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중문화 속에서 기독교적 메시지 읽어내기 : 영화 <다크 나이트>를 텍스트 삼아

        임명진 숭실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는 대중문화(popular culture)의 시대이다. 우리가 생활하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대중문화가 아닌 것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현대인들은 대중문화 속에 매몰되어 살아가고 있다. 이것은 부지불식간에 대중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며, 실지로 우리의 삶의 양태는 대중문화가 의도하는 대로, 주도하는 대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대중문화 중에서도 우리에게 가장 역동적이며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영상문화이다. 특히 시각이 우리가 인지하는 지식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실적 상황에서, 최첨단 기술이 동원된 영화의 화려한 영상미는 각 개인에게 가장 치명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장르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특히 영화는 특정한 시간에 한정된 장소(영화관)에서 가장 높은 집중력을 발휘해서 관람해야 하는 매체이다. 또한 영화에서 제시하는 메시지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도하다. 따라서 제대로 관람된 영화 한 편은 관객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영화의 이런 막대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대하는 관객들의 자세와 태도는 무척 소극적이다. 그저 한 순간의 오락을 위한 재미나 시간 때우기 식의 안이한 자세는, 영화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에 속수무책으로 동화될 수밖에 없게 만든다. 그러나 이것은 역으로 생각하면, 우리가 정신을 차리고 분별할 수 있는 자세로 영화를 관람한다면 영화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제대로 읽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감독이나 제작자가 미처 의도하지 못했던 의미까지도 읽어낼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때문에 문제는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이 얼마나 영화에 대한 소양과 지식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제대로 읽어낼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여기서 기독교인으로서 우리가 한 가지 간과해선 안 되는 것은 하나님의 이 세상 문화를 향한 계획이다. 창세기에서 아담과 하와의 타락이후, 인간의 문화는 많은 부분이 죄악과 욕심으로 오염되었지만, 여전히 하나님의 손길이 남아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문화 창달의 명령(cultural mandate)을 부여받았고, 이것은 비록 타락한 이후의 세계라 하더라도 여전히 유효하다. 하나님은 그때나 지금이나 동일하게 이 세상을 통치하시며, 인간을 사용하여 하나님을 알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문화 속에 삽입해놓았으며, 발견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으셨다. 이것은 대중문화도 예외가 아니다. 비록 지극히 인간적인 방법으로 제작되고 향유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대중문화지만, 여전히 그것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이 만들고 향유하는 문화이다. 즉 대중문화 속에도 여전히 하나님을 알만한 것들이 있으며, 기독교적 메시지가 내포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때문에 기독교인으로서 우리가 대중문화 속에 감추어진 하나님의 메시지를 찾아 읽을 수만 있다면, 우리는 훨씬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물론 영화에도 해당되며, 예술영화나 상업영화의 구분과도 관계없이 유효하다. 때문에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 영화를 읽고 해석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읽어내는 방법론적인 도구에 있어서는 문화해석학이나 기호학적 방법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일반 학문에서 문화를 분석하거나 해석할 때 사용되는 방법론들인데, 이것에 기독교적 세계관이 뒷받침되어 있다면 대중문화를 읽고 해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비록 타락한 시대의 대중문화지만 그 속에는 여전히 하나님의 메시지가 존재함을 밝히고, 특히 대중문화의 가장 대표적 장르인 영화 속에 감추어진 기독교적 메시를 어떻게 읽어낼 수 있는가를 실지 영화 텍스트를 통하여 검증할 것이다. 또한 이런 작업을 통해서, 비록 세속화된 세상 속에 살아가지만 하나님의 문화적 사명을 감당해야할 기독교인들의 대중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비판, 창조적 재해석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society toda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Age of Popular Culture'. Surrounded by mass media, it may be difficult to live a single day without having any exposure to popular culture. Needless to say, our lives are largely influenced, whether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and are shaped by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popular culture. Among the popular culture, visual culture is the most significant in terms of the influence it exerts on people. Given the fact the sense of sight dominates all other senses of human body, with the application of fascinating technologies on visual art, the influence visual culture lays on individuals is undeniable. When it comes to watching movies in movie theaters, the enclosed space and secured time create the atmosphere where audiences take in the contents of movies with the most intense concentration. As audiences are only receivers who have to passively absorb the messages in the movie, a quality appreciation of a movie can have a serious impact on their lives. The problem lies in that people are usually unaware of the messages they receive. Most people miss on what they receive because they tend to watch to have fun, to relax, and to pass time. Such complacent state of mind increases the exposure to passive assimilation of the messages unconsciously delivered during the run time of the movie. However, this can also mean that the audiences a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messages they receive depending on the attitude they take when watching movies. A movie watched with some effort of discernment can reveal the ‘Unintended and Unknowingly Included’ meaningfu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very message that the movie originally tries to convey. Apparently it comes down to whether or not the audiences are equipped with an in-depth knowledge and a well-versed understanding about a movie. As Christians, we are mandated to search for God’s plan for the culture of this world. Despite the cultural corruption which is a direct result of sins and greed of mankind since ‘the fall of Eden’, the invariable trace of God can still be found in all sides of today’s culture. The truth remains that we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have a stewardship of His creation and were given the mission of nurture and create culture (e.i. Cultural Mandate) even in this fallen world. Sovereignty of God over the world is still valid and has never changed. He has placed a variety of factors and hints within the culture through which humankind can find undeniable proof that God does exist. Popular culture is no exception. Although it seems to be formed and shared in a secular way, it is the mankind, created in the image of God, who forms and shares the work. In other words, we can say that the popular culture still carries the message of God. This means we can live a much flourishing and meaningful life once we, as a Christian, are able to find out His messages hidden within the culture. A movie can be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as well regardless of its genre –whether an art film or a commercial film. This is the reason why Christians have to learn the way of understanding a movie film. In this regard, cultural hermeneutics or semiotic methodologies, which are commonly used in general studie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culture, can be used as valuable methodological tools for the critical analysis of popular culture with Christian worldview well-focused.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God’s messages within popular culture of this corrupt generation. In particular, to verify how to decipher the hidden christian messages in a movie, the most represented popular culture genre, the film “Dark Knight” is reviewed.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all on modern Christians who live in a secular world with the Cultural Mandate,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criticism and creative reinterpretation.

