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国普洱茶文化形成及产业发展研究

        曹 博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2023 국내박사

        RANK : 252815

        Puerh tea is famous both at and abroad, and its main producing areas are Simao Prefecture (now Pu'er City), Xishuangbanna Prefecture, Lincang and other regions in Yunnan Province, China. Puerh tea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tea culture.35.4 million years ago in the Oligocene of the Early Tertiary, the only fossil origin of the new species of Magnolia platyphylla, the ancestor of tea in the flora, was in the Jinggu Basin in Simao area; The world's longest surviving (2700 years) wild type ancient tea tree "living fossil" is in Qianjiazhai, Zhenyuan, and the wild type ancient tea tree "living fossil" (1700 years) is in Menghai Bada; The only living "living fossil" of the millennium transitional ancient tea tree on the earth is in Lancang Bangwei; Thousands of years of cultivated ancient tea forest in Jingmai; The 800 year old cultivated tea tree died at the end of 1994 in Nuoshan, Menghainan.Now Simao Prefecture and Xishuangbanna Prefecture were under the jurisdiction of Yinsheng Festival in the Nanzhao period of the Tang Dynasty, and were called Puerh Prefecture in the Qing Dynasty。 Manshu in the Tang Dynasty said that "tea leaves the mountains of Yinsheng City", and Dianlue in the Ming Dynasty said that "all the tea used by scholars and common people is steamed into a group"Pu'er tribute tea was also processed here in the Qing Dynasty.Pu'er tea has been popular at home and abroad for a long time since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nd is deeply loved by people.Pu'er tea has a long history of cultivation and rich cultural connotation.A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ategories of Chinese tea, Yunnan Puerh tea has gradually transitioned from drinking value, health value, and cultural value to collection value and investment value. In Yunnan, south of the colorful clouds, the wild ancient tea trees grew in the dense primeval forest. The ancestors who lived there learned that the wild tea leaves had the effect of detoxification, and then began to collect and use tea.At - 128 - that time, tea was only used as a kind of herbal medicine. After picking, it was boiled directly for drinking. The process of tea production didn't begin until the Zhou Dynasty, when tea officials were set up to gather tea for funeral purposes. This habit continued to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f we want to collect tea as sacrificial supplies, we must solve the problem of long-term preservation of tea. Due to the limitation of technical conditions, people chose the most direct "dehydration method" to dry and store tea leaves for use at any time. Once the fresh tea leaves are dried in the sun, the internal quality has changed greatly. This method is now called "raw drying", which is similar to the modern white tea processing technology. As time went by, people found that raw and dried loose tea still could not meet the demand for convenient storage. Because the aroma of loose tea was easy to dissipate, people tried to make dried tea into tea cakes, tea slices or ground into powder, which could not only improve the taste of tea, but also make storage more convenient. Guangya, written by Zhang Yi, a member of the Wei Dynasty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records that "tea is picked to make cakes between Jingba and Jingba." During the Tuoba period of the Northern Wei Dynasty in the Sixteen Kingdoms of the Eastern Jin Dynasty, there were also historical records of cake making and grinding technology: the residents in Sichuan and Hubei made tea into cakes, dried it, crushed it, and drank it with water. This method lasted until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at is, fresh leaves were made into cakes and slices, which were crushed when they were drunk. In the Tang Dynasty, the first qualitative leap in tea making technology was the invention of the technology of steaming green tea. The green sun dried tea cannot remove the "grass smell" in the leaves. Through repeated practice and summary, people found that once the tea was steamed, the taste could be greatly improved. Lu Yu's "Tea Classic" records in detail the process of steaming green tea, which goes through six steps, namely, "picking, steaming, pounding, shooting, baking, wearing, sealing, and drying the tea".The key is to make cakes after steaming, and leave a hole in the middle for drying. The grass flavor of steamed cake tea or group tea is basically removed, but because the steaming process allows more leaching of the tea content, the steamed group tea brings bitter problems when drinking. Therefore, people continued to make improvements, forming a method of first washing the fresh leaves, then steaming, pressing the tea leaves after steaming, squeezing out part of the tea juice, and then making cakes to reduce the final bitter taste. This method was very popular in the Song Dynasty, and it was stated in the Daguan Tea Theory written by Zhao Ji, Emperor Huizong of the Song Dynasty. During the Song Dynasty, the process of washing tea was also improved. For example, the tea after steaming was washed again to make it cool quickly and keep its bright green color unchanged. It is worth mentioning that during the reign of Emperor Taizu of the Song Dynasty, a kind of Longtuan tea - 129 - was made. In the first year of Xianping (AD 998), a model of dragon and phoenix was set up to make the group tea. The group tea was decorated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which is called Longtuan and phoenix cake, and this is the origin of Yunnan brick tea and cake tea in the future. Although the process of steaming Qingtuan tea reduces the bitterness by pressing, the taste of the tea itself has been greatly damaged. Therefore, after the tea was steamed, people dried it directly without kneading or pressing, and the steamed green tea began to change to steamed green tea. The steaming method did not change fundamentally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Yuan Dynasty. The method of frying green tea was vigorously promoted in the Ming Dynasty, where frying pan was widely used to eliminate green tea. In the tea monographs of the Ming Dynasty, there were very detailed records of the roasting technology, and they all paid great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of tea aroma. This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innovation of tea making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China's tea industry. Because of the fry green technology,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various famous teas in China. The exact chronological sequence of the development from roasted green tea to various teas has not yet been recorded. If we judge from the processing methods of various kinds of tea today, we can infer that yellow tea and black tea are the first, and white tea, black tea and green tea are the last. Tracing back to the history of tea development in Chen Chuan's "General History of Tea Industry", we can see that the history of tea industry development has changed from unfermented green tea with the core process of green removal; And yellow tea based on the green tea bleaching process, with the stuffy yellow as the core process; On the basis of green tea decreation without fermentation (oxidation) process, black tea with the core of heap stuffiness and pile fermentation process, and white tea with the core of fermentation (oxidation) process; To green tea with green semi fermentation (oxidation) as the core process; And black tea with Wohong (also known as full fermentation) as the core process; The emergence of fermented tea has also experienced a long time. It is developed slowly through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ea making technology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in different regions. In this process, fermentation played a great role.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Puerh tea by sorting out the development history of six types of tea and the changes of tea making technology. From the comparison between black tea with microbial fermentation as the core technology and other types of tea, this paper will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icrobial fermentation tea and fermentation (oxidation) on the basis of the tea property classification of Puerh tea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e tea making technologies of each type of tea. Exquisite processing technology is one of the conditions to ensure the excellent - 130 - quality of Puerh tea, and is also the key to the formation of Pu'er tea products. In terms of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h this paper has carried out many investigations and field visits to the tea mountain in the origin of the production area, visited many local Puerh tea processing factories in Yunnan, observed and learned the raw material processing of Pu'er tea, the raw tea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h tea and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cooked tea, and combed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 tea in different periods in history, And the national and local standards related to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h tea in different periods. A cup of high-quality tea cannot be presented without high-quality water and appropriate brewing methods. This paper tests several commonly used tea brewing water in the Korean market,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a brewing water with examples to provide a data experimental basis for making a cup of Puerh tea. In addition to the water used for making tea, the selection of tea making equipment and methods plays a key role in how to make a cup of Pu'er tea. This article classifies and compares the common and commonly used tea making equipment, selects the tea props suitable for making various types of Pu'er tea, and makes a specific case analysis. Through Puerh tea drinking methods such as raw tea seats, cooked tea seats, roasted tea seats, boiled tea seats, and mixed drinks of Puerh tea, it is applied to the influence of various materials of tea making equipment on Puerh tea soup, Make specific application demonstration. Through the above drinking methods of Puerh tea, it is proposed that the health care value of drinking Puerh tea can be maximized by reasonable and healthy drinking methods for different constitut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based on drinking interests. Pu'er tea has a long history of production and drinking in ethnic minority areas. Many local ethnic minority people regard Puerh tea as a daily drink, even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culture. Yunnan minority tea culture has a profound impact on Pu'er tea culture.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traditional drinking methods of Pu'er tea also draw heavily on the tea culture of local ethnic minorities, including Dai, Bulang, Lahu, Naxi, Tuo, etc. The influence of ethnic minority tea culture on Pu'er tea cultur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s multifaceted, including production technology, drinking method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ulti-ethnic cultural exchanges. These influences have promoted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Pu'er tea culture, and also enriched and diversified the cultural connotation of Pu'er tea.At the same time, this cultural exchange and integration has also brought a broader sense of cultural identity and regional identity to Yunnan ethnic minorities, which is conducive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of multiculturalism in Yunnan. In terms of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h tea, this paper combs the - 131 -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vestment market of Puerh tea, and expounds the general situation of investment in Puerh tea from the aspects of investment theory, value basis, investment market, appreciation path, etc., which can enable the lovers of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h tea to form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h tea, which is conducive to making better judgments and decisions. At present, the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 tea are not only popular in China, Hong Kong, Macao and Taiwan, including neighboring South Korea, Malaysia, Singapore and other places. The field of physical investment of Puerh tea is one of the most popular categories, and its trading volume, trading unit price and trading volume are showing a rising trend year by year. However, with the continuous expansion of the investment and trading market of Puerh tea, credit risk problems such as forgery, fraud, evasion and dishonour also come along. In the process of tea industry development, consumption is one of the main factors restricting suppl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 industry economy and market trends tend to change with the consumption capacity of the economy and the public. In recent years, for example, in 2007, 2014, 2021 and 2022, there have been dramatic fluctuations in the transaction price of Puerh tea trading market, and the negative impact is called the "collapse of the tea market" by the market. In recent years, because the price of raw materials in the country of origin has increased year by year, the fluctuation range of its product price has also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before, and its change factors will drive the sales and supply of Pu'er tea enterprises to fluctuate synchronously.