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도서관 이용자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전유란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의 변화와 디지털 환경에 놓여있는 학생들이 이에 맞는 학습 능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제안하는 데 있다. 첫째, 학교도서관의 이용자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사서가 이용자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용자교육 시기 및 대상으로는 학기 초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교육 실시 내용으로는 학교도서관 이용 예절과 규정, 학교도서관 용어 설명 순으로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정보활용과 관련한 교육 실시 내용으로는 도서관 이용 지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용자교육을 계획할 때 학년을 가장 중점을 두었으며, 교육 방법에 대한 정보와 연구의 부족이 이용자교육을 실시할 때 장애요인으로 인식하는 사서들이 많았다. 또 이용자교육의 방법 및 교수 매체는 시청각 자료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장 큰 효과로 독서활동 증진을 가장 높게 응답했다. 둘째, 이용자교육 활성화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용자교육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정보활용 영역의 이용자교육 필요성에는 정보의 탐색, 접근, 윤리,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체계적인 이용자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또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서들은 이용자교육내용 범위 확장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용자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는 학교도서관이 정보센터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사서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항목에 높게 응답하였다. 학교도서관에서 효과적인 이용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서를 위한 이용자교육 관련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참여 의사에서도 높은 응답을 하였다. 또 이용자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이용자교육을 위한 정규수업시간 확보, 자료의 개발과 보급, 매뉴얼 구축 및 프로그램 개발 마련, 1교 1인 전담인력 배치가 되어야 한다는 추가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교육과 관련한 전문적 연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교육청에서 연수를 기획할 때 실무자의 시각과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전담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화된 연수가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확대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이용자교육 내용을 다양화 한 학년별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용자교육의 내용 체계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학년별 편차가 심한 초등학생을 위한 이용자교육 자료가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셋째, 이용자교육을 위한 정규 교육 시간이 편성되어야 한다. 단기간으로 이루어지는 이용자교육의 형태로는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정규 교육 시간을 확보하여 체계적인 이용자교육을 이루어가야 한다. 넷째, 사서들은 이용자교육에 대한 자신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이용자교육은 사서의 역량에 따라 이용자에게 천차만별의 내용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사서의 역량 강화를 통해 이용자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여 이용자교육의 활성화에 앞장서야 한다. 다섯째, 이용자교육의 내용에 기초적인 정보활용교육을 포함시키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기본적인 정보활용능력을 갖추어 변화되는 교육 환경 속에서 잘 대응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need to revitalize the education of school library users as one of the measures to change school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and to equip students in the digital environment with the appropriate learning 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revitalize the education of school library user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user education in the school library, the majority of librarians conducted user education, and the response that it was conducted for first grader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as the highest. As for the content of user education, high responses were given in the order of explaining the etiquette and regulations for using the school library and the terminology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instruction of library use was the highest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use of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planning user education, the grade was the most important, and many librarians recognized the lack of information and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as an obstacle when conducting user education. In addition, the method of user education and teaching media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audiovisual materials. Lastly, the greatest effect they want to obtain through user education was the promotion of reading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vitalization of user education, they were highly interested in user education, and they positively recognized that education on information search, access,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was necessary for the necessity of user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utilization area.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systematic user education were also positively recognized, and librarians thought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user education content. Regarding the direction of user education, they responded highly to the item that the role of librarians is important in order for school libraries to establish themselves as information centers. They recognized that professional education related to user education was necessary for librarians to be effective in school libraries,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was also high. In addition, there were additional opinions that as a way to improve user education, regular class hours for user education should be secured, dat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manual construction and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prepared, and dedicated personnel should be assigned to one school.