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이소희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s on the status quo of Korea that as the desire for happiness increase and diversify, the long-term care(LTC) facilities which can are required to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gratify it. Thus, LTC facility service system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desire should be well established. This study would offer basic data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LCT facility program by developing program rating scale which can assist planning, implement, and suggesting alternative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of the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the rationale for the situation, input, process, evaluation area and item development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can be obtained. Second, this study establish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areas and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opinion and program field survey, Third, based on questionnaires of the elderly medical-welfare institution program evaluation area and item aimed at the LCT facilities workforce, this study defines the measurement scale for program evaluations through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he program evaluation scale of LCT facility program to assist the program development for LCT facility and the program for the facility. Also, this study develops sub-questions by setting evaluation areas as situation evaluation area, input evaluation area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future LCT customer based on basic data to assist the overall program evaluation by planning and promoting the program. Keywords: Elderly Medical-Welfare Facilities Program, CIPP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of Rating Scale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삶의 행복감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노인의료복지시설에게도 그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욕구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관리와 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에서 활발하게 사용 중인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담당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동시에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sess evaluation),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4개의 과정을 통한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준거 설정배경에서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논문 및 저서, 학술지, 발표자료, 장기요양기관평가 관련자료 등을 통한 CIPP 평가모형의 4가지 항목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통한 영역간의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예비 평가 영역 내용과 항목을 구축하여 그 준거와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평가준거 개발에서 전문가 집단 중심의 포커스 그룹(Focused Group)의 의견조사를 거쳐 예비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설문조사를 거쳐 SPSS 0.8과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전문가 협의 후 프로그램 평가 준거를 구축하였다. 셋째, 평가준거 확정에서는 모든 부분을 수렴, 정리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최종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 척도의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에 필요한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을 하였으며, CIPP 평가 모형에 근거하여 상황평가 영역, 투입평가 영역, 과정평가 영역, 산출평가 영역으로 평가 영역들을 설정하여 하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기획, 계획, 추진에 따른 전반적인 프로그램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클라이언트 폭력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주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815

        This study intends to grasp of client violence on stress perception and task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and to verify moderating effect of job identity on stress perception and task exhaust according to client violence.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as made on 381 workers at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Daegu․Gyeongbuk. First, pursuant to verification result of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on stress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client violence exercised influence on job-oriented stress which was a sub-variable of stress perception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lient violence exercised influence on cause of stress perceived by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pare prevention and measures against client violence in order to reduce stressor of workers. Second, pursuant to verification result of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on task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it was found that it exercised influence on emotional weariness which was a sub-variable of task exhaust.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lient violence exercised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al weariness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Therefore, it seems very important to prevention beforehand because weariness of workers would lead to deterioration of quality of senior welfare servi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job identity on stress perception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due to client violence. This means that the seriousness of the workers' perception on violence at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as so severe that job identity could not create moderating effect due to experience in violence. In addition, as for influence on stress perception due to client violence, job identity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 but showed a partial influence from client violen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at job identity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was more secure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Thus, it seems necessary for concerned authorities to make efforts for education on job identity of workers and for strengthening of specialty in their service so that job identity can provide moderating effect on stress perception due to client violence. Fourth, as for task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due to client violence, there was moderating effect in professional vocation sense and public service conviction which were sub-variables of job identity. If a program is developed and provided to strengthen professional vocation sense of workers and to boost loyalty to the company, it would play a role to reduce job exhaust due to client violence. Also, it is required to develop a job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service specialty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rvice provided by the institution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lient violence had influence on stress perception and job exhaust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It was also found that job identity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on stress perception but it showed a little moderating effect on job exhaus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job identity strengthening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is very important. 이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 381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클라이언트 폭력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클라이언트의 폭력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지각중 하위변수인 일중심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지각하는 스트레스 원인에 클라이언트 폭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원을 낮추기 위해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클라이언트 폭력이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서적 탈진에 클라이언트 폭력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종사자들의 탈진은 곧 노인복지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지므로 클라이언트 폭력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지각에는 직업정체성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경우 종사자들이 느끼는 심각성이 커서 폭력을 당한 경험에 직업정체성이 조절효과를 못내는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업정체성은 조절효과를 보이기보다는 클라이언트 폭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업정체성은 다른 직업군에 비해 확고하다고 보기가 어렵다. 이에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에 직업정체성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기관에서 종사자에 대한 직업정체성 교육 및 서비스 실천기술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넷째,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에는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 직업소명의식과 공공서비스 신념에서 조절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종사자들에게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하고, 기관의 애사심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직무소진을 줄여 주는 완충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전문성과 품질의 질적 향상을 높이도록 직업정체성 강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 폭력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지각과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정체성은 스트레스 지각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소진에는 일부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직업정체성 강화는 클라이언트 폭력의 예방 및 감소에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정신보건교육프로그램 중재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홍종필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50799