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is price fluctuation and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onsumption alone. Therefore, there must be other factors affecting this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In my daily work, I am also a participant in the operation of Puerh tea market. In the operation, I found that investment and collection are actually one of the factors restricting the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of Puerh tea, and may even play a major role. The collection craze and investment behavior of Puerh tea have appea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ea market for about 20 years, and its market changes and consumption demand have attracted enough attention from the tea industry and tea academia. For Pu'er tea, the author believes that investment and personal collection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and investment needs to make an estimate and prediction of the profitability and return on investment of tea products,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tea has a certain market liquidity and liquidity. However, if you want to collect Pu'er tea as a personal preference, you only need to choose the tea that suits your consumption ability and habit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people's attitudes towards the investment of Puerh tea. Especially after 2007, the market price of Puerh tea has fluctuated sharply several times. The industry also has - 132 - some negative views on investment and collection, and many different voices have emerged, such as Jiang Xinfeng (2010)They believe that the consumption of instant drinks of Puerh tea lags behind the purchase consumption brought by investment collection, which is likely to lead to distortion of market supply and demand and price chaos. He also believed that this distortion would lead to malicious speculation in the market, which would make the Pu'er tea market go against the law of valu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vestment in and collection of Puerh tea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even this model has begun to extend to other storable tea categories. For example, in recent years, black tea and even white tea have also begun to coll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more rigorous and scientific wa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ction on the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of Puerh tea market, and understand the internal factors of the sharp fluctuations in the price of Pu'er tea market, so as to help tea producers and sellers correctly evaluate this impact mechanism, so as to avoid harm to normal production and operation. And it is more necessary to put forward reasonable suggestions on investment collection for investors and collectors of Puerh tea, so as to avoid economic losses caused by the negative impact of blind investment. The scientific storage mode of Puerh tea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st fermentation quality of Puerh tea and its appreciation space. Yan Zi's Spring and Autumn Annals said: "Oranges born in Huainan are oranges, while those born in Huaibei are trifoliate orange, with similar leaves, but different flavors." Although Puerh tea originated in Yunnan, it is the main consumer in Guangdong, Hong Kong, Taiwan and other regions. At present, the mellowing method of Puerh tea is natural storage The storage area represented by Kunming, the provincial capital of the origin of Pu'er tea, is called Kunming Warehouse or North Warehouse. The Pearl River Delta and Lingnan regions, which are the largest consumer markets, are called Guangdong Warehouse or Nanfang Warehouse. Due to the difference in natural storage conditions between different regions, the mellowing quality of Pu'er tea will be greatly affected. The change of storage and quality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ice of Pu'er tea. Through the above contents,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Puerhr tea, the tea category, processing technology, healthy drinking methods, and the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 tea. It can deeply understand the cultural connotation of Pu'er tea,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brand of Puerh tea, and propose investment plans for various brands, promote, protect, and inherit the culture of Puerhr tea. And the positive development of Puerh tea industry. 보이차는 국내외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주요 생산 지역은 중국 운남성의 사모思茅지역 (현 재 보이시普洱市), 서쌍반나西雙版納 및 임창臨濸등 이다. 진원 천가채鎮沅千家寨에서 발견된 2700 년 야생 고차수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부른다. 남라산南糯山에 심은 800년 된 재배형 차나 무는 안타깝게 1994년에 고사하였다. 현재 사모 지역과 서쌍반나주은 당나라 남조 시대에 은 성계두銀生節度의 관할 하에 있었고, 청나라 때는 보이부普洱府라 불렸다. 당나라의 『만서蠻書』 는 "차는 은생성의 경계에 있는 여러 산에서 나온다. 독특한 제다방법이 없이 몽사만이 이 차 를 산초, 생강 계피와 함께 넣어 끓여 마신다.茶出銀生城界諸山,散收無采造法。蒙舍蠻以椒姜桂和烹而 飲之"는 기록이 있고 명나라의 『전락滇略』에서는 "사대부와 서민들이 모두 이 '보차普茶'를 마셨 다. 이차는 쪄서 둥글게 단차모양으로 만들었다. 士庶所用,皆普茶也,蒸而成團." 청나라의 공차貢茶 도 이와 같이 만들었다. 보이차는 청나라 말과 중화민국 초기부터 국내외에서 유행하여 오랫 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보이차는 오랜 재배 역사와 풍부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 차의 가장 독특한 범주중 하나인 운남 보이차는 점차 음용 가치, 건강 가치 및 문 화적 가치가 높아 수장 및 투자 가치로 전환되었다. 채운의 남쪽彩雲之南에는 울창한 원시림에서 야생 고차수가 자라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야 생 차나무 잎이 해독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찻잎을 따서 활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차는 일종의 한약재로만 사용되었고 따서 바로 끓여서 마셨다. 차 가공 및 생산 기술은 주나 라에서 시작하였으며, 당시 주나라에서 차 담당자를 내 세워 제사용 차를 모았다. 이러한 풍 습은 춘추시대까지 이어져 찻잎을 제물로 모으기 위해서는 찻잎을 장기간 보존하는 문제를 해 결해야 했다. 기술적 조건의 한계로 인해 사람들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찻잎을 건조하고 저장하기 위해 가장 직접적인 탈수 방법을 선택했다. 신선한 찻잎을 햇볕에 말리면 내부 품질 이 크게 변화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생쇠生曬'라고 불리며 현대의 백차 제조 과정과 다소 유 사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차의 향기가 쉽게 발산되기 때문에 생쇠生曬하는 대신 사람들은 건조 차를 병차, 조각차 또는 산차로 만들려고 했다. 긴압緊壓으로 만들 수 있어 차 의 맛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보관도 편리하다. 삼국시대 쓴 『광야廣雅』에는 “경파 지역에서는 차를 따서 병차를 만든다荊巴間,採茶作餅.”는 기록이 있었다. 이 방법은 당나라와 송나라까지 계속되었다. 즉, 신선한 찻잎을 병차와 조각으로 만든 다음 마실 때 빻아 갈아서 음용했다. 당나라에서 차를 만드는 과정은 첫 번째 질적 도약, 즉 녹차를 만들기 위해 차를 찌는 방법 - vii - 이 있었다. 햇볕에 말린 찻잎은 잎의 "풋내青草味"을 제거할 수 없으며, 사람들은 반복적인 연 습을 통해 찻잎을 한 번 찌면 맛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당나라 육우의 『다경茶 經』에는 "좋은 날씨에 찻잎을 따기, 찌기, 두드리기, 찧기, 굽기, 뚫기, 밀봉하기晴採之,蒸之,搗 之,拍之,焙之,穿之,封之,茶之幹矣 "라는 여섯 단계를 통하여 이중에 가장 중요한 단계는 차를 찌는 과정을 거쳐 떡차를 만드는 과정이다. 찻잎을 찐 후에 떡차를 만들고, 중간에 작은 구멍 을 뚫어 건조해서 함께 묶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찐 떡차는 기본적으로 떫은 맛이 제거되지만 찌는 과정에서 찻잎에 있는 물질이 더 많이 침출되기 때문에 떡차는 마실 때 쓴맛 이 나는 문제를 가져온다. 그래서 사람들은 차잎을 먼저 씻은 다음 쪄서 찻잎을 세게 누르는 방법을 선택했다. 찻잎의 쓴 맛을 줄이기 위해, 송나라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고 송나라 휘종 황제宋徽宗가 쓴 『대관다론大觀茶論』에 이 과정에 대한 설명이 있다. 송나라 에는 찻잎을 씻는 과정도 개선되었으며, 찐 찻잎을 물로 씻어 빠르게 식히고 밝은 녹색을 변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송나라 태조 때 일종의 용봉단차龍鳳團茶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998년에 용과 봉황 모형을 세워 단차를 만들었다. 단차를 찌는 과정은 눌러 짜서 쓴맛을 줄이 지만 결국 차 자체의 맛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차를 찐 후에 사람들은 반죽하거나 누르지 않고 직접 말리면 단차가 산차로 변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당나라와 송나라의 병차와 단차의 제다방업은 오늘날의 보이차와 깊은 관련이 있다. 보이차의 기원 및 문화 발전바탕으로 보이 차의 문화적인 배경, 가공기술의 변천, 보이차의 음다문화 및 소수민족 차문화 그리고 보이차 의 산업 및 유통 등의 층면에서 고찰하여 논술하였다. 제 1 장에서 연구목적과 배경,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 및 범위를 논의하였다. 제 2 장에서 보이차의 문화 형성, 보이차의 정의, 그리고 보이차의 효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정교한 가공 기술은 보이차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하는 조건 중 하나이며 보이차 제품 형성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한다. 보이차 제다 측면에서 생산 지역의 차산지 기원과 역사에 대한 많은 문헌고찰 및 현장 견학을 수행했으며 운남의 많은 보이차 가공 공장이나 현지 차 박물관도 방 문하였다. 보이차 가공 기술의 발전과 변화를 정리하였다. 소수민족 지역에서 보이차의 생산과 음용 역사는 매우 길며, 많은 지역 소수민족이 보이차를 일상 음료로 삼고 심지어 민족 문화 의 중요한 부분으로 받아들였다. 운남 소수민족의 차 문화는 보이차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 쳤다. 보이차의 생산 과정과 전통적인 마시는 방법은 또한 태족傣族, 포랑족朗族, 라후족拉祜族, 나시족納西族, 이족彝族등 현지 소수민족의 차 문화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소수민족 차 문화가 보이차 문화와 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생산 기술, 마시는 방법, 품질 특성 및 다민족 문 화 교류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다. 이러한 영향은 보이차 문화의 번영과 발전을 촉진했으며 보 이차의 문화적 의미를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었다. 동시에 이러한 문화 교류와 통합은 운남성 소수민족에게 더 넓은 문화적 정체성과 지역적 정체성을 가져다주어 운남 다문화주의 의 발전과 교류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한 점에서 보이차와 소속민족 차문화를 문 헌과 현지탐방을 통해서 정리했다. 제 3 장에서 중국 6대다류의 분류에 바탕으로 보이차의 소속에 대한 논정을 이론적인 토대 를 제시하였다. 녹차에서 민황悶黃 공정을 거쳐 황차가 만들어 진다. 황차에서 악퇴발효渥堆發 - viii - 酵 공정을 통해 흑차가 만들어 진다. 위조萎凋 공정과 경발효(산화)輕發酵(氧化)을 통해 백차가 만들어 진다. 좌청做青(요청搖青、량청涼青、살청殺青포함)과 반발효(산화)半發酵(氧化)공정를 거 쳐 우롱차가 만들어 진다. 또한 악홍渥紅을 통해 전발효(산화)全發酵(氧化)가 되어 홍차가 만들 어 진다. 이런 과정에서 산화와 발효의 역할이 컸다. 보이차 포다泡茶의 물의 원산지에 따라 차의 특성을 설펴보았다. 차를 끓이는 물외에도 차를 마시는 도구와 차를 우리는 방법은 좋은 보이차를 마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고는 시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차 마시는 도구를 분류하며 비교하고,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보이차를 마시기에 적합한 차 도구 선택을 제안했다. 각종 재료로 만든 차도구가 보이차에 미치는 영향을 응용하여 구체적 인 사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다양한 보이차 음용방법을 통해 다양한 체격과 연령층에 따라 관심과 취미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건강 차 음용방법을 통해 보이차 음용의 건강한 가치를 극 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보이차 가공 기술에 대한 국가 및 지역 표준뿐만 아니라 좋은 차 한 잔을 제시하는 것은 양질의 물과 적절한 추출 방법과 불가분의 관계있다. 또한 보이차의 품질관리를 위해 관능평가가 필요하다. 올바른 차를 마시기 위해 과학적인 음용밥법이 종요한 다. 보이차 포다泡茶의 물의 원산지에 따라 데이터 기반을 실험했다. 차를 끓이는 물외에도 차 를 마시는 도구와 차를 우리는 방법의 선택은 좋은 보이차를 마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고는 시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차 마시는 도구를 분류하며 비교하고, 구체적인 사례 분석 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보이차를 마시기에 적합한 차도구 선택을 제안했다. 각종 재료로 만든 차도구가 보이차에 미치는 영향을 응용하여 구체적인 사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여러 사례 보이차 음용방법을 통해 다양한 체격과 연령층에 따라 관심과 취미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건 강한 차 음용방법을 통해 보이차 음용의 건강한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제 4 장에서 보이차의 투자 및 유통 측면에서 보이차 투자 이론, 가치 기준, 투자 시장, 평 가 측면에서, 보이차 투자의 일반적인 상황을 제시하였다. 차 투자 및 수장은 더 나은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인식을 형성한다. 현재 보이차의 투자 및 수장은 중국본 토, 홍콩, 마카오, 중국대만뿐만 아니라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주변 국가에서도 많은 관심이 있다. 보이차의 핫이슈는 실물적인 투자이며 거래량, 거래단가, 거래액이 해마다 증가 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보이차 투자 및 거래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위 조, 사기 및 주문 회피와 같은 신용 위험 문제도 동반된다. 차 산업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소 비는 공급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므로 차 산업 발전과 시장 동향은 대중의 소비 경 향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몇 년 동안, 예를 들어 2007년, 2014년, 2021년, 2022년에 보이차 거래 시장에서 거래 가격의 급격한 변동이 있었고 부정적인 영향은 시장에서 "차 시장 붕락茶市崩盤"이라고 불렸다. 변동이 주기적이고 반복적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최근 몇 년 동안 원산지의 원자재 가격이 해마다 상승함에 따라 제품의 가격 변동 폭도 이전에 비해 크게 바뀌 었으며, 변화 요인은 보이차 기업의 판매 변동에 있다. 이러한 가격변동과 수급관계는 소비의 증감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수급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있을 수밖 에 없다. 일상 업무에서 저자 본인도 보이차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운영 중에 실제로 투자 와 수장이 보이차의 수급 관계를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심지어 중요 한 역할라고도 할 수도 있다. 보이차의 수장 열풍과 투자 행태는 지금까지 약 20년 동안 차 - ix - 시장의 발전에 나타났으며, 시장 변화와 소비자 수요는 차 업계와 차 학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보이차에 대해 저자는 투자와 개인 수장은 다른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하고 투자는 차 제품의 수익성과 투자 수익을 예측해야 하며 차 제품은 일정한 시장 유동성과 유동성이 있 어야 한다. 그러나 보이차를 개인의 취향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자신의 소비능력과 소비습관에 맞는 차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보이차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에도 차이가 있는데, 특 히 보이차 시장 가격이 여러 차례 변동한 2007년 이후 업계에서도 투자 및 유통에 대해 부정 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러나 보이차의 투자 및 수장은 산업 발전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이 모델조차도 최근에 다른 종류 흑차 및 백차와 같은 저장 가능한 차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보이차 시장의 수급 관계에 대한 수장의 영향을 조사하고 보이차 시장의 큰 가격 변동의 내부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보다 엄격하고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차 생산자와 판매자가 이 메커니즘을 올바르게 평가하여 정상적인 생산 및 운영에 해를 끼치 지 않도록 도와주야 한다. 그리고 블라인드 투자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피 하기 위해 보이차 투자자와 취미 수장가에게 합리적인 투자 및 수장 제안을 제시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는 점에서 여러 사례와 브랜드 가치를 분석하였다. 보이차의 과학적 저장 방법은 보이차의 후발효後發酵 품질과 감상 공간을 향상시키는 데 중 요한 요소이다. "귤이 회남에서 크면 귤이 되고 회북에서 크면 탱자가 된다.橘生淮南則為橘,生於 淮北則為枳". 보이차의 원산지는 운남성에 이지만 주요 소비지는 광동성, 홍콩, 대만과 주변국가 인 한국、마레시아등에 분포한다. 현재 보이차의 숙성 방법은 자연 저장自然幹倉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보이차의 후발효後發酵와 진화陳化는 일정한 온도나 습도가 필요함으로서 창고 환 경을 관리하지 않으면 품질 좋은 보이차를 숙성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주로 보이차의 발원지 인 운남곤명으로 대표되는 보관창고를 곤명창昆明倉고 또는 북방창北方倉고라고 부른다. 가장 큰 소비 시장인 주강 삼각주珠江三角洲와 링난 지역嶺南地區은 광동창廣東倉 또는 남쪽창南方倉이 라고 부른다. 지역마다 자연 저장 조건의 차이로 인해 보이차의 숙성 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 친다. 보관 및 품질 변화도 보이차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어기 떄문에 과학적인 보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보이차의 문화, 보이차의 분류, 가공기술, 건강한 음용 방법, 보이차의 투자 및 수장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문화적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며 보이차 브랜드 구축, 브랜드에 대한 투자 계획 제안, 보이차 홍보, 계승, 보이차 산업의 적극 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영국 홍차문화 고찰

