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혼남녀의 가족건강성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미지의 매개효과

        정유화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43

        국문초록 미혼남녀의 가족건강성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미지의 매개효과 정 유 화 지도교수 전 영 자 가족소비자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현대 사회의 정보화, 세계화로 인한 빠른 변화는 가족의 변화와 더불어 결혼이 필수과정이 아닌 개인의 선택사항이라고 여기는 결혼가치관과 결혼이미지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결혼이미지가 결혼가치관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해 상호영향력의 정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김해시와 창원시, 부산시에 거주하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최종 309부에 대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은 경제적 안정, 상호신뢰성, 가족문화와 사회참여 순이며, 결혼가치관은 낭만형 결혼가치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성별에 따라 가족건강성 전체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결혼이미지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연령, 학력별로 가족건강성 전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인 유무별로는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 결혼이미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생각 유무별로는 소극-배타적, 보수-도구적, 낭만형 결혼가치관과 결혼이미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결혼생각이 있을수록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이 낮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이 높았으며, 가족 건강성 하위요인 중 가족문화와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이 높았다. 결혼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낭만형 결혼가치관이 높았고,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낮았다. 넷째, 가족건강성과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족건강성과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가족건강성과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낭만형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고, 결혼이미지도 영향력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혼남녀의 결혼이미지를 증진하여 결혼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결혼 후에도 결혼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핵심어 : 가족건강성, 결혼가치관, 결혼이미지, 매개효과 Abstract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on the Marriage Values of Unmarried Men and Women: The Mediating Effects of Marriage Images   Jung You-hwa Professor Jeon Young-ja Master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InJe University   The rapid changes caused by the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of modern society are leading to the change of the marriage image and the values for marriage that the marriage is considered as an option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essential process with the change of the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amily health and marriage image perceived by unmarried men and women have an effect on marriage values and to clarify the degree of correlation. To this e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as a measurement tool for unmarried men and women who living in Kimhae, Changwon, and Busan city. The collected survey data of the final 309 cas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using SPSS 23.0 program.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the related variables of survey subjects is as follows: family health was high in economic stability, mutual trust, family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arriage values are higher in order of romantic marriage values,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and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total family health, remuneration–instrumental marriage value, and marital im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female. Passive–exclusive values for marriage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amily health by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lso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vers in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and marriage images. Passive–exclusive, conservative–instrumental, romantic marriage values and marriage im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thoughts. Third, as for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arital values ​​recognized by the unmarried men and women, the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were low when considering marriage with their partner. The male had higher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than the female, and the higher the family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marital value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marriage image shows that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and romantic marriage values ​​were high, while the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 ​​was low. Fourth, the marriage imag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marriage values. Marriage image has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 and marriage imag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to family health and conservative–instrumental, family health and romantic marriage values, respectively. This study confirms that family health as perceived by unmarried men and women influences marriage values ​​and marriage image is an influential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moting the marriage image of unmarried men and wome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rriage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their marriage life after marriage. Key words: Family Health, Marital Value, Marriage Image, Mediating Effect

      • 친환경 소비정보획득이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자역량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CHEN HUISHI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43

