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러일전쟁 후 만주철도에 대한 청일러의 대응 : 滿洲에 관한 日淸條約의 성립을 중심으로

        魏晨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Response of the Qing Dynasty, Japan and Russia to the Railways in Manchuri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 Focusing on the Conclusion of Treaty and Additional Agreement between Japan and China Relating to Manchuria - Name: Wei Chenguang Department: Department of History, Korea University Thesis Advisor: Cho Myung Chul This thesis reviews the negotiations among the Qing Dynasty, Japan and Russia on the Manchuria Railway after the Russo-Japanese War, focusing on the handling of the complicated Manchuria issue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Japan. Owned no railway in Manchuria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Japan managed to occupy part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the southern branch of the Chinese Eastern Railway—during the war. However, Japanese high officials divided over the management of Manchuria as well as the Manchuria Railway after considering factors like geographic position, profitability, strategic role and so on: some expressed positive opinions while others held negative attitude. Since Japan faced serious financial problems even after it concluded the Treaty of Portsmouth with Russia, the voice of importing American capital and conducting Japanese—American joint management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was prevailing. In such a situation, Japanese Foreign Minister Komura Jutaro advocated the “Management Plan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arguing that Japan should control Manchuria independently and endeavor to maximize Japan’s national interests in Manchuria. Komura attempted to let Japan control the whole South Manchuria Railway (Harbin—Port Arthur). On the ground that the Japanese army failed to occupy Harbin, Russia rejected Komura’s demand but proposed to define Changchun, locating in the south of Harbin, as the dividing point. In fact, despite the fact that Japanese army did not proceed northward to Changchun, Komura still managed to win the ownership of Changchun-Port Arthur Railway and the construction permit of the Changchun-Jilin Railway for Japan thanks to his sophisticated diplomatic skills. Komura considered the South Manchuria Railway the most important trophy of the Treaty of Portsmouth. Therefore, on his way back to Japan from the United States, Komura came up with the “Management Plan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which would enable Japan to gain actual management rights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As soon as Komura returned to Japan, he overthrew the Katsura-Harriman Memorandum signed by and between Japanese Prime Minister Katsura Tarō and American Ambassador E. H. Harriman, which was an important step to achieve his “Management Plan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In order to legally own the Changchun-Port Arthur section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eded by Russia and the temporary military railways constructed in Manchuria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Japan had to gain the approval of the Qing Dynas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Komura together with his entourage went straight to Beijing after the Portsmouth Peace Conference, and opened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government. However, the concessions demanded by Japan were more than what had been ceded by Russia. Thus Japan was confronted with the uncompromising attitude of the Qing Dynasty, which had not been expected by Japan. As a result, the negotiations in Beijing between Japan and the Qing Dynasty lasted for a long time—more than one month. The conflicts between Japan and the Qing Dynasty related to railways in Manchuria occurred again in the future, even after the Qing Dynasty collapsed, the disputes between Japan and the Qing Dynasty over the railways in Manchuria still remained. The origin of such disputes could be found in the negotiations conducted in Beijing between Japan and the Qing Dynasty. 국문초록 러일전쟁 후 만주철도에 대한 청일러의 대응 - 滿洲에 관한 日淸條約의 성립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일본근현대사 전공 위신광 본고에서는 러일전쟁 이후 만주철도를 둘러싼 일본과 러시아, 청나라 간의 교섭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청일 간의 복잡한 만주사후처리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러일전쟁 이전 만주 지역에서 철도를 전혀 갖고 있지 못했던 일본은 전쟁 중에 동청철도(东清铁道) 남만주지선의 일부를 장악했다. 그러나 지리적 위치, 수익성, 전략적 요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일본 관료층은 만주철도를 포함한 만주경영에 대해 부정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로 대립하고 있었다. 특히 전후 일본은 러시아와 포츠머스조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재정문제로 인해 미국의 자본을 도입하여 남만주철도를 공동 경영할 것이 유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무라 주타로(小村夀太郎) 외상은 일본이 만주를 독점적으로 장악해야 한다는 “만주구상안”을 추진하여 만주에서 일본의 국익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했다. 고무라 외상은 동청철도의 남만주지선 (하얼빈(哈尔滨)∼여순(旅顺) 구간) 전체를 장악하고자 했으나 러시아 측은 일본 육군이 하얼빈까지 점령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일본의 요구를 거절하고 하얼빈 남쪽의 장춘을 경계로 정하자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실제로 일본 육군은 장춘(长春)까지도 북상하지 못했지만 고무라는 노련한 외교 수완을 발휘하여 장춘∼여순 구간의 철도 소유권과 장춘∼길림(吉林) 구간의 부설권을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남만주철도를 포츠머스조약의 가장 중요한 전리품으로 여겼던 고무라는 미국에서 일본으로 귀국하는 도중에 남만주철도 실제적 경영권을 장악할 수 있는 “만한구상안”을 준비했다. 고무라가 귀국하자마자 가쓰라 타로(桂太郎) 수상과 해리먼(Harriman, Edward Henry)이 맺은 만주철도에 관한 미일 공동경영의 예비안을 파기한 것도 자신의 “남만주철도 경영구상”을 실현하려는 행보였다. 일본은 러시아가 양여한 장춘∼여순 구간의 남만주철도와 러일전쟁시기 만주에 부설한 임시 군용철도들을 합법적으로 소유하기 위해 청나라의 승인을 얻어야 했다. 이를 위해 포츠머스강화회담을 끝낸 고무라는 수행원들을 이끌고 북경에 와서 청나라와 담판을 벌였다. 하지만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양여 받은 이권보다 더 많은 것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청나라의 강경한 저항에 부딪쳐 청일 북경 회담은 한 달이 넘는 장기간의 회의과정을 거쳐야 했다. 훗날 만주의 철도를 둘러싸고 청일 간에 갈등이 재발하고 청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만주철도 문제로 인해 중일 간에 끊임없이 사단이 일어났는데 이러한 분쟁의 근원은 바로 청일북경회담에서 찾아야 한다.

