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60년대 이후 '다핵도심구상'의 발전과 서울 도시공간구조 변화 : - '3핵도심'의 발전을 중심으로

        서여림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단핵도심에서 탈피하고자 도시기본계획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다핵도심’의 공간구조를 구상하여왔다. 그리고 오늘날 서울은 사대문안, 영등포·여의도, 강남으로 이루어진 ‘3핵’이 두드러지게 발전하여, 2014년『2030 서울도시기본계획(2030 서울플랜)』에서는 ‘3도심’ 체제를 승인하여 설정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서울시에서 구상한 다핵 중에서 ‘3핵’이 어떻게 오늘과 같이 발전하였는지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고, 도시기본계획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기여해왔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계획 변화과정과 도시공간구조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도시공간구조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데에 있어서,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을 ‘주요기능 시설배치’ 측면과 ‘지하철 노선배치’ 측면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시기본계획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기본계획의 다핵도심구상은 정치·행정기관이 3핵에 입지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초기의 1966~1970년 도시기본계획에서는 다핵 중 3핵에 주요 정치행정기관의 입지를 계획하였다. 그리고 위치는 상호 변경되었으나, 1966~1995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3핵에 입지하게 되었다. 특히 사법부의 강남이전은 공간구조를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입법부의 경우, 국회 자체는 공간구조를 고려하여 입지하지 않았을지라도, 여의도 개발은 입법부의 입지와 함께 도시구조를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둘째, 도시기본계획의 다핵도심구상과 다핵 중 3개의 핵을 강조한 계획구상은 업무 및 상업기능의 시설배치에 영향을 미쳤다. 1972~2006년 도시기본계획에서는 다핵 중 3핵에 행정기능과 함께 업무 및 상업기능을 부여하였다. 실제적으로 업무시설은 여의도, 강남개발과 함께 1970년대 말부터 3핵을 위주로 분포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전반에 걸쳐 3핵도심구조의 모습이 나타났다. 상업시설(백화점)의 경우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강남권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영등포권에는 적은 수가 개점하여 영등포는 상대적으로 다핵도심구상의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기본계획의 다핵도심구상은 지하철 노선배치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1기 지하철 노선의 2호선은 기존의 직선형 노선계획에서 3핵도심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순환선으로 변경되어 건설되었다. 3,4호선은 2호선과 환승체계를 구축하여 사대문안과 강남을 연결하도록 하여, 다핵화를 가속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2,3기 지하철 노선은 3핵을 중심으로 형성된 서울의 공간구조를 고려하여, 영등포‧여의도 및 강남을 중심으로 하는 노선으로 계획·건설되었다. 이 같이 ‘3핵도심’은 최근의 2014년『2030 서울도시기본계획(2030 서울플랜)』에서 우연히 등장한 것이 아니라, 19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을 통하여 이루어 진 것이다.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ursued ‘the multi-centric city’ through city master plans and studies to break away from the mono-centric city since 1960s. Today, ‘3 major city centers’ consisting of Sadaemunan-city center, Yeouido·Yeongdeungpo-city center, Gangnam-city center were developed dominantly in Seoul, and approved as major city centers in the 2014 Seoul city master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3 major city centers' were developed remarkably from the planned multi-centers. and to prove that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long term. For this, The development of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in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was reviewed. The change of the land use pattern and of the location of major government and commercial functions in different centers were analyzed. The rearrangement of the subway lines in the last 50 years wa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3 major city centers. Result is that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long term.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of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Facilities and func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business and commercial functions to be located in 3 major city centers. Second,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of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subway lines. 1st subway line were planned to consider urban spatial structure. 2nd, 3rd subway line were planned to reflect that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has already 3 major city centers. Thus, The appearance of '3 major city centers' and the official recognition in the recent master plan are not by accident, but through continuous effort of City master plan since 1960s.

