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스포츠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여가만족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려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e-스포츠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여가만족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위해서 중국 6개교 대학의 학생들을 표집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1,850부이며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자료 1,236부를 제외 총 61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방법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정도, 대인관계, 여가만족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haffe)을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1.0를 활용해서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참여정도, 대인관계, 여가만족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차이가 대체적으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e-스포츠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정도는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e-스포츠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정도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e-스포츠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정도는 여가만족에서 영향을 미친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대인관계는 참여정도와 대학생활적응간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대인관계는 참여정도와 여가만족 간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중국대학생의 e-스포츠 참여정도 및 대인관계, 여가만족, 대학생활적응 간은 인과관계가 있는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relationship amo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eisure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Sports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secure the basic data of the research,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wp to conduct the survey. A total of 1,850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nd 614 par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data found to be insincere in the dual respons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questionnaire. t-test,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Shaffe) were perfor 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degree,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isure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nalyzed using AMOS 21.0 to verify the hypothesis. Firstly, in accordance with these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leisur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the leisure particip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Sports was confirmed to have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ly, the leisure particip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Sports has been confirmed to have influenced university life adaptations. Fourthly, the leisure particip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Sports showed influence to the leisure satisfaction of universities. Fifth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been found to have partial interventions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s. Sixth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been found to have a partial se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eventhly, a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the particip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e-Spor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eisure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 철인3종 경기 참가자들의 운동중독이 생활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송대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exercise addiction among domestic triathlon participants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as a way to ensure the right path of physical exercise for triathlon participa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riathlon participa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triathlon hosted by the Korea Triathlon Association as of 2019 were selected as subjects. A total of 300 questionaires, 30 copies per 10 triathlon races, were distributed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mong them, 286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only 266 were used in the study, excluding 20 questionnaires whose responses were deemed insincere. SPSS/WIN 25.0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method,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 groups for significant results were performed by Scheffe's post-test. At this time,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set to p< .05,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nalysis of exercise addiction factor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iathlon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time, exercise frequency,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duration; and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exercise frequency, and mental health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exercise intensity. Second, after verifying the effect of exercise addi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riathlon participants, excluding withdrawal symptoms and athletic desire, emotional attach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after verifying the effect of exercise addiction on mental health in triathlon participants, exercise addic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ll of the mental health factors, which were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relief. Fourth, after verifying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mental health in triathlon participants, life satisfaction showed a negative effect on all of the mental health factors, which were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relief. 본 연구는 철인3종 경기 참가자의 올바른 운동 방향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써 국내 철인3종 경기 참가자의 운동중독이 생활만족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19년 기준 대한철인3종협회에서 주최하는 경기에 참여하는 철인3종 경기 참가자를 대상으로 확률표본추출법 중 층화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10개의 경기 당 30부씩,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286부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266부만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WIN 25.