      • 현대 대중문화 변혁을 위한 기독교적 방안 연구

        배중훈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논문은 현대 대중문화 변혁을 위한 기독교적 방안 연구이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 우리는 하나님이 창조시 인간에게 부여한 문화적 명령이 실현되어야 한다. 오늘날의 문화는 포스트모던문화이다. 사이버문화, 생명의 문화, 생태문화, 종교문화 속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문화적 명령을 실현시키는 문화의 대사가 되어야 한다. 대중문화의 다양한 특징과 그 문제점과 도전을 찾아보았다. 이 시대의 대중문화에 영합하고 그 속에서 자기의 영성을 상실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 시대의 대중문화의 기독교적인 적합성은 살려서 장려하고 기독교적인 정신을 강하게 불어넣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기독교문화 활성 방안으로 문화에 대한 개혁신앙 정립을 시도했다. 그리고 목회적인 방안으로 영성의 목회, 하나님 나라 중심의 목회, 여성과 환경에 친화적인 목회, 다문화 그리고 멀티미디어 목회, 교육 목회를 강조했다. 교회 공동체적인 방안을 만들었다. 건전한 청소년 대중문화의 확산운동과 문화에 대한 세미나를 개발하고 그 다양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머니학교와 아버지학교, 젊은 부부모임을 통한 기독교 가정문화의 확산 운동이다. 이 논문을 통해 배운 점은, 우리의 평범한 일상적 삶이 바로 하나님의 신성과 주권과 영광이 나타나는 광장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삶이 바로 문화이기에 목회도 영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목회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christian aspect for changes in modern popular culture. The 21st century is "a century of culture". We should realize that God has given us the cultural mission in creation of the world. Today's culture is a postmodern culture. In the cyber, life, ecological, and religious culture, we should be cultural messengers who make the Trinitarian God's cultural mission come true. We have tried to seek a variety of features, problems, and challenges in the popular culture. We should not assimilate to popular culture in modern times while losing our spiritualty. Moreover, we realize how to strongly inspire christian spirit, as well as to encourage christian suitability to modern popular culture. We tried to strengthen reformed faith in culture with the active plan of christian culture. As an alternative of ministry, we also focused on our religious and spiritual dimensions, taking priority in education, respect for women, environment, muticultural and mutimedial ministries. We have made communal plans for the church. We will search for varieties of culture in spreading out sound youngsters' popular culture and developing seminars related to culture. In addition, we concentrate on the expansion of healthy and positive family culture through mother school, father school, and young couple meetings. In the viewpoint learned from this paper, our common and daily life should be carried out to show the Holiness and Glory of God. Ministry must be cultural ministry based on spirituality because our life is culture. Our every day life should allow for the spirit of God to shine through us in every choice we make. In turn, this will inspire others to do the same.

      • 이슬람 이해와 문화 선교 전략

        권오성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43

        기독교가 이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슬림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들의 생각, 그들의 가족, 그들의 생활 방식, 그들의 종교 행태 등을 이해하여 한다. 문제는 흔히 기독교의 선입관으로 무슬림을 이해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현대의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는 갈등의 관계이다. 때로는 폭력과 보복의 관계이다. 미국은 기독교 국가를 대표하는 것으로 무슬림들은 알고 있다. 그들은 미국을 제국주의의 전형적인 표본으로 확신한다. 그러기에 기독교 또한 거부의 대상이다. 미국을 싫어하듯이 기독교를 싫어한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서구의 종교이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갈등은 결코 오늘의 문제에서만 파생된 것은 아니다. 오래된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의 모습이다. 그러기에 기독교와 이슬람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본 논문은 바로 여기에서부터 시작한다. 이슬람을 바로 알고 싶어 하는 학문적 탐구에서부터 이 논문은 시작한다. 그리고 현재의 갈등의 관계에서 평화와 공존의 관계로의 변화를 기대하는 방법론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21세기는 평화와 공존의 시대가 되어야 한다. 기독교는 폭력과 보복의 상징이 아니다. 평화와 희생의 상징이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갈등을 만드는 자들이 아니다. 그리스도인은 평화를 만드는 자들이다. 그리스도는 화목제물로 이 세상에 오셨다. 십자가는 희생과 구원의 상징이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교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기독교 선교는 이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Christianity must understand Muslim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Islam. Christians understand muslim's idea, families, ways of lives, religious behavior, and so on. Christians often tend to understand Muslim through Christian preconception. Present rel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is conflict. Sometimes, there have been violence and retaliation between them. Muslims underst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the country of representing Christianity. They have convinc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the typical type of imperialism. They hate Christianity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resent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did not begin recently. There is a long-standing feud between the two religions. Therefore we must know and understand histories of Christianity and Islam. My study begins just right here. This thesis begins from academic research on Islam. I conclude this thesis with anticipating a change from present conflict relation to peace and co-existence. The 21th century must get into the age of peace and coexistence. Christianity is not a symbol of violence and retaliation. Christianity must be the symbol of peace and sacrifice. Christians are not trouble makers, but peace-makers. Jesus Christ came to the world for sacrificing himself. Cross is the symbol of sacrifice and salvation.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to proclaim Jesus Christ. Christian mission must keep in mind what Jesus taught us through his life and ministry.

