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김낙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바람직한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유기적 연대를 모색하기 위하여 학교체육활동을 통한 사회체육의 인식상황을 조사. 분석 파악하므로 그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과거 학교체육경험이 현 사회체육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 정과체육수업에 관한 문항 10개, 특별활동에 관한 문항 6개, 방과후체육활동에 관한 문항 6개, 사회체육에 관한 문항 10개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관한 문항 3개와, 사회체육활동의 참여여부와 참가정도에 관한 문항 2개를 포함하여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 표집은 의도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재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100인 이상의 기업체(현대, 대우, 삼성, LG, 대한생명)와 금융기관(신한은행, 산업은행)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직장인을 중심으로 직접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650부였으며 이중 수집된 설문지는 총 630부로 회수율은 약 90%였다. 자료처리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특성 변수로 성, 연령그룹, 학력, 사회체육활동 참가여부, 사회체육활동 참가정도의 변수를 선정 일반특성별로 정과체육수업, 체육특별 활동, 방과후 체육활동,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간에 연관성이 존재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χ^(2)test를 실시하였다. 정과체육수업, 체육 특별활동, 방과후 체육활동,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종합적인 스코아를 산출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정과체육수업, 체육 특별활동,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각각의 만족도가 사회체육의 인식도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또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χ^(2)test와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과체육 수업 ①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과거 학교체육교육 과정에서 다양한 종목을 경험하지 못했다고 응답하므로 우리 나라 학교체육교육의 내용상 문제점을 제기 하고 있다. ② 과거 학교체육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들이 사회체육활동 참여시 대체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나 역시 학교체육 교육의 내용상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2. 특별활동 ① 과거 체육특별활동에 참가하였던 직장인들은 그 운영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았었다 고 응답하므로 전반적으로 부진한 특별활동교육의 운영실태를 문제로 제기하고 있었다. ② 과거 체육특별활동에 참여하였던 직장인들은 운영체계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특별활동에 참여하였다고 분석 파악되었다. 3. 방과후 체육활동 ① 과거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하였던 직장인들은 대체로 스포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만 이러한 경향은 고학력자 일수록 두드러졌다 ( 고졸이후48%, 대졸 80%, 대학원졸 95% ). ② 과거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한 사람으로 현재 사회체육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훨씬 스포츠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4. 사회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① 응답자들은 사회체육활동 참여여부에 상관없이 사회체육활동이 스트레스 해소 및 기분전환에 도움을 주며, 건강유지 및 체력증진을 도모하고, 직장 내에서 인간관계의 폭을 넓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응답하므로써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더욱 현재 사회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의 경우는, 보다 더 긍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었다. ② 사회체육활동의 참여 빈도수가 높을수록 학교체육교육의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5. 정과체육수업과 특별활동 및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사회체육인식의 비교 분석 ① 정과체육수업의 만족여부에 따라 체육 특별활동의 참가여부, 방과후 체육활동의 참가여부, 사회체육의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과체육수업에 불만족스러웠던 사람들은 만족스러웠던 사람들에 비하여 학교 내에서의 방과후 프로그램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정과체육수업에 대한 불만족이 학교 내 기타 체육활동참여에 부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② 특별활동 참여여부 만족수준, 그리고 방과후 체육활동의 참여여부 및 만족수준이 각각 사회체육의 인식수준의 양에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③ 정과체육수업, 체육특별활동,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각각의 만족도가 사회체육의 인식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정과체육수업, 체육특별활동,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만족도 각각이 증가하면 할수록 사회체육의 인식도 역시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또한 회귀계수 값을 비교한 결과 체육특별활동, 방과후 체육활동, 정과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사회체육의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가 조금씩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sirable systematic correlation between sports for all and school physical education by way of investing and analyzing how school physical education affects the level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Therefore, the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are based on how the past school experience affects the present "sports for all". It is composed of 3 sections and total 37 questions; first section is divided into 4 items, such as 10 questions on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6 questions on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6 questions on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and 10 questions on "sports for all"; second section is composed of 3 questions on a respondents own special interests; and third section is composed of 2 questions on a level of attending "sports for all". The methods of survey are used by an intentional way of collecting data. The respondents are the white-collar work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financial institutions(Shinhan Bank, The industrial bank of Korea) and companies(Hyundai, Samsung, Daewoo, LG) which hired more than 100 worker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this study is 650 copies and 630 copies(90%) are returned among them. The process of data is done by using SAS statistics program. The normal variables are the distinction of sex, the age group, the educational level, whether he/she attends "sport for all" and the amount of involvement in "sports for all". The χ^(2) test i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each normal variables is related to each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and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resp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used to calculate the synthetic score concerning on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and a cognition on "sports for all". The χ^(2)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① Most workers answered that they couldnt experience a various events in the past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From that reason, they indicated lots of problems in our school physical education. ② They answered that the contents what they had learned from the past physical education class didnt help when they were engaged in "sports for all". It also shows that there are problems in our school physical education. 2.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①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engaged in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in the past time, answered that it wasnt on the whole systematic. They indicate overall problems on the management of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 ②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engaged in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in the past time, answered that they were actively engaged in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although it was poorly managed. 