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색조 화장품의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김종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6383

        Domestic cosmetic market is moving basic cosmetic in state of fullness to color market being able to give a change according to trend today. It has been getting hard to attract consumer's concern as only product having high quality and function, and is also getting sensitive to choice of consumer's buying by the economy's down. Cosmetic brands newly come out marketing strategy of limited edition having brand's public relation and image rising effect and color line like events formed company campaign such as season and anniversary and so on according to this, or strengthen the existing products and so on, they are securing competition power by package design. That is, they are competitively coming out limited edition products through visual factors of differentiated package design like unique shape and texture, characterful illustration, outstanding color expression and so on. This study analyzes limited edition of cosmetic brand affecting consumer's buying through rarity message according to this time's flowing and investigate what visual factor of package design affects to consumer's buying and has meaning in its value and necessity. Also, does example of domestic foreign color cosmetic brand according to supposition decorative visual factors of package design in limited edition affects to consumer's buying and have a research purpose to suggest necessity of differentiated premium package design development utilizing collaboration. It was preceded to understanding of consumer's buying mind and behavior about visual factor of limited edition package design as this study's way. As way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First, it was tried record study centering of materials about cosmetic package design and limited edition and color cosmetic and it did to various study in view of learning like consumer's buying behavior and mind for knowing his buying mind. It could be checked by understanding about package design and limited edition and consumer's buying mentality and consumption phenomenon based this. Second, it was studied and analyzed by collaboration utilizing example of domestic and foreign limited edition color cosmetic centering visual factor dividing brand to brand, brand and artist, brand and character by type. Third, it was set by supposition suggesting study problem based in record study and example analysis and did target object to the age from twenties to forties through former study as analysis about real example study and measured the extent what decorative visual factor affected to consumer's buying in limited edition color cosmetic package design and preference about visual factor expression type and analyzed limited edition color cosmetic's popularity and buying reasons. It was found by general question and preferenc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s visual factor and buying determination reason about De Edition color cosmetic. It was let the following results out as supposition verifying through this research investigation. First, it could be found what affected to consumer's buying behavior as being outstanding decorative visual effect in limited edition package design utilizing collaboration. Second, handmade illustrated image expression pointing up having value(rarity)'s side appeared highly as the most preferring visual factor and image expression in package design when bought limited edition color cosmetic buying. Third, it is studied to affect to consumer's buying determination by feeling having value according to rarity as limited edition package design's differentiation utilizing collaboration than the existing brand's package design and the reason determining buying highly appeared by favor in visual factor of limited edition package design than the existing one. As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what decorative visual effect of limited edition color cosmetic package design utilizing collaboration affected positively to consumer's buying. It could be found consumers highly tended to be induced to buying while feeling rarity value and having need about limited edition package design as differentiated expression's design like shap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ackage design and color following trend and so on. Company will have to study about artistic expression type through collaboration as well as development about visual factor of limited edition package design being able to fulfill consumer's buying need adding value touching consumer's emotion based in this. Also, domestic color cosmetic brands understand modern spending phenomenon and observe so they will have to raise package design's visual factor raising rare value being fit for differentiated strategy and trend of limited edition like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color cosmetic brand. 오늘날 국내 화장품 시장은 포화 상태인 기초 화장품에서 유행에 따라 변화를 줄 수 있는 색조 시장으로 옮겨 가고 있다. 높은 품질과 기능을 가진 제품만으로는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워졌으며 경기 침체로 소비자의 구매 선택 또한 예민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브랜드들은 시즌과 기념일 등의 이벤트 형식의 기업 캠페인과 같이 브랜드의 홍보와 이미지 상승 효과가 높은 리미티드 에디션의 마케팅 전략과 색조 라인을 새롭게 출시하거나 기존 제품을 강화하는 등의 패키지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독특한 형태와 질감, 개성 있는 일러스트레이션, 눈에 띄는 색상 표현 등의 차별화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통한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들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희소성 메시지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화장품 브랜드의 리미티드 에디션에 대해 분석하며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소비자의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그것의 가치와 필요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또한,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의 장식적인 시각 요소들이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 따라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색조 화장품 브랜드의 사례를 분석하여 리미티드 에디션의 차별화된 프리미엄 패키지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에 대한 소비자 구매 심리 및 행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첫째,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 및 리미티드 에디션과 색조 화장품에 관한 연구 자료나 논리적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소비자의 구매 심리를 알아보기 위해 소비자의 구매 행동 및 심리학 등의 다양한 학문적 관점의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과 리미티드 에디션에 대한 이해와 소비자의 구매 심리 및 소비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리미티드 에디션 색조 화장품의 사례를 유형별로 브랜드와 브랜드, 브랜드와 아티스트, 브랜드와 캐릭터로 나어 시각 요소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제기하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실증 사례 연구에 대한 분석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표적 대상을 20~40대로 설정하여 리미티드 에디션 색조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소비자의 구매에 장식적인 시각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와 시각 요소 표현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 측정하고 리미티드 에디션 색조 화장품의 인지도 및 구매 이유에 대해 분석하였다. 드 에디션 색조 화장품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 및 선호도, 패키지 디자인 시각 요소의 중요성과 구매 결정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설문 조사를 통한 가설 검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에서 장식적인 시각 요소가 두드러지면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미티드 에디션 색조 화장품 구매시 패키지 디자인에서 가장 선호하는 시각 요소 및 이미지 표현으로 소장가치(희소성) 측면을 강조한 수작업 일러스트 이미지 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존 브랜드의 패키지 디자인보다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의 차별성이 높을수록 희소성에 따른 소장가치를 느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존의 패키지 디자인보다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에 호감이 있어서 구매를 결정한다는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리미티드 에디션 색조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장식적인 시각 요소는 소비자의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기존의 패키지 디자인과는 다른 형태와 유행에 따른 컬러 등 차별화된 표현의 디자인일수록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희소가치와 소유 욕구를 느껴 구매까지 유도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서는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에 대한 개발과 함께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가치를 더해 장식의 효과 외에도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예술적인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 색조 화장품 브랜드들은 현대의 소비 현상을 빠르게 이해하고 관찰하여 국외 색조 화장품 브랜드의 사례들과 같이 리미티드 에디션의 차별화된 전략과 유행에 맞는 희소가치를 높이는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높여야 할 것이다.