      • 한국국민당청년단의 선전활동과 민족연합전선론

        김재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국민당청년단의 선전활동과 민족연합전선론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김재민 본 논문은 韓國國民黨靑年團의 특무활동과 선전활동을 분석하여 중일전쟁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중심의 민족주의 우파진영 청년단체로서 갖는 역할과 그 의의에 대하여 정리한 것이다. 1936년 7월 11일 조직되어 1938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로 자연 해체되기까지 청년단의 조직 배경과 활동을 살펴보았다. 한국국민당의 전위조직으로서 탄생한 한국국민당청년단은 中國中央陸軍軍官學校 및 韓國特務隊獨立軍 등의 출신 경력을 지닌 인물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한국국민 당의 특무활동을 수행하였다. 청년단원들은 중국국민당정부의 군대에 입대하여 중 일전쟁에 참전하였다. 또한 天津 등에 파견되어 일본군에 대한 정보 수집 및 후방 교란 등 활발한 공작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국민당은 중국 정부와의 연 합활동을 이어나가며 한국독립운동진영 내에서의 세력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한국국민당청년단은 창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잡지 『韓靑』을 발간하며 선전활동 을 전개하였다. 특히 『韓靑』을 통해 주의와 진영에 상관없이 모든 한국청년들이 독 립운동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어 한국만의 혁명이론을 수립하고자 하였 다. 청년단은 『韓靑』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반성적 비판과 함께 방법론을 제시 하였다. 한국독립운동이 부진한 원인을 한국혁명이론의 부재로 인한 진영 내부의 분열로 파악하며, 한국혁명이론으로서 민족주의를 제시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부터 시작된 일본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 韓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되찾고자하는 열망이 우리 민족의 시대적·공통적 수요라는 점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였다. 동시에 한국의 민족주의는 서구 제국주의의 침략적 성격이 다분한 그것과는 다름 을 강조하였다. 청년단은 우리의 민족주의에 대하여 피압박민족의 주의로서 식민통 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일차 목표로 하며, 동시에 다른 피압박민족과 연대하여 세계 제국주의 체제를 무너뜨리는 국제적 의무를 지녔다고 정의하였다. 혁명이론에 대한 글들과 함께 『韓靑』에는 인민전선과 파시즘으로 충돌되는 세계 정세에 대한 글들이 수록되어있다. 청년단은 일본·독일·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형 성된 파시즘국가와 이에 충돌되는 소련 중심의 인민전선의 관계를 예리하게 분석하 였다. 특히 인민전선이 주장한 피압박민족의 해방운동에 대한 지원에 대하여 세계 의 공산주의화를 꿈꾸는 소련의 침략적 야심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 주장하며 이에 동조되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이상의 세계정세에 관한 분석과 함께 청년단은 민족통일운동에 대한 방법론을 제 시하였다. 그들은 연합적 방식의 통일운동을 주장하였다. 이는 먼저 같은 주의 진영 을 먼저 통합한 다음, 타 주의 진영과 연합체를 조직하여 실무공작을 전개하는 것 을 의미한다. 청년단은 한국국민당이 주장한 동일한 주의·진영과의 연합전선 방식 에서 나아가 동시에 타 주의·진영과의 연합을 주장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유연한 시각을 바탕으로 청년단은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의 결성을 계기 로 1939년 2월 조소앙 중심의 한국독립당과 이청천 중심의 조선혁명당의 청년들과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를 조직하며 자연해체 되었다. 동년 11월 청년단원 출신 김 인, 이재현 등은 무정부주의진영의 나월환, 박기성 등의 청년들과 함께 한국청년전 지공작대를 결성하여 공작 및 초모활동을 이어나갔다. 이상과 같은 활동을 통해 청년단은 1930년대 후반 민족주의 우파진영의 청년단체 로서 한국국민당의 특무활동을 전담하여 한중연합을 수행하였으며, 나아가 민족연 합전선론에 대한 이론 연구와 청년공작대 조직 등을 통해 임시정부 중심의 좌우합 작운동을 실천한 단체로 평가할 수 있다. 주제어: 한국국민당청년단, 특무활동, 『韓靑』 민족주의, 민족연합전선론

