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에서의 전통무용 교육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정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79

        전통춤은 한민족의 역사와 공동체의 문화를 반영하며 생명력을 갖춘 예술이고 미래의 또 다른 전통의 기반이 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 전통춤은 체계적이고 올바른 전수와 교육과정이 매우 부족한 실정인데, 근대기 이후 해방 후까지 외부에서 유입된 서양 공연예술과 대중예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한국무용계에서 ‘전통춤’이 여전히 비주류의 위치에 있기 때문이라 보인다. 즉,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서양무용 위주의 무용예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전통춤 교육은 양적인 부분에서도 취약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적절한 교재의 부재 등 질적 측면에서도 교육기반이 매우 약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존 전통춤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여러 담론들을 통해 미래의 전통춤 교육의 새로운 전환이 필요하다는 연구적 필요성에서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춤을 개관하고, 현재 대학 내에서 진행되는 전통춤 교육의 현황과 무용과가 개설되어 있는 국내 대학들의 교과과정을 점검하고, 전통춤 교육의 문제점을 살피며, 전통춤 교육의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데에 있었다. 한국 전통춤의 개념, 철학, 특징을 논하고 한국 대학의 전통춤의 발전 및 현황을 고찰하면서, 대학 무용학의 발전과정과 무용전공이 대학에 정착되어온 과정을 개관했다. 또한 사례로 선정된 대학의 무용과의 교과과목 분석을 통해 대학의 전통춤이 어떻게 교과과정에서 반영되어 있는지와 그 문제점을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전통춤 전문 교육의 과제를 대학의 교육체계를 중심으로 논하면서, 그 개선방안을 고찰했다. 예술교육은 초기 교육부터 중요하지만 온전히 전통춤을 업으로 사회에 진출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는 성인교육 단계에서 대학의 역할은 최후의 보루라고 볼 수 있다. 전통춤의 보존과 전수라는 학문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대학 무용과는 다양한 무형문화재 작품을 전공생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졸업발표를 이례로 전공 학생들이 직접 공연을 기획하고 출연해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전통춤은 민족이 존재하기 시작한 역사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민족의 삶과 함께 생성되어오고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우리만의 숨결이자 정통성 있는 몸짓을 구현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대학의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검토하고 전통춤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자 한 근본 목적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별 사례 대학의 내부자의 인터뷰에 어려움을 겪었고 내부 자료의 접근이 어려워 서울 소재 대학으로 연구의 범위를 축소 할 수 밖에 없었던 점이다. 전통춤에 대한 향후의 연구는 인문학, 음악, 문학 등 인접 학문과의 융합적 연구방법이 필요하며 대학의 무용교육기관이 전통춤의 보존, 전승, 교육기관으로 더욱 중요한 역할을 고무하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raditional dance reflects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it is an art with vitality and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another tradition in the future. However, compared to this importance, traditional dance is very lacking in systematic and correct transmission and curriculum.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the traditional dance in Korea is still in a non-mainstream position. In other words,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western dance-centered dance arts is being conducted, while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s not only weak in quantity, but also has a very weak educational foundation in terms of lack of a systematic education and appropriate textbook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search necessity that a new transformation for the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s needed through various discourses on the existing traditional da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problems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nd to to consider ways to improve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By discussing the concept, philosoph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examining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dance at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outl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university dance and how the dance major has been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Also, by analyzing the subjects of th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selected as a case study, I tried to check how the university's traditional dance i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while discussing the task of specialized education in traditional dance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university,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considered. The role of the university can be seen as the last bastion in the adult education stage where it is necessary to nurture professionals who will enter society through traditional dance as a profession. In order to perform the academic function of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raditional dance, the university dance department should consider actively creating and operating an affiliated institution such as a specializ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curriculum or program, allowing students majoring in traditional dance to have the opportunity to plan and appear on their own performances, should be strengthened. Traditional dance has been created along with the life of the n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the nation to the present, and it should embody our own breath and authentic gesture that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fundamental purpose of reviewing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and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was difficult. Because of the COVID-19 pandemic, it was difficult to interview insiders of each university for data analysis. Future research on traditional dance requires a convergence research method with adjacent disciplines such as the humanities, music, and literature.