      • 도시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이미지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건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재 세계 도시들은 무한경쟁체제에 돌입했으며,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미래학자인 짐 데이토(Jim Dator)는 미래 경제의 원동력은 이미지이며,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이는 경쟁력 있는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제고를 통해 도시의 매력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국가 수도이자 대표도시라는 점에서 이미지 제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지 않을 수 없다.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한 정책의 수립은 도시 안에서 살아가는 주체인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도시에 대한 인식의 이해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시민의 인식이 반영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제5차 서울 경관 기록화 사업(2014-2015)」에서 실시하였던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해당 사업은 1995년에 시작하여 5년마다 서울의 당시 시대상을 사진으로 담아오고 있어, 서울의 지속적인 모습과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이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은 주로 도시의 어떤 요소를 인지하여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지 도출하여 도시이미지 요소의 특성을 밝히고, 인지지도에 나타난 도시이미지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시민들이 서울의 도시공간을 재구조화하여 인지하는 방식인 인지특성을 통해 서울 도시이미지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이미지 요소의 특성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강은 서울의 가장 뚜렷한 도시이미지 요소로 나타났다. 한강을 제외한 이미지 요소들은 주로 도심(사대문 안), 강남, 여의도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도심에 밀집되어 있다. 시민들은 서울의 시가지경관을 주로 인지하고 있었다. 상업지역·건축물·랜드마크 등 시가지경관에 해당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인지하는 반면에, 서울의 자연경관과 역사문화경관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도출되지 않고 특정요소나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도시이미지 요소 순위의 변화는 서울의 상권과 도시사업을 통해 조성된 요소들에서 주로 나타났다. 도시이미지의 구조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 도시이미지 요소는 대부분 도심에 밀집되어있으며, 도심은 시민들에게 역사와 문화의 중심지로 인지되고 있다. 도심의 도시이미지 요소들은 한양도성을 경계로 하는 그룹을 형성하며 시민들에게 인지되어지며, 서울의 대표적인 복합중심으로 나타난다. 서울은 한강을 경계로 도심으로 대표되는 강북과 강남구로 대표되는 강남이 서로 이질적인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강북권은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으나, 강남권은 대부분 강남구의 시가지경관에 밀집되어 있어 도시이미지 요소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한강은 서울을 강북과 강남으로 이등분하는 공간축으로서 서울의 공간구조를 결정하는 강력한 대상이다. 시민들은 서울의 도시이미지를 주로 랜드마크와 특정장소로서 구조화하였으며, 한강을 기준으로 도시이미지 요소들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The world's cities have entered the competition. They do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 urban competitivenes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the city through a positive city image promotion in order to grow as a competitive city. Seoul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age improving because Seoul is national ca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olicy-making that reflects awareness of citizen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urban image. This study uses the survey results of the "The 5th Seoul Landscapes Recording Project(2014 to 2015)".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image elements of Seoul,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image in the cognitive map shown. It will reveal the identity of Seoul city image through cognitive characteristics that the way of restructuring the urba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by the characterization of the image elements are as follows: Han River appeared in the most striking elements of Seoul city image. Image elements, excluding the Han River are mainly distributed in city center, Gangnam, Yeouido. In particular, it is concentrated in the city center. Citizens were aware mainly the urban scenery of Seoul. Recognize a variety of factors for the urban landscape. On the other hand, natural and historical landscapes focused on a specific element or area that does not derive a variety of factors. Rankings change of image elements are founded in the commercial area and development project of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by the structure analysis are as follows: Han River is a strong boundary to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of a space axis that bisects Seoul, Gangbuk and Gangnam. Image elements of city center are recognized to the citizens to form a group. City center is representative heterotopia of Seoul. Seoul Gangbuk and Gangnam has formed a heterogeneous urban image. Gangbuk is expressed in a variety of images, but Gangnam is mostly concentrated in the urban areas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of image elements. Citizens were mainly structured city image as a landmark and a specific place.