        이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생활만족도와 우울도의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활만족도와 우울도 효과를 보다 낮아질수 있는 방안 모색과 정책수립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8일까지 약3개월간 경북 인근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설문조사하여 연구 분석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령에서는 ‘76~80세’ 33.3% 가장 많았으며 ‘70세 이하’, 53.0%, ‘71~75세’ 20.0%, ‘81세 이상’ 16.7%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수준별로 보면 ‘중졸 이상’ 50.0%, ‘초등졸’ 30.0%, ‘무학’ 20.0%순으로 나타났다. 2)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가 없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활만족도 척도에서 x2=2.069, P값=.150으로 집단 간 사전검사 척도의 유의성이 없음이 검정 되었다. 4) 심리상담의 만족이 높은 자의 생활만족도 점수가 실험전 측정 2.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면 1차 중재, 3.37점. 2차 중재, 3.01점. 3차 중재 2.97점으로 실험 전 측정에서 만족하는 사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웃음치료효과의 만족이 높은 자의 우울도 점수가 실험 전 측정 3.3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면 1차 중재, 3.36점. 2차 중재, 3.30점. 3차 중재 3.28점으로 사전측정에서 만족하는 사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중재을 받은 실험군이 중재를 받지 않는 대조군 보다 심리적 복지감(생활만족도, 우울도)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향상 시킬 수 있고, 정신적, 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현실은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운영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연구는 전체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못하고 일부 노인의료복지시설에 한정된 입소노인을 상대로 제한된 연구로서 향후에 노인 복지시설에 전체를 대상으로 해서 앞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야 하는 프로그램 중재로 제시해야 한다. 첫째, 정신적 및 정서적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경영자나 관리자가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운영의 적극적인 지원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학계나 관련단체에서는 노인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개발 및 전문가 양성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정서적 및 정신적 안정 프로그램이 없고 전문가가 아닌 임시방편 이여서 비효율적이며 노인의 특성,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특성을 감안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 연구는 경상북도내에 노인의료복지시설 한곳의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임의 표본추출에 의한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구체적인 정신보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전문가 양성 국가적 관련법 등이 없기 때문에 보다 나은 정신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 방법론적인 접근과 다양한 프로그램 적용 하여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해 본다.

