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안전보건 관리감독자 교육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고봉석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요 약 제 목 : 산업안전보건 관리감독자 교육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현대인의 산업 의존도는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산업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안전의 범위도 점차 광범위해지고 있다. 현대사회는 인간에게 많은 편리성을 제공해 주고 있지만, 위험의 정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각종 크고 작은 사고에 대한 예방과 안전보건에 관한 근로자 안전의식수준 향상 차원에서 산업안전보건교육체제의 방향설정과 그에 따른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1) 그러나 국내제조업의 안전사고는 줄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사업장의 안전관리는 열악한 작업환경과 저임금, 3D현상으로 인한 대체인력 부족현상으로 근로자의 생산현장 투입으로 인한 미숙련공으로 새로운 환경의 부적응과 높은 작업강도로 인해 산업재해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대전충남지역의 중심으로 관리감독자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근로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였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은 산업안전보건법 · 시행령 · 시행규칙 또는 고용노동부 고시 등 법적제도는 마련되어 있으나 이를 시행하는 주체, 즉 사업을 경영하는 사업주의 안전의식 결여와 사업운영에 대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조건들과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직접 실시해야 할 안전관리자 · 관리감독자 · 안전관계자 등의 안전의식 · 안전능력 수준 저하와 교육실시 조건의 부족 및 법적제도에 대한 시행여부를 지도 · 감독하는 정부기관의 감독미흡과 시행에 따른 동기부여 제도가 미흡한 결과를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얻었다. 해마다 산업재해분석에서도 관리적 원인 중 교육의 원인에 의한 재해가 88%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 후 효과적인 관리감독자 교육제도 활성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에 의한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관리감독자 교육을 개선하는 법적 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기업에서 직위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감독자는 관리감독자로 지정되기 전에 일정기간동안 전문화 교육기관에서 관리감독자 신규교육을 받음으로서,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고교육이수자에게는 기록관리(안전보건관리책임자·안전·보건관리자 동일)를 하여 보수 교육을 실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리감독자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에서 업종별, 규모별 구분 및 교육이수비용(외부위탁교육) 동일화하여 체계적인 전문화교육 및 교육내용으로 수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교육기관과 사업장 실정에 맞게 고려하여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관리감독자 교육제도가 사업장에서 효율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자율안전관리제도(유해 · 위험요인 자기관리 시범사업)를 바탕으로 자율과 그에 따른 책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산업재해 발생 시 그 결과에 대한 책임과 관리감독자들에 대한 지도 감독의무를 소홀히 한 책임을 사업주에게 직접 물을 수 있는 법적 제도도적 장치가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넷째, 관리감독자 교육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리감독자에게 충분한 직무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산업안전보건법상에 있는 교육내용과 함께 안전의식과 안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 교육 과목 추가 할 수 있는 법적제도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부는 관리감독자 교육에 대한 경비의 일부를 지원(20인 이하 사업장의 안전검사 국고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실시 및 이수여부에 따른 관리감독을 철저히 지도 · 점검하여 관리감독자가 직무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조치 및 산하관련기관, 단체들과 사업장간의 안전교육을 실시에 따른 정보 · 교재 · 기자재 등 제작 및 보유 등으로 안전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관리감독자 교육제도 개선방안을 제시, 시행함으로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하여 산업재해예방에 궁극적인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itle :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afety health Educational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Today, The industrial dependence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t's extending the range of safety with is developments. Modern society offers many conveniens to human but the level of danger is higher than before, too. It's important that we should make setting up the course of the industrial safety health system for a prevention of big and small domestic accidents and a worker's consciousness improving of Security Health. But the safety accident isn't reducing now. Otherwise it is increasing more and more by had working environments and low wages, 3D phenomenon, nonadaptation for a new working environment, tough works, overwork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ve under stood that it has problem such as the supervisor's educational system and a worker's consciousness for safety centering Chungnam, Daejeon. We'd prepared the legal system for industrial safety Health Laws, Commands and Rules of the trial. But we are short supervisor safety management, the owner's safety consciousness, Like these reasons, we've get the result

      • 지게차 중대 재해감소를 위한 실증적 연구

        박영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Among the industrial accident reduction policie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on January 18, 2018, focus on 'three major projects to protect people's lives' with the goal of 'halving deaths in three major fields' by reducing deaths from suicide, traffic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by 2022 After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was enforced in January 2022, a roadmap for reducing major disasters was announced on November 30, 2022. It is a key task for state administration to set a safe Republic of Korea and public safety as the government's core state affairs goals, systematically manage them, and reduce fatal accidents by half as the government becomes the center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various safety measures to create a country where the life and safety of our people is the top priority, and a society where it is natural for the people to lead a peaceful daily life. More than 2,000 people die at work every year, and among them, about 800 to 900 people are losing precious lives due to work accidents. and serious injuries entail high financial, social and personal costs. Estimated economic loss in 2021 is about 32 trillion won, which is 1.6 times higher than traffic accidents and 16 times higher than natural disasters. The frequency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and deaths, etc.