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무용학과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 : 미국 대학 무용(학)과의 사례를 토대로

        채주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급격하게 발전하는 21세기의 사회적 흐름에 따라, 현 시대의 대학 무용교육 또한 선진화된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에 있어 특성화 교육은 학생의 개성과 적성을 발전시키고 각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인재 육성과, 나아가 국가를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해, 한국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 모범사례를 분석한 후, 한국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있어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와 미국의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ia College Chicago, Oklahoma City University를 선정하였으며, 교육과정을 모색하기 위해 각 대학의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육환경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보면, 각 학교마다의 특성화된 교육과정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특정분야의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그로인하여 전문분야의 인재양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학제간의 연구와, 사회와 연결된 교육프로그램이 미약하며 특성화된 교육의 장이 다양하지 않다. 그러나 미국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과정은 각 학교마다의 특성화된 뚜렷한 교육목표와 그 목표를 뒷받침하는 교과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제간의 연구와 사회와 연결된 실적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설되어 보다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특성화된 분야의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하여 연구소, 워크샵,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 있다. 본 논문은 한국 대학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학교마다의 특성화된 뚜렷한 교육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이같이 구체적이고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무용학에 대한 전문적이며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각 학교마다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다양하게 선정하고, 각 분야에 대한 학위를 수여하여 교육의 장을 체계적으로 넓힌다. 셋째, 특성화된 교육목표에 적합한 교과과정이 통일적으로 이루어지며,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교과과정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특정분야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사회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교과목과, 본인의 연구 분야에 대해 집중적인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교과과정이 개설 되어야한다. 다섯 번째, 타 학문과 타 학과가 연결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무용과 인접된 학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그 분야에 보다 전문적인 특성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 번째, 학교와 사회의 전문 단체가 연결된, 다양하며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졸업 후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일곱 번째, 지역사회의 대중과 함께 하는 특성화 있는 교육의 장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사회의 예술교육을 발전시켜 다양한 분야의 직업을 창출할 것이다. 여덟 번째, 특성화 교육을 뒷받침해주는 교내 연구기관 및 기타 시설을 설립해야 한다. 아홉 번째, 전문적이고 다양한 교수진을 확보하여 학생들과 긴밀한 교류를 이루어야 한다. 열 번째,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장려하고 새로운 연구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재정지원을 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미래의 선진적인 교육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특성화되고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이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학의 무용교육은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분야의 인재를 양성할 것이며, 무용학에 높은 성장을 구축할 것이다.

      • 무용전공대학생의 멘토링경험이 학과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멘토링경험이 학과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고자 서울, 경기, 충남, 부산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대학생 350명을 유의표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6명은 분석에서 제외하고,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324부이다. 무용전공대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 무용경력,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를 파악하고, 멘토링경험, 학과적응, 진로준비행동 각 변인에 대한 차이와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경험에서는 전공,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과적응에서는 성별, 전공,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성별, 전공,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경험의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지 및 수행지도의 모든 하위변인이 학과적응의 환경적응, 동료적응, 학습적응의 3개 하위변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경험의 하위변인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지 및 수행지도 모두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진로탐색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및 수행지도는 정보수집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과적응의 하위변인 환경적응, 동료적응, 학습적응 모두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진로탐색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응, 학습적응은 정보수집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멘토링은 주로 강의실과 연습실 등 학과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학업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고 학과 내 대인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는데 학과 구성원인 지도자, 동료, 선·후배 등 멘토의 무용지도와 지지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무용과 내 조직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논의 및 지원은 무용전공대학생들이 무용과 구성원으로써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 준비 및 결정에 멘토의 경험적 조언이 도움 될 것이다. 무용전공대학생이 다양한 직업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한 멘토 구성의 노력이 필요하며, 멘토 역시 여러 직업에 관한 현장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즉, 멘토는 무용전공대학생이 목표한 진로에 대해 필요한 직업정보를 제공하고, 무용전공대학생은 진로에 대한 구체적 행동 체계가 준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학과에서 구축된 시설을 활용한 학업문제 해결은 학과 구성원의 도움을 통해 무용지식과 역량을 향상시키며, 진로에 적합한 준비를 실제로 행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과에서는 무용전공대학생의 개별적 목표 직업을 파악하여 관련 정보수집에 맞춤형 도움을 주어 적합한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구체적 과정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무용전공대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고 발전하기 위해 멘토링경험의 필요성과 학과적응의 중요성 및 진로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나아가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준비를 위한 다양한 멘토링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ntoring experience of dance majors on department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solve this research purpose, 350 dance major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Busan were sampled. Of these, 26 people who showed unfaithful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a total of 32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gender, grade, major, dance experience,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the dance majors per year,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each variable of mentoring experience, department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oring experience in