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헌정보학 분야의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장수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개념이 활용되는 리터러시는 문헌정보학 및 도서관계에서는 주로 정보서비스의 한 축인 이용자 교육에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에서 원하는 정보자료를 취득하는 행위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와 같은 다양한 매체에 접근하고 필요한 정보를 직접 만들어내는 역량을 의미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등의 파생 개념을 함양하기 위한 이용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문헌정보학 현장인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인 이용자 교육의 관련 개념인 리터러시가 각종 문헌정보학 연구 분야에서 어떠한 목적을 가진 연구에서 대두되어 왔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연구에서 리터러시 관련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터러시의 개념과 문헌정보학 내 연구에서의 인식과 제시된 양상을 알아보고자 국내외 문헌정보학 분야의 리터러시 개념, 역량을 도출하거나 개선사항, 중요성을 제시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WOS와 KCI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기법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 WOS의 경우 2006년과 2014년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연구의 증가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증가세의 원인으로 각각 성인 리터러시의 중요성 증대와, 기술환경의 발달로 인한 데이터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 재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WOS에 수록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리터러시 관련 논문을 두 기간으로 나눠, 기간 별로 핵심 저자 키워드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논문의 다빈출 상위 15개 키워드의 연결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약 1/3인 5개의 키워드 만이 공통 도출 키워드였으며 다른 키워드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2013년까지 출판된 논문의 경우 인터넷. 월드와이드웹, 통신 기술 등의 인터넷 통신 관련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다빈출 키워드의 경우 이러한 인터넷 통신 관련 키워드는 디지털 리터러시로 대체되어 나타났다. KCI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와 토픽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토픽으로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공공도서관에서의 리터러시 관련 연구는 타 토픽에 비해 논문의 수가 적고, 연구의 시작이 약 2,3년 정도 늦게 진행됨을 분석하였다. KCI 또한 WOS와 유사하게 연구량이 급증한 기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2004년에 발표된 이러닝 법률과, 정보격차 실태조사가 개시되기 시작한 것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하였다. 또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연구 동향은 교육학 분야와 신문방송학 분야를 포함한 전체 리터러시 관련 연구 동향과 연구량 급증 시기, 핵심 다빈출 키워드 등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WOS를 통해 확인한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연구 동향의 경우, 국내 전체 리터러시 관련 연구의 발행 추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WOS와 KCI의 문헌정보학 분야 리티러시 관련 연구 동향이 저자 키워드, 주요 주제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에서도 정보가 급증하는 오늘날의 정보화 환경에 맞춰 정보에 대한 평가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는 능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oday, literacy, in which the concept is used in various fields, is emerging mainly in user education, which is an axis of information services, in Library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field.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acquiring information data desired by users in libraries, user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to cultivate concepts such as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which mean the ability to access various media such as digital content and directly create necessary inform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urpose of research in various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nd to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rough Library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a service provided in the library, which is an actual Library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iteracy and its perception and presented aspects in research with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his end, articles were analyzed to derive literature concepts, capabilities, improvements, and importance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echniques were complementarily used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 Articles in WOS and KCI databas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WOS, the increase in literacy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confirmed as of 2006 and 2014, and the importance of adult literacy was increased, respectively, an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data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was suggest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centrality of the top 15 keywords of the paper, which are about 1/3 of them,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key author keywords by dividing the articl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WOS into two periods. In particular, for articles published until the year 2013, Internet communication-related keywords such as the World Wide Web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uld be identified, but in the case of multiple keywords from 2014 to 2022, these Internet communication-related keywords were replaced by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literac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KCI database through keyword network and topic modeling,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three topics were derived. Among them, it was analyzed that literacy-related studies in public libraries had a smaller number of papers than other topics, and the start of the study was conducted about two to three years later. Similar to WOS, KCI was also able to confirm the period of rapid increase in research volume, which was inferred that it was related to the e-learning law announced in 2004. In addition, the literatur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differed in the overall literature-related research trends, including pedagogy and newspaper broadcasting, the timing of the surge in research volume, and key multi-frequency keywords confirmed through WOS. Over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research trends related to literac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WOS and KCI differ in author keywords and major topics.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bility to develop an evaluative eye for information in today's information environment.