      • 기독교 무용의 교회 내 활용 가능성 연구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VC)을 중심으로

        신수연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43

        The dance started becoming very popular in the beginning of the 90's and it brought the huge growth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aspect. Its influence was noticed by the christian society and they started to utilize the dance in the christian ministries. The popularity of christian dance appeared to grow rapidly, but in reality, the biblical principal and the systematical theory of utilization were overlooked due to the lack of studying the precedent examples of the matter. This reality has brought the negative perception of following lustful behaviors and the failures of christian dancers in the ministries seemed to have made the negative point even greater. This study is made to help you to recognize that the christian dance is not "a contemporary culture" which was put into use by the popularity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dance industry but a mean of communication with God in primitive period when there was no language and also a culture which was already existed in the biblical period and portrayed numerous times in the bible.. The study regarded the dance as a behavior showing human thoughts and emotions intuitively reflectively and categorized it as a nonverbal communication. It shows how to represent, choreograph and organize the christian dance based on the theory of nonverbal communication. Also, it proposes ways for dance choreographers to focus on truly important aspects of the christian dance and on the effective christian performances by having the communicative aspect of dancing in mind. The study shows dancing models, based on applied aesthetics by Francois Delsarte, to help the choreographers simplify their work. I look forward to seeing the choreographers using the models to utilize their implementing dance theory and the christian dance being used more effectively. Futhermore, I hope that the study disproves a view of dance as a mere narration of meaningless gestures and it exemplifies the power of dance being a medium to convey the truthful heart of the human to the Lord, God. 90년대에 들어오면서 무용은 대중화되었고 무용산업 또한 질적 양적 큰 성장을 하였다. 그 영향을 기독교계 또한 받아 기독교 무용이 적극 활용되고 부각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기독교 무용의 성경적 원리와 교회 안에서 활용되어졌던 선례들의 연구가 선행되지 않음으로 말미암아 기독교 무용은 겉은 비약적인 발전을 한 듯 보였으나 사실상 신학적 바탕과 체계적 이론 정립은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현실은 기독교 무용이 세상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세속적이고 욕정적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낳았으며, 기독교 무용가(사역자)들의 사역의 실패도 이런 인식을 배가시켰다. 본 연구는 기독교 무용이 무용의 대중화와 무용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현대에 들어 도입된 ‘현대문화’가 아니며, 성경 안에서 수없이 등장하는 성경시대의 문화였으며, 언어가 생기기 훨씬 이전인 원시시대에도 신(하나님)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인간의 원초적 본능임을 알리려 한다. 무용을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본능적이고 반사적인 행동양식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분류하였으며, 기독교 무용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에 기초하여 어떻게 구성하고, 표현하고, 체계화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무용 커뮤니케이션의 순환과정 이론을 통해 안무가가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 안무해야하고, 기독교 무용 공연의 실제 효과는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기독교 무용이 교본(무보)이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역에 도움이 되고자 델사르트의 신체분석이론을 활용하여 기독교 무용가가 사역을 하고 안무를 하는데 있어서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한 무용 언어 모형을 통해 안무가의 적용원리와 기독교 무용의 교회 내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부족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기독교 무용이 의미 없는 동작들의 나열이 아닌,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진심을 보다 아름답고 실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힘 있는 도구가 되길 바란다.)