        나은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799

        이 논문은 아시아의 차가 유럽으로 유입된 후 영국의 홍차문화를 형성한 국제적 차산업을 고찰하고, 영국의 왕실과 대중의 차소비 및 그 과정에서 어떠한 양상과 발전과정을 보이며 차문화를 형성하였는지 입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시대적 연구 범위를 17에서 19세기로 한정하고 지리적 연구 범위를 영국을 중심으로 차를 거래하는 아시아와 유럽 주변국 그리고 영국의 식민지 미국과 인도 스리랑카로 정하였다. 영국의 차와 차문화 수용 과정에서 차의 유입, 수용양상, 차문화 형성 그리고 홍차문화의 양상에서 왕실과 대중의 차소비, 차 수출입과 생산, 차문화의 시간과 공간을 조사 연구하였다. 영국 홍차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연구한 결과로 세기별 영국 홍차문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17세기 영국 홍차문화 도입기의 배경에는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영향이 컸다. 물리적인 차의 이동을 포함하여 그들이 앞서가자고 있던 차문화가 고스란히 영국 왕실과 대중들에게 전해지게 된다. 이는 차에 설탕을 타 마시는 포르투갈식 차문화와 찻잔 받침에 차를 마시는 네덜란드식 차문화, 차에 우유를 타 마시는 프랑스식 차문화이다. 당시 차의 역할은 약리효과가 강한 의약품의 성격으로 인식되어 음용되었다. 깨끗한 식수의 부족과 설탕의 단맛 같은 영향으로 차의 인기는 증가하여 과시적 사치품으로 음용되었다. 왕실 밖 공공장소에서는 커피하우스의 등장으로 차가 대중들에게 판매되나 주로 남성 고객층을 중심으로 차소비가 이루어졌다. 17세기 말 중국으로부터 차를 직수입하게 되면서 공급의 안정과 수요 충족이 맞물리며 동인도회사의 이윤이 늘어난다. 18세기 영국 홍차문화의 정착기의 배경에는 왕실에서 차가 확고한 왕실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는 것과 차소비의 대중적 확대이다. 은제 차도구를 만들어 많은 사람이 즐길 수 있도록 티 파티를 주최한 앤 여왕을 기점으로 영국 왕실의 홍차문화는 그 주체성을 추구해간다. 트와이닝과 같은 차 전문점이 늘어 가정에서 차를 소비하는 것이 대중화되었다. 산업혁명을 통해 영국식 도자기의 완성으로 가정 내 음다가 확산하였고 일터에서도 차를 마시는 노동자가 늘었다. 티 가든의 유행으로 오락과 휴식에 차를 함께하는 영국인의 놀이 문화가 정착한다. 남성 중심의 차문화에서 가족 중심의 차문화로 소비 성별·연령·계층이 넓어지게 되었다. 소비의 확대는 무역량의 증가를 의미하여 중국에서 수입하는 차의 양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는 막대한 은 유출과 대 중국 무역적자 부담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19세기의 영국 홍차문화 정착기의 배경에는 앞서 대중적으로 늘어난 차소비와 영국식 차생활문화의 확대이다. 생활필수품으로 차를 소비하게 된 영국인들에게 고품질의 차를 대량으로 나르기 위하여 티 클리퍼가 활약한다. 절대 금주 운동과 애프터눈 티의 확산으로 급증한 차 수요를 위해 대 중국 차 무역량을 늘리고자 자유무역을 요구한다. 무역적자를 타개하고자 아편 밀수를 감행하고 훗날 아편전쟁까지 불사하여 차 거래 무역항을 늘리고 많은 양의 차를 영국 본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급격한 차 소비의 증가는 영국 자국력으로 생산하는 차에 대한 희구를 불러일으키게 되어 식민지 인도 북동부에서 싱포족으로 하여금 아사미카종을 발견하고 또한 인도에 중국 소엽종의 종자를 식재하여 인도 차생산에 성공한다. 또한, 커피 산업이 어려워진 스리랑카에 아사미카종의 차나무를 심어 실론티 생산에 성공한다. 19세기는 영국의 제국주의적 세계관과 권력으로 중국으로부터 많은 차를 수입하고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영국차를 생산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영국은 많은 전쟁을 하며 필요한 대금을 차와 같은 상품에 부과하는 조세로 충당하고자 하였는데 이로 인한 식민지 미국과 보스턴차사건과 같은 갈등을 겪었고 미국인들이 차를 거부하는 모습을 통하여 차는 곧 영국의 것이라는 정체성을 확인하는 방증이 되기도 하였다. 안정적인 차공급을 얻게 되자 영국 본토의 차소비와 문화는 궤도에 올라 안정화되었다. 티 룸이 생기고 기차의 식당칸 등 다양한 장소에서 차를 마실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차의 성격이 17세기는 약리품 18세기는 건강음료 19세기는 기호음료로 변화하며 영국인들에게 차의 역할이 식사, 간식, 휴식의 기능을 수행하고 분화된 티 타임과 차 소비 장소 등을 통하여 사랑받아 왔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입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차의 약리학적 효과와 차 수출입·생산과 같은 차산업, 애프터눈 티와 같은 티 타임과 커피하우스와 티 가든 티 룸 등의 차소비 공간의 변화에 따른 남성, 가족, 여성 중심의 차문화 전개 과정을 주장하였다. 소비 계층은 왕실과 귀족층으로 대표되는 상류층 그리고 중산층과 노동계층으로 대표되는 대중의 차 소비를 비교하여 논하였다. 영국 홍차문화의 세계화라는 후행 연구 주제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것을 위한 선행 연구적 성격으로 영국 홍차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international tea industry that formed the English tea culture after Asian tea was introduced to Europe, and examines tea consumption by the English royal family and the public, and how the tea culture was formed by showing what aspects and development process in the process. was intended to be considered. The scope of historical research was limited to the 17th to 19th centuries, and the geographic scope of research was determined to be the English colonies of the United States and India, Sri Lanka, neighboring countries in Asia and Europe that trade tea mainly in Englan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ea and tea culture in the UK, the time and space of tea consumption, import/export and production of tea, and tea culture were investigated and studied in terms of tea inflow, acceptance, tea culture formation, and black tea culture. As a result of studying English black tea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low,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tea culture by century were deriv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ea culture in England in the 17th century, Portuguese and Dutch influences were significant. The tea culture they wanted to lead, including the physical movement of teas, will be passed on to the British royal family and the public. These are the Portuguese tea culture of drinking tea with sugar, the Dutch tea culture of drinking tea from a teacup saucer, and the French tea culture of drinking tea with milk. At that time, the role of tea was recognized as a medicine with strong pharmacological effects and was consumed. Due to the lack of clean drinking water and influences such as the sweetness of sugar, tea's popularity increased and was consumed as a showy luxury. In public places outside the royal family, tea was sold to the public with the advent of coffee houses, but tea consumption was mainly focused on male customers. As tea was imported directly from China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supply and demand were met, and the East India Company's profits increased. The background of the settlement of English tea culture in the 18th century is that tea was established as a solid royal culture in the royal family and the popular expansion of tea consumption. Starting with Queen Anne, who made silver tea pot and hosted a tea party so that many people could enjoy it, the British royal tea culture pursues its own identity. The number of tea shops such as Twinings has increased, and consumption of tea at home has become popular. With the completion of British-style pottery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drinking tea spread in homes, and the number of workers drinking tea at work increased as tea break. With the tea garden trend, the English play culture of having tea for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is established. From a male-centered tea culture to a family-centered tea culture, consumption gender, age, and class have expanded. Expansion of consumption meant an increase in trade volume, and the amount of tea imported from China increased sharply, which led to a huge silver outflow and a burden of trade deficit with China. The background of the English tea culture settlement period in the 19th century was the increase in tea consumption and the expansion of English tea culture. Tea Clippers were active in delivering high-quality tea in large quantities to the British who had became to consume tea as a daily necessi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tea trade with China, England demanded free trade to meet the demand for tea, which has soared due to the absolute abstinence movement and the spread of afternoon tea. In order to close the trade deficit, opium smuggling was medicineried out and, later, the Opium War was inevitable, increasing the number of tea trade ports and supplying a large amount of tea to the British mainland. The rapid increase in tea consumption aroused a desire for tea produced by Britain's own power, and they discovered Asamica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olonial India where the Singpo tribe lived, and also succeeded in producing Indian tea by planting the seeds of Chinese tea in India. . In addition, they succeeded in producing Ceylon tea by planting Asamica tea trees in Sri Lanka, where the coffee industry has become difficult. In the 19th century, Britain was able to import a lot of tea from China and produce English tea in India and Sri Lanka due to Britain's imperial worldview and power. Imperialist Britain fought many wars and tried to cover the necessary money with taxes imposed on goods such as tea, which caused conflicts such as the Boston Tea Incident with the colonial United States. was also used as evidence to confirm With a stable supply of tea, tea consumption and culture in mainland England were on track and stabilized. A tea room was created and it was possible to drink tea in various places such as the dining car of the train. In this thesis, the position of tea changed to a medicinal product in the 17th century, a health drink in the 18th century, and a favorite drink in the 19th century. I tried to prove that tea had been loved by English people as used for being meal, snak, rest. To investigate this three-dimensionally,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ea, the tea industry such as import/export and production of tea, tea time such as afternoon tea, and tea consumption spaces such as coffee houses and tea garden tea rooms were reserched. I insisted o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as the consumption class compared and discussed as tea consumption by the upper class represented by the royal family and the aristocracy, and by the masses represented by the middle class and the working class. For the future research topic of globalization of English tea culture, in this paper, English black tea was studied as a prior research for it.