major,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a year. Gender, major,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a ye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artment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erms of gender, major,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a year. Second, both the role model, social support, and performance guidance, which are subvariables of mentoring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departmental adaptation, and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the role model and social support and performance guidance of the subvariables of mentoring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and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learning adaptation, all sub-variables of department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learning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mentoring of dance majors is mainly done in department spaces such as lecture rooms and practice rooms, the dance guidance and support of mentors such as leaders, colleagues, seniors, and juniors who are members of the department can properly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ir studies, so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med within the department can be smoothly discussed and supported together to help dance students establish themselves as members of the department. Seco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should help them decide their career path with help from mentors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 paths. In other words, efforts to organize mentors of various occupational groups are needed to help dance majors access various jobs, and mentors should also grasp the field situation of various occupations. Therefore, mentors should provide necessary job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path that dance majors aim for, and dance majors should strive to form a specific behavioral system for their career path. Third, academic problem solving using the facilities established in the department improves dance knowledge and competence through the help of department members, and actually prepares them suitable for their career path. Therefore, the department should help dance students identify their target occupations and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and efforts to present academic problems are needed to equip them with the appropriate skill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ance majors to solve and develop their career concerns, the need for mentoring experiences, the importance of departmental adaptation, and preparation for career paths.

      • 남성무용수의 성역할 정체감과 학과적응에 대한 인식 연구

        배강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college dancers' sex-role identity, self-esteem and department adaptation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ex-role identity and analyze what effect these characteristics have on their department adaptation. Ultimately, it presented the basic material to enhance department adaptation by identifying the influencers on their learning activity. To attain this aim, this study sampled 212 male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4-year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s of 10 respondents showing unfaithful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final analysis. Therefore, a total of 2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ne-way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college dancers' sex-role identity, self-esteem and department adapt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inity according to school years and that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inity and masculinity according to the period of dance and that there was a neg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i-sexuality.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a difference in sex-role identity according to specia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daptation according to school years. The group of dancers with a short period of dance showed the high level of leader adaptation, life adaptation and colleague adaptation, and the group of dancers with a long period of dance showed a high level of learning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masculinity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otal self-esteem. And it was found that bisexua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otal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Fourth, it was found that femi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eague adaptation, the subfactor of department adaptation, that masculin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eader adaptation and life adapt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and colleague adaptation. And it was found that bisexu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leader adaptation and life adapta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and colleague adapta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otal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leader adaptation and life adaptation, the subfactor of department adaptation and that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and colleague adaptation. And it was found that school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leader adaptation and life adapt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and colleague adapta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identity, self-esteem and department adaptation. The above findings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male college dancers with higher school year had the high level of feminity and that those with a long period of dance had a high level of sex-role identity such as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male college dancers with strong masculinity had a high level of self-esteem and those with higher feminity had a high level of adaptation to colleagues. And it was found that those with masculinity and bisexuality had the higher level of learning adaptation and colleague adaptation on the one hand and the lower level of leader adaptation and life adaptation on the other. Accordingly, the male college dancers with the high level of sex-role identity had a low level of leader adaptation and life adaptation. Therefore, careful consideration and systematic measure are needed for this purpose. 