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forklifts among machines that caus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are counted at more than 20 cases every year, and the accident rate is also stagnant without decreasing. There is no workaround. Establishing measures to reduce and prevent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for forklifts, which have a high accident rate among single machines, is an effective way to realize the project to reduce the death rate by half. Forklifts classified and registered as construction machinery were 5,934 units registered in 1980, a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198,683 units were registered as of June 30, 2020,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registered forklif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tire-type engine forklifts with construction machine number plates attached. The number of electric forklifts with solid tires that are similar to engine forklifts and pose similar risks to engine-type forklifts, but are not classified as construction machinery, was about 190,000 units according to forklift surveys identifi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 2018 estimated to an extent. The result of analyzing statistics through the statistics of employment and labor industrial accidents, due to forklift in 2021, there were 1,396 people, and 21 of them lost their precious lives at work. As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paper, forklift-related occupational accidents and deaths have not decreased since 2014 despite the proposal of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 average of 34 accident deaths occurred for 5 years from 2014 to 2018, excluding 2016, when accident statistics were uncertain. When major industrial accidents were analyzed by type of accident, accidents caused by collisions between a forklift truck and nearby workers Accidents caused by being caught between the forklift frame and the mast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an accident in which a worker fell from the forklift while using a forklift, a transport and unloading machine, for high-speed work. It is a machine/apparatus that causes a serious industrial accident that causes an accident by being hit by a forklift truck as the forklift truck falls over. In order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 in forklif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in detail and establish institutional, technical, and educational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essential This paper analyzes the type and structure of forklifts with high frequency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analyzes the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occurring in forklifts by factor,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reduction in the frequency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for engine-type forklifts, which are regularly inspected bas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ry Management Act, and electric forklifts, which are relatively in the blind spot of the law. Next, the institutional, technical, and educational problems of forklift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were also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forklift drivers and related person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ince an electric forklift with a solid tire of less than 3 tons is a machine/apparatus with a risk of frequent accidents as much as an engine-type forklift,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such as periodic safety inspection is required. Second, related laws have been amended to say that forklift operator refresh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every three years in Korea, but the content of supplementary education is theoretic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time is 4 hours in total, whi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A central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egulations by adding mandatory installation of front and rear cameras, a line beam that visually displays the forklift working radius, a speed limiter, and seat belts linked to driving to essential safety devi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pec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forklifts every year to inform drivers of the dangers of forklifts.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institutional supplements such as including operators of workplaces with more than one forklift truck as subjects of spec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designate forklift-related training contents to the regular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workers conducted every quarter. 2018년 1월 18일 정부에서 발표한 산업재해 감소 정책 중 2022년까지 자살, 교통사고, 산업재해사고 사망자를 줄이는 ‘3대 분야 사망 절반 줄이기’를 목표로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를 집중적으로 추진하였고 2022년 1월 중대 재해 처벌법을 시행 후 2022년 11월 30일에 중대 재해 감축에 관한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안전한 대한민국, 국민안전을 정부의 핵심 국정 목표로 삼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부가 산업재해 사고 예방의 중심이 되어 사망사고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국정 운영의 핵심 과제이다. 더불어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인 나라, 국민이 평안한 일상을 보내는 것이 당연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안전에 관한 대책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매년 일터에서 약 2,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이 중 업무상 사고로 약 800~900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으로 산업재해로 인한 직‧간접 손실액은 2020년대 들어 약 30조 원 규모로 일터에서의 사망 및 중대한 부상은 높은 재정적, 사회적, 개인적 비용을 수반한다. 2021년 경제적 손실추정액이 약 32조 원이며, 이는 교통사고의 1.6배, 자연재난의 16배 수준이고 2019년 서울특별시 예산과 맞먹고 엄청난 손실비용으로 국가적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중대 산업재해 발생빈도 및 사망사고 등 중대 산업재해 발생 기계중 지게차에서 발생하는 중대 산업재해는 매년 20여 건 이상으로 집계되며, 재해율 또한 감소하지 않고 정체 상태지만 현재 재해감소 및 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이 없다. 