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 소외지역을 위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연구 : 방과 후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전수련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815

        문화예술교육은 예술 체험을 통해 개개인의 삶의 질을 다양하고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사회와 국가를 풍요롭게 하는 힘이 된다. 즉, 상상력과 창의성의 발달을 비롯하여 의사소통능력과 협동심 등을 체득하게 되어 보람 있고 긍정적인 삶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 소외지역인 농촌의 아동들은 도시에 비해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농촌지역 문화예술관련 시설들은 대부분 열악하고 접근성이 부족하며 예산이나 전문 인력의 부족 등의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또한 그 지역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교육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기인하여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소외지역에서 그 지역의 특색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하여 아동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연구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 문화예술교육 중 미술활동을 통해 아동들에게 단순히 기능 전달의 수동적인 형태가 아닌 다양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나아가 적용한 프로그램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험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화예술 소외지역을 위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연구를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이루어져있는데, 1단계 회화활동 및 만들기 프로그램, 2단계 천연염색활동 프로그램, 3단계 자연미술프로그램, 공공미술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위의 개발한 프로그램은 2013년에서부터 2015년 까지 3년간 진행하고 적용하였다. 1단계는 창의성 중심프로그램으로 도화지를 통해 그림을 그리는 단순 활동이 아닌 여러 가지 사물들과 다양한 표현방법들을 통한 그리기와 만들기 개인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단계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차별화 및 모둠 학습으로 참여아동뿐만 아니라 가족도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3단계는 경험치를 확산, 심화하는 프로그램으로 공공미술 벽화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체 협동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소규모학교인 나주 봉황면의 B 초등학교 12명과 화순 남면의 S 초등학교 10명, 총 22명의 1,2,3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진행과정과 활동별 개인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➀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연구 대상자들의 변화를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고, ➁대상자들에게 자아존중감검사지와 미술치료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보다 분석의 객관성을 높였다. 프로그램 적용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소외지역 아동들의 상상력을 기르고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었다. 둘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미술활동을 통해 아동들 자신의 주변을 돌아보고 지역에 관한 긍정적 이미지와 애향심을 향상할 수 있었다. 셋째, 친구와 가족들과의 협동 활동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을 신장할 수 있었다. 넷째, 전체 활동을 통해 다문화를 이해하고 다양성에 대한 개방적 태도와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소외지역 아동들의 정서적인 안정과 치유, 자아존중감 향상을 통한 긍정적인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문화예술교육이 확산되고 다양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댄스스포츠 참여정도와 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옥주 공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정도와 참여정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댄스스포츠가 대중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종목으로서 효과성을 입증하고, 참여자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지도자의 회원관리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2016년 현재 충청남도 천안시와 아산시에서 활동 중인 댄스스포츠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응답하게 한 후 바로 회수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응답자 400명 가운데 불성실한 설문지 응답으로 연구목적과 부합되지 않은 35명의 응답 자료를 제외한 총 365(91.2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동기, 여가만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여가 만족의 하위요인과 참여동기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차이를 보이는 변인들에서는 모든 변인이 공통적으로 여성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적동기를 제외하고 모든 변인들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연령대인 60대 이상의 연령대의 평균이 높게 관측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학력과 월소득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어떤 경향성을 보이기보다는 참여 동기와 여가만족을 주는데 있어서 이 두 변인이 어떤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정도에 따라 참여동기, 여가만족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참여기간과 참여빈도는 모든 변인에 걸쳐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특히 참여빈도의 경우 아주 낮은 유의확률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어, 차이분석을 하는데 가장 강력한 변수라고 판단된다. 참여시간의 경우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요인과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적동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전반적으로 종합해보면 참여동기와 여가만족의 평균을 비교하는데 있어 참여시간은 그 역할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참여빈도의 경우 그 역할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 후 영향력 검증을 하는데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정도와 참여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정도의 참여기간과 참여빈도가 여가만족의 4개의 하위요인(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교육적)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 참여빈도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여시간의 경우 심리적 만족에서만 약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적동기, 외적동기가 여가만족 하위요인인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교육적 만족에 대해서는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모든 모형이 90%가 넘는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공통적으로 참여빈도와 참여기간,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여가만족에 긍정적인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참여빈도와 참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에 대한 점수가 증가하며, 외적동기와 내적동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가만족 또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participation degree and participation motive in dance sports has an effect o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to prove that Dance sports renders service in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and gives a political basic data to guide the constant participation of participants. The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tion motive and satisfaction degree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al feature of dance sports participants and proved that the male or female factor mad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ll sub factors excep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motives. And the age-factor made a meaningful difference among all the variables except internal motive, a sub factor. Generally,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female participants more than sixth, the oldest group had higher mean value.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degree and leisure satisfaction. As a result, participation term and frequency made a difference in all ranges of variables. Especially,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frequency, the statistic gap of meaningful probability was very little.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term, just psychological factor, a sub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and internal factor, a sub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 had a meaningful difference. Third, The participation term and frequency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four sub factors -psychological, social, physical and educational factors and yet the effect of participation frequency was more powerful.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e, a sub of participation motive,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ocial, physical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 sub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 on the whole. The meaningfulness of all patterns was over 90%.