      • 노인복지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순정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83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미래수요층의 중요결정사항을 규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를 파악하여, 노인복지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고령화로 인해 노인 단독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주거가 가장 시급한 상황이며, 사회생활이 감소되고 신체적으로 약화되는 노인에게 다양한 맞춤형 노인복지주택을 제공함으로써 행복한 노년기를 보내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미래수요층에 따른 노인복지주택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40세부터 80세 미만의 남녀를 대상으로 어떤 요인의 영향을 받아 노인복지주택을 이용하게 되는지를 파악하였다. 2013년 9월 1일부터 2013년 10월 10일 까지 무응답과 응답오류를 제외한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복지주택 입주 시 환경적 중요 결정 사항에서는 쇼핑시설의 근접성(2.02)이 가장 중요하였다. 경영적 요인에서는 직원의 친절성(.675)이 가장 중요하였고, 환경서비스 요인으로는 교통의 편리(.753)가 중요시되었고, 시설서비스 요인으로는 보건시설(.727)이 가장 중요했으며, 의료서비스 요인에서는 응급의료지원서비스(.633)가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는 학력수준과 재산상황, 월평균수입(가족전체), 동거인, 노후연금, 노후연금 예상액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입지조건 선호도에서 남자(68.8%)는 전원휴양형을, 여자(48.4%)는 도시근교형을 선호하였다. 주거유형 선호도에서는 남자(73.6%), 여자(57.1%) 모두 단독주거형을 선호하였다. 분양형태 선호도에서는 남자(54.9%)는 분양형을 선호하고, 여자(58.2%)는 임대형을 선호하였다. 소득과 재산이 높고 노후연금을 많이 받는 사람들은 분양형을 선호하며, 건강상태가 보통이하이고 소득과 재산이 낮으며 노후연금을 적게 받는 사람은 임대형을 선호하였다. 세대 수 선호도에서는 재산상황과 노후연금 유무에 상관없이 50세대 미만을 선호하였고, 노인주택 평수(1세대 기준)는 10-20평 이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형태 선호도에서는 남자가 주택형(46.5%), 여자가 아파트형(37.4)을 선호하였다. 입주비용 선호도에서는 재산상황(동산+부동산)이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모두 1억 미만을 선호하였고, 노후연금 예상금액이 200만원 이상인 대상자들은 입주비용 1억-1억 5천(45.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이용료 선호도에서는 학력수준, 재산상황(동산+부동산), 월 평균수입(가족전체), 동거인, 노후연금 예상금액에 상관없이 월 이용료 80-120만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노인복지주택을 선택 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후연금으로 나타났는데 노후연금 유무와 노후연금 예상금액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노인복지주택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주택은 20평 이하이며, 1세대 기준으로 월 이용료가 120만원 이하를 선호한다. 둘째, 여자노인을 위한 쇼핑시설이 근접한 도시근교형노인복지주택이 필요하다. 셋째, 저소득층을 위한 저렴한 공동주거형 노인복지주택이 개발 되어야 한다. 넷째, 교통이 편리한 전원휴양형이 필요하다. 다섯째, 50세대 미만의 주택형 노인복지주택을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on the moving intention to senior welfare housings by defining critical decision factors of the future consumers for the senior and apprehending pre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welfare housings. As single senior households are increasing due to the aging process of society, the senior housing become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And providing various customized housings to seniors with reduced social activities and weakened physical conditions is important for happiness in the senescence. Therefore, to apprehend the future consumers’ preferences on senior housings, a survey is performed to males and females in from 40 to under 80 in their ages living in Daegu Metro City and Gyeongsangnam-do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0, 2013 regarding what influences will make them use senior welfare housings. The result of analysis on 235 survey responses after excluding the un-answered and error questions is summarized as followings: 1) As environmentally critical decision factors for moving in senior welfare housings, the access (2.02) to shopping facility is found to be most critical. For the administrative factors, the staff’s kindness (.678) is selected as the most critical.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753) for the environment service factor, the health facility (.727) for the facility service factor and the emergency medical support service (.633) for the medical service factor are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2)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chool experience level, the asset situation,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entire family), the cohabitant, the senior pension and the expected amount of senior pension. 3) For the location condition, the males (68.8%) prefer the country recreation type and the females (48.4%) prefer the urban surrounding area type. For the preference on the housing type, the both of males (73.6%) and females (57.1%) prefer the single housing type. For the housing supply type, the males (54.9%) prefer the full ownership type and the females (58.2%) the lease type. The persons having high incomes and wealth and/or receiving high senior pension payments prefer the full ownership type while the persons under the normal health condition having low incomes and wealth and/or receiving low senior pension payments prefer the lease type. For the number of housing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less than 50 houses is the most preferred regardless to the asset situation or the senior pension status. For the size of senior house (for 1 household), the size from 10 ~ 20 pyeong (1 pyeong =3.3 m2) i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For the house type, the males prefer the single house type (46.5%) while the females prefer the apartment type (37.4). For the housing cost, regardless to the amount of asset (movable+real-estate assets), the both gender shows to prefer less than 100 million KRW while the subjects expecting the senor pension payment of 2 million KRW or higher prefer 100 million KRW–150 million KRW(45.0%). For the monthly use fee, regardless to the school experience level, the asset situation (movable+real-estate assets), the monthly income (of entire family), the cohabitant and the expected amount of senior pension, the range of 800 thousand to 1.2 million KRW i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4)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selection of senior welfare housing shows to be the senior pension while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atus or the expected amount of senior pen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reasonable alternative measure for developments of various senior welfare housings in the future is proposed as followings: First, the size of senior welfare housing under 20 pyeong (1 pyeong =3.3 m2) and the monthly use fee less than 1.2 million KRW for one household are the most preferred. Second, for female seniors, welfare housings close to shopping facilities in urban surrounding areas are required. Third, low cost apartment type senior welfare housings should be developed for low income seniors. Forth, the country recreation type with convenient traffic conditions is required. Fifth, the single house type with less than 50 houses should be developed. Sixth, the medic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만족