      • Pina Bausch 작품에 나타난 무대장치 의미에 관한 연구

        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류의 시작과 더불어 발생해온 무용이 급진적인 산업화와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정보화됨에 따라서 다차원적인 무대장치의 표현형식 방법과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써,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무대공간을 창출해내고 제한된 공간에서의 표현확대를 가져올 수 있는 것들을 피나 바우쉬(Pina Bausch)작품에 나타난 무대장치의 사용을 연구함으로써 종래의 안무형식을 넘어서 한층 더 다양하고 독특한 표현 방식을 찾고자 하였다. 종합적인 예술형태를 갖는 무용에서의 무대장치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무대장치의 가치를 인식하고 20세기 초 디아길레프(Diagilev)의 무대혁명으로 새로운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는 무용과 타 예술분야의 완전한 공동연구에 의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 동시에 실천해보였다. 이러한 무대장치는 종합 예술로써의 무용과 타 예술분야의 융합을 통해 무용이 가지고 있는 본질을 심화 확대하여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적극 표출하는데 큰 활력소가 되면서 21세기에 들어서도 무용의 시각예술로서의 미적표현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무대 장치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무용공연에서 무대장치는 그 자체의 미적 가치 기준을 가지면서 무대장치 요소들 즉 조명, 영상, 의상, 소품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무대 위에서 연출되는 창작활동에 다양한 방법으로 무용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극의 표현매체로써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무대장치를 통해 작품배경이 되는 특정한 상황과 분위기를 연출하고 작품의 주제와 사상의 표현을 극대화시키면서 무대전체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필연적이라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무대장치가 무용수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를 갖으면서 동작의 표현이 다양화되고 각 장치들을 활용하면서 연출가와 안무가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무대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다양한 무대장치 요소들의 사용으로 무대구조의 활용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장면전환을 유연하게 다루고, 장치와의 기술적인 관계를 통해 무용수의 활동범위를 확대시킴으로써 다양한 무대이미지 창출을 통해 고차원적인 시각적 이해와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대장치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피나 바우쉬의 작품「카페 뮐러(Cafe Muller)」,「카네이션(Nelken)」,「마주르카 포고(Magurca Fogo)」를 이미지의 확대, 상황전개, 동작의 기술성, 조명과 영상의 효과로 구분하여 무대장치의 사용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무대장치의 사용이 피나 바우쉬 작품에 있어서 어떠한 표현적의미를 부여하였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무대장치의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카페 뮐러>는 무대세트와 조명을 통해 그로테스크한 카페의 분위기를 형성하고 소품으로써 무대공간의 활용과 움직임의 변형을 가져왔다. <카네이션>은 카네이션 정원을 무대화시키고 소품활용으로 무대공간을 확대시키면서, 편한 일상복의 의상으로 움직임이 활발히 나타났으며 조명의 효과로 환상적인 정원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마주르카 포고>는 거대한 바위절벽을 무대화하고 미디어를 사용하여 무대이미지를 빠르게 전환시켰으며, 일상적인 움직임과 조명을 통해 사실적인 무대세트 연출이 이루어졌다. 이처럼 무대장치의 활용이 돋보이는 피나 바우쉬는 거대한 자연의 것을 그대로 무대화시키는 독창성을 지닌 안무가로서, 작품 속에 다양한 표현매체를 사용하여 종합적인 연출 방식으로 안무 의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인식시킴을 통해 표현적 기능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무대장치의 활용으로 타 예술과의 융합을 통해 무용의 표현성의 극대화와 고차원적인 무대예술로 승화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창작 과정의 다양한 실험적 접근을 도모할 수 있는 안무방식을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r more various and distinctive expression style above the customary choreography style by examining the usage of stage setting in Pina Bausch's works and things that can invoke a wider expression within a confined space, as the experimental and original stage space has been created by the noticeable emergence of a multi-dimensional expression pattern and method being accompanied with an informatization of dancing in a rapid industrialization and high economic growth, which has been along with the origin of human history. The stage setting in dancing as a type of total works of arts came to occupy a new area with the stage revolution by