emerged and, at the name time, their brands can be seen around the world. Hence, they have been trying to maintain their own power bands for the century. in the past, brand meant the name of a product in general. But, in the present, it has another meaning such that the brand itself provid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rustworthiness. This. study was a concrete approach to compose and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cases factors. For prac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 in the chonnam characteristics from a package brand design point of view, way of local development and cultural industry in chonnam wando relopment and to pursye creative strategies for power brand.

      •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국내 외 선거포스터 디자인의 시각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배다연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On May 10, 1948, since the political advertisement for general election ha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t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communication means between voters and candidates. The candidates consider an election advertisement as one of the important things for effective election campaign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the candidates communicate their messages with a variety of methods. Nowadays, they make an effort to approach voters through their blog or web sites as well as internet video. In earnest, our country introduced strategically the political advertisements in the 13th presidential election. Since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they have actively been studied with politics, marketing, and the development of mass communication. The 17th presidential candidates in 2008 conducted their election campaigns with their posters, and pledges, through the various mass-media. Nevertheless, expressive design strategies for the election advertisement have some problems in every election due to the lack of the study of election advertisements. The election advertisement of our country, in particular, the posters focused on candidate’s character is in the first stage due to the excessive restriction and regulation or old custom. On the contrary, the election advertisement standard of other countries is advanced, in terms of design. Because the political advertisement has very strong attention, it is in need of differentiation and persuasion. To analyze theses differentiation and persuasion, semiotic access is required. Voters’ judgment depends on how the candidates use it to conduct their election campaign as much as now is image era. In particular, media persuade the voters to judge the candidates. Thus, deviating from the basic political and election advertisements focused on the existing letters, election strategy, and appeal, based on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sign, it is urgent to develop design factors to approach the voters sensationally. Her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advertisements for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and its expressive strategy, analyzing based on semiotic theory, and getting an effective design alterative plan for the coming election campaigns. The study method of this thesis focused on the various posters design used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based on TV advertisements by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according to the candidates, and the political party.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based on what mentioned above. Firstly, each political party and candidate has a characteristic. The political party’s color is the same as the political poster’s color. Each of the political party places a great deal of weight on negative advertisements that give salience to a fact that the counterparts have many weak points, which is because the candidates try to be stamped on voter’s memory, discriminating a good president and bad president, with antagonistic relationship. Secondly, judging from the slogans of the election posters semiotically, these slogans are intention-oriental thoughts. That is, when consumers’ purchasing motive is the same as voter’s unconsciousness, a language or sign can be thought as a unconscious tool. These are no more than the tools as much as election advertisements or its flyer. Thirdly, based on generally accepted ideas in our society, the election advertisements targeted on appealing to voters’ sensation. The presidential candidates emphasized their images with their political life through a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expression. On TV election advertisements, it is a trend that only ordinary people usually make a prepared speech to support a specific candidate without the appearance of the candidate. Lastly, it is found that children o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dvertisements. in iconographical meaning, which means that a child symbolizes purity, peace, and future. Moreover, children have positive images without the political apathy. This study focused on defining a new boundary, transcending the limitation of the semiology, unlike the existing concept. This is based on a new thing different from aesthetical value.