      • 한국문헌정보학의 성립구조에 관한 연구

        이수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research pertain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many characteristics of the foundation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uilding upon this, the research has proceed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current development strategies. Thus, starting from the existing critical understand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e foundational backgroun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on the system of scholarship have been examined within an historical context. Furthermo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s social science has been interpreted, and a realistic, practical strategy for reform has been examin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first stage of its beginnings as an academic fiel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has been distorted in form. Before the era of academic scholarship, most of the library education was oriented towards the fostering of librarians in the library environment through on-site management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ost of the education came through a variety of Japanese dominated training courses, and, after independence,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Korea's library community was able to independently establish the Chosun National Library School to train librarians. In addition, the National Library and the Korea Library Association were able to sponsor various training courses. Howeve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modern scholarship could be said to have begun after the Korean War with its establishment as part of the liberal arts program at Ewha Women's University, as well as its foundation as part of both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t Yonsei University with the sponsorship of the education delegation linked to the U.S. education assistance package. Significantly, At Yonsei University,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led alternately for five years by American professors, and, thanks to education assistance, many people were also able to go to the U.S. to learn. Discipline in this fiel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y and method transplanted from the U.S. and that structural trend continued thereafter. However, these structural problems are not exclusive to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ut are ubiquitous in all of the social sciences in Korea. Generally speaking, in Korea most of the areas of scholarship in the social sciences were introduced and established here at similar times and through similar processes, and it is the current reality that scholarship in these fields are not yet rid of the influence of foreign scholarship. With the gene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eing as such, scholarship in this field has tended towards foreign dependency rather than walking the path of independent growth. A few pioneers have advocated independent scholarship and resistance to the mainstream American Paradigm, but they seem to have fallen short of achieving concrete practicability. In general, the way has been to select thos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subordinated to foreign research Paradigms. Due to this tendenc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could not help but accumulate tangential research and a problem consciousness far removed from the situation in Korea. In other words, instead of being in an independent position, the scholarship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has been unable to escape from the its Westernized, Foreign-oriented attitude. Secondly, an examination with respect to its connection with the discussion of the system of scholarship reveals tha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has gone through three distinct stages. The first stage spans the period from the late 50s to the 1960s during which there was an attempt to establish a relatively independent system of scholarship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lthough it was still heavily reliant on scholarship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first period is, firstly, that ther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n awareness of a need to escape the attitude of foreign-orientation and to develop our own scholarship. Secondly, an effort was made to constitute the scholarship as a science (social science). Thirdly, there began a faint effort to import and apply Information Science. The second stage covers the period between the 70s and the 80s, and saw the induction of Information Science begin in earnest and become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research. The period was also marked by exploration of an alternative term to "Library Science", which was at the time being used. In addition, the period was a time of confusion for the examination of scholarship due to the induction of the new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to what had already been a fragile structure of scholarship. This phenomenon served to intensify the doubts which had surfaced about the existing term of Library Science, and ultimately played a large role in the appearance of the new ter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course, there were a number of reasons which had made the change of term difficult, but it can be seen that the term change began in earnest after the change was adopted in the names of the university departments associated with the field in the late 80s. The third stage covers the period after the beginning of the 90s. This stage saw the prominence of criticism and self-examination of the existing distorted foundation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at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a new methodology or research paradigms were advocated. It was a presentation of a new way of achieving a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order to understand and overcome not only the problems within the Korean libraries, but also with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is caused repercussions to be felt not only among academics, but also among those actually working within the library systems. It moved academics toward a more practical scholarship, it inspired the prominence of a new scholarly methodology called a reform in academic writing, and and even influenced specific research activities. Thirdly, the basic characteristic of explanations into the scholarship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has been nothing short of ambiguous, often in the name of multidisciplinary. Due to the influence of a technical field such as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represented by Information Technolog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even defined as technological in nature or part of the applied sciences. From the outse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a field of scholarship began as part of the social sciences (or applied social sciences) in the 1930s, and up to the 1960s and 70s it was developed within that context. However, due to the practicality and technology emphasized by a functionals, the social science characteristics deteriorated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ical aspect became more accentuated. Ultimatel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not able to understand its main research subject of libraries and associated apparatuses as a form of social knowledge systems, and could not help but neglect to induct and apply theory and philosophy from the social sciences. This aspect lasted for some time until the 1980s, but, as a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movement for "social scientific practicality", began to be explored, the social scientific aspect of our scholarship was restored. However, rather than an explanation of its social scientific aspect based upon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it was merely presented as something self-explanatory, and it became a situation where questions such as what the specific research parameters should be were not fully addressed. Thus, what has, consciously or not, been a dilemma concern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s a true science was analyzed. Furthermore, after an examination of social epistemology and sociology of knowledge, which are important epistemological foundations necessary for the strengthening of social scientific aspec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new research parameter called sociology of library was presented. Fourthly, up to now,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has neglected to properly deal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both inside and out, and has made serious tactical errors in responding to the threat in a desensitized manner. In the end, the state of fragility in the foundational structure of our scholarship cannot help but become further fixed due to such tactical errors, and there is a serious threat to the very existenc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s scholarship. Therefore, as a way to overcome this aspect, the necessity becomes obvious for exploration into a strategy, which can flexibly cope with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s a practical strategy for reform. This is what we have needed as our core strategy for overcoming the colonization in our scholarship which has been exposed from our unconscious minds. Thus, to this end, two core strategies have been offered. First of all, as a strategy for self-reliant academic research, researchers must boldly move away from the existing mode of writing research papers and adopt a freer, easier mode which can better explain and describe the everyday life of the libraries and the associated apparatuses. In addition, the idea of translation of foreign books on the topic was presented as an aid to the development of the backward state of libraries. If the first strategy focuses on the individual researchers themselves, then the second is a collective strategy for researchers for the development of scholarship activity. Here,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the librarians must work together to strengthen our academic foundation, and allow the particip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a fullfledged member of the social sciences in Korea.

      •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변제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주제전문사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12가지 항목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 중, 경험, 참고업무, 교육능력, 참고업무 관련 기술, 업무능력, 인성Ⅱ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인식이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2가지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상세요인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 각각의 집단 내 인식에 관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경험, 학력 등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 대한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일부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최종학력과 사서자격증 등급이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관련 수강 과목 수와 주제전문사서직 종사 희망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및 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인이 어떠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재확인하였다. 산출된 요인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바탕으로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제전문사서 관련 분야에서 주요한 핵심 집단인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집단별 후속 연구 진행이 가능할 것이며, 주제전문사서의 전문화 촉진 및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degree of both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require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to confirm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y implemen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ystem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rating items of importance regard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Through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of survey questions, 12 types of items were derived as element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Of these, experience, reference work, training skill, reference work skill, task ability, personality Ⅱ item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and the former group's perception appeared more highly. Additionally,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group's perception regarding the 12 item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 influence of two groups' experiences and their academic careers on perception degree about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was investigated. In some entries, the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with a higher educational degree and a higher librarian license grade,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lso, the library science students with a higher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a greater desire to work as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In this study, through the discuss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configured items were derived, and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concepts that defin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were re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ing data for proposing elements that are important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Also, central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correlated fields, the two groups' perception degrees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nd perception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From henceforth, a follow-up study founded on this research that targets each group will be possible and can also be used as data for promo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pecialization and developing subject specialist training courses.