      • 서울대도시권의 도시공간구조가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민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들어 나타난 도시권의 출현과 이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적 경쟁구도의 재편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도시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인접한 개별 도시들이 행정적 경계를 넘어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도시권은 광역적인 규모로 인해 내부의 공간구조와 경제규모에 있어 단일 도시와 비교되는 독특한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단일 도시권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와 지역경제성장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들 두 개념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주요 흐름으로 설정하고 있다. 분석 과정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관련 연구들을 참고할 필요성이 있다. 도시권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전통적인 공간구조 이론들을 살펴본 결과 이들 이론으로는 도시권과 같은 광역적 지역에서 나타난 공간구조의 형성과정 및 특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권의 공간구조는 이론적 기반에서 접근하기보다 실증적인 분석에 의해 제시되고 있는 공간구조 유형을 본 연구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도시권에서의 공간구조 개념은 고용의 집중 정도에 의해 파악되며 특정 지역에 집중된 고용에 의해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성장이 발생되기에 도시권에서 두 개념은 공통적으로 집적경제를 통해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권을 대상으로 집적경제 개념을 이용하여 수행된 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미국 또는 유럽의 도시권이 분석대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국내 도시권을 대상으로 한 관련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도시권 중 고용의 집중 정도가 가장 높은 서울대도시권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시간적 범위를 2003년과 2013년으로 한정한 뒤 지역산업을 분석단위로 이용하였다. 또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핵심 연구질문을 설정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집적경제 개념이 내재된 종속변수 및 설명변수들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분석은 크게 서울대도시권의 지역산업별 중심지 판별을 통해 거시적인 공간구조를 파악하는 탐색적 연구와 도시공간구조가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는 설명적 연구로 나뉘어 수행되었다. 특히 설명적 연구 단계에서는 모형을 통한 인과적 관계 도출에 앞서 공간자기상관성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공간자기상관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탐색적 연구에 의하면 서울대도시권에서 서울시는 통합된 중심지가 다수 존재하여 높은 고용적 위계를 지니고 있으며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 특화된 고용 중심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고용 중심지가 감소하는 동시에 경기도에서는 고용 중심지가 증가하였다. 또한, 중심지로 선정된 지역보다 비중심지 지역에서 높은 고용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서울대도시권에서는 다핵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고용성장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설명적 연구 결과에서는 지역내 도시공간구조에서 다양화율, 다양화밀도, 다핵지수가 유의하며 지역간 도시공간구조에서는 거리가중 특화율, 서울시 중심과의 거리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의 경우 시가화면적과 도로길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서울대도시권에서 지역내 산업의 특성 지역간 산업의 특성에 따라 집적경제가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거리 변수를 통해 서울대도시권에서는 아직 기능적 다핵화가 달성되고 있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대도시권이 특정 산업을 전략적으로 성장시켜 글로벌시장에서 해당 분야의 우위를 선점하려 할 경우 특정 산업의 중심지를 판별하여 클러스터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대분류 단위의 산업뿐만 아니라 중분류 또는 소분류 산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에 여러 산업에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국내·외 여러 도시권의 공간구조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특정 도시권의 공간구조가 어떤 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향후 보유하게 될 공간구조를 예측하여 적절한 광역적 및 지역적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일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공간구조 이론들과 유사한 도시권을 대상으로 설정하는 공간구조 이론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Recently, city region is globally rediscovered, and competitive economic system is being reorganized around it. This brings up the research necessity on city region in many different fields. The city region, which forms a large market beyond administration borders, holds a unique feature compared to that of single city with respect to its internal spatial structure and economic size. Therefore, examining the concept of city region is especially worthy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ts up as main avenue to look at spatial structure and economic size within the boundary of single city region and then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Preceding research papers are referr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specifying the analysis process. There is difficulty in explaining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appearing in the broad regional area only by the traditional spatial structure theories. Based on this insight, the study tries to understand city region's spatial structure by applying the typology established empirically rather than theoretically. Furthermore, this study also utilizes the concept of agglomeration economies which is closely linked to the main two subjects investigated in the study. The concept of spatial structure in the city region is generally measured by the centrality of employment, and economic size is related with the level of employment. Since the researches that use the concept of agglomeration economies are mostly targeted the city region in Europe and US, applying the agglomeration economies concept on Korean city region can be another novelty of the study. The spatial extent of the study is limit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the density of employment is highest among the Korean city regions. And the unit of analysis is local industry. The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operatively defined in order to embed the concept of agglomeration economies. The defining process is perform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refully adjusted to meet the descrip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is schematically composed of two parts. One is exploratory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spatial structure of Seoul metropolitan area by distinguishing the center for each industry, and the other is explanatory research that draw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urban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During explanatory researching, presence confirm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is accompanied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is used based on the confirmation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research, more than two integrated centers are present in Seoul, therefore Seoul appears to stand at the top of hierarchical structure of employment. Also, specialized employment center is found in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As time passes, decrease in the density of Seoul's employment center and increase in that of Gyeonggi's employment center are witnessed at same time with great employment growth in non-central regions.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s that multi-centralization is on the proces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anatory research, as for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ithin-region, the factor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mployment growth are the rate of change in diversification, the density of diversification, and polycentric index. As for between-regions, distance weighted specialization coefficient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Seoul are empirically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From these, the study conjectures how agglomeration economies affect employment growth depending on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whether within or between the reg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Moreover, the level of multinuclearation in functional aspect can be inferred.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strategic city region growth. In other word, if Seoul metropolitan area has a dash at being a first mover of a certain industry in the world market, it can work out a strategy to encourage the industry, which the region tries to make specialized, by discerning the center of it and inducing the formation of cluster around it. Also, since the analytical method of this study is available to wide range of industry classification from big class level to more specific class level, more concrete city region strategy can be arranged. Second,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discuss appropriate future plans for the city region. If the extent of the study is expanded such as to analyze the forming process of city regions other tha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example multiple city region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o compare the results, the development stage of certain city region can be traced and the future spatial structure the city region would proceed to can also be predicted. Lastly, this study lays groundwork for urban spatial structure theory on city region.