        Consumers’ interest in eco-friendly products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their market share remains low relative to general product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number of companies practic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management, eco-friendly consumer capabilties need to be strengthen because consumers still have difficulty fulfilling consumer roles and responsibilities while utilizing eco-friendly information, as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have become diverse and complex. Meanwhile, China’s eco-friendly consumption progress is attracting attention internationally as an important consumer issue because of its great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al protectionindustr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653 Chinese consumers’ acquisition of eco-friendly consumption information, eco-friendly consumer capabities, and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s to propose ways to increase eco-friendly consumption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China.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the effect of acquiring eco-friendly consumer information on eco-friendly consumer capabilities and purchase intention was confirmed.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eco-friendly consumer responsibility on the aforementioned influence was verified. The SOR model is a modern cognitive psychology framework that specifically describes the predictiv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user's emotional response and subsequent behavior, and the three components are stimulation (S), organism (O), and response (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buyers of eco-friendly products were middle- aged people between 20 and 39 years old, who had a monthly income of 5,000 yuan or more, were highly educated, lived in large cities, and were office workers. Further, there was a high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product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and that the acquisition of eco-friendly consumption information was mainly from the government channels and social media platforms. Second, the acquisition of eco-friendly consumer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capabilities; however,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co-friendly consumer practice capab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quisition of eco-friendly consumer information had a greater impact on eco-friendly consumer knowledge capabilities. Third, eco-friendly consumer competenci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s, among which eco-friendly consumer knowledge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Fourth, this study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co-friendly consumer responsibility on the impact of Chinese consumers’ eco-friendly consumer capabilities and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eco-friendly consumer attitude capabilities significantly affects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only in groups with low responsibilities for eco- friendly consumption. In addition,eco-friendly consumer practice capabilities significantly affects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only in groups with high responsibilities for eco-friendly consump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rawn. Chinese consumers have fixed consumption patterns and key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and they mainly acquire , eco-friendly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government and social media platforms. Owing to problems such as lack of market supervision, lack of product diversity, and high prices, Chinese consumers are experiencing a “high awareness, low practice” situation. In addition, the consumption habits of Chinese consumers are more sensitiv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the influence of China’s collectivist culture. Therefore, to increase China’s eco-friendly consumption, this study proposed the effective ways to provide eco-friendly consumption information.

      •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각과 생활만족도 관계 비교 연구

        박영민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343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Young Min Park Department of Family Studies,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elderly women and elderly 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7 elderly men and 168 elderly women who have a spouse and children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by using mean, percentage, t-test,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ckground variables considered were age, education, relig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health statu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total successful aging elderly men perceived was 3.48 out of 5. Among 7 sub-domains of successful aging, elderly men perceived ‘self-controled life’ the most(3.75). The followings were ‘satisfaction with children’(3.71), ‘acceptance for others’(3.64), ‘self-acceptance’(3.58), ‘orientation for self-integration(3.36)’,󰡐companionate marital life’(3.32), and ‘active living’(3.07). And the mean of the total successful aging elderly women perceived was 3.60 out of 5. Among 7 sub-domains of successful aging, elderly women perceived ‘satisfaction with children’(3.93) the most. The followings were ‘self-controled life’(3.86), ‘self-acceptance’(3.69), ‘acceptance for others’(3.60), ‘orientation for self-integration’(3.52), ‘active living’(3.38), and ‘companionate marital life’(3.14).