      • 중국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 제작 사례 연구

        호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6367

        儿童在现代家庭消费结构中占有着举足轻重的地位,作为药品消费的特殊群体, 儿童的成长应该引起全社会的关注和重视。近年来,儿童维生素在用药的过程中,由于维生素标示设计的不足,误食药物的事件屡屡发生,儿童药品包装设计越来越多的引起消费者的关注。因此,儿童维生素包装设计应该更加具体的传达药品的信息。在包装设计上更应该突出表现为孩子设计的这一重点。 这篇论文针对儿童维生素包装的发展和设计以及维生素药物改善以及中国、韩国和全球儿童设计的现状和维生素的变化趋势进行研究。明确儿童药品包装设计的视觉传达设计原则,从儿童维生素消费者需求出发,细致研究儿童药品包装中的色彩、图形、文字、造型、材料和情报设计的设计。 本论文想找出以儿童心理以及消费者需求为基准,并找出并设计出可以详细向消费者介绍产品的信息的设计要素。 本论文首先中国、韩国和全球的健康功能食品实例研究为前期研究基础,中国、韩国和全球的健康功能食品市场现状、儿童特点和包装设计进行说明。 第二,中国、韩国和全球儿童维生素实例设计进行分析。以销量为标准,中国、韩国及全球的儿童维生素制剂的包装设计,包装设计的视觉角度上商标、品牌因素、角色、颜色、形象标准进行分析。 第三,通过问卷调查的实证性调查来突出本论文提出的问题。 以问卷调查结果为基准,提出新的中国儿童维生素包装设计。提出的设计以20岁至40岁有子女的父母为对象进行设计验证的问卷调查,通过设计评价结果以及购买选择意向结果,最重突出中国儿童包装设计草案。 通过本论文,消费者在采购过程中以及儿童维生素制剂服用的过程中遇到的问题,在包装设计的层面上进行帮助和解决。国外的先进设计概念进行分析研究,以这样的设计理念上,真正适合中国消费者的儿童维生素包装进行设计。 어린이는 현대 가정의 소비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린이 비타민제 소비의 특수한 소비 대상으로써 어린이의 성장과 이에 맞물린 어린이 건강 기능 식품 산업이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수년 간 어린이들이 비타민제 복용 과정에서 비타민제를 오남용 하는 사건이 빈발하자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 비타민제의 패키지 디자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를 위하여 패키지 디자인에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해야 하며 설계가 반영 되어야 된다는 점과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이 패키지 디자인 관점에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 및 개선을 연구하고 있다. 중국, 한국과 글로벌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의 현황과 패키지의 변화 추세를 연구하여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수요에서 출발한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에 쓰이는 컬러, 그래픽, 이미지, 정보 디자인, 구조 요소, 어린이 보호 포장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과 소비자의 요구에 기반해 소비자에게 소개 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찾아내 제시한다. 본 논문은 첫째 중국, 한국과 글로벌의 어린이 건강기능 식품의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중국, 한국과 글로벌의 건강기능 식품 시장 현황과 어린이 특성, 패키지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중국, 한국과 글로벌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판매량을 기준으로 중국, 한국 및 글로벌을 대표하는 어린이 비타민제를 선정하고, 선정한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을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 관점에서 브랜드 로고, 컬러, 캐릭터, 타이포그래피, 이미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이를 통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설문지를 통해 검증하는 실증적 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을 새롭게 디자인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제작된 어린이 비타민제를 20대부터 40대까지 자녀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검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디자인 평가 결과와 구매 선택 여부에 대한 설문 결과를 토대로 중국 비타민제의 패키지 디자인 제안 요소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소비자의 어린이 비타민제 구매 과정 및 복용과정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디자인 관점에서 돕고자 한다. 국외의 선진 디자인 컨셉을 분석 연구하여, 이러한 디자인 컨셉 위에 중국 소비자를 고려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Children play important role in the modern family consumption structure. As a special group of drug consumption, the growth of children should arouse the attention of the whole society. In recent years, in the process of using children's vitamins, due to lack of vitamin label design, the events of mistakenly eating health product have taken place repeatedly, and more an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children's vitamin packaging design. So the design of children's vitamin package should be more specific to convey the drug information. And it should be more prominent to show that the package is designed for children in package design proc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vitamin package in children vitamin, the improvement of vitamin, the design states of Chinese, Korean and global children, and the variation trends of vitamin. It clarifies the principle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or children's drug packaging design. Starting from the demand of children vitamin consumers, the paper detailed studied the colors, graphics, words, shapes, materials and information design of the drug package for children. On the basis of children's psychology and consumer dema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and design the factors that can detailed introduce the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In this paper, firstly, the healthy functional food samples from China, South Korea and the world were taken as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Market states for healthy functional foods in China, South Korea and the whole world,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packaging design were described. Secondly, vitamin case designs of China, South Korea and the whole world were analyzed. Taking sales as the standard, this paper analyzed the packaging design of the vitamin preparation and their trademark, brand factor, role, color, image standard in visual angle. Thirdly, through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questionnaire, the problems raised in this paper are highligh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 new vitamin package design for Chinese children was put forward. The design putting forward took parent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as the study object. Through the design evaluation results and purchase and choice intention results, Chinese children's package design draft was finally highlighted. Through this paper, if there are problems for consumers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or children in taking vitamin preparations, they can be helped to solve the problem at the level of packaging design. The advanced design concepts abroad are analyzed and studied. Based on this design concept, children vitamin package design that really fit for Chinese consumers is developed.