        최형대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50783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문화의 종류별 수준과 조직몰입의 수준, 직무만족의 수준,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밝힐 목적으로,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35개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600명의 종사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를 직접 면접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문화 수준은 인적자원문화가 가장 높고, 다음은 위계질서문화, 개방체계문화, 생산중심문화의 순이다. 또한 시설 종류별 조직문화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이어서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몰입의 요인별 수준은 정서적 몰입이 가장 높고,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의 순이며, 시설의 종류별 조직몰입의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직무만족의 수준은 요인별로 현 직무만족과 동료관계만족, 상급자관계만족은 높은 반면에 승진기회 만족과 보수 만족은 낮은 수준이다. 시설의 종류별 직무만족의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이어서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세 가지 모두의 수준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이다.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적자원문화와 위계질서문화, 개방체계문화, 생산중심문화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 모두 조직문화 수준이 높은 경우가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생산중심문화 수준이 높은 그룹의 직무만족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관련성 검정 결과 조직몰입이 높게 형성된 종사자 일수록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다. 특히 조직몰입의 요인 중 지속적 몰입이 높은 그룹의 직무만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조직문화유형과 조직몰입 요인 모두를 가지고 전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정서적 몰입과 위계질서문화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농촌노인들의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 및 실태분석

        이영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83

        농촌지역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어 노인복지 서비스의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정부의 재정능력 취약으로 노인복지 서비스의 제공 수준은 도시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지역노인의 복지욕구에 부응하는 복지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농촌노인들의 복지욕구와 실태를 분석하여 그 지역의 실정에 맞는 복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65세 이상의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각 조사대상 집단의 지역, 연령, 성별을 고려한 총화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자는 조사대상자에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응답자에게 질문을 읽어주고 조사자가 직접 응답내용을 기입하는 면접법을 활용하였다. 총 160명으로부터 무응답 항목이 있는 경우와 응답 오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15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실태중 노인들의 특성에 따른 자기가 사는 곳의 만족도 차이를 보면 성별, 연령 그리고 본인의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전체적으로는 자기가 사는 곳이 좋다라고 응답한 노인들은 66.7%로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기가 사는 곳에 대해서는 만족하였다. 노인들의 특성에 따른 경제 활동 유무의 차이를 보면 배우자 유무,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그리고 용돈마련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그룹은 48%이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노인은 52%였다. 주된 관심사(현재 본인의 가장 어려운 점)는 건강문제(43.5%)와 경제적 어려움(33.1%)이었다. 2. 노인복지서비스 욕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 대한 필요성이 77.3%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여가이용 장소는 집안(31.2%)과 경로당(29.2%)순이었다. 경로당기능에 대한 요구는 노인끼리 모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사랑방 역할이 33.132%로 가장 많다. 원하는 노인복지프로그램은 건강기구의 설치가 71.4%로 가장 많은 요구도가 있었고 노래교실이 그 다음인 12.3%였다. 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가 15.6%인데 비해 불만은 35.7%로 만족도가 아주 낮았다. 가정간호사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가 60.39%로 가장 많았다. 3. 주거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에서는, 무료공동주택에 대해 필요하다 40.3%, 필요없다 55.9% 그리고 모르겠다 3.9%이었다. 아파트형 원룸 실비노인복지주택을 이용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없다(68.8%), 있다(26.6%), 모르겠다(4.5%)순이었다. 4. 보건의료복지욕구에 대해서는 보건소진료 만족여부에서 만족한다가 82.5%로 아주 높았고, 불만족은 17.5%였다. Agricultural communities are entering into the age of the aged people. Thus, there is significant demand for the senior citizens’ welfare services. Despite this, however, the level of senior citizens’ welfare services provided at the regions is low compared to the services offered at the urban areas due to the regional government’s lack of financial means. To develop the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satisfy the demands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regions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ealitiesfaced by the senior citizens in their every day life and their demand for welfare services. To this, this research factore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ies to analyze the desire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ies when it comes to the welfare services and the realities to present the basicdata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program that suits the situation of respective regions. Thu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study of the residents of agricultural community over the age of 65. As for the data collection, sampling from the total was used factoring in the region, age and gender of each group subject to research. The researcherread the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o read the questions to the research targets, and the interviewing method that entails entering in the answers directly the researcher was used. Total of 154 was targetedfor analysis from the total of 160 excluding the cases that did not answer the questions or that include err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When the difference in the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level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during the every day realities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i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age and one’s own occupationand the senior citizens who answered that they like where they live is 66.7%. Likewise, most of the senior citizens are satisfied with where they live. When the difference 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economic activities following senior citizens’ characteristics is examined,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 spous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providing allowance. As for the group who is engaged in the economic activity, it is 48% whereas 52% of the senior citizens are not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As for the main interest areas, (the most difficult situation faced by one) they are health issue (43.5%) and economic difficulty (33.1%). 2. As for the senior citizens' demand for welfare services, 77.3% said that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senior citizens. As for the location to use for leisure, there are the homes (31.2%) and pavilion for the senior citizens (29.2%). Demand for the latter was that of the hall where the senior citizens can get together to spend time together with 33.132%. The desired senior citizens’ welfare program was the installation of health equipments with 71.4%, followed by signing class with 12.3%.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welfare services, 15.6% were satisfied, while dissatisfaction level was 35.7%, which is very low. As for the need for home nurse, 60.39% was the highest with an affirmative answer. 3. As for the demand for the housing welfare services, 40.3% said that free joint housing is needed, while 55.9% said no and 3.9% said that they do not know. As for the will to use apartment type of one room housing for senior citizens, 68.8% said, no, 26.6% said yes, and 4.5%said I do not know. 4. As for the demand for the public sanitation and welfare, the answer that they are satisfy with the service was very high with 82.5% while dissatisfaction was 17.5%.

