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생활체육 전문MC 발굴에 관한 조사 연구

        김범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에서는 생활체육 전문MC의 자질에 필요한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생활체육 전문MC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이벤트MC 협회에 소속되어 있는 전문MC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전문 MC를 모집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적 표집방법 중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하여 전문MC 16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검사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18부를 제외한 150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출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전문MC 자질의 하위요인은 ‘관심’, ‘자질’, ‘양성’으로 총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관심은 생활체육을 진행하는 사람으로서 생활체육의 목적과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참여자가 공감할 수 있는 언어와 행동을 전달하기 위한 생활체육에 대한 열정을 의미하며, 자질은 생활체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문MC에 대한 경험과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는 정도를 뜻한다. 마지막으로 양성은 생활체육 이벤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MC의 역량을 개발하고 생활체육 발전을 위해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체육 전문MC 자질에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 MC경력, 행사빈도, 생활체육 MC경험에 따라서 생활체육 전문MC 자질의 하위요인 관심, 자질, 양성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quality of MC specializing in sports-for-all and to develop MC test sites specializing in sports-for-all based on the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fessional MC belonging to the National Event MC Association were selected by recruitment, and data from 168 professional MC were collected through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one of the non-probable sampling methods. Among the recovered test sites, 15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the 18 parts that were deemed unfaithful. In order to produc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SPSS 22.0 and AMOS 25.0 programs to analyze exploratory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sub-factors of MC qualities specialized in sports-for-all consisted of three factors: 'attention', 'qualification' and 'positive'. Interest means passion for sports-for-all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sports-for-all as a person who conducts sports-for-all, and to convey the language and behavior that participants can sympathize with, and the qualit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aware of the experience and necessity of professional MCs to promote sports-for-all. Finally, training means developing MC's capabilities for smooth progress of sports-for-all events and exploring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for-all.

      • 생활체육 유도 보급 및 활성화 전략

        서광석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생활체육 유도 활성화에 대한 연구로써 생활체육 유도의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심층면담 응답은 귀납적 분석에 의한 내용분석을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체육 출신 생활체육 유도 지도자의 지도경험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생활체육 유도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생활체육 유도 활성화 방안은 무엇이며 해당 방안을 구체적으로 범주화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로 구분하였다. 연구문제 1-3의 설정을 기반으로 생활체육 유도 활성화 방안을 10개 중범주화하고 총 27개의 소범주화 하여 활성화 방안을 구명하였다. 생활체육 유도 방안의 중범주는 저연령층 활성화 방안, 홍보 방안, 리그제 방안, 훈련 시스템 방안, 협회 활성화 방안, 인식 변화 방안, 지도자 교육 방안 개편, 협회 영상 제작 방안, 대학 활성화 방안, 현재 진행 중인 활동 등의 10개의 중범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생활체육 저변확대, 초, 중, 고, 활성화가 필요, 저 연령층의 활성화 필요, 미디어 홍보, 유도에 대한 관심, 교재 또는 매뉴얼, 대한유도회의 관심 필요, 대중매체 홍보, 리그제 도입, 전문체육과 생활체육의 구분 없는 시합, 시합의 활성화는 생활체육 활성화에 도움 훈련 시스템 변경, 국가대표 선발 시스템 변경, 대한유도회 예산확보, 대한유도회 협회 인력충족, 초등학생 학부모에 인식변화 필요, 전문체육 출신 지도자가 필요, 올바른 가치관, 유도에 대한 자부심, 지도자의 교육 방식 개선, 공익광고 제작, 유명선수들의 기술 강의 영상제작 필요, 가이드라인 필요, 유도입시 대학 활성화 필요, 공무원 시험 가산점, 대학입시 가산점, 특기생 제도 총 27개의 소범주로 구분하였다. 전문체육 출신 생활체육 유도 지도자의 지도경험 특징으로 생활체육 지도자가 된 동기는 성과지향 및 승리 지향적 환경에 대한 반감과 전문체육 환경 탈피에 대한 개인적 욕구, 즐거운 지도가 목표, 새로운 환경에서의 유도 지도에 대한 욕구가 있다. 전문체육 선수 시절 강압적이고 성과지향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보니 생활체육 지도자가 된 동기가 되었다고 지도자가 된 이후 선수시절 영향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대한 유도지도 욕구가 있고 즐거운 지도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전문체육과 생활체육의 차이는 승패 및 신체능력 목적, 성적 중심지도 목적, 경기력 중심지도 목적이 있다. 전문체육의 목적은 성적지향적인 환경에 있는데 이는 사회의 인식과도 영향이 있고 대한민국 사회의 성적지향적인 사회가 전문체육까지 영향을 미쳤고 상급 학교 진학에는 성적이 필요하므로 성적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성적 중심이 되니 승패 및 신체능력, 경기력 중심 지도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적지향 영향은 사회의 인식과 제도에 영향이 있으면 이는 사회 전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생활체육 수련생 및 부모와 유대관계 형성 방안으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안, 전화상담 및 면담 방안이 있다. 정보화 시대인 만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어디서든 접할 수 있다. 