      •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에 관한 연구

        유영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색인어가 특정 주제 영역의 지식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에서는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등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이 배정한 색인어를 클러스터링하여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과정에서, 색인어간의 연관도 및 동시 출현 빈도를 이용하여 색인어 군집을 생성하였고, 초출색인어와 시기 구분에 의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발전 과정과 그 동향을 밝혔다. 또한 색인어 군집에 의해 도출된 지식 구조와 기존의 전통적인 분류체계의 지식 구조를 비교하여 두 지식 구조간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관리학회지 색인어 군집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정보검색' 군집이 '인터넷' 군집으로 통합되어 '인터넷' 군집이 정보관리학회지의 핵심 개념으로 부상하였고, '대학도서관' 군집만이 최상위 군집에 선정되어 정보관리학회지의 연구 대상이 주로 대학도서관에 편중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색인어 군집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대학도서관' 군집과 '공공도서관' 군집의 출현빈도가 다른 색인어 군집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고, 특정 주제 영역의 색인어 군집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주제 영역의 색인어 군집이 생성되었다. 셋째,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색인어 군집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AACR' 군집과 'OPAC' 군집이 최상위 군집에 포함되어 목록 영역이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핵심 주제임을 확인시켜 주었고, '참고봉사' 군집은 세 학회지에서 유일하게 여기에서만 최상위 군집에 포함되었다. 넷째, 세 학회지를 통합하여 살펴본 색인어 군집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전체 40군집에서 목록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조직 영역 군집의 수가 가장 많았고, 정보 검색 영역, 인터넷과 관련된 영역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코사인계수를 사용한 결과를 피어슨 상관 계수를 사용한 결과와 비교해 보았는데,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지만 유사한 군집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초출색인어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인터넷', '디지털도서관', '웹', '전자도서관' 등의 초출색인어가 등장한 1995년부터 문헌정보학 발전과정의 분기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색인어에 의해 문헌정보학 영역의 지식 구조를 설명하는 방법은, 색인어의 계층관계를 완벽하게 구조화하지는 못했으며, 전통적인 분류체계에 의한 지식 구조도 단지 도서관의 자료를 분류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지식 구조를 표현함에 있어 색인어 군집과 기존의 분류체계가 갖는 한계를 뛰어 넘어, 문헌정보학의 핵심영역인 정보 검색 영역과 정보 조직 영역의 지식을 구조화하고, 향후 문헌정보학의 역동적인 학문적 발전 과정에서 도출되는 용어들을 수용해서 지식을 표현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헌정보학 관련 주요 학회지 색인어 군집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를 밝혀냈다. 그러나 실무와 보다 깊은 관련성을 갖는 전문지를 좀 더 포함하고, 엄격한 어휘통제를 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pon the premise that index terms displa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pecific subject fiel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grasp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clustering the index terms of the journals of the related academic societies at the Library of National Assembly -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rough the course of the study, index term cluster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linkage of the index terms and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and moreover, time periods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studies on first-appearing terms, in order to clarify the tre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also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intellectual structure by comparing the structure generated by index term clusters with the existing structure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dex term cluster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showed that "Information Retrieval" cluster was integrated into the "Internet" cluster, for which the "Internet" cluster became a core concept within the Journal, and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College Library" cluster was placed on top, which means that the Journal's main studies were inclined towards college libraries.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dex term cluster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howed that the "College Library" and "Public Library" clusters were exceptionally more frequent than other clusters, and the index term clusters were not concentrated into a specific one, rather, they were well distributed into various subject fields.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dex term cluster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wed that the "AACR" and the "OPAC" clusters were included in the top cluster, revealing that the two were the core themes of the journal, and this journal was the only one to have the "Reference Service" cluster included in the top cluster among the three.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dex term clusters of three journals, the most frequent one of the total 40 clusters was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and next came the information retrieval field, and Internet-related field.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Cosine Coefficient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y displayed similar cluster results, despite some differences that were diminutive. Fifth, according the results of the time periods analysis method using the first-appearing index terms, the terms such as "Internet," "Digital Library," "Web," "Electronic Library," showed up for the first time in 1995, the year which could be marked as a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ixth, the attempt to elucidat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rough index term clustering method was not completely successful in fully structuring the level relationship of the terms within the same cluster. The classific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were only to classify the materials within the libraries. Accordingly, attemp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thus reveal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s, which are the core field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 that the discipline may encompass various new terms that were generated in its process of dynamic progression. As seen i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clarifie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jor journals related to the study. However, further research would be necessary incorporating journals of higher practicality, with more professional contents, and with stricter control of the terms, for a more specific elucidation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과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오세훈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광복이후 최근 60년간 발표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의 주제 및 간행시기별 분포를 탐구하고, 여기에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의 주제 및 인용시기별 분포와 그 반감기를 탐구함과 동시에 타 학문 분야와의 관련성을 추적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연구의 동향 및 문헌정보학과 타 학문 분야와의 연계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기간은 1946-2004년까지이며, 조사 대상 문헌은 3개 전문기관지 및 3개의 학술지 논문 2,571편과 이곳에 인용된 문헌 30,418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조사 대상 문헌과 피인용 외국 문헌정보학의 문헌의 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의 주제 영역을 설정하였다. 