      • 문화예술교육사 활용에 관한 연구 : 대구학생문화센터 인턴십 사업을 중심으로

        임자경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447

        2013년부터 배출된 문화예술교육사의 활용 방안 논의는 현재까지도 지속 연구되고 있으나, 실무 현장에 빠른 투입을 위해 기획된 인턴십 사업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및 활성화 사업을 파악한 후, 2019년 인턴십 사업에 참여한 4개 시설의 인턴십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 부여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실무의 적합도 관점에서 검토한 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기획과정에서부터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아 존재감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명확한 역할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기획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사전에 인지하도록 수강생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인턴십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사들이 정부 주도사업 외에 민간영역 사업에서도 참신한 프로그램을 개척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은 적절한 지원 방안을 권고하여야 한다.

      • 창의적 손바느질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임지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431

        이 연구는 21세기 교육목적인 ‘지식의 창의적 선택과 활용’을 실현하는 문화예술교육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창의적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주입식 교육과정에 있는 아이들에게 손바느질을 활용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예술교육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학생들의 수준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손바느질을 통해 직접 체험하는 활동 중심으로 주제와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는 ‘지구를 생각하는 커피콩 캐릭터 만들기’, ‘볼록볼록 우리 동네 지도 만들기’, ‘한 땀 한 땀 메모판 만들기’이었다. 각 주제별로 창의성의 요소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각 주제별로 문제점이나 주제에 대해 인식하고, 문제점이나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준비 및 발상→방법 구상 및 시각화→손작업 및 표현→적용→감상 및 평가로 실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각 주제별로 아이디어 구상 및 손바느질 실습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주제에 대해 10차시, 8차시, 4차시로 계획하여 총22차시를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전후 창의적 손바느질에 대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중 관찰한 내용과 수업 결과물, 수업 관련 활동지 작성 내용, 수업 태도를 통하여 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각의 변화와 창의성의 변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손바느질을 활용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창의성이 수업 전에 비해 수업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창의성 요소별로 보면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남녀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손바느질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관찰 결과에 의해서도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학습 인성 과정을 통해 손바느질 작품을 구상하고 만드는 동안 창의성 요소인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각 주제별 학생들의 활동지 작성 내용과 수업 태도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성, 협동성, 인권의식이 나타났고,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 연구에서 개발한 손바느질을 적용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는 창의적인 교육이면서, 전통적 손바느질을 문화예술교육에 접목시킨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동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431