이 연구는 대학 남성무용수의 성 역할 정체 감과 자아 존중 감 및 학과적응의 관계를 탐색하고 대학 남성무용수의 성 역할 정체 감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러한 특성들이 학과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남성무용수들의 학과적응을 높이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남학생 212명을 표 집 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응답자 10명의 표본 분석 시 제외 되어 최종적으로 자료분석에 사용 된 인원은 총 202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로 대학 남성무용수의 성 역할 정체 감과 자아 존중 감 및 학과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과 중 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라 여성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기간에 따라 여성성, 남성성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양성성은 부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성 역할 정체 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년에 따라 학습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기간이 짧은 집단일수록 지도자적응과 생활적응, 동료적응이 높으며, 학습적응은 무용기간이 긴 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학과적응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남성성은 총체 적 자아 존중 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성은 총체적 자아 존중 감과 학교 자아존중 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성은 학과적응의 하위변인인 동료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은 지도자적응, 생활적응에 는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적응과 동료적응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성은 지도자적응과 생활적응에는 부적영향을 미치며, 학습적응과 동료적응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총체적 자아존중 감은 학과적응의 하위변인인 지도자 적응, 생활적응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며, 학습적응, 동료적응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자아 존중 감은 지도자 적응, 생활적응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며, 학습적응, 동료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 역할 정체 감과 자아존중 감 및 학과적응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대학 남성무용수들은 무용학년이 높을수록 여성성이 높아지며, 무용기간이 길수록 남성성과 여성성 등의 성 역할 정체 감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성성이 강할수록 자아존중 감이 높으며, 여성성을 높을수록 동료에 대한 적응이 높고, 남성성과 양성 성을 가질수록 학습적응과 동료적응이 높아지는 반면, 지도자 적응과 생활적응력은 낮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 역할 정체 감이 높은 남성무용수일수록 지도자 적응과 생활적응이 낮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이를 위한 지도자의 세심한 배려와 제도적 대책이 필요 다고 할 수 있다.

      • 무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개선방안

        정연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모든 학문들이 21세기의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많은 변화의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있듯이 무용교육 역시 미래의 선진화된 교육과정으로 현 시점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무용 전문인력에 중점을 두어 변화해야 할 때이다. 대학내의 무용학과 학생들이 예술가 양성이라는 목표 하에 이론보다 실기에 치중한 교육을 하여 기능이 뛰어난 무용수를 양성하는데 더 많이 기여하고 있고 무용수, 이론가, 안무가, 교육자 등을 동시에 배출하려고 하기 때문에 대학 교육의 전문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대다수의 대학교와 예술대학들은 이를 위한 집중적이고 단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장 기본적인 행정인 무용교육에 중점을 두어 고등교육기관인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근시안적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다각도적인 시각에서 무용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무용예술의 양·질적 향상과 사회적 기여도를 위해 구체적인 대안자료로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11개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외국의 사례로는 미국의 뉴욕대학교와 영국의 라반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과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국내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은 기초실기, 기초이론에 집중하여 한정된 범위에서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무용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뉴욕대학교 무용학과는 실기수업을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었고, 라반 센터 교과과정에는 '무용정책', '예술경영', '특수무용교육', '사회무용'과 같은 다양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자는 무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개선 방안을 교과과정 영역의 다양화에 중점을 두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타학문과의 연계과정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제간 과정(Interdisciplinary) 제도 도입과 복수전공 제도를 도입한다. 둘째, 인턴쉽제도를 도입한다. 셋째, 각 대학 무용학과별, 대학과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다. 무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개선 방안을 토대로 그에 따른 기대효과는 첫째, 타학문과의 접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가 향상될 것이다. 둘째, 교과과정에 인턴쉽 제도를 도입했을 때는 학생들에게 현장학습을 통해 실무적 교육 즉 이론과 실무교육을 병행한 교육으로서 현장에서 효과적인 활동을 기대한다. 셋째, 교과과정에 관한 정보를 대학별 혹은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시간 다양한 정보를 얻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의 교육이 국제화·세계화 수준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무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먼저 대학 교육에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단계적으로 실시된다면, 진로선택의 폭이 다각도적인 방향으로 확대될 것이며, 나아가 사회적인 기여도 역시 높아질 것이다. 향후, 단기적이며 근시안적이 아니라 장기적이며 국제적인 안목을 가지고 교육체계를 정립시켜야 할 것이며, 정부의 행정적·제도적·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문 교과목을 가르칠 전문교수인력 확보 또한 시급한 문제일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emphasize the needs of fostering dance related experts with advanced educational system which is specialized in the field of dance to successfully correspond with dynamic changes in 21st century. Although many students belongs to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are provided curriculum focused more time in practical training than theory study to develop high technician in dance, it is relatively not successful to secure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dance education, as University system intended to simultaneously foster various field of experts in dance for example dancer, choreographer, theorist, educator and etc. under the limited source and curriculum regarding dance education. It is precondition that systemized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to develop dance organization as well as foster dance related experts. However, many of University is not afford to provide systemized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to danc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curriculum as systemized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with long term base in the high level of education organization such as University through analyzing present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To achieve these purposes, curriculum, status of dance education, books, periodical publication, internet resource and etc. regarding dance education have been selected at random,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stud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11 University in Korea and New York University in USA and Laban center in Great Britain, many of University in Korea focused basic practical training and basic theory with limited categories due to the shortages in specialized faculty in dance department even though, some of their curriculum tried to various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opportunity to experience with variety of education program in New York University and Laban center.