또한 부모와의 유대관계를 위해 전화상담 또는 직접 면담을 통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부모가 지도자에게 유대감이 생기면 자연스럽게 수련생은 유지 된다. 생활체육 유도 훈련 시 주의점으로 안전 및 부상 교육 방안이 있다. 모든 운동 훈련 시의 기본인 부상 예방 및 안전 교육은 필수적이고 제일 중요한 점이다. 또한 유도의 덕목 특성인 예시 예종, 정력선용 등을 볼 때 인성교육을 접목하는 지도 방안은 필요한 교육이라 판단된다. 또한 생활체육 유도장의 분위기 형성으로 심적 안정과 동기유발을 해줌으로써 수련생들에게 편안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와 운동에 대한 욕구를 유발한다. 유도선수의 육성 체계 변화를 고려할 때 올바른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전문체육과 생활체육의 경기력 차이를 인지할 필요가 있고 전문체육과 생활체육의 융합되는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생활체육 대회 운영의 문제점은 경기 운영 및 시설 문제점이 있다. 경기 운영 방식은 구시대적이며, 전문체육 시합이랑 비교 했을 때 심판의 수준이 차이가 난다. 생활체육의 심판들 인식개선과 새로운 방식의 교육법이 필요하다. 또한 소규모 시합과 시합장 시설의 협소함이 생활체육인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위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결한다면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협회 행정 문제점으로 선수등록 시스템을 통합하여 생활체육과 전문체육이 구분 없이 되어야 하며, 사단단체의 파벌주의 현상을 개선하여야 한다. 그리고 활성화를 하기 위해 거리 제한이라는 제도를 없애서 유도장을 많이 운영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생활체육 유도 활성화 방안으로 대한유도회에서 체육관 지원 사업을 통하여 새로 오픈 할 도장운영 피드백을 주어 체육관 수를 늘리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방과 후 수업과 체육수업에 유도수업을 추진하여 많은 인구가 유도를 접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예능 프로그램을 통한 유도 홍보를 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재 및 매뉴얼 제작을 한다. 그리고 리그제를 도입하여 소규모 대회부터 시도 하여 단계별로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고 기업의 지원을 받아 대회 개체 수 증가 시킨다. 후에 생활체육인도 국가대표 선발전에 참가할 수 있게 만드는 리그제를 도입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생활체육 유도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이 적용되어야 한다. 생활체육 유도의 활성화는 아직 미흡 상태지만 점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활체육 저변확대를 통해 전문체육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점점 젊은 층의 전문체육 출신 생활체육 지도자들이 발탁되는 현황이므로 향후 생활체육인들의 유도 수준이 올라갈 것이다. 하지만 활성화 방안들은 단기적 보단 장기적으로 봐야 하며, 당장 큰 효과를 보긴 힘들 것이다. 나아가 생활체육 유도 활성화 방안에 단기적 방안의 정체성을 제시하여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주5일제 수업 시행에 따른 중학생 생활체육 활동실태 비교 분석

        공정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주5일제 수업 시행에 따른 중학생 생활체육 활동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활체육 활동 참여도 및 그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전면적인 주5일제 수업 시행에 따른 생활체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올바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v.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교차,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생활체육 활동 참여도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생활체육 활동 여부를 살펴 본 결과 학년, 부모의 연령, 주거 형태, 학교 주5일제 수업 실시 횟수에 따른 활동 참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참여 수준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은 가정, 월 소득이 높은 가정, 어머니가 주5일제 근무를 실시하는 가정, 부모가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가정의 학생이 그렇지 않은 가정의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나타냈다. 또한 생활체육 시설 개수가 많을수록 학생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생활체육 활동 빈도를 살펴 본 결과 학년 및 성별, 부모의 연령, 학교 주5일제 실시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 학력이 높은 가정, 월 소득이 높은 가정, 아버지가 주5일제 근무를 실시하는 가정, 부모가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가정의 학생일수록 그렇지 않은 가정의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단독, 다세대, 연립주택보다 아파트와 주상복합에 사는 학생이 높은 참여 빈도를 보였으며, 생활체육 시설 개수가 많을수록 학생 참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 변인에 따른 생활체육 활동 1회 참여 시간을 살펴 본 결과 부모의 연령, 주5일제 수업 실시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참여 시간을 보인 반면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운동시간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소득이 높은 가정, 부모가 주5일제 근무를 실시하는 가정, 부모가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가정의 학생일수록 그렇지 않은 가정의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참여 시간을 나타냈다. 주상복합이 가장 높은 수준의 참여 시간을, 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학생이 가장 적은 참여 시간을 나타냈으며 생활체육 시설 개수가 많을수록 학생 참여 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체육 활동 만족도 배경 변인에 따른 생활체육 활동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년, 부모의 연령, 월 소득, 주거 형태, 주5일 근무 실시 여부, 주5일제 수업 실시 횟수에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학력, 생활체육 활동 여부, 체육시설 여부에 따른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가 대졸일 경우, 어머니가 전문대졸일 경우, 부모가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할 경우, 체육시설 개수가 많을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degree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sport-for-all activ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y sport-for-all physical educ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5-day week scho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sport-for-all activities in the junior high school followed by the full implementation of 5-day week school system and to seek an appropriate