        오늘날 밤늦게까지 여러 학원을 전전하며 무한 경쟁에 시달리는 아동들에게는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는 교육과 일상 환경의 부정적인 에너지를 긍정적 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수업이 필요하다. 이에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한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러한 아동들에게 새로운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아시아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력을 길러주고 다양한 상상력을 적용 시키는 가장 효과가 확실한 매개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아시아 전래동화는 아동이 다가가기에 어렵지 않으며 앞으로 겪어야할 문제를 미리 보여주어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는 태도를 기르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아동이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표현할 수 있고 다른 예술 영역과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서순화 등 그 교육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아동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초등학생 아동들에게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한 체험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아동의 창의성 신장과 다양성의 존중, 인성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안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적 사고와 아시아 전래동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아시아 전래동화를 결합한 예술문화체험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2016년 아시아 문화전당의 어린이 문화원 교육 프로그램과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했던 광주은암미술관 토요 꿈다락 문화학교의 어린이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의 활용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소개된 프로그램은 지난 2016년 9월부터 2017년 2월까지 광주 B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수업에 참여했던 초등학생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되었다. 기존 프로그램과 달라진 내용으로는 ① 미술 분야에 한정되어 있던 기존 프로그램에 전통음악의 영역을 추가하였으며 ② 미술과 연극, 문학과 음악, 놀이와 문화 등 각 예술 영역간의 융합을 통하여 다양한 체험 활동 내용을 첨가하고 강화하였다. 그리고 소통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발표와 협력 활동 중심의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③ 기존의 스토리텔링 기법에서 리텔링 방식으로 변경하여 모둠별 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단순했던 기존의 북아트 기법에서 ④ 여러 가지 소재와 표현 방법을 가미하여 보다 다양하고 입체적인 책을 만들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는 ‘나만의 이야기책 만들기’, ‘아시아 전통문화예술체험’,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한 리텔링 수업’, ‘아시아 전래동화의 배경으로 사용된 민속 음악 수업’이었다. 프로그램의 실행은 발상에서 구상 및 구체화, 작업 및 체험표현, 감상 및 발표하기의 단계로 전개하였으며 각 주제별로 북아트는 4차시, 그 외의 수업은 각 2차시로 계획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교수자의 관찰기록, 면담 그리고 설문지 등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 태도와 행동변화를 관찰하고 창의성, 자아 정체성, 소통 능력,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성과를 이끌어내었다. 첫째, 아시아 전래동화를 매개체로 하여 다양한 예술 영역들이 융합된 문화예술교육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다른 아시아 나라의 문화와 차이점을 발견하고 다양성의 존중과 함께 우리 문화에 대한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다양한 상상력을 통한 창의적 사고의 전환과 능동적 활동을 통해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 넷째, 감상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소통의 기회와 협동심, 다른 친구들을 배려하는 태도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아시아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표현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인성의 함양, 올바른 세계관 형성에 기여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 G노인건강타운을 중심으로

        박경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431

        현재 우리나라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수반되는 노인문제라고 할 수 있다. 노령층 중에서도 경제적·사회적·정서적·신체적으로 결손 되어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이 제대로 되지 않은 노인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G노인건강타운의 지난 5년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변화 분석 자료를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G노인건강타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300명과 각 기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내용의 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지난 5년간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전체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참여율이 저조한 과정들이 있었고, 인문학강좌 및 건축, 어문, 출판․만화에 관련된 프로그램개발이 미진하였다. 이는 관련 프로그램의 재조정 및 새로운 과정의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수강생들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문화예술교육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는 학력이 일반적으로 높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다. 독거형보다는 부부동거형의 경우에 참여율이 높았으며, 이들의 자아존중감이나 성취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율은 사회적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나, 고학력이나 경제력 등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극 참여자의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요청하였다. 셋째, 설문 응답자 중에서 지적활동과 경제활동에 참여할 의사가 높았고 자원봉사활동과 재능기부 참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노인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하여 이들의 인력풀제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설문 분석 결과를 통해서 본 바와 같이, 노년기의 응답자들은 주체적인 삶의 의지가 높고 자존감 향상에 대한 욕구가 매우 구체적이고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종사하는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 현장과 밀착된 노인의 수요와 욕구가 다양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안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었다. 앞의 두 가지 설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인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들의 학습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노인역량을 강화시키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적 관심과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관련 정부의 부처나 기관 간의 네트워크, 그리고 지역네트워크를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통합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노년기 발달과업을 이루기 위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노인의 특성에 맞는 단계적 노인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지속적으로 지원 가능한 행·재정적 정책뿐만 아니라 법·제도적 토대를 마련하여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진흥 정책을 펴야 한다. 다섯째, 노인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전략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진행과 전문적 역량을 갖춘 노인전문 전담인력 인프라 구축으로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은퇴자 및 노인들 중에서 개인적인 역량과 능력자를 발굴하여 자체적인 노인교육시스템에 연계시킴으로서 사회적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이들의 삶에 대한 충족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결손이 있는 노령층과 관련해서는 인간적인 생존과 욕구에 대한 충족을 노인 자신이나 가족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밖에도, 성공적인 노후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미래를 바라보는 현실적인 의식변화와 노인 자신이 스스로를 책임지겠다는 주체적인 자세, 그리고 조기에 개인적인 준비와 가정적·정책적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의 건강과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생의 충족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앞으로 이에 관한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고 활성화 되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SNS를 활용한 소통능력 개선 사례 연구 : 특수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이수정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431