셋째, 조사 대상 문헌의 주제 및 간행시기와 이곳에 인용된 문헌을 주제 및 인용시기, 주제 및 문헌의 연령을 각각 조사, 분석하였고, 주제와 간행시기 및 인용시기, 주제와 문헌의 연령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가설 Ⅰ.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의 주제는 간행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에 인용된 문헌의 주제는 인용시기 및 문헌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1.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에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의 주제는 인용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2.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에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의 주제는 문헌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3.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에 인용된 타 학문 분야 문헌의 주제는 인용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4.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에 인용된 타 학문 분야 문헌의 주제는 문헌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연구의 핵심 주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된 연구 주제가 출현하고 쇠퇴하며, 논문의 주제와 간행시기 사이에 상관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피인용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의 주제는 인용시기 간에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반감기는 평균 10년 미만이지만 주제에 따라 그 반감기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셋째, 피인용 타 학문 분야 문헌의 주제는 인용시기 사이에 상관성이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반감기는 평균 10년 미만이지만 주제에 따라 그 반감기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 동시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연구 동향 분석

        이은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s a field-oriented study that has evolved based on the library, and a wide spectrum of studies are conducted according to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status and structure of the LIS and to predict the trends of study in LIS. Fo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papers which are listed in the four major journals from 2008 to 2018 and their references were extracted. For implementing a meaningful co-citation network,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uthors of papers and references whose h-index is 8 or higher. Author co-citation and document co-citation coupling is created with the extracted and was networked through Netminer 4.3. The core authors and papers of each network were identified by performing a degree-centrality analysis of networks that had been formed. For examining the changes in research trends over time, the study was done by setting sections which are section 1(2008-2012) and section 2(2013-2018). First, it was confirmed that five authors of the top 10 of the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are commonly distributed in the co-citation network of 86 authors covering the entire section from 2008 to 2018.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specific author leads the study of LIS as the center of the study, and the author I, with the highest In-Degree centrality, is the center of the co-citation network. In section 1, the In-Degree centrality of author A appears to be the highest in the author co-citation network. Five authors are in the top 10 in both In-Degree centrality and Out-Degree centrality and they have a common thread of conducting various studies that are not limited to specific subject areas. In section 2, five authors appear in the top 10 list of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Three people conduct research in the specific subject which is information science and Bibliometrics, and two people conduct research in various subject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LIS had been lightened from section 1 to section 2. And the study related to information science and Bibliometrics, which had become the major research area of LIS became the center of co-citation relationships. Second, four global and local networks that depend on the subject area were formed in a co-citation network of 148 papers and its references covering the entire section from 2008 to 2018. In the document co-citation network of section 1, the cluster was formed according to five subject areas. Listing them in order of size, they appear in the order of service quality assessment and multi-cultural service, LIS curriculum/studies and trend researches related to Bibliometrics, Information Commons, LCSH, archive system. In the document co-citation network of section 2, the cluster was formed according to three subject areas. Listing them in order of size, they appear in the order of studies and trend researches related to Bibliometrics, Information Commons, multi-cultural service. It is confirmed that the size and density of the cluster of studies and trend researches related to Bibliometrics are overwhelmingly large and high. As the analysis of the author co-citation network and document co-citation network, the research of Bibliometrics and citation of trend researches were increasing over time. Following these,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LIS were being lightene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an up-to-date study to identify the trends of the study of LIS using both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However, there are two limits. One is the lack of representation based on being conducted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in the studies of LIS. And the other is the weight was not taken while presenting the results of co-citation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the study should be expanded and giving weights on citation analysis in the following studies. 문헌정보학은 도서관을 기반으로 발전해온 현장중심의 학문으로 변화하는 정보환경에 따라 넓은 스펙트럼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동향 연구를 통해 문헌정보학 학문적 위상과 구조를 파악하고 학문의 발전방향을 예측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에 등재된 문헌과 각 문헌의 참고문헌을 추출하였다. 유의미한 동시인용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h-index 8 이상인 저자의 문헌과 참고문헌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추출된 문헌과 각 문헌의 참고문헌을 대상으로 저자 동시인용 및 문헌 동시인용 쌍을 생성하고 이를 Netminer4.3을 통해 네트워크화 하였다. 