ori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by providing some basic materials for the proper settlement of this new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 using the collected materials - the frequencies, ranges and variances are analyzed by SPSS v. 12.0. The results from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1. The degrees of participation in the sport-for-all Firs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sport-for-al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participation concerning the grade of students, the ages of parents, the forms of residence and the frequency of implemented 5-day school week; but the males shows higher participation level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further more, a student has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than others, if: ● his/her mother has better academic background, ● the family has higher monthly income, ● the working/business place of his/her mother has 5-day week system, ● the parents participate in the sport-for-all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appeared relatively higher according to the numbers of available sport-for-all facilities. Second,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o examine the result from the frequency of sport-for-all activity, there is no difference in frequency, if the grade and sex of the student, the ages of parents and the frequency of implemented 5-day school week are concerned. However, the student shows relatively higher participation frequency than others, if: ● his/her parents have better academic background, ● the family has higher monthly income, ● the working/business place of his/her father has 5-day week system, ● the parents participate in the sport-for-all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living in apartments or mixed-use building/apartments have shown higher participation rate than the students living in houses or tenement blocks; and the more facilities of sport-for-all are available, the higher is the student's participation frequency. Third, to see the result of participation time per a sport-for-all activity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he ages of parents and the frequency of implemented 5-day school week, there are no difference in participation time for each activity. But, concerning the sex of students, the males have more participation time than the females; and the physical training time is being reduced as the grade of student is getting higher. Moreover, those students from families of high income level, whose parents working/business place is also implemented with 5-day week system, and whose parents participate in sport-for-all activities, have shown relatively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time than the others whose situation or circumstance is not so well. While the students living in high-rise mixed-use building apartment appeared to have the top-level participation time; whereas the students living in houses or tenement blocks have the lowest level of participation time; and - as it is mentioned - it is proved, that the more facilities of sport-for-all are available, the higher is the student's participation frequency. 2.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port-for-all activities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to se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port-for-all activities followed by the implementation of 5-day school system, there is no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se background variables; whether the sex of a student is male or female, the monthly income of a family is high or not; whether the 5-day week system is implemented or not; the frequency of 5-day week school system is more or less. Nevertheles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the academic background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port-for-all activities and the availability of sports faciliti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student, whose father is college graduate, has shown the highest degree of satisfaction-followed by 'under middle school graduate', 'junior college graduate', 'graduate of postgraduate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 And, in case of mother, the student has relatively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f his/her mother is a graduate of junior college-followed by 'under middle school graduate', 'college graduate', 'graduate of postgraduate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 In addit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if the parents are participating in sport-for-all activities; and the more sport-for-all facilities are available, the higher is the student's degree of satisfaction.