        본 연구는 특수학생의 개인적 장애가 아닌 정서 문제에 주안하여 연구하였음을 강조 한다. 부모와 자녀가 소통하지 못함으로 인한 학교폭력 문제가 나날이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특수학급 J학생 역시 정서적 불안 문제가 부모와의 소통부족임을 학생과의 상담에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J양과 생업으로 바쁜 부모가 대화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해보았다. 최근 전 국민이 소지하고 있다 하여도 무방할 스마트폰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와 연계되고 있다. SNS에는 개인의 사진이나 글을 쉽게 기재할 수 있으며 이를 불특정 다수 혹은 특정사람들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자는 이 SNS의 장점을 본 연구와 결합하여 스마트폰 중에서도 SNS를 매개로한 부모와 자녀 간 소통을 연구 내용으로 택하였다. 매개로 사용할 SNS는 학생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선택하였다. SNS에 기재할 소재 측면으로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학생과 부모 모두가 원하는 수업으로써 학생에게는 놀이, 학부모에게는 자녀의 주요 교과목 학습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특수학급교사의 지도아래 주당 6시간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8개월 동안의 수업 내용들은 과정 및 결과가 사진 및 비디오로 기록되었다. 수업 활동을 학생 SNS에 기재하는 행위가 초기에는 학생이 교사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는 형태였다. 그러나 점차 학생이 스스로 자료를 SNS에 올리면서 연구가 의도하는 바로 나아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프로그램을 통해 학급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 수업활동을 부모가 확인하면서 소통활동이 되었다. 생업으로 바쁜 학부모가 활동의 사진을 보고 아이와의 이야기 거리를 만들어주었다. 둘째, 학생은 스스로 하고 있는 활동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얻으며 자신감을 되찾았다. 그리고 눈에 띄게 밝은 학교생활로 전환되었다. 셋째, 특수학생의 문화예술교육활동이 증가하였다. 특수학생에게 삶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 교육이다. 따라서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수업 내용 중 생활기술과 관련한 분야역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교육하였다. 넷째, 특수학생의 관심이 문화예술 활동에 집중되었다. 텔레비전 외에는 관심이 없는 학생이 공연이야기, 그림이야기, 손으로 만들기, 요리등 하고 싶은 문화예술 활동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모자녀 간 SNS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은 소통의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매체를 뛰어넘어 부모와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발전되기를 바란다.

