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 : 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이영우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초록】 상경계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Lee, Young W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이 연구는 상경계열 진학 외국인 유학생들이 입학과 동시에 배우게 되는 전공과목인 ‘경영학원론’ 의 교재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를 밝혀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입학에 있어 ‘공인 한국어능력시험(TOPIK) 3등급~4등급’의 실력을 요구하는 것과는 달리 내국인에게도 어려운 전공용어를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실로 어려운 상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입학 전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전공용어를 별도로 학습한 적이 없으며, 입학과 동시에 전공용어를 접하게 됨으로써 학업을 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실제 대부분의 경영학 전공 어휘들은 기존에 공부했던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대다수 어휘들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외래어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어지거나 어휘간의 상호결합에 의해 또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 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대학에 진학하는 가장 많은 유학생들이 상경계열로 입학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경영학과 유학생을 위한 어휘 연구나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 주요 대학 10곳을 선정하여 교과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9개의 경영학원론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에 있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주요 어휘들을 파악해 보았다. 9개 서적에 수록된 약 101만 어절을 분석하여, 이 중 명사를 중심으로 약 26만 빈도수, 3,551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이 중 총 빈도수의 5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고빈도 어휘 1,475개를 다시 추출하였다. 이는 1,475개의 어휘를 익히면 9개 전공교재에서 출현하는 명사형 어휘 빈도 중 50% 이상의 빈도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475개의 다빈도 어휘에는 ‘일반목적의 한국어 어휘’와 중복되는 어휘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에 대한 제거를 위해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ㆍ중급 어휘와 중복되는 어휘들을 제거하였으며 더불어 경영학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면접’ 방식을 활용하여 ‘1차 어휘평정 작업’을 실시, 비전공어휘를 뺀 546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2차 어휘평정 작업’은 1차 어휘평정 작업까지의 제거된 어휘들에 대한 검증 후 재 산입을 위한 과정으로 활용하였으며 1차 어휘평정 작업보다는 보다 전문성있는 ‘경영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생산성 경영체제(PMS;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인증제’ 심사원 10명 중 4명이상이 추천한 어휘를 채택하였으며 초급 어휘에서 14개, 중급어휘에서 45개, 원시말뭉치에서 탈락되어 재 추천된 어휘 38개 등 총 97개의 어휘를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643개의 어휘가 확보되었다. 3차 어휘평정 작업은 2차 평정작업을 마친 후의 전공 어휘 목록 643개를 ‘전공 기본 어휘’와 ‘전공 심화 어휘’로 분류하기 위한 작업을 하는 과정으로 ‘경영학 전공 교수’ 3명이 어휘평정 작업을 진행하였고 2명 이상의 교수가 선정할 경우 ‘전공 심화 어휘’로 분류하여 ‘전공 기본 어휘’에서 제외하였다. 3차 어휘평정 작업 결과 총 18개의 ‘전공 심화 어휘’를 제외한 625개의 최종 결과물을 추출할 수 있었다. 625개의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의 누적빈도는 약 30%로 Coverage 50%의 명사 어휘였던 1,475개에 비해 1어휘 당 보다 많은 빈도 Coverage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625개의 명사형 어휘를 학습할 경우 9개 교재의 평균 명사 어휘 출현에 있어서 30%를 cover 할 수 있음을 뜻하는 유의미하는 수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Coverage 50%의 명사 어휘군인 1,475개의 어휘에서 제외된 850개의 탈락 어휘들 또한 사실은 상경계열에서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에서 기 학습한 어휘들과는 상당부분이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빈출 문장을 함께 조사하여 수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영학 전공서적의 주제를 크게 ‘11개 주제’로 분류하였으며, 연구 대상인 9개 교재, 총 127개의 단원을 주제별 카테고리로 재분류하였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말뭉치 작업을 거친 후 625개의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와 비교,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100개씩의 다빈도 어휘를 추출한 결과 각 주제별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가령 ‘투자’라는 어휘는 ‘회계ㆍ재무관리 카테고리’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조직관리 카테고리’에서는 순위에서 빠져 있었다. 또한, ‘창업’이라는 어휘는 ‘창업(경영자)ㆍ정보화’ 카테고리에서는 최상위 빈도 어휘지만 ‘경제(거시)’카테고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순위 내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어휘 분포의 연구는 해당 주제의 카테고리 교육에 있어 어떤 어휘가 주로 출현하는지, 어떤 어휘를 선행하여 교육시킬 때 학습자 【Abstract】 A Study on Basic Vocabulary Selection of Korean for Major Field of Studies for Foreign Students -With focus on Maj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Lee, Young W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giving assistance to foreign students by making clear the basic vocabulary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by doing research with focus on the text for the major subject-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foreign students in business and economics come to study on entering college. Unlike the case where domestic colleges require foreign students to possess the Korean ability equivalent to Class-3~4 in the certifie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t’s really a difficult situation to foreign students who have to learn major subject terms which are hard even to domestic students. Most of the foreign students come to be in contact with major subject terms at the same time when they enter college without any preparation for major subject terms before college entrance,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m to carry out schoolwork. Actually, most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vocabulary is used in a different meaning from ‘Communication-centered Korean’ which they learned before. Moreover, a great many words are composed of Sino-Korean words, and not a few foreign words are used mixed with the Sino-Korean words, or used in another different meaning through the mutual combination between words in many cases. It’s true that a largest number of foreign applicants for domestic