Diagilev in the early 20 century and its value which has been addressed since Renaissance. He argued that it had to be harmonized with a perfect cooperative study of dancing and other arts, and he practiced it. This stage setting serves as a great vitamin to actively expressing human idea or emotion by deepening the essence of dancing through a combination between dancing as a total works of arts and other arts, and its role is still considered as important in maximizing the effect of aesthetic expression as a visual arts even in 21th century. The stage setting in a dancing performance, as it has its own aesthetic value, plays a big role as the expression media of a play by keeping with dancing in a various way to the creative activities presented on the stage and actively utilizing the stage setting elements, such as lightening, screen, costume, properties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stage setting can be indispensible to present a certain situation and atmosphere which are the background of works, maximize the expression of theme and idea, and highlight the entire image of stage. Such a stage setting diversifies the motional expression hav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movement of a dancer, and develops toward the direction to which a choreographer or director intends by utilizing each setting. Also, it suggests a high-dimensional visual understanding and effect through a creation of different stage images by extending the activity range of a dancer through a technical relationship with settings, while it flexibly touches the scene changes by extending the utilization range of stage structure through the use of various stage setting elements within a confined spa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ly examines a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stage setting, and then finds a distinction of Pina Bausch's works,「Cafe Muller」,「Nelken」and「Magurca Fogo」under the category of image enlargement, situation development, motional technology, lightening and image effect to identify how the stage setting was used, and lastly demonstrates what expressional meaning was fused in Pina Bausch's works. This study process could extra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stage setting. <Cafe Muller> forms a grotesque atmosphere through a set of stage and lightening, and it caused a transformation of movement and stage space utilization as properties. <Nelken> has taken the Nelken garden as a stage and extended the stage space through utilization of properties, as well as presented an active movement with a comfortable costume of everyday dress and expressed a fantastic image of garden through the lightening effect. <Magurca Fogo> has taken a huge rock cliff as a stage and converted the stage image fast, as well as presented a realistic set of stage through a usual movement and lightening. Thus, Pina Bausch, as a choreographer who has an originality to take a huge nature material as the stage, is marked with his distinctive utilization of stage setting and enlarges the expressional function by actively stirring up the choreography intention with a synthetic presentation through a variety of expression media in the works. It is advisable to induce the maximization of dancing expression and sublimation into a high dimensional stage arts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other arts by utilizing these various stage settings, and develop into the choreography style which can attempt to take various experimental approaches to a creative process.