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 유의한 결과에 대한 개별집단 간의 차이검증은 Scheffe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으로는 p< .05로 설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철인3종 경기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중독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운동시간, 운동빈도, 운동강도, 운동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만족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운동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신건강 요인은 연령, 운동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철인3종 경기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운동중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금단증세, 운동욕구를 제외한 감정적 애착은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철인3종 경기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운동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운동중독은 강박증, 대인 민감증, 우울증, 불안, 적대감 완화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철인3종 경기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생활만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생활만족은 강박증, 대인 민감증, 우울증, 불안, 적대감 완화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윤치성 한국체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9년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권도 도장에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 남ㆍ여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연구대상은 30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윤병인(2005)의 “청소년 태권도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내적동기에 관한 연구”, 남성관(2006)의 “성인 남녀들의 체육활동 참여와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 황기동(2006)의 무도수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이강규(2007)가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신체적 자아개념이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연구에서 사용된 것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는 학교생활전반에 대한 적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상필(1990)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문지를 참고하여 민병수(1991)가 제작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 신뢰도인 Cronbach's α 값은 .601~.702의 분포로 나타났다. 조사절차는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지를 완성하게 한 후 회수된 자료는 유효 표본만을 Windows 용 SPSS/PC+ 15.0 Version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년과 수련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체적 자아개념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담임-아동, 학교행사, 학교규칙,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on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After setting this research, the primary school students whom training in taekwondo hall which was located in the entire current country and convenience sampling of 300 youth in that group in 2009. The research tool for using this was the Physical Self-Concept as amended and supplemented by Lee(2007),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as amended and supplemented by Min(1991). The Cronbach's price α, which was a measurement tool reliability of this research appeared with .601-.702 distribution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directness visited the corresponding area and completed self-administering method with question sheets then collect them. After collecting the available datum, then put it into the windows SPSS/PC+15.0 version Program, which was used to arrange unitary variate analysis. Unlike in this research method and process, we get the resul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relations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First, the there are in physical self-concept relations according to sex of prim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relations according to class and training level of primary school students. Second,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does not causal relations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 택견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만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생활체육으로서 택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택견 생활체육 지도자와 택견 생활체육동호인, 택견 미 참가자 등 총 43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자 하였다. 이 중 답변이 성실하지 않은 23명을 제외한 407명을 최종 연구 조사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전국 택견 지도자와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 택견 동호인 그리고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과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총407명의 응답결과를 토대로 한 자료 분석은 PC-SAS 9.1e Version 통계프로그램 (SAS Institut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이용하여 평균(M) 및 백분율(%)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택견의 생활체육으로서 인지정도 파악에 관한 결과는 인지정도, 흥미정도, 간접경험, 관람의향이 그렇다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 정도에 354명인 86.97%가 그렇다 이상으로 건강에 매우 좋다는 인식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시설의 장애요인으로 시설부족, 공공시설을 미활용이 그렇다 로 시설이 좋지 않음, 시설사용료 및 입장료, 편의 및 부대시설 부족에 그렇지 않다 로 나타났다. 시설의 활성화요인은 최신 시설의 확충, 상해를 예방하는 장비의 구축, 합리적인 시설운영, 생활체육 시설의 확충, 직장체육 시설의 활용이 그렇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장애요인으로 지도자의 자질부족, 전일제 및 노인전담지도자가 없어서는 그렇지 않다 로 인원부족, 생활체육 지도자가 없어서 ,임금이 적어서가 그렇다 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활성화 방안으로 인격적인 수양, 생활체육지도자 및 경기지도자 자격제도가 시행, 근무 여건 개선, 택견 지도자 확충이 그렇다 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각종 연수를 통하여 지식이 더욱 깊어진다면 222명인 54.50%가 그렇다 로 도움이 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장애요인으로 단조로움, 다른 운동에 비해 힘든 운동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질이 낮아서 에 그렇지 않다 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없어서, 대상별 프로그램이 없어서 에 그렇다 로 부족함이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 흥미로운 프로그램, 음악과 접목, 대상별 프로그램이 개발, 택견7330 프로그램, 가족 및 직장 단위 프로그램이 그렇다 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의 장애요인으로 홍보의 부족, 대중매체의 이용 부족, 투자 부족. 