단일기계 중 재해 발생빈도가 높은 지게차에 대한 중대 산업재해 감소 및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사망 만인율 반으로 줄이기 프로젝트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건설기계로 분류되고 등록된 지게차는 1980년 5,934대가 등록되었으며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매년 증가하여 2020년 6월 30일까지 198,683대가 등록되었고 1980년에 비해 등록된 지게차 대수가 약 33.5배 증가하였다.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등록된 지게차 대수는 건설기계 번호판이 부착된 타이어 타입의 엔진 지게차이다. 엔진 지게차와 동작 원리가 유사하고 엔진 타입의 지게차와 유사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나 건설기계로 분류되지 않은 솔리드 타이어 방식의 전동식 지게차의 대수도 2018년에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파악한 지게차 실태조사로 약 19만대 정도 추정하였다.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통계자료를 통해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지게차로 인해 1,396명의 재해자가 발생하고 그중 21명은 소중한 목숨을 일터에서 잃었다. 지게차 관련 업무상 사고사망 재해는 본 논문에서 선행 연구로 분석한 바와 같이 2014년부터 여러 가지 개선방안의 제시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제조업에서 재해통계가 불확실한 2016년을 제외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평균 사고사망자 34명 발생하였으며, 주요 산업재해의 발생형태별로 분석하면 주행 중인 지게차와 인근 근로자의 충돌로 인한 부딪혀서 발생하는 재해가 가장 자주 발생했고 지게차 프레임과 마스트 사이에 끼이는 사고가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운반 하역기계인 지게차를 고속작업 용도로 사용하면서 작업자가 지게차 위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사고 빈도가 높았고 지게차가 넘어지면서 지게차 운전자가 지게차에 깔림에 의한 사고를 유발하는 중대 산업재해 유발 기계·기구이다. 지게차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업재해 발생원인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른 제도적, 기술적, 교육적인 재해 예방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지게차 운전자나 관계자의 재해 예방에 대한 다양한 의견 청취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중대 산업재해 발생빈도가 높은 지게차의 종류 및 구조를 분석하고 지게차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통계를 요인별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설기계관리법을 근거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는 엔진 타입 지게차와 상대적으로 법의 사각지대에 놓인 전동식 지게차에 대한 중대 산업재해 발생 빈도감소에 관해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지게차 운전자와 관계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지게차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제도적, 기술적, 교육적인 문제점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3톤 미만의 솔리드 타이어 방식의 전동식 지게차도 엔진 타입의 지게차만큼 재해다발 위험 기계·기구이므로 주기적으로 안전검사를 시행하는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지게차 운전자 보수교육을 우리나라도 3년마다 시행해야 한다고 관련 법이 개정되었으나 보수교육 내용이 이론교육이며 교육시간도 총 4시간으로 선진국과 비교하여 부족하므로 교육시간 확대 및 보수교육 내용도 실기교육 중심적인 과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셋째, 전·후방 카메라 설치, 지게차 작업반경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라인 빔(line beam), 속도 제한장치, 주행연동 좌석 안전띠 등을 필수적 안전장치에 추가하여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등 규정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게차 특별안전보건교육을 매년 시행하여 운전자에게 지게차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는 지속적인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1대 이상의 지게차 보유사업장의 운전자도 특별안전 보건교육 대상에 포함하여 교육을 시행하는 등 제도적인 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매년 분기별로 시행하는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내용에 지게차 관련 교육내용을 추가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 지게차 스마트안전기술 도입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이정한 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A Study on the Prevention Effect of Industrial Accident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for forklifts Lee Jung Han Department of Smart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ue to the 4th Industr ial Revolution, smart technologies are converging in various industri al fields, bringing many changes to the industrial field. Since the es tablishment of technical standard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insufficient, the minimum usa bility of currently distributed devices must be verified to enable sm art industrial ecosystems such as smart factories to be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are actually needed and applicable in industrial sites. I think it can be built. So far, the introduc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in industrial si tes has been applied selectively. However, in order to prevent endle ss forklift collisions, the government legislated the application of sm art safety technology devices such as rear detection devices to prev ent forklift rear collision risks in December 2019, and accordingly, a ll forklifts operated in industrial sites are equipped with smart safet y equipment. The device has been attached, and after a certain peri od of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has come to verify the effe ctiveness of the smart safety device. In order to derive research results, we derived quantitative result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two years before and after the enac tment of the application of forklift rear detection devices based on domestic industrial accidents and accident data from companies that applied smart safety technology to forklifts, and provided practical r esults for forklift safety management. A survey on usability was co nducted targeting related jobs and qualitativ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fter legislating smart safety technology for forklifts, collisi on accidents, which are mainly caused by forklift accidents, have g radually de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sm art safety technology for job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forklif ts, safety managers, supervisors, and operators are all feeling the p ositive effects of smart safety devices. Third, the perspectives on smart safety technology for each job wer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 b. Safety managers highly evaluated the forklift's ability to detect pedestrians and co-workers as they approach, as accident preventio n is a top priority at the workplace, and forklift operators said that their constant anxiety about blind spots that occur when backing u p and the random approach of pedestrians was alleviated. However, since management supervisors are a job that requires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work efficiency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o ther jobs. 