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s of this study : The more systemized and specialized program the University program has, the more trial to connect with other field of study is recalled to extend its field. To achieve this goal to extend field and secure specialization, we can consider Interdisciplinary system adoption, multi major system induction and internship between University and concerned organization as network systems. Accordingly, we can estimate following things that students would be satisfied with various extended choices. We can also expect effective activities in the real field of dance by using powerful internship system. Strong relationships as network systems in terms of education will draw our level of education to international standard. Thus, if these kinds of positive change can be available,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would be also rais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all the factors involved in dance curriculum would be considered carefully with internationalized long term view point for the future curriculum. It is recommended that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dance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governmental support of system, finance and administration. In addition, adoption on certificate of dance expert recogni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selected for considering specialization of dance. Lastly, it is very urgent that securing faculty who can teach at the specialized field of dance is important.

      • 중국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가 교육과정 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설원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Dance major in normal univers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raining of dance teachers. However, the research on dance education in China Normal University is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dance majors in China's domestic normal univers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nd future decision, how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ffects course satisfaction, and how course satisfaction affects future decision, and put forward an effective scheme to improve dance majors in China's norm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nhui Normal University, Anqing Normal University and Huaibei Normal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China. Among the 400 answers, 354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improper answ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rls in the dance department are mo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than boys, have a strong motivation to choose majors, and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irection and employment determined by their future. In addition, the higher the grade and dance experience, the higher the motivation and future decision of choosing a major. Secondly, all factors of major choice motiv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ll factors of course satisfaction. That is to say, students majoring in dance can choose optional majors on the basis of self-understanding such as interests or values, personality, ability and skills, and throug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mily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understanding. Thirdly, dance majors hav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ll factors of educational curriculum satisfaction. That is to say,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 have a bright and lasting sense of employment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teaching process of dance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puts forward the improvement scheme of changing teaching staff into student-centered teaching mode, thoroughly selecting and teaching lecturer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ajor, and establishing distinctive teaching process and dance faci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taking the students of Dance Department of Normal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study the students of Dance Department of universities in a wider area through more methods. In addition, after investigating various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bring them into the research model for further research. 사범대학교 무용학과가 무용교사 배양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교육에 대해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내 사범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결정 간의 관계, 전공 선택 동기가 교육과정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안후이성 안후이사범대학교, 안칭사범대학교, 화이베이사범대학교 3개 사범대학교에서 무용학과 재학 중인 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00개의 응답 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하여 354개의 표본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하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고 전공 선택 동기가 강하며, 진로결정에 대한 진로방향과 취업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년, 무용경력이 높을수록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 선택 동기의 모든 하위변인은 교육과정 만족도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용학과 학생들이 흥미나 가치관, 성격, 능력 및 기술 등의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가정적 환경, 사회적 환경, 직업에 대한 이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선택 가능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다. 셋째, 무용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의 모든 하위변인은 진로결정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뚜렷하면서도 지속성이 있는 취업의식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방식으로 변경하며, 강사 선발 및 교육도 철저히 이루어지고, 무용학과의 특징을 고찰하여 특색이 있는 교육과정과 무용시설을 마련해야 한다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안후이성에 소재하고 있는 사범대학교 무용학과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더욱 넓은 지역의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조사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변수를 고찰한 후 연구모형에 포함시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전승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모색