      •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 선수의 정신건강 비교 분석

        김태홍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75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오늘날 육체와 정신을 하나로 보고 있으며, 운동 부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정신건강 비교분석을 통하여 운동의 정신건강학적 가치를 조명해 봄과 동시에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19세에서 30세 이하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나이를 제한한 이유는 30세 이상의 엘리트 운동선수가 많지 않으며, 19세 이전의 생활체육 참가자 또한 많지 않기 때문이다. 생활체육 참여자로서 정기적으로 주 4회 이상 운동을 하는 참여자 중 생활체육 참여 기간이 5년 이상인 300명 중 응답이 불성실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48명의 자료를 제외한 252(84%)명과 엘리트운동선수 경력 5년 이상인 250명 중 70명을 제외한 230(92%)명을 대상으로 간이 정신진단검사지(SCL-90-R)로 조사를 하였으며, 측정자료는 Windows용 SPSS 10.0 하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그룹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시 유의수준은 p<.05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간의 정신건강 9개 증상차원에 대하여 대인민감증, 우울증, 적대감, 공포불안을 제외한 신체화, 강박증, 불안증. 편집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으며, 생활체육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좋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운동 선수간의 정신건강은 유의한 차가 있다. 즉. 야구와 수영종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좋다. 전체적으로 생활체육 참여자가 엘리트 운동선수보다 정신건강이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any people are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in life time(PELT) due to increase in awareness of healthy life. Today, physical and mental healths are considered to close relationship, and how the lacks of physical exercis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based on inquiring/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PELT and to provide the public with its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ted comparison between elite athletics' mental health and PELT's. 60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y are residents of Kyung Ki and aged between 19 to 30, this age limitation has to be drown due to lack of willing participants of PELT under age of 19 and wareness of Elite athletic over 30. All of the participated (300) PELT's critria as fowols, who has been regularly exercise more than 4 time a week for last 5 years. 252 out 300 (84%) participated were used, 48 participants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lyor unreliably answered on the questionnaire. 70 out of 300 Elite athletics were excluded, 230(92%) were tested by SCL-90-H. These data have been accessed on SPSS 10.0 version for windows, average have been calculated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by using T-test method. To verify this hypothesis, P < .05 notability is used to derive this conclusive result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n average, PELT is notably good on the 9 mental asymptotic areas, such as compulsion, anxiety, and paranoia, except depression, irritation, and fearfulness. This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ELT and elite athletics. Second, there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ELT and Elite athletics, thus those of PELT whom participated in baseball and swimming has better mental health.