colleges are entering the field of business and economics, but, extremely insufficient is the vocabulary research or teaching method for foreign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s yet. Accordingly, this study grasped the major vocabulary that should be essentially mastered in th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ocabulary with focus on the currently used 9 textbooks for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by selecting 10 major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extracted about 260,000 frequencies of use, and 3,551 words around a noun by analyzing 1,010,000 words included in the 9 books. Then, this study extracted 1,475 high frequency words again,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otal frequency numbers. This means mastering 1,475 words leads to the understanding more than 50% frequencies out of the noun-form word frequencie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words which were overlapped with ‘Korean words for general purpose’ in 1,475 high-frequency words. In order to remove the overlapping words, this study first removed the word overlapped with the elementary-intermediate level words set in Test Proficiency in Korean, and also extracted 546 words excluding non-major words by implementing ‘the Primary Word Rating’ using the ‘Group In-depth Interview’ method targeting maj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This study used the ‘Secondary Vocabulary Rating’ as the process for re-inclusion of the removed words during the primary vocabulary rating after verifying them, and implemented the ‘Secondary Vocabulary Rating’ targeting more specialized ‘Management Consultants’ than the Primary Vocabulary Rating.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the vocabulary recommended by more than 4 persons out of 10 judges of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PMS) Certification’, and added a total of 97 words, such as 14 words from the elementary vocabulary, 45 words from the intermediate vocabulary, 38 re-recommended words after being dropped out of raw corpus, Through this, a total of 643 words were secured. The ‘Tertiary Vocabulary Rating is the task process for classifying 643 lexicons of the major subjects after finishing the secondary rating as ‘basic vocabulary for major subjects’ and ‘intensive major vocabulary’ and the tertiary rating was conducted by 3 major ‘profess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is study excluded them from the basic vocabulary for major subjects by classifying the vocabulary selected by more than 2 professors as intensive major vocabulary. As a result of the tertiary rating, this study could extract the final output of 625 words exclusive of a total of 18 ‘intensive major words.” The cumulative frequency of 625 ‘basic words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s about 30%, being found to have a lot more frequency coverage per 1 word in comparison with 1475 noun words whose cumulative coverage was 50%. This is a significant numerical value meaning that it can cover 30% of the average noun words appearance of the 9 texts in case of learning 625 noun-form words. However, a considerable portion of 850 rejected words which were excluded from the lexis of 1,475 nouns whose coverage is 50% are also are used in departments of business and economics differently from the already learned words in ‘Korean for general purpose’;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ed & included their frequency sentences. Finally, this study roughly classified the subjects of business management major books as ’11 subjects’ and re-classified the research subjects, or 9 textbooks, and a total of 127 Units into a category by subject. After doing a corpus task of individual categories, this study extracted 100 multi-frequency words evenly by each subject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625 basic words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raw a very dissimilar result by each subject. For example, the word of ‘Investment’ appeared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ccounting & Financial Management Category’, but the word was dropped out of the ranking in ‘Organization Management Category.’ In addition, the word of ‘Start-up’ was the highest frequency word in ‘Start-up & Informatization’ cat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자동차공학 전공을 중심으로

        김선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자동차공학 전공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자동차공학을 전공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전공과목의 이해와 학습에 도움이 되는 어휘를 선정하고, CBI중 병존언어교수 모형을 적용한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목적 자동차공학 전공어휘를 ‘자동차공학 전공기본어휘’, ‘자동차공학 전공심화어휘’, ‘자동차공학 전공중복어휘’로 분류하였다. 자동차공학 전공어휘 선정은, A대학교 자동차공학과에서 사용하는 전공 교재 7권으로 말뭉치를 구축한 후, ‘똘망새 2.5’를 활용하여 총 266,652개의 어절을 확인하였다. 1차 선정 단계로 ‘단어 빈도(Word Frequency)’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추출한 어절들 중 불필요한 부분들을 제거한 후 명사만을 남기도록 하여 총 12,211개의 명사 어휘가 나타났다. 이를 빈도순으로 구분하여 텍스트 내에서 18회 이상 사용된 명사 어휘가 1,949개 나왔다. 2차 선정 단계에서는 3차에 걸친 어휘평정 작업을 거쳐서 ‘자동차공학 전공기본어휘’ 600개, ‘자동차공학 전공심화어휘’ 216개가 최종 결과물로 도출되었다. 이중 한국어 교사와 전공 교수가 공통으로 선정한 ‘자동차공학 전공중복어휘’어휘는 60개이며 자동차전공 성격의 특성상 중요한 어휘이므로 한국어 교사와 전공 교수가 각각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석사 이상의 한국어 교사 7인과 자동차공학 전공 교수 3인이 어휘평정 작업에 참여하였다. 3차 선정 단계에서「한국어 학습용 기본어휘」 등급 A, B, C와 중복되는 어휘 81개를 추출하였다. 이 어휘들은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용 어휘이지만 자동차의 개념을 설명하거나 비교하는 데 꼭 필요한 어휘로 구분하여 자동차공학 전공 어휘에 포함시켰다. <자동차공학 한국어>개설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선정한 어휘 목록으로 병존언어교수(adjunct language instruction)모형을 적용하여 자동차공학 전공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어휘 교육 자료를 제시하였다. 