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roving school library us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training opportunities related to us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is end, when planning training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r the Office of Education, a program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s and opinions of practitioners should be organized, and specialized training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dedicated personnel should be expand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data for each grade that diversifies the contents of user education. Standards for the content system of user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nd user education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evere deviation by grade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hird, regular education hours for user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ince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cannot be achieved in the form of short-term us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regular education hours to achieve systematic user education. Fourth, librarians must continue to strive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in user education. Since user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users depending on the librarian's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the lead in revitalizing user education by properly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user education through strengthening the librarian's capabilities. Fifth,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user education, and this should lay the foundation for learners to respond well in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 거제시 학교도서관의 운영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김배경 신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지금 우리는 정보를 활용하여 창출된 지식이 생산성 및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어져 2000년부터 변화하는 사회와 교육적 환경을 반영하기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을 시행하였다. 이것은 암기 위주의 주입식 학습을 벗어나 종합적인 사고와 통합교과적인 탐구학습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화는 80년대 후반부터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학술연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전산망과 정보화 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교육정보화의 영향으로 멀티미디어 학습환경과 새로운 교육과정의 실시로 자연스럽게 다양한 자료와 학습매체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것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할 전문가와 공간이 있는 학교도서관의 필요성과 가치가 새롭게 재조명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근본원리에 있어서도 새롭게 정리되어 학습자료 운영을 통한 교육과정 지원과 학습자료 이용지도를 통한 정보활용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적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자발적인 경험과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교실과 교과서에만 한정된 교수·학습의 경계를 확장하고 유연하게 하는 기능을 지향하는 교수·학습지원센터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국가정책에서 반영되기도 하였다. 그것은 2002년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 이라는 교육인적자원부의 학교도서관 정책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간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학교도서관 기본시설 및 장서확충, 도서관 활용프로그램 강화, 전담관리 인력 배치 및 전문성 제고, 학교도서관 지원 민관협력체제의 구축 등 네 가지 수행과제를 설정하고 있고, 학교도서관의 상시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해 학교 경상운영비의 3%를 학교도서관 예산으로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003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가 2년마다 시행되는 시·도교육청 평가에 학교도서관 영역이 포함되었는데, 이것은 중앙교육행정당국이 지역교육청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장학활동을 지시하고 감독하려는 정책적 지도력을 명확히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사회흐름인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 국가적인 교육정보화 정책, 7차 교육과정 개편, 행정당국의 정책 시행 등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어떤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황 평가 결과는 보다 의미 있는 정책수립과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거제시 학교도서관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거제시는 인구 20만 명의 중·소규모 도시로 성장 중심산업이 농어업에서 조선산업 중심으로 이동되는 추세에 있고, 육지와 밀접한 섬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대상 지역을 거제시로 설정한 것은 본 연구자의 거주 지역이어서 조사 연구가 수월하다는 현실적인 이유와 함께 거제시가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문화적 교육기반시설이 충분치 못하므로 학생들의 일상 생활반경에서 교육·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 역할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역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초적 전수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기 때문에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되는 자료는 향후 지역의 정책수립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ies in Geoje City and to suggest some strategic alternatives to activate their performances. This study adopted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methods to get some conclusions. The data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reality of school libraries in Geoje City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school librarians and/or the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operation. The conclusiv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Policies of school libraries should be establish in the context of general educational policies of the nation and the province in which they are located. The offices of educat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Geoje City must establish their own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policy. 2)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which impose duty on every schools to have school libraries and school library teachers should be enacted. The offices of educat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Geoje City ought to establish their own organizational department responsible exclusively to making and administrating school library policies. 3) The school libraries must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collection of books, operating budget and equipments. The office of education of Geoje City must observe the guideline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de divers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edia, databases, and computers. 4) Variety of in-service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school librarian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The offices of educat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Geoje City should prepare some integrated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5) School library's budget should be secured in accord with the guidelin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offices of educat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Geoje City ought to ensure their own budget for shool libraries. 6) School library programs linked with academic and study activities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Variety of events and promotions, self evaluation, activation of cooperative movement between public and private entities in the region would lead to those developments and operations.