3.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①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in the past time are interested in sports generally and this tendency is obvious as an educational level is getting higher. ②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in the past time and social activity currently are much more interested in sports than those who didnt. 4. Cognition on "sports for all" ① In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engaged in "sports for all",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sports for all" has an affirmative effects such as it gets rid of stress, refreshes oneself, develops ones physical strength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widen ones human relationship. Moreover, the group, which is involved in "sports for all" in the present time, shows a more affirmative reaction. ② The more he/she is frequently engaged in "sports for all", it has a tendency that he/she evaluates school physical education affirmatively. 5. Analysis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by comparing with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and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① According to the ones satisfaction level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it has an influence on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the attendance at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and a level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Especially, because the group who were dissatisfied at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has a lower tendency of attending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the dissatisfaction at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has a tendency of negati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of other physical activity inside of school ②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 whether one was used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physical activity class has an influence on the level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respectively. ③ This study in used a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how each satisfaction level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and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affect the cognition on "sports for all". The result i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and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By comparison of a regression number,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n the level of cognition on "sports for all" is slightly different in order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extra physical activities curriculum, physical activity after class and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체육의 발전과정과 미래전망

        권연택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9775

        Korea's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has yielded the "economic growth" to date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mong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in other words, the advancement from the primary to the tertiary industry, thereby ushering in the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the post-industrial society. In addition, the five-day workweek system resulted in an "increase in leisure time" and an "increase in the public interest in health".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untry's development process for the sport for all from school and elite sports to the present sport for all,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 the following propositions: 1) The sport for al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according to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2) The sport for all policies have changed the conditions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sport for all, and 3) Eventually, these policies increased the populations that participate in the sport for all.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discovered and connected new evidential data by referring to the relevant literature, reexamined the existing findings, and performed an analysis with a focus on the literature that helped draw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imary data included the government's regular publications, statistical data, books, research publications, research literature, and separate volumes of reference. For the secondary data in terms of the data summarized by other researchers, these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he current study, Internet data, and various newspaper articles and magazines were utiliz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sport for all according to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In examining Korea's development process for the sport for all according to its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the GNI remained at 62 to 1,500 dollars over the period of 1960s to early 1980s. In 1960s, the country's economy was centered on the primary industry. From 1970s to early 1980s, a switch from the primary to the secondary industry was realized. During the respective period, the new establishment of sport-related law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 offered an opportunity to lay a sport-related foundation. The author grouped a series of sport-related changes into a theme on the perceptual change to new sports. Based on this, this period realized a focus on school and elite sports, and the change to the sport for all according to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From the mid-1980s to 2000s, the GNI ranged from 2,000 to 25,000 dollars. From the mid 1980s, the country's industrial structure showed a switch from the secondary to the tertiary industry. The policies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for the facilitation of the sport for all were also commenced. In addition, private sport organizations began to be newly established. With the consolidation of the tertiary industry in 1990s, quantitative (facilities and leaders): qualitative (programs) policies for the facilitation of the sport for all were implemented. The author set the ratio of quantitative (8): qualitative (2) policies based on a total of 10 for the respective period. In 2000s, a change from the tertiary to the fourth industry was observed, and quantitative (facilities and leaders): qualitative (programs) policies to facilitate the sport for all were also implemented with the estimated ratio of quantitative (5) and qualitative (5) policies. Furthermore, while during this period of mid-1980s to 2000s, the sport for all polices were implemented under the theme of the emergence and limitations of the sport for all, the progress in the facilitation for the sport for all remained inadequate due to such reasons as the dominance of elite sports and the downsizing of the relevant governmental bodies due to the IMF financial crisis. In forecas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sport for all policies, the country's industrial structure since 2010s is likely to consolidate the transfer from the tertiary to the fourth industry and the GNI is estimated to reach around 30,000 to 50,000 dollars. Accordingly, the facilitation of the sport for all will need to be implemented to suit such social conditions by employing proper quantitative (facility repairs, reeducation and allocation of sport leaders) : qualitative (program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informatization of promotional media) policies. In addition, given that the facilitation of the sport for all has been focused on hardware thus far, the future facilitation will need to be carried forward in a manner that upgrades the existing hardware and introduces new software. Secondl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future prospects for the sport for all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al environment 1) Korea's economic growth has shown steady progresses from the early 1960s to the present time. As a result, the per capita national income jumped from 94 dollars in 1961 to 28,230 dollars in 2011, and is projected to further increase up to 30,000 to 50,000 dollars in the future. 2) The economic growth will yield an increase in the central government's budget as well as the coffer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increase in the coffer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ill subsequently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budget of the department of sports, which will eventually exhibit a proportional increase in the budget in the sport for all field. 3) The economic growth will result in an upgraded income level,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xpenditure on the areas other than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basics for livelihood. Therefore, the scale of the expenditure on leisure activities will be expanded. 4) The country's industrial structure has gradually advanced from the primary (labor-intensive) to secondary (technology-intensive) to tertiary (service-intensive) industries. The current consolidation of the fourth industry (knowledge- and finance-intensive) is predicted to trigger a further transfer from dynamic to static labors. 5) The country's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workweek system (40-hour workweek system) and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will lead to steady increases in leisure time. Accordingly, the government will be led to come up with the measures for the constructive utilization of leisure time. 6) The public attention to health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Korea's population structure is moving beyond an aging society and approaching the entry into an aged society. Thus, the public demands for the government's relevant measures are likely to increase in terms of stress reduction in the modern society and solutions for various adult diseases. 7) As our social environments change in positive shapes, the society has exhibited higher interests in distribution over growth i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low-income class over the high-income class in social environment. As a result, the country's welfare policies will also materialize qualitative improvement following the ongoing quantitative improvement. Such welfare policies are predicted to increase the share of sport for all policies in quantitative terms and further specify the policies in qualitative terms.

      •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응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검증

        안나영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ABSTRACT Effect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the Social Adjustment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Na-young Major in Sports for All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reschool P.E. program on the social adjustment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w to construct early childhood P.E. programs in a more efficient mann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reschoolers with the 1st-, 2nd- and 3rd-grad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only in the city of P. After a P.E. program was conducted for a 16-week period of time, the instrument that reorganized KISE developmental scale to suit their social ages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using Cronbach alpha coefficient in the six categories of social adjust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the instrument turned out highly reliable: .949 in the category of self-care skills, .901 in socioemotional function, .979 in verbal skills, .978 in cognitive function, .968 in gross motor function, and 916 in fine motor function. As for validity t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factor validity of the instrument. Second,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look for intergroup gaps in underwater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made up the early childhood P.E. program. As a result, the underwater activities served to raise their averages in self-care, verbal, cognitive,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s better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The physical activities increased their averages only in socioemotional func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sparities, the underwater activities had a tendency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Third, paired-samples t-test was utilized to track intragroup gap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the underwater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made up the preschool P.E. program. In terms of the underwater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ragroup differences just in fine motor function(p<.001),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group gap was found in self-care, socioemotional, verbal, cognitive and gross motor functions. In the event of the physical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ragroup disparities in self-care(<.01), gross motor function(p<.001) and fine motor function(p<.001) only,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cioemotional, verbal and cognitive functions. Fourth, wh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students were compared in the underwater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made up the early childhood P.E. program, the underwater activities let them get higher mean scores in self-care,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s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and the latter tended to boost their averages better in socioemotional, verbal and cognitive functions than the former. But only the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function(p<.01) tended to be significant,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ies in self-care, verbal, cognitive,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s. 