      • 디자인 뮤지엄의 큐레이터 역할에 관한 연구

        박현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6367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간의 가교 역할을 통해 문화산업시대의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시각 문화로 인식되고 있다. 21세기는 문화 컨텐츠의 시대이다. 세계의 각 나라는 고유문화를 국가 경쟁력의 중요 수단으로 인지하고 이를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의 문화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근대 이후 산업과 과학의 발달에 의한 경제적 세계화는 오늘날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문화적 세계화로 나아가고 있으며 각국은 고유의 문화정체성을 세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핵심적 역할로서 디자인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최근 디자인 선진국에서는 디자인 문화의 진흥과 보급을 위한 문화소통의 장으로 디자인 뮤지엄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식의 디자인 뮤지엄의 사례를 통하여 디자인 큐레이팅에 관한 논의를 그 목적으로 한다. 사례들은 디자인 문화 소통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다양한 형식의 디자인 전시시설에 관한 것이며, 연구자가 판단한 대표적 예로서 영국 런던의‘Design Museum’, 일본 동경 미드타운의‘21_21디자인사이트’그리고 독일의‘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디자인개념의 흐름과 함께 뮤지엄의 변화를 그 배경으로 디자인 뮤지엄의 다양한 운영방식을 큐레이팅의 확대된 범주로서 다루었다. 디자인 뮤지엄과 전시기관들은 미술관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주체의 성격과 설립취지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 런던 Design Museum은 전시, 교육, 연구 등의 전통적 방식의 체계적인 운영으로 현대 디자인에 관한 실험적이고 깊이 있는 전시를 통해 디자인 분야의 세계적 권위를 다지고 있으며,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은 기업 뮤지엄의 한계를 장점으로 이용한 뮤지엄 세계화의 성공적 예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21_21은 일본의 디자인 정체성을 운영 철학에서부터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통일성 있게 상징적으로 담아낸 실험적인 사례였다. 또한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사이버 뮤지엄은 디자인 뮤지엄의 제한된 운영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처럼 뮤지엄의 주요기능들은 큐레이터의 활동에 의해 다양한 모습으로 수행된다. 디자인 뮤지엄의 큐레이터는 이러한 활동의 중심에서 디자인의 개념적, 실천적 방식에 근거하여 뮤지엄 외부와도 적극적인 협업을 수행 할 수 있으며, 일상의 삶과 분리된 영역의 뮤지엄을 일상에 적극 개입하는 능동적 문화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산업의 시대 디자인 문화의 융합과 조화 그리고 적용의 중심자로 이와 같은 디자인 큐레이터의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Design has been recognized as visual culture to create new added values at the age of cultural industries as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various areas.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al contents. Each country across the world recognizes its unique culture as a significant mean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s using it as cultural resources to create economic value added. Economic global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and science since modern times is making progress toward cultural globalization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oday’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each country is trying to globalize its own original cultural identity. As a core role of this effort, the value of design is reinterpreted. Recently, advanced countries of design have paid attention to the need of the design museum as sp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for the promotion and diffusion of design culture. The current study aims to discuss design curating through cases of the design museum of diverse types. The examples are involved with design exhibition facilities of various types whose main function is cultural communication of design, and as typical examples the research judges, ‘Design Museum’ in London, UK,’21_21 Design Site’ of midtown in Tokyo, Japan and ‘Vitra design museum’ in Germany wer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analysis addressed the design museums of various management methods as the expanded categories of curating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hange in the museums along with the flow of the design concept. Design museums and exhibition facilities are operated relatively diversely compared to art galler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and the object of foundation.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London Design Museum is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global authority in the area of design through experimental and profound display of modern design with systematic management of traditional methods including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and Vitra Design Museum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musical globalization using the limit of the enterprise museum as a advantage. And 21_21 was an experimental case to contain Japanese design identity coherently and symbolically ranging from administrative philosophy to structures. In addition, the cyber museum at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is [aid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make up for the limited administrative methods of the design museum. As mentioned above, main functions of the museum are performed by diverse forms by curators’ activities. The curators of the design museum can perform active collabor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museum based on conceptual and practical methods of design in the center of theses activities, and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museum of the area isolated from daily life to function as space of positive cultural communication intervening actively in daily routine.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design curators is required as mentioned above as a core player of fusion, harmony and application of design culture at the age of the cultural industry.

      • 베트남 패션 온라인 쇼핑의 UI 디자인 연구

        도안 티 투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67

        온라인 쇼핑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인터넷은 소비자가 쇼핑 및 상품 서비스를 구매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서 온라인 쇼핑이 세계적인 현상으로 확산되고 있고 아울러 베트남 인터넷 쇼핑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베트남은 온라인 비즈니스 형태로 설립된 새로운 기업을 위해 많은 기회가 있는 개발도상국이다. 온라인 쇼핑은 선진국에서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베트남에서는 성장할 수 있는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쇼핑의 중심이 온라인 쇼핑으로 옮겨가고 있다. 소비자는 상점에서 제품을 직접 구입하는 것 보다 인터넷쇼핑을 이용하면 시간과 가격을 절약하고 여러 제품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베트남 패션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활용해서 UI 디자인을 하는지, 사용경험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온라인 쇼핑의 구매과정을 완성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UI 디자인은 베트남 인터넷 쇼핑의 맥락에서도 실용적인 가치가 있으므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I 디자인 전략요소인 시각요소, 기능요소 분석을 통해 패션 온라인 쇼핑을 중심으로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 1 장에서는본연구의배경및목적을제시하고연구방법및범위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였다. 제 2 장에서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비교 분석과 온라인 쇼핑의 특성 및 베트남의 시장 잠재력 현황을 조사하고 UI 디자인 전략요소를 도출하였다. UI 디자인 전략요소는 ‘시각 요소', ‘기능 요소'로 분류하여 각각의 개념과 특성 내용을 결과로 정리하였다. 제 3 장에서는 UI 디자인 전략요소를 통해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포즈(Pose), 스타일태그(StyleTag), 자로라(Zalora) 등 총 3 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마다 위 전략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내용을 통해 시각적 표현, 기능적 표현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사용성 테스트로 온라인 쇼핑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사용성테스트를 베트남과 해외 온라인 쇼핑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각 국가 UI 디자인의 차이 분석에 결과를 통하여 UI 디자인의 장점과 단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시각적 표현은 단순하고 효과적인 레이아웃을 유지하고 버튼 선택과 메뉴 배치에 대한 디자인이 명확히 표현되어야 하며 사용성을 향상시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해외 패션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내용과 공유 방식을 중시하기 시작하므로 다양한 SNS 공유방식을 제공하고 공유 버튼이 명확하게 인지되도록 개발하여야하여 사용자의 체험 만족감을 높여야 한다. 이는 최근들어 베트남 사용자들이 구매정보를 공유하거나 소셜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패션상품을 쇼핑하는 것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종합분석 결과에서는 향후 베트남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대한 개선방향과 전망을 예측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프로토타이핑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베트남의 온라인 쇼핑에서 표현되는 UI 디자인의 시각적, 기능적 요소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앞으로 베트남에서 인터넷 분야의 성장에 따라 더욱더 범위가 커지고, 온라인 쇼핑 또한 다양하게 디자인 개발하도록 디자인 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A Study on UI Design of Fashion Online Shopping in Viet Nam Vietnam is a developing country with many opportunities for new established enterprises in the form of online business. Online shopping in developed countries is not new but in Vietnam, this industry has huge potential to grow.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Internet shopping has gradually changed. A growing number of online shopping users have been seen and they are changing the buy and sale method as well as services system. And quickly Internet shopping market in Vietnam has been strongly growing. By using Internet shopping, rather than directly buying a product at a store, users can save time and also compare the prices and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research of knowing how to improve and take advantages of the UI(User Interface) design application as well as finding a solution for a better online purchase process . UI design has more practical value in the context of the Vietnam Internet shopping marke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xpression properties around fashion shopping through the UI design strategy of visual elements and functional elements analysis. Chapter 1 presents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of the study and provides an overview of the research methods and scope. Chapter 2 gives an overview of Vietnamese online shopping's current status, analyzes the potential of the online shopping market and points out UI design's strategy elements. UI design strategy elements include concept and content which are divided into two elements: visual and functional. Chapter 3 discusses websites and applications through the UI design strategy elements. In particular Pose, StyleTag, Zalora were analyzed for a total of three cases. Analyzed in each case focus on strategy elements. Chapter 4 tested customer’s perception of online shopping through a usability testing method. We were able to compare Vietnam and overseas online shopping sites. Based on the analytical data, we can see the pros and cons of UI design which is shown below. Visual representation must show a good design with a clear menu and well organized buttons, and also maintain a simple and effective layout. Moreover, it should provide needed information clearly enough to give users everything they need in just one click. One thing should be concerned is every popular online shopping website or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y really care about sharing and spreading their brand and information.They have been very creative and smart when using SNS and social medias to promote their company in variety ways like ‘sharing’ button. This is what still limited Vietnamese companies should learn and put into practice. Nowadays, fashion shopping has been developing continuously and strongly in Vietnam. People use social networks to share product’s information and image as well as for making purchases. This study helps us understand visual and functional elements of UI design. In the future, Vietnamese online shopping industry will hopefully develop using the methods dicussed in this study.