      • 노인복지주택 이용 의사결정요인

        윤창섭 대구한의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83

        (초록) 이 연구의 조사 목적은 노인복지주택단지를 설치·운영하려는 사람들에게 노인주거시설에 대한 의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향후 추진 여부 및 사업시기, 사업규모, 운영방법등에 대한 시사점을 얻어내고자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08년 6월03일부터 2008년 8월 30까지 무응답과 응답오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367명을 분석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복지주택 이용의사는 이용의사가 있다가 50.3%이었고, 이용의사가 없다가 49.7%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학력이 높고, 자산이 많고 월평균 수입이 높은 사람들이 이용의사가 높았다. 2)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선정요건 ① 노인복지주택 입주이유는 여생을 즐기기 위해가 40.1%, 자녀들에게 의존하기 싫어서가 24.7%, 기타가 22.8% 그리고 자유롭고 싶어서가 12.3%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연령과 동거형태요인이었다. ② 노인복지주택 입지유형은 도시근교가 50.0%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휴양지형(17.9%), 도시형(16.0%) 그리고 전원형(16.0%)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동거형태요인이었다. ③ 노인복지주택 입지장소는 기타지역이 32.1%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대구시내(27.8%), 청도지역(21.6%) 그리고 경산지역(18.5%)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현 거주지요인이었다. ④ 노인복지주택 월 생활비(2인 기준)는 100만원 이하가 42.1%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140만원 이상(20.8%), 120-139만원(18.9%) 그리고 100-119만원(18.2%)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학력, 월 평균수입 그리고 자산정도요인이었다. ⑤ 노인복지주택 선호평수는 79㎡(24평형)이 45.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99㎡(30평형)이 24.1%, 56㎡(17평형)이 21.6% 그리고 132㎡(40평형)이상은 8.6%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학력, 월 평균수입, 동거형태, 자산정도, 건강상태 그리고 거주지요인이었다. ⑥ 노인복지주택 선호 분양가는 600만원 미만이 53.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600-799만원이 35.4% 그리고 800만원 이상이 11.2%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없었다. ⑦ 노인복지주택 선호 세대수는 300세대 이상이 42.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100세대 미만이 39.2% 그리고 100-199세대는 18.4%순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월 평균수입, 동거형태 그리고 자산정도요인이었다. ⑧ 노인복지주택 분양방식은 임대가 40.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회원권 30.2% 분양이 29.0%순이었다. 3) 노인복지주택을 선택할 때 중요한 요인은 의료서비스의 수준, 주변의 안전성, 운영기관의 신로도,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성, 관리업무의 전문성 그리고 공원/산책로 이용의 편리성 순이었다. 이같이 노인복지주택을 선택할 때는 의료서비스와 운영기관의 신뢰도 그리고 주변의 환경이 좋으면서 접근이 용이한 장소가 중요한 요인이란 것을 알 수 있다. 4) 노인복지주택 조건에 따른 선택요인에서 입지장소는 대구시내, 선호평수는 30평형 그리고 300세대 이상의 대단지를 선호하는 노인들은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성과 공원/산책로 이용의 편리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대구시내에서 30평형과 300세대 이상을 선호하는 노인들은 주변의 안전성과 의료서비스 수준을 중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인복지주택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주택의 공급방식이 다양해야 한다. 둘째, 노인복지주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들이 의료서비스의 수준, 주변의 안전성, 운영기관의 신뢰도,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성, 관리업무의 전문성 그리고 공원/산책로 이용의 편리성이기에 이러한 요인을 충족할 수 있는 입지와 시설요건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선호도