      • 차명상의 현대적 양상과 실제

        이심우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279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conomic logics that governs human society and problems that were caused in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and analys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odern people in respect to tea culture and meditation. Modern meditation was used to care psychological and mental diseases in terms of brain science and traditional medication was adapted to develop diverse moder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moral values of Korean tea culture that has been inherited with cultural orthodoxy for a long history in terms of meditation converged with Zen ideology of Buddhism.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 meditation on health and well-being of modern people and its advantages and meaning.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mental health and stress of modern people, and the effects of such phenomenon on self-understanding. For effective care of stress, it was important to properly understand inner status and environment. It was discovered that meditation should be effectively adapted for modern people as inner self-retrospect is needed for self-understanding. Second, this study speculated on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ociety and meditation and the effects of medication on modern people in terms of aspects and meaning. Meditation programs were very popular for modern people to seek for themselves and the effects of meditation based on brain science were scientifically demonstrated. Brain science demonstrated that meditation in Buddhism changed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including anger, depression and anxiety into positive status including happiness, hope and joyfulness and the prefrontal cortex of the cerebrum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 in brain structure. Such scientific evidences showed that meditation is effective and reliable for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Meditation helped people who can not control desires and have much stress stay in a moment and be relaxed. It helped people stop obsessive thinking and see themselves positively beyond self-love and self-pity. Third, this study examined common characteristics of tea and meditation and discussed the values and meaning of tea meditation in terms of modern humanities. As tea meditation is combined with Zen meditation and Zen traveling, it enhances concentration and power to understand, hold the rein over one's erratic mind and helps people calms down. Meditation of Buddhism was used for psychological therapy as it was combined with western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and as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ea was united into mental training, it was upgra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mental culture. Tea meditation has meaning of humanities in that it can enhance cultural and popular level of modern society as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to train personality of modern people. Fourth,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 of real tea meditation mentioned above. The tea meditation of the study focused on sensible experiences and awakening of senses rather than Sammae in concentration meditation. This study discussed breathing and body meditation that mental movements such as instant desires, feeling, thinking, senses and emotion was clearly realized, behavior meditation and Jabi meditation focusing on general and universal experiences beyond religions. The purpose of tea meditation was to train morals and warm heart through breathing, body and behavior meditation. 본고는 4차산업의 거대한 변혁 속에서 인간사회를 지배하는 경제논리와 부정적 특성을 야기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동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정신적 심리적 건강을 차문화와 현대명상의 관계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현대 명상의 뇌과학적 입증은 서양 심리학과 접목되어 의학적인 심리치료와 정신질환 치료에 사용되었고, 전통적인 명상을 현대에 맞게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차명상은 오랜 역사 속에서 정통성을 확립하고 전승되어 온 한국 차문화의 우수한 정신문화적 가치를 불교의 선과 융합한 명상의 기능에서 고찰하였다. 차명상 수행이 현대인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어떤 효과와 이점이 있는지 그 의미를 조명해보는 것에 의미를 두고, 이러한 관점에서 논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이 자기이해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부와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자기이해를 위해서는 내면의 자기성찰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기저로서 현대인에 맞게 개발된 명상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대사회와 명상의 관계를 조망하고 명상이 현대인들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명상의 현대적인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 세계적으로 진정한 자신을 찾는 명상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최근에는 뇌과학을 통한 명상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뇌과학은 불교의 명상이 분노,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행복, 희망, 즐거움 등의 긍정적 심리상태로 마음을 변화시켜 대뇌의 전두엽피질이 뇌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러한 과학적 증거는 현대인들이 명상의 효과에 대한 신뢰와 확신을 하는 자료가 되기에 충분했다. 명상은 매 순간에 머물게 함으로써 욕망과 생각을 통제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에 있는 마음에 휴식을 주고 깨어 있도록 도와주었다. 명상은 강박적 사고를 멈추도록 도와주고 자애와 자기연민을 깨달아 부정적인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수행력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차와 명상의 공통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문화사에서 차명상의 가치와 현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차명상이 갖는 의미를 논하였다. 차명상은 좌선과 행선이 복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집중력과 알아차리는 힘을 강하게 해주고 마음을 안정시켜준다는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 불교의 명상이 서구의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을 만나 심리치료에 사용되었고, 차의 물질적 특성이 명상의 정신적인 수행단계와 합일되면서 차선일여(茶禪一如), 차선일미(茶禪一味)와 같이 정신문화의 척도를 높이는 기능으로 향상되었다. 차명상은 정신문화의 주체성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삶의 질과 인성교육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사회의 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대중화할 수 있다는데 인문학적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위에서 언급한 차명상의 실질적인 체험을 명상의 단계에 맞추어 그 과정을 기술하였다. 집중명상과는 달리 특정한 감각과 하나 되는 삼매가 목표가 아니라 감각을 경험하고 있는 자각을 알아차리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차를 통하여 자기의 의식 공간 안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욕망이나 감정, 생각, 감각, 정서 등 마음의 움직임을 분명히 자각하는 호흡명상과 몸명상, 행다를 통한 행위명상, 자비명상을 함으로써 종교를 초월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체험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차를 우리고 마시는 과정에 호흡과 몸, 그리고 행위명상을 통해 마음을 맑게 정화하고 따뜻하고 편안하게 포용하는 자비의 마음을 기르는 것이 차명상의 목적임을 의식하는 것이었다.

      • 중한 고전 다시 비교 연구 : 송대와 고려시대 다시를 중심으로

        원류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2799

        중ㆍ한 양국의 전통문화 가운데서 공통적인 요소를 재발견하는 관련 연구는 중층적 의의를 갖는다. 그 의의의 하나는 해당 요소를 재조명하는 과정 그 자체로부터 찾을 수 있다. 전통문화의 상징적 요소를 재조명하는 일은 동방의 우수한 문화를 올바로 전승하게 함으로써 유구한 역사의 영속성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일로 된다. 다른 하나의 의의는 가속화 하는 현대사회를 향하여 새로운 문화적 생명력과 활력을 제공하는 데 있다. 관련 연구는 미래의 대안 문화 또는 새로운 문화 환경과 문명 발전의 지평을 확장 또는 재구조화 할 수 있는 상상력내지 반성의 계기를 제공한다. 바로 이러한 맥락으로부터, 전통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 요소의 하나로서 차문화는 매우 중요한 인문자원(人文資源)이라고 말할 수 있고,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로부터 발원하였다. 차는 동방문화의 정신과 특색을 가장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 요소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중‧한 양국의 전통적 민족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차와 문학 장착의 결합은 차에 많은 사람들의 인문정신과 심미적 취향을 부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차문화는 물질문화(物質文化)와 정신문화[非物質文化]가 높은 수준에서 밀접히 결합된 하나의 독특한 문화의 경지를 이루었다. 차문화 발전의 유구한 역사를 주목할 때 중ㆍ한 양국의 문인들이 차와 관련한 다량의 시문을 창작하였음을 우선 확인하게 된다. 특히 그 가운데 다시(茶詩)는 유려한 시구 형식을 빌어 해당 시대의 명차, 다인, 차속, 차사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관련 시가 작품은 당시의 사회생활과 심미 취향, 가치 지향 등을 상세하고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어서, 오늘날 우리가 고대 차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요컨대 이들 자료와 관련 자료에 대한 연구는 차문화의 현대적 가치 또는 미래 문화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주요한 경로를 제공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宋朝, Song Dynasty 960—1279)와 한국의 고려시대(高麗時代, Koryo Dynasty 935—1392)의 다시를 우선 창작 주체인 다인별로 해당 작품을 목록화 하고 총체적 시각으로 송대와 고려시대 다시의 전체적 상황을 개괄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 본론의 전반부를 구성하는 제2장과 제3장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와 고려시대의 다시에 대해 총량적으로 정리하고, 1. 창작 배경 2. 창작 주체 3. 제재 4. 장르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다시의 창작 주체, 창작 배경 등의 유사점과 다른 점을 비교하여 다시 자체로부터 관련 차문화를 발굴하고 정리함으로써 인문학적 의미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초석을 놓았다. 제4장은 본문의 후반부에 해당하며 본 연구의 핵심 내용에 해당한다. 다시에 표현된 해당 시기의 차생활, 문인들의 교류, 심미적 취향, 정신적 지향 등 다시에 나타난 차문화 각각 영역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중 다시에서 보이는 차문화 부분은 물질적 측면과 비물질 측면으로 나누어 상세히 비교 논증하였다. 차의 효용, 차문화와 관련한 제도, 차문화와 관련한 종교적ㆍ사상적ㆍ정신적 측면의 제 문제 등은 비물질적 차문화 영역으로 묶어 각각 상세히 고찰하였다. 일련의 고찰 과정을 통해 양국 다시의 관련성과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전통문화의 주요 요소로서 차문화의 현대적 가치 및 그 특질에 관해 토론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문화학, 민속학, 인류학, 문예학 관련 이론 등을 두루 참고하여 차문화학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삼았다. 관련 이론에 힘입어 송대와 고려의 정치, 문학, 종교 등 사상적, 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송대와 고려시기 다시 또는 다인이 지향했던 인문학적 경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송대와 고려의 다시가 형식, 내용, 문화 등 영역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화이부동, 천일합일을 지향하였던 융합적 상황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송대와 한국의 고려시기 고전 다시를 다시 읽고 해석하는 과정이 그 자체로서 독특한 학술적 가치를 획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성과는 다시의 독특한 문학 현상과 관련한 재발견이다. 다시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수 천 편에 달하는 다시의 창작 총량으로 이미 웅변되거니와, 창작의 배경, 주체, 장르, 제재 등의 다양성과 관련되며, 중ㆍ한 고전 문화의 이러한 다양성 가운데 강력한 포용성과 흡인력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다시에 표현된 차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중ㆍ한 양국의 고대 다시는 형식부터 내용, 개념, 문화적 함의 등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동시에 또한 각 민족의 역사, 정치, 문화 등을 융합시켜 각자의 민족적 특색을 함양하는 가치 지향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학자들은 동방 국가는 반드시 “자신의 민족문화와 역사를 인지하고 이해해야 하며 현실과 연결하여 외래문화의 경험과 우수한 점을 존중하고 받아들여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외래문화와 공동으로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요컨대 다원적 문화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스스로의 전통적 풍습과 역사문화 그리고 개인이 사회에 거는 기대를 수호해야 한다, 는 주장인데, 바로 전통 다시가 이러한 주장을 방증하는 유력한 증좌가 된다. 두번째 성과는 미래의 새로운 문화 환경의 재구성 또는 재영토화와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민족 스스로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발굴하여 보호하고 전파하는 일은 스스로의 문화파워 또는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라고 평가된다. 특히 중ㆍ한 차문화야말로 동방문명을 대표하는 전통문화로서 마땅히 전승되고 발전시켜나가야 하는 문화적 자산이라고 인정된다. 따라서 차문화 또는 차문화의 우수성을 근거로 문화적 자신감을 찾고 동방의 독특한 심미적 취향과 가치 지향을 옹호하는 일이야말로 현실적 가치 또는 의의가 있는 연구라는 데 이의가 있을 수 없고, 이 점은 지극히 옳은 주장이다. 하지만 가속화하는 시간 관념과 공리적 자연철학 지향을 문명사적 차원에서 되물어야 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차문화 또는 차문화 연구의 가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터넷 기술로 가속화 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과 글로벌 네트워크 경제의 현대화 과정에서 서구의 기술문명과 서방문화의 가치가 전 세계인의 생활 시스템과 영혼 속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적지 않는 동방 국가들은 서방의 이른바 선진적인 기술문명과 관리경험을 학습하는 동시에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우수한 문화와 전통을 스스로 점차 외면하거나 의도적으로 방기하고 있다. 중국이든 한국이든 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가 부단히 와해되고 외면 받고 있으며,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일부 젊은이들 사이에 “서방은 선진적이고 패션적이지만 동방은 낙후하고 우매하다”는 잘못된 관념이 확산 일로에 있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러한 지경에 다시 한 편, 한 시대의 차문화를 불러세우는 일은 고전 다시 읽기를 넘어서는 일이 된다. 요컨대 문명의 반성을 촉진하고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드는 과정 그 자체로서 매우 의미 있는 과업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다시에는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차문화에 관한 기록을 포함하고 있어서, 고대 차문화의 풍부한 내용을 해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구 과정 자체가 문학연구의 범위를 초월하여 더욱 광범위한 문화학 연구를 지향하는 독특한 학술가치를 갖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 사실은 본 연구의 커다란 수확이다. 다시 연구는 차문화를 공부하는 후대 연구자들의 좋은 연구 소재일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연구에도 풍부한 연구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을 재차 확인하고 강조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 방향을 기약하고자 한다. 차는 일차적으로 일종의 음료이다. 하지만 차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차는 우리의 일상 생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의 교류를 매개하고, 우정을 쌓게 하고, 인간의 정신을 고양시키며, 정신의 승화 형식의 하나로서 창작의 영감을 자극하는 영물 그 자체로 우리의 일상 속 깊은 곳에 자리를 잡았다. 인간의 존엄을 확인시키는 공간의 구성물이며, 찰나적 인생을 극복하고 여유로움을 찾아주는 시간의 통어자이며, 자아 상실의 혼돈으로부터 인간의 이성을 맑게 해주는 청량수이며, 고독하고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인륜과 자연을 성찰하게 해주는 거울로서 그 적극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의 송대와 한국의 고려시대에, 차는 선조들의 일상 생활과 동행하면서 그들이 인생을 비추는 명경이 되었다. 차 생활은 그들의 생활 방식, 사고 방식을 구성하는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고, 그들의 심미적 취향과 가치 지향을 배양하는 데에 작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중ㆍ한 전통 다시 속에 나타난 차문화와 차정신의 비교 고찰을 통해 이 점을 종합적으로 규명한 점은 본 연구의 커다란 수확이다. 향후 더욱 광범위하고 전면적인 차문화 고찰과 관련 인식의 폭을 확장시켜서 서구문명 주도의 현대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문화 환경을 구성해나가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 있기를 기대한다. Studies associated with rediscovering common factors among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multi-layered implications. One of them lies in the process of re-illuminating the factor. Re-illuminating symbolic factors of traditional culture is a significant matter that ensures the permanence of long history by succeeding the excellent oriental culture rightfully. Another implication is to provide new culture vitality and revitalization to the accelerating contemporary society. Relevant studies offer an opportunity of imagination to expand or restructure the future alternative culture, new cultural environment, or the horizon of civilization development or reflection. Tea culture(茶文化) can be said as a crucial humanistic resource(人文資源) as one of formal factors that represent traditional culture from this context. Question awareness of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is point. Tea can be said as one of representative cultural factors involving an abundance of spirit and features of oriental culture. Obviously it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bo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ethnic culture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tea with literary creation granted humanistic spirit and aesthetic taste of many people to teas, resulting in the fact that material culture(物質文化) and spiritual culture(精神文化/非物質文化) reached a single unique culture closely combined at a high level. Observing the 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t is first noticed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literary figures wrote many poems regarding tea. Tea poetry among them records the famous tea, tea person, tea culture, and the history of tea at that time by borrowing splendid poetic styles. Relevant poems elaborate and reflect plentiful historical social life, aesthetic flavors, and oriented values. Thus, they are important references for studying the ancient tea culture. For instance, research on relevant data provides an important path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modern value of tea culture or future cultural development. This study categorized tea poems(茶詩) of Song Dynasty(宋代, 960—1279) and Koryo Dynasty(高麗, 935—1392) by tea person(茶人) who create works and adopted methods of reviewing and analyzing the entire situation of tea poems in both times with the general perspective. Specifically, Chapter 2 and Chapter 3 in this study constituting the front part of body generally summarize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and explored them into 1. creation background, 2. creator, 3. subject, and 4. genre. It laid foundations to identify the humanistic meaning by comparing similarity with difference of creators of tea poems and creation background, exploring, and summarizing relevant tea culture from tea poems. Chapter 4 is the essence of this study in the late part. It compared each area of tea culture including tea life, exchange of literary figures, aesthetic flavor, and mental orientation presented in tea poems. Tea culture parts shown in tea poems were classified into material aspect and non-material aspect, thereby compared and argued in details. Tea efficacy, institutions related with tea culture, and rite matters in terms of tea efficacy and tea culture were included into non-material tea culture area and explored in details. The association of tea poems in both countrie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in a series processes of examina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contemporary value and features of tea culture as a major factor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referred cultural, ethnographic, anthropological, and literary theories in the course of study and served them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 culture research. It systematically summarized and compared the humanistic status aimed by tea poems or tea people in both times in connection with ideological and cultural factors including politics, literature, and religion in both times supported by relevant theories. In addition, it aimed to illuminate the tea poems in both periods mutually affected in terms of style, contents, and culture and integrated situation aiming at Harmony but not sameness(和而不同) and the theory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天人合一) and multi-dimensioned way. This study obtained its unique academic value as the process of re-reading and interpreting classics written in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The first outcome from this study is to rediscover unique cultural trend of tea poems. Abundant and diverse cultural implications are embedded in team poems. This was demonstrated by creative aggregation of thousands of tea poems and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such as creation background, subject, genre, and topics. It was found that stronger tolerance and absorption exist amid this diversit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 culture. Abundant common points including style, contents, concept, and cultural implications from the ancient Chinese and Korean tea poems as well as they aim to value cultivating each ethnic features in combination with its history, politics, and culture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research of tea culture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tea poems. Cultural anthropologists claimed that orient countries “must recognize and understand its own ethnic culture and history, connect them with the reality, respect and accept experiences and excellent parts of foreign culture, obtain advantages, improve weak points, and create a joint new cultural environment with foreign cultur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multilateral cultural coexistence relationship must be maintained and traditional custom, historical culture, and the expectation of individual on the society must be defended. Traditional tea poems serve as corroborative evidence of this argument. The second outcome is associated with restructuring a new future cultural environment and reterritorization. Typically exploring, protecting, and propagating its own ethnic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strengthening cultural power or soft power. Chinese and Korean tea culture particularly is recognized as cultural assets to be succeeded and developed as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ing the oriental civi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cultural confidence is regained based on tea culture or the excellence of tea culture and advocate oriental unique aesthetic taste and value orientation are studies with actual value or implications. This is a right argument. However, tea culture and its value are not limited to this point in the post-modern time in which accelerating time idea and the orientation towards utilitarian philosophia naturalis(自然哲學) should be requestion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s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western cultural value seep into the life system and spirits of people in the world in the process of accelerating digital economic environment and modernizing global network economy due to Internet technology, a number of oriental countries learn advanced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management experiences, an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 or deliberately neglect its excellent culture and tradition at the same time. Excellent ethnic traditional culture either in China or in Korea are constantly ruined and neglected. What is worse, the wrong conception that “western is more advanced and fashionable, while orient is degraded and ignorant” is at the verge of spreading among some young people. In the face of this pending situation, recalling tea culture in a single period again overcomes re-reading classics. Thus,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meaningful task as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civilization reflection and creating a new cultural environment. Lastly, identifying the fact that team poem involves records on abundant and diverse drinking tea culture, there by having its unique academic value aiming at more extensive cultural studies as research process surpasses the scope of cultural studies as well as decoding abundant contents of the ancient tea culture is a huge gain from this research. Follow-up research can be promised in a way that it reaffirms and emphasizes the fact that research on tea poems is not only a good topic for descendant researchers, but provides abundant research insights to other cultural studies. First of all, tea is a sort of beverage. However, it is limited to just tea. Tea served to mediate exchanges among people, enables them to maintain friendship, elevate human spirits, and has been settled deep into our daily routines as a spiritual being inspiring creation as a spiritual sublimation style. It actively functions as a spatial object identifying the human dignity, time governor overcoming the short-period life and composure, dignified fresh water clearing human reason from the chaos of self-loss, and a mirror reflecting humanity and nature when we are isolated and matters do not follows as we want. Tea served as a mirror reflecting their lives accompanied by routine lives of ancestors in Song Dynasty in China and Goryo Dynasty in Korea. Tea life became a part of life constituting their live styles and thinking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cultivation of their aesthetic taste and value orientation. Identifying this point in a comprehensive way by comparing and reflecting tea culture and tea spirit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tea poems is a huge gain from this research. Contribution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awareness regarding the extensive and general exploration of tea culture and create a new cultural environment overcoming the modernity(現代性) spearheaded by the western civilization.