교육 자료는 첫째, 그림 자료를 활용, 둘째, 한국어-유의어 대응, 셋째, 한국어·외래어·한자어-중국어 대응, 넷째, 한자어-한자어 대응의 교육 자료이다. 한국어 교사는 이 자료들을 활용한 어휘 교육을 실시해 자동차공학 전공기본어휘와 자동차공학 전공중복어휘를 교수하게 된다. 학습자들은 전공 어휘의 최소한의 의미와 구조를 배우고 난 후 전공 수업에서 심층적인 내용을 배우게 된다. 전공 교수는 한국어 교사와 협력하여 자동차공학 전공심화어휘와 자동차공학 전공중복어휘, 그에 따른 전공 내용을 교수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도장>과목의 전공 수업자료를 가지고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공계열 학습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이공계열 학습자들이 대학 전공 이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실태에 주목하여, 자동차공학이라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북미 대학 한국학 전공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 캐나다 앨버타대학 동아시아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강주연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for majoring in Korean studies with the background of North American college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tudy analys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t North American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tatus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t University of Alberta, and the Korean-language learning students’ needs.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Kor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is based on the format of KGP, KGAP, KSAP and KSP education in general. However, KAP education was not so strong to link the basic level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o the academic purpose of Korean studies. Because of this weakness, most of the courses relating to Korean studies are run through the medium of English, and also KSAP courses focus on readings related to the study topics, which leads the curriculum to be constructed to emphasize and improve the vocabulary and reading skills.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of University of Alberta aims to develop the areas of linguistics, culture, and literature as Korean studies concentration. Overall students are motivated by and interested in Korean popular culture through mass media, and prefer to learn more about the area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translation. The students perceive that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especially KAP, is essential in pursuing Korean studies as a concentration area for their major or minor.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developed KAP curriculum for majoring Korean studies through critically embracing the curriculum of North American colleges and reflecting the departmental educational goals and students’ needs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The curriculum proposes KAP goals and objectives, course designs,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and assessment. It includes 4 domains of KGP, KGAP, KSAP and KSP in the KAP program and is developed to connect each domain as well 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to maintain connectivity to the Korean studies.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본 어휘 선정 연구 : 인문계열의 전공 어기(專攻語基)를 중심으로

        송유미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중 인문계열 학습자가 전공 텍스트의 핵심을 형성하는 전공 용어를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전공 어기(專攻語基)를 선정하여 단어족으로 제시하고, 전공어기의 학습 우선순위를 제안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인문계열에서 어문학, 철학, 역사학 등 전공 용어 사전 12권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각기 다른 전공분야와 전공 용어사전의 특징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한 사전 처리과정을 거쳤다. 전공 용어를 주로 구성하는 ‘전공 어기’를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기준을 세웠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위는 ‘1음절 이상의 자립성이 있는 단어’로 설정하였다. 둘째, 명사 합성어구가 주를 이루는 전공 용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단어족에 합성어도 포함시켰다. 셋째, 전공 어기는 A, B, C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A유형은 단일 전공 어기, B유형은 접사가 결합한 형태, C유형은 합성의 방법으로 구성된 전공 어기이다. A유형의 전공어기는 다시 B, C유형의 전공 어기로 확장된다. 전공 용어 구성 빈도 분석은 말뭉치 분석 프로그램인 ‘똘망새 2.5’를 활용하였다. 전공별로 전공 용어를 구성하는 빈도순으로 150여 개의 전공 어기를 선정하였고, 세 개의 전공에서 17,200여 개의 전공 용어를 구성하는 450여 개의 전공 어기를 선정하였다. 450여 개의 전공 어기를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세 개의 전공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전공 어기를 1순위로, 두 개의 전공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전공 어기를 2순위로, 그 외에 하나의 전공에서 나타나는 전공 어기를 3순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공 어휘를 선정함에 있어 텍스트 말뭉치 빈도 조사에서 벗어나 전공 용어를 구성하는 빈도에 기대어 전공 어기를 선정하였다. 전공 어기 선정 결과 인문계열 전공에서 학습자는 450여 개의 전공 어기 학습으로 17,200여 개의 전공 용어에 대한 이해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 어기 학습을 전공 어휘 학습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lists of primary terminology* in word families for the learners of studying humanities among the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I also propose three phases of presenting the words for higher efficiency of studying primary terminology. This study targeted 12 major term dictionaries of humanities, including linguistics and literature studies,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Due to the different major fiel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erm dictionaries, this study processed the treatment procedure in advance for the analysis. 