      • 기독교문화 속에서 긍정적 사고의 역동성

        정치훈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글은 기독교문화 속에서 긍정적 사고의 역동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긍정의 삶이 안겨주는 것이 무엇인지 논하고자 한다. 긍정적 사고방식이 한국교회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하다. 파헤쳐 보면 신앙이라는 것이 긍정적 믿음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긍정이라는 믿음 하나는 큰 힘을 발휘한다. 죄의 길을 향해 열려진 부정적인 사고방식의 문을 과감히 닫고, 빛을 향해 활짝 열려진 새로운 삶, 변화의 길을 향해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 성경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 사고와 긍정이 가져다주는 무한한 힘을 믿고, 행할 때에 비로소 현대 세계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그것이 바로 긍정이다. 긍정적인 믿음과 신앙적 정신을 통해 삶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성령의 감화하심과 인도하심에 자신을 맡기고 긍정의 길로 걸어가야 한다. 기독교인의 긍정적 삶의 목적은 개인의 성취감, 마음의 평안과 행복감 이상의 것이며, 가장 큰 꿈과 야망보다도 훨씬 더 큰 것이다. 세상에는 어디를 막론하고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있다. 문제는 어느 쪽을 택하였느냐에 따라서 사정이 달라진다. 부정적인 사람은 매사에 부정적이어서 그의 평생의 생활이 매우 고달프고 긍정적인 사람은 매사에 긍정적이어서 매사를 긍정적으로 보기 때문에 삶 또한 매사에 기쁨이 넘친다. 주님 안에서 자신 있게 살아가며 당면한 개인적 비극들을 침착하게 견뎌내면서 성경말씀대로 생각과 말과 행동을 바꾸어 살아갈 때 인생이 변하게 된다. 이렇게 부정이 긍정으로 바뀌는 삶을 살 때 기독교 문화 또한 발전하고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essay wishes to analyze the dynamic power of affirmative thinking in the Christian culture, and argue what the affirmative thinking gives to us is. The affirmative thinking has good effects on the South Korea's churches widely. To tell the truth, our faith can do nothing without the positive belief. One belief which is positive displays big force. We have to close the doors of our negative ways of thinking leading into the roads of sin and change them with the positive thinking through the ways of change, which are the open new lives with the bright lights from the heaven. When we believe in the positive thinking based on Biblical lessons and the unlimited powers which bring them, also we carry out them. In the result, we can survive in this society. That's the powers of the affirmative thinking. We have to plan to achieve our life goals through the affirmative belief and faith, also entrust ourselves with the feelings and the leading of the Holy Spirit and walk to our affirmative ways of thinking. The purposes of the Christians' affirmative lives are much more than their senses of accomplishment, peaces and happiness in their minds and their dreams and ambitions. There are affirmative things and negative things in this world. In fact, it depends on which one we choose. The people with negative thinking are negative all the time, so their all lives are very tiring. The people with affirmative thinking are affirmative all the time and also they watch their own problems affirmatively, so their lives are filled with joys. If we live with our confidence in the Lord and bear the personal miseries which are given to us composedly, also we change our words and actions in the bible, our lives will change. In this manner, when our lives change the negative lives with the affirmative lives, the Christian culture can also develop and change.

      • 축제로서의 예배 : 대망의 종말론적 천국잔치 실현으로서의 예배의 축제성 회복

        박창룡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우리의 예배는 지금 피곤한 질주를 하고 있다. 세상을 선도하고 뒤엎을만한 복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원 밖으로 박차고 나가다가 다시 원 안으로 들어와 갇혀 버린다. 지금 우리가 드리는 허다한 예배가 왜곡된 본질과 변질된 형식 속에 치러지고 있다는 증거다. 그러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예배란 무엇이며, 거룩하고, 살아있는, 영적인 예배란 과연 어떤 의미이며 어떤 모습인가(롬 12:1)? 인간의 몸을 입고 오신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들 가운데서 친히 교제하며 천국을 선포하고 가르쳤다. 예수의 작은 만찬이 펼쳐지는 삶의 자리는 곧 생명의 자리요, 하나님 나라의 도래가 실현되는 천국 잔치터였다. 본 논고에서는 많은 예배학자들의 주장과 문헌을 토대로 예배의 의미를 잔치와 축제, 특히 예수님 당시의 만찬에서 찾는다. 아울러 구약에서부터 전해오는 예배들의 원형과 형식을 분석함으로 21세기 한국교회에 보다 적합한 예배 동인(動因)을 모색하고, 변혁적 문화신학의 관점에서 보다 역동적이고 변혁적인 예배 갱신의 동기를 부여하고자 한다. 기독교는 축제의 종교다. 아들의 혼인잔치를 배설하고 손님을 초대한 임금처럼(마 22:2)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나라 백성들이 철저히 하나님 나라의 잔치와 축제 속으로, 진실된 ‘앎’의 관계 속으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 속으로 들어오길 원하셨다. 앞으로의 예배 현장에는 상황화와 성육신화(문화화)는 물론이요, 다양성과 창의성, 변혁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불변적인 요소, 즉 본질은 존속시키면서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다양한 문화의 옷을 입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21세기 기독교 예배는 잃어버린 성만찬을 회복하는 생명의 자리, 하나님과 인간이 소통하는 자리, 다양성이 수용되고 창조적 상상력이 충만한 자리, 죄 씻음과 거룩함이 공존하는 자리, 종말론적 천국잔치가 실현되는 축제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 축제성은 곧 예배의 역동성이며 에너지다. Our worship services are making a fruitless running now. Even though the worship has the gospel that can lead and turn over the world, it used to go out of the circle but return into it to stay there. It is an evidence that our numerous worship services have the distorted essence and the degraded form. Then, what is the worship that pleases God and what meaning and shape has the holy, living, and spiritual worship(Rom 12:1)?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worship service is sought in the feast or festival, especially in the dinner of Jesus' days on the basis of assertions and documents of many liturgics scholars. Moreover, by analyzing the prototypes and forms of worships from the old testament, the worship motifs more appropriate to 21C Korean church are searched to provide the motive for renovation of worship that is dynamic and reformative in the viewpoint of renovative cultural theology.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of feast. As like the king who prepared the wedding feast for his son and invited the guests(Matt 22:2), Jesus Christ wanted the people of Heavenly Kingdom to come into the feast of His kingdom, or the true relationship of 'knowledge' and the holy living sacrifice service that pleases God. In the future sites of worship service, the diversification, creativity, and renovation as well as the contextualization and incarnation(culturalization) are absolutely necessary. That is, we need the courage to change our cultural clothes diversely according to the time and location while the unchangeable factor, the essence, is kept untainted. The Christian worship of 21C should be the place to recover the life, sha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men, the place to accept the diversity and be filled with creative imagination, the place where redemption and holiness are coexisting, and the place of feast where the eschatological festival is realized. The festivity is the dynamics and energy of worship service.