더불어 연결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여 각 네트워크의 핵심 저자와 문헌을 파악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 동향의 변화를 살피기 위해 1구간(2008년-2012년), 2구간(2013년-2018년)으로 구간을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구간을 대상으로 한 저자 86명의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 상위 10위 저자 중 5명이 공통적으로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특정 저자가 연구의 중심이 되어 문헌정보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고 특히 내향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저자I가 동시인용 네트워크의 중심임을 파악하였다. 1구간(2008년-2012년)의 저자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 저자A의 내향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또한 5명의 저자가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 모두 상위 10위 내에 위치하며 이들은 특정 주제 분야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2구간(2013년-2018년)의 저자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 상위 10위 내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저자는 5명이며 이들은 정보학, 계량서지학이라는 특정 주제를 주된 연구 분야로 삼는 3명과 다양한 주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2명으로 구분된다. 1구간에서 2구간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헌정보학의 학제적 성격이 다소 옅어졌고 계량서지학, 정보학 관련 연구가 동시인용 관계의 중심이 된 것을 보아 문헌정보학의 주된 연구 분야로 거듭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구간을 대상으로 한 문헌 148건과 해당 문헌의 참고문헌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 연구 주제 분야에 따라 4개의 전역, 지역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1구간(2008년-2012년)의 문헌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는 크게 5개의 주제 분야에 따라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이를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서비스 품질 평가 및 다문화 서비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및 계량정보학 관련 연구 및 동향 연구, Information Commons, LCSH, 기록관리 순으로 나타난다. 2구간(2013년-2018년)의 문헌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는 크게 3개의 주제 분야에 따라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이를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계량정보학 관련 연구 및 동향 연구, Information Commons, 다문화 서비스 순이며 계량정보학 관련 연구 및 동향 연구 클러스터의 크기가 압도적으로 크고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빅데이터’를 저자키워드로 한 문헌정보학의 연구 업적을 파악한 결과 2구간(2013년-2018년)에 해당하는 시기에 빅데이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다. 따라서 해당 분야의 선행 연구가 적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계량정보학 관련 특정 문헌, 특정 저자의 인용이 많이 발생하는 현상이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 동시인용 분석과 저자 동시인용 분석을 동시에 활용하여 인용을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동향을 확인한 최신의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특정 기간의 문헌정보학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고 동시인용 분석 결과를 네트워크로 나타낼 때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이 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고 인용분석 시 가중치를 부여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half of a century has passed si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was introduced in Korea. LIS has developed and rapidly expanded its area of research with a rapid increase of information, media diversit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1990s and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LIS in the 1990s and 2000s using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ABCA) and an alternative approach, word-author co-occurrences analysis (WACA). ABCA is good for representing research fronts and identifying rising authors in a field. The WACA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citation information and textual information. Key words in titles were used as indicators of content for a research topic and cited authors were used as indicators for bibliographic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wo periods, 1991-2000 and 2001-2010, using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with regard to LI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 contribution weight based on the number of papers in the 1990s and the 2000s was used for selecting core authors. Seventy authors with the contribution weight of 4.33 or higher were selected in the 1990s and seventy authors with the contribution weight of 9.66 or higher were selected in the 2000s. An authors’ profile matrix, cosine similarity matrix,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and an author matrix with the ABCA method were constructed for each period using the cited authors, and an authors’ profile matrix, cosine similarity matrix,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and an author matrix with the WACA method were constructed for each period using both cited authors and title key words.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core subject areas and to map authors in two-dimensional space, and author clusters were indicated on a MDS map. Next, Pathfinder network (PFnet) was used to visualize intellectual interchanges among authors and parallel nearest neighbor clustering (PNNC) was used to examine subject clusters in PFnet. Centrality analysis in weighted networks was used to reveal the top subject areas for global centrality. The results of the 1990s and the 2000s intellectual structures in the field of LIS using ABCA and WACA were as follows. First, 17 sub-disciplinary areas were found in the 1990s cluster analysis. These sub-disciplinary areas were ‘library management/policy’, ‘classification’, ‘catalog’, ‘information retriev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material/media’, ‘automatic classification/automatic index/automatic abstract’, ‘school library’, ‘information distribution/authorship’, ‘user study’, ‘index/abstract/thesaurus’, ‘informetrics’, ‘bibliography’, ‘LIS general’, ‘information system/database’, and ‘information education’. The core sub-disciplinary areas in 1990s were ‘information retrieval’, ‘classification’, ‘catalog’, ‘library management/policy’.