      • 洪川物傑里寺址硏究

        김대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洪川 物傑里 寺址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불교미술사전공 김 대 종 지도교수: 박 경 식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소재 물걸리사지는 강원도 기념물 47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사지에는 3층석탑을 비롯, 총 5건의 석조문화재가 보물로 지정ㆍ보존되고 있다. 또 1969~1981년까지 사지 주변에서 금동불상 5점이 발견되었고, 초석과 장대석 등 적잖은 석재들이 수습되 사지 내에 거치되어 있다. 물걸리사지는 유적 자체로 중요성을 가지며, 사지 내 석조물은 미술사적 가치가 있다. 물걸리사지가 있는 홍천지역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살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홍천 하화계리 구석기 유적 등을 볼 때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생활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홍천지역의 선사유적을 비롯하여, 불교유적과 관방유적의 현황과 위치를 정리하면서 물걸리사지가 가지고 있는 강원 영서·영동지역의 불교 전파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물걸리사지가 위치하고 있는 홍천군 내촌면 동창마을은 영서북부지역은 물론 홍천 관내에서도 비교적 오지에 속하는 곳이다. 물걸리사지가 있는 삭주는 통일 이후 신라 영토로서 신라 국경선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고 보이지만 신라의 군진이 설치된 북방지역으로 통일신라의 군사조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홍천에는 삭주의 군사 조직인 벌력천정이 설치되었으며, 군사조직이 주둔하고 있었다는 것은 당연히 수도 경주와 연결되는 도로가 발달되었을 것이다. 국토의 방위를 위해 군대를 설치하는 한편, 사찰의 창건이 수반되었다고 보인다. 조선시대 홍천 동창이 이곳에 위치하였던 것도 그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중세에 이르기까지 군인들이 종교 신앙의례에 동원되는 모습을 볼 때 지리적인 위치와 더불어 종교적(사찰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물걸리사지의 사찰은 지리적인 측면에서 보면 정치ㆍ군사ㆍ경제 등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거점 사찰로 건립되고 경영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제Ⅲ장은 발굴조사와 출토유물로서 2003년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사찰 중심부로 추정되는 곳을 시굴조사하게 되었다. 그 결과 금당지, 회랑지, 건물지 등의 건물유구 및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 전기의 기와 및 도자기 등도 함께 확인되었다. 2015년 강원고고문화연구원에서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구역보다 더 확장된 구역에 대해 전면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이때 중심구역으로 추정하고 있는 곳에서 금당지를 비롯해 총 6동의 건물지와 방형 적심 2기, 배수로 1기, 석렬유구 1기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습 출토된 유물로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금동불상은 휴대용 원불이라고 할 수 있다. 철불 파편은 석가모니불상으로 보물 543호의 대좌에 모셔진 불상으로 볼 수 있고, 법신 비로자나불 보신 아미타불 화신 석가모니불의 삼신을 모신 물걸리사지의 주전을 추정할 수 있을 것 같다. 제Ⅳ장에서는 강원도 기념물 47호로 지정되어 보존되어온 곳으로 현재 삼층석탑(보물 545호) 1기를 비롯해 석조여래좌상(보물 541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542호), 석조대좌(보물 543호),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 544호) 등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로 이어진 석조유물의 특성과 조성시기의 분류이다. 9세기 초에 건립되었다고 보이는 물걸리사지의 보물 545호 물걸리사지 삼층석탑은 북쪽면의 하층 기단 탱주를 별석으로 조성하였다. 석조유물의 양식적 특성을 보면, 물걸리사지의 불교조각들은 신라 하대에서 고려 초기까지의 불교조각의 흐름과 시대양식에 부합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로자나불좌상의 조성시기 역시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좌상의 등장과 괘를 같이 한다. 특히 어깨에 비해 큰 두상과 통견형 법의의 형식적인 삼각형 어깨 옷 주름 등은 9세기 후반기의 불상임을 보여준다. 석조여래좌상은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통견의 법의를 착용하고, 대좌 하대하단석의 가릉빈가 조각으로 볼 때 보물 543호 대좌와 함께 9세기 말엽에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44호 대좌는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둔각의 고맥이 초석으로 육각건물지 봉안된 것으로 고려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물걸리사지는 의상의 화엄십찰 중의 하나인 삭주의 화산사와 관련이 있을 것이며, 화엄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고, 물걸리사지의 불교조각은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의 장인들에 의해 조성된 석불로 보여진다. 또한 현존하는 삼층석탑을 비롯한 시기를 다소 달리하는 다양한 석불들을 보았을 때 사역의 범위도 현재의 보호구역을 벗어나 더 확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신라의 변방 홍천의 물걸리에 사찰이 건립되고 석탑과 불상이 조성된 것은 민중의 위무라는 종교적 기능 외에도 국토의 중심이 왕이라는 인식이 결합하여, 물걸리사지는 단순한 지방 사찰이 아니라 중앙 정부나 왕족 차원에서 중앙의 숙련된 장인들에 의해서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물걸리사지가 위치한 지리적 입지로서 구룡령을 넘어 영동(양양)지방의 선림원지, 진전사지등에 불교미술사적 영향으로 영동지방에 불교문화를 꽃 피우는데 단초를 제공한 사찰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본 논문으로 강원도 기념물인 물걸리사지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승격되어 보호구역이 확대되고 추가 조사되어 사역의 범위와 불교미술사적 가치를 밝히는 계기가 되길 희망해본다. (Abstract) A Study of Hongcheon Mulgeol-ri Temple Site Kim Dae Jong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essor Park Kyong Sik Mulgeol-ri Temple site, Hongcheon is a Monument No. 47 of Gangwon province, which has five treasures including a Three-story Stone Pagoda. Furthermore, five statues of Gilt-bronze Buddha have been preserved along with numerous building stones ever since those were excavated between 1969 – 1981 around the temple site. Mulgeol-ri Temple site has its significance as a cultural heritage itself, but many stone materials maintained has also art-historical importance. Hongcheon, in which Mulgeol-ri temple site is located, seems for human to have settled down and lived even from prehistoric times according to Hahwagye-ri prehistoric sites, Hongcheon, even though not knowing exact timeline. In addition to this, through the temple site was it aimed to investigate the path for the spread of Buddhism in the western and eastern area of Gangwon province, by reviewing the present Buddhist and state-official remains in Hongcheon as well as Mulgeol-ri temple site. Among this Hongcheon region, Dongchang village in Naechon-myun, exactly where Mulgeol-ri temple site is located, is a sparsely inhabited rural area even in Hongcheon as well as the north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This region was also called Sakju in the Unified Silla era; given that this region was a fortification (鎭) of the northern area of Silla, it seems to have been deeply connected with the military system of the country, even though located a little far from the borderline. Considering the military camp of Sakju constructed in Hongcheon, called Beollyeokcheonjeong (伐力川停), it could be supposed that Hongcheon and the capital, Gyeongju was connected with the thoroughfar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Mulgeol-ri temple appears to have been followed, while the military fortification was constructed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In light of this historical context, it can be comprehended the reason why eastern storage (東倉), Hongcheon was located in this area during the Chosŏn period. Considering the mobilization of soldiers to take part in the religious ritual until the medieval times and the religious connection with the temple as well as the geographical location, Mulgeol-ri temple appears to have been established as a pivot temple of the local community to carry out a major role regarding politics, militaries, and economics. Chapter 3 dealt with excavation and excavated remains in Mulgeol-ri temple site initiated by Chuncheon National Museum in 2003. As a result of this archeological investigation, many remnants were disclosed, including the building remnants - the main hall site and corridor site - as well as roof tiles and potteries of the period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early Koryŏ. In 2015, the other excavation was carried out on the more extended area than before by Gangwon Archaeology and Culture Institute; as a consequence, a large number of antiquities was discovered: two square-shaped foundation remains, one culvert, a stone alignment remains as well as six building sites including the main hall. Among these antiquities, the Gilt-bronze Buddha, excavated before and resting in Chuncheon National Museum, appears to be portable statues used by individuals in their prayers. Furthermore, one of the fragments of Iron Buddha is assumed to be a Sakyamuni Buddha on the Stone Pedestal (Treasure No. 543); hence, the whole three-body of Buddha is presumed to be main Buddha in this temple, which is Dharma body Vairocana Buddha, Reward body Amitabha Buddha, and Transformation body Sakyamuni Buddha. Chapter 4 examined the feature and the construction era of the each excavated remains, including Three-story Stone Pagoda, Stone Seated Buddha,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Stone Pedestal, and Stone Pedestal and Mandorla, which were normally established from the unified Silla to Koryŏ. Specifically, in Three-story Stone Pagoda was the Taengju (a square pillar in relief on wall structure) of the lower stylobate built with Byeolseok (another stone), around the late 9th centuries. With respect to the style of stone building remnants, Buddhist sculptures in Mulgeol-ri temple site reflect the feature of the era from the late Unified Silla to the early Koryŏ. For instanc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in Mulgeol-ri temple site emerged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general Seated Vairocana Buddha and it is regarded as a Buddhist statue built in the late 9th centuries, according to a triangular drapery covering both shoulders. Stone Seated Buddha is shown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near late 9th centuries along with the Stone Pedestal, given that it has a gesture of defeating the demons and touching the earth (降魔觸地印), has a sculpture of kalaviṅka (A bird with a melodious voice native to the Himâlayas; 迦陵頻伽) and puts on the Buddhists sacerdotal robe with a garment covering both shoulders. Stone Pedestal, on the other hand, is as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early Koryŏ period, considering the stone building remnants. In terms of philosophical backgrounds, it is presumed that Mulgeol-ri temple site is connected with Hwasan temple in Sakju as well as the thought of Hwaom and Buddhist sculptures in Mulgeol-ri temple site were created by Gyeongju based skillful. Furthermore, the ministry of this temple is shown to have been far beyond the temple site, given the various stone pagodas created separately. Consequently, it is believed that Mulgeol-ri temple site was constructed by Gyeongju-based masters supported by center government or royal families, not a mere local temple, having its origins in the concept of the king as a center of the land as well as giving a religious relief to the people. Moreover, due to the geographical advantages, Mulgeol-ri temple seems to have influenced other Buddhist temples like Seollimwon site, Jinjeonsa temple site beyond the Guryong ridge, flourishing the Buddhist culture in eastern Gangwon province. I hope that this thesis gives an opportunity for Mulgeol-ri temple site, a Monument of Gangwon province to be elevated to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nd illuminates the Buddhist art-historical significance and the actual ministry of it.