      • 한국창작춤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1980년대를 중심으로

        김영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15

        우리 춤의 발전 과정에서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두 번의 큰 역사적 계기가 있었다. 그 하나는 일본을 통하여 새로운 문물과 예술 형태의 소개로 인하여 근대적 '신무용기'라 지칭하던 시기와 두 번째는 경제사회·문화에 있어서 급진적인 현대화로 새로운 예술 운동이 일어났던 소위 '한국창작춤의 시대'라 볼 수 있다. 정확한 시기로는 1926년 석정막의 '일본식 신무용'을 소개하면서부터 이에 영향을 받고, 이를 수학하고 돌아온 최승희, 조택원에 의해 한국에 뿌리를 내림으로 인해서 26년부터 근 50년간 이 땅에 꽃을 피웠고, 60년대 한국학이 대두하면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싹트기 시작하여 70년대의 '전통의 재조명'이라는 흐름을 타고, 무용계에서도 일본에서 유입되었다고 보는 신무용식 창작의 형식적 기교와 유미적 몸놀림, 기방무적 교태미에 한계를 느끼고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창작의 시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한국창작춤'이 도래하였다고 보고 지금까지 근 18년간 계속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신무용기 연구에서 벗어나 '전환기' 라고 보는 1980년대의 10년간의 변화상을 세세하게 다룸으로서 '현대한국창작춤' 의 성과와 문제점을 지적하여 '한국창작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한국창작춤'이 하나의 장르로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신무용과 한국창작무용이 구분되어 질 수 있었고, 80년대에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기존의 발전폭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의 획기적인 성장이 이루어졌다. 양적으로는 무용과의 증가, 무용 인구 증가, 무용단의 증가, 공연 공간의 증가, 공연 횟수의 증가, 전달 매체의 증가, 비평 활동의 활성화, 무용제의 증가 등의 눈에 띨 만한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으며, 질적으로는 신무용의 유미적 몸놀림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그로레스크하고 강하고 격정적인 무용 어휘가 등장하기 시작하고, 대한민국무용제로 인하여 극장춤이 정착하게 되었고, 삼분법으로 통용되던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의 벽이 점점 허물어지면서 협의의 한국무용이 광의의 한국무용으로 변모되어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등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 이면에 문제점으로 첫째, '한국창작춤'의 고유의 기법을 가지지 못하였고 둘째, 새로운 춤기법을 교육시킬 수 있는 체계화 과정이 미흡하였으며, 셋째, 10년밖에 안된 창작무용이 타성에 젖어있어 독창성이 결여되고 넷째, 사회적, 역사적 요망에 부흥하지 못하였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객관적인 춤의 양식을 확립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춤의 과학화 작업에 힘쓰고 둘째, 무대예술로서 적합한 공연형식을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보편성을 지닌 공연, 예술로의 한국무용을 만들고 넷째, 자유로운 실험정신이 허용되는 풍토가 마련되어지도록 하며 넷째, 오늘의 이 땅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주제화 시켜 춤의 사회성과 역사성을 되살려 한국적이고, 예술적인 진정한 춤을 만들고, 이를 생활화, 현실화(김채현 1986)하는 토대를 마련함으로서 진정한 한국창작춤이 자리잡게 될 것이며 더욱 발전하게 될 것이다. Du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in Korean dancing, there were two significant historical moments in today's point of view. First is the newly civilized form of art introduced by Japan, the time so-called the modern 'new dance period'. The second moment was when economic, society and culture were in rapid progress towards present age where new kinetic form of art rose up and was so-called the 'period of Korean creative dance' Exact time would be 1926 when Suk Jung-mak influenced as he introduced the 'Japanese style new dance' and Choi seung hee and Cho taek-won who studied abroad and came back, planting its root deeply in Korea since the 1930's for nearly half decade developing into fruits, Koreanology was on the rise as our country began to develop its concern in dancing in the 60's as to in the 70's where 're-lighting of hoary tradition' was the currency and formal creation and esthetic action, coquettishly entertaining in new dance style creation had felt the limits and to overcome started attempting new creations continuously for the last 18 years and had arrived 'Korean creation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t "Korean creative dance' recognized as a genre by pointing out the achievement and problem of 'Korean modern creative dance' through close examination on the 1980's changing image which is called 'a turning point' escaping neo dance period study and suggesting 'the developing directions of korean creative dance' Consequently, new dance and korean creative dance are divided, 1980's had remarkable epochal growth compared to the existing developmen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Quantitatively the increase in dance departments in college, gain in dancing population, addition to dance companies, increment in performing spaces, variation in the number of performance, growth on mass media, active criticism and increase in dance festivals brought rapid growth Qualitatively grotesque, stiff and passionate dance vocabulary had appeared which were not recognized in the esthetic action in new dance, theater dance settled due to R·O·K dance festival, the wall of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collapsed and the conference narrow Korean Dance to wide Korean dance had the tendency to transfiguration. However, the other aspect of this achievement has a few problems. First, it doesn't have the original technique of "Korean creative dance", Second, it lacks a systematic cource which can educate new dance skills, Third, ten-year-long creative dance lacks originality, and Fourth, it doesn't correspond to historical demand. To solve these problem, first, we should make scientific dance by establishing objective dance, second, we should make korean dance as a performing art which has universality, third, we should make the climate which allows liberal experimental spirit, and fourth, we should make korean artistic dance by receiving social and historical character of dance, and true korean creative dance by receiving social and historical character of dance, and true korean creative dance will find its place and develop more and more.