      •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패밀리 룩 도입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제과업계의 아이스크림류 제품을 중심으로

        장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6367

        The time to play games by only the quality of product has gone. Now most of the companies have ability to provide quality with corresponding level of consumers’ demand, so satisfying the consumers’ desire through the efficient marketing suitable for the differentiated packaging design based on the quality and this era became important. Especially, the frozen market like ice cream but the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shows the quality isotopic phenomenon which the nature of product is becoming similar, so enforcing the brand image through the packaging design and delivering the competition product and differentiated value to the consumers became more important. Thus, this study aims to attempt introducing the ‘Family Look’ applying the consistent design flow to the various brand in a company and to suggest the wide range of applications, so that the design direction for the consumers’ confidence can be promoted by securing the consumers for the ice cream market with low brand loyalty in the long term.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considered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tudy and previous studies, and the various Family Look coverages were suggested through the visual element analysis of the existing ice cream packaging design. First, introducing the Family Look to the ice cream packaging design increase the unity, so the various product brands will form the sense of belonging. If the unity is formed through the consistent visual elements of relevant company which can differentiate with other companies, then the product brand with the various characteristics will be shown as the product of one company, so it will have a sense of belonging. In the long term, it will have effects on the effective evoke action of the company and ice cream brand. Second, introducing the Family Look to the ice cream packaging design will increase the confidence about the product brand, so it will be a big main cause of the product purchase. As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urvey, the confidence of the packaging design introduced the Family Look seemed higher than the existing ice cream packaging design, and people preferred the packaging design introduced the Family Look. In the result of the open-ended survey about the question of the reason,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confidence as the reason of the product preference. Third, in the introduce coverage of Family Look to the ice cream packaging design, the improvement methods applying the unity to the layout is effective. The ice cream packaging design which has been loved for a long time introduced Family Look through the improvement methods for maintaining the brand competitive power of the company and visual characteristics to differentiate with the products of the other companies in the consistency, and it is important. Therefore, the differentiation and sense of belonging formed through Family Look became the source of brand value, and the repetitive exposure of the consistent design became the powerful brand image through the recognition and memory to the consumers. The earlier studies on the existing Family Look was limited on the vehicle design, but in this study, analysis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mily Look cases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Family Look and brand look through redefining to the food market will be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useful resources to promote the strategies and action plans of the food market packaging design introducing the future Family Look in the significance. 제품의 품질만으로 승부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 대부분의 기업이 소비자들의 요구에 상응하는 수준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됨에 따라, 제품력을 기본으로 한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과 이 시대에 맞는 효율적인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해졌다. 특히 기술 집약적 산업이 아닌 아이스크림과 같은 냉동 시장은 제품의 특성이 모두 엇비슷해지는 품질 동위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패키지디자인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에게 경쟁 제품과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한 기업에서 나오는 다양한 브랜드에 일관된 디자인 흐름을 적용하는 ‘패밀리 룩(Family Look)’을 아이스크림 시장에 도입해야 함을 주장하고 다양한 적용 범위를 제안하여, 장기적으로 브랜드 충성도가 낮은 아이스크림 시장의 고객을 확보하며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국내외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기존 아이스크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 분석을 통해 다양한 패밀리 룩 적용 범위를 제안하였다. 소비자 조사를 기초로 하여 분석한 결과, 아이스크림 시장에 패밀리 룩을 도입하였을 때 가져올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스크림 패키지디자인에 패밀리 룩을 도입하면 통일감이 높아져 다양한 제품 브랜드가 소속감을 형성하게 된다. 다른 기업과 차별화할 수 있는 해당 기업만의 일관된 시각 요소를 통해 통일감이 형성 되면, 다양한 개성을 가지고 있는 제품 브랜드가 한 기업의 제품으로 보여 지며 소속감을 갖게 된다. 장기적으로 볼 때, 이는 기업과 아이스크림 브랜드의 효과적인 연상 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기대된다. 둘째, 아이스크림 패키지디자인에 패밀리 룩을 도입하면 제품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이 높아지게 되며, 이는 제품 구매의 큰 요인이 된다. 비교 설문 결과, 기존 아이스크림 패키지디자인보다 패밀리 룩을 도입한 패키지디자인의 신뢰감이 높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밀리 룩을 도입한 패키지디자인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묻는 주관식 설문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가 신뢰감을 제품 선호의 이유로 들었다. 셋째, 아이스크림 패키지디자인의 패밀리 룩 도입 적용범위는 레이아웃에 통일감을 적용한 개선의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미 오랜 시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아이스크림 패키지디자인의 경우 개선의 방법을 통한 패밀리 룩을 도입하여, 기업이 쌓아왔던 브랜드 경쟁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다른 기업의 제품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시각적 특성을 일관성 있게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패밀리 룩을 통해 형성된 차별성과 소속감은 브랜드 가치의 원천이 되고, 일관성 있는 디자인의 반복적인 노출은 인지와 기억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로 형성된다. 기존 패밀리 룩에 관한 선행논문이 자동차디자인 분야에만 국한되었다면, 본 논문에서는 패밀리 룩과 브랜드 룩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식품시장에 도입된 국내외 패밀리 룩 사례를 분석하는데 그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향후 패밀리 룩을 도입한 식품시장 패키지디자인의 전략 수립과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는데 의의가 있다.