      • 영화 분야의 성인 문화예술교육 방법 연구 : 성인대상 영화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김남희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431

        영화는 종합예술이자 대표적인 미디어 콘텐츠로 대중에게 사랑받고 있는 장르이다. 영화 장르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참가자들은 문학, 연극, 사진(영상) 등 다양한 장르가 융·복합된 예술활동을 체험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뜻깊은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영화 장르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해서는 그간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이 청소년이었고, 학교 교육에서의 적용이 주된 내용이었다. 현장에서 성인대상의 영화교육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 비해 비교적 활성화가 덜 되어 있으며, 연구 또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 영화 장르의 목표를 제시하고, 총 15차시의 프로그램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첫째, 참가자들은 일상 속에서 소비해오던 영화의 역사와 미학적 요소를 이해하며, 영화를 비평적으로 읽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생학습으로서의 성인 문화예술교육의 기능을 확인한다. 둘째, 영화 제작의 전 과정을 경험하며 자신의 생각으로 이야기를 만들고, 스스로 연기자와 제작진이 되어 단편영화를 제작한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타인에게 공유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셋째, 참가자들은 영화 교육을 계기로 영화 제작 동아리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성인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이 지역의 문화예술 저변 확대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그간 어린이·청소년 또는 청년층 대상이 주류였던 이 분야의 문화예술교육과 달리 중·장년층으로 교육대상을 설정함에 따라 미디어 격차를 해소하고, 공동체 내의 실재하는 문제들을 영화를 통해 드러내어 해결하는 데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사례 고찰 : <예술로 배움터>와 <예술로 꿈동산>을 중심으로

        박고운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431

        최근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 콘텐츠를 많이 제작하였다. 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교육자료를 직접 만드는 대신 디지털 콘텐츠가 집적된 온라인 웹 사이트를 활용하고 있다. 매 시간 수업자료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지만, 잘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를 찾는 것으로 수고로움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대두하면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외부 강사들만이 문화예술 교육을 하고 있고, 담임 교사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이다. 문화예술교육이 생소한 교사들에게는 문화예술교육은 남이 해줘야 할 교육과정인 것이다. 이에 담임 교사가 좀 더 용이하게 문화예술교육을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를 많이 제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하기 힘든 환경에 처해 있는 교사들에게 온라인 웹사이트를 활용한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문화예술교육분야의 디지털 콘텐츠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의 개념과 종류를 알아보고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디지털 콘텐츠의 현황과 필요성을 문헌연구하였다. 그 다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문화포털 사이트 내의 <예술로 배움터>와 <예술로 꿈동산>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디지털 콘텐츠 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어 각 콘텐츠를 직접 보고 들으며 초등교사의 관점에서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콘텐츠를 초등교육현장에 활용하는 데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대표적으로 <예술로 배움터>와 <예술로 꿈동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향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콘텐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콘텐츠에는 쌍방향 소통의 어려움이 있다. 둘째, 동영상 강의만으로 학생들의 집중도와 흥미를 끝까지 지속시키기 힘들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대상의 설정이 부적절하다. 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콘텐츠보다는 학생을 위한 콘텐츠가 필요하고 만 0-5세의 유아보다는 초,중,고 학생들에게 디지털 콘텐츠가 효과적이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의 특질을 반영한 디지털 콘텐츠가 부족하다. 음악,미술교과와는 다른 새로운 소재를 반영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도출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활동순서에 따라 교사의 발문과 학생의 예시 답변이 정리된 슬라이드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 둘째, 수요를 반영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대상을 설정해야 한다. <예술로 배움터>는 이용대상을 학생과 일반인으로 <예술로 꿈동산>은 유아를 포함한 이용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좋겠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개별성과 현장성을 강조하는 방향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면 문화예술교육이 활성화 될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다. 특히 공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보편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생소한 교사들에게 교수 설계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학습에 필요한 교수자료를 쉽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문화예술 교육에 필요한 디지털 콘텐츠를 더 많이 제작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사람들이 좀 더 문화예술에 관심이 갖게 되기를 바란다. 미진하나마 이 논문이 교육현장의 문화예술교육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아정체성 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를 중심으로