3 standards established to select primary terminology that mostly consists the major term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nalysis unit was set as ‘independent word with more than 1 syllable’. Second, compound words are included in the word famil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terms mainly formed with noun compound words. Third, primary terminologies are categorized into A, B, and C types; A type is the simplex(a simple word without affixes), B type is the form combined with affixes, and C type is made with combination method. A type is expanded to B and C type. The frequency analysis used ‘Ddolmangsae 2.5’, the corpus analysis program. 150 primary terminologies were selected in the order of the major term composition frequency by major. In three majors, 450 primary terminologies were chosen that composes 17,200 major terms. The study proposed an orderly proposal method to propose 450 primary terminologies to learners effectively, primary terminologies that equivalently shown in 3 majors as the first priority, second priority as equivalently shown in 2 majors, and shown in 1 major as the third priority. This study selected primary terminologies relying on the frequency that composes major terms rather than using the text corpus analysis . As a result of selecting primary terminologies, it showed that learners of humanities could have a higher understanding in 17,200 words by studying 450 primary terminologies. Based on such results, primary terminologies studies could be proposed as the new method of studying major terms for KAP learners. * I define ‘primary terminology’ as a word which forms the major terms with high frequency. Key words: Korean education, word education, base word(語基), vocabulary, primary terminology(專攻語基), major term, corpus, word family, frequency analysis, Ddolmangsae(http://www.ddolmangsae.com), Korean for Academic Purpose(KAP), major term dictionary, humanities, language studies, philosophy, historical studies

      • 외국 공직자를 위한 한국학과 한국어 통합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박태호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preparing the development plan of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in which foreign officials can acquire the work-related knowledge of korean studie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tc, and improv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s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the work as a Korean expert. Most of foreign officials engaged in the Korean affairs are required to acquire general knowledge of various areas of korean studies rather than special knowledge of the post-graduate leve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Korean Studies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to belong to middle steps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fessional Korean studies, and to contain introductory and general-purpose materials. The details and results ot this study are stated below. In the first chapter, the needs and purposes of the study as well as the objects and methods of it was addressed. The prior research of the study was reviewed through the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 diplomat and foreign public officials, as well as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In the second chapter,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hrough the details of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the concept of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nd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the third chapter,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the review of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condition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concerned with Korean security actively cultivate public officials of Korean professionals. However,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program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conducted at home universities and government agencies were derived from the short training period, the lacking connection with the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nd the limitation of not departing from Korean language for general purpose. In the fourth chapter, in-depth interviews and demand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Pre-depth individual interview results have confirmed that foreign public officials were able to acquire the work-related knowledge of korean studies and improv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 through the Korean studies courses, as well as they has widely used Korean studies knowledge in order to perform their tasks related to Korea. Demand survey has revealed that most of foreign public officials required Korean language training for work, Korean studies education of a variety of materials for work, and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Especially, it has expressed that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had an interest in a variety of Korean studies materials and required more all the detailed subjects of Korean studies as well as the teaching methods of high degree of utilization and difficulty in tasks than elementary learners.