      • 3D게임 캐릭터설정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방하영 숙명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6367

        The game market in Korea has taken root as the leading industry for creating value added by securing oversea markets through online games, government support and the interests and investments of big corporations. As computer games became a large export industry, competition from foreign game companies has become an inevitable element. It has become certain that for our games to withstand any competition in the world a research of higher levels of design and enjoyment that which the world can accept is needed. The character which navigates through the game is in many cases, used as the main model for advertising the product. Therefore the value of its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large. Most of the games now are designed in 3D graphics, giving the player a higher level of flexible visual effect, therefore the character in the game must offer the player a perfect make-up in all angles. Also the a much higher perfection of design is need to show the ability of graphical expression and concept of the game to the consumer through the character in which is opened to them during the marketing process. Not only does the character of the game give the player the visual enjoyments of the game but also takes on the middle man role that allows the player to absorb into the game giving the illusion that the player has become the character playing and adventuring inside the game. The enjoyment of using the character to play through a story is different from other visual medium like animation and movies, in which it is differentiated for its unique experience that gives the primary factor of being absorbed into the game for long periods of time. This kind of indulgence increases the popularity of the game creating a group of manias giving the game an opportunity to reborn into new contents. As games, movies, animations, music and mangas became the center of 'One Source Multi Use' inUse' in cultural concepts higher levels of character design perfection has become a essentiality element. The details and cautious thinking in creating a character acts highly in achieving higher standards of character designs in a 3D game. In creating a character you need to make up the details like the outlook of the world the character lives in and from big setups like the role in the game and occupation to small details like personality and living environment, people around the character and weakness points. This process keeps a unified image of the characteristics and make sure it is not lost during other process like 2D, 3D, mapping, animation etc and in conclusion allows the creation of a highly perfected character. The entrance of Korean games in to foreign markets is not only to create benefit by reeling in foreign currency but its true meaning lies with exporting the culture and sentiments of Korea bound to them. The character's non-deniable affinity, which is the face(representative) of the game, will become opened to the public in a more detailed manner once it becomes distributed as a product and because of that popularity it gains life. The entrance of game characters into foreign markets through Korean games is a great opportunity to widely advertize Korean culture. Through the game character in which has a background of enjoyment and game play standard which the world can accept and gone through a carefully detailed characterization process, with designs that accompany the Korean culture and sentiments; we will be able to create a non foreign but characterized Korean styled game. 국내에서 게임시장은 온라인 게임으로 인한 해외 게임시장의 확보와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 대기업들의 게임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로 인해 문화산업중에서 고부가가치 창출의 주도산업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게임이 주요 수출산업으로 급부상 하면서 해외 대형 게임개발사와의 경쟁은 불가피한 요소가 되었으며 국산 게임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세계인들이 받아들일 만한 재미와 완성도 있는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졌다. 특히 게임을 이끌어나가는 캐릭터는 제품 마케팅의 메인모델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그 디자인에 대한 가치는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대다수의 게임이 3D그래픽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시점의 자유도 또한 높아졌기 때문에 게임 속 캐릭터는 플레이어의 시점에 따라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완벽한 구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또한 마케팅과정에서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캐릭터를 통해 게임의 컨셉과 그래픽 표현능력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완성도 높은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게임에서의 캐릭터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 이외에 게임을 진행하는 플레이어가 게임에 대한 몰입도의 중간단계 역할을 하여 플레이어가 마치 게임 속 영웅이 되어 모험을 하는 듯한 착각을 만들어 낸다. 직접 캐릭터를 이용해 스토리를 진행해 나간다는 즐거움은 애니메이션, 영화와 같은 다른 영상매체와는 차별화 되는 특별한 경험으로 장시간 게임에 집중할 수 있는 요인을 제공하며 높은 몰입도는 게임에 대한 인기를 상승시켜 매니아층을 형성하게 되고 다른 컨텐츠로 재탄생 되는 계기를 만들기도 한다. 이렇듯 게임이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음악 등의 문화컨텐츠의‘One Source Multi Use’화의 중심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게임캐릭터 디자인의 높은 완성도는 필수요소가 되었다. 3D게임에 있어서 캐릭터의 높은 완성도는 개발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캐릭터설정 작업의 디테일과 신중함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캐릭터디자인을 위해선 설정 과정에서 캐릭터가 속한 세계관, 게임에서의 역할과 직업 등의 큰 구조를 비롯하여 성격과 살아온 환경, 주변인물과 약점과 같은 세부적인 사항을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제작과정에서 2D, 3D, 매핑, 애니메이션 등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는 3D게임에 있어서 캐릭터가 가진 고유의 이미지를 잃지 않고 통일감을 이루어 최종적으로 완성도 높은 캐릭터가 탄생될 수 있도록 한다. 국산 게임의 해외 진출은 단순히 외화를 벌어들여 국익을 창출한다는 경제적인 이유뿐 아니라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담아 같이 수출한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특히 게임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캐릭터의 거부감 없는 친화력은 상품화가 되어 일상에 구체적인 모습으로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데 그 같은 대중성 때문에 생명력을 가지게 된다. 국산 게임을 통한 게임캐릭터의 해외 진출은 한국의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세계인들이 받아들일 만한 재미와 게임성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캐릭터설정 과정을 거친 한국의 정서와 문화가 디자인에 충실하게 반영된 캐릭터가 함께 한다면 이질적이지 않으면서 개성 있는 한국형 게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유·소아 감기약 포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혜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6367