      • 서울 도심부 보전의 형성과 변화 : 2000년 이후 도심부 관리 계획을 중심으로

        이범훈 서울市立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8719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urban management plan in 2000, which attempted to transform the urban management policy that emphasized development to the balance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hat is it? " For this purpose, we first examined the flow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 historic preservation policy and the urban planning before 2000. The idea of urban development in the Seoul's master plan, which started in the 1960s, has gradually changed. During the 1970s and 1980s, various concerns continued on the Seoul Master Plan, the Downtown Development Plan, the city's unique identity in urban design, the place, the area, and the buildings. Especially in the 1990s, urban basic plan changed from development to conservation. In addition, the Seoul Master Plan of redevelopment appear change of percep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center, and the direction to maintain and man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center was established. In this context, it was the occasion of establishing the Downtown Area Plan for the management of the city center in 2000. As a result, the Downtown Area Master Plan(2000) is the first plan to combine institutional and planned efforts to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owntown. Paradoxically, however, the 2000 plan was established by an administrative plan, not a statutory plan. The direct background in which the plan was established was the issue of the redevelopment of the existing urban center, which was raised in July 1996 by the Seoul City Urban Planning Committee At that time, the city planning committee members positively raised the issue of the loss of history due to the redevelopment of the city center. Especially, in the city planning committee, Mr. Yeo was the first member to raise such issues as the direction of redevelopment in urban areas, consideration of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conserv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hanges in the preserv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the 2000s, which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is process and the interest of the Seoul mayor,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beginning of the concept of preservation in the administrative policy of the city center. Until 2000, most of the urban planning projects in Seoul were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city center management system. However, since 2000, unlike the existing ones, we have set policy goal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unique identity of the inner city and tried to achieve this through various means of preserving history. This flow also influenced the sub-plans, which led to various redevelopment schemes in the urban redevelopment plan. Over time, the promotion of re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intervened, but today the policy objectives for the management of historicism in the inner city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Second, the characteristic preservation district, which is the historical preservation measure of the urban management plan, was introduced and its scope was gradually expanded. This is a new zoning system that was introduc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center. Since then, the objects have changed around the Cheonggyecheon stream, and various projects have been proposed. These changes had a major impact on the urban redevelopment plan. These areas led to the renewal of the area without applying the redevelopment method. In the end, in the case of the city's unique identity, historical resources, and scenery, the area was removed. Third, the height regulation of the building has been introduced and various standards have been set, but today it is set as the existing height regulation. The maximum height of the building in the city center was set at 90m. However, the height standard has been eased by the restoration project of Cheongchecheon and re-creation of the city center. As a result, the height was set at 90m for reasons of cityscape. These results had a direct