공공 홍보를 활용하지 못해서, 홍보의 전문 인력 부족에 그렇다 로 부족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 방안으로 각종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공공기관을 통한 홍보, 공연을 통한 홍보가 그렇다 로 나타났고, 특히 CF광고를 통한 홍보에 332명인 81.57%, 언론 기사화가 329명인 81.03%가 그렇다 이상으로 홍보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의 장애요인으로 경기의 다양성 부족, 특정한 선수만 할 수 있기 때문, 다른 경기에 비해 부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 택견 전문 경기장이 없어, 각종 대회가 너무 많아서 에 그렇지 않다 는 것을 나타났다. 경기의 활성화 방안으로 생활체육 각종 대회를 자주 개최,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는 대회를 개최, 경기를 야외에서 개최, 경기를 더욱 세분화하여(학년별, 체급별 등)실시, 경기를 재미있게 구성에 그렇다 로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의 장애요인으로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 제도가 없어서 그렇지 않다 로, 접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어서, 재정적 지원의 부족, 유관 기관 및 단체와의 협조를 구축하지 못해서, 지역 및 동호인간의 교류가 없어서가 그렇다 로 나타났다. 정책의 활성화 방안으로 택견을 통한 남북 스포츠 교류, 유관기관 및 단체와의 협조를 구축, 충분한 재정 지원, 택견을 통한 교육적으로 도움에 그렇다로, 사회적 교류가 335명인 82.31%로 그렇다 이상으로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및 경력에 따른 택견의 인지정도·장애요인·활성화방안 비교는 인지정도에서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별 및 동호인 형태별, 월수입, 참여 만족도에 따른 택견의 인지정도·장애요인·활성화방안 비교는 인지정도 및 활성화방안은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요인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택견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 홍보, 경기, 정책이 서로 상호보완 작용을 하여 택견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몸으로 실행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eek ways to develop Taekkyon as a life sport and present directions for future-oriented policy-making.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population group totaling 430 respondents including Taekkyon trainers, Taekkyon learners and non-Taekkyon people. Among the population group, 23 were excluded due to unreliable replies and the rest 407 respondents were included as the final targets for this study. The selected population group includes Taekkyon trainers across the country, Taekkyon learners in Seoul, Kyungki Province and Incheon, as well as employed workers and students who reside in Seoul. The statistical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as PC-SAS 9.1e Version program (SAS Institute) and the average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of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aekkyon as a lifetime sport, respondents replied more than agreed in terms of perception level, interest lever, indirect experience and intention to watch Taekkyon. Especially, 354 respondents or 86.97% replied more than agreed, indicating that they perceive Taekkyon very helpful for health. Regarding bottlenecks in terms of facilities, respondents agreed to the questions that there are insufficient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are not used, but they disagreed regarding facility fee, entrance fee and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accessory facilities. Regarding how to activate utilization of facilities,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expanding latest facilities, building equipment that prevent injuries, running facilities in a reasonable way, expanding facilities for lifetime sorts and utilizing sports facilities at work places. Regarding bottlenecks in terms of trainers, respondents disagreed to the ideas of poor qualifications of trainers, lack of full-time trainers, and lack of trainers who are dedicated to train old citizens. However, respondents disagreed to the ideas of lack of enough manpower, lack of lifetime sports trainers and low level of salary. Regarding how to develop more qualified trainers,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cultivating personal character, having a license system for lifetime trainers and umpires,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expanding the number of Taekkyon trainers. Especially, 222 respondents or 54.50% agreed that the knowledge level of trainers can be deepened by providing various training programs. Regarding bottlenecks in terms of programs, respondents disagreed to the ideas of monotonous programs, physically harder programs vs. other sports activities, and low level of program quality, but agreed to the ideas of lack of diverse programs and lack of segmentized programs for different population groups. Regarding how to facilitate programs,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developing interest programs, adopting music for programs, developing segmentized programs, developing Taekkyon 7330 programs, and developing customized programs for families and employees at work places. Regarding bottlenecks in terms of public communication,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lack of communication activities, lack of using mass media, lack of investment, lack of using public communic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specialists. Regarding how to facilitate communication,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conducting communication by using various mass media, public institutions and performances. Especially, 332 respondents or 81.5% agreed to the idea of conducting communication by using CF commercial, and 329 respondents or 81.03% agreed to the idea of running press releases, indicating that these activities are highly helpful for communication. Regarding bottlenecks in terms of matches, respondents disagreed to the ideas of lack of diverse matches, matches are allowed for certain players only, there exists higher risk of getting injured during matches compared to other sports activities, lack of dedicated arena for Taekkyon matches, and there are too many matches. Regarding how to facilitate Taekky on matches,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holding various lifetime sports matches more often, hold matches where everyone can participate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holding outdoor matches, holding more segmentized matches (e.g., per school grade, weight, etc.) and organizing more interesting matches. Regarding bottleneck in terms of policy, respondents disagreed to the idea of lack of a license system for lifetime sports trainers, but agreed to the ideas of lack of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Taekkyon, lack of financial support, lack of collabo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groups, and