        As domestic industries advance and nuclear families increase, the importance of children in the family is getting bigger every day. As the issue of low fertility is added on that, the health of the children is getting more attention from other family members. In such situation, cold medicines are the biggest sellers among medicines for toddlers/children as the household medicine. The medical products take care of our health and treat diseases. The package design of medical product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should give good image on health and enhance the reliability felt by the consumers who buy the medicines. In addition, the package design of medical products requires high level of specialty and professional knowledge compared to other general products. Consumers of medical products for toddlers/children show very sensitive emotional response as they are young and their body organs are not yet fully developed. Therefore, the package design should not ignore the sensitivity and meticulousness aspects. The design should be able to reliev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children and let them aware that disease treatment is comfortable and enjoyable. At the same time, the package design should consider the safety aspect so that potential drug-related accidents or drug-abuse can be avoi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ackage design situation of children’s cold medicines being sold in large quantities around the year and analyze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them. Then the visual methodology to make package design which can give mental stability to sensitive children and give confidence to the parents is suggested. In addition, the package design status of major children’s cold medicines in foreign countries is described and compared with domestic package designs so tha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package design can be explored and improvement plan on current issues can be prepared. Chapter 2 of this research is the general review of medical products package design. It describes the concept, kinds,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medical products. Chapter 3 looks into 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oddlers and children. The concept and structural/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for toddlers/children are studied in this chapter. Chapter 4 analyzes the package design of domestic cold medicines for toddlers and childre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product are analyzed. Children’s cold medicines for the research were limited to the medicines that general consumers can designate the brand. Cold syrup medicines for toddlers and children produced by 13 major pharmaceutical companie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were classified into layout, brand logo type, color and illustration. Children’s cold medicines from 7 companies out of 13 companies had relatively superior package designs. They were studied for the application extent.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children’s cold medicines in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Japan was investigated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hildren’s cold medicines were studied. Chapter 5 compares and analyzes the cases of Korea with overseas cases.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expression methodology of toddlers and children’s cold medicines was deduced. The current trend and future direction of children’s cold medicine package design a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s on the image improvement of domestic children’s cold medicine package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Pharmaceutical companies will look for better way to differentiate their medicines from others and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need to introduce and apply various methods based on visual communi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Products with good quality and high competitiveness can be developed if a design culture in the medical products package design would be created by way of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ies should exert more effort and sincerity to contain the unique and differentiated image in their medical products so that the market of children’s medical products would continue to grow. 국내의 산업발전과 더불어 핵가족화 되고 있는 가정환경에 따라 아이들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져가고 있고, 저 출산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들이 어린이 건강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소아 의약품 중 특히 감기약은 아이가 있는 가정 내에서 상비약으로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다. 우리의 건강과 질병을 치료하는 의약품의 포장디자인의 경우, 약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건강에 좋은 이미지와 신뢰감을 높여야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의약품 패키지디자인은 일반 상품과는 달리 고도의 전문성과 특수성이 요구되어진다. 유.소아용 의약품의 경우 아직 신체 각 기관이 미숙하고 정서적인 반응이 예민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세심한 면이 간과 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아이들이 약을 복용 시 심리적인 부담감을 없애고, 편하고 즐겁게 질병을 치료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되어져야 한다. 동시에 어린이의 약물사고와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의약품 포장 개발을 요구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소아 의약품의 중 사시사철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감기약의 패키지디자인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각표현요소를 분석하여, 의약품에 민감해 하는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아이에게 약을 주는 부모와 보호자들에게는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포장디자인의 시각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해외의 주요 어린이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 현황 살펴봄으로써, 국내의 디자인과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가늠해 보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제 2장에서는 의약품 패키지디자인의 일반적 고찰로 의약품의 개념 및 종류, 의약품 패키지의 특성과 분류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 3장에서는 유.소아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특성과 유.소아 패키지의 개념과 구조적, 시각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국내 유.소아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의 현황과 각 제품별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소비자가 지정 구매가 가능한 일반의약품을 기준으로 했으며,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어린이 감기약을 제조하고 있는 주요 13개 회사의 유.소아 감기약 시럽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레이아웃, 브랜드로고타입, 컬러, 일러스트로 분류하여 이를 기준으로 13개 회사 중 디자인이 가장 우수한 7개 회사의 상품들에서 적용 정도를 가늠해 보았다. 또한 해외의 주요 유.소아 감기약 패키지디자인은 미국, 영국, 일본의 의약품의 유통현황을 살펴보고,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어린이 감기약 제품들을 토대로 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유소아용 감기약의 시각표현 방법의 특성을 도출하고 현재 어린이 감기약 패키지 디자인의 추이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 유.소아 감기약 제품 패키지의 이미지 향상과 각 기업의 아이덴티티의 차별화,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국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의한 방법의 도입과 적용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적극적인 연구와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우리의 디자인 문화를 형성해 나간다면 외국 제품과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이 개발될 것이다. 더불어 어린이 의약품 시장의 성장을 위해 기업은 차별화된 독창성 있는 이미지를 제품에 담는데 더욱 많은 노력과 정성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음반 그래픽디자인의 표현 변천 연구 (1885년-2015년 한국 대중 음악사를 중심으로)

        문정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67

        본 연구의 목적은 1885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대중음악사에 나타난 대표적인 음반그래픽 사례들의 감성디자인 표현 변화를 연구·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감성디자인의 분석 및 음반그래픽디자인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대중음악에 대한 개념과 특성, 역사 속에서의 위치와 현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음반그래픽디자인이 정의와 유형은 어떠하며 어떤 역사를 가졌는지 알아보았다. 역사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청각을 시각화하기 위해 물리적, 생물학적, 심리적, 수동적, 공감각적인 영향을 어떻게 연구하고 발견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음악의 시각화에 대한 역사는 바로 음반그래픽디자인의 역사이며 감성디자인이었다. 한국대중음악사를 살펴보면 이성 중심 사조와 감성 중심 사조는 번갈아 주류를 이루는 경향이 있었다. 20세기에는 외국문물의 수용과 많은 전쟁을 겪으며 일본, 미국의 문명과 사고방식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한국대중음악사에 따른 음반그래픽 디자인도 기계문명의 발달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억압적, 권위주의, 성장주의, 반공주의에서 자유주의, 비물질적, 다원주의와 탈중심주의로 변화되어가는 사회·문화적 영향 하에서 일차적으로 눈으로 먼저 보이는 외형적인 디자인은 물론 내용적으로도 시대가 변화함에 상관없이 디자인의 목적과 기능과 함께 체험과 감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대중음악사에 따른 음반그래픽디자인의 변천과정을 먼저 살펴보았다. 1885년부터 1999년까지는 문헌자료와 각종 한국시대사에 관한 내용을 참고하고 당시 사회적 감성과 분위기를 파악하였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는 인터넷 음반차트와 음원을 제공하는 ‘멜론(Melon)’의 연간 종합 차트 베스트 1-50위 앨범들과 당시 히트를 쳤던 가수, 작곡가들의 유행곡과 시대상을 분석한 문헌자료와 신문기사 등을 참고하였다. 이러한 한국대중음악사의 변천과정들 속에서 가장 대표적인 시대별 음반그래픽디자인의 사례들을 10-15개정도로 선별하여 시각적, 도상학(해석학적)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대의 대표적인 음반그래픽디자인이 어떤 장르이며 시각적인 요소들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데이비드 마킨(David Machin)과 칸딘스키(W.Kandinsky)의 방법론을 연구하여 분석틀을 만들었고 이 방법에 따라 구분한 음반그래픽디자인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감성디자인의 기준으로 삼았다. 결론적으로 음반그래픽디자인은 작업환경의 변화와 기술의 변화, 사회·경제·문화 등 시대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였으며 일정한 틀이 없다. 따라서 음반그래픽디자인은 단순히 음반을 돋보이기 위함이나, 음반의 보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떠나서 가수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와 음반이 담고 있는 내용에 따라서 어울리는 조형적 요소 속에서 도상학적, 해석학적, 시각적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일차적인 색과 도형의 혼합이 아닌 음반이 지닌 사회적, 정치적, 시대적인 담론과 의미, 은유를 지니고 있는 총합이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발달된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변화한 음반그래픽의 위치와 역할을 단순홍보와 정보전달에서 가수라는 한 브랜드의 상징과 이미지로 보았다.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음반그래픽이 지닌 도상학, 해석학적인 의미와 조형적인 요소를 정보전달의 기능, 판매촉진과 광고 기능 속에서 찾기 위해 노력했다. 본 논문은 음반그래픽의 감성디자인의 표현 연구를 1885년부터 2015년 한국의 대중음악사에서 대표적인 사례들을 분석하여 음반그래픽디자인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향후 더 많은 사례연구를 통해 디지털 기술과 감성디자인의 융합이 창조해낼 미래 음반디자인의 조형적 형태와 라이프 스타일간의 관계성도 조망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 친환경적 문구 디자인의 현황과 소비자 의식에 관한 고찰