지게차 스마트안전기술 도입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이정한 스마트산업안전공학과 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스마트 기술들이 융합되어 산업현장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 술 발전 속도에 따른 기술표준 및 규제 정립이 미흡한 시기이므로 현 재 보급되는 장치에 대해 최소한의 사용성이 검증되어야 산업현장에 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고 적용 가능한 기술들이 연구개발로 이루어 져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스마트 산업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다고 생 각한다. 그간 산업현장에서의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정부는 끊이지 않는 지게차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19년 12월, 지게차 후방 충돌 위험예방을 위한 후방감지장치 등 스 마트 안전기술 장치 적용을 법제화 하였고,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운영되는 모든 지게차에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부착되었으며, 일정 시 간이 흐른 현 시점에 스마트 안전장치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 한 시기가 도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국내 산업재해 및 지게차에 스마트 안 전기술이 적용된 기업의 사고 데이터를 근거로 지게차 후방감지장치 적용 법제화 전후 2년을 비교분석하여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하였고, 지게차 안전관리에 실질적으로 관련이 있는 직무를 대상으로 사용성 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정성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게차에 대한 스마트 안전기술 법제화 이후 지게차 사고원인 으로 주로 발생되는 부딪힘 사고가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둘째, 지게차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직무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 기술 사용성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운 전원 모두 스마트 안전장치의 도입과 적용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 셋째, 직무별 스마트 안전기술을 바라보는 시각은 업무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했다. 안전관리자는 사업장 사고 예방이 최우선이므로 지게 차 외부에 보행자 및 동료작업자 접근 시 감지 능력에 대해 높이 평 가했고, 지게차 운전원은 후진 시 발생하는 사각지대와 보행자의 임의 접근에 대한 상시적인 불안감이 해소 되었다고 응답했다. 다만, 관리 감독자는 작업효율과 생산성을 고려해야하는 직무이기 때문에 다소 부정적인 시각이었다.

      •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교육 실태분석

        김도희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 교육실태분석 金 度 希 嶺南大學校 工學大學院 産業安全學科 産業安全 專攻 要 約 본 논문은 포항지역 공단 근로자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안전의식 수준과 실태를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에 관한 의식 수준, 안전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안전교육의 법적, 제도적 문제점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실효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교육방법을 강의식 보다는 시청각교육과 경험담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를 주어 더욱 실효성 있는 교육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리고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사업주의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같은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안전 보건교육관련 법적 제도적 정비를 통해 근로자 모두가 교육을 이수하여 산업재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둘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효과적인 시청각교육과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셋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방법론의 변화이다. 피교육자가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령, 학력, 근무연수등을 고려한 경험과 사례발표 위주의 교육과 시청각을 활용한 교육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관계부처, 전문가, 사업주, 근로자들의 공동의 노력과 효과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재 산업안전교육의 이론교육과 현장실무의 차이를 줄여나간다면 형식적인 업무상 절차가 아닌 안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중소규모 사업장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득환 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released by the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proportion of accidents occurring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full-time workers in the past five years continues to increase from 58.7% in 2017 to 80.9% in 2021. The government continues to make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efforts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such as revising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19 and enacting and promulgating the Critical Accident Punishment Act in 2021 in Korea. The government is continuing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efforts to prevent and reduce serious accidents, such as revi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19 and enacting and promulgating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Law in 2021. For the effectiveness of these effor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ith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safety management tasks and roles of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disaster prevention institutions.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are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safety culture in entrusted workplaces to realize their own purpose of preventing and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government aims to establish a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preventing and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by revi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expanding the bud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and problems of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safety management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work based on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at small and medium-sized consignment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full-time workers among companies registered in institution A that manage more than 58% of all domestic safety management outsourced workplaces as of 2021.