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here were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e domains of ‘active living’(p<.01) and ‘satisfaction with children’(p<.001). Elderly women showed higher perception in the domains. Second, the total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elderly men was affected by family economic level(β=.298), health status(β=.267), and education2(β=.212). These 3 variables explained 27.2% of the total variance. Also, the total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elderly women was influenced by education2(β=.421), education1(β=.232), family economic level(β=.230), health status(β=.165), and religion(β=.137). These 5 variables explained 37.5% of the total variance. Finally,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elderly men was affected by family economic level(β=.309), self-acceptance(β=.262), and health status(β=.253). These 3 variables explained 41.5% of the total variance. Also,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elderly women was influenced by family economic level(β=.279), satisfaction with children(β=.243), health status(β=.208), and companionate marital life(β=.185). These 4 variables explained 50.0% of the total variance. In conclus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health status was confirmed to be important background variable in elderly men and women's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But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still consider successful and satisfactory lif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gender role.  That is, when evaluating life satisfaction though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elderly women value satisfactory family relation above all, while elderly men value self-achievement the most. Key words :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elderly men, elderly women. 국문초록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각과 생활만족도 관계 비교연구 박영민 인제대학교 대학원 가족소비자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실태와, 성공적 노화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성별로 파악․비교해 봄으로서 남녀노인의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의 실태는 어떠하며, 성공적 노화를 결정하는 배경요인이 남녀노인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해 보았으며 둘째,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의 전반적 경향은 어떠하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및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남녀노인별로 규명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남성노인(167명)과 여성노인(168명)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백분율과 평균,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 첫째, 남성노인이 지각하는 총 성공적 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48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볼 때, 자율적 삶, 자녀에 대한 만족, 타인수용, 자기수용, 자기완성지향, 부부동반자적 삶, 적극적 인생참여의 순으로 성공적 노화를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었다. 여성노인이 지각하는 총 성공적 노화는 평균 3.60점으로 남성노인들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미는 없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자녀에 대한 만족, 자율적 삶, 자기수용, 타인수용, 자기완성지향, 적극적 인생참여, 부부동반자적 삶의 순으로 성공적 노화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지각의 차이는 ‘적극적 인생참여’와 ‘자녀에 대한 만족’의 두 측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여성노인들의 평가가 남성노인들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분석에서, 남성노인의 총 성공적 노화는 학력, 경제수준, 건강상태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노인은 종교를 제외한 연령, 학력, 경제수준,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각차이는 대체로 여성노인들이 종교와 건강상태, 학력에 따라서 남성노인들보다 집단 간 차이를 좀 더 많이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셋째,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의 결정요인 분석에서, 남성노인이 지각하는 총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력2의 3개 변인이며, 이들 변인의 설명량은 27.2%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이 지각하는 총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배경변인은 학력2이었으며, 그 다음이 학력1, 경제수준, 건강상태, 종교의 순으로 이들 5개 변인은 37.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노인의 성공적 노화 결정요인을 비교해 보면, 대체로 여성노인들은 남성노인들보다 배경변인에 의해 성공적 노화가 더 많이 설명되었다. 또한 여성노인들은 남성노인들에 비하여 학력과 종교 변인에 의해서, 남성노인들은 여성노인들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에 의해서 더욱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생활만족도 첫째, 남녀노인의 생활만족도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02점, 여성노인은 2.90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남녀노인 간 생활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남녀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차이 분석에서,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는 경제수준과 건강상태의 2개 변인에서,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는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력의 3개 변인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 노화인식 정도에 따른 남녀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우선 남성노인이 지각하는 총 성공적 노화정도 및 하위영역별 성공적 노화정도에 따라서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도 총 성공적 노화 및 하위영역별 성공적 노화정도에 따라서 비교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을 비교해 보면 남성노인들의 생활만족도는 경 제수준에 의해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그 다음이 자기수용, 건강상태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으며 이들 3개 변인의 설명량은 41.5%였다. 여성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경제수준이었으며, 그 다음이 자녀에 대한 만족, 건강상태, 부부동반자적 삶의 순으로 이들 4개 변인의 설명량은 50.0%였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을 비교해 보면, 남녀노인 공히 자신의 경제수준과 건강상태가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가운데 남성노인들은 ‘자기수용’에 의해서 생활만족도가 결정되는 반면, 여성노인들은 ‘자녀에 대한 만족’과 ‘부부동반자적 삶’의 두 요인에 의해서 생활만족도가 결정되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노년기 경제상황과 건강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의 생활만족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인 동시에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도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우리나라 남녀노인들은 여전히 전통적 성역할에 부합되는 생활을 해 나갈 때 노후생활이 성공적이고 만족하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으로 노인들의 학력, 건강 등의 향상으로 인하여 미래 노인들이 지각하는 성공적 삶과 생활만족의 기준은 전통적 성역할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영역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전망되었다. 핵심어 : 남녀노인, 성공적 노화, 생활만족도,