        김미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6367

        Today,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s and growth of economy achieved by mankind have enriched all our lives much more. However, rapid population growth and senseless industrial developments have brought about environmental problem as a result and the rise of environmental problem has remained as a serious issue awaiting solution of this society. Ecological aspects are drawing attention from people and media in recent years so that corporate campaign of environment reved up all over the globe and this led to the appearance of eco-friendly-oriented consumers. This circumstance has promoted the consciousness trying to choose products based on environment by the growing number of well-being consumers who lead the change of modern people's life style and pursue a pleasant life and healthy body. Keeping pace with such tendency, enterprises have expanded much more developed eco-friendly industries by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goods and brands through green marketing in every field of business. Above the rest, as the goods we can see most easily on our desks, stationery is a representative product to meet the human nature of using tools from old times and it became a market getting the new spotlight as consumer consciousness on environment has grown in eco-friendly industries in these days. However, stationery is a different product group from food item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 health and it has some issues to be improved yet to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he competition against the existing brands. Also it remind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that no practical precedent study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methodological design cases of eco-friendly stationery pro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it focuses on the analysis of methodological cases referred to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design industries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by the examination of eco-friendly design cases in stationery brands. The contents and outline of the study by each chapter are as bellows: The introduction in Chapter 1 mentions the background of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being on the rise and the necessity of study and discusses the objective, scope and method of study, which are going to intend in the concrete. In Chapter 2, it examines the reason why eco-friendly design has been on the rise 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mankind and design before entering into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and tries to form the concept of eco-friendly design. Also it examines the necessity of eco-friendly design based on the changing social perception of consumers, enterprises and designers. In Chapter 3, it examines the background, formation of the concept and the current trend of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and classifies the elements of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into environmental ones and cognitive on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form the theory. In Chapter 4, it examines brands of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at home and abroad focused on representative three companies and seeks the analysis a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based on stationery designs of those brands. First, eco-friendly stationery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two cases of one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and the other in consideration of mankind. For the case of stationery design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it is classified into the cases of stationery design in consideration of recycle, reuse, reduce based on '3R' as a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movement, and for the case of stationery design in consideration of mankind, it is classified into the cases of stationery design of harmless to human body, for delivery of environmental messages, using natural raw materials, to analyze the cases applying the eco-friendly analysis table based on the formation of each concept. In Chapter 5, it examines and analyzes consumers'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response consciousness based on empirical study applying survey method classified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into four types (recycle, illustration, harmless to human body, natural raw materials). Based on it, lastly in Chapter 6, it examines the current issues of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suggests towards the correct direction based on consumer view to mak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reviews the constraints of study, and describes the direction how to proceed eco-friendly stationery design in the future. To examine the general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is empirical study, it shows that all consumers respond positively to eco-friendly stationery as they have positive perception to the eco-friendly feeling. However, it shows that they evaluate the value of products differently by the types of stationery while they accept the general differences in their emotional responses. Also it shows that they give positive answer to 'I want to buy it' but they cannot feel the payable value just for the reason of eco-friendly one as they respond negatively to all other types of questions except the type of 'stationery made of natural raw materials', when it supposed that the products would cost a bit higher than the existing ones. Thus, it shows to be difficult to hold the competitive edge just by the method stimulating the purchasing need of consumers simply with the eco-friendly tendency of a produ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to be occurred in apply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the insufficiency based on empirical study for the differentiation of eco-friendly stationery from the existing goods in the day by day growing eco-friendly market and summarizes, evaluates the analysis results so to apply it for future eco-friendly design industries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that eco-friendly stationery industry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modern society. 오늘날 인간이 이루어 낸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의 성장은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였다. 하지만 급격한 인구 증가와 무분별한 산업 발전은 환경문제를 야기했고, 이러한 환경문제는 이 사회가 해결해야 할 심각한 과제가 되었다. 최근 몇 년간 대중과 매체의 관심이 생태학으로 모아지면서, 세계 기업들은 환경 캠페인을 활성화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친환경 지향주의 소비자가 등장했다. 이러한 환경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변화를 가져 왔고, 쾌적한 삶과 건강한 육체를 원하는 웰빙(well-being) 소비자의 증가로 이어졌다. 그로인해 소비자들은 예전보다 환경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제품을 중심으로 구매하려는 의식이 높아졌다. 그러한 추세에 맞추어 기업은 각 분야에서 그린마케팅을 통한 차별화 된 상품과 브랜드를 개발하여 더욱 발전된 친환경 산업의 확대를 이루었다. 그 중 문구(Stationery)는 예로부터 도구를 사용하던 인간의 본능을 충족시켜주는 대표적인 제품으로, 문구시장은 최근 친환경 산업에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시장이 되었다. 하지만 문구는 건강과 직결시키는 먹거리와는 다른 제품군이기 때문에, 친환경 문구가 아직까지 기존의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연구해야 할 점이 많다. 본고는 친환경 문구 제품의 방법적인 디자인 사례를 중점으로 연구한 실질적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을 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문구 브랜드의 친환경 디자인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환경 문제를 고려한 미래의 친환경 디자인 산업 개발에 참고할 수 있도록 방법적인 사례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각 장 별 연구의 내용 및 개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에서는 친환경 문구 디자인이 대두된 배경과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구체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2장에서는 친환경 문구 디자인에 들어가기에 앞서 환경과 인간과 디자인의 원초적인 관계 정립부터 친환경적인 디자인이 대두된 원인을 살펴보고 친환경적 디자인의 개념 정립을 해보았다. 또한 소비자와 기업과 디자이너의 변화하는 사회인식을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디자인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았다. 3장에서는 친환경 문구 디자인의 배경 및 개념정립과 현재의 동향을 살펴보고, 문헌조사를 통해 친환경 문구 디자인의 요소를 환경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로 나누어 이론을 정립해 보았다. 4장에서는 국내·외 친환경 문구 디자인의 브랜드를 대표적인 3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브랜드의 문구디자인을 바탕으로 방법적인 접근으로의 분석을 도모하였다. 먼저, 친환경 문구에서도 크게 환경을 고려한 문구디자인과 인간을 고려한 문구 디자인의 사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환경을 고려한 문구디자인의 사례에서는 대표적인 환경운동인 ‘3R’을 바탕으로 재활용(Recycle), 재사용(Reuse), 감량(Reduce)을 고려한 문구 디자인의 사례로 나누고, 인간을 고려한 문구 디자인의 사례에서는 인체 무해한(Harmless), 환경 메시지(Message) 전달을 위한, 자연 소재(Raw material)를 사용한 문구 디자인 사례로 나누어 각각의 개념정립을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분석표를 활용하여 그 사례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친환경 문구 디자인을 네 가지 유형(재활용, 일러스트, 인체 무해한, 자연소재)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법을 활용한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의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마지막 6장에서는 현재 친환경 문구 디자인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소비자의 시각을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제언하여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을 내리고 연구의 제한점 등을 살펴보며 향후 친환경 문구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실증연구의 전체적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는 친환경적이라는 느낌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지적인 반응’에서 친환경 문구에 모두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감정적인 반응’에서는 전체적인 차별성은 인정했으나 문구의 유형별로 제품의 가치를 각각 다르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행동적 반응’에서는 ‘구매하고 싶다’에 긍정적인 응답을 했으나, 기존의 제품보다 조금 높은 가격일 것이라는 가정하의 문항에서는 ‘자연 소재 문구’ 유형을 제외한 다른 유형에는 모두 부정적인 반응으로 친환경이라는 이유만으로는 지불가치를 느끼지는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로인해 단순히 제품의 친환경적인 성향만으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방법으로는 경쟁우위를 차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날로 발전하는 친환경 시장에서 친환경 문구와 기존의 상품과의 차별화를 위해, 친환경을 디자인 개발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부족한 점들을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알아보고 그 결과를 요약, 평가하였다. 이를 친환경 디자인 산업에 적용하고, 친환경 문구 산업이 현대사회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한중 메신저 앱 비교를 통한 위챗(WeChat) UI 디자인 개선 연구