lack of exchange with local communities and those who have interest in Taekkyon. Regarding how to facilitate policy-making,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s of promoting sports exchange program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building collabo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groups, acquiring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promoting benefit of Taekkyon for education purposes. Meanwhile, 335 respondents or 82.31% replied more than agreed to the idea of promoting social exchange, indicating that the idea would be very helpful. I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on Taekkyon per gender and experience level, perceived bottlenecks and how to facilitate Taekkyo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terms of perception level,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at p<.001. However, comparison of perceived bottlenecks and how to facilitate Taekkyon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I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on Taekkyon per gender and experience level, perceived bottlenecks and how to facilitate Taekkyon, based on age group and learner types, monthly income and satisfaction in participation,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how to facilitate Taekky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terms of perception level,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at p<.001. However, comparison of perceived bottlenecks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In order to promote Taekkyon as a lifetime sport, synergy should be created from various elements including facilities, trainers, programs, communication activities, matches and related policy to further facilitate Taekkyon.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ortant to execute ideas.

      • 중국 북경시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현호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As the Gross National Product of Beijing City increases, the citizens’ income and living quality have been improved greatly. With the growth of the living standard, Beijing citizens have more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the enhancement of physical fitness, and the enjoyments of leisure and high quality life. Life sports can provide the most effective resolution for their demands. The data used in this paper came from the report of Beijing Municipal Bureau of Sport on the life sports situation in Beijing City. Beijing Municipal Bureau of Sport conducted the survey of sports activities in daily life in Beijing City from April 2008 to February 2009.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that were collected, in terms of the discuss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life sports in the city and the community life sports situa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life sports and faciliti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nsumption for life sports and the life sports industr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structors of life sports in the cit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ife sports policies,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opulation of the life sport activities in Beijing City is comprised of retired women who are above 50 years old. The activity expense per person is less than 50 RMB in every year. In the sports lifestyle communities, sports family occupies 38.5% and 50% of the clubs have less than 250 members. There were not enough life sports instructors in general. The sports associations form a four-class network frame and promote independence and industrialization. The distribution of sports facilities sources is extremely unbalanced. On one hand, the sports and fitness facilities for public is extremely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phenomenon that sports facilities are leaving unused and wasted still exists. Almost 70% of the Beijing citizens have had sports consumption behaviors. Female consumers are more than male consumers. The number of level 3 life sports instructors occupies 60.62% in the city.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results above, acvation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sports facilities and environment, the life sports instructors, and events, the establishment and the organization of life sports policies, were proposed. However, other aspects of the current situation unexpectedly expounded, which is caused by the collected data and personal abilit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theoretical instru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fe sports and the policy decisions of related departments in Beijing City. 북경시 경제 성장력에 따라 주민 수입과 생활수준이 향상 되었다. 그리고 북경시민은 건강과 체질을 늘리고 여가와 고품질의 생활을 향유하기 때문에 북경시 생활체육에 대한 생활체육운동 및 체육생활화 커뮤니터 등을 급하게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경시 생활체육 발전에 통해 지방자치단체 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효과적인 활성화 방법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북경시 체육국의 조사된 북경시 생활체육 상황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 얻은 것이다. 북경시 체육국은 2008년 5월부터 2009년 2월 사이 북경시 생활체육활동의 기본 상황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얻은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경시의 생활체육조직과 지역 사회 생활체육 현황, 북경시 생활체육 운동 및 시설 현황, 북경시 주민 생활체육 소비현황, 생활체육과 스포츠산업, 북경시 생활체육지도자 현황, 북경시 생활체육정책현황 등 여러 방면에 대해 토론을 거쳐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2008년에 이르기까지 북경시에서 생활체육활동을 하는 인구는 50세이상의 퇴직여성을 주로 봤을 때 1인당 평균 지출하는 활동비는 50위안 미만 이였다. 체육생활화하는 커뮤니티에서 체육가정은 38.5%를 차지한다. 50% 동호회의 회원인수는 250명이하이고 생활체육지도자의 총체적인 수가 부족하다. 체육단체는 4급 구조시스템을 형성하여 자주화, 실업화방향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체육시설자원의 분포는 극히 불균형적인데 한편으로 대중의 체육시설은 아주 많이 부족하고 다른 한편으로 체육시설의 방치와 낭비의 불합리한 현상이 존재한다. 약 70%의 북경시 주민은 체육활동 참가를 위해 비용을 소비해본 적이 있고 여성소비자의 수는 남성보다 높았다. 3급 생활체육지도원은 전 생활체육지도원의 60.62%를 차지한다. 위에서 서술한 결과의 연구와 분석을 통해 북경시 생활체육시설, 환경 개선, 생활체육지도자, 생활체육운동 프로젝트, 생활체육정책의 수립 및 조직 개선 등 4가지 방면에 지방자치 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건의했다. 하지만 통계한 데이터는 북경시 생활체육현황의 기타 방면에 대해 지나치게 논술하였다. 본 연구가 북경시 생활체육의 발전과 관련 부문의 정책 결정에 이론적 자료가 되길 바란다.