      •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영진 한국체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었으며 연구대상으로는 서울특별시 내 25개 자치구(생활)체육회에 소속되어 근무하고 있는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 총 158명 중 11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사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처리는 Windows SPSS+ 20.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Cronbach’s α 값 산출),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서는 연령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은 직무만족 중 보수만족, 이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았다. 셋째,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신분만족은 직무만족 중 보수만족, 성취감 및 장래성, 이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분만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분만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았다. 넷째,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능력향상은 직무만족 중 보수만족, 성취감 및 장래성, 이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능력향상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능력향상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에 따라 직무만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직무환경 개선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장애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와 선호도 분석

        민지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장애노인과 비장애노인이 참여하고 있는 생활체육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그에 따른 참여 만족도와 선호도를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노인 생활체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장애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체육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발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의 장애인종합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그리고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단순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체육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에서 장애노인은 지도방범, 비장애노인은 시설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서 장애노인은 프로그램내용과 지도방법, 비장애노인은 시설, 프로그램내용, 고객관리와 교통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유무에서 비장애노인은 지도방법, 고객관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족구성에서 장애노인은 시설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 장애노인은 교통, 비장애노인은 지도방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월 평균소득에서 장애노인은 시설, 비장애노인은 고객관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유형에서는 시설, 프로그램내용, 고객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체육 프로그램 이용현황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참여목적에서 장애노인은 교통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기간에서 장애노인은 시설, 프로그램내용과 고객관리, 비장애노인은 프로그램내용에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생활체육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체육프로그램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여자, 60대, 고졸(중퇴), 직업 없는 비장애노인,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 건강상태가 양호한 편이거나 월 평균소이 50만원 미만인 경우, 지체장애를 가진 경우에서 수영을 가장 선호하였다. 다음으로 남자 장애노인과 여자 비장애노인, 65∼69세와 70∼74세의 장애노인, 65∼69세와 70∼74세, 74∼79세의 비장애노인, 고졸(중퇴) 장애노인, 직업 없는 장애노인, 배우자와 자녀가 함께 살고 있는 경우, 건강한 편이거나 월 평균소득이 50∼100만원, 100∼200만원인 경우, 뇌병변장애를 가진 경우에서 웨이트트레이닝을 가장 선호하였다. 생활체육프로그램 선호도를 개인종목, 대인종목, 단체종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모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개인종목을 가장 선호하며, 특히 장애노인이 비장애노인보다 개인종목을 더욱 선호하였다. 생활체육프로그램 이용현황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신체적·정신적 자신감 증진의 참여목적을 가진 장애노인, 건강증진의 참여목적을 가진 비장애노인, 참여기간이 1∼3년과 3년 이상인 장애노인, 6개월 미만과 3년 이상인 비장애노인의 경우에서 수영을 가장 선호하였다. 다음으로 건강증진의 참여목적을 가진 장애노인, 참여기간이 6개월 미만과 6개월∼1년인 장애노인의 경우에서 웨이트트레이닝을 가장 선호하였다. 생활체육프로그램 선호도를 개인종목, 대인종목, 단체종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모든 생활체육프로그램 이용현황에서 개인종목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This study has apprehended the current sport for all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and also has researched awareness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in such progra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and revitalization of sport for all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the elderly more than 60's who have participated sport for all in the rehabilitation center, the elderly welfare center, the Sports Facilities in Seoul. The analysis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wer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spons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have been shown in the teaching methods from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facilities from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in age. And also it has been shown in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eaching methods from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facilities, contents of the program and customer relations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in scholarship, and it has been shown in facilities, customer relations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in occupation. According to famil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have been shown in facilities from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also it has been shown in traffic from elderly with disability and the facility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y in health. According to incom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have been shown in facility from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customer relations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And also it has been shown in teaching method, contents of the program and customer relations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y in type of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s current situation of sport for all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has been shown in the traffic from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t has been shown in the faciliti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and customer relations from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also it has been shown in contents of the program and customer relations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rom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in participation period. Second, the preference thing was swimming for women, people in their 60's, high school graduated people,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who don't have any jobs, people who are living with spouse, who have health, whose average earnings are less than 500,000 won and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men who is an elderly with disabilities, women who is an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ve 65∼69 and 70∼74 years old,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who have 7479 years old,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ve high school graduated,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don't have any jobs, people who are living with spouse and offspring, who have health, whose average earnings are 500,000∼1,000,000 won and 1,000,000∼2,000,000 won and brain damage according to demographic.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sports, team-sports and personal-sports, all demographic mostly preferred individual-sports. Specially,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more preferred than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from individual-sports. The preference thing was swimming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ve purpose of participation to promote their physically and mentally confidence,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who have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to promote their health,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ve participated 1∼3 years and more than 3 years,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who have participated less than 6 months and more than 3 year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s current situation of sport for all.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sports, team-sports and personal-sports, to the participation's current situation mostly preferred individual-sports.