impact on the redevelopment plan and suggested incentives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business feasibility, but this was also abolished. Fourth, the scope of preservation of historical resources has expanded. In addition to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protected by the Landmark Protection Act, the historical city structure, old roads, waterways, palaces, and other historical objects were set and specified. This will affect the redevelopment plan. The conservation redevelopment method was introduced and the redevelopment project wa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modern buildings, urban organization, and waterways. 본 연구는 ‘서울 도심부를 대상으로 한 도시 보전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였는가?’, 구체적으로 ‘개발을 중시해온 도심부 관리 시책을 개발과 보존의 균형으로 전환을 시도한 2000년 도심부 관리 계획이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질문을 통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시 역사보존 정책 흐름과 2000년 이전까지의 도심 계획을 살펴보았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도시기본계획 내 도심부에 대한 구상은 현대화와 전면적인 개발이었지만 1970년대, 1980년대 도시기본계획, 재개발기본계획, 도시설계에서의 도심부의 고유한 정체성을 지닌 장소나 지역, 건물 등에 대한 다양한 고민들을 거치며 점차 변화하였다. 특히 1990년대는 도시기본계획에서 도심부 미래상을 개발에서 보존으로 전환하였고 이에 따라 재개발 기본계획에서도 재개발을 바라보는 인식이 변화하였다. 이는 도시계획적 차원의 보전에 대한 관심은 점차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2000년 이후 도심부 관리 계획들은 그 이전 개발을 중시하는 가운데 조금씩 논의되기 시작한 제도적, 계획적 노력이 종합화한 최초의 계획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2000년 도심부관리기본계획은 법정계획이 아닌 행정계획으로 수립되었다. 서울시가 도심부를 대상으로 한 도시계획적 노력이 시작된 직접적인 배경은 1996년 7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도심재개발사업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도시계획위원들의 도심부 재개발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회의록을 통해서 살펴본 결과, 당시 서울의 도심재개발로 인한 역사성 멸실에 대해 도시계획위원들이 적극적인 문제제기를 하였으며, 담당 공무원은 이러한 요구들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특히, 도시계획위원 중 여홍구는 이러한 도심재개발 방향에 대한 문제, 역사성에 대한 고려, 제도적 장치 마련, 주변 환경의 보전 등을 처음으로 제기한 위원이었다. 이러한 과정과 민선 서울시장의 관심에 따라 수립된 2000년대 이후 서울 도심부 계획에서 나타난 보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부 관리 정책방향 내 보존 개념의 도입이다. 2000년 이전, 서울의 도시계획에서 바라본 도심부는 대부분 도심기능의 현대화라는 목표 아래 도심관리 수단으로 주로 재개발사업을 우선적으로 시행하였지만 2000년 이후, 도심부 관리 계획의 수립을 통해 기존과는 다르게 도심부의 고유한 정체성을 고려한 정책목표를 설정하였고 다양한 역사보존의 수단들을 통해 이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하위 계획에도 영향을 미쳐, 2000년 도심재개발계획에서 철거재개발의 확대를 지양하고 수복 및 보존 재개발 수법 등 재개발 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재개발사업이 미시행된 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식이 개입되었지만 오늘날 도심부의 역사성 관리는 한층 더 강화되었다. 둘째, 역사보존 수단인 특성보존지구가 도입되었고 점점 대상범위가 확장한 것이다. 이는 도심부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마련하기 위해 도입한 새로운 조닝 제도로써 2000년도 도입되었으며, 이후 2004년 청계천 주변을 중심으로 대상이 변화하였고, 2007년 도심부 재창조 종합계획에서는 특성보존지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사업이 제안되었다. 이후 2015년 역사도심 기본계획에서는 특성보존지구가 특성관리지구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도심부 내 대폭적인 지구지정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도심부를 대상으로 한 재개발 계획의 정비구역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정비예정구역에서 특성보존지구의 경우, 재개발 수법을 적용하지 않고 자생적으로 갱신을 유도하도록 하였으며, 도심부 고유한 정체성과 역사자원, 경관 등을 고려하여 해제하도록 유도하였다. 셋째, 건축물의 높이 규제를 도입하여 다양한 과정을 거쳤지만 결국 기존의 높이 규제로 설정한 것이다. 이는 역사성을 보존하면서 내사산과의 조화를 유지하고 점진적인 스카이라인의 변화를 도모하고 도심부의 최고높이를 관리하겠다는 의지로 90m로 설정하였다. 이후 청계천 복원 사업과 도심재창조사업의 영향으로 높이기준을 110m와 인센티브 적용 등으로 완화하였지만 오늘날 내사산, 한양도성 등 도시경관과의 관계에 따라 기존의 최고높이인 90m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재개발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쳤고, 재개발 사업성이라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인센티브를 제시하였지만 이마저도 오늘날 폐지하였다. 넷째, 도심부 관리 계획의 역사보존 수단으로 역사자원의 보존대상 범위가 확대되었다. 2000년 도심부 관리계획에서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지정문화재 이외에도 도심부의 역사유산으로 옛 도시구조(인사동, 가회동 등), 옛 길(골목길, 돈화문로 등), 옛 물길(청계천 등 14개 물길), 궁 및 관아(대부분 멸실), 근대건축, 유명 인사의 가옥, 다리, 이외의 전통의식, 문화행사, 영화관, 박물관 등 문화자원 등을 포함하였다. 2004년 도심부 발전계획에서는 청계천 복원을 계기로 도시구조(내사산, 서울 한양도성, 자연지형, 청계천 등 옛 물길 등)에 대해 인식하였다. 2015년 역사도심 기본계획에서는 지정문화재나 등록문하재로 관리되고 있지 않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으며 잠재적인 근대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근현대 건축자산으로 지칭하여 210건을 목록화하였고, 또한 옛 길 등 도시조직을 발굴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하위 계획인 재개발 기본계획에서는 5개의 근대건축물이 보전재개발방식이 적용되었고, 이후 피맛길과 중학천이, 오늘날에는 근현대건축자산 210개동과 옛 도시조직과 옛 물길의 구체적인 대상으로 점점 보존 대상의 범위가 확장되어가고 있는 상태이다.