      • 지역사회를 섬기는 WITH 선교에 대한 연구 : 한국사회의 지역교회 선교를 중심으로

        김경철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한국교회는 새로운 선교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지방의 개척교회와 해외 선교지를 돕는 것이 선교의 전부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교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의 선교에 대한 비전과 열정이 사라진 상태이다. 오늘날 지역사회를 섬기며 봉사하는 한국교회 그리스도인의 숫자는 많지 않다. 그 이유는 한국사회의 지역교회의 선교가 지역주민과의 소통이 단절된 일방향의 선교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일방향의 선교를 지양하고 지역주민과의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쌍방향의 선교의 모습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제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한국교회는 기독교 선교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기독교가 가지고 있는 화육의 정신, 사랑의 정신, 평화의 정신, 화해의 정신으로 지역사회를 섬기는 새로운 선교의 정신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이러한 새로운 선교의 당위성을 WITH 선교로 이름 짓고 창의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한국교회의 권위주의적이고 폐쇄적인 한국교회 선교의 현실적, 신학적인 모순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이며 물량중심적인 현재의 한국교회 선교의 모습을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선교를 바탕으로 한 만남과 나눔과 협력의 선교의 모습으로 바꾸기 위하여 한국사회의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한 WITH 선교가 한국교회에 필요함을 본 논문에서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지역교회가 예수님의 성육신의 사랑에 기초하여 지역사회를 섬기는 WITH 선교를 실천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한국교회가 교회성장중심․물량중심의 성장에만 치중하는 잘못에서 벗어나 성서의 정신에 기초한 선교의 참정신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지역교회 성도들이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신학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종교개혁이 가지고 있는 ‘변화와 개혁’의 정신을 통해 갈수록 다원화되어 가는 사회에서 지역사회와의 마찰이 아닌 ‘협력’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선교적 방향을 WITH 선교로써 제시한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새로운 선교패러다임과 새로운 영성을 요청하고 있다. 새로운 선교는 하나님과 끊임없는 교제를 이루어 가면서 지금보다 더 다양한 선교형태로 전개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선교는 지역사회를 위한 지역교회의 WITH 선교를 요구한다. 새로운 부르심의 방향은 통전적인 WITH 선교의 모습으로 구체적으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들의 삶 위에 나타날 것이다. 진정한 선교는 내가 군림하고 무엇을 상대방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인 마음으로 함께 나아가는 WITH 선교를 통해서 가능함을 다시 한번 역설하면서 이 논문의 긴 여정을 마친다. These days Korean churches cannot present visions of new missions, thinking that support to local pioneering churches and overseas mission fields is all they are supposed to do. That is, Korean churches have lost their vision and passion in serving local communities. Today there are not many Christians who serve their local community. It is because local churches in Korean society have been disconnected from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and are carrying out their mission unilaterally. In order for Korean churches to carry out God’s mission, they should stop current one‐way works, and promote two‐way missions through close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Now in the 21st century, Korean churches need to have a new sense of mission to serve local communities out of the spirit of incarnation, the spirit of love, the spirit of peace and the spirit of reconciliation inherent in Christianity. The present researcher called the new mission ‘WITH Mission’ and explained it creatively in this thesi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riticized practical and theological contradictions in Korean churches’ authoritarian and closed mission. In addition, this study maintained that Korean churches’ current patriarchal, authoritarian and quantity‐oriented miss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mission of meeting, sharing and cooperating oriented on Christ’s incarnation, and for this, they need ‘With Mission’ centering on local churches in Korean society. The present study started with the hope to practice ‘WITH Mission,’ through which Korean local churches serve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love of Jesus’ incarnat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eological plans for Korean churches to get away from their attachment for quantitative growth and to promote the growth of local church believers into mature Christians through the true spirit of mission based on the Bible.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posed ‘WITH Mission’ through the spirits of ‘change and reform’ found in the Reformation as a new direction of mission for expanding ‘God’s Kingdom’ through ‘cooperation’ rather than conflicts with local communities in increasingly pluralized society. The 21st century is demanding new paradigm of mission and new spirituality. In the new century, new missions will be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through continuous fellowship with God. In addition, the missions require local churches’ ‘WITH Mission’ for their local communities. The direction of new calling will be manifested in the image of holistic ‘WITH Mission’ specifically in local communities a