      • 청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신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

        강경탁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Th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inually increasing participation of hearing-impaired person in sports for all and self-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call attention to the need for and significance of sports for all for the disabled, and further contribute to boosting sports for all for the disabled.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selected from the hearing impaired wh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and the hearing impaired who do not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And from sports for all clubs, welfare center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S city, K city, and D city, and B city, 425 hearing impaired persons were sampled by making use of purposiv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Among questionnaires collected, 35 were excluded due to their insincere responses or some of the survey responses missing, and data of 390 respon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Questionnaire for self-confidence was a modified and complemented version of those used by Hong Ran-ah(2010), Lim Kwang-yeol (2011), etc. And questionnaire for life satisfaction was a modified version of those used by Lim Jong-ho(2004), Choi Woo-young(2009), etc.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data went through computational processing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Version 18.0, and then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each variable.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elf-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post-verific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Scheffe, LS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for self-confidence of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of impairment occurrence, way of communication, and job type except sex, age, and family income. As for sex, age, and family inc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dership of instructor, physical / mental preparation, proven ability, and social support.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time of impairment occurrence, congenital impairment was higher in leadership of instructor and proven ability than acquired impairment (t=3.356, p<.01),(t=3.074, p<.01). As for way of communication, speech was higher in social support than sign language (F=5.361 p<.01). As for job type, office job was higher in social support than student group and the unemployed (F=2.402 p<.05). Second, as for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time of impairment occurrence, way of communication job type, and family income. In terms of sex, male was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female (t=2.343, p<.05). In terms of age, the group above 36 years old was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the group of 30 to 35 years old (F=5.938 p<.01). The group of 30 to 35 years old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future than the group above 36 years old (F=3.168 p<.05). In terms of time of impairment occurrence, congenital impairment was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acquired impairment (t=2.597, p<.01). In terms of way of communication, speech was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sign language (F=3.274 p<.05). In terms of job type, the group of technicians and skilled workers and the group of students were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office job workers (F=4.050 p<.01). Office job group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present than the group of students and the group of the unemployed (F=4.610 p<.01). Office job group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future than the unemployed group (F=2.773 p<.05). In terms of family income, the income group of 1 million and 2 million won was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present than the income group of 2.01 million to 3 million won and the income group above 3.01 million won (F=3.460 p<.05). The income group below 1 million won and the income group of 1 million to 2 million won were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the income group 0f 2.01 million to 3 million won (F=4.132 p<.01). The income group above 3.01 million won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future than the income group under 1 million won and the income group of 1 million to 2 million won (F=2.638 p<.01) Third, as for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impaired person participates in sports for all or not, the group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was higher in leadership of instructor, physical/mental preparation, proven ability, and social support than the group not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the hearing impaired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were higher in self-confidence than the hearing impaired not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t=4.727, p<.001), (t=3.182, p<.01), (t= 3.234, p<.01), (t=4.067, p<.001). Fourth, as for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participates in sports for all or not, the group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present and positive attitude to future than the group not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t=2.558, p<.05), (t=2.057, p<.05). Accordingly,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hearing impaired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than the hearing impaired not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Fifth, as for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or, instructor with hearing impairment was higher in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than instructor with no hearing impairment (t=-3.291, p<.01). It has been concluded from this that satisfaction of the hearing impaired with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was higher when instructor with hearing impairment teach them.