      • 朝鮮時代 鬱陵島 搜討 硏究

        辛泰勳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朝鮮時代 鬱陵島 搜討 硏究 신 태 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울릉도 수토에 관한 종합적 연구이다. 조선정부는 1403년 이후 왜구의 피해를 우려하여 울릉도에 사람을 살지 못하게 하는 정책을 펼지지만 계속해서 사람들이 울릉도로 가자, 울릉도에 관리를 파견해서 이들을 쇄출했다. 1416년에 처음 ‘무릉등처안무사’를 파견하면서 조선 정부는 울릉도를 관리해 왔고 이것을 울릉도 수토의 기원으로 볼 수 있다. 세종대에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 울릉도에 파견되는 관리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달라졌고, 그에 대한 성격도 조금씩 바뀌었다. 1438년 무릉순심경차관으로 바뀌며 울릉도에 들어간 사람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벌을 했다. 또 사람들은 울릉도의 명칭을 요도 혹은 삼봉도라고 부르기도 했다. 성종대에 이르면 ‘삼봉도초무사’라는 직함과 절목을 만들어 울릉도를 적극적으로 관리했다. 이러한 울릉도 수토는 안용복 사건 이후 1694년 장한상 때부터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행되었다. 시기별로 1694년부터 1765년까지는 3년에 1번 시행했고, 5년 공백 후에 1770년부터 1887년까지는 2년에 1번, 1888년부터 1893년까지는 매년 수토를 시행했다. 수토관 일행의 규모는 처음에는 150명에 6척이었으나 이후 1725년에 100명으로 줄고, 1786년에 이르면 80명에 배 4척으로 줄어들었다. 이후 1887년 박태원 수토에는 40명에 2척으로 줄어들기도 했다. 수토의 물자에 대해서는 영남과 강원도가 반씩 부담하기로 정하여 영남에서는 영해부에서 물자를 모아 평해군 구산포로 이동하였다. 수토관들은 울릉도에 가서 울릉도 지세와 거주민들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울릉도 도형을 그리고 그 결과를 성책을 만들어 보고했다. 수토관의 수토절차 및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남아있는 ‘수토기’를 통해서 알 수가 있다. 수토관이 수토하는 것과 별개로 수토 비용을 마련하는 것에는 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많은 부담이 있었는데 관에서는 환곡미를 내어 주어 이를 보충하고자 했다. 민간에서는 삼척주민의 경우 별도의 수토미를 내어 수토 비용에 보탰고, 구산포 주민은 구산포를 드나드는 상선에게 세금을 거둬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울릉도 수토는 1416년 ‘무릉등처안무사’ 파견을 기원으로 시작했고, 안용복 사건을 계기로 확립되어 1694년 장한상의 파견 때부터 1894년까지 주기성 있는 제도로서 운영되어 왔다. 그리고 1883년부터는 울릉도 개척이 시작되면서 개척지 및 신규유입 인구 파악이라는 역할이 추가되었다. 이상으로 볼 때 울릉도 수토는 조선시대 전 기간을 통해 운영된 영토관리정책으로 볼 수 있다. □ 핵심주제어 울릉도 수토, 수토제, 수토관, 수토과정 및 절차, 임무, 수토 비용, 수토유적 Study of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ae-Hoon Shin Department of histo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Joseon government adopted a policy that would forbid human habitation on Ulleung-do Island, concerned about damage from Japanese raiders since 1403; however, people kept going to Ulleung-do Island, so it searched them out by dispatching an official there. The Joseon government had supervised Ulleung-do Island, dispatching ‘Mureungdeungcheoanmusa’ for the first time in 1416, which can be considered the origin of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The name of the official dispatched to Ulleung-do Island had been changed with the times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hrough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its character had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accordingly. As it was changed into Mureungsunsimgyeongchagwan in 1438, substantive punishment was imposed on the people who entered Ulleung-do Island. In addition, people called Ulleung-do Island Yo-do Island or Sambong-do Island.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he government set up the title and section of ‘Sambong-do Chomusa’ to actively supervise Ulleung-do Island. Such an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had been institutionalized since 1694 at the time of Jang Han-Sang after the incident of Ahn Yong-Bok and implemented at a certain interval till 1894. By period, from 1694 through 1765, it was implemented once every three years. After a break of five years, the inspection was conducted once every two years from 1770 through 1887, and it was carried out every year from 1888 through 1893. The scale of the official inspector was at first 150 persons and six boats. It decreased to 100 persons in 1725, and it decreased to 80 persons and four boats in 1786. Later in 1887, it further decreased to 40 persons and two boats in the inspection by Park Tae-Won. Yeongnam Province and Gangwon-do Province decided to go half and half for supplies for the inspection, and Yeongnam Province gathered supplies in Yeonghae-bu and moved them to Gusan-po Port in Pyeonghae-gun County. The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 inspectors went to Ulleung-do Island and assessed its topography and residents to draw a map of Ulleung-do Island, and reported the findings in book form. The inspection processes and procedures by the official inspector can be known through the ‘Records of Inspection (Suto-gi)’ that remain. Separately from the inspection by the official inspector, there was much pressure on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the government to prepare inspection costs, the government would make up for this by giving out rice for lending. In the private sector, residents in Samcheok added to the inspection cost by contributing separate rice for inspection while those in Gusan-po Port collected taxes from the merchant ships frequenting Gusan-po Port to use for this. Like this,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originated from the dispatch of ‘Mureungdeungcheoanmusa’ in 1416, was established with the incident of Ahn Yong-Bok as a momentum and had been operated as a periodic system since the dispatch of Jang Han-Sang in 1694. In addition, as the pioneering of Ulleung-do Island began, the roles of understanding the reclaimed land and newly incoming populations had been added since 1883. Judging from the above,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can be considered a territorial management policy operat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Key words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Inspection system, Official inspector, Inspection processes and procedures, Duties, Inspection cost, Inspection remains