        우옌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campus transmission project implemented in 2005,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curriculum is still operating in the Chines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but the quality of education is not considered on the site. In order to improve such problems,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organize and operate a professional curriculum for the success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in the Chines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Method survey on 28 experts, including those who participa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intangible cultural dance transmission project in China, participants and graduates of the project, and university field instructors with experience in developing intangible cultural danc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curriculum in the Chines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Administration and Finance',‘Organization',‘Education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24 detailed factors were derived. Secondly,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among the four top items derived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personnel and programs, administrative financ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tailed factors of each of the top categories,‘the establishment of a higher educatio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was the highest i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pects, and‘the support for teaching-learning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transfer system’was found.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building a university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and ‘professionalis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graduates’were the highest in terms of professionals and programs. In terms of priorities in all categories, it was found to be most important to suppor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and to establish an environment for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Thus,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hin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Center should strengthen the cooperative system of China's Central Education Office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Second, the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Center and the Department of Dance at the University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In other words, an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strengthen teachers' capabilities by regularly evaluating and supplementing their performance in teaching-learning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o transfer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Thirdly, infrastructure such as educational environment, facilities, professional personnel, and educational programs shall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 system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practical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o transf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to the Chines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It will also provide meaningful basic information in establishing a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전승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모색 2005년부터 시행된 중국의 무형문화재 무용 캠퍼스 전승 프로젝트의 성과로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무용 교육과정이 운영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교육의 질적인 측면이 고려되지 않은 채, 양적 팽장에만 치우쳐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중국 대학 무용학과에 국가 무형문화재 무용의 계승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중국의 대학 캠퍼스 내 무형문화재 무용 전승 프로젝트 정책 계획과 실행에 참여한 관련 실무자, 프로젝트의 백서 참여자 및 이수자, 그리고 무형문화재 무용 프로그램 개발 경험이 있는 대학 현장 교(강)사 등 전문가집단 28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집단 39명을 대상으로 계층의사결정법(AHP)을 실시하였다. 즉,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무용 전승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정 구축 방안에 관한 중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의 대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무용 교육과정 편성 방안에 관한 요인은 ‘행정 및 재정’,‘조직’,‘교육환경 및 시설’,‘무형문화재 무용교육 프로그램’ 등 4개의 항목으로 범주화되었으며 24개의 세부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4개의 상위 항목 간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전문인력 및 프로그램, 행정 재정, 교육환경 및 시설, 조직 순으로 나타났다. 각 상위 항목별 세부요인을 살펴본 결과, 행정 및 재정적 측면에서는 ‘무형문화재 무용 전승을 위한 고등교육 제도 정립’, 조직 측면에서는 ‘무형문화재 무용 전수체계에서의 교수-학습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환경 및 시설 측면에서는 ‘무형문화재 무용 전승을 위한 대학 교육환경 구축’, 전문인력 및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무형문화재 무용 이수자의 전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항목에서의 우선순위에서는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무용 교육과정의 지원과 무형문화재 무용 전승을 위한 환경 구축에 관하여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무형문화재보호센터(Chin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Center)와 중국 중앙교육청 및 지역별 교육청의 협력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중국무형문화재 보호센터와 대학의 무용학과는 협력적인 시스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즉, 무형문화재 무용을 전수한 교수자와 학생 간의 교수-학습에 대한 지원, 정기적으로 관련 전승 프로젝트 운영에 대한 추진 실적을 평가하고 보완함으로써 교수자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무형문화재 무용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 전승체계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교육환경과 시설, 전문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 무용학과에서 무형문화재를 전승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실천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무형문화재 무용의 보존 및 전승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체계를 마련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주요어: 중국 대학, 무형문화재 무용, 교육과정, 델파이조사, AHP