      • 1980년대 한국 사회 구조에 나타난 현대무용 연구

        최윤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예술과 사회의 상관성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1980년대 한국 현대 무용과 사회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이를 위해 1980년대 한국 현대 무용의 사회적 배경과 특수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사회적 접근을 통해서 1980년대 한국 현대 무용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1980년대 들어와서 한국사회가 국내적으로 겪은 정치적 변화는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가 제 5공화국의 군사 독재체제로 이어지는 급격한 변화를 겪은 시대이다. 뿐만 아니라 6.29 선언과 함께 밀어닥친 민주주의 와 자유 지향적 사회 분위기는 오랫동안억압에 눌려 왔던 불균형의 사회 속에서 여러 종류의 혼란을 야기하였다. 민족 문화 예술의 발전이라는 이념 하에 출발한 정부의 문화 예술 정책은 문학, 미술, 음악, 연극 및 무용에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일으켰다. 문화 예술 행정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무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한국 현대 무용이 발전하는데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이를 통해서 1980년대 한국 현대 무용의 사회적 특수성은 다방면에서의 양적 팽창이다. 첫째, 현대 춤에 대한 활발한 지원 사업은 창작 의욕 고취와 작품 개발 및 단체 육성에 활력소를 불어넣어 주었다. 둘째, 무용제도의 확충으로 대학 무용과의 신설에 의해 춤 전문인들의 절대적 증가는 많은 동문 단체들이 조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야기시키면서 양적인 확보를 가져오는 동시에 공연 횟수의 증가가 이루어졌다. 셋째, 소극장 중심의 기획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같은 소극장 운동의 확산과 전통적인 극장 양식에서 벗어난 야외 공연의 무대 공간의 다양화는 젊은 세대의 창작 욕구기회의 증대와 함께 다양한 실험적 접근으로 춤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넷째, 활발한 국제 교류는 현대 무용가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켰고 개방화와 세계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다섯째, 춤 문화에 대한 전달 매체의 증가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무용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창작활동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일반인들에게 무용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무용 관객의 저변 확대를 가져 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1980년대 한국 현대 무용에 나타난 특성은 정치·사회적 측면에서는 정치·사회적 관점의 표출과 예술적 측면에서는 세계화에 발맞춘 한국화 작업으로 나타났다. 정치·사회적 관심을 현대 무용의 작품 주제로 텍스트화 하여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동시에 시대 사조적인 감정과 감각을 표현하고 동시대적인 삶의 표출이라는 점에서 표현 대상의 확대라는 의미를 지닌다. 세계화에 발맞춘 한국화 작업은 마사그라함 테크닉에 대한 집착이 약화되면서 개방화 세계화 속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소재를 현대 무용에 접목하여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며 현 시대 상황과 대외적으로 높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현대춤 창작의 메카니즘은 현대의 기계적인 산물인 대중매체와 각종장비와 소품을 이용한 실험적 안무의 접근을 통해서 제한된 공간으로부터 그 표현영역의 확장과 다양한 양식을 결합한 총체적 표현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 현대 무용이 추상적이거나 절대적 미를 추구 한다든가 하는 절대성의 개념에서 벗어나 전통성과 현대성, 사회현실의 반영 등이 한국 현대 무용에서 자연스럽게 표출되었다는 점에서 1980년대 한국 현대 무용의 가치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는 1980년대 이후의 현대무용의 전반적인 소재나 내용에 새로운 표현기법을 창출하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었던 견인차 역할에 정치·사회·문화적으로 유효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relation between the 1980's Korean modern dance and society based on the theory of art and society. It examines the social background and particularity of Korean modern dance in the 1980s, and also looks at the features of Korean modern dance in the 1980's through the social approach. The political change that Korean society went through in the 1980's happened when the revitalizing reform of Korean ex-president Park Jung-hee was transferred to a military dictator's regime. Also, democracy and freedom-oriented social atmosphere caused various kinds of chaos in unbalanced society. Having started under the ideology of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the government's policy of culture and art aroused new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literature, art, music and dance. The government's systematic support to administration of culture and art and change of thoughts of dance mad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dance. Through it, we can define the social feature of Korean modern dance as quantitative expansion in the 1980s. First, active support for modern dance inspired creation and raised related groups. Second, newly established dance departments in college absolutely expanded young experts of dance, and it caused a lot of alumni groups to have positive action as well as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formance. Third, the expansion of small theater movement such as the activation of small theater-based programs and the diversification of performance stages brought the popularization of dance as various experimental approach. Fourth, international exchanges satisfied modern dancers' desires of art, and it also contributed to globalization. Fifth, increase of the media of delivering dance culture provided professional and diverse information of dance, helps dancers with their creative work, and it also can expand the foundation of dance audience. The features of Korean modern dance based on the social peculiarity as written above appeared as expre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point of view in the aspect of politics and society and Koreanization in the aspect of art. It means criticism of social interest through the theme of dance as well as expression of contemporaries' lives. Koreanization work in the globalized society happened by applying Korean traditional material to modern dance with obsession about Martha Graham's technique weakened, and it aroused public sympathy. In this sense, Korean modern dance in the 1980s is valuable in that it naturally expresses tradition, modernism and social reality escaping the concept of absolutism. The social atmosphere of that time was effective in the aspect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with the role of modern dance which had created new techniques and general materials.