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it was proposed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such a demand survey analysis, that was more concentrated on introductory Korean studies to be able to acquire the work-related knowledge than Korean language. Also, it was proposed to be developed with the two steps of culture and deepening, an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or integrated between inside class method such as lecture, discussion, audiovisual learning, presentation, creating reports and reviews as well as outside class method such as interview, survey of material, field trips, experiential learning,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was proposed to focus on the process of prior lecture step → lecture step → posterior lecture step. After that, examples of real class was presented to adopt this teaching-learning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introductory and general-purpose ‘Korean Studies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a middle step between Korean language and professional Korean studies, and basing on Korean language was suggested in order that foreign public officials wi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can acquire the work-related knowledge of korean studies, and improve their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for work. Futhermore this study was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research on present Korean educational conditions for foreign public officials, the pre-depth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demand survey of them.

      • 중남미 대학 한국학 전공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 멕시코 나야리트 자치대학교를 중심으로

        임현주 경희사이버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 degree progra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n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Korean language as a degree program in Central and South American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case of Autonomous University of Nayarit in Mexico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Central and South American universities where the Korean language course is offered as a degree program and analysis of the needs of learners, Korean teachers, and institutional manager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here are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Autonomous University of Nayarit in Mexico,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e University of São Paulo in Brazil,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Raul Peñ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aguay,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Chile Central University in Chil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by assigning course composition and class hou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Rather than simply compar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each university,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ach department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of learners and professors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with institutional managers, the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degree program in Central and American universities is identified, and the Korean language course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course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re divided into Central and South American universities,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designed. The propo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Central and South American universities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rse and the linkage between subjects, and the Korean language level of graduates was set to intermediate level or higher and TOPIK level 4 or higher. In addition, the curriculum was designed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ing can be conduc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learning Korean for the purpose of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the purpose of employment in a Korean company.

      • 해외 대학 한국어-한국학 연계를 위한 내용 기반 한국어 교수 모형 연구

        양정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focuses on content-based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with Korean foreign universities. As in foreign universities, they don’t only lack on experts in the area, but also lack various and balanced Korean study areas. To solve the problem, the usage of excellent VOD lectures of professors related to Korean studies in foreign universities were useful, supplied the local educators who lack content knowledge with more background information, and helped the local educators to understand the aim of the project, ‘team teaching method’with the local professor was used. This study has centered around the Baku state university , and used Korean language majors as the test subjects, with interviews of learners and professors used as an experimenting method to apply an appropriate teaching model.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tent-based approach’ has been used, and for the foreign Korean studies department, ‘Theme-based teaching model’ and ‘Adjunct language teaching model’ has been suggested. For the designing of teaching model, a suitable teaching strategy was made with content consult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eam-teaching method. ‘Theme-based teaching model’ proved to be an appropriate ‘Introduction to Korean studies’ for ‘general academic purpose learner’, with ‘Adjunct language teaching model’ proved to be an appropriate ‘advanced Korean studies’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learners’. The teaching model was divided into 2 parts, which was the Theme-based teaching model and Adjunct language teaching model. Applied to a lesson plan, the validity of the lesson model was shown through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both the learner and the educator.