      • 한?중 각 2개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선원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한・중 각 2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에 소재한 4개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는 5부를 제외하고 최종 여학생 501명, 남학생 94명, 총 59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 설문지법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설문지를 요인 분석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교육과정만족도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송유진(1995), 김보람(2008), 하은하(2012), 조영인(2012), 전면지(2011), 이유리(2016), 김진아(2008), 이권(2017), 사랑인청(2017), 황관회(2018) 등 다수의 참고문헌을 참고 하였으며, 이러한 참고 결과는 통계 분석 SPSS 24.0을 통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가에 따른 무용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 및 교육능력 실기만족도 진로결정은 국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과정세분화 교육시설은 한국이 중국보다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이 중국보다 교육과정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중 무용학과 성별에 따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국은 전공에 따른 교육시설 만족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교육과정에 실기만족도는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교육과정은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사후분석 결과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은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사후분석 결과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진로결정 동기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전공에 따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중 학년에 따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국은 졸업 후 희망에 따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은 졸업 후 희망에 따른 교육과정 교육시설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실기만족도 진로결정 동기는 졸업 후 희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과정세분화는 졸업 후 희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5<0.05) 대학원 진학이 무용교사와 무용이외 분야보다 교육과정세분화 만족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경력에 따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한국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무용 실기만족도 진로결정 동기의 상관관계 실기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로결정 동기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 경우 실기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교육 목표 및 교육 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로결정 동기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국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실기만족도가 진로결정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기만족도와 교육과정 교육시설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 동기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경우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하위요인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진로결정 동기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compare the education curricula for the dancing speciality in a total of 4 universities, two in Korea and the other two in China. An investigation was launch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from both genders in the said 4 universities. Excluding 5 dishonestly-answered questionnaires, a definitive total of 501 girls and 94 boys constitu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is essay amended and completed, through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analysis, self-assess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 program of SPSS 24.0 was adopted for data processing, as well a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subject matter, and the results achieved were concluded as below: The survey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 factors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education curricula with referencing literature of Y.-Z. Song (1995), B.-L. Kim (2008), E.-H. Xia (2012), Y.-Z. Zhao (2012), M.-Z. Quan (2011), Y.-L. Li (2016), Z.-Y. Kim (2008), Guan Li (2017), R.-Q. Ai (2017), G.-H. Wang (2018), etc. Such refer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 program, SPSS24.0, contribut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5)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dancing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 curricula,objectives,abilities of education and practise satisfaction. Though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china in terms of process divis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Secondly, all factors regarding the different genders in both China and Korea’s dancing specialty showed little variation(p>0.05). There was barely any statistically noticeable distinctions between Korean students from different specialties in terms of their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al facilities, objectives and abilit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pecialties(p<0.05), po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dern dancing specialty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 education curricula than that expressed by the Korean dancing. Decisions concerning one’s future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s statistically with different specialties(p<0.05), post analysi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decision motives of modern dancing beat that of the Korean dancing. While in China, all factors concerning different specialties demonstrated no statistic difference(p>0.05). All factors regarding different grades showed no statistic difference in both countries(p>0.05). In Korea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among all factors in relation to the expectations after graduation(p>0.05). In chin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concerning the expectations after graduation, education curricula, educational facilities, objectives and abilities, as well as motives behind occupational decisions(p>0.05).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hough regarding the expectations after graduation and divisions of curricula(p=0.015<0.05). The satisfaction level of undergraduates was higher than that of dancing teachers and non-dancing personnel.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for all factors in connection with different occupational experiences in both countries(p>0.05). Thirdly, the educational curriculum satisfaction, dancing practice satisfaction, motives behind cupational decisions, course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bjectives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and curricula divisions all showed statistical correlation(p<0.05). The motives for occupational decisions and course satisfaction,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education objectives and educational abilities all showed statistic correlation(p<0.05). In china practice satisfaction and curricula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objectives and educational abilities showed a correlation(p<0.05). And motives behind occupational decisions and education curricula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education objectives, educational abilities and process divisions showed a correlation(p<0.05). As with the enhancement of practic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curricula facilities,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the motives behind the occupational decisions grew bigger. While in china with the satisfaction level of curricula going up, the sub-factors for the satisfaction towards dancing curricula grew higher.