      •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탈춤과 소고춤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오유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4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 exerted up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capacity for physical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children and youths by an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dance.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found in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Korean dance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field based on its result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first, the issue of whether an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dance has educational effect upon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and second,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upon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according to the repertoire (Mask dance and So-go dance program) of Korean dance. As part of a procedure to develop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tudy, it has considered different literature. Also, the author has visited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nducted detailed interview with professional educators, parents, and multi-cultural children. After the interview, the study has secured a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details of the interview, the research theme that has been set,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 Afterwards, the program was configured via a meeting of specialists.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2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11 each. A Mask dance program made up of 6 sets was applied to group A, and a So-go dance program made up of 6 sets was applied to group B.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program, this study has used open ended questionnaire, effort measuring sheet, and AIPE-S test sheet as tools of measurement and measur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capacity for physical expression, and change to communication for eac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dance exerted influence up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contentment, capacity for physical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a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pertoire of Korean dance. In terms of the level of psychological contentment for the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demand and contentment for the dance increased b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wo programs. In terms of the capacity for physical expression as measured by the effort measuring sheet, it was commonly found that it chang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and that it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ertoire. Last, as a result of measuring communication that was observed during class time via AIPE-S, it was found that frequency of communication with the teacher increased for both groups. By contrast, in respect to communication among classmates, there was an increase for A and a decrease for B. The study finds that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of concentration level caused by the level of difficulty of dance task per repertoire. This study has verified that there was a positive educational result for the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capacity for physical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of both groups which are composed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after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dance.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program repertoire. There is an increase in interest for dance education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multi-cultural children as well as in enlargement in its application. Still, the reality is that there has not been an adequate examination of what effects such a dance education had. As such,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help diversify educational method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because it has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Korean dance program. Moreover, this study finds that such effor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s to settle in the society and to develop their potential. 본 연구는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과 청소년의 심리적 만족도, 신체표현 능력, 의사소통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한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이다.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에게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둘째, 한국무용 레퍼토리(소고춤, 탈춤 프로그램)에 따라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의 교육적 효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절차에 있어서는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현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문화 전문교육기관을 방문하여 교육전문가와 학부모, 다문화 아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후에는 심층면담 내용과 설정된 연구주제와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확보하였다. 