      • 정조대 어가행렬의 군사적 배치와 운용

        이경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정조대 어가행렬의 군사적 배치와 운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지도교수: 김 문 식 어가행렬은 인원구성이 대부분 군사들로 이루어져 있는 군사행렬로 당대 군사에 관한 전반적인 사실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론으로만 알고 있는 군사체재 전반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에 본고는 어가행렬의 군사적인 구조와 운용원리를 파악하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당시 조선군의 활동모습을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정조대를 중심으로 어가행렬이 군제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받아들였는지 그 변천과정을 살피고, 군사전략의 변화가 어가행렬 구성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조가 군사훈련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휘절차를 어떤 방식으로 확립했는지 탐구하고, 훈련에 적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어가행렬은 군사행렬로 시대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되었다. 예를 들어, 조선전기에는 五衛陣法에 의해 구성되었고 임란이후에는 戚繼光戰法이 기반이 된 󰡔병학지남󰡕에 의해 구성되었다. 이후 對內外的인 요구에 따라 마병이 결합되었다. 정조대에 구체화된 열진과 사면조의 운용방식은 對日‧對淸에 대한 전술적인 대응으로 만들어진 형태로, 적의 강력한 步軍과 鐵騎를 아군의 잘 훈련된 보군으로 저지한 다음 마병으로서 기습공격을 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정조는 어가행렬의 후상에 마병부대를 추가하게 되었다. 왕이 있는 구역은 門에 의해 구별되었고, 금군과 호위마병들이 배치되었다. 정조는 호위마병들이 이동과 작전 중에 전·후·좌·우를 시위할 수 있도록 숫자를 늘렸으며, 이들을 활용하여 전술훈련을 이끌었다. 정조의 주변에는 손발이 되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수행할 선전관이 있었으며, 이들은 강화된 군사훈련에서 정조의 지휘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진법교육과 무예수련을 강화했으며, 병학이론을 공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정조의 가장 근거리에서 시위하는 무예청은 단지 불량한 사람의 침입을 막는 수준이 아니라, 전투를 할 수 있도록 습진교육과 무예수련을 강화했으며, 실제 훈련시에는 군영과의 전투를 하게 하여 큰 규모의 적도 상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정조는 직접 전술훈련을 주도하기 위해 전기의 軍旗를 발굴하고, 당시 군영의 깃발과 악기들을 가져와서 御前에 새롭게 배치하였다. 새로운 깃발과 악기의 배치는 어가행렬과 훈련에서 정밀한 지휘를 가능하게 했다. 정조는 훈련을 통해 군영의 개혁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훈련절차와 지휘체계, 신호체계를 정비하였다. 왕이 친림한 훈련[大閱儀]에 적용되었던 󰡔병학지남󰡕의 훈련절차는 하나의 군영에 대한 훈련이었으나, 군영간의 전투기동훈련이 빠져 있었다. 이에 정조는 전기의 대열의에서 군영대장을 부르는 절차와 기동훈련을 진행하는 과정을 가져와 새로이 훈련절차에 적용하여 절차를 간소화 시켰으며, 군영간의 훈련을 더욱 활발하게 진행시켰다. 대열의에서의 지휘권은 국왕을 대신하여 주로 훈련대장이 가지고 훈련을 진행했었으나, 정조는 병조판서와 대중군이라는 체계는 빼고, 자신이 임명하는 중영대장이 지휘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고,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정조 본인이 직접 지휘권을 행사하여 훈련을 주도하였다. 또한 정조는 호위마병을 이용하여 군사훈련을 이끌었다. 그는 호위마병들을 奇兵으로 활용하여 군영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전투상황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열무에서 마병으로 군영들을 공격하게 하여 군영들의 마병들의 공격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방어하는지 시험하였다. 즉, 마병들끼리 서로 기습하고, 포위하도록 하는 전투를 하도록 유도하여 마병들의 기마술과 전술적인 능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통해 자연히 지휘관들의 역량은 향상되었고, 군병들과 군영들은 정예화 되었다. 결과적으로 정조는 이상과 같은 시위조직의 강화, 훈련체계의 정비, 강도 높은 훈련을 바탕으로 하여 군영에 대한 장악력을 높여나갔다고 할 수 있겠다. (Abstract) The Military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a Royal Carriage Process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Major in Korean History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Mun-sik A royal carriage procession is comprised of soldiers in most cases, being a military parade and providing a compressed picture of overall facts about the military at the time. It is thus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overall aspects of the military system whose knowledge is based only on theori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military structure and operational principle of a royal carriage procession in Joseon and infer the unknown aspects of its military activities those days from them. It looked into the changing process of the military system sensitive to a royal carriage process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also changes to the organization of a royal carriage procession caused by changes to military strategies. It also delved into the ways that King Jeongjo established the command procedures needed to ensure the smooth operation of military training and the patterns of their application to training. A royal carriage procession changed its forms according to the times as a military parad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for instance, it was organized based on the Owijin method. After Imjinwaeran, it was organized according to "Byeonghakjinam" based on the Cheokgyegwangjeon method. Later, the cavalry was added to the procession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The operational methods of Yeoljin and Samyeonjo spec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were to make tactical reactions to Japan and Qing, aiming to make a surprise attack with the cavalry after holding back the powerful foot soldiers and iron weapons of an enemy through the well-trained infantry of friendly forces. For this, King Jeongjo added cavalry units at the back of a royal carriage procession. The section for a king was distinguished by a gate with palace guards and guard cavalry placed around it. King Jeongjo increased the size of guard cavalry so that the guard cavalry would hold a demonstration in every direction on the move and during an operation. He also led tactical training with them. He had Seonjeongwans around him since they were needed to deliver or implement his orders for him. They were asked to reinforce education on battle formations and martial art training and study military science to deliver his instructions right. It was Muyecheong that held a demonstration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him. They had to reinforce education on the practice of battle formations and martial art training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engage in a combat beyond the level of blocking invasion by a bad man. In actual training, they fought against a large military camp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confront a large-sized enemy, as well. Trying to lead tactical training himself, King Jeongjo identified war flags for Jeongi and brought and placed the flags and musical instruments of military camps in his palace. The deployment of new flags and musical instruments allowed for precise commands in a royal carriage procession and training. King Jeongjo tried to reform the military camps through training, thus arranging the training procedures, command system, and signal system. The training procedures in "Byeonghakjinam," which was applied to training[Daeyeolui] with the presence of a king, were for a single military camp but missed combat maneuver training between military camps. King Jeongjo brought the procedure of calling the head of a military camp and the process of maneuver training from the Daeyeolui of Jeongi and applied them to the training procedures anew, thus simplifying the procedures and promoting more active training between military camps. The general of training would usually have the command and lead training in Daeyeolui, representing the king. King Jeongjo, however, got rid of the system involving Byeongjopanseo and Daejunggun, gave command to the general of Jungyeong appointed by him, and ultimately led training by exercising command himself. He also led military training by taking advantage of his guard cavalry. Using them as mounted troops, he created a range of combat situations with military camps. In Yeolmu, he had the cavalry attack military camps to see how effective they were for defending themselves against attacks by the cavalry. In other words, he induced the cavalry to make an attempt at ambush and siege each other in combat training so that they would improve their horseback riding skills and tactical abilities. As a result, the commanders naturally increased their capabilities with soldiers and military camps becoming the best. In short, King Jeongjo enhanced his hand on the military camps based on the reinforcement of demonstration organization, arrangement of the training system, and highly intense training.