국문초록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응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검증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안 나 영 본 연구는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응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어떠한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에게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P시에 위치한 장애전담 어린이집 아동 중 발달장애 1급, 2급, 3급 아동을 대상으로 16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KISE 발달척도를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연령에 맞게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응행동발달의 6개영역을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나타난 결과, 생활자립 기능 발달검사 .949, 사회·정서적 기능 발달검사 .901, 언어적 기능 발달검사 .979, 인지적 기능 발달검사 .978,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검사 .967,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검사 .916과 같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사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인자타당성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체육 프로그램인 수중활동과 신체활동의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수중활동에서는 생활자립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대근육 운동기능, 소근육 운동기능이 신체활동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신체활동은 사회·정서적 기능에서만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중활동이 신체활동 보다 더 효과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체육 프로그램인 수중활동과 신체활동 사전·사후의 두 집단내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수중활동에서는 소근육 운동기능(p<.001)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활자립 기능, 사회·정서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대근육 운동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활동에서는 생활자립 기능(p<.01)과 대근육 운동기능(p<.001), 그리고 소근육 운동기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회·정서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체육 프로그램인 수중활동과 신체활동의 사회적응행동 발달검사의 사후활동을 비교한 결과 생활자립 기능과 대근육 운동기능, 그리고 소근육 운동기능은 수중활동이 신체활동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사회·정서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에서는 신체활동이 수중활동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사회ㆍ정서적 영역(p<.01)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나머지 생활자립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대근육 운동기능, 소근육 운동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사회체육지도자의 장애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연구

        차은연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75

        체육통합교육은 장애인이 최소한의 제한된 환경에서 기능발달을 극대화할 수있도록 적절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스포츠·체육활동에서 장애인이 더 이상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정부에서도 장애인 생활체육활성화를 위해 2000년도부터 공공체육시설의 장애인 이용료 감면을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개정령(제15조)’으로 입법예고하였다. 하지만 정책적으로 통합교육을 권장하여도 사회체육현장에서 필요한 제반조건들이 고려되거나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그 정책은 소용없다. 특히, 장애인과상호작용하며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도자의 태도를 알아보는 것은 체육에서의 장애인 통합교육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체육현장에서의 장애인 통합교육에 대한 사회체육지도자의 태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사회체육지도자들의 장애인 통합에대한 태도를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의 사회체육기관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실기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방법은 무선표집법(random sampling)을 이용하였고 남·여 지도자2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체육지도자의 장애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위해서 Rizzo(1984, 1988)가 고안한 ‘Physical Educators' Attitude TowardTeach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EATID-Ⅲ’ 세 번째 개정판과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사회체육지도자의 장애인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 내용의 적합성과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기법으로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체육지도자의 장애인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중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청각장애, 시각장애,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정신지체 순으로 태도접수가 낮게 나타났다. 2. 사회체육지도자의 특수체육 관련과목 수강에 따른 태도에서는 수강한 지도자가 장애인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3. 장애인 지도경험이 있는 사회체육지도자가 경험이 없는 지도자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장애유형별로는 지체부자유, 정신지체, 시각장애에서 특수체육 관련과목을 수강한 지도자가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4. 사회체육지도자의 장애인 지도경험의 만족도에 따른 태도의 차이는 ‘만족’으로 지각하는 지도자가 ‘불만족’으로 지각하는 지도자에 비해 통합교육에 대해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사회통합의 수단으로서 사회체육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먼저 장애인을 이해하고 장애인에게생활체육을 지도할 수 있는 사회체육지도자 양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비사회체육지도자들의 사전교육과 함께 실제 장애인을 지도해 볼 수 있는 인턴제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현직사회체육지도자들에 대해서도 장애인 통합교육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있도록 관련 연수나 재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port for all leaders'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and to find out a way of improving their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273 instructors who are working at sport for all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in order to proportionate the sample size. The questionnaire used at PEATLD-III developed by Rizzo, and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Lee hee-chul(1998). The reliability was Crobach's α =.92. For data analysis, one-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eaders showed neutral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and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in the order of followings: 2. Leaders who have taken courses related to adapted physical education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for mainstreaming than thoses who haven't taken. 3. Leaders who have been experienced in teaching disabiliti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for mainstreaming than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4. Leader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disabiliti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for mainstreaming than those who are unsatisfied.