      • 자동차 안전 이슈와 법제도 고찰 및 안전확보 방안

        이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343

        현대 소비생활에서 자동차는 생활필수품으로써 다른 소비제품보다 내구재적 성향이 강하고 재산적 가치가 있는 소비제품이다. 그런데 자동차는 사고 발생 시 생명과 신체, 재산상 피해가 심각하므로 다른 소비제품보다 안전이 중요한 소비제품이다. 자동차는 약 2만여 개의 부속품으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최근에는 전자 및 기술적 기능까지 더해져 자동차로부터의 소비자 안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폭스바겐 자동차의 가스 배출량 조작 사건, 도요타 자동차의 리콜 사건, BMW 차량의 화재사건 등이 계속되면서 자동차 결함 여부 및 사건 발생원인 등에 대한 파악 및 소비자 피해구제 관련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자동차 안전사고가 반복되면서 자동차 제조사의 책임 범위, 리콜 제도의 효율적 운영, 자동차 피해구제에 대한 법적, 제도적 시스템에 대한 논란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0년 이후 급발진 관련 소비자 상담건 수는 5년 평균 196건이었으나 대법원은 자동차 제작사의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자동차 급발진 관련 소비자와 사업자 간의 분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신차 구입 이후 소비자와 판매자, 제조업자와의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신차의 하자 및 결함 여부, 신차 교환 및 환불, 신차의 품질보증 등 계약과 관련하여 소비자와 사업자 간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내 자동차의 교환·환불 요청 건수는 2016년 250여 건이었는데 이 중 4건만이 교환·환불이 진행되면서 2019년 신차의 교환·환불을 용이하게 해주는 한국형 레몬법(자동차관리법 개정)이 도입되었다. 레몬법 도입 이전까지 공정거래위원회 시행령인 자동차 품목별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이 보수적이고 엄격하여 신차의 교환이나 환불 또는 피해구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소비자 불만이 높았었다. 다행히 신차 결함 관련 분쟁처리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레몬법’ 도입으로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여전히 레몬법 적용이 보수적이어서 소비자 불만이 계속 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로 인한 소비자 안전 및 피해에 대한 실증조사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소비자 관점에서 자동차 안전 및 피해구제에 대해 논의 및 분석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일반 소비제품 관련 리콜 제도, 제조물책임법, 집단소송, 징벌적 손해배상 등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많았으나 이 같은 논의가 자동차에 초점을 둔 경우는 많지 않다. 또한 최근 입법된 한국형 레몬법 즉 신차의 교환 및 환불 등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소비자들의 자동차 안전 및 피해구제에 초점을 두고 여러 법 제도를 소비자 관점에서 비교 논의 및 분석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로부터의 소비자 안전 및 피해구제 관련 법 제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첫째, 자동차 소비자 안전 및 피해구제 관련 법 제도의 내용 및 주요 이슈를 살펴보았다. 둘째, 자동차 소비자 안전과 소비자 피해구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이 분야의 주요 이슈를 파악하였다. 셋째, 자동차로부터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고 소비자 피해구제의 효율화를 위한 법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향후 자동차 안전 및 피해구제 관련 개선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조사 결과 자동차 하자 발생 시 소비자들의 불만이나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많음에도 자동차 안전 관련 법, 제도적 기반이 소비자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고, 자동차 안전 관련 법제도 및 피해구제가 적절치 않은 것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계속되고 있으매 주목해야 한다. 둘째, 자동차 관련 리콜 제도의 경우 일반 소비제품 리콜보다 자동차 리콜이 상대적으로 쉽지 않고 그 결과 자동차 분야에서 소비자 안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 결함이나 안전상 우려가 사회적으로 인정되어야 리콜 법 제도의 적용을 받는데 자동차 리콜 제도의 효율적 운영이 되지 못한다는 주장이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소비자가 자동차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다 결함을 발견하거나 하자 등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또는 자동차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또는 구제받기 위해서는 보통 민법이나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의 자동차 관련 기준을 적용받게 되는데 관련 규정의 개선 및 변화가 필요하다. 공정거래위원회 시행령인 소비자분쟁해결기준(품목별)에서 자동차분쟁해결기준은 자동차 관련 소비자와 사업자의 분쟁 상황을 명확히 반영하고, 사업자가 소비자 피해구제에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기준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도입된 자동차관리법상의 신차 교환·환불 규정, 일명 레몬법 등을 반영하는 기준이 되어야 한다. 넷째, 자동차 관련 제조물책임법에 근거해서 자동차결함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가 쉽지 않다. 실제 이 법을 근거로 자동차 피해구제를 한 사례가 드물다는 사실이 이를 증빙한다고 하겠다. 특히 자동차 급발진의 경우 제조물책임법에 근거하여 소비자 피해구제가 쉽지 않다. 향후 제조물책임법에서 자동차 제조결함 입증을 사업자가 더 적극적으로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물론 2017년 제조물책임법 개정으로 소비자 입증책임이 완화되었으나 자동차 결함 관련 제조물책임법의 적용과 운영에서 변화가 보이지 않고 있다. 자동차라는 제품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피해 구제 관련 특별법 제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는 다른 소비제품 보다 손해의 범위가 넓고 결함 입증이 쉽지 않다는 점 등이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2019년부터 새 차 구입 후 1년 이내에 중대하자 2회 발생, 일반 하자 3회 발생 후 또다시 하자가 발생 시 자동차안전하자위원회의 중재를 거쳐 교환이나 환불이 가능하도록 했다. 일명 한국형 레몬법, 자동차 및 전자 제품 결함에 대해 제조사가 소비자에게 교환, 환불해 주는 이 법의 적극적 운영이 시급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한국형 레몬법은 소비자들이 교환·환불을 받으려면 신차를 구입할 때 자동차 제조사들과 하자 발생 시 교환 또는 환불을 보장한다는 서면계약을 해야 한다. 결국 사업자의 협조 없이는 교환 또는 환불이 어려워 사실상 레몬법 규정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매매계약 시 자동차 제조업체가 레몬법 내용을 수락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법 제도적 조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교환, 환불 최종 의사결정 단계인 중재위원회에서 쉽게 교환·환불해 주지 않는 경향의 변화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국토교통부령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98조 2 제1항 제3호(자동차의 교환·환불 요건 등)에 자동차 제작사와의 구매계약에서 자동차 하자 발생 시 신차로의 교환·환불 보장 내용이 포함된 계약서를 의무적으로 작성하도록 자동차관리법 규정을 개정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섯째, 자동차 결함 피해의 경우 집단소송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소비자원의 집단분쟁 조정 제도나 증권 분야의 공시 관련 집단 피해구제 제도를 변경·확대하여 자동차 분야 만이라도 일부 도입하여 자동차로부터의 소비자 피해구제를 원활히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최근 우리 사회에서 미국식 집단소송제도 및 징벌적 배상제 도입 등이 자동차 관련 소비자권익 강화 제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거세다. 특히 한국형 레몬법이 도입되었음에도 아직도 국내 시장에서 자동차 교환·환불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결함에 대한 제조사의 책임 강화, 자동차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등 자동차안전정책 강화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매 주목해야 한다. 