      • 조선시대 島嶼地域 搜討에 관한 연구

        辛泰勳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Suto System in the Island Areas in the Joseon Dynasty Shin, Tae hoon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Joseon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to prevent the islands from becoming the outposts of Japanese pirates�� activities. The choice of Joseon government was to ��send her residents out of the islands(swae-chul)�� and ��search and subjugate system(suto)�� to prepare for the Chinese Hawangdangseon ships and the Japanese pirates.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suto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was in 1694 (Sukjong 20), but the articles about the suto were recorded throughout the Joseon era. At first, the great purpose of suto system was to bring the inhabitants out of the island areas. The migrants who entered the island area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wanted to avoid the government compulsory labors. Second, to avoid taxes. Third, to earn a living. Fish and salt industries were profitable even though they had less labor than farming. In addition, taxes on fish and salt received less than general taxes. In this situation, the Joseon government initially sent officials to bring out the migrants out of the island areas and punish them accordingly. Despite this policy, however, the residents of the coastal area, the criminals and etc continued to migrate into the islands and kept increasing the margin of increase. As a result, the Joseon government changed from her existing punishment policy for the migrants into the island areas to the management policy of the island areas and one of these policies was suto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ast coastal suto system and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suto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On the east coast, officials such as Muleungdeungcheoanmusa(茂陵等處按撫使), Mureungsunbeongyeon-gchagwan(茂陵巡審敬差官), and etc were dispatched and they brought the residents out of the island areas. Under the established Suto system since 1694, Sutosa officials such as Samcheokyeongjang or Wolsongmanho were dispatched once every three years. It can be seen that Ullengdo suto system in the eastern coastal area was relatively regular compared to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and government officias' positions were also establish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west and south coasts, various duties such as sutogamgwan, Gyeongsang, or Jeolla province right or left defense admirals and Manho performed their suto duties. Generally, it was a rule to search and subjugate(suto) three times a month but these rules were not almost kept and its targets were chinese Hawangdangseon ships and Japanese pirates and sea robbers. and its related articles were found out continuously. There were many related stories about suto because there were relatively many islands in the coastal area and Joseon dynasty overlapped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sea areas. The suto system in the island areas has changed in its configuration size as time went by. First, in the case of Ulleungdo, the size of the pre-establishment of the suto system was 160 soldiers in 40 of the 4 suto warships,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uto system, the first suto military officer Jang Han-sang performed his duties with the size of 150 soldiers of the 6 suto warships. It was almost the similar in size. On the suto provisions, in the early stage of suto, 200 sacks of rice were mobilized a month. However, if we look at the scale of the suto size since then, we can see that the number of suto officials has decreased to 80 and the number of suto warships has decreased to 4. This change is due to the familiarity with the waterways. In the West and the South Coast, it was also confirmed in the documents that at least 100 people were mobilized at the beginning of suto system and at most 500 people were mobilized. In the later articles about suto system in late Joseon Dynasty, it seems that in the near sea about 10 people were mobilized with two suto warships and in the distant sea about 20 people were mobiliz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suto system, it is assumed that they mobilized male divers(bokjakheon) and made them scout arou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in, they ��searched and subjugated(suto)�� using the light and fast ship(Pojakseon) or little boat instead of large armed vessels (Daemaengseoh). Generally, the suto operation was performed in March and October. It seems that they performed the military operation in March or October when the sea was calm because they should cross the sea to go to the island area. Also, when there was a famine, the suto operation stopped. There are three main purposes of the suto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First, it was to expel sea pirates and unauthorized foreign ships which broke into our island areas without permissions. Chinese Hwangdangseon ships, Japanese pirates, and sea robbers plundered island areas and damaged the migrants. To solve this problem, Joseon government wanted to protect her migrants by talking with China, but to fight a battle with Japan. Second, we tried to grasp the information about the island areas. As the number of people migrating to the island areas increased, Joseon government could not ignore it. Joseon government began to crease its interests in the island areas to manage them systematically. Third, there was also a purpose for the security. It seems that Joseon government performed the suto operation because they were afraid that criminals and wanderers gather in the island areas as a base camp to create resistance group against the government. □ Key words Suto, Suto official, Hwangdangseon ship, Japanese pirates, Fish and Salt, Suto warships 조선시대 島嶼地域 搜討에 관한 연구 辛 泰 勳 江原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조선 초기에 조선 정부는 섬이 왜구활동의 전초기지가 되는 것을 막고자 조선 전 島嶼地域에서 거주민을 나오게 하는 정책을 펼쳤다. 거민의 쇄출과 중국의 황당선, 일본의 왜구에 대비하기 위해 조선이 선택한 것은 搜討였다. 조선시대 수토제도가 확립된 시기는 1694년(숙종 20)이지만 수토에 대한 기사는 조선 전 시기에 걸쳐서 기록되어 있었다. 搜討는 처음에는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나오게 하는데 큰 목적이 있었다. 도서지역으로 들어간 사람들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데 첫째, 역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조세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세 번째는 이주민들의 생계를 위해서였다. 어염은 농사에 비해 적은 노동력을 들이고도 이익이 많이 생겼다. 또한 어염세는 일반 세금에 비해서 적은 양을 수취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조정은 처음에는 관리를 파견하여 이주민들을 나오게 하고 그에 따른 처벌을 부여하였다. 하지만 조정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연해안 주민들, 범죄자 등은 계속해서 섬으로 이주하였고 그 증가폭은 점점 늘어났다. 이로 인해 조선 정부는 이주민의 대해서 기존의 처벌에서 도서지역을 관리하는 차원으로 노선을 바꾸게 되고 이러한 정책 중 하나가 수토인 것이다. 조선시대 도서지역 수토는 동해안과 서·남해안의 수토가 그 차이가 있었다. 동해안 수토는 전기에는 茂陵等處按撫使, 茂陵巡審敬差官 등의 직책을 가진 관리가 파견되어 도서지역의 주민들을 쇄환하였고 1694년 이후 확립된 수토제도 하에 파견된 수토사는 3년에 1번씩 삼척영장과 월송만호가 번갈하가면 수토를 거행하였다. 동해안 지역인 울릉도에 대한 수토는 서·남해안에 비해 비교적 정례화되어 있고 관리의 직책 또한 정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서·남해안의 같은 경우에는 搜討監官, 慶尙·全羅 左右道 防禦使, 萬戶 등 다양한 직책이 수토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월 3회 수토를 그 법칙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거의 지켜지지 않았고 그 대상도 중국의 황당선과 왜구 및 수적에 대한 내용이 추가적으로 나오고 있다. 상대적으로 연해안에 島嶼가 많고 주변국과 해역이 겹치기 때문에 이러한 수토기사가 나오는 것이다. 도서지역 수토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구성규모가 달라졌다. 먼저 울릉도의 경우에는 수토제 확립 이전 규모는 초마선 4척에 40명씩 160명이고 수토제 확립 후 첫 수토사인 장한상이 수토 거행 때에도 150명 6척으로 그 규모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수토양미에 대해서도 초기에는 한 달분의 군량, 200석을 동원하여 수토를 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후 수토 거행 시 그 규모에 대해서 살펴보면 수토의 인원이 80명으로 줄어들고 수토선의 수도 4척으로 줄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로에 대해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서·남해안 수토 역시 처음에는 최소 100여명 최대 500여 명의 군사들이 동원되는 것을 본문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의 조선후기 수토에 관한 기사에서는 수토선 2척으로 인원수는 가까운 바다는 10명가량, 먼 바다는 20명의 인원이 동원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남해안 수토의 경우는 鰒作干을 동원하게 되어 있는데 이들은 수토할 때에 정찰병 역할을 하였고 지형의 특성상 크기가 큰 대맹선보다 포작선이나 작은 배를 이용하여 수토를 거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수토의 거행 시기는 대체적으로 3월과 10월에 많이 거행하는 것을 보인다. 도서지역을 가기위해서 바다를 건너야 함으로 물길이 잔잔해지는 3월이나 10월에 수토를 시행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흉년이 들면 수토 거행을 정지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수토의 목적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도서지역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수적·외국선박을 쫓아내는 것이었다. 중국의 황당선 및 왜적, 그리고 수적은 도서지역을 약탈하여 이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었다. 중국 황당선에 대해서는 식수를 보내어 돌려보내고 대화로 해결하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왜구에 대해서는 단호한 대처로 전투를 벌이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우리의 영토에서 벗어내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둘째 도서지역에 대한 정보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으로 이주하는 백성들이 늘어나면서 조정도 이를 무시할 수 없었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서지역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나주의 부속도서의 숫자가 17세기에 이르면 2배가 넘는 양인 72개에 이른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治安을 위한 목적도 있었다. 범죄자 유망민이 도서지역에 모여 정부에 저항하는 세력을 만들고 그 조직에 근거지가 도서지역으로 삼을 수 있는 우려 때문에 수토를 거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 핵심주제어 搜討, 搜討使, 荒唐船, 倭寇, 어염, 수토선