      •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왕충승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acculturative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Chin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study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ampling 483 people among them, and 406 part questionnaire data were treated, except 77 part questionnaire what was deemed unfaithful or was missing some of the questions answered in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analyze to the data collected, PASW Window Version 19.0 was us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verification, one-way ANOVA(One-way ANOVA) was conducted, an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ignificantly validation result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dividual groups, post-hoc Scheffe's method was performed. With the above purpose, we want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on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of Chin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y,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hinese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ies what we participating, thes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orean level, cost of living one month and the length of stay in Korea. Second, According to the Chinese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stress, thes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ccording to the Chinese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s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orean level, expenditure of leisure. Fourth,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presence, frequency, time) in leisure 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stress, thes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awe. Fifth,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presence, frequency, time) in leisure 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s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college satisfaction, and social adaptation by presence of participation, thes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s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by time of participation. Sixth, According to the Chinese students' acculturative stress, the results of analysis, these have huge statistically influence in university life adjustment. 이 연구는 한국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국유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483명을 표집 하였고, 그 중에 불성실하다고 판단되거나, 질문 답변의 일부가 누락된 질문지 77부를 제외한 총 406부의 질문지를 자료처리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PASW Window Version 19.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결과에 대한 개별 집단 간의 차이검증은 Scheffe의 방법으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가지고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중국유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수준, 한 달 생활비, 한국체류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수준, 여가지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활동 참여(유무, 횟수, 시간)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 두려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 참여(유무, 횟수, 시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유무는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만족도, 사회적 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 횟수는 개인-정서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 시간은 개인-정서적 적응과 대학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통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의 댄스스포츠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원효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들과 대학부설 사회교육원, 여성회관, 장수마을에서 댄스스포츠를 수강하는 노인들로 설정하였으며, 단순무선표집방법(Simple random sampling)으로 총 550명중 내용이 부실한 63개의 자료를 제외한 487명의 설문자료를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형중(1989)과 이종길(1992)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가설은 α=.05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은 차이가 있다. 즉, 연령,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건강정도는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배우자 유, 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댄스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라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은 차이가 있다. 즉, 참여정도의 하위요인인 참여 유, 무는 참여집단이 비 참여집단에 비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댄스스포츠 참여기간은 6개월 미만의 집단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여가만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요인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회적 만족,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요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nternal consistency, retest reliability of a measure of life satisfaction, describe these variabl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 people who attend dance sports regularly. This study sampled 487 old aged people who presently reside in Daejon city, utilizing the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old age in dance sports and leisure satisfaction was questionnaire acquired from Won Hyung Jung(1989) and Lee joung Geel(1992)'s mo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dance sport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age, sex, education and health, but there is no difference whether they get married or not. Second,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was shown to have a much stronger correlation tha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is mean that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helps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more than socio-demographic variables do. Third, the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Even though there is a bit difference betwee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in mental, education and relaxed satisfaction. But no difference is shown in social, physiological and living conditional satisfaction.