      • 다산 차문화 콘텐츠의 활용방안 고찰 : 강진군을 중심으로

        김민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2783

        오래 전부터 차는 세계 각지에서 즐겨 온 기호음료로서 우리의 삶에 중요한 요소가 되어왔다. 차는 우리의 몸과 마음에 매우 유익하며 특히 성인병 예방과 장수, 피부 미용, 다이어트, 항암과 항산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차와 차문화는 건강하고, 여유 있는 현대인의 삶을 영위하는데 최선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한국의 차산업과 문화도 다각화되면서 여러 가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으나 산업면에서는 차의 품질과 다양성이 아직 부족하고 문화면에서는 다례 중심으로 경직되어 있어 그 발전이 답보상태에 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차문화 콘텐츠의 개발과 상용화 계획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선시대 차문화의 중흥조이자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문화인물인 다산을 콘텐츠 개발의 핵심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콘텐츠 적용 지역은 다산 차문화의 정수를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보성과 하동에 비해 아직 차산업 성장 가능성이 큰 지역인 강진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진지역을 중심으로 다산 차문화 콘텐츠의 현황을 살핀 뒤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해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먼저 다산의 생애와 강진에서의 차 생활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강진지역 현장답사를 통해 다산 차문화 유적과 『다신계(茶信契)』, 다산과 관련된 강진의 차 문화시설, 다산 추모제와 다산차의 변화와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다산 차문화 콘텐츠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활용을 위한 개발전략을 수립한 뒤 이를 바탕으로 다산 차문화 콘텐츠의 활용방안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차 문화 유적지를 활용한 다산 티로드 투어이다. 강진지역에서 다산 차문화와 관련 된 명소로는 월출산 월남사지, 백련사, 사의재와 다산초당 등이 있다. 이런 명소 및 다산 기념관, 다산 수련원과 다산 관련 차프로그램 등을 융합한 티로드(Tea Road) 투어 즉 차문화 답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는 신 ‘다신계’ 결성이다. 신 ‘다신계’는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차생산공동체였던 『다신계』와 다산이라는 강진 고유의 역사문화를 활용하여 결성하며 더불어 강진군민 및 타지역인들이 10만 차 연대를 맺는 것으로 확대하여 강진 차문화의 저변을 넓힐 수 있다. 셋째는 다산 차문화 축제의 개최이다. 다산 차문화 축제는 『다신계』 200주년이 되는 2018년에 개최하며 현재의 다산 추모제와 강진야생수제차품평대회를 내부 프로그램으로 통합해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강진차 브랜드 런칭쇼, 티아트 퍼포먼스와 찻자리, 차산업전, 다산 학술대회와 그림책 ‘다신계’ 출판 등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는 다산 차문화 백일장의 개최이다. 다산 차문화 백일장은 다산의 학문과 차문화를 전승하고 널리 보급하기 위해 필요하며 다양한 책문화 체험, 차체험, 초청강연과 독서토론 행사를 함께 진행하여 강진을 대표하는 문화행사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마지막은 다산차와 응용제품 개발이다. 다산차는 브랜드로서 충분히 가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해 고급화뿐 아니라 기능성 있는 다양한 차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대인의 수요와 감각에 맞춘 다양한 차 음료와 관련 상품을 개발하고 ICT 콘텐츠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위의 콘텐츠들은 다산의 차문화 콘텐츠를 활용하는데 있어 부분적 또는 전체를 융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더욱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강진지역 다산 차문화 콘텐츠의 유기적 활용과 『다신계』의 가치 재발견을 통해 다산 티로드 투어, 사회적 협동조합 신 ‘다신계’의 결성, 융복합 다산 차문화 축제, 다산 차문화 백일장, 다산차와 응용제품 개발이라는 콘텐츠를 새롭게 발굴하고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차문화 콘텐츠 적용을 위한 절차과정을 실제 수행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로는 이러한 콘텐츠의 실현방안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rom old times, tea has been the favorite beverage enjoyed in all parts of the world and has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our lives. Tea benefits our body and mind. Particularly, tea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preventing adult diseases, longevity, skincare, diet,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 Because of this, tea and tea culture have become the best alternative for modern-day people to lead healthy and leisurely lives, so they attract much attention globally. Currently, the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in Korea have become diversified and man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but in the aspect of the industry, the quality and the diversity of tea are insufficient, and in the aspect of culture, the tea culture is inflexible as it is centered on the tea ceremony, so the developments are stagnant. To resolve these situations, the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plan of tea culture contents are urgently requir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chose Dasan, who accomplished the revival of tea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who has been chosen as a world cultural figure by the UNESCO, as the core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And it chose Gangjin as the region to which the contents are applied since Gangjin not only retains the essence of Dasan tea culture but also has greater potentials for growth of the tea industry than Boseong and Hadong. According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of Dasan tea culture contents centering on the Gangjin Region and examined the life of Dasan and his tea life in Gangjin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and the utilization of new contents. And through the field survey of the Gangjin Region, Dasan tea culture historic sites and Dasingye, tea culture facilities related to Dasan in Gangjin, Dasan cultural festivals and the changes and current conditions of Dasan tea were investigated. Also,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continuous and long-term utilization of Dasan tea culture contents were established and, based on this, the five ways of utilizing Dasan tea culture contents were presented. First, the Dasan tea road tour utilizing the tea culture historic sites. The tourist attractions related to Dasan tea culture in the Gangjin Region include Weolchulsan Montain, Weolnamsaji, Baeleonsa Temple, Saeujae and Dasanchodang. The Tea Road Tour, i.e. the tea culture field survey program, in which these tourist attractions and Dasan Memorial Hall, Dasan Training Center, and Dasan-related tea programs are converged, was developed. Second, the forming of new ‘Dasingye’. New ‘Dasingye’ is a social cooperative and is formed by combining Dasingye ,which was tea production community, with Dasan which is Gangjin’s own history and culture, and is expanded to the 100,000 Tea Solidarity of Ganjin-gun County people and other regions’ people, thereby expanding the base of tea culture. Third, the holding of Dasan tea culture festival. The Dasan tea culture festival, in which the current Dasan memorial ceremony and the Gangjin tea competitive show were integrated into the internal program, is held in 2018 marking the 200th anniversary of Dasingye. This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program be composed of Gangjin tea brand launching show, tea art performance and tea party, tea industry exhibition, Dasan symposium, and publication of the picture book, ‘Dasingye.’ Fourth, the holding of Dasan tea culture essay contest. The Dasan tea culture essay contest is needed to inherit and diffuse widely the Dasan’s scholarly achievements and tea culture, and it is held along with diverse book culture, tea experience, guest lectures, and the events of discussions on reading, and it will become a cultural event that represents Gangjin. Finally, the development of Dasan tea and application products. Since Dasan tea has a sufficient brand valu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high-class and functional tea products by utilizing this. To do this, this researcher proposed that diverse tea beverage that meets the demand and taste of the modern-day people be developed and be developed into ICT contents. Greater synergy effects can be attained whe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are partially or entirely integrated when utilizing Dasan’s tea culture content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newly explored and presented the ways of concret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that consist of Dasan tea road tour, the forming of a social cooperative New Dasingye, the converged and integrated Dasan tea culture festival, Dasan tea culture essay contest, the development of Dasan tea and application products through organic utilization of Dasan tea culture contents in the Gangjin Region and the rediscovery of the value of Dasingye. However,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of having not actually performed the procedural process for the application of the tea culture contents. In the follow up researches, more concrete researches on the methods of realizing such contents are needed.