      • 초등학생 과외체육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세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외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발달 정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자아존중감과 사회성발달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외체육활동 참여정도인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 정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 5, 6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400명의 초등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의 사회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범모(1971)가 제작하고 한태룡(1998)연구에서 사용된바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최보가, 전귀연(1993)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응답한 설문지 중 미응답, 중복응답, 그리고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총 351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SPSS/WIN ver. 15.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과외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에서는 총체적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기간, 빈도,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시간을 제외한 기간과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집단 간 차이를 보인 변수들의 사후검증 결과 과외체육활동에 대한 참가기간이 길수록, 1주일에 참여하는 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1회 참여시 오랜 시간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의 경우에는 과외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과외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의 차이에서는 활동성, 사교성, 자율성이 기간, 빈도, 시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과외체육활동에 대한 참가기간이 길수록, 1주일에 참여하는 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1회 참여시 오랜 시간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정성과 지배성에 있어서는 과외체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활동성, 사교성, 지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안정성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안정성과 지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모든 요인들은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연계를 위한 인식도 조사연구

        김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사회에 있어서 체육은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사회적 요소가 되었고, 인간존재의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어 그 역할과 기능이 매우 다양해졌다. 체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으며, 학교체육은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체육과 연계됨으로써 평생체육의 기틀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인식의 정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연계를 위한 역할과 평생체육의 토대로서의 중·고등학교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으로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정도를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내용은 학교체육에서의 정과체육수업과 특별활동체육, 방과후 체육활동, 사회체육의 인식에 관한 35문항과 기타 일반사항에 관한 9문항 등 총 4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작성한 설문지의 초안은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을 검토, 수정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대상의 표집은 의도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재 서울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14개교를 선정하여 성별, 학년별로 각 50여부씩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050부로 이중 1024부를 본 분석에서 사용하였고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고등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 실태는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하여 학교정과체육활동의 참여율이 높았고 남학생은 특별활동이나 방과후 체육활동의 참여율이 높았으며 학교급별로는 고등학생은 정과체육활동의 참여율이 높았고 중학생은 특별활동과 방과후 체육활동의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활발한 체육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체육 및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대부분에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정과체육활동, 특별활동체육,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각각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정과체육활동, 특별활동체육,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참여도가 높을수록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정과체육보다 특별활동 및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정과체육활동, 특별활동체육, 방과후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도를 성별 및 중·고등학교 급별로 각각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별로는 남학생집단 보다는 여학생집단의 상관성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집단의 경우 남학생집단보다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으나, 정과체육이나 특별체육활동, 방과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사회체육의 인식형성에 상대적으로 남학생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 급별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분석결과에서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의 상관성 정도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학교 내·외에서의 체육활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이 고등학생보다 다소 앞서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의 체계적인 공동프로그램의 개발과 시설활용, 행정체계의 일원화, 입시제도의 개선 등 선결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평소에 학생들에게 학교체육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고취시키고 다양한 체육활동의 경험을 갖게 함으로써 평생체육으로의 사회체육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oday´s physic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dispensable to human life and has taken various roles and functions as a necessity for human existence. A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being emphasized everyday, and it yields a foundation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ports for all operating on the youth, so it can be said a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through connect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with Sports for all and provide basic data to set up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future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gree of cognition of Sports for all throu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made up to see students´ degree of cognition of school and Sports for all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otal 44 question items including 35 questions about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after clas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s cognition of Sports for all, and other nine questions about other general matter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fter the questionnaire draft was reviewed its validity and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revised according to this review. In sampling the subject of research, intentional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each 50 questionnaire copies were distributed to each of 14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considering students´ sex and grade. Among total 1050 answers returned, 1024 answers were analyz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by SAS program, 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1. A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physical activiti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was higher in girl students than in boy students, who showed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extra physical activities or physical activities after class. And as for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the school grade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extra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after class. So we can see that boy students than gir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 are actively doing physical activities. 2. As for the degre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school and Sports for alls, boy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cognition than girl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eneral. 3.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degree of students´ cognition of Sports for all by the degre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he type of physical activities students were participating in (e.g., regular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or physical activities after class),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positive values,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the higher students´ cogni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it, also the higher the degree of their cognition of Sports for all.