      • 중국 유학생의 레저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왕호남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rther adapt to the stress, tension, and study abroad lif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reveal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by suggesting effective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s of 2021, the study subject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273 Chines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Seoul, distributed a total of 273 questionnaires, and used only 235 copies, excluding 38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unfaithful. In order to measur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it consisted of a total of 6 questions: gender, age, length of stay, academic proces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monthly living expenses. It consists of 1 question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2 questions for leisure activities of non-participants, and 4 questions for leisure sports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consisted of 4 physiological questions, 4 psychological questions, 4 social questions, 4 educational questions, 4 rest questions, 4 environmental questions, and 24 questions of 6 types, and life satisfaction consisted of 5 questions. SPSS/WIN 26.0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metho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set to p<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length of stay, academic proces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partially affected,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s a leisure sport, all six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psychological, restful,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factors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factors.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social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레저 스포츠 참가가 여가 만족과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중국인 유학 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긴장, 그리고 유학 생활에 더 적응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생활만족도를 높일 목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21년 기준 현재 서울시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총 27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38부를 제외한 235부만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레저 스포츠 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 체류 기간, 학업과정, 한국어 능력, 월 생활비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레저 스포츠에 참여유무 1문항, 비참여자의 여가 활동 2문항, 레저 스포츠 활동에 참여 종목 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여가 만족도 생리적 4문항, 심리적 4문항, 사회적 4문항, 교육적 4문항, 휴식적 4문항, 환경적 4문항, 6가지 유형의 24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생활 만족은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WIN 26.0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 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유의한 결과에 대한 개별집단 간의 차이검증은 Scheffe의 사후검증이 실시되었으며, 이때 모든 통계값의 유의수준을 p< .05로 설정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 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 만족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체류 기간, 학업과정, 한국어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 만족 요인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의 레저 스포츠 활동 참여 유 무와 여가 만족 및 생활 만족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들의 여가 만족과 생활 만족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저 스포츠로서 여가 만족과 생활 만족 정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 만족의 6가지 하위요인 모두 생활 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 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생활 만족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분석한 결과, 교육적, 심리적, 휴식적, 생리적 만족 요인들이 생활만족도 요인과 서로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여가 만족 하위요인 중 사회적 환경적 만족 요인들은 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생활체육 축구동호인의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영제 남서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대사회에서 건강은 주요 관심분야의 하나가 되었고, 이러한 건강에 대한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생활체육의 관심 및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 생활체육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설적이며 창조적인 활동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크며, 국가적으로도 국민화합의 창출을 이루는 사회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생활체육은 직·간접적인 참여와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 및 정책수립도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생활체육 중 하나인 축구동호인을 대상으로 참여정도에 따른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서남부지역(안양, 군포, 산본, 의왕, 수원, 평택, 시흥, 안산) 및 서울지역에서 축구동호회로 활동하고 있는 만20세 이상의 남성 축구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104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검정(t-test),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구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정도에 있어 연령에 따라 운동 참여기간, 참여빈도 및 참여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수준에 따라 운동 참여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축구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에서는 교육수준 및 건강수준에 따라 환경적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소득수준에 따라 