      • 귀주성 구안(久安)지역 고차수와 차문화 연구

        두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2783

        Guizhou province relies on its uniqu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which facilitate the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abundant ancient tea trees to be the well-known tea province in China. These ancient tea plants combined with the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minority, constitute the unique eco-system and national tea culture which are of significant social value and cultural implication. In order to further study the key topic of the remaining ancient tea plants community in Guizhou and the inheritance of tea culture, the present paper takes the case of ancient tea plants in Jiu'an County in central Guizhou, the most ancient and supreme cultivated tea plants of bush medium-lobular species identified in China, as the object. The present paper, different existing scientific researches and biochemical analysis related to Jiu'an ancient tea plants in the academic circle, focuses on the history of Jiu'an ancient tea plants in Southwest China, investigates and analyzes related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ical origin, folk custom, and legend, based on the theories and methods of the application national society, national ecology, conflict theory and space production theory, and discusses the basic inherent features of th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undamental local history course, the dynasty-state tribute system, and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Meanwhile, the present paper also discusses the basic development approach of local tea industrializa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ea industry in Guizhou, under the changes of the new era,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fields, the basic information of tea culture in the history, the position of tea culture in the local culture system,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mechanism. So structurally, the present paper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The first, it's to discuss the source and analyze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 of tea culture in Guizhuo.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China, China has its special tea culture content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fter integrating the tea culture with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cultures; and as China extends its foreign exchange, Chinese tea culture also transmits oversea, greatly influencing Asia, Africa, and America. As the earliest tea region of tea usage, process, and circulation in the world and one of origins of tea culture in China, Guizhou has bee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ncient tea plants industry. Especially Jiu'an County, serving as the major place of production, achieves significant result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ancient tea plants in the region and the development transformation of tea industry.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foundation of inheritance and the analysis on the special eco-environment for growth and tribute system in Ming and Qing Dynastries. Considering some changes to the general features of ecological structure of tea gardens in Guizhou, the local eco-environment features and ecological structure on the earth, Guizhou tea certainly has its inherent quality advantages to gain the long-term national and market recognition. Then, the tribute system in Ming and Qing Dynasties facilitates the inheritance and improvement of local ecological structure and mass culture around the traditional technology system centered on tea. The third part talks about the inheritance examples and stresses on the remaining ancient tea plants in Jiu'an region and the inheritance of tea culture. Under the action of the traditional social system in Jiu'an, tea production is on longer a simple social behavior, instead, pertinent to people's economic activities. People manage the tea garden in the fashion of daily farming and take advantage of local eco-system resource to produce teas, reserving the tea fragrance and vitamin to the utmost extent, ensuring the inheritance of tea quality and culture. The fourth part focuses on the inheritance pattern and analyzes the inheritance of Jiu'an tea culture and its modern changes. It can be found in the whole history of Jiu'an tea that, as an old ecological resource in the region, tea plants accepts the ecology and cultur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lways effectively manages those ecological resource conductive to the stable operation of the local eco-system. The fifth part is to reveal the crisis of inheritance and analyze the problems and historic opportunities to inherit Jiu'an tea culture. The changes of the time challenge to restore the damaged eco-system and lost social culture. However, the local Miao culture in Jiu'an takes advantage of these challenges to integrate the factors of social changes, inherits the good of traditional tea to fuse into the local social system, then extends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tea into daily life, innovates the tea to fit the changeable ecological condition and society. The sixth part is to find the inheritance route and analyze that of Jiu'an tea. Given the market development and the actual situation of Jiu'an tea, to combine the market impetus and social mechanism must be thought highly of for the future development, to drive the inheritance of Jiu'an tea culture, develop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e construction, set its own product brand, boost the downstream economy, and realize the all-round development led by leading enterprises. In sum,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paper which analyzes the history and mass culture, ecological condition in Jiu'an, and the local tea history and historical influence from the angle of a bigger space and longer time more than that of Central Guizhou: The remains of Jiu'an ancient tea plants culture mainly owe to that the tea culture has been blended into local life, though, it faces new challenges as the society changes, its content and base still originate from the locally traditional culture system. It is our direction and target of locally traditional culture protection to realize the situation where the development of local tea industry encourages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es. 중국에서 차 재배 면적이 가장 큰 지역인 귀주(贵州)는 중국의 주요한 차 생산기지이다. 독특한 지리적 위치와 생태 환경으로 인해 풍부한 고차수(古茶樹) 자원을 육성하고 보호해 왔다. 그간 현지의 생태환경과 소수민족문화와 융합되어 독특한 생태계와 고유의 민족 차문화를 형성하였는데,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 또한 매우 크다. 귀주 고차수 보존과 차문화의 전승 등과 같은 중요한 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고차수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재배형 관목 중의 소엽 차나무인 귀주성 중부 지역의 구안향(久安乡) 고차수를 개별적 사례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안 고차수에 관한 학술계의 기존의 과학적 조사와 생화학적 분석과는 달리, 본고에서는 구안 고차수의 역사를 "중국의 서남"이라는 특정 지역에 고정시키고 민족사회학, 민족생태학, 충돌이론과 공간생산이론 등 이론을 바탕으로 구안향 고차수의 생태적 환경, 역사적 기원, 민간 습속 및 전설에 대해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 귀주성 중부 지역의 역사에 입각하여 고대 왕국가 지정한 조공시스템을 착안점으로, 현지의 역사와 문화라는 이중 맥락을 둘러싸고 귀주성 중부 지역 차문화의 내재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시에, 현대의 현장조사를 보조적 수단으로 하여 역사적인 시각으로 차문화의 시대 상황을 살펴보고 차문화가 현지 문화 시스템 중에서 차지하는 위상 및 내재적 특징과 진화 과정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시대 변혁 속에서의 현지 차산업의 전망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귀주 지역 차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주제는 전승의 기원, 고차수가 생장하는 독특한 생태환경과 공차(贡茶)제도, 전승의 전범, 전승 위기 등 내용을 포괄하였다. 우선 전승의 기원을 탐구하고 귀주 차문화의 역사적 변천과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중국 차문화의 발전 역사를 보면 중국의 차문화는 유교, 불교, 도교문화와 서로 융합되어 독특한 중국특유의 차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중국 대외교류 범위가 확대되면서 차문화도 해외로 확산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지역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귀주는 차의 활용, 가공 및 유통 등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차 산지이자 중국 차문화 발전의 발원지 가운데 하나이다. 고차수 산업은 줄곧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는데 귀주 고차수의 주요 생산지인 구안향은 고차수의 보호와 차 산업의 발전 전환 등 면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전승의 토대 연구 측면에서 귀주 고차수가 생장하는 독특한 생태환경과 명,청(明清) 시기의 공차(贡茶)제도에 대해 논구하였다. 귀주 지역 차농장 생태 구조의 기본 특징, 현지의 생태 환경 특징과 지면(地表) 생태 구조의 일부 변화로부터 볼 때 귀주차의 품질이 국가와 시장으로부터 오랫동안 인정을 받고 있는 점은 고유한 우수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명, 청 이래의 토산품진상(土贡)제도는 현지의 생태 구조와 인문 문화 발전의 측면에서 차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기술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개선되게끔 하였다. 전승의 전범을 고찰하고 구안 지역의 고차수 보존과 차문화 전승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안 현지의 거주민들에 의해 형성된 전통적 사회 시스템의 역할로 인해 차 생산은 이미 단순한 단일적인 사회적 행동이 아니라 주민들의 기본적인 경제 활동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는 일상적인 농업 노동을 통해 차 농장에 대한 관리를 실시하고 현지 생태자원의 강점을 활용하여 차 상품 제조를 완성함으로써 차 본연의 향기와 비타민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이렇게 우수한 품질을 보장함으로써 차 문화가 오래도록 전승될 수 있었던 유기적 시스템을 심층 고찰하였다. 전승 패턴을 분석하고 구안 차문화의 전승과 현대사회에서의 변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안차의 전반적인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차나무는 현지에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생태자원으로서 생태와 문화의 혼연일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전통적 문화는 현지 문화생태계의 안정적인 보존과 운영을 보장할 수 있는 생태자원 본연에 대해 늘 효과적인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승의 위기를 분석하고 구안 차문화의 전승 문제와 역사적 기회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대 변화로 인해 구안차의 손상된 생태계와 유실된 사회 문화를 복구하는 과정은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구안 현지의 묘족 문화는 역사적인 기회를 잘 활용하여 사회의 변화를 촉진하는 적극적 요소를 통합하고 전통차문화 중에서 과거의 우수한 요소를 전승하여 이를 현지 사회에 융합시킴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차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차에 대한 활용을 활성화시켰음을 논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을 통해 오늘날 변화하는 생태 환경과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 되었음을 평가하였다. 끝으로 전승 경로를 고찰하고 구안차의 전승 경로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장의 발전과 구안차가 가지는 경쟁력의 실제 상황을 대비적으로 고찰하고, 구안차의 향후의 발전은 반드시 시장의 동력과 사회 메커니즘의 연결을 중시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안 차문화의 전승을 추진하고 생태 환경과 문화 건설을 발전시키며 자신만의 제품 브랜드를 만들고 다운 스트림 경제를 발전시키는 데에 선구적 기업이 전반적인 발전을 이끌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기술 혁신과 디지털 플랫폼 경제 발전의 맥락에서 강조하였다. 본고는 귀주성 중부 지역을 초월하는 비교적 큰 시공간을 넘나들며 구안향의 역사 인문, 생태적 환경 및 현지 차의 역사 발전 과정과 역사적 영향을 전면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구안 고차수 문화의 보존은 주로 차문화가 현지인들의 생활 속에 스며든 데에서 비롯되며, 사회의 변화는 차문화의 전승 및 발전에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차문화의 의미와 입각점은 지방 전통 문화 시스템에 있다. 현지의 차산업을 발전시키는 과제를 연계하여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발전을 추진하는 과업은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중요한 목표임과 동시에 새 시대의 길이자 방향이다.

      • 한국인의 중국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쑨나나 목포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52783

        본 연구는 중국차 제품의 선택속성 구성요소, 중국차 이미지의 구성요소, 차 문화활동의 구성요소, 중국차 제품에 대한 만족, 중국차에 대한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를 한국국민의 입장에서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연구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차 소비자 대상으로 선택속성과 만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에 국제적으로 중시되는 개념인 중국차 이미지와 차 문화활동에 차 선택속성과 만족,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두 요소의 단독 및 종합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선택속성, 만족도, 구매의도, 중국차 이미지 및 차 문화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중국차 제품의 선택속성을 구성하는 8개 문항, 중국차 이미지를 구성하는 4개 문항, 차 문화활동을 구성하는 9개 문항, 중국차 제품만족을 구성하는 4개 문항, 중국차 제품 구매의도 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여 2018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광주국제차박람회, 보성녹차축제, 하동야생차축제, 서울국제차박람회에 참가한 한국의 차 소비자, 차전문가,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5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부 설문지를 배포해 314부를 회수하여 그 중에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된 42부를 제외시키고 최종분석에는 272부의 설문지가 응용되었다. 회수된 유효표본의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laiysis),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3단계매개다중회귀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델은 이론적으로 외생변수인 중국차 제품에 대한 선택속성과 매개변수인 만족, 조절변수인 중국차 이미지와 차 문화활동, 내생변수인 구매의도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차에 대한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의 검증결과는 생산연도, 용량, 원산지, 가격, 이용의 편리함, 건강기능성, 이벤트행사 및 포장이 모두 구매의도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차에 대한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의 관계는 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차에 대한 선택속성과 만족의 관계는 중국차 이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결과가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로 나타나 집단구간에 따라서 영향빈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차에 대한 선택속성과 만족의 관계는 차 문화활동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결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차 이미지와 차 문화활동이 통합적인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상호작용으로 R제곱변화량도 유의미하였다. 여섯째, 중국차에 대한 선택속성 > 만족 > 구매의도의 경로에서 중국차 이미지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같은 경로에서 차 문화활동의 검증결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여덟째, 중국차 이미지와 차 문화활동의 통합적인 조절된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대상으로 중국차 소비에 대한 선호를 설문하여 글로벌화시대 배경하에 양국간 차 산업의 발전 및 차와 관련분야의 교류과정에서 올바른 관점과 이해를 바탕으로 비교우세를 융합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양국의 노력과 국제적협력이 경로를 도출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참고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research model for Korean consumers by looking at the factors involved in determining consumption of Chinese tea products. Factors subject to the study are the selection elements and components of Chinese tea products, components of Chinese tea images, components of tea culture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Chinese tea products and willingness to repurchase Chinese tea products. To this end, the impact on the selection factors of tea produc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them was analyzed for Korean consumers. In particular, the recent influence of the image and the tea culture activities of Chinese tea, an internationally valued concept, on the attributes of choice and satisfaction of tea products and the intention to buy again was mainly focused. And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independent and comprehensive control effects of these factors and considering the preceding study about considering the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willingness to repurchase, the image of Chinese tea.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eight questions that make up the optional attributes of the Chinese tea product, four questions that make up the image of Chinese tea, nine questions that make up the tea culture activities, four questions that make up the satisfaction of Chinese tea products, and one question of willingness to repurchase Chinese tea products. To carry out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organized and conducted to survey five times on Korean tea consumers, tea experts and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ea-related events such as the Gwangju International Tea Fair, the Bosung Green Tea Festival, the Hadong Wild Tea Festival and the Seoul International Tea Fair from June of 2018 to June of 2019. A total of 4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14 were retrieved, excluding 42 copies considered to be unfaithful responses, and 27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of retrieved effective samples were verifi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Pearson's titration analysis, three-step multiple retur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of this study is theoretically constructed to enabl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exogenous variables (selective properties for Chinese tea), parameters (satisfaction of tea), moderating variables (image and cultural activities of Chinese tea), and endogenous variables (willingness of repurchase) Verification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hypotheses obtained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Chinese tea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willingness to repurchase th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year of production, capacity, origin, price, convenience of use, health function, sale event and packaging all of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repurchase Chinese tea.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the intention of the repurchase for the Chinese tea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mediated effect of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f Chinese tea was found to be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control effect of the Chinese tea image, showing that all three groups had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s, so the frequency of influence varies according to the group sec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for Chinese tea has been shown that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n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tea culture activity do not have any significant. Fifth, the verification of the image of the Chinese tea and the integrated control effect of the tea culture activity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the amount of the R square change was also significant due to the interac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s of the image of the Chinese tea were significant in the path of the chosen attributes for the Chinese tea → satisfaction → willingness to repurchase. Seventh,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tea culture activity on the same path do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Eighth, the image of Chinese tea and the integrated and controlled effect of tea culture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preference for Chinese tea consumption on the Korean consumer and sough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tea indust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global era and to fuse the comparative advantage based on the correct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the exchange of tea-related fields. In addition, the study will serve as a basic reference to the effort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path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tea industry.