여덟째, 자동차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는 법 제도, 이와 관련한 실증 연구·조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소비자와 자동차 판매자의 거래 관계에서의 분쟁을 적용하는 민법 상의 하자에 대한 소비자 입증 책임 문제, 사업자에 비해 소비자의 자동차 정보 및 전문성이 부족으로 인한 거래상의 비대칭성 문제, 특히 리콜 대상이 아닌 소비자 개별적 결함이나 각종 문제와 관련한 법 제도 및 자동차로부터의 소비자 안전에 대해 더 많은 논의와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차안전강화 정책에 대한 요구 등을 연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 관련 소비자 안전 확보, 소비자피해구제 효율화, 자동차 관련 소비자와 사업자 간의 분쟁 예방 등에 기초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자동차 안전 관련 법 제도의 개선, 자동차소비자 안전과 피해구제 관련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In modern consumer life, automobiles are necessities of life, and they are a consumer product that has a stronger tendency to be durable than other consumer products and has property value. However, automobiles are a consumer product in which safety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consumer products because the damage to life, body and property is seriou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 car is a product made up of about 20,000 parts, and recently, electronic and technical functions have been added, so consumer safety from automobil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Volkswagen's gas emission manipulation incidents, Toyota recalls, and BMW car fires continu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of vehicle defects and the cause of the incident and remedies for consumer damage continue. As automobile safety accidents are repeated, controversy over the scope of liability of automobile manufacturers,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recall system,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vehicle damage relief has become a social issue. In Korea, the number of consumer consultations related to sudden acceleration since 2010 has averaged 196 cases over the past five years, but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not liable for damages. However, disputes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 operators regarding the sudden acceleration of automobiles are expected to continue. In addition, disputes between consumers, sellers, and manufacturers have continued since the purchase of a new car. Disputes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 owners continue to arise regarding contracts related to defects and defects in new cars, exchanges and refunds for new cars, and quality assurance for new cars. The number of exchange/refund requests for domestic cars was about 250 in 2016, and only 4 of them were exchanged/refunded.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Lemon Act, consumer complaints were high because the Fair Trade Commission's enforcement decree, the standard for resolving consumer disputes by car item, was conservative and strict, resulting in insufficient replacement, refund, or damage relief for new cars. Fortunately, consumer complaints about handling disputes related to new car defects have been largely resolv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emon Act’. However, consumer dissatisfaction continues to arise due to the conservative application of the Lemon Law. However, empirical research studies on consumer safety and damage caused by automobiles are very insufficient,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 and analyze automobile safety and damage relief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There have been relatively many discussions about the recall system related to consumer products, the Product Liability Act, class action lawsuits, and punitive damages, bu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these discussions focused on automobiles. In addition, although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recently enacted Korean Lemon Law, that is, the exchange and refund of new cars, there are no prior studies that compare and discuss and analyze various legal systems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focusing on consumers' automobile safety and damage relief. hard to se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onsumer safety and damage relief from automobiles was examined in detail. To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detail, first, the contents and major issues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automobile consumer safety and damage relief were examined. Second, major issues in this field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automobile consumer safety and consumer damage relief. Third,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legal system to secure consumer safety from automobiles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umer damage relief. Based on the content discussed in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related to vehicle safety and damage relief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even though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olving consumer complaints or problems in the event of a car defect, the automobile safety-related laws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do not accommodate consumer demands, and consumers are It should be noted that complaints continue. Second, in the case of the automobile-related recall system,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recall automobiles compared to general consumer product recalls, and as a result, consumer safety is not sufficiently secured in the automobile sector. There are many arguments that the recall law system does not work effectively when a vehicle defect or safety concern is socially acknowledged to be subject to the recall law, so improvement is needed. Third, when a consumer finds a defect or is damaged by a defect while purchasing and using a car individually, or in order to solve or obtain relief from a problem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car transaction, it is usually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automobile-related standards in the Civil Act