      • 뉴 노멀 시대 융합형 무용 인재양성을 위한 안무교육 개선 연구 : 한·중 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봉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광범위한 문화 지식과 심오한 전문 지식, 건강한 성격과 인격을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각종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다룰 수 있어야 하며 실천과 혁신 능력, 창의적인 사고를 구축하고 있는 융합적인 사고력을 지닌 인재이다. 인재는 곧 현대사회의 핵심 경쟁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이 무엇이며, 그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은 현대교육이 항상 중시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뉴 노멀 시대 대학체제의 교육은 물론 대학 무용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무교육 또한 단순히 전공지식과 전공기술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능력과 기능을 갖추도록 차세대 미래지향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융합 인재양성으로써 무용교육에 대한 국내외 학술 연구논문들은 소수에 불과하며, 특히 안무교육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을 토대로 융합형 무용 인재양성을 위한 개선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무용교육 중 안무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뉴 노멀 시대 융합형 무용 인재양성을 위한 안무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한·중 일반 4년제 대학교 소속 무용학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교과과정을 토대로 안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론 및 실기측면의 관련 교과과정을 분류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각 대학 무용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무교육 현황을 고찰하였다. 다음, 현황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중국 대학 무용학과 안무교육의 유사점, 차이점과 특성에 따른 장점과 의의 및 단점과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한·중 대학 무용학과에서 시행되어지고 있는 안무교육에 대한 논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 냈다. 첫째, 한·중 대학 무용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무 관련 이론측면의 교육은 각 분야 즉 인접예술분야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균형적으로 교과목을 개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한·중 대학 무용학과의 안무교육은 논리적인 사고에 의한 가치관, 사회관, 예술관 등 시대흐름에 대한 이해와 분석력 및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내용으로 더욱 다양한 인문학 교과목을 개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한·중 대학 무용학과의 안무교육은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내용으로 특별활동과 같이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등 교과목을 개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한·중 대학 무용학과의 안무교육은 자기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주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내용 및 교과목을 개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한·중 대학 무용학과 안무교육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 4년제 대학 무용학과를 대상으로 융합형 무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안무교육의 새로운 개선책으로 다음과 같이 6가지 방면에 대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술영역 확장형 종합지식체계로 무용전공 지식 외 다양한 인접예술분야에 대한 다 방면의 지식습득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가치관 형성형 인문학적 소양으로 사회, 문화, 문학, 역사, 철학 등과 같이 시대흐름과 트렌드를 인지, 분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과 사회관, 예술관,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독창적 표현형 창의적 움직임으로 창의적인 사고 및 사유능력을 고취시키는 것으로 독창적인 신체 움직임 창안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넷째, 자기주도형 자주력 능력으로 기획, 실행, 표현 및 발표로 리서치부터 시작하여 스스로 프로젝트를 계획, 구상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소통·융합형 협업능력으로 타 분야 전공생들과의 자유로운 소통과 기술적 측면의 유기적인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현장형 실무능력으로 기존 습득한 지식을 응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융합형 무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안무교육에 관한 학술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안무교육의 개선책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므로 차세대 미래지향적인 안무가를 양성하기 위한 심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확장으로 대학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의 토대가 될 수 있길 바라며 학술적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만족도 연구

        사랑인청 전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무용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중국 내 대표적인 5개 대학과 한국 2개 대학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급변하는 사회 수요에 맞춰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전북, 충남지역 국립대학교 2곳을 선택하여 설문조사는 모두 off-line 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중국은 5곳을 선택하여 학교당 무용학과 전공자 100명을 대상으로 lifelong교육 과학회사를 통하여 on-line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는 재확인 절차에서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설문자료는 spss방식으로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spss방식을 활용하여 Cronbach`s α 통계량으로 설문자료를 검사하였으며, 설문자료 중에서 Cronbach α 통계량이 8.0점 이하로 나오는 설문지는 제외하고 유효설문 표본 총 393부를 대상으로 통계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중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한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보통 정도의 만족도가 43%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교과과정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이 46%로 나타났다.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체적인 매우 만족도는 중국 2.56%, 한국 1.92%로 나타났다. 둘째,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교수진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한・중대학교 무용학과 양국 학생 모두 지도교수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보통수준이 63%로 가장 높은 반면, 중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대체로 만족이 43%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한・중대학교 무용학과 양국 학생 대부분은 무용학과 수업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 현황 분석연구 :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보람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presents a way of dance department course using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nvestigation of graduate students for meet fast changing fashion. In this thesis, several universities’ education goal and study course are compared. And then conducts a questionnaire to the each university students for introduce a