      • 칸트와 리오타르의 숭고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 포스트모던 시대에 신학적 미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홍광수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에 의하면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은 ‘거대서사’(grand récit)에 대한 회의와 불신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기독교는 이야기의 종교이며, 그 어떤 종교보다 거대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의 중심에는 하나님이 계신다.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이 세계에 드러난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부터 출발한다. 하지만 오늘날 하나님에 대한 개념과 종교적 감수성이 불분명해지고, 하나님의 현존재가 회의적인 것이 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하나님이라는 단어의 개념 상실이 불러온 결과는 삶에 대한 포괄적인 질문과 대답의 가능성이 포기되거나 기각되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하지만 하나님이라는 단어는 기독교의 원천이자 토대라는 의미에서 포기할 수 없는 중요성을 지닌다. 하나님의 현존재에 대한 회의와 불신이 가득한 현대의 문화 정황 가운데서 ‘숭고’는 무한성(無限性)과 초월성(超越性)을 다시 환기시키며 하나님에 대한 인식을 추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칸트 미학에서 숭고는 제시된 대상을 상상력이 포착할 수 없는 한계점에서 상상력의 좌절이 가져오는 감정이다. 여기서 상상력은 이성이념에 의해 결코 도달할 수 없는데, 이 도달불가능성이 오히려 상상력 너머의 무한성을 ‘부정적인 제시’(negative presentation)의 방법으로 제기하는 것이다. 칸트 미학에서 숭고는 미학의 독립적인 주제로서의 위상을 획득하게 되었다. 하지만 총체성의 철학을 지향했던 칸트에게 무규정적인 대상을 특징으로 하는 숭고의 판단은 아름다움의 개념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리오타르는 칸트 미학에서 출발하지만 아름다움과 숭고의 지위를 역전시킨다. 리오타르는 칸트의 숭고 개념이 가진 차이와 이질성을 진작시키는 측면에 주목한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포스트모던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유사-거대서사가 사유와 반성의 가능성을 억압하고, 획일화된 언어게임만을 허용하는데 있다. 이에 대하여 숭고는 획일성과 총체성의 담론에 균열을 일으키는 저항의 수단이 된다. 숭고는 일체의 규정을 거부하고, 규칙 밖에서 새로운 것들을 제안함으로써 차이를 발생시킨다. 이 차이를 통해 새로운 언어게임을 제안함으로써 획일화된 언어게임 내에 균열을 일으킨다. 리오타르의 미학은 아름다움과 예술에 대한 사유를 넘어서 사회비판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는 리오타르의 철학의 지향성이 포스트모던 사회에 대한 비판에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와 리오타르의 숭고의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기각된 하나님에 대한 진술, 초월성, 무한성에 대한 환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숭고를 통해 조직신학의 진술과 상응하는 하나님에 대한 명확하고 직접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숭고를 통해 이 세계를 넘어선 무한을 현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함으로써 하나님에 관한 앎에 있어서의 예비적인 토대를 쌓을 수 있으리라 제안코자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Jean-François Lyotard,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times can be defined as doubt and distrust of ‘grand récit’. But christianity is a religion of the story, and it has a bigger story than any other religions. God is at the center of that story. The understanding of God starts from self-revelation of God revealed in this world. Today, however, the concept of God and religious sensitivity is unclear, and God's being tends to become skeptical. The result of the loss of concept of the word ‘God’ implies the meaning about the comprehensive questions and the possibility of the answer that has been abandoned or rejected. However, the word ‘God' has an irreplaceable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the source and foundation of Christianity. In the postmodern cultural context, full of doubt and distrust of God's being, it seems that the sublime has the potential to revive the infinity and transcendence and to drive the perception of God. The sublime from the Kant's aesthetics, is the emotion of imagination's frustration at the point where imagination can not capture the object presented. Imagination can never be reached by reason, but this inability to reach beyond imagination is raised as a way of negative presentation. Kant's aesthetics, the sublime became the independent subject of aesthetics. But Kant, who directed the philosophy of collectivity, tended to be regarded as subordinate to the notion of beauty in the sense of sublime, characterized by an unqualified object. Lyotard starts from Kant's aesthetics but reverses the status of beauty and sublime. Lyotard focuses on aspects that promote the difference and heterogeneity of Kant's sublime concept. According to Lyotard, the biggest problem of postmodern society is ‘pseudo-grand récit’ suppressing the possibility of reason and reflection, and only allowing the standardized ‘language games’. Sublime, on the other hand, becomes the meaning of resistance to the discourse of uniformity and totality, which causes a crack in the discourse. The sublime rejects any provision and makes a difference by proposing new things outside the rules. This difference causes a crack in the uniform language game by suggesting a new language game. Lyotard's aesthetics has a social critical nature, beyond the reason of beauty and art. This is because the orientation of the philosophy of Lyotard is in criticism of post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evocation of statements, transcendence, infinity, which were reject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pt of sublime of Kant and Lyotard. But this does not mea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ear and direct knowledge of God corresponding to the statement of systematic theology through sublime.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that we can build a preliminary foundation in the knowledge of knowing about God, by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infinite beyond this world can be manifested through sublime.