        풍리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6351

        The use of smartphones popularized by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requires designers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user than ever before.When analyzing the purpose of using modern people's smartphon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iews related to consumption for purchasing goods and retrieving information such as news and weather was the highest.Among them, the rate of using the IM app is the highest on the smartphone.Korea is leading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and is constantly developing new messenger apps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I first looked at the importance of smartphone messenger UI design. In order to develop the smartphone messenger WeChat app in China, I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UI design of Korea and China messenger service and compared them. And I would like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so that users can use more useful UI design. First, do messenger apps provide a convenient UI to use as a SNS messenger?Second, are icons clearly perceived?Third, is the UI design designed to satisfy users' emotions?For these research problems, I would like to do precedent research and case analysis. And I would like to suggest what designs should be improved through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I are trying to improve the UI design of WeChat by comparing the UI design of smartphone messenger application in Korea and China. Research subjects are KakaoTalk and Line,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messenger apps of Korea, and QQ and WeChat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messenger apps of China.First,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flow of various UI designs, to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and to propose good designs through verification.As a comparison method, I would like to extract and analyze the UI components of Messenger, and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study the UI design of the four smartphone messenger apps mentioned above. First,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nges of messenger service UI in Korea, China and other countries. Second, I would like to describe the importance of messenger UI design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I have been able to evaluate the users through the Kakaotalk, LINE, QQ and WeChat icons, buttons, layout, color, navigation, and background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I would lie to define the messenger UI design element.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UI design of WeChat in China, I would like to propose to create a UI design frame around icons, buttons, layout, color, background, and navigation elements. The completed UI design is evalu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resented as a final design through a modified redesign.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 would like to plan and produce the UI design that matches the messenger app and propose the UI design composition for the messenger app. IT 산업의 발달로 대중화된 스마트폰의 사용은 디자이너에게 과거 보다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 현대인의 스마트폰 이용 사용목적을 분석해보면 뉴스, 날씨 등의 정보검색과 상품 구입을 위한 소비관련 조회 수가 가장 많다고 집계된다. 그 중에서도 메신저 앱 이용 비율이 스마트폰에서 상에서 가장 높다. 한국은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메신저 앱을 계속 새롭게 개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폰 메신저 UI디자인의 중요성을 살펴보면서, 중국의 스마트폰 메신저 위챗 앱의 발전을 위해, 한국과 중국 메신저 서비스의 UI 디자인의 현황을 파악, 비교분석하여 사용자가 보다 유용한 UI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신저 앱들이 SNS 메신저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UI를 제공하는가? 둘째, 아이콘들이 명확하게 인식되고 있는가? 셋째, 사용자들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UI디자인으로 구성되었는가? 등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한다. 또한 이를 통해서 개선해야 할 디자인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메신저 앱 UI 디자인 비교를 채택하여 위챗(WeChat) UI디자인을 개선하고자 하며, 연구대상으로는 한국의 대표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KakaoTalk), 그리고 라인(Line), 또한 중국의 대표 메신저들인 큐큐(QQ)와 위챗(WeChat)이다. 먼저 여러 UI디자인들의 흐름에 대해 이야기 하며, 서로 비교 연구하고, 검증을 통하여 좋은 디자인들을 선택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비교 방법으로는 메신저의 UI구성요소를 추출,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위에서 언급한 4가지 스마트폰 메신저 앱의 UI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 중국 그리고 다른 나라들의 메신저 서비스 UI변화 분석한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메신저 UI 디자인의 중요성을 기술하려 한다. 또한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큐큐(QQ) 그리고 위챗(WeChat)의 아이콘(Icon), 버튼(Button), 레이아웃(Layout), 컬러(Color), 내비게이션(Navigation) 그리고 배경(Background)을 사용자들의 평가를 통해 분석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메신저 UI 디자인 요소를 정의하고자 한다. 셋째, 중국의 위챗의 UI 디자인 개선을 위해 아이콘, 버튼, 레이아웃, 컬러, 배경 그리고 내비게이션 요소들을 중심으로 UI 디자인 프레임을 제작하여 제안한다. 완성된 UI 디자인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평가되고 수정된 리디자인을 통해 최종 디자인으로 제시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도출 한 메신저 앱의 구성 요소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UI 디자인을 제작한다. 연구의 결과는 메신저 앱에 맞는 UI 디자인 기획하고 제작 하여 메신저 앱에 맞는 UI 디자인 구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