result. These investigations have been proposed in six Seoul region universities, Kyunghee, Kookmin, Sungkyunkwan, Sookmyung and Hanyang University and four another region universities, Kangwon, Pusan, Chonbuk and Chungnam University. The investigation analysis result for each school is as follows. First, each school’s education goal is make a dance specialist that has practical skill and theory. And structure of education goal is three-separated. So each school doesn’t have any difference. Second, basic theory takes most of part in subject classification table. For this reason, present education course need to establish other field school subjects. Third, previous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comparison are not much different to each other. So we know the education course improvement dosen’t take effect. Fourth, some another problems are appeared. For example, class is become formalism and un-subdivision, lack of depth study and an uncertain way. For solve these problems, this thesis present a model education course of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University divides dance department and dance education course, so they can establish field and education as a same category. Domestic graduate schools establish uniform education goals and similar education courses, but New York University has two divided education course as a practice and theory. Their education subject number is less then domestic universities so they can depth study. Also they make active relationship to local community, solve graduate students’ way problem naturally. Through these researches, this thesis introduces some results. First, we need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education goal. Above research target schools don’t have different things in their dance course because they are teaching practical skills and theory under the same name of ‘Dance Department’. And another domestic graduate department dance is almost same. Second, we should open subdivisional and systematic courses to meet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ducation goal. Graduate curriculum need to establish several detail divisions for give a chance of a depth study to students. Third, we need to expand the introduction of Interdisciplinary system. The most of universities’ course have relationship to only art field. Large relationship to medical, educational, compute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is essential for study for week position. Finally, a down-to-earth education course system that related to society is necessary. The graduate course must be efficient when graduates go to the filed. Former dance education is set much value on basic theory. But now a day, dance education is enlarging its work space to management, administration, planning, science, medicine and computer by directly or indirectly. Establishment of systematic education course helped to enlarge graduate student’s workspace So we can give a help to enlarge graduate student’s workspace through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본 연구는 현행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 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현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지역의 6개 대학인 경희대학교, 국민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와 지방의 4개 대학인 강원대학교, 부산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남대학교의 대학원 교육목표와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각 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각 학교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의 교육목표는 실기와 이론을 겸비한 무용 전문인력 양성으로 거의 같은 목표를 설립하고 있었으며, 교과과정에서는 3분법적인 구조로 학교간의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과목분류표에서 기초이론분야의 교과목 개설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어 현 교과과정은 타 분야의 교과목 개설이 시급하다. 셋째, 선행연구의 교과과정 개정에 따른 만족도 응답결과와 현재의 조사결과가 차이를 보이지 못하고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음을 볼 때 교과과정의 개선은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문헌연구와 조사분석 결과를 통해 형식적이고 비 세분화된 수업과 심도 있는 연구의 부족, 불확실한 진로라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뉴욕대학교의 교과과정을 모델로 제시 한다. 뉴욕대학교는 무용학과와 무용교육학과를 분리하여 현장과 교육이라는 두 가지 범위가 하나의 울타리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과정을 설립하고 있다. 두 학교의 교과과정을 비교해보면 국내 대학원은 획일화된 교육목표와 비슷한 교과과정을 설립하고 있는 반면, 뉴욕대학교는 교육목표에 따른 실기와 이론이 두 개의 학과로 분리되어 설립 되어있다. 교과목 수 에서는 국내 교과목 보다 적어, 적은 과목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꾀 하고 있다. 또한 뉴욕대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활발하여 국내 대학원 교과과정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졸업 후의 현실적인 문제를 적극 해결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한다. 위의 연구대상학교는 ‘무용학과’라는 명칭 하에 실기와 이론을 모두 교육하고 있어 차별화된 특징이 없으며,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은 거의 같은 구조로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교과목을 개설한다.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했다면 이에 부응하는 교과목을 개설해야 할 것이다. 대학원 교과과정은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 개설보다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교과목 개설로 학생들에게 심도 있는 연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제간 과정의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 대학원 교과과정 중 타 학문과의 연계과정이 있는 학교는 많지 않았으며, 미술, 연극, 영화분야 등의 예술분야로만 연계가 되어 있는 실정이다. 의학, 교육학, 컴퓨터, 행정, 경영에 관련된 학과와 연계를 넓혀 미흡하고 부족한 분야로의 연구가 확대 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와 연계되는 현실적인 교과과정을 설립해야 한다. 대학원 교과과정은 대학원생들이 졸업 후 사회에 나아가서 실제로 활용 할 수 있어야 한다. 예전의 기초이론을 중시했던 무용교육도 이제는 현 시대에 발 맞춰나갈 수 있는 경영, 행정, 기획, 과학, 의학, 컴퓨터 등 여러 분야를 직접, 간접적으로 접목하여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러한 분야의 교육은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닌 체계적인 교과과정 개설로 졸업 후의 활동영역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