      • 21세기 문화사역을 위한 목회 리더십 역할에 관한 연구 : 現 한국 목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성상철 숭실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It is our mission to make this world glorious according to God's will and we do so through our cultural missions. To keep peace with the unpredictable time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these valuable cultural missions in various fields. But people have realized that the lack of profound spirituality of today's society limits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missions. Cultural missions only work through attainment of deep spirituality and understanding of God's will.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the cultural missions and pastoral leadership. It also serves as an introduction and guide to help educate people the dynamic culture missionary. It is the author's opinion that developing a positive approach on cultural miss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pastoral leadership that better reflects God's will.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one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two and three examin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missions and pastoral leadership. Chapter four studies the role of the leader and it's effectiveness in satisfying the needs of a contemporary society. Chapter five gives suggestions on how a pastoral leader could use apply these ideas into actual situations. Enlightenment comes only through God's grace, with the guidance of a good pastoral leadership. If the cultural mission covers the missions with current mission of the contemporary request, the pastoral leadership will be charge of leading the guiding and leading such cultural mission. It is through the pastoral leadership that cultural mission makes the mission true. The spiritual event is not to show an entertainment program but to give glory to God through spiritual healing and rehabilitation. It is the spiritual event that tends a disciple of Christ with the spiritual leadership of spiritual leaders and devotes interests and efforts of spiritual leaders predicting the times with the spiritual power; that is, the holy place to exhibit pastoral leadership where the spiritual event is the event of the cultural mission.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을 통해 본 황순원 장편소설의 두 도성적 특질 연구