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information retrieval’, ‘classification’, ‘catalog’, ‘digital library’ were top subject areas for global centrality and played the role of bridge that interconnected sub-disciplinary areas. Also, the result of the 1990s MDS analysis showed authors were divided into two major research field, library science and information science. Second, 21 sub-disciplinary areas in the 2000s cluster analysis were found. These sub-disciplinary areas were ‘library management/policy’, ‘information service’, ‘LIS general’, ‘classification’, ‘catalog’,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material/media’, ‘automatic classification/automatic index/automatic abstract’, ‘digital library’, ‘school library’, ‘information distribution/authorship’, ‘user study’, ‘index/abstract/thesaurus’, ‘informetrics’, ‘bibliography’, ‘information system/database’, ‘information education’, ‘metadata’, ‘record management/preservation’,‘open access’, ‘ontology’, and ‘web/internet’. The core sub-disciplinary areas in 2000s were ‘library management/policy’, ‘information service’, ‘LIS gener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library management/policy’, ‘information service’, ‘LIS general’ were top subject areas for global centrality and ‘information material/media’, ‘information system/database’ played the role of bridge that interconnected sub-disciplinary areas. Third,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he 1990s and 2000s intellectual structures showed that new sub-disciplinary areas in the 2000s were identified by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LIS after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Emerging sub-disciplinary areas were ‘metadata’, ‘ontology’, ‘record management/preservation’, ‘open access’, and ‘web/internet’. And among the 2000s sub-disciplinary areas, ‘information service’, ‘informetrics’,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education’ expanded and ‘information retrieval’, ‘index/abstract/thesaurus’, ‘classification’ and ‘catalog’ decreased, compared with the 1990s sub-disciplinary areas. Meanwhile, ‘library management/polic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med a large part of the LIS field for 20 years. The core sub-disciplinary areas and the sub-disciplinary areas that played the role of bridge were changed over the course of time. In 1990s, ‘information retrieval’, ‘classification’, ‘catalog’, ‘library management/policy’ were core sub-disciplinary areas and ‘classification’, ‘catalog’, ‘digital library’ played the role of bridge. However, in 2000s, ‘library management/policy’, ‘information service’, ‘LIS general’ were core sub-disciplinary areas and ‘information material/media’, ‘information system/database’ played the role of bridge. Finally,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he ABCA and WACA techniques showed that the WACA technique was more effective in reflecting subject relationships among authors than the ABCA technique because key words were expected to identify a research topic in better way. Thus, WACA showed more specific research areas and detected any change in research trends promptly. Especially when citation data were insufficient, because of an emerging research field, the WACA method was expected to identify intellectual structure more effectively than the ABCA method.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revealed current research trends, major subject specializations, core autho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in the specialties using the two methods over 20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LIS researchers. Additionall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BCA and WACA methods could reflect current research trends, sub-disciplines, and key authors effectively. Thus, ABCA and WACA will be useful methods for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other fields. 한국에 문헌정보학이 정착한 지 반세기가 지났다. 문헌정보학은 1990년대 정보량의 급증, 매체의 다양성, 정보기술의 발달 등으로 성장을 거듭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연구영역의 확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변화 및 발전하고 있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저자서지결합분석과 이를 응용한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을 이용하였다. 저자서지결합분석은 기존의 저자동시인용분석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으로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 기법이다. 그리고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은 인용정보와 단어정보를 병합하여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연구동향에 발맞추어 저자 간의 서지적 관계뿐만 아니라 주제적 연관성도 분석한 새로운 기법이다. 분석 대상은 국내에서 발행되는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중에서 문헌정보학의 주제 영역을 망라적으로 다루고 있는 학술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4종이며, 1991년∼2000년, 2001년∼2010년 두 시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저자 선정은 복수저자를 고려하여 논문게재빈도에 기반한 논문 가중치를 이용하였는데, 1990년대는 논문 가중치 4.33 이상인 저자 70명을 선정하였고 2000년대는 논문 가중치 9.66 이상인 저자 70명을 선정하였다. 저자서지결합분석은 선정된 저자들이 발표한 논문의 인용정보를 이용해 저자 프로파일 벡터를 산출한 후 코사인 유사도와 피어슨 상관계수를 적용하여 저자 행렬을 작성하였고,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은 인용정보와 논문에 출현한 핵심 단어 정보를 이용해 저자 프로파일 벡터를 산출한 후 코사인 유사도와 피어슨 상관계수를 적용하여 저자 행렬을 작성하였다. 저자서지결합분석과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을 위해 군집분석, 다차원척도법, 네트워크 분석, 병렬 최근접 이웃 클러스터링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주제 군집을 2차원 상에 표시하여 저자들의 주제 영역을 확인하였고,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네트워크 중심성 척도, 병렬 최근접 이웃 클러스터링을 이용해 저자들을 네트워크로 표현하여 주제 영역 간 관계 및 전역 중심성이 높은 주제 영역을 확인하였다. 저자서지결합분석과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을 통해 확인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1990년대 지적구조, 2000년대 지적구조,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부 영역의 흐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한국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분석한 결과, 총 17개의 세부 영역인 ‘도서관경영/정책’, ‘분류’, ‘목록’, ‘정보검색’,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정보자료/미디어’, ‘자동분류/자동색인/자동요약’, ‘학교도서관’, ‘정보유통/저작권’, ‘이용자연구’, ‘색인/초록/시소러스’, ‘계량정보’, ‘서지학’, ‘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문헌정보학 일반’, ‘정보교육’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군집별 저자 수 및 저자지도에서의 주제 영역을 확인한 결과 17개 주제 영역 중 ‘정보검색’, ‘분류’, ‘목록’, ‘도서관경영/정책’ 영역이 가장 활발하게 연구된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정보검색’, ‘분류’, ‘목록’, ‘디지털도서관’ 영역이 문헌정보학 전반의 다른 주제 영역과 연계된 주제 분야인 동시에 가교 역할을 하는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차원척도법으로 나타난 저자지도를 통해 1990년대의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는 크게 도서관학 분야의 연구와 정보학 분야의 연구로 양분되어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00년대 한국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분석한 결과, 총 21개의 세부 영역인 ‘도서관경영/정책’, ‘정보서비스’, ‘문헌정보학 일반’, ‘분류’, ‘목록’, ‘정보검색’, ‘디지털도서관’, ‘정보자료/미디어’, ‘계량정보’, ‘자동분류/자동색인/자동요약’, ‘학교도서관’, ‘정보유통/저작권’, ‘이용자연구’, ‘서지학’, ‘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정보교육’, ‘메타데이터’, ‘기록관리/보존’, ‘오픈액세스’, ‘온톨로지’, ‘웹/인터넷’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군집별 저자 수 및 저자지도에서의 주제 영역을 확인한 결과 21개 주제 영역 중 ‘도서관경영/정책’, ‘정보서비스’, ‘문헌정보학 일반’ 영역이 2000년대 가장 활발하게 연구된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도서관경영/정책’, ‘정보서비스’, ‘문헌정보학 일반’ 영역이 2000년대에 문헌정보학 분야 전반에 걸쳐 다른 주제 영역들과 폭넓게 연계된 주제 영역이고, ‘정보자료/미디어’와 ‘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영역이 세부 영역 간 가교 역할을 하는 비중 있는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1990년대 지적구조와 2000년대 지적구조를 비교한 결과 문헌정보학 주제 영역의 세분화 및 전문화 현상이 확인되었다. 