      • 문화생태 관점에서 본 동묘차 부흥 연구

        양해흠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2783

        동묘차(东苗茶)는 귀주성(贵州省)의 민족적 특색이 강한 차 브랜드로 귀주의 오랜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찬란한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지만 어려움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동묘차는 차 생산지 묘족 문화의 2차 환경에서 유래했으며, 과거 지역문화 생태구조의 다양한 요소가 혼용되어 지속적인 발전을 유지하였다. 이전 묘족 사람들은 이웃과의 소통, 결혼, 장례식과 같은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동묘차 시음, 음주 및 선물 등을 했다. 이처럼 이전 동묘차는 묘족 문화의 발전과 묘족 공동체 간의 상호 작용에서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하였으나,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동묘차가 의존하는 자연적이고 인간적인 환경은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는 각 지역의 다양한 차 브랜드가 동묘차 브랜드 구축과 시장 점유율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갈수록 소외되고 잊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운 역사적 배경에서 우수한 전통을 계승하고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고 산업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은 모든 국가와 민족이 가져야 할 기본 정신이자 책임이다. 본 논문은 동묘차 문화 활성화와 동묘차 산업 발전을 목표로 하며, 역사 유물론의 관점에서 동묘차의 역사적 지위와 발전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동묘차 부흥에 있어 직면한 주요 어려움을 명확히 하고, 변증법적 유물론적 발전관의 관점에서 중국의 전반적인 사회 경제적 발전의 현실과 결합시켜 동묘차를 부흥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 생태론을 바탕으로 동묘차의 부흥을 촉진할 수 있는 길을 찾고자 한다. 논문 전체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1장인 서론에서는 주로 논문 주제 배경, 연구 목적 및 의의, 연구 현황, 연구 방법과 아이디어 등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논문에서 언급한 몇 가지 주요 개념과 주요 이론 및 영향을 설명하였으며, 문화 생태와 차 산업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동묘차의 역사적 지위와 발전 현황을 요약하였다. 첫째, 묘령(苗岭) 산간지역 지리적 위치, 자연 환경 특징, 동묘차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요소를 소개하였다. 둘째, 지역의 민족 구성, 생계 방식, 민속 차 풍습 등을 조사하여 동묘차의 발전사를 요약하고 동묘차 고유의 민족문화적 속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동묘차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 환경, 인구 이주, 민족 문화, 산업 경쟁 등 사회적 속성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현재의 생존 상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동묘차 부흥에 있어서 직면한 주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문화 생태론, 현장 조사, 문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동묘차의 3대 요소 (자연, 문화, 사회)를 논술하고, 동묘차 회복이 직면한 도전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차 생산지의 생태환경 건설이다. 산업 발전과 차 생산 지역의 인공 파괴로 인해 구이저우 검중 묘령 지역의 자연 생태환경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토양 침식, 특히 암석 사막화가 동묘차 생산지의 농업 생산 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두 번째는 귀주성 묘족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통 묘족 문화의 계승과 정체성이 점차 약화되고, 사회 유대인 동묘차와의 종족 간 공동체 관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브랜드 구축 메커니즘이 건전하지 않아 제품 품질이 고르지 않고 가격이 비현실적이며 브랜드 마케팅 능력이 약하다. 네 번째는 묘령 산간지역의 사회 경제 및 차 산업 발전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논하였다. 주로 자원 활용 부족, 생산 기준의 불일치, 뚜렷하지 않는 제품 특색, 기업의 리스크 저항력 약화 등의 문제에서 나타나는 차 산지 산업의 발전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주된 원인은 약한 생태환경 인식, 광범위한 발전, 부적절한 채굴, 민족문화의 활용 부족, 소규모 차 기업의 실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제4장에서는 동묘차의 부흥이 가지는 역사적 장점을 요약하였다. 묘령 산간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발전 현황과 결합된 앞 절의 동묘차 발전 분석을 바탕으로 동묘차 부흥의 기회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 경제의 안정된 발전과 우수한 민족 정책이 묘령 산간지역의 생태적 인문적 환경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둘째, 국가의 무형 문화 유산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동묘차의 민족 문화적 특색을 계승하기 위한 좋은 정책 지침을 제공하였다. 셋째, 민족 문화 정체성의 지속적인 향상은 동묘차 발전의 사회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넷째,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 동묘차의 생산과 재배, 원료 가공, 시장 판매 등 측면에서 정보 통합과 자원 공유를 통해 산업 장벽을 허물고 산업 통합을 이루며 차농가, 협동조합, 기업에 새로운 협력 모델을 가져오는 것을 바탕으로 새롭고 큰 산업적 가치를 창출하였다. 제5장에서는 동묘차의 부흥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방법과 경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생태환경 건설을 강화하고, 지역 조건에 따라 차 생산지의 자연 생태계를 최적화하고, 동묘차 재배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문화 재구축을 강화하는 것이다. 동묘차의 형성, 발전, 진화, 특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차 생산지에서 묘족 문화의 역사적 배경, 경제적 가치, 함축적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현지 묘족 문화의 자신감을 재구축하고 묘령 문화 생태계 복원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세 번째는 정부가 차 생산지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차 관련 기업이 자원을 통합하고,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고, 특화 생산하도록 유도하고, 기업의 경쟁력과 차 산업의 전반적인 경제적 이익을 향상시킨다. 네 번째는 동묘차 브랜드 구축 발전 방향을 수립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판매 채널을 확대하고, "동묘차"의 특징을 묘령 산간지역 민족 문화 요소와 통합하여 지역 특색을 지닌 브랜드 이미지를 만든다. 동시에 소수 민족 차 문화의 내포를 깊이 탐구하고 차 산업과 관광, 부동산, 스포츠 등 기타 분야의 협력 발전 모델을 탐구한다. "동묘차"브랜드와 그 내부 문화적 특징을 다양한 분야에 주입함으로써 "동묘차"브랜드의 부가가치를 효과적으로 높인다. Dongmiao Tea is known as the representative brand with ethnic characteristics in Guizhou Province, Which originated in the secondary environment of the local Miao culture. Historically, Dongmiao Tea had possessed significant roles for the local society, which had created abundant profits to the Miao ethnic people and processed an irreplaceable function to promote the cultural development and the stability of social contact between several communities (like neighborhood interaction, marriage, human resource allocation, etc.).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The natural and humane environment on which Dongmiao Tea relies have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The abound varieties of tea brands in different regions also affect Dongmiao Tea negatively on the brand building and market share,which is facing the marginalizing in the local market. In the new historical background, it is a basic spirit and responsibility for every nationalit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al and industrial economy with inheriting splendid traditions. This dissertation aims to revitalizing the culture of Dongmiao Tea and optimizing the local tea industrial constru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materialism, the analysis involves in a systematically demonstration of the history and existing status of Dongmiao Tea to clarify several issues of developing predicament. In addition, the author also concludes positive opportunities for revitalizing Dongmiao Tea and present reasonable strategic advices on the basis the perspective of dialectical materialism development opinions. The dissertation structure of is assembled as follow: Chapter I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introduced the topic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y, meanwhile with the demonstration of several key concepts of relative theorie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cology and tea industry. Chapter II summarizes the historical position and development status of Dongmiao Tea. Firstly, expou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loc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ustainable supplements for the growth of the Dongmiao tea in the Miaoling mountains. Secondl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local ethnic composition, livelihood and tea customs to summarize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history of Dongmiao Tea, by which the unique ethnic cultural attributes were confirmed. Finally, the present situation of its survival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with the situation of rapid changes of several aspects including ecological environment, population migration, national culture, industrial competition. Chapter III analyzes the main difficulties faced by the recovery of Dongmiao Tea. In this dissertation the author takes Dongmiao Tea as an object to adopt fieldwar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analysis methodology through three major aspects (nature, culture and society) on the theory of cultural ecology system to analyze the challeng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ongmiao Tea. First, the ecological construction of tea-producing areas. Industrial development and man-made destruction in tea-producing areas have greatly affected natural ecology in the Miaoling mountain areas. The issues of soil erosion and rocky desertification arouse seriously negative influence on the supporting capac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re. Second, with the continuous reduction of Miao communities in Guizhou province, the inheritance and identity of traditional Miao ethnical culture gradually weakened. therefore, the inter-ethnic community relations which relies on Dongmiao Tea as social ties ceased to exist. Third, the brand-building mechanism is not well developed, which bring about the result of uneven product quality, impractical pricing strategy and weak brand marketing ability. Fourthly, through a generally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tea industry in Miaoling mountains areas, this part mainly demonstrates the developing situation of tea-producing areas, which mainly presented by several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disunity of production standards, indistinctive brand image and weak ability of enterprises to resist risks. And the inducement can be concluded as weak ecological consciousness, extensive development, inadequate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culture and small scale and weak strength of tea enterprises. Chapter IV summarizes the opportunities for the revaluating of Dongmiao Tea. Based on the former research, this chapter puts forward the opportunities for the revaluating of Dongmiao Tea by combin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n Miaoling mountains: Firstly, the steady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the increasingly favorable national policies have injected new vitality into the developing process of ecological and humanistic environment in Miaoling mountains; Secondly, the country implements stimulus policies for the constru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provides a powerful political orientation. Thirdly,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national cultural identity provides a solidified social foundation for Miao ethnic. Fourth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ongmiao Tea gains new pathway for breaking the industrial barriers through enhancing manufacturing process and marketing ability, which can also build a valuable modern industrial integration. In Chapter V the author claims appropriate development strategies for Domgmiao Tea. The first, to strengthen environmental construction and optimize the natural ecosystem by adjusting measures to the local condition to enhance the tea plating environment. The second is to strengthen cultural reconstruction. Based on the research on formation, developing process, cultural ecology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Dongmiao Tea to expl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economic value of Miao ethnical culture in tea-producing areas deeply and reshape the self-confidence of local ethnical culture. Meanwhile, it is also provide a theoretical supplement for restoring cultural ecosystem in Miaoling mountain. The third, local government should take the lead in improv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tea-producing areas, and guide relative enterprises to integrate resources to realize centralize management and specialize production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The Fourth, to establish the brand building direction. by enhancing the brand value and expanding the sales channels and integ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Dongmiao Tea with the ethnical cultural elements to create a distinctive reginal brand image. At the same time, the marketing strategy could be adopted in the combination of tourism, real estate industry and sports industry to enhance the added value of brand value.