      •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 미국 대학의 초급 수업을 중심으로 -

        오미진 경희사이버대학교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examples of desig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learning Korean courses at T University in the U.S. based on service learning theory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learning. Judging from previous case studies combining servic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were insufficient, and mixed studies provided inadequate research. Based on data, the needs of learners, and community needs, classes were planned, opera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P.A.R.E and the discipline-based service lear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have a positive and mutually beneficial effect on teachers, local communities, and Korean learners. The instructor was able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objectives through self-evaluation. Local cooperative organizations were satisfied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service activities of beginner Korean learners. As for the learners’ evaluation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subject, the mean values ​​of all scales increased post-survey indicating meaningful results. Likewi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ers’ overall lecture experience, most of the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in the categories of linguistics, affect, and service. However,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d worry about trying new things were also described. The instructor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s in detail through self-reflection analysi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self-assessment of learners’ Korean abilities, pre-and post-video analysis of children’s book reading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learner’s self-assessment on Korean proficiency, the learners recognized that Korean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In addition, the reading speed of Korean text was fast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s Korean pronunciation errors decreased, learners’ reading accuracy increased.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f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critical thinking’, ‘career and teamwork’,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student ‘satisfaction’. The mean values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critical thinking’,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pre-tested. It was found that servic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 However, positive results could not be drawn because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leadership’ and ‘cooperation’ among ‘career and collaboration’ fel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ion efficacy’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ason that ‘reading poetry’ and ‘reading fairy tales’ were conducted as individual activities, so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to get along with others. In addition, although learners can adapt well to new environments in which they perform service learning activities, self-efficacy was lower in the post-test in terms of performing work using the information learned at the university or utilizing their talents or skills. When instructing service learning Korean language courses in the future, methods that can enhance learners’ ‘leadership’, ‘cooperation’, and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on. Fourth, A self-reflection paper was qualitatively analyzed to study the changes in learners’ thinking regarding service learning.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through self-reflection reports after ‘reading poetry’, ‘reading children’s books’, and ‘teaching Korean’ as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lf-reflection report of the learner, the instructor came to understand the learner better, and it was helpful to know the process of students’ academic growth.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reading poetry’ activities. They said that reading and vocabulary in Korean were expanded, which helped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Likewise,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problems by going through the feedback process with the instructor during children’s book reading practice. The learner also became better at Korean speaking. Korean learners said that ‘reading a children's book’ was a very frightening and challenging activity emotionally, but it was a very helpful activity for learning Korean. In the ‘Teach Hangul’ activity, the learner did his/her best by focusing o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learners described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that they enjoye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improv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lso, in order to teach Korean well, learners ha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by reviewing and deepening what they had learned. The learner played the role of a service provider in the classroom, discovering a link between what he or she actually knows and the service experience. In the process from the 1st to the 4th teaching Korean sessions, Korean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as presenter, leader, and language learner. Korean learners gained confidence as they prepared more diligently in class to teach well. The Korean learners said that they were motivated by watching the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Hangul. The learners became aware of his/her own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nd as service recipients did their best to meet their needs, their awareness of service improved and their civic responsibility improved. Learners have grown a global awareness of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by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through a foreign language. The learners said that the Hangul teaching experience was great and that they needed it to grow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The students said that they wanted to take more service learning courses in the future as a different approach to improve learning beyond what they had in the past. The results of this cause analysis provided data for future course improvement. Key word: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course, service, community service, Korean language, university, reflection, mixed methods research, case study, learning outcome, learning effects. 