      •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조영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위한 계속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미국, 영국, 일본의 학교도서관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도출한 시사점은 국가 및 주정부, 대학, 전문직 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유형의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계속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인증제 및 수료증 발급 등과 같은 공식적인 보상제도를 실시하여 계속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있었다. 또한 도서관 기초법률과 지역사회 및 공공도서관 협력, 디지털 및 IT 기술을 적용한 수업 방법, 마케팅 및 홍보 등과 같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오프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온라인 교육, 웨비나 및 웹캐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국내의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사례와 경상남도지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은 모든 관종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교도서관협의회는 학교도서관 계속교육과 관련하여 거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은 상황으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전문단체나 기관이 없다. 둘째, 계속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이수 실적에 따른 보상제도가 기관마다 다르게 실시되고 있어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일관성 있는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 않다. 셋째,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방법이 다양하지 않고, 전문성 개발에 필요한 주제와 실무와 연계된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적게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기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교육청에서 독서교육 정책과 지역별 상황에 맞는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국립중앙도서관에 학교도서관 담당 부서를 조직하고, 학교도서관협의회의 실제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각각의 역할에 맞도록 기능을 강화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둘째, 계속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이수 실적과 연계되는 보상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매년 또는 경력별 이수학점을 관리하여 이수학점을 채우면 공신력 있는 기관의 이수증을 발급하고 그와 함께 근무평정에 반영하여 전보나 승진 등 인사상의 가산점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온·오프라인 형태의 블렌디드 수업과 같이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제 업무와 연계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주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학교도서관 전담인력들은 전문성을 강화하여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school librarian in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librarian in the future. First, we looked a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by school library association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Japan. The implication derived from this is tha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various types of school library dedicated personnel operated by national and state governments, universities, professional organizations, etc. are systematically operated, and official reward systems, such as certification and certificate issuance, afte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re implemented. This wa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ntinuing education. In additio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such as library basic laws, community and public library cooperation, digital and IT technology-applied teaching methods, marketing and publicity, and continues education program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offline education, online education, webinars, and webcasts. Next, the following problems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e case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dedicated school library personnel in Korea and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targeting dedicated school library personnel in Gyeongsangnam-do. Firs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operating all types of libraries, and the School Library Association plays little in leading role i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libraries, and there is no professional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for continuing school library education. Second, there is no consisten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as the compens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ompletion performance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is implemented differently for each institution. Third, there are not many ways to participate i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dedicated personnel in school libraries, and there are few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topics and practices necessar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make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library staff more effective. First, an institution that will play a leading role is needed to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carry ou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dedicated staff in school libraries. To this e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establish relevant policies to operate reading education polici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regional circumstances, organize a department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actual role of the School Library Council. It should be prepared and systematically operated by reinforcing functions suitable for each rol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ensation system that is linked to the performance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fter participating in them. If the number of credits earned is met by managing the number of credits earned each year or in your career, a certificate of completion from an institution with public confidence should be issued. Also, together with that,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job evaluation and additional points should be given in personnel matters such as transfer or promotion. Thir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we should operat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such as online and offline blended classes, and with a wide range of topics, focusing on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actual work.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s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duties by strengthening their expertise.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교과연계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배경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ole of school libraries is also being redefined as the paradigm of education changes. Accordingly, the Education Ministry has proposed the promotion of convergence and connection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such as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skill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linked to school curriculum," as one of the tasks under the third basic plan for promoting school libraries. As the Education Ministry said, the site of the school library is now in a period of qualitative change to expand human resources and be reborn as a Academic support center, the main purpose of the school library. Therefore, the school library now calls for the sharing of various cases to make the use of the school library a daily basis for convergence and connection cooperation classes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cooperation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by presenting examples of curriculum-linked cooperative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ing a survey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one class in fourth and sixth grade.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aims to provide a measure for the qualitative leap forward and activation of school libraries.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nge in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the cooperation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operation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use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after the cooperation class also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84.8 perc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library's cooperation class recognizes that it helps in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solving tasks. First of all, teachers' perceptions have changed the most. The negative reaction shown by teachers before the cooperative instructio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cooperative instruction, which resulted in the number of cooperative instruction conducted in the school library,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per first class,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subjects. Seco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struction have given teachers confidence and positive influence on class innovation. Third,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use rate and satisfaction in school libraries. In order to proceed and activate the desirable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struction, librarians (teachers) should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books that the school library has, should have a textbook and a teacher's guide, and need various and rich publications that fit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pose librarians (teachers) to enable coope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to be implemented, and to change the perception among officials that coope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can only be conducted by librarians. 