      • 毅菴 柳麟錫의 簡札 연구 : 毅菴集을 중심으로

        金仁善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Letters of Ryu Inseok ―Focusing on ��Uiamjip(毅菴集)��― Kim, In Sun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Uiamjip(毅菴集)” was published in 1917 by disciples of Ryu Inseok, two years after death. From 1861 to 1915, there are a total of 895 Letters and 10 Letters whose year of writing was unknown. As for the contents of the Letters in “Uiamjip(毅菴集)”, majority was about greetings followed by political situation, academic and activities of Loyal troop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905 Letters closely for analysis. This study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people who received Letters and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Ryu Inseok inherited the Hwaseo School's neo-Confucian ideology and passed it on to thousands of people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he sent and received Letters on in-depth academic contents on “Jungyong(中庸)” and “Daehak(大學)” with his master Yi Hang-Ro(李恒老), Kim Pyeong-Muk(金平黙), Ryu Jung-Gyo(柳重敎). Many Letters are questions and answers on academic issues. Such academic Letters continued when Ryu was exiled abroad. The target of Letter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literary figures and non-literary figures. It means that he was an ideological mentor among the intellectuals in times of turbulence. There are also Letters expressing their views on the intense controversial issues of ‘Simseol(心說)’ within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at the time. In Letters, he showed his regret by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that ruined the traditional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he criticized the incompetent government bureaucrats who had overlooked the crisis of Joseon. In particular, Letters criticized the reformist politics of pro-Japanese bureaucrat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too. Through the Letters of scholarship and the political situation, it is known that Ryu Inseok had a lot of worries about reaction to the crisis of the country’s neo-Confucian scholars and intellectuals. In 1895, Ryu Inseok entered into activities of Loyal troops in the wake of the Eulmi Incident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t the request of his disciples, he became head of Hojwauibyeongjin(胡坐義兵陣) leading the Loyal troops. Afterwards, he organized anti-Japanese groups in Joseon, China and Russia and progressed anti-Japanese struggles. During this period, he sent Letters to many unspecified people, including his disciples and Loyal troops colleagues encouraging their spirit. In addition, he sent many greeting and condolence Letters to friends and relatives and also exchanged Letters to people related to publication of books. In doing so, he contributed to the smoothness of publishing. And, he sent Letters to the Chinese government, Yuan Shikai of China and other intellectuals arguing that Chinse must restore the Way of Sinocentrism.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his relationship was figured out. Out of the 554 people who received Letters of Ryu Inseok, 141 were literary figures and their origins are very diverse including Gwanseo(關西), Haeseo(海西), Gyeonggi-do(京畿道), Chungcheong-do(忠淸道), Gangwon-do(江原道), Hambyeongbuk-do(咸鏡北道) and Gyeongsangbuk-do(慶尙北道). Among them, people from Gwanseo and Haeseo region account for large portion. It was because he remained in the area before the exile of the country and returning to the country and he opened Gangseuprye(講習禮) and Hyangeymrye(鄕飮禮) at Haeseo at its center. At this time, he communicated with many people forming master-disciple relationship and exchanged Letters many times. The basis of this fact can be found in Letters in which he remarked that young Confucian scholars in this area were loyal and faithful. Besides, Letters were exchanged with the people of the Nosa School and Hanju School too without limitation. And, it was found that while performing activities of Loyal troops, he had justification and confidence of the civilian army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As such, Ryu Inseok made every effort to speak and persuade about the confused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through Letters, and suggested a direction to take as intellectuals by forming coherence of many people including diverse reasons and academic schools. 毅菴 柳麟錫의 簡札 연구 ―��毅菴集��을 중심으로― 金 仁 善 江原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의암집��은 의암 유인석 사후 2년 뒤인 1917년 제자들에 의해 간행되었다. 1861년부터 1915년까지 총 895편의 간찰들과 연도미상인 간찰 10편 등 총 90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의암집��에 수록되어 있는 간찰들의 내용은 안부 등의 내용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시국, 학문 그리고 의병활동 등의 순이다. 본 논문은 ��의암집��의 간찰 905편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간찰을 받은 인물들을 파악하여 교유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화서학파의 성리학적 사상을 정통으로 계승한 유인석은 생애 전반에 걸쳐 수많은 사람들과 간찰을 주고받았다. 특히 스승이었던 화서 이항로와 중암 김평묵, 성재 유중교 등과 ��중용�� 및 ��대학�� 등 학문에 대해 깊이 있는 내용의 간찰들을 주고받았으며 학문에 대하여 질문하면 답을 하는 형식의 간찰들도 여러 편 있다. 이러한 학문관련 간찰을 유인석이 국외로 망명해 있을 때에도 계속 되었는데 간찰의 대상은 문인과 비문인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 혼란스러웠던 시대에 유인석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중심이 되는 정신적 스승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당시 화서학파 내에서 격렬하게 논쟁 중이었던 심설논쟁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간찰들도 있다. 그 밖에도 유인석은 시국에 관한 간찰을 통해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조선의 전통사회가 혼란에 빠지는 모습을 안타까워하였고, 한편으로는 이런 조선의 위기를 방관한 무능한 조선의 관료들을 비판하였다. 특히 친일관료들의 개혁정치와 일본의 정부를 향해서도 간찰을 통하여 서슴없이 비판하였다. 학문과 시국에 관한 간찰을 통해 유인석은 나라의 존폐위기에 성리학자와 지식인으로서 어떻게 대처해나가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인석은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의병활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당초 중국으로 망명하여 수의하려고 하였으나 제자들의 요청으로 호좌의병진 창의대장 자리에 올라 의병들을 이끌게 되었다. 이후 유인석은 조선·중국·러시아를 오가면서 항일단체를 조직하고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이 시기 유인석은 국내외에서 의병활동을 하고 있거나 거의를 준비하고 있는 제자 및 의병 동료들을 비롯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도 간찰을 보내 그들의 사기를 독려하고 격려하였다. 이외에도 유인석은 친인척들의 건강과 안부 및 죽음에 대해 위로하는 등의 간찰들과 문집간행에 관련된 사람들과 간찰을 주고받음으로써 간행의 원활함을 도왔고, 중국정부와 중국의 원세개를 비롯한 지식인들에게도 간찰을 보내 향후 중국이 다시 중화의 도를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유인석의 교유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유인석의 간찰을 받은 사람들 554명 중 141명이 문인들이며, 이들의 출신지역은 관서·해서·경기도·충청도·강원도·함경북도·경상북도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들 지역 중 관서와 해서지방의 사람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유인석이 국외로 망명하기 전과 국내로 돌아왔을 때 주로 머물렀던 지역이 해서지역이며 이곳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을 돌며 강습례와 향음례 등을 열었기 때문이다. 이 때 수많은 사람들과 교유하며 사제관계를 맺고 이들과 수차례 간찰을 주고받았는데 이러한 사실의 근거는 유인석이 해서지역의 젊은 유학자들에 대해 충성되고 신의가 있다라고 말한 간찰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밖에도 노사학파와 한주학파의 사람들과 간찰을 주고받았는데 이를 통해 학파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교유관계를 한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외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면서 의병활동의 정당성과 확고한 의지가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유인석의 의병활동 과정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유인석은 혼란스러웠던 당시 시국의 상황 속에서 간찰을 통해 의병활동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설득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지역과 학파에 제한되지 않고 수많은 사람들과 교유하면서 그들로 하여금 결속력을 다지게 하여 지식인으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주었다.