본 연구는 미국 T 대학 현장의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설계, 운영, 평가의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 결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서비스러닝과 한국어에 접목한 사례 연구가 미진하였으며 연구 방법 면에서 혼합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P.A.R.E 수업 모형과 학문 기반 수업 모델을 기초로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 평가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에 대한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과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더불어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을 하였다. 학습자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사고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 성찰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평가를 통해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운영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은 교수자, 지역사회, 학습자에게 상호 호혜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자가 평가를 통해 교육의 목표와 운영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지역기관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비스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만족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에 대한 학습자 평과 결과는 사후 평균값이 모두 상승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강의 전반에 대한 경험을 다빈도어로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학습자는 언어적, 정의적, 서비스 측면의 범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 걱정 등의 부정적인 감정도 기술하였다. 교수자는 자기성찰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교과목 개선을 위한 자료가 되었다. 둘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결과 학습자는 한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학습자의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 결과 사전보다 사후에 텍스트 읽기 속도가 빨라졌고 발음 오류가 줄면서 읽기 정확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학습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는 서비스러닝은 소중한 경험이며 서비스러닝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했으며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등록을 후회하지 않았다. 다양한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믿으며 성취감을 느꼈다. 한국어 공부와 서비스러닝을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좋아하고 계속하고 싶어 하였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서비스러닝 교과목 수강을 권하겠다고 하였다. 한편,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비스러닝의 변인인 ‘경력과 협동’과 개인 변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은 하락하였는데 ‘경력과 협동’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에 기여하고 경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의 척도 평균 척도 값의 결과는 사전 4.09, 사후 4.19로 상승하여 ‘경력’에는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리더십이 강하다.’(사전 3.52, 사후 3.45), ‘조원과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사전 4.30, 사후 4.15)라는 문항에서 서비스러닝이 ‘리더십’, ‘협동적인 태도’의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 읽기’, ‘동화 읽기’가 개인 활동으로 진행되어 타인과 어울릴 기회가 적은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협동 학습을 신장할 수 있는 서비스러닝 활동을 고려하여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러닝 활동을 수행하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문항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나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라는 문항은 사전 4.30에서 사후 4.17로 척도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활동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라는 문항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 4.20에서 사후 4.17로 하락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는 대학에서 배운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거나 자신의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자기 효능감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시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서비스러닝 활동에 반영하여야 할 부분이다. 넷째, 학습자는 서비스러닝 활동으로 ‘시 읽기’, ‘동화책 읽기’, ‘한글 지도’ 활동 후 자기성찰을 통하여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 성찰지를 분석하며 학습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학업적 성장 과정을 알 수 있어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는 ‘시 읽기’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읽기 능력과 어휘가 확장되어 한국어 능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연습 과정 중 교수자와의 피드백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발음 오류, 문제점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말하기를 더욱 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의적인 측면에서 동화책 읽기 경험이 신기하고 재미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떨린다’, ‘두렵고 겁이 난다’라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즉, 한국어 학습자들은 정서적으로 ‘동화책 읽기’가 매우 두렵고 도전적인 활동이었지만 학습에는 매우 도움이 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활동 후 ‘만족감’,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동기’가 생겼고 서비스러닝의 의도를 이해한다고 하였다. ‘한글 지도’ 활동에서 학습자는 교수-학습 상황에 집중하며 최선을 다했는데 학습자는 한글 지도 활동은 기쁘고 즐거웠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한글 지도 활동을 통해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글을 잘 가르치기 위해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심화하면서 한국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고 기술하였다. 학습자는 교실 내 학습의 수혜자에서 실행자의 역할을 하며 실제로 아는 지식과 봉사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해 나갔다. 1 차시 수업에서 4 차시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는 발표자, 지도자, 학습자의 관점에서 여러모로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는 잘 가르치기 위해 수업을 더 열심히 준비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는 고등학생이 한글을 습득하는 과정을 보며 동기가 부여되었다고 하였다. 학습자 자신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자신의 영향력을 인지하게 되었고 서비스 수혜자가 필요한 부분을 충족하려고 최선을 다하면서 시민의식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한국어’라는 외국어를 매개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여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글로벌 의식이 성장하였다. 학습자들은 한글 지도 경험은 미래의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훌륭한 경험이었고 기존에 해 왔던 학습의 고정 관념을 벗어나 학습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접근의 시도로 앞으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더 수강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상 본 연구에서 미국 대학 현장의 한국어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설계와 운영, 평가의 방법과 학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서비스러닝 한국어는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학습 효과 중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력과 협동’과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이 하락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원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개선 방안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서비스러닝 활동 후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 성찰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서비스러닝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러시아권 한국어 교재의 통시적 연구 : 19세기말에서 1990년 이전 한러 교재를 중심으로