      • IPA를 통한 대도시 관문시설의 이미지 평가

        현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19

        현재 전국의 대도시들은 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하여 관문경관(Gateway Landscape)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체성(Identity), 독창성(Creativity), 풍토성(Vernacular) 등이 반영된 이미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관문시설(Gateway Facilities)들은 매우 노후화된 시설물로써 도시이미지를 훼손하고 있으며, 특색이 없는 디자인으로 인하여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주변 자연환경과의 부조화를 이루는 등 주변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도시마다 고속도로 톨게이트(요금소)나 철도 역사, 공항 등 관문시설의 외관 디자인이 평범하고 비슷할 뿐만 아니라 지역별 특색이 없어 도시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관문시설의 경관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의 관문도시로서 위상을 높여가고 있는 서울을 비롯한 6대 광역시의 주요 관문시설에 대한 첫 인상을 점검하고 개선하여 도시이미지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경우 관문시설에 대한 경관을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시스템의 평가구조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관문시설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통하여 기존 관문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도시 관문시설의 경관을 평가하기 위하여 범용화가 가능한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설정하여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관문시설별, 관문시설 평가지표별 특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지는 7개 대도시의 대표 관문시설인 철도 역사, 고속도로 톨게이트, 버스터미널, 여객터미널, 공항을 대상으로 관문시설의 평가 구성요소를 건물의 외관, 가로, 시설물, 건물의 내부의 4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사분면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사분면은 관문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제2사분면은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아 집중관리를 통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이 요구된다. 제3사분면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 우선순위에서 배제시켜도 무방하며, 제4사분면은 낮은 중요도에 비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과잉관리를 억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도시의 관문시설은 대부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인 제2사분면과 제3사분면에 분포하고 있으며, 관문시설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디자인과 색채, 시설물의 설치와 배치, 식재와 조경 등의 문제를 개선할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대도시의 관문경관을 평가하기 위하여 범용화가 가능한 경관지표 15개를 추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상징성, 경관성, 안전성, 접근성, 지속가능성의 6개 요인으로 지표를 선정하였다. 대도시의 관문경관 평가지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Duncan의 사후검정을 통하여 신뢰성을 검증하고 도시의 관문시설 평가 지표별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서울과 대전은 ‘도시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거나 도시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되며’, ‘도시 고유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등의 상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은 ‘가로시설물(Street Furniture)과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배리어프리(Barrier Free)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다’로 분석되어 기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경우는 상징성과 ‘기존 건물 등 주변 환경과의 조화’, ‘좋은 전망을 제공’, ‘야간 조명의 설치 유무(有無)’ 등의 경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울산과 부산은 상징성이 높게 나타났지만 ‘사람들이 주기적으로 장소 이용’, ‘유지 관리(Management)’ 등의 지속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주는 지속가능성이 높고 상징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여 관문시설의 경관을 향상시킴으로써 도시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도시의 관문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관문시설별 특화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다음으로 평가지표 분석을 통하여 공공성 측면, 디자인 측면, 유지관리 측면으로 분류하여 관문시설별 경관개선에 대한 특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관문 권역의 경관 특화에 대한 기본 개념, 세부 지구 지정, 지구 내 특화 방안 등을 담은 운용지침(Guideline)이 필요하며, 세부계획 수립 시 주변 지역까지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범위(관문권역)를 설정하고, 관문경관과 적용 대상과의 관계를 고려한 계획 내용과 경관 디자인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관문 권역별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특화사업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도시이미지 제고를 통한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다양한 분석 기법을 통하여 대도시의 관문시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으며, 향후 도시이미지 향상을 통하여 도시재생 및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 변화 연구 : 대구지하철 1호선 개통전후를 중심으로