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about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or of sports for all. Seventh, as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hearing impaired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or, instructor with hearing impairment was higher in negative attitude to future than instructor with no hearing impairment (t=-3.057, p<.01). Instructor with hearing impairment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present than instructor with no hearing impairment (t=-1.996, p<.05). Eigh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Ninth, as for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participation once a week and participation 3 times a week were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present than participation 4 times and more a week (F=4.053 p<.01). Participation 3 times a week was higher in positive attitude to future than participation once a week and participation 4 times and more a week (F=3.082 p<.05). It has been concluded from this that life satisfaction is higher in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3 times a week than those who participate once a week and 4 times and more a week.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청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신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여 장애인 생활체육에 대한 필요성과 의의를 환기시키고, 나아가 장애인 생활체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체육 참여, 생활체육 비 참여 청각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4년 S시, K시, D시, B시에 소재하고 있는 생활체육 동호회, 복지관, 대학교 등에서 425명을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표집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설문을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 내용 중 일부가 누락된 자료 35부를 제외하고, 최종 390명의 대상자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신감 설문지는 홍란아(2010), 임광열(2011) 등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생활만족 설문지는 임종호(2004), 최우영(2009)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목적에 따라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를 한 후, 각 변인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신감과 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Scheffe, LSD를 사용하여 사후 검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따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청각장애인 자신감에서는 성별, 연령, 가족소득을 제외하고 장애발생시기, 의사소통방법, 직업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 연령, 가족소득에 따라서는 지도자 지도력, 신체/정신준비, 능력입증, 사회적지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차이에서는 선천적 발생인 경우가 후천적 발생인 경우보다 지도자 지도력, 능력입증에서 높게 나타났다(t=3.356, p<.01), (t=3.074, p<.01). 의사소통방법에 따라서는 구화가 수화보다 사회적지지에서 높게 나타났다(F=5.361 p<.01). 그리고 직업유형에 따라서는 사무직이 학생 군, 무직보다 사회적지지에서 높게 나타났다(F=2.402 p<.05).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장애발생시기, 의사소통방법, 직업분류, 가족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t=2.343, p<.05). 연령에 따라서는 36세 이상 집단이 30세~35세 집단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5.938 p<.01). 30세~35세 집단이 36세 이상 집단보다 미래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3.168 p<.05). 장애발생시기에 따라서는 선천적 발생인 경우가 후천적 발생인 경우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t=2.597, p<.01). 의사소통방법에 따라서는 구화가 수화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3.274 p<.05). 직업유형에 따라서는 기술, 숙련공 직업군과 학생 군이 사무직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4.050 p<.01). 사무직이 학생 군과 무직보다 현재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4.610 p<.01). 사무직이 무직보다 미래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2.773 p<.05). 가족소득에 따라서는 100만원~200만원 소득집단이 201만원~300만원 소득집단과 301만원 이상 소득집단보다 현재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3.460 p<.05). 100만원 이하 소득집단과 100만원~200만원 소득집단이 201만원~300만원 소득집단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4.132 p<.01). 301만원 이상 소득집단이 100만원 이하 소득집단과 100만원~200만원소득집단보다 미래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2.638 p<.01). 셋째,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에서는 생활체육 참여집단이 생활체육 비참여집단보다 지도자 지도력, 신체/정신준비, 능력입증, 사회적지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 중 생활체육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자신감이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t=4.727, p<.001), (t=3.182, p<.01), (t= 3.234, p<.01), (t=4.067, p<.001). 넷째,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에서는 생활체육 참여집단이 생활체육 비참여집단보다 현재긍정, 미래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t=2.558, p<.05), (t=2.057, p<.05).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 중 생활체육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생활만족이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섯째, 생활체육 참여시 지도자유형에 따른 참여만족의 차이에서는 청각장애인 지도자가 일반 지도자보다 참여만족에서 높게 나타났다(t=-3.291, p<.01). 이로부터 청각장애인 지도자가 지도할 때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만족이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여섯째, 생활체육 참여시 지도자유형에 따른 생활만족 참여 자신감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생활체육 참여시 지도자유형에 따른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자의 생활만족에서는 청각장애인 지도자가 일반 지도자보다 미래부정에서 높게 나타났다(t=-3.057, p<.01). 청각장애인 지도자가 일반 지도자보다 현재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t=-1.996, p<.05). 여덟째, 생활체육 참여빈도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홉째, 생활체육 참여빈도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는 주 1회 참여와 주 3회 참여가 주 4회 이상 참여보다 현재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4.053 p<.01).주 3회 참여가 주 1회, 주 4회 이상 참여보다 미래긍정에서 높게 나타났다(F=3.082 p<.05). 이로부터 주 1회, 주 4회 이상 참여보다 주3회 참여 빈도의 적정한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생활만족이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최병일 한국체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59