인공지능시대의 도래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역할도 재정립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을 통해 ‘교과 수업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으로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 등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융합・연계수업 추진을 과제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교육부가 밝힌 바와 같이 이제 학교도서관 현장은 인적 자원을 확대하고 학교도서관 본연의 목적인 교수-학습지원 센터로 거듭나야 하는 질적 변화의 시기로 접어든 것이다. 따라서 지금 학교도서관 현장에는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융합・연계 협력수업, 정보활용교육을 일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 공유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S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교과연계 협력수업의 사례를 제시하고, 이 가운데 4학년과 6학년 각 1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 진단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이 질적으로 도약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통한 정보활용능력 변화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초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수업 후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84.8%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이 정보활용능력과 과제해결 등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시행한 교과연계 협력수업의 사례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교사들의 인식이 가장 크게 달라졌다. 협력수업 전 교사들이 보였던 부정적인 반응은 협력수업을 진행한 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진행 횟수, 1학급당 평균 참여 비율과 참여 교사 비율 증가 및 교과목도 다양화되는 효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교사들에게 수업 혁신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율과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 진행과 활성화를 위해 사서(교사)는 학교 교육과정과 학교도서관이 갖춘 장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고, 학교도서관에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비치하여야 하며, 교육과정에 맞는 다양하고 풍부한 출판물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제안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사서교사만 할 수 있다’는 관계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신라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혜린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43

        With the recent era of globalization of educatio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visiting Korea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trend,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provide diverse and appropriate services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and educational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se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among foreign students attending Silla University and, based on this, proposed a plan to promote the us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239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suggest specific and practical service improvement plans and the need for program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and satisfaction among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atus was identifi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unable to use library services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to use the librar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use the university library to learn Korean as part of their language training course. Third, in the case of Silla University's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were many students from various countries and languages. Fourth,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website and APP support only Korean and English, making it less accessible to students who cannot speak Korean or English. Fifth, international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were found to use library facilities more than the library materials. Sixth,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were affiliated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library for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library usage rat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is a need to provide education on the use of multilingual libraries through new student orientation. Second, there is a need for libraries to provide a variety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and books based on the language us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in the case of multilingual language materials that are not available in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it is necessary to inform students that they can provide materials requested through interlibrary loan with other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many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domestic universities. Fourth, there is a need to build a multilingual website and APP service and provide interpretation services through the librarian desk. Fifth, there is a need to produce pamphlets regarding overall library facilities and equipment in multiple languages and place them at the library entrance.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brary service system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o that foreign students can use the services they require. 최근 교육의 세계화 시대가 열림에 따라 한국을 찾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국적, 교육 과정 등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라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한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서비스 개선방안 및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도서관 이용법을 알지 못해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어학연수 과정으로 한국어 학습을 위해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다양한 국가 및 언어를 사용하는 유학생이 많았다. 넷째, 신라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와 APP에서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하여 한국어와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라대학교 유학생의 경우 도서관 자료의 이용률보다 도서관 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한국어교육원 소속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에 따라 제안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통한 다국어 도서관 이용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한국어 학습교재 및 도서 자료를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신라대학교 도서관에 갖춰지지 않은 다국어 언어자료의 경우 국내 대학교 중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타 대학도서관과의 상호대차를 통해 학생들이 요구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 넷째, 다국어 홈페이지 및 APP 서비스를 구축하고 사서 데스크를 통한 통역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전반적인 도서관 시설 및 설비에 관한 팸플릿을 다국어로 제작하여 도서관 입구에 비치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신라대학교 도서관과 한국어교육원과 협력을 통한 외국인 유학생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 프로그램 고찰 : 충남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용순 공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9743

        Our public libraries manage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 activities as social facilities. Among these activities, reading activities are managed in many public libraries as a way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reading education program mostly on reading classroom and reading circles. Reading education program done by the libraries in the country is not as well activated as those in the big cities.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remedy for effective reading program management by looking over the faced problems and analysis them. I used the question-paper method. Among 24 public libraries in Chung-nam, I distributed the question papers to 21.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are restricted to the men whoparticipated in the reading classroom, and librarians. The followings are improved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analysis through the above progress. 1. The members of reading circles should consist of the men or women who have similar level of reading abilities and experiences, and we should teach reading methods to the students who are lack of reading abilities. By doing that we are able to fulfill the aims we are to reach. 2. We need a place to manage reading education program. But we temporarily use the reading room in most librarie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o we should make the rooms like seminar rooms, in order to do reading activities. 3. The financial aids should be supported. For in reading activities we have many difficylties in choosing teachers and managing various programs, if we are lack of them. 4. To manage the reading circles and reading classroom effectively, we should wxplore the systematic and standard programs. 5. There are many duties for chief librarians, so their activities are easily inclined to be the formal ones. Therefore to tea and manage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there should be consulting librarians and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ies we should have research training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