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cognition of extra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after class rather than of regular class leads to higher degree of cognition of Sports for all. 4.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degree of students´ cognition of Sports for all by the type of physical activities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sex and the school, boy students than girl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correlativity.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ough girl students had rather lower degree of cognition of Sports for all, they were relatively influenced a lot by the degree of cognition of regular physical class, extra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after class.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rather higher degree of correlativity than high school students. This mean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more concern about physical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accordingly have more advanced cognition of Sports for all. Consequently speaking, for concrete cognition of Sports for all,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common programs, facilities us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re priority to be solved, but more importantly students´ cognition of Sports for all as a lifelong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hrough continuous encouragement and various physical activities to have more concern about and interest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 직장인의 사회체육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윤여경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사회체육 참여정도에 따른 참여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의 변인과 가설로 설정하여 사회체육 참여가 참여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된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의 사회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참여만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근거로 사회체육활동참여에 따른 관계모형의 설정을 규명하기 위하여 5가지의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가져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은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특성은 서로 영향을 미칠 것 인가”이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른 상호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은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라 사회체육활동 참여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이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 공익적 기여요인과 개인적 성취에서는 20대가, 사회적 안정 요인에서는 40 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차이는 대졸집단이 고졸, 대학원이상 집단보다 참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근무경력에 따른 참여만족도와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직종에 따른 참여만족도와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직위에 따른 참여만족도와의 차이는 주임계장대리가 타 집단에 비해 참여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참가횟수에 따른 참여만족도와의 차이는 개인적 성취와 사회적 안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공익적 기여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참여만족도와의 차이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익적기여와 사회적 안정은 스포츠 건강 활동이 다른 유형들 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라 사회체육활동 참여만족도에 직장인들의 근무경력에 따른 참여만족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세 번째 가설은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른 사회체육활동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직 장인들의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성취감, 자아실현,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연령과 직무만족도와의 차이결과 성취감과 자아실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감은 30대와 40대가 유 의 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실현은 20대, 30대, 40대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학력과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성취감과 책임감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은 대학원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책임감은 대졸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근무경력과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이 유의한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임감은 3년 이하 10년 이상 집단이 다른 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감은 7-10년 이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수 및 근로환경에서는 10년 이상의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들의 직종과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성취감, 자아실현은 서로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인들의 직위와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성취감, 자아실현,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 요인이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 자아실현,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은 평사원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인들의 참가횟수와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성취감, 책임감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6회, 주 4~5회, 주 3~4회를 참여한 집단들이 주 2~3회 참여한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실현,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직장인들의 프로그램 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성취감, 자아실현,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 자아실현, 보수 및 근무환경은 참여하는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정감에서는 참여하는 집단 이 타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책임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른 사회체육활동 직무만족도에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의 네 번째 가설은 “사회체육활동의 참여만족도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공익적 기여는 성취감, 자아실현,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책임감(.682)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개인적 성취는 사회적 안정, 성취감과 유의하게 높은 관계를 보였으며, 자아실현,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 모두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안정 또한 성취감, 자아실현,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 모두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은 자아실현,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실현은 책임감,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감은 안정감, 보수 및 근무환경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감도 보수 및 근무환경과 유의 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만족이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공익적기여, 개인적 성취요인, 사회적 안정요인이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만족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개인적성취, 사회적 안정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만족이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공익적기여요인, 사회적 안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 성취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만족이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사회적 안정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만족이 보수 및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공익적 기여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른 사회체육활동의 참여만족도는 직무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 째, 본 연구의 다섯 번째 가설은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특성에 따라 사회체육활동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모형은 변인 간 서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참여특성이 참여만족에 미치는 경료계수 값, 참여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경로계수 값, 참여특성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경로계수 값이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든 변수들 간에 영향력이 있었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추후 연구에서 경험적,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거라 판단한다. 즉, 효율적인 직장생활 영위와 효과적인 직장운영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시내버스 운전직의 경우 기존의 선행연구에 비하여 보다 나은 자기성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약적인 성장은 정부의 대중화 교통정책의 실행에 따른 하나의 일환으로 근로시간의 단축과 급여의 인상이 가장 큰 원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연구의 결과 일반 공무원 사무직의 경우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서 공무원에 대한 체육 정책과 복지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절실할 것으로 판단된다.