        우리나라는 1980년 이후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해소, 여가선용의 의미가 부각되면서 생활체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특히 스포츠 활동이 균형 있는 삶을 살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그 중에서도 서울에 있는 대학생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자아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자아존중감이 자아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생활체육의 참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해소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스트레스 해소 및 자아실현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긍정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s the meaning of improved health, stress relief, and leisure expanded, there has been increasing attention on daily phys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a diverse debate on methods to stress relief; sports activity receives utmost attention in maintaining a balanced life. This study focuses on all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is limited on its subjects as students in Seoul. This research aims to draw conclusion through analysis of examining if stress relief through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has any effects on self-esteem and self-realization. First study results concluded that stress relief participating daily physical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Secondly, it was found that stress relief through participating in daily physical education

      • 생활체육 축구동호인의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영제 남서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59

        현대사회에서 건강은 주요 관심분야의 하나가 되었고, 이러한 건강에 대한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생활체육의 관심 및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 생활체육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설적이며 창조적인 활동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크며, 국가적으로도 국민화합의 창출을 이루는 사회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생활체육은 직·간접적인 참여와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 및 정책수립도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생활체육 중 하나인 축구동호인을 대상으로 참여정도에 따른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서남부지역(안양, 군포, 산본, 의왕, 수원, 평택, 시흥, 안산) 및 서울지역에서 축구동호회로 활동하고 있는 만20세 이상의 남성 축구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104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검정(t-test),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구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정도에 있어 연령에 따라 운동 참여기간, 참여빈도 및 참여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수준에 따라 운동 참여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축구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에서는 교육수준 및 건강수준에 따라 환경적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소득수준에 따라 신체적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운동만족의 차이에 있어 운동 참여기간 및 참여시간에 따라 신체적 만족에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 참여빈도 및 참여강도는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식적, 신체적, 환경적 만족 및 전체 운동만족에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동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와의 차이 분석 결과, 운동 참여기간이 높을수록 운동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 참여강도에 따라 운동몰입에 차이는 있으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운동만족이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만족이 운동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심리적 만족이 생활만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몰입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축구동호인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결과, 운동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만족에 차이가 있으며 운동만족은 부분적으로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운동몰입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and affection of exercise satisfaction, exercise immers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eople who are joining the soccer participation as a good leisure activity in our country. To figure out, this study analyzed members of men who are over 20 years old and are joining the soccer clubbers in southwest region of Gyeonggi-do(Anyang, Gunpo, Sanbon, Uiwang, Suwon, Pyeongtaek, Siheung, Ansan) and Seoul with 104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version. First, the resul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bout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occer clubbers in the group had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ir age.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degree by their education level. Second, the resul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bout the exercise satisfaction of soccer clubbers had found that depending on education and health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depending on their income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in physical satisfaction. Third,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exercis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degree. Depending on the exercise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time, soccer clubbers differ with physical satisfaction,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strength are differ with the 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resting,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total exercise satisfaction. Fourth,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degree, in exercise immersion and life satisfaction is that if the joiners have a long time participating, they can get more immersion on exercising. there is a difference in immers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level, but there isn't any life satisfaction difference depending on participation degree. Fifth, the result of analysis, the exercise satisfaction was effects to immersion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ffected negatively to immers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lso, exercise immersion affected positively on life satisfaction on the results of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from exercise imm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