or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tandards. In order to be appli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change the relevant regulations. In the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tandards (by item), which i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standards for resolution of automobile disputes should be revised to a reasonable standard that clearly reflects the situation of disputes between automobile-related consumers and business operators and that business operators can actively accept consumer damage relief. In particular, it should be a standard that reflects the new car exchange/refund regulations in the recently introduced Automobile Management Act, the so-called Lemon Act. Fourth, it is not easy to remedy consumer damage related to automobile defects based on the Automobile-related Product Liability Act. In fact, the fact that there are few cases of car damage relief based on this law proves thi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udden engine start, it is not easy to remedy consumer damage based on the Product Liability Ac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business operator more active in proving automobile manufacturing defects in the Product Liability Act. Of course, with the revision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in 2017, the consumer's burden of proof was eased, but there is no change in the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related to automobile defect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related to damage relief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automobile product. This is because automobiles have a wider range of damages than other consumer products and it is difficult to prove defects. Fifth,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from 2019,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ll receive an exchange or refund through the arbitration of the Automobile Safety Defect Committee in the event of two major defects and three general defects occurring within one year of purchasing a new car from 2019. made this possible The so-called Korean Lemon Law, which allows manufacturers to exchange or refund defective automobiles and electronic products to consumers, is urgently needed. The current Korean lemon law, which is currently in force, requires consumers to sign a written contract with automakers to guarantee exchange or refund in the event of a defect when purchasing a new car in order to receive an exchange or refund. In the end, it is difficult to exchange or refund without the cooperation of the business operator, so the purpose of the Lemon Act cannot be effectively lived out. Activ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are additionally required to force automakers to accept the Lemon Act when signing a sales contract, and the arbitration committee, which is the final decision-making stage for exchanges and refunds, needs to change the tendency to not easily exchange or refun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defect in the purchase contract with an automobile manufacturer in Article 98-2, Paragraph 1, Item 3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rdinance, the contract includes the exchange/refund guarantee for a new vehicle. We would like to propose to amend the regulations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to make it mandatory. Six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lass action system in case of damage to automobile defects. It is necessary to change and expand the current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system of the Korea Consumer Agency or the collective damage relief system related to disclosure in the securities sector, and introduce some in the automobile sector to facilitate consumer damage relief from automobiles. Seventh, there is a strong demand in our society for a system to strengthen consumer rights related to automobil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American class action system and punitive compensation system. In particular, eve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Lemon Law, it is still difficult to exchange or refund cars in the domestic market, so it is a reality that needs improvement. It should be noted that consumer demands for strengthening automobile safety policies such as punitive damage compensation system, strengthened manufacturer's responsibility for defects, and auto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are increasing. Eigh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legal system to protect consumers from automobiles, and empirical research and investigations related to this. The problem of consumer verification responsibility for defects in the civil law that applies disputes in the transaction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car sellers, which is a recent issue in our society, asymmetry in transactions due to the lack of automobile information and expertise of consumers compared to business operators; In particular, more discussion and research on consumer safety from automobiles and legal systems related to individual defects or various problems that are not subject to recall are need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analyze the demand for automobile safety reinforcement policies targeting consumers.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securing automobile-related consumer safet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onsumer damage relief, and preventing disputes between automobile-related consumers and business operato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timulate the improvement of automobile safety-related legal systems, 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utomobile consumer safety and damage relief.