주제 영역이 세분화 및 전문화되면서 1990년대에 확인되지 않았던 주제 영역인 ‘메타데이터’, ‘온톨로지’, ‘기록관리/보존’, ‘오픈액세스’, ‘웹/인터넷’ 영역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그리고 1990년대와 비교하여 2000년대 주제 영역의 확대 및 축소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주제 영역이 확대된 연구분야는 ‘정보서비스’, ‘계량정보’,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이며, 주제 영역이 축소된 연구분야는 ‘정보검색’, ‘색인/초록/시소러스’ 영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류’, ‘목록’ 영역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전통적으로 연구되어 오던 ‘분류’, ‘목록’ 외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 등으로 세분화 되면서 ‘분류’, ‘목록’ 군집의 크기가 1990년대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서관경영/정책’ 및 ‘정보서비스’ 영역은 최근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20년간 활발히 연구되는 핵심 주제 영역 및 가교 역할을 하는 주제 영역이 변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1990년대에는 17개 세부 영역 중 ‘분류’, ‘목록’, ‘정보검색’, ‘도서관경영/정책’ 영역이 핵심적인 주제 영역이고, ‘분류’, ‘목록’, ‘정보검색’, ‘디지털도서관’ 영역이 네트워크에서 허브의 위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00년대에는 21개 세부 영역 중 ‘도서관경영/정책’, ‘정보서비스’, ‘문헌정보학 일반’ 영역이 핵심적인 주제 영역이고, ‘정보자료/미디어’, ‘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영역이 네트워크에서 허브의 위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과 기존의 저자서지결합분석을 비교한 결과,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이 핵심 단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저자서지결합분석보다 저자 간의 주제 관계를 보다 명확히 분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주제 영역의 등장 및 성장과 같은 변화를 기민하게 파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최근에 출현한 학문 분야로 인용정보가 부족하거나 학문의 성격 상 인용이 적은 분야를 대상으로 지적구조를 분석할 때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이 저자서지결합분석보다 저자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저자서지결합분석과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을 기반으로1990년대와 2000년대 문헌정보학 분야의 세부 주제 영역 및 주제 영역 간 관계를 밝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적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인용정보와 단어정보를 병합하는 분석 기법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앞으로 주제-저자서지결합분석은 새로운 기법으로 국내의 다른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를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 연구

        김성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에서 이루어진 이론개발과 이론활용 연구를 조사하여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분석하고 연구배경, 연구내용, 연구자 등의 상황요인과의 상호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본질을 이론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03년 상반기까지 발간된 국내외 4종의 문헌정보학 분야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1,661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리통계와 계량정보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문헌정보학 이론연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헌정보학의 이론 개발량은 전체의 21.8%이었고 이론의 효율성은 1.94이었다. 연구주제에 따른 이론개발 수준은 1.67부터 3.60까지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세부주제영역에서 일반과 계량정보 영역의 효율성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학회지, 국가,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자의 소속, 전공, 연구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음으로써 문헌정보학의 전반적인 이론개발 수준이 2단계의 방향성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문헌정보학의 이론활용 논문은 25.9%이었고 이론의 활용성은 2.39이었지만 이론활용 수준은 학회지, 발행국,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자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국에서 발행된 JASIST와 LISR의 활용도가 한국의 두 학회지보다 1.2배 정도 높았고, 세부주제 중 일반 영역의 활용성이 가장 낮은 영역에 비해 3.6배 높았다. 연구방법에서는 평가연구가 3.31로 가장 높았고 내용분석이 1.21로 가장 낮았으며, 연구자 전공에 따라서는 문헌정보학 연구자의 활용성이 타 분야 연구자보다 낮았다. 셋째, 문헌정보학 연구에서 활용된 185개의 이론 중 사회과학 근원의 이론이 45.4%로 가장 많았고 문헌정보학 이론이 29.7%, 공학 이론이 10.3%, 자연과학 이론이 8.1%로 분포하였다. 이론근원에 따른 활용성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문헌정보학 연구가 사회과학에 상당한 근거를 두고 형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론 활용성은 활용주기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론개발 후 10년에서 15년이 지난 이론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활용되며 이보다 오래된 이론일수록 낮은 수준으로 활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연구의 세부적 속성과 이론의 근원 속성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학회지와 세부주제영역별로 활용된 이론의 근원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정보학 영역이 강조된 두 학회지는 공학 분야의 이론, 전통적인 도서관학 영역이 강조된 다른 두 학회지는 사회과학 이론을 많이 활용하였다. 세부주제영역에 따라서는 전문직, 도서관경영, 정보제공서비스가 사회과학 이론을 기반으로 발전하였고, 정보검색, 네트워크, 시스템은 공학 분야, 정보이용/탐색, 분류/목록, 교육 등은 문헌정보학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이론연구의 종합적인 고찰을 토대로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타 학문과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이론의 개발과 활용을 모두 고려한 20년간의 이론 연구량은 전체 논문의 41.4%로, 문헌정보학 연구와 이론과의 미약한 관계를 지적한 과거의 자체분석 평가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과학적 학문으로서의 독자성을 갖추기 위해 문헌정보학 연구의 고유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하고자 한 노력의 결실로 해석할 수 있다. 이론연구는 정보이용/탐색, 정보검색, 도서관경영,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주제영역과 조사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기반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연구직과 실무직 간의 뚜렷한 구분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헌정보학 소속보다 타 분야 소속 연구자들의 이론연구 활동이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헌정보학의 고유이론은 총 55개로 전체 이론활용의 394회를 차지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이론연구의 성장에 44%정도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에서 정보학을 근원으로 하는 이론의 역할이 가장 컸으며 도서관학 근원의 이론 역할은 다소 미흡하였다. 특히, 정보학 이론은 정보이용/탐색, 정보검색, 색인/초록, 시스템, 인터넷 영역의 주된 개념체계였으며, 계량정보 이론은 계량정보학과 학술커뮤니케이션 영역, 도서관학 이론은 교육과 분류/목록 영역의 이론적 기반을 형성하였다. 문헌정보학 고유이론은 개발된 지 5년에서 20년이 지난 이론이 2.5단계의 안정된 수준으로 가장 많이 활용됨으로써 문헌정보학 연구에서 핵심적 기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개발 후 40년부터 활용빈도의 감소와 함께 활용성이 아주 높아지거나 아주 낮아지는 큰 변동폭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40년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고유이론의 가치가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문헌정보학 연구에서 타 분야 이론의 활용은 56%로, 이 중 27.3%는 사회과학이, 22.6%는 공학을 포함한 자연과학이 차지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이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분야에 상당한 근거를 두고 발전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시스템 중심의 연구가 행해지던 1980년대에는 자연과학과의 연관성이 강했던 반면, 이용자 중심의 연구가 행해지던 1990년대에는 사회과학과의 결합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학문의 근원을 세분한 경우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컴퓨터공학이,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경영학, 심리학, 커뮤니케이션학이 문헌정보학과 관련성이 높은 학문분야임이 밝혀졌다. 넷째, 동시이론활용 분석 결과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기반은 정보이용, 정보탐색, 교육, 상호작용, 정보검색/색인, 학술커뮤니케이션, 계량정보의 7개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이용자 중심의 정보학, 시스템 중심의 정보학, 계량정보학으로 구분되는 세 군집은 지도상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으로써 독자적 영역이 결합된 학제적 학문임을 보여주었다. 