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regard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ed semiology. For an effective election advertisement, through a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expression, messages that the candidates insist on their pledge should be clear. For this, designers should understand and analyzes voters deviating from designers’ prejudiced and personal ideas with theoretical and academic basis. When these requisites meet the designers, it is believed that they could decrease trial and errors from an accepted process. 1948년 5·10 총선거에서 정치광고가 처음으로 선보인 이후로 유권자들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다. 후보자들은 자신을 좀 더 효과적으로 알리고자 하는 방법에 대해 관심을 갖고 유권자들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정치광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후보자들의 메시지 전달방법 또한 나날이 발전하였으며, 현재에는 인터넷 동영상뿐만 아니라, 후보자들의 미니홈피 등을 공개하여 친근하게 다가가려 노력하는 등 정치광고도 계속 진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치광고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기는 제 13대 대선부터이며, 전략수립에 의한 광고의 표현이 시작되었다. 15대 대선 이후 정치광고에 대한 정치학, 마케팅학, 신문광고학 등 각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제 17대 대통령 후보자들 또한 자신의 얼굴과 각종 공략이 걸린 포스터를 전국에 내걸고 각종 매스미디어를 통해 열띤 유세를 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선거홍보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디자인분야에서의 정치광고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여 매번 선거에서 정치광고의 표현전략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지나친 법적 규제와 자신을 알리는 행위를 경원시하는 구습으로 인해 인물중심의 포스터라는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다른 나라들의 선거홍보는 디자인적인 면에서나 소재, 내용의 표현방식 등 메시지 전달 면에서도 상당한 수준들이다. 정치광고의 디자인은 주목성이 강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차별성과 설득력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기호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현대는 '이미지의 시대'라고 할 만큼 이러한 기호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설득력에 대한 판단을 좌우하며, 곧 능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광고와 같이 사람을 설득시키는 매체는 기호학적 의미가 직ㆍ간접적으로 활발하게 활용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문자나, 선거전략 및 소구에 관한 내용에만 초점이 맞추어져있던 1차원적인 정치광고에서 벗어나 은유와 환유적 기호를 바탕으로 유권자들에게 감성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제 17대 대선에서 사용된 선거포스터의 표현전략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기호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선거에서 사용될 포스터디자인에 있어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08년 대선에서 사용되어진 홍보용 포스터 디자인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각 후보별, 정당별로 조사하였으며, 학위논문 및 방송보도자료, 그 외 관련서적들을 문헌조사 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후보별, 정당별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당의 컬러와 포스터의 컬러가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았고, 은유나 환유적 비유를 통한 우회적 방법으로 자신과 당을 부각하거나, 자신의 정치적 역정을 소재로 지표적 유상 기호를 통한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은유나 환유적 기호로 상대후보의 약점을 대립적으로 부각하여 자신의 장점으로 내세우는 것은 '좋은 대통령', '나쁜 대통령'의 대립구도를 노리고, 자신은 '좋은', 타 후보는 '나쁜' 이미지를 유권자에게 각인시키기 위함이다. 둘째, 선거포스터의 슬로건을 기호학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의도 중심적 사고와 동일선상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구매동기가 유권자의 무의식에 있다고 생각하는 이상, 언어나 비언어적 기호는 무의식으로 다가가는 도구이며 선거홍보물 또한 기호만큼이나 도구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다. 셋째, 사회적 통념을 바탕으로 유권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은유나 환유적 비유를 통한 우회적 방법으로, 자신의 정치적 역정을 소재로, 지표적 유상기호를 통해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이것은 사회적 통념을 통해 서민중심 후보의 이데올로기를 생산하여 국민이 곧 대통령임을 부각하는 수단인 것이다. 하지만 그 구체적인 의미가 모호하고 이해가 어려운 실정이다. 넷째, 어린아이 또는 젊은학생 등을 등장시킨 경우가 많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상학적 의미에서 보았을 때 아이라는 존재가 순수, 평화, 미래를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또한 정치홍보물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켜주면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거 포스터의 시각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은유나 환유적 비유를 통한 우회적 방법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후보자들이 내세우고자하는 메시지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호 제작자, 즉 디자이너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관념을 배제하고 유권자 집단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분석이 뒷받침되어 단순한 조형요소의 감각적 운용에서 탈피하여 학문적, 이론적 배경을 갖고 작업에 임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이 기호제작 과정에 있어 수용과정의 혼선을 최대한 줄여 유권자에게 일관성을 가지는 의미구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개념에 덧보태는 또 하나의 개념이 아니라 선거 포스터에 있어서 기호학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정치라는 개념에서 기호학을 아우르고 있는 미적 가치관과는 다른 가치관을 근거로 하여 나온 것이다. 어떤 이론이라는 이름을 붙이기에는 아직 부족한 논리이지만 기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 간주되었으면 한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를 유도해 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공예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김정엽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문화상품이란 인간에게 물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감성적·문화적 욕구 역시 충족시키는 폭넓은 의미의 상품 전반을 말한다. 