      • 중국의 민영화와 민영기업 활성화에 대한 연구

        장세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42

        Private firms are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China's economic growth and an important part of the Chinese economy. As a pillar of the national economy and industrial development, state-owned firms represent a significant portion of Chinese firms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and economic strength. But many private firms, includin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till play the important role in injecting vitality into the market and driving economic growth. This paper analyzes the role of private firms i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the rapid development of private firms in recent years and its problem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privatization in China. According to the statistics in 2017, state-owned firms dominate energy, finance and materials sectors, while private firms dominate consumer products and services, high-technology and real estate industri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brand awareness, brand value and the best employers for college students also prove that Huawei and other private firms hold high-ranking positions. The fourth chapt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ization policies in China since 1978. It can be seen that China's privatiz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seven stages according to policy objectives. The first stage was from 1978 to 1984 and the seventh stage was from 2012 to 2018. Meanwhile, there are various problems behind the rapid development of private firms. The fifth chapter analyzes these problems focusing on caus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ur major problems are identified; lack of core technology, lack of government support, scarc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nd less-developed financial system. As for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the inadequacy of government policies and lack of infrastructure are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s, active technological innovation, enhanced government support, employee motivation and government’s expansionary policy are proposed. In summar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rivatization and the activity of private firms in China, and explores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privatization process and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future. This study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more efficient environment that is necessary for the Chinese firms to grow. 민영기업은 중국경제의 성장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량이며 중국경제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공기업이 국민 경제와 산업 발전의 버팀목으로서 국가의 기술력과 경제력을 대표하고 있으나 중소기업을 포함한 많은 민영기업은 여전히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경제발전에서 민영기업의 역할과 최근 민영기업의 급속한 발전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3장 중국의 민영화 현황 분석에서는 2017년 통계를 기준으로 볼 때 공업, 에너지, 금융, 소재 분야에서는 공기업이, 소비성 제품과 서비스, 기술 산업, 공업 및 부동산 분야에서는 민영기업이 우위를 보이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가치,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 순위에 관한 자료를 통해 Huawei와 같은 민영기업이 상위권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1978년 이후 중국의 민영화 정책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의 민영화 정책 과정은 제1단계(1978년∼1984년)에서 제7단계(2012년∼2018년)의 총 7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상이한 정책 목표를 가지고 민영화 정책을 추진 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민영기업의 급속한 성장 이면에는 다양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강구하였다. 여러 문제점들 중에서 주요한 네 가지를 분석하였는데, 핵심 과학기술의 부족, 정부의 지원 부족, 고급 인력자원의 부족과 금융 시스템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도 정부 정책의 비효율성, 인프라의 부족 등 부수적인 어려움이 동반되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기술혁신, 정부 지원의 강화, 직원들에 대한 동기 부여 및 정부의 확장적인 정책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민영화와 민영기업 활성화에 대한 현황을 분석해보고, 민영화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민영화 및 민영기업에 대한 연구는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이슈이며, 이는 기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더 큰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