정보학과 계량정보학은 뚜렷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한 반면 도서관학 영역의 이론체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저자들은 세 영역에 골고루 분포된 반면 미국 학회지의 저자들은 계량정보학과 이용자 중심의 정보학에 위치함으로써 이용자 패러다임이 보다 강하게 자리매김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헌정보학은 지난 20년 동안 41.4%의 이론연구를 통해 고유한 이론체계를 형성하고 타 학문과의 이론 공유를 통해, 과학적 학문으로서의 독자성을 갖추고 학문의 학제적 특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고유이론에 대한 활용보다 타 분야 이론에 대한 의존이 아직까지 다소 높은 편이었지만, 한국과 미국 모두 고유이론에 대한 활용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였다. 또한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의 이론연구 활동이 양적·질적 측면에서 보다 활성화되고, 공식적 이론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갖는 이론개발 연구논문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과 활용이 이루어진다면 문헌정보학의 이론체계는 보다 확장되고 안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국내 문헌정보학의 발전을 위해서 국내에서 개발된 연구결과에 대한 연구자들 간의 건설적인 상호 비평과 지식 공유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고유이론체계의 형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의 개발을 위해서 활발한 연구활동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research articl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theory development and theory use, and to investigate which contextual modu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heory articles. This study may enable to interpret LIS' identity in a scientific disciplinary world and to illuminate inter-relationship among other disciplines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and applied an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661 scholarly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wo Korean and two American core journals in LIS during the period 1984-2003. Each article is coded in terms of subject and methodology of the article, and affiliation, department, and research experience of the first author. Also, the theories used therein are coded according to an origin, and a term of theory use. Theory articles are coded with two scales, such as '4 degrees of theory efficiency' and '5 degrees of theory use.' Several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S research and theory were tested. Findings of the content analysis of LIS theoretical framework are as follows. First, 21.8% of the articl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of which the efficiency degree was 1.94 out of four points. This figure indicates that theories built by scholars explain directional relationships among LIS phenomena. Nearly nine hundreds incidents of theory use were identified in 25.9% of the articles and the degree of theory use was 2.39 out of five points. It represents LIS research has usually mentioned theories about one paragraph in a part of the literature review. Total volume that developed and/or incorporated theories was 687 of the 1,661 articles (41.4%). This was higher than earlier reported results that pointed out the weak relationship between LIS research and theory. Second, LIS theory articles concentrated on a few subfields such as human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retrieval, library management, scholarl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applied such a methodology as survey, experiment, and literature research. The expected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that researchers were more likely to theoretically ground their articles than practitioners. LIS researchers showed less theory articles and lower level of theoretical research than those of other fields. Third, 55 theories from LIS contributed to 44% of its theoretical growth. Thirty-four ones of the theories were drawn from information science (238 incidents of theory use), 13 from library science (68 incidents), and 8 from bibliometrics (88 incidents). IS theories were especially used as a main framework for HIB, IR, indexing/abstracting, information system, and Internet, bibliometric theories were for bibliometrics and scholarly communication, and LS theories were for library education and classification/cataloging. Another noticeable finding was that 5- to 20-year old theories were heavily used and the 40-year was a life cycle of LIS theories. The older theories were, the less they were used. Only a few classic theories were frequently incorporated in LIS research after they are 40 years old. Fourth, LIS theory articles had strongly related with the social science and the science. Eighty-four theories were originated from the social science (45.5% of 185 theories identified) and 34 theories (18.4%) were from the science. About twenty eight percent of 897 theory incidents were from the social science and 22.6% of the theory incidents were from the science. Two journals focusing on the traditional library science were more dependent upon the social science but the others concentrating on the information science were more on the science. Articles on such a topic as professionals, library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were more based on the social science but IR, network, and information system were more on the science. The interrelationship has changed with the paradigm shift from a system-oriented to a user-oriented direction. The science was nearer to LIS at the 1980's but the connectivity between LIS and the social science became much stronger at the 1990's. Computer science in the science and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and commun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 were the most adjacent sub-disciplines to LIS. Fifth, based on the theory co-use analysis, seven clusters were identified in a two-dimensional MDS map for an intellectual structure of LIS theoretical research. The map showed that LIS theoretical ground had evolved with user-centered IS, system-centered IS, and bibliometrics. The picture, such that these three domains were positioned on the edge of the map, represents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 of LIS.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conclusion that LIS has developed with the originality as a scientific discipline by constructing its own theoretical framework and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and computer science. Even though LIS research still applies more theories originated from other disciplines than its own theories, overall LIS literature increasingly tends to depend on its own theoretical construct. In order to expand and fix LIS' theoretical base, researchers need to more actively do a theoretical research, continuously test and utilize substantive theories, and constructively criticize and communicate among them. In addition, the research activity in graduate schools should be more intensifi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 research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