        고유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431

        삶에 관여하는 교육은 책 속의 지식에 의존하는 앎이 아닌 직접적인 경 험을 통해 자신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내는 데 기여하는 것을 의 미한다. 삶에 관여하는 교육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은 어떠한 역할을 할까?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 체험이 아닌 경험으로서 삶에 관여하는 문화예술교 육의 속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이하 광주청소년삶디)’라는 기관 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경험으로서 삶에 관여하 는 문화예술교육의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했다. 삶에 관여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질문을 구체 화하고자 한다. 니나 사이먼의『참여적 박물관』에 해당하는 참여적 경험 5 단계 ‘나에서 우리로(me-to-we)’를 참고하여 다음 연구 질문으로 설정하였 다. 연구 질문의 기본이 되는 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참여자는 광주청소년삶디에서의 수업을 통해 어떤 개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둘 째, 수업 참여자는 광주청소년삶디에서의 수업에서 만난 사람들(운영진, 선생님, 수업 참여자 등)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가? 셋째, 광주청소년 삶디의 물리적 공간의 특성이 수업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 다음과 같은 질문을 구체화하여 탐구한 경험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은 첫째, ‘나’에 대한 탐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둘째, ‘나’를 넘어 ‘우리’ 로서 함께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배움을 위한 유연하고도 다양 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경험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탐색하기 위해 광주청소년삶디의 속성을 탐구하였고, 아래와 같은3가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 참여자들이 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등 다양한 ‘나’에 대 한 탐구가 이루어졌을 때 이것들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나’가 하고 싶은 것 들을 계획해 나갔다. 참여자들은 ‘나’에 대한 탐구를 통해 ‘나’에 대한 이해 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나’를 표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최종 적으로 스스로 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역량’을 키울 수 있었다. 둘째, ‘나’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성’을 학습했다면, 스스로 할 수 있음을 넘어 다양한 타인들과 함께 배우는 것이 중요했다. ‘우리’로서 함 께 배우며, ‘나’와는 다른 타인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 하며 성장했다. 이러한 이해와 배려를 통해 교육 참여자들은 다원화된 사회 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과 작은 민주 사회를 경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광주청소년삶디에서의 배움은 선생님의 다양한 관심사를 통 한 정형화되지 않은 수업, 수평적 관계, 물리적 환경 등 다양한 요소 유연 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나’에 대한 탐구, ‘우리’로서 배움 등을 보조하는 역 할로 정서적·물리적 환경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선생님은 학생 관찰을 통해 학생 수준에 맞는 차등적 과제 부여 등 학생들과의 관계를 위해 끊임 없이 노력했다. 또한 모두가 둥글게 앉아 팀 활동을 할 수 있는 넓은 장소 나 ㄷ자 모양으로 구성된 책상 등의 물리적 환경은 앞선 ‘자기주도성’과 ‘우 리로서 함께 배움’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용했다. ‘사람들과의 관계’, ‘자기주도성’, 이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 조성’ 3가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자면 자아정체성 형성과 연관이 있었다. 학생들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내’ 생각을 글로 정리하고,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교류하며 온전한 ‘나’를 찾아가고 있었다. 광주청소년 삶디는 ‘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자기주도성’과 더불어 타인과 협력하며 배우는 ‘우리’로서의 경험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탐 구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잠재적 교육 과정으로서 자아정체성 교육을 의미 했다. 수업 초기 핸드폰만을 보던 학생이 다른 학생들이나 선생님과 대화하고 먼저 말을 걸어주는 학생으로 바뀌었다. 소심하고 말이 없던 학생이 팀의 리더를 자원하는 학생이 되었다. 센터 내 동아리 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함께 배우고 싶은 것을 찾아나가기도 했다. 학생들은 광주청소년삶디에서 본인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한 배움을 끊임없이 발전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역할로 자아정체성 교육을 기대해 볼 수 있었으며, 자아정체성 교육 목적 자체에 집중한 연구의 필요성, 경험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자아정체성 교육은 ‘나’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포함해 ‘나’와 ‘나’가 만나 ‘우리’로서 이해하고 존중하며 함께 할 힘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자아정체성 형성을 추구하는 문화예술교육은 온전한 ‘나’를 찾아가며 ‘우리’로서 함께 할 수 있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