        손창섭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도시화의 가속화와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률에 따라 심각한 교통문제와 주택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개발과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도시교통에 있어서 교통수단을 개인교통수단과 대중교통수단으로 구분하고 다시 대중교통수단을 버스와 도시철도로 구분하여 각 교통수단에 직접적으로 공급과 수요를 조절해 나가는 정책이 중요한 시점이다. 여기서 교통문제에 대한 대처는 승차인원을 많이 수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부문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효율적인 운영으로 승용차와 대중교통간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그 대안으로 도시철도와 같이 통행수요가 집중되는 교통축을 흡수할 수 있는 큰 교통수단으로 대체하여 도시교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통체계를 획기적으로 정비하는 일대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철도는 단기적인 교통정책에 따라 즉각적으로 통행수요가 반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계획을 위한 의사결정 단계에서부터 명확한 건설의 타당성과 준공 후 개통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도달하기 위하여 대구지하철 1호선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개통전후의 건축연면적을 분석하여 토지이용의 변화를 관측하고 개통전후의 통행량 자료를 비교하여 교통체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세권 인접 교통존의 경우에는 개통 후 도시철도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택시와 자전거의 수송 분담률이 비역세권 보다 높아져서 이들 교통수단을 이용한 다소간의 도시철도 환승통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고 승용·승합차와 버스의 경우에는 비역세권 보다 오히려 감소되어 이들 교통수단의 일부수요가 도시철도로 전환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연구 성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되었던 개통전후의 역세권별 토지이용 변화 결과를 토대로 대중교통중심개발(TOD : Tansit Oriented Development)과 같은 도시철도 노선연변의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도시개발을 유도하는 도시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바이다. 또한 개통전후의 교통체계 변화 분석결과를 토대로 승용·승합차 및 버스에 의한 park&ride 및 bus&ride와 같은 환승통행 뿐만 아니라 택시와 자전거를 도시철도에 연계하여 환승수요를 확대하고 승용·승합차로부터의 전환수요를 제고시키는 도시철도 수송수요 증대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in proportion to accelation of urbanization and rapid automobile extension, various problem, such as serious traffic and hosing problem, has been causing. To solve the problems, systematic development and management are needed. For urban traffic, traffic means must be divided into private and public means, public means must be divided into buses and urban railroads, so supply and demand are controlled directly for each traffic means. To cope with traffic problems, the authorities have to invent constantly in the public traffic which can accommodate many passengers and balance cars with the public traffic by operating effectively. The alternative plan is to be replaced as the urban railroads which can absorb intensive passing demands. Then the authorities can enlarge efficiency of the urban traffic and keep in good repair the traffic system epochally. But, because passing demands of the urban railroad doesn't react instantly to short-term traffic policy, to maximize the effect of opening to traffic after completion and to clarify propriety of the building in a step which decides plans are main subject.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chose Dae-gu subway Line 1 as research object and analyzed building area per year of the before and after opening to traffic and observed changes of the land using and compared passing datum and analyzed changes of the traffic system. As a result, in the case of traffic zone which is located in a railroad territory, as the urban railroad using become possible, transport allotment rates of the taxies and bicycles became higher than non-territory zon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some railroad transfer passing is accomplished. On the other hand, using of the cars, microbuses, buses became lowe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some of the demands for traffic means conversed to the urban railroads. Through these study accomplishments, this research suggests urban policies which lead planned and systematic urban development of railroad line changes per year in the base of results of land using changes, such as TOD(Tansit Oriented Development). Also, the authorities have to make not only transfer passing by cars, microbuses, buses but also contact taxies and bicycles with urban railroads enlarge transfer demands and consider increasing policies of the urban railroad transport demands which raise conversion demands from cars and microb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