        허대연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83

        이 연구는 중·장년층들의 개인 욕구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파악하여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따라 선호하는 노인복지시설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455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검증한 결과 남자는 대인관계를 중시하는 성향이 높았으며, 여자는 가족의 풍요로움을 우선시 하는 성향이 높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을 책임지는 성향이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자유로우면서 스스로를 마음껏 표현하는 개방주의 성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안정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보수주의와 전통주의가 주택소유 및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호하는 노인복지시설을 검증한 결과 유의하게 나타난 항목은 없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은 의료복지시설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학력과 급여가 낮고, 건강관리를 잘한다고 응답한 공무원이 노인여가복지시설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특성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선호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후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여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므로 이에 의료시설 및 여가시설의 확충과 효율적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선호도 분석 결과 경제적, 사회적으로 풍족한 생활을 선호하는 물질주의형에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주거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전체적으로도 노인여가시설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중,장년층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정부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에 전력하여야 한다. This research was processed with an empirical analysis by a survey of 455 persons after late 40’s liv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ungsangbuk-do to check the difference in the favorite type of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life style. As the result to review the life style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 Men have the high tendency to regard personal relations as important and Women do it to regard the richness of family as important. As age is higher, persons have the higher tendency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But as age is lower, persons get the open-minded tendency to feel free to express one’s opinions. Persons have the higher concern degree about homeowner and health by conservatism to pursue the stable life and traditionalism. As the result to review the favorite type of welfare facilities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re was no items to keep a fact in mind. The research showed that most in research targets have preferred welfare facilities. Public servant with low academic ability, low salary, and good health care most prefers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of concern degree about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Because the concern degree about health for the aged and the importance about leisure are being magnified, I think that we need the expansion of medical and leisure facilities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As the result to analyse the preference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life style, it was similarly verified from materialism to prefer the abundant life in economical and social terms. It was preferred in order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Elder Protection Agencies,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and Elderly Home Care Facilities. Research says that generally the preference about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as highest. As a result, because research shows that persons after late 40’s have most preferred to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concentrat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leisure program as well as the expansion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노인의료복지시설의 CRM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형순희 대구한의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50783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의 CRM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향후 효율적인 노인의료복지시설 경영의 새로운 CRM 적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CRM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독립변수는 인적요인(고객관계지향) 및 물적요인(경영시스템지향) 변수이며, 종속변수는 CRM성과(정성적 및 정량적)로 매개변수는 보호자 만족도로 설계하였다. 대구․경북 소재 노인의료복지시설중 총 200명의 보호자를 임의 추출하여 연구 대상자로, 2011년 6월 1일부터 10월 2일 까지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적요인(고객관계지향활동)은 연령, 입소형태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물적요인(경영시스템지향활동)은 평균수입, 입소형태, 시설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2. 정성적성과는 연령 낮을수록, 시설유형은 노인요양시설일 때, 입소형태가 1급이고, 시설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 본인일 때 높은 수치를 보였고, 정량적성과는 연령이 낮을수록, 입소형태가 1급이고, 시설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 본인일 때 높은 수치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3.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대한 정성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고객관계지향활동(인적요인)에서는 친절성, 진료의질, 절차의 편리성이 높을수록 정성적성과가 높아지고, 경영시스템지향활동(물적요인)에서는 편의시설, 의료장비, 교통·주차가 높을수록 정성적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대한 정량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고객관계지향활동(인적요인)에서는 진료의질, 절차의 편리성이 높을수록 정량적성과가 높아지고, 경영시스템지향활동(물적요인)에서는 편의시설, 의료장비가 높을수록 정량적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대한 정성적성과와 정량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보호자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성적성과와 정량적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마케팅실무적 측면에서 CRM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별 마케팅 전략 수립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인적요인 및 물적요인 그리고 CRM의 정성적․정량적 성과 변수 외의 다른 변수, CRM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요인, 과정요인 등과 같은 변수들을 폭넓게 고려하여 보다 광범위한 CRM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