이후에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는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 총 22명을 각각 11명씩 두 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집단A에는 6차시로 구성된 탈춤 프로그램을, 집단B에는 6차시의 소고춤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와 에포트 측정지, AIPE-S 검사지를 측정도구로서 사용하여 각각 심리적 만족도, 신체표현 능력, 의사소통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은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의 심리적 만족도, 신체표현 능력, 의사소통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와 동시에 한국무용 레퍼토리에 따른 차이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심리적 만족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에서 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가 높아진 결과가 나타났으나, 탈춤을 접한 집단A는 어렵지 않았다는 의견과 소고춤을 접한 집단B는 조금 어려웠다는 의견이 있어 프로그램의 난이도에 있어 차이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포트 측정지를 통해 측정한 신체표현 능력에 있어서는 한국무용의 특성에 의해 신체표현이 변화되었음을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으며, 레퍼토리별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게 변화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AIPE-S 검사지로 수업시간동안 관찰되는 의사소통의 사전 사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선생님과의 의사소통의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급우와의 의사소통의 경우 집단A는 상승하고 집단B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레퍼토리별 무용과제의 난이도에 의한 집중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자리 잡으면서 다문화 아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서 무용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현장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무용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할 수 있었던 연구는 부족했었다. 따라서 한국무용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육방법의 다양성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노력은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이 사회에 정착하고, 그들의 잠재력이 개발될 수 있는 기회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무용전공자의 몰입경험이 공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 연구

        신숙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dance majors' flow experience according to gender, career, and technique level and analyze the influences of their flow experience on their performance satisfaction, thus providing usefu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dance majors' flow and dance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analyze the impacts of dance majors' flow experience on their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investigator drew up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dance majors' personal characteristics, flow experien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distributed it to 300 students studying Korean dance, ballet, or modern dance at a four-year college or graduate school in 2008.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three major sections, which respectively concerned personal characteristics, flow experien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sec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ained eight items about gender, age, danc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number of performance on the stage, awards, and main position. Employed to measure dance majors' flow experience was the Flow State Scale developed by Jackson & Marsh(1996) based on the factors of flow experience by Csikszentmihalyi(1990, 1993). The Flow State Scale consisted of nine subfactors, which were challenge-skill, action-awareness, clear goals, unambiguous feedback, concentration, sense of control, loss of self-consciousness, transformation of time, and internal reward. The section of flow experience included total 36 items with four items for each of the nine subfactors. The section of performance satisfaction had three subfactors of contribution of public good, social recognition, and personal achievement used in Francise(1982), Lee Jong-hye(2001), Yu Gyu-bong(2002), and Lee Yang-chul(2003), totaling 14 items.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with one point for never, three for average, and five for very much so.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test item internal consistency and thus to measure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Flow State Scale that was tested in previous studies(e.g. Jackson & March, 1996) in order to test its validity before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and eliminating the ones whose answers were insincere or missed, I used total 278 questionnaires for final analysis with SPSS Ver. 13.0. Those research procedure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ifferences in flow experience among the surveyed dance major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ose who were in their thirties showed a higher degree of flow than those who in their twenties, and those who had a career of 16 years or longer also showed a higher degree of flow experience than those who had a shorter career. Although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the order among those who were attending college, graduated from college, and were attending a graduate