신체적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운동만족의 차이에 있어 운동 참여기간 및 참여시간에 따라 신체적 만족에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 참여빈도 및 참여강도는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식적, 신체적, 환경적 만족 및 전체 운동만족에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동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와의 차이 분석 결과, 운동 참여기간이 높을수록 운동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 참여강도에 따라 운동몰입에 차이는 있으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운동만족이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만족이 운동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심리적 만족이 생활만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몰입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축구동호인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결과, 운동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만족에 차이가 있으며 운동만족은 부분적으로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운동몰입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and affection of exercise satisfaction, exercise immers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eople who are joining the soccer participation as a good leisure activity in our country. To figure out, this study analyzed members of men who are over 20 years old and are joining the soccer clubbers in southwest region of Gyeonggi-do(Anyang, Gunpo, Sanbon, Uiwang, Suwon, Pyeongtaek, Siheung, Ansan) and Seoul with 104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version. First, the resul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bout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occer clubbers in the group had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ir age.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degree by their education level. Second, the resul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bout the exercise satisfaction of soccer clubbers had found that depending on education and health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depending on their income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in physical satisfaction. Third,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exercis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degree. Depending on the exercise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time, soccer clubbers differ with physical satisfaction,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strength are differ with the 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resting,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total exercise satisfaction. Fourth,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degree, in exercise immersion and life satisfaction is that if the joiners have a long time participating, they can get more immersion on exercising. there is a difference in immers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level, but there isn't any life satisfaction difference depending on participation degree. Fifth, the result of analysis, the exercise satisfaction was effects to immersion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ffected negatively to immers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lso, exercise immersion affected positively on life satisfaction on the results of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from exercise immersion.

      •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 척도 개발

        박수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be used to measure mannerism of sport for all leaders objectively and validate it. For the purpose, we have developed this scale in accordance with 8 stages (deduction of constructing factors, development of basic questions, review of content validity, face validity, question analysis,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evaluation of model fit, and validation of scale) based on theoretical and experiential approaches. For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cale, we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experiential data comprehensively and deducted a total of 3 mannerism factors including member mannerism, class mannerism, and self mannerism. Also, on the basis of this, we have constructed 61 basic questions to be used for a preliminary scale based on existing and new questions, and reduced the number of these basic questions to 41 after a review of content validity carried out by an expert group. Lastly, we have reduced these 41 questions to a total of 30 in three factors, including 7 questions of member mannerism, 11 questions of class mannerism, and 12 questions of self mannerism to come up with the preliminary scale after a review of face validity carried out by sport for all leaders. For development of the final scale, these 30 questions of the preliminary scale were reduced to 23 questions through a question analysis using data from 351 persons of our primary sample. Out of these 23 questions, we have deducted a total of 21 questions in three factors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cluding 11 questions of class mannerism, 6 questions of self mannerism, and 4 questions of member mannerism. Eigenvalues turned out to be 5.50 for class mannerism, 3.67 for self mannerism, and 2.04 for member mannerism. Factor loading values turned out to be 0.51〜0.76 for class mannerism, 0.51〜0.75 for self mannerism, and 0.47〜0.74 for member mannerism. The overall explanation variable turned out to be 53.45%. And as a result of reliability verification, reliability turned out to be 0.90 for class mannerism, 0.82 for self mannerism, and 0.61 for member mannerism.