        한승옥 숭실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wo Cities embedded in Hwang Soon-Won'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St. Augustine's The City of God Han Seung-Ok Department of Christian Cultural Studies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literature in Hwang Sun-won’s novels through St. Augustine’s The City of God. The perspectives or approaches discussed until the present are limited to explain such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therefore, more sourceful and in-depth analysis should be done. To analyze the writer’s works in depth, proper methods or standards that can investigate the essentials of them are needed and it is necessary to find Christian characteristics and aims that penetrate Hwang’s works. To do this, we have to find the shape of Christian perception which is hidden deep in the work’s structure. In other words, we need to analyze not only the topic but also Christia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patterns, and along with this, we need to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writer’s literary productivity which determines the world of his works so that we can find out how it influences Christian formation of Hwang’s novels.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outline in Hwang’s works. Which means, the paper tries to find out the outline of his perception through the world – how the writer perceived the world and how he created his works according to such perception. For this, structural method is used in this paper: the method that infers “langue” which would be the basis of “parole,” if Hwang’s each work is seen as “parole.” His langue, the outline of his perception through the world, is examined by the spectrum of St. Augustine’s The City of God, and his parole, which are his individual works, is analyzed to find certain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n they are gathered toward langue. Only full-length novel is treated in this paper because even though Hwang Sun-won also wrote quite amount of short story, his province was basically full-length novels. He wrote 7 full-length novels; among these, the very first novel 『별과같이 살다』(Living like a Star) is excluded because not only is it a serial story but it is criticized for its lack of perfection since it was his first novel. In addition, the novel does not include much of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ity. Due to these reasons, the novel 『카인의 후예』(The Descendent of Cain), which is the standard full-length novel and includes Christian characteristics as it is even shown in the title, is firstly analyze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wo cities from is investigated through two novels: which are 『인간접목』(Human Grafting) and 『움직이는 성』(The Moving Castle). Although both 『나무들 비탈에 서다』(Trees Stand on Slope) and 『일원』(The Sun and the Moon) are great novels, they were excluded since they on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ly city, not the city of god. 『신들의 주사위』(The Dice of Gods) is also excluded because it is not related to the Christian motif, unlike the title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two cities that were suggested by St. Augustine are symmetrical: symmetry between the city of human and the city of god. There is selfish love in the city of human, whereas altruistic love is in the city of god; which means, humans have self-love while god has neighborly love. The former city is the city of villains and the latter one is the city of righteous people. This symmetrical or opposite structure brings two symmetrical aspects such as an evil and a good angel, darkness and brightness, the way of a sinner and a righteous person, life following flesh or spirit, the possessor of the earthly world and Christ the possessor of heaven, and chaos versus peace and meditation. Consequently, a corrupt nature due to the sin brings out citizens of the earthly city, and grace which frees that nature from the sin brings out citizens of the city of god. The earthly city is the city of people who live by themselves, whereas the city of god is the city of people who live by God. The former can be referred to Cupiditas and the latter can be referred to Caritas. It means, the former practices personal love and the latter practices social love. From these perspectives, Hwang’s long novels can be analyzed as going on a pilgrimage to the earthly city and aiming the city of god at the same time. His novels try to realize the city of god; however, in reality, they are tied by elements of the earthly city such as avarice, murderousness, convention, selfishness, arrogance, or lust so that they commonly have trouble with going forward to the city of god. Nevertheless, the will to proceed to the city of god and the light of salvation for that are sustainly alive. This vitality keeps effulging in the novels in various aspects, and never loses its goal which is aiming to proceed to heaven. Ultimately, it desperately struggles to recover oneness with god. This sort of thematic concentration can be see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at enables Hwang’s novels to be succeed. There is a hope in his novels that even though the earthly city dominates the world, evil would be eradicated by the city of god someday. This belief through good is also able to explain his attitude toward the world, and furthermore,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that his novels contain. In St. Augustine’s The City of God, two cities are in the opposite side; however, in actuality, they are in parallel position. These two cities are together until the end. In other words, the city of god cannot divinely absorb the earthly city completely. The world described in novels has the same aspect and Hwang’s novels also has it. Usually, it partly appears in novels according to individual works because novels are description of part of the imperfect world, like human b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을 통해 본 황순원 장편소설의 두 도성적 특질 연구 기독교문화학과 한 승 옥 지 도 교 수 김 회 권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을 통하여 황순원 장편 소설에 일관하는 기독교 문학적 특질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도출한 두 도성적 특성을 황순원 장편소설에 적용하여 황순원 소설에 나타나는 두 도성적 의미를 분석했다. 먼저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론』에서 제시한 ‘두 도성의 신학’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황순원 장편 소설에 나타나는 인간의 도성과 하나님의 도성의 갈등과 길항과 지향점을 대비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이 의도하는 바는 황순원 소설이 지니는 구조적 틀을 밝혀내는 데 있다. 이것은 곧 황순원의 세계인식의 틀을 밝혀내는 작업이기도 하다. 황순원이 어떻게 세계를 인식했으며, 이러한 인식의 틀을 통해 어떤 방법으로 작품을 창작해 냈느냐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구조주의적 방법을 원용하였다. 황순원의 개별 작품을 파롤(parole)로 보고 그 근본이 되는 랑그(langue)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그의 세계인식의 틀, 곧 랑그를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적 스펙트럼을 통해 그 특징을 점검하였고, 개별 작품인 파롤을 분석하여 공통적 특질을 도해한 후 그것을 랑그로 수렴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여기서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황순원 장편소설 중 기독교적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는 세 작품, 『카인의 후예』, 『인간접목』, 『움직이는 성』이다. 『나무들 비탈에 서다』, 『일월』도 훌륭한 작품이나 이 작품에는 지상도성의 특질만 드러날 뿐 천상도성적 특질이 거의 드러나고 있지 않아 제외하였다. 『신들의 주사위』는 제목의 상징성으로 보아서는 기독교 모티프적 소설이나, 내용상으로는 삼대를 통한 숙명론적 멍에만을 다루기에 이 역시 분석 대상에서는 제외시켰다. 『신국론』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시한 두 도성적 특질은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인간의 도성과 하나님 도성과의 대칭이다. 인간의 도성이 이기적 사랑이라면 하나님의 도성은 이타적 사랑이다. 전자가 인간의 자기애라면 후자는 하나님의 이웃 사랑이다. 전자가 악인들의 도성이라면 후자는 의인들의 도성이다. 이러한 대칭 내지는 대립구도는 악한 천사와 선한 천사, 어둠과 빛, 죄인의 길과 의인의 길, 육을 따르는 삶과 영을 따르는 삶, 이세상의 임자와 하늘의 임자 그리스도, 혼란 대 평화와 관조 등으로 대칭된다. 그리하여 죄로 인해 부패한 자연본성이 지상도성의 시민을 낳고, 자연 본성을 죄에서 해방시키는 은총이 천상도성의 시민을 낳는다. 지상도성이 자기에 따라 사는 사람들의 도성이라면, 천상도성은 하나님에 따라 사는 의인들의 도성이다. 전자가 큐피디타스(Cupiditas)의 사랑이라면 후자는 카리타스(Caritas)의 사랑이다. 전자가 사사로운 사랑에 집착하는 삶이라면 후자는 사회적 사랑을 실천하는 삶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적 특질로 황순원 장편소설을 분석하면 그의 장편소설은 지상도성을 순례하면서 하나님의 도성으로 지향하고 그를 실현하려 하나, 현실적으로는 지상도성에 착종되어 인간의 탐욕이나 살기, 관습 혹은 이기심이나 오만, 성욕 등 지상도성의 가치에 발목이 잡혀 하나님 도성으로 나아가는 데 장애를 겪고 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그러면서도 하나님의 도성으로 나아가려는 의지와 그를 위한 구원의 빛은 지속적으로 내면에서 빛을 잃지 않고 생명을 유지한다. 이 생명력은 소설 내부에서 여러 양상으로 은은히 빛을 발한다. 천상으로 향하려는 지향심을 잃지 않는다. 궁극적으로는 하나님과의 동일성을 회복하기 위해 몸부림친다. 이러한 주제적 집중은 황순원 소설을 성공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황순원 장편소설은 비록 지상의 도성이 완강하게 이 세상을 지배한다고 하더라도 하나님의 도성에 의해 악이 척결되리라는 희망을 잃지 않는다. 이러한 선에 대한 믿음은 황순원의 세계관이기도 하며, 또한 황순원 소설이 지니는 기독교 문학적 특질이 되기도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은 두 도성이 대립되지만 실에 있어서는 병렬적으로 진행된다. 이 두 도성은 종말의 완성 때까지 같이 간다. 달리 말하면 하나님의 도성이 인간의 도성을 완전히 거룩하게 흡수병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황순원 소설에서도 이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설의 경우는 작품에 따라 그것이 일부분만 출현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인간의 삶이 불완전한 것처럼 소설도 또한 불완전한 인간 세상의 일부분의 모사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황순원의 세 장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선이 악을 거룩하게 흡수 합병하지 못한 채 긴장을 갖고 종료되는 소설이 있고, 악의 힘이 선에 의해 어느 정도 억제되고 선의 질서가 악의 질서를 인도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방식으로 끝나는 소설이 있다. 이를 작품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카인의 후예』는 지상도성의 인간들이 전쟁이란 상황적 악으로 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