school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flow experience, the overall degree of flow experienc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who were followed by those who were attending college and those who were attending a graduate school. As for the majors, the Korean dance major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flow experience being followed by the ballet and modern dance majors in the order. Those who performed on the stage twice or more engaged in more flow experience than those who didn't, and those who received awards in dance contests also did than those who didn't. Finally, those who had the leading part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flow experience. And secondly, the impacts of the dancers' flow experience on performance satisfac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greater internal reward was and the less loss of self-consciousness was, the higher their performance satisfaction was. That is,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performances when dance activities themselves became the goal regardless of external rewards and when their personal self-consciousness became one with the environment. It was also investigated if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flow experience and the subvariables of performance satisfaction, which were contribution of public good, personal achievement, and social recogn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ater internal reward the dancers had, the bigger contribution of public good was. The greater internal reward and feedback were and the less loss of self-consciousness was, the greater personal achievement was. And the greater internal reward was and the less loss of self-consciousness was, the bigger social recognition wa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low experience of dance majo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at their performance satisfaction depends on the various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 경력, 기술 수준에 따라 무용전공자의 몰입경험을 알아보고, 나아가 몰입경험이 공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무용전공자의 몰입과 공연만족도 향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무용전공자의 몰입경험이 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무용전공자의 개인적인 특성과 몰입경험에 관한 설문지와 공연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2008년 현재 4년제 대학과 대학원 무용과에 재학 중인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전공자 300명에게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개인적 특성, 몰입경험, 공연만족도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무용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을 측정하기위해 성별, 연령, 무용경력, 학력, 전공, 공연참여횟수, 수상경력, 주포지션 등 8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무용전공자의 몰입경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 1990, 1993)의 몰입경험 요인을 바탕으로 Jackson & Marsh (1996)가 개발한 몰입상태척도(FSS)를 사용하였다. 몰입상태 척도는 도전과 기술의 조화(change-skill), 행동과 인식의 통합(action-awareness), 목적(clear goals), 피드백(unambiguous feedback), 과제집중도(concentration), 통제력(sense of control), 자아의식 상실(loss of self-consciousness), 시간변형(transformation of time), 내적보상(autotomic experience)등의 9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몰입경험은 다시 9개의 하위 요인별로, 4문항씩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공연 만족도에 관한 문항은 Francise(1982), 이종혜(2001), 유규봉(2002), 이양출(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공익적 기여, 사회적 인정, 개인적 성취의 3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이에 따라 총 14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척도는 절대 아니다는 1점, 보통이다는 3점, 매우 그렇다는 5점을 주는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신뢰도 측정을 위해 문항 간 내적 일치도(item internal consistency)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 (Jackson & Marsh, 1996)을 통해 검증된 몰입상태 척도(Flow State Scale)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응답결과 자료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나 조사과정에서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표본 수는 278명이 선정되어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 절차에 따라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나타난 몰입 경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있어서는 20대보다 30대의 몰입이 높게 나타났고, 경력에 있어서는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이 몰입 경험이 높았다. 학력에 있어서는 몰입 경험의 하위 변인에 따라 대재, 대졸, 대학원재가 순위에 있어서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대체적으로 대졸, 대재, 대학원재의 순으로 몰입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있어서는 한국 무용 전공자가 높은 몰입 경험을 보였으며, 발레, 현대 무용 순으로 높은 몰입 경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횟수에 있어서는 2회 이상 공연한 사람이 몰입 경험이 높았고, 무용대회 수상 경력에 있어서는 수상경력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더 높은 몰입 경험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공연 시 포지션에 있어서는 주연급의 몰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연 몰입경험이 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적 보상이 크고 자아의식의 상실이 적을수록 공연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의 보상과 관련 없이 무용 활동 자체가 목적이 될 때와 개인의 자의식이 환경과 일체가 될 때 공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 경험과 공연 만족도의 하위 변인인 공익적 기여와 개인적 성취, 사회적 인정에 대한 상관관계를 각각 실시한 결과, 먼저 무용전공자의 내적 보상이 클수록 공익적 기여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보상과 피드백이 크고 자아의식의 상실이 작을수록 개인적 성취는 높았고, 내적보상이 크고 자의의식의 상실이 작을수록 사회적 인정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몰입 경험에 차이가 있고, 몰입 경험의 여러 가지 변인들에 따라 공연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