        김혜란 문화창조대학원 글로벌한국학 전공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Russi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90, and shed a new light on their value and significance as part of the effort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odern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es of the textbook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period segments by separating extrinsic elements from intrinsic ones. Conclusions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officially in Russia in the late 19th century, teaching methods or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was hardly found, or even mentioned, in academia. Due to this reas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in Russia, which have high historical value and represent the respective period segments mentioned above.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classified by period consists of 'textbook system’, 'textbook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and '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textbooks’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could be characterized as Korean studies involving history, politics and economics, when compared with the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lassified into the 1st and 2nd period consisted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and the early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Dynasty and Russia. Particularly, the first Korean language textbook in 1899 was identified as being a teaching material that contained the spirit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and Hangeul by King Sejong. Third, analysis on the 3rd period, which corresponds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independence and the chaotic period thereafter, shows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World War II.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ing,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studies entered a period of stagnation before they revived with independence on August 15, 1945, wh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gan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ublish textbooks. During the period a number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reading published were publish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aterials that dealt with such topics of society, literature, culture, and science in Russia.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on topics such as Russian literature, society, and culture translated into Korean contain content worthy of use in modern Korean textbooks localized in Russia.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the fourth period (1953-1989),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and the diplomatic tie between Korea and Russia was cut off, included university-level textbooks with high academic value for teaching Korean grammars. There were also many Korean bilingual textbooks for children compiled by ethnic Koreans forcibly relocated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Finally, the implications of Russian-Korean textbooks analyzed diachronically was found to be meaningful in developing and utilizing Russian-localized Korean textbooks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in textbook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on the types of text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as presented for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time to discover and analyze Russian Korean textbooks diachron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 1860년부터 1990년 한국과 러시아 수교 전까지의 통시적 시대를 대표하는 러시아에서 발행된 한국어 교재의 시대별, 유형별 분류를 통해, 시대별 특징과 교재의 유형 및 변천에 따른 한국어 교재들의 가치와 의의를 조명하며, 현대 한국어 교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4시기로 분류된 한국어 교재의 외사적, 내사적 특성을 구별하여 시대별 교재가 지니는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19세기말 유럽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한국어 교육이 시작된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수법과 교재에 대한 연구가 학계에 언급되지 않거나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고려하여, 1990년 한러 수교 이후 연구 자료의 희귀성을 지니고, 시대적 대표성을 지니는 러시아에서 발행된 한국어 교재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시기별 분류된 한국어 교재 분석은 ‘교재 체제’, ‘교재 내용 및 교수-학습 조건’, ‘교재사적 가치와 시사점’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러시아에서 한국어 교육은 다른 나라에 비해 역사, 정치, 경제적으로 연관성이 깊은 한국학으로서 특징을 보였다. 시대별 1-2기 바탕기, 태동기로 분류되는 교재들은 한인 이주의 역사, 조선과 러시아의 첫 외교적 관계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는 교재들로 구성되며, 특히 1899년도 첫 한국어 학습 교재는 러시아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로서 한글 교재로 훈민정음 창제와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을 담은 교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시대별 3-4기 정체기, 도약기에 해당 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일제강점기-해방기 및 혼란기에 해당되는 3기에서는 러시아의 혁명, 2차 세계 대전 등 외사적 특징을 지닌다. 한반도의 일본 합병으로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의 정체기를 보내지만, 8·15 광복과 동시에 잠시 중단되었던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다시 활성화되고, 한국어 교재 발간을 위해 노력이 이어졌습니다. 동시에, 고려 한인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과 러시아의 사회, 문학, 문화, 과학을 주제로 하는 통합적 교재 유형으로 모국어 한국어 읽기 교육에 중점을 둔 독본 교재들이 많이 발행되었고, 한국어로 번역된 러시아 문학 및 사회, 문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육용 독본 교재는 러시아 현지화 현대 한국어 교재에 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넷째, 4기(1953-1990) 남북 분단기, 한러 외교 단절기에 해당되는 한국어 교재에서는 대학용 학문·국어학적 성격을 띈 학술적 가치가 높은 한국어 문법개론서와,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고려·한인의 민족언어 교육의 부흥을 위한 아동용 이중언어 한국어 교재가 대표적이다. 마지막으로 통시적 분석을 통해 분석된 러시아 한국어 교재의 시사점은 한러수교 이전 교재에서 언어 교육적, 문화 교육적 측면은 러시아 현지화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한·러수교 이후 한국어 교재 분석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 한국어 교과서를 통시적으로 살펴 한국어 교재의 시대별 특징에 따라 분석한 첫 시도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