      • 英祖代 "北路陵殿志"·"北道陵殿誌"의 편찬과 그 의의

        김지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英祖代 "北路陵殿志"·"北道陵殿誌"의 편찬과 그 의의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김 지 영 지도교수: 김 문 식 본고는 조선 英祖代의 함경도 왕실 사적 편찬 기록인 "北路陵殿志"와 "北道陵殿 誌"를 비교·분석하여 두 기록의 연관 관계 및 "북도능전지"에 나타나는 증보 양상과 편찬의 의의를 파악함에 목적을 두었다. "북로능전지"와 "북도능전지"는 함흥 출신 魏昌祖가 함경도에 자리한 이성계와 그 4대조의 陵·殿·宮을 비롯한 관련 사적을 종합 정리하여 편찬한 책이다. "북로능전지"는 1747년(영조 23) 위창조에 의해 편찬되었고, 이듬해 이를 열람한 영조의 명에 의해 1758년(영조 34)에 "북도능전지"로 증보 편찬되었다. "북로능전지"와 "북도능전지"는 편찬을 명하고 주도한 주체에 따라 私撰과 官撰 으로 구분되는데, 기본적인 구성이나 수록 내용, 주된 인용 자료 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북로능전지"가 2卷 1冊, 8條의 凡例로 구성된 것에 비해 "북도능전지"는 8권 3책, 17조의 범례로 구성되었고, 수록된 附錄과 遺蹟의 수도 늘어났다. "북도능전지"에 수록된 범례와 부록, 유적 등은 "북로능전지"와 비교하여 단순히 양적 증가 외에도 출전과 注 등이 상세화되고 내용상으로도 풍부해져 책의 증보 양상을 확인케 한다. "북도능전지"에 새로 수록된 부록은 태조와 그 선조와 관련한 중요 기록이며, 유적 역시 창업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장소이다. 따라서 "북도능전지"에서 더 많은 내용을 발굴하여 기록한 것은 증보 편찬을 명한 영조의 함경도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북도능전지"는 왕명에 의해 편찬된 것인 만큼 높아진 서적의 위상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영조의 어제로 대체된 서문이 이를 방증한다. 또한 "북도능전지"는 필사본인 "북로능전지"와 달리 목판본으로 간행되어 책의 대량 보급이 가능해졌고 이후 활용 가능성도 커졌다. 본고에서는 "북도능전지" 편찬의 의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구분하여 확인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북도능전지" 편찬은 왕실 創業地의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지 역 출신 위창조의 자부심에서 기인하였다. 위창조는 함경도에 대한 편견으로 출사 후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영조는 주변의 반대에도 그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관심을 보였다. 이에 대해 위창조는 자신의 생장 기반이 된 고향의 왕실 사적 기록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함으로써 국왕의 은혜에 보답하고 함경도의 창업지로서 의미를 확증하고자 했다. 둘째, "북도능전지" 편찬은 국왕 영조의 정통성을 강화하고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영조는 자신을 둘러싼 수많은 訛言과 是非를 잠재우고 정통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創業主에 대한 존숭과 함경도 왕실 사적 정비를 선택하였다. 영조는 "북도능전지"에 실린 別諭를 통해 선계를 받드는 일과 백성에 대한 보호가 같은 맥락에 있음을 밝히고 북도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표명하였으며, 太祖와 肅宗에 이어 釋王寺에 御製碑를 세우게 하였다. 이 같은 조처를 통해 영조는 함경도를 창업의 땅으로 부각하고, 자신은 창업주와 선왕의 뒤를 잇는 정당한 후계자로 자임하였다. 셋째, "북도능전지" 편찬은 위창조가 여러 곳에 산재한 함경도의 왕실 사적을 종 합하여 정리한 것으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북도능전지"는 함경도 왕실 사적의 보수·관리 및 의례 수립과 왕실 선계를 확인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조선 후기 역사서의 典據가 되거나 여러 사찬 기록에 인용되었다. 주제어: 북도능전지, 북로능전지, 영조, 왕실 사적, 위창조, 함경도

      • 1960년대 프랑스 학생운동의 조직과 활동 : 알제리 전쟁에서 68년 5월까지

        류도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83

        Students of dishevelled hair, the kiss behind barrier. The red hair jew Cohn-Bendit who talks very passionate. The misty street because of lachrymatory, an anger man who throws stone away between the misty street, demonstrations are filled with street, old labors and students march arm in arm with. The picture of Che, Mao and mask of Lenin and Marx are covered with occupied Sorbonne. the motors are written with old gallery, CRSs black helmet and glasses and their black silhouette, De Gaulle with his lips firmly closed. Many things happened very short times. Remained May 1968 with powerful image may be overcame by its image. Theres no one to stingy who contribute May 1968 to the students. We all talk that the hero of May is students, we are busy adoring students. 1968 becomes a symbol, May 1968 in France stands for the movement. However 1968 in France spreads over in photographs, pictures, memories and illusions. In 1968, the government and right wings wanted to repress Mays memory. Memories what shook France was forgotten in peoples memory, they want to come back their people like tender lamb. However Mays memory remains peoples memory, it become change them. The people who experience May 1968 and people who are heard about May 1968 wont release Mays memory were just memory. As huge memory of May, there are variety estimates. First we must know about the time before May, before we rate and judge about May. Students movement did not suddenly come into being and shake France. The students were organized throw out Algeria War, they became find their own thought and were influenced by intellectuals who disputed with France common production. The criticism about social went on criticism and considerations about students environment, Not silence but resistance makes students going on. In composition of Cold War - time that people must select one side - students made gap at that time. Even if the opinions and dream future of students were extreme and just a dream, their dreams may were power what changed France and the people. 헝클어진 머리의 학생들, 바리케이드 뒤에서의 키스. 마이크를 잡고 열정적으로 말하고 있는 붉은 머리의 유대인 콘-벤디트. 최루탄으로 뿌연 거리의 모습, 그 사이로 보이는 돌을 던지고 있는 역동적 모습의 남자, 거리를 가득 메운 시위대의 모습, 팔짱을 끼고 함께 행진하는 늙은 노동자와 학생. 점거된 소르본느를 뒤덮은 체 게바라와 마오의 사진, 그리고 레닌과 맑스의 얼굴. 오래된 회랑에 쓰여진 구호들. 그리고 검은 헬멧과 고글의 CRS, 그들의 검은 실루엣, 드골의 꼭 다문 입. 짧은 시간에 일어난 너무나 많은 일. 강한 이미지로 남은 프랑스의 1968년 5월은 그 스스로 자신의 이미지에 압도되었는지도 모른다. 1968년 5월을 학생에게 헌정하는 데 인색하게 구는 사람은 없다. 아니 모두들 5월의 주인공은 학생이라고, 학생들을 치켜세우기에 바쁘다. 1968은 상징이 되었고, 프랑스의 5월은 1960년대 운동을 대표하는 하나의 전형이 되었다. 그러나 사진과 그림들, 기억과 환상 속에서 프랑스의 1968은 떠돌고 있다. 1968년 당시, 정부와 우파 세력은 5월의 기억들을 억압하고자 했다. 프랑스를 뒤흔들었던 거대한 기억이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혀지고, 다시 순한 양과 같이 복종하는 프랑스인들로 돌아오기를 그들은 기대한 것이다. 그러나 5월의 기억은 사람들의 몸에 남아 서서히 그들을 변화시켜갔다. 1968년 5월을 경험한 사람들과 그 경험을 듣고 자란 세대들이 5월의 기억을 기억으로만 그치게 놔두지는 않았던 것이다. 5월의 ‘거대한’ 기억처럼, 5월에 대한 평가 역시 각양각색이다. 그러나 그러한 판단과 평가들을 내리기 이전에, 5월을 만들어낸 이전의 시간들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지 않을까. 5월을 이끌었던 하나의 축인 학생운동은 1968년 갑자기 생겨나서 프랑스를 뒤흔든 것은 아니었다. 학생들은 알제리 전쟁이라는 시기를 거치며 조직화되기 시작하였고, 프랑스 공산당과 사상 논쟁을 벌이고 있던 지식인들에게서 영향을 받으며 자신들의 사상을 찾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사회에 대한 비판은 곧 자신들을 둘러싸고 있는 조건에 대한 고찰과 비판으로 나아갔으며, 침묵이 아닌 저항의 태도가 학생들을 움직이고 있었다. 냉전의 구도 속에서 어느 한편으로의 선택이 강요되었던 시기에 학생들은 그 구도에 틈새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비록 그들이 주장하고 그들이 꿈꾸었던 미래가 극단적이고 ‘이상향’에 불과했을 지라도, 그들이 꾸었던 꿈이 바로 프랑스와 프랑스 사람들을 변화시킨 힘이 아니었을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