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dustrial Accident Survey Report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6 general categories of state classification and 11 industrial accident survey items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developed research mod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industrial accident cases were analyzed, and items with a high incidence and composition ratio were deriv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691 industrial accidents occurring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6 general items,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in the factors of 'Daegu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Office/male/workplace with 30~39 workers/manufacturing /over 60 years old (before 1961)/within 5~10 years of service' most confirm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1 industrial accident investigation items, 'regular employment/normal work/one-person work' was confirmed as the highest among the analysis results, and 'regular work hours/fracture injury/finger injury/work loss 29 days ~ 90 days/interruption accident/January/Monday/working hours 10~12' was confirmed to be similar to the 'Status of Occupational Accident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conclusion, the methods for preventing major industrial accidents and improving safety management at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joint seminars, symposia, and forums related to safety and health for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full-time workers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in safety management. This should share information and data and support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echnology dissemination. Second, enhanced training courses should be provided for capacity building of safety management staff, upgrade the expertise of safety inspections and technical guidance, and improve the awareness of business owners in outsourced workplaces. Finally, through this study, the role and direction of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agencies, and measures to improve safety and health related laws and system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safety management agencies need safety inspection and technical guidance to secure on-site operability, and for outsourced workplaces with a larg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they interview those in charge of management of outsourced workplaces, high-risk industries, and risk group grading systems and assign dedicated staff. Second,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support an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budget, government support for safety management agency fees, support for young and retired senior safety managers when self-employment, and to enact and amend Articles 19 and 32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ird,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rticles 15, 17, 18, and 19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s well as the management regulations of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disaster prevention guidance organizations, are needed. 고용노동부에서 공표하는 ‘산업재해 발생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전체 사업장 사망사고 중 상시근로자 50명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비율은 2017년 58.7%에서 2021년 80.9%로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부에서는 중대재해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 2019년 산업안전보건법을 전면 개정하고, 2021년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공포하는 등 중대재해예방을 위해 법·제도·정책적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실효성을 위해서는 정부, 공공기관, 민간재해 예방기관의 체계적인 상호 협력 관계와 함께 상호 각 기관의 안전관리 업무와 역할에 따른 정보 교류와 협력 기능을 갖춘 안전보건관리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안전관리전문기관은 위탁사업장에 안전문화를 정착시켜 산업재해예방 및 감소를 위한 고유의 목적을 실현하는데 책임과 역할에 충실하며, 정부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및 산업재해예방 지원금 예산확보 및 지원 확대 등으로 산업재해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 민관이 상호 긴밀한 협력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안전관리 전문기관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관리 업무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21년 기준 국내 안전관리 위탁사업장 전체의 58% 이상을 관리하는 “A”기관에 등록된 업체 중 상시근로자 50인 미만의 중소규모 위탁사업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를 대상으로 조사 ·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조사표를 기반으로 주분류 일반항목 6개와 산업재해 조사항목 11개에 대한 세분류로 구성된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연구 모형을 적용하여 수집된 산업재해 사례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발생 빈도와 구성 비율이 높은 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 691명의 산업재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항목 6개 분석 결과,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남성, 근로자 30~39인 규모, 제조업, 60세 이상(1961년 이전), 근속 5년~10년 미만”의 요소에서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둘째, 산업재해 조사항목 11개 분석 결과, “상용 고용, 정상 근무, 1인 단독 작업’은 분석 결과 중 가장 높은 항목으로 발생하며, ‘정규작업, 골절 상해, 손가락 상해, 근로손실 29일~90일, 끼임 재해, 1월, 월요일, 작업시간 10~12시”로 나타난 주요 특징은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발생 현황과 유사한 값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안전관리전문기관은 중소규모 사업장의 중대산업재해의 예방과 안전관리 업무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 관련 공동 세미나, 심포지엄, 포럼 등을 정부와 안전관리전문기관이 협력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보와 자료를 공유하고 기술 보급을 위한 공동 연구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안전관리 전문기관 종사자의 역량 강화, 안전점검 및 기술지도의 전문성 고도화, 위탁사업장 사업주의 인식 개선을 위한 강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역할과 방향성, 안전보건 관련 법령과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안전관리전문기관은 안전점검 및 기술지도 현장 작동성 확보, 위탁사업장 사업주 등 경영책임자 면담, 고위험업종 및 산업재해 다발 위탁사업장 위험군 등급제와 종사자 전담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 단기적 관점에서는 산업재해예방 예산확보 및 지원 확대, 안전관리 대행 수수료 정부 지원, 청년과 퇴직 고령자 안전관리자 자체 채용 시 지원 그리고 산업안전보건법 제19조(안전보건관리담당자) 및 제32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의 제·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제17조(안전관리자) ,제18조(보건관리자)의 선임기준과 안전관리전문기관 및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관리규정 제·개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