      • 체육계와 예술계 무용학과 교과과정의 비교연구

        김수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is a study to investigate uniqu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s of a dance department which is involved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ollege of arts. The target samples are 8 departments of dance, that includes 4 departments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4 departments in the college of arts. Data was collected by a literature review, and anlyzed by two college types,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college of arts. The total number of core courses of dance department were 60, that includes 21 arts related courses, 15 physical education related courses, and 24 dance related courses. The dance department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ffered more numbers of the courses than that of dance department in a college of arts (t(2)=3.60, p<0.05). The dance department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ends to offer more courses about arts related (t(13)=2.01, p<0.05) and physical education related (t(11)=3.92, p<0.01) than that of the college of arts. However, the dance related courses were not demonstr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t(11)=1.26, p>0.05). The core courses for exercise are Korean Folk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which were more offered in the college of arts tha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3)=2.51, p<0.01).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has 66 credit hours for the core courses. However, the college of arts offers 159 credit hours for the courses. As a results, even though the danc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ffers more various courses, it is not concentrated to the core exercises such as Korean Folk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that should be emphasized to the student majoring in dance. The danc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ffers many courses within categories of fine arts, music, literature, physical education, and medical area. However, such a huge and various course opening can be just explained to "Promoting Knowledge about the Danc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dance department in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ends to disregard movement itself by emphasis in the building up the knowledge. Therefore, the danc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requires re-evaluation of their coures works to promote student's professionalities. 본 연구는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소속되어 있는 전공계열에 따라 분류하여 그 교과목의 분포와 특징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학교는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8개 대학교였으며, 무용학과가 체육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4학교와 무용학과가 예술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4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은 문헌조사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체육계열의 무용학과와 예술계열의 무용학과로 분류하여 조사되었다. 무용학과의 전공과목은 총 60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 과목들 중에서 예술성함양에 관한 과목이 21개, 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과목이 24개, 그리고 체육에 관련된 과목들이 15개였다. 이들 과목에 대한 분포도는 체육계열의 무용학과에서 개설하고 있는 과목의 갯수가 예술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학과의 그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2)=3.60, p<0.05). 예술성 함양을 위한 과목들(t(13)=2.01, p<0.05)과 체육에 관한 과목들(t(11)=3.92, p<0.01)은 체육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학과가 예술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과의 그것보다 많았다. 그러나 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과목의 숫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11)=1.26, p>0.05). 무용학과의 기본이 되는 실기과목은 한국무용, 발레 , 그리고 현대무용으로 이루어 졌다. 이들 기본이 되는 실기과목에 대한 체육계열과 예술계열의 차이점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t(3)=2.51, p<0.01). 이 세과목에 대한 체육계열의 학점수는 66학점이었으며, 예술계열은 159학점이었다. 결과적으로 체육계열의 무용학과는 예술계열의 무용학과보다 댜양한 전공과목을 개설하고 있어서 전반적인 지식함양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자칫 이러한 "무용의 지식화"속에서 무용의 본질인 움직임이나 행위 그자체를 간과하기 쉽다. 그러므로 체육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학과는 전공과목의 중요도를 재검증하여 이에 대한 전문성있는 교과과정을 보완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