즉, 경제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 속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상품이야말로 진정한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많은 문화상품들은 한국 고유의 유·무형의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이나 전통적 아름다움과 같은 정신적 가치 속성을 제대로 함유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통문화에 대한 형식적이거나 피상적인 해석으로 독자성이 결여되었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측면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유사한 관광 상품(기념품)을 접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 한국을 대표할만한 문화상품을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흔히 고유의 전통 문화요소를 응용한다고는 하지만, 겉모양만을 모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외형만을 재현하는 단편적인 상품화의 결과가, 지역을 상징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의 부재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통 공예품이나 민예품을 이용한 관광기념품 등은 그 지역, 더 나아가 한국의 정체성을 세계에 알리는 가장 효과적인 문화상품인 동시에,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문화상품의 다양한 가치는 한국적 디자인을 브랜드화 할 수 있는 커다란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상품 브랜드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한국의 성공적 문화상품 브랜드 3개의 브랜드디자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예문화상품 브랜드디자인에 있어 조형적인 요소는 로고나 심볼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공예문화상품 브랜드디자인의 특성면에서는 심미성이나 독창성보다 전통성을 먼저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역과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은 진정한 한국의 문화상품을 세계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문화를 하나의 구체적인 상품으로 탄생시킨다는 것이며, 문화적·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국가 이미지 창출은 물론 지역과 국가의 브랜드화에도 한 몫을 할 것이다. 결국, 한국 고유의 문화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를 만들고, 그것을 세계화하는 것이 바로 한국 문화상품의 저변 확대를 가능케 하는 가장 궁극적인 방안일 것이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 문화상품 브랜드 개발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의 수를 세 가지로 한정할 수밖에 없었던 점은 객관성에 있어 문제점을 노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한국의 문화상품 브랜드의 개발이 그만큼 미진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리고 공예문화상품에 대한 대중적인 인지도 부족으로 인해 설문에 적합한 응답자를 선별하는 부분에서도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문화상품 브랜드의 개발에 있어 대중적인 인지도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이 한국 공예문화산업의 발전에 작게나마 기여하여, 한국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에 힘이 되길 바란다. Culture products mean a general commodity with wide meaning that can fulfill a material value as well as an emotional and cultural deman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real culture products should satisfy all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nd spiritual values. However, most of many culture products being sold in present markets don't properly include spiritual value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ricity that formless and concrete cultural heritages have or traditional beauty. A problem that originality is lacked because of formal or superficial analysis appears in many aspects. Therefore, it is realities that we can see similar travel products(souvenir) anywhere.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easily find cultural products that can represent Korea. Although traditional culture elements of their own are often applied, only outside shape was just imitated in most cases. Results of fragmentary commercialization reproducing only the shape like this causes absence of the cultur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s and representing our country. Travel souvenirs, etc. using traditional art products or folk art articles are the most effective cultural products for informing the region as well as Korean identity to the worl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under this circumstances. This various values of the cultural products provides big possibility that can make Korean-style design to be a brand. Necessity of brand design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s was investigated, and three kinds of brand design among domestic brands of successful cultural produ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logo or a symbol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s a formative element in the brand design of industrial art culture products, and traditionality should be first considered rather than aesthetic property or originality. The brand design of the culture products that can represent a region and a countr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globalizing real culture products of Korea. This work makes culture to be generated as one concrete product, and contributes to national image creation as well as brandization of a region and a country by increasing cultural and economical value added After all, it will be the most ultimate method for expanding a basis of Korean culture products that one brand is made on the base of unique Korean culture and globalized. When preforming this study, it could expose a problem in objectiveness that the number of typical successful cases in brand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s was limited to three types. However, it is contrary evidence that th br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products leaves much to be desired. Also, there was much restriction in selecting respondents suitable for a question due to insufficiency of public recognition about industrial art products. It could be found that public recognition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to develop a brand of the cultural products. In spite of the above-mentioned weakness, I hpe this thesis will contribute development of Korean industrial art culture industry even a little, and be useful for informing unique culture and identity of Korea to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