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data from 415 persons of our secondary sample, the measurement scale of 21 questions in three factors for mannerism of the leader in sports for all was validated at an approvable level.(x2=544.53, df=186, p<0.001, GFI=0.88, IFI=0.90, CFI=0.90, TLI=0.88, RMSEA=0.06). For generalization of the mannerism scale of sport for all leaders finally developed, cross validation verification, convergent validation verification, and prediction validation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First,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cross validation, the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urned out to have an identical structure of three factors(class mannerism, self mannerism, and member mannerism). Cross validation was also verified as reliability coefficient showed a similar result as evidenced by 0.90 for class mannerism, 0.82 for self mannerism, and 0.61 for member mannerism in the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0.90 for class mannerism, 0.82 for self mannerism, and 0.64 for member mannerism in the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carried out for convergent validity verification using a job boredom scale, mannerism(class mannerism, self mannerism, member mannerism) of the leader in sport for all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between characteristic boredom of job boredom and 0.34〜0.66(p<0.01) and in-between responsive boredom of job boredom and 0.39〜0.62(p<0.01), confirming convergent validity verification. Third,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for prediction validity verification using a job engagement scale, class mannerism and self mannerism of the leader in sports for all excluding member mannerism were confirmed to be prediction variables as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which are sub-factors of job engagement, turned out to have negative influence, verifying at the same time prediction validit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measure mannerism of sports for all leaders by factor and its validity was confirmed as it was developed to be used for the leader in sports for all. It is expected that this scale can be utilized in providing basic data for mannerism research of sport for all leader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sport for all.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경험적 접근을 기반으로 8단계(구성개념 도출, 기초문항 제작, 내용타당도 검증, 안면타당도 검증, 문항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모형적합도 평가, 척도의 타당화)에 따라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척도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와 경험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회원매너리즘, 수업매너리즘, 자아매너리즘 총 3개 매너리즘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기존문항 및 신규문항을 바탕으로 예비척도의 기초문항 61개를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 검토를 받아 41개로 축소하였고, 마지막으로 생활체육지도자를 통해 안면타당도 검토를 받아 회원매너리즘 7문항, 수업매너리즘 11문항, 자아매너리즘 12문항 총 3요인 30개로 축소하여 예비척도를 개발하였다. 최종척도개발을 위해 30문항의 예비척도는 1차 표본 351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문항분석을 통해 23문항으로 축소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업매너리즘 11문항, 자아매너리즘 6문항, 회원매너리즘 4문항 총 3요인 21문항으로 추출되었다. 고유치는 수업매너리즘 5.50, 자아매너리즘 3.67, 회원매너리즘 2.04로 나타났고, 요인적재치는 수업매너리즘 0.51〜0.76, 자아매너리즘 0.51〜0.75, 회원매너리즘 0.47〜0.74로 나타났으며, 전체설명변량은 53.45%로 나타났다.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수업매너리즘 0.90, 자아매너리즘 0.82, 회원매너리즘 0.61로 나타났다. 2차 표본의 415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21문항의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 측정척도는 승인 가능한 수준에서 타당화되었다(x2=544.53, df=186, p<0.001, GFI=0.88, IFI=0.90, CFI=0.90, TLI=0.88, RMSEA=0.06). 최종 개발된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 척도의 일반화를 위해 교차타당화 검증, 수렴타당화 검증, 예측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첫째, 교차타당화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차 탐색적 요인분석과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은 3요인(수업매너리즘, 자아매너리즘, 회원매너리즘)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 또한 1차에서 수업매너리즘 0.90, 자아매너리즘 0.82, 회원매너리즘 0.61, 2차에서 수업매너리즘 0.90, 자아매너리즘 0.82, 회원매너리즘 0.64로 비슷한 결과를 보여 교차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직무권태 척도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수업매너리즘, 자아매너리즘, 회원매너리즘)은 직무권태의 특성적권태와 0.34〜0.66(p<0.01)사이의, 직무권태의 반응적권태와 0.39〜0.62(p<0.01) 사이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셋째, 예측타당도 검증을 위해 직무열의 척도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 중 회원매너리즘을 제외한 수업매너리즘, 자아매너리즘은 직무열의 하위요인 활력, 헌신, 몰두 모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예측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예측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의 요인별 측정이 가능하고, 생활체육지도자에게 사용하도록 개발하여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척도는 생활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생활체육지도자의 매너리즘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