      • 『朝鮮의 茶와 禪』 고찰

        문윤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783

        모로오카 다모쓰(諸岡存)는 일제강점기 후반에, 전남도청 산림부 산림과 기원(技員) 신분으로 임업시험장에서 겸무하던 이에이리 가즈오(家入一雄)와 함께 현지답사 등을 통해 우리나라 차의 역사와 분포 그리고 차 문화사에서 잊힐 뻔 했던 청태전을 발굴하고 연구하여 그 결과를 『朝鮮의 茶와 禪』에 남긴 학자이다. 우리 차 문화가 소멸 직전에 처해 있던 시기, 즉 차 생활로 보든 학술적 연구로 보든 우리나라 차 문화가 극도로 침체되었던 시기에, 그 실제를 보다 깊이 있게 살펴서 소명하고 체계화한 최초의 단행본 연구서를 간행한 모로오카의 성과는 그 자체로 주목할 만한 일이다. 이 점으로부터 모로오카와 『朝鮮의 茶와 禪』은 우리 차문화사 및 차문화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겠으며, 특히 일제강점기에 우리 차 문화의 현장을 답사하고 실제를 저술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매우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朝鮮의 茶와 禪』에서 모로오카가 한국의 떡차를 발견하고 재조명한 부분은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한국 차문화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발견이며 그의 학술적 탐색의 성과라고 하겠다. 모로오카는 육우의 『다경』에 나오는 제다법으로 만든 차를 탐색하던 중에 한국 떡차를 발견하고 매우 경이로워했는데, 그는 떡차야말로 당나라 때 육우의 제다법, 끓이는 법, 마시는 법에 따른 단차라고 확신하였다. 나아가 그는 일본의 나라(奈良)에서 헤이안조(平安朝)에 걸쳐 차에 관계하는 문헌을 재검토하고, 당나라의 차 문화가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는 가능성을 믿게 되었다고 신중하게 밝히고 있으며, 그 추론은 오늘날 분명하게 인정되고 있다. 모로오카의 추론은 중국 차문화의 일본에 대한 직접적 영향에 그치지 않고 조선(한국) 차를 통해 중국 차의 일본에 대한 영향을 반추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한국 차의 정체성은 떡차로부터 구해지는 바, 모로오카의 학구적 노력으로 말미암아 전라남도 지역에서 한국의 떡차가 발견되어 그에 의해 재조명됨으로써 한국 차문화사의 역사와 위상을 올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요컨대 『朝鮮의 茶와 禪』를 통해 우리는 해당 시대의 차 문화와 생활상을 들여다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차문화의 역사적 위상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찰을 통해, 『朝鮮의 茶와 禪』의 저술과 발행 과정에 일본인들의 반역사적 동기가 내장되어 있다손 치더라도, 현재의 우리에게 이 책은 한국의 차문화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연구 자료라는 점을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 『朝鮮의 茶와 禪』 가운데 “이 곳(전남)에서 생산되는 차는 일본의 차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차는 불교를 통해 건너온 것이니 조선이 본가이지요”와 같은 구절이 보이는 데 이러한 시각은 해당 저작이 단순히 식민주의 시각에서만 집필 및 출판의 동기가 작동되었다고 단순히 평가하기 어려운 대목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시각은 오히려, 반역사적 동기의 고압 속에서도 조선의 차와 차문화의 위상을 올바로 평가하고자 하는 학자적 양심 내지 무의식 수준의 용기가 작용하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일제강점기에 한국의 차 산업과 차 문화에 대한 기록은 빈약하기 짝이 없었다. 모로오카는 학자적 양심 내지 무의식 수준의 용기를 가지고 한국의 차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를 남겼다. 본 연구가 모로오카의 생애의 전모를 밝히고, 나아가 『朝鮮의 茶와 禪』의 득실에 관해 면밀한 고찰을 진행한바 그 결과는 한국의 차문화사 연구과 재구성을 향한 도정에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본 연구가 그간 한국 지역에서 출판된 『朝鮮의 茶와 禪』의 한국어 번역의 오류를 바로 잡아가면서 해당 문헌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그에 기초하여 『朝鮮의 茶와 禪』의 공과 또한 객관적으로 고찰하였는바, 본 연구결과는 국제 차문화 비교연구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Morooka Tamotsu(諸岡存) is a scholar who discovered and studied the history and distribution of tea in Korea as well as Cheongtaejeon which was almost forgotten i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tea and recorded its results in 『Joseon's Tea and Zen』by visiting the places with Ieiri kazuo(家入一雄) who was a secretary in a forestry experiment station under Forest Service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Forest Service in Jeollanam-do in the lat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is remarkable to publish the first research paper and a book that explained and systematized Korean tea culture by looking at more deeply in a period when the tea life and academic aspects of our tea culture, which was about to be extinct, were extremely depressed, even though it was written by foreigners. 『Joseon's Tea and Zen』and Morooka have important meaning to our tea cultural history, and the book is very valuable given that it described our tea cultur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by investigating it on the site. The identity of Korea tea is in rice cake tea. Morooka must have been very surprised finding Korean rice cake tea when he was searching for the tea made by the how to make method in 『The Classic of Tea(茶經)』. He convinced that our rice cake tea is tea that is based on tea recipe, how to boil and how to drink described in The Classic of Tea during Tang Dynasty. He reviewed the literature on tea throughout NARA(奈良) to Heian Period(平安朝), and carefully revealed that he became to believe the possibility that the tea culture of Tang Dynasty had affected Japan. And this reasoning is apparently being recognized today. 『Joseon's Tea and Zen』created by academic efforts of Morooka allows us to see tea culture and lifestyles of the time in our tea cultural history. Even if there is insidious intention of Japanese in that, this book i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us for today. There are phrase that said “tea produced in this place (Jeonnam) never fall behind compared to Japanese tea.” and “Tea is originated from Buddhism, so Joseon is home to the tea”. There are not sufficient records on our tea industry and culture at that time. This is why it is also important to research about Morooka who had such a thought as the literature called 『Joseon's Tea and Zen』.

      • 남방실크로드의 차문화와 차산업 발전 연구

        왕예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2783

        남방실크로드는 중국에서부터 동남아, 남아시아를 거쳐 유럽에 이르기까지 남중국해, 인도양을 넘어 아시아와 유럽 대륙을 연결하는 중요한 국제정치, 경제, 문화 통로이다. 따라서 남방실크로드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연구 뿐만 아니라 아시아, 유럽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영역의 연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존 연구 결과와 고고학 및 문헌 데이터에 따르면 남방실크로드 인근 지역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상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은 상호 교류를 통해 정치적 균형을 이루고, 경제적 교류와 문화적 영향을 서로 미쳤다고 결론지어 진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교역품이었던 차(茶)와 차가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관련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전 문헌학의 관점에서 남방실크로드에 대한 연구가 이 논문의 초점이다. 기존의 남방실크로드의 연구 성과는 대부분 고고학 분야에 국한되어 있으며 학자들은 남사로 진한(秦漢)시기 이전의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정한 성과도 거두었다. 하지만, 남방실크로드 한위(漢魏)시기 이후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문헌을 바탕으로 남방실크로드에 대한 연구 범위를 시기적으로 한위(漢魏) 이후 시기까지 넓혀 고찰하였고, 고고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고 고전 문헌 자료까지 최대한 활용하여 살폈다. 차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남방실크로드에서 차 문화와 차 산업교류와 관련된 역사적 주요 단서와 특징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와 논증을 진행하였다. 남방실크로드 차 관련 문헌의 분류, 비교 및 해석과 문헌 실증 분석을 기반으로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을 구성했다. ᅠ차는 남방실크로드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 및 문화 교류 매개체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에서 남방실크로드 지역은 오래전부터 차 생산의 주요 지역이었으며, 그 생산량은 중국 차 경제의 절반을 차지했다. 중국의 주요 남방실크로드 지역인 파촉(巴蜀) 지역, 운귀(云貴) 지역, 광시 지역이 경제 문화 발전의 핵심 지역이며, 이들 지역의 경제발전이 남방실크로드 지역 경제 발전의 성장을 좌지우지하는 것은 주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우선, 파촉(巴蜀) 지역은 중국 차 생산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파촉(巴蜀) 지역의 차 생산은 서주(西周) 초기부터 시작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과거 문헌에 따르면 촉(蜀) 지역의 차는 남방실크로드의 차 마시는 문화와 선차(禪茶)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특수한 지리적 위치와 발달된 차 산업으로 인해 정부가 시행하는 차와 말의 무역은 남방실크로드의 발전와 심지어 중국의 정치적 안정에 매우 중요했다. 중국 역사상 오랫동안 정치 활동의 주요 지역은 북방이었고, 남방지역은 북방보다 전쟁이 적었으며, 통치자들은 남방의 상대적 정치적 안정을 통해 남방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를 원했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중국 통치자들은 남방 지역에서 대규모 전쟁 행위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이 남방에서 취한 많은 정치, 경제 정책은 안정, 구속, 억지력 위주였다. 남방실크로드 지역은 차 경제 문화가 오래 전부터 발전하고 매우 깊은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초기 차 경제 발전은 파촉(巴蜀)지역에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왔지만, 차가 점차 토번(吐蕃) 지역을 포함한 북서부와 남서부의 소수민족의 필수 생활 필수품이 되었음을 통치자가 발견했을 때 그 경제적 성격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북방 소수민족의 군마(軍馬)가 필요하고 소수민족은 중국 남부의 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시 정부는 차마(茶馬) 무역에 정치적 목적과 의의를 부여하였다. 당나라 후기부터 중국의 차 무역은 기본적으로 경제자유무역의 특성을 잃고 국가 독점 관리 및 독점 판매로 대체되어버렸다. 이러한 정치, 경제 정책은 국가의 주도로 남부지방에 차를 널리 심었기 때문에 남부지방에는 거대한 차밭과 광대한 소수민족을 포함한 매우 번성한 차 문화가 생겼다. 그러나 결국 북송(北宋) 중기부터 파촉(巴蜀) 지역은 정부가 지정한 차마전매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 즉 남방실크로드 지역에서 차 농부들이 생산한 차는 더 이상 시장에서 판매되지 않고 정부가 직접 구매해 말과 무역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였다. 좋은 점은 생산된 차의 품질이 좋거나 나쁘거나 상관없이 모두 판매할 수 있다는 것이고, 나쁜 점은 차 경제의 시장 발전을 파괴하여 명(明)청(清) 이후 남방실크로드 지역의 차 경제의 쇠퇴에 대한 단초가 되었다. 파촉(巴蜀) 지역은 남방실크로드의 시작점이자 경제 및 문화 발전의 핵심 지역 중 하나이다. 차 생산에 관한한 파촉(巴蜀) 지역이 중요한 지역이라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대 문헌의 기록으로 볼 때 파촉(巴蜀) 지역의 차 생산량과 중앙 정부에 제공되는 생산량은 모두 각 지역 중 1위이며, 둘째, 차 발전 역사의 관점에서 파촉(巴蜀) 지역은 인공 차 재배의 발원지 중 하나이며 인류 차 문명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마지막으로 차 경제 문화의 확산 경로의 관점에서 볼 때 파촉(巴蜀) 지역의 차 경제 문화 발전은 남쪽의 윈난, 귀주, 광시 지역보다 약간 앞서 있다. 남방 민족은 제갈량(諸葛亮)을 “차의 조상”으로 여기는 문화 현상이 있는데, 당나라 남조(南詔) 시대의 차 문화는 위진(魏晋) 시대 중원(中原)과 파촉(巴蜀) 지역의 차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차 경제 문화가 파촉(巴蜀) 지역에서 중원(中原)을 따라 남쪽으로 전파되는 추세를 알 수 있다. 윈남 지역, 귀주 지역, 광시 지역의 차 경제 문화의 발전은 남방실크로드 차 문화와 교류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윈난성의 차 문화는 오랜 역사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선차(禪茶) 문화의 함의가 매우 깊고 차 산업은 차마(茶馬) 무역에서 빠르게 발전했다. 귀주와 광시 지역은 모두 차 전매지역에 포함되었으며 차 산업은 어느 정도 발전했다. 본 논문에서 주로 논의되는 차 문화와 차 산업의 관계로 볼 때 문화 발전 과정은 전적으로 경제 발전에 의존한다. 고도의 물질문명이 선도하지 않았다면 남방실크로드를 따라 이렇게 풍부한 문화유형이 형성되지 않았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남방실크로드의 발달된 차 문화는 경제 발전을 기반으로 하며, 전파력뿐만 아니라 경제의 영향력을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높였다는 점은 본 논문이 새롭게 실증적으로 밝힌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차 문화의 풍부함이 경제 발전의 변화에 가져온 점에 대해서 향후 지속적으로 대비 고찰을 진행하는 데 적지 않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outhern Silk Road is an important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hannel that runs through China, Southeast Asia and South Asia to Europe and connects the Eurasian continent across the South China Sea and the Indian Ocea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large amounts of archaeological and documentary data show that the regions along the Southern Silk Road have a long-term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relationship, in which the regions have achieved political balance,exchanged economically and influenced each other culturally. Therefore, the study of the Southern Silk Road is not only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y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China, but also to the study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Asia and Europe. Tea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rriers of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 along the Southern Silk Road. In China, the Southern Silk Road region has been the main concentration of tea production since ancient times, and its production supported half of China's tea economy. The domestic section of the South Silk Road took the Bashu(巴蜀) region, Yunnan-Guizhou region and Guangxi region as the core area of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above areas affects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South Silk Road. It could mainly be seen from the following aspects. The Bashu(巴蜀) region was one of the centers of tea production in China. Tea production in Bashu(巴蜀) area could date back to the early Western Zhou Dynasty, which showed the long history of tea production in Bashu(巴蜀) area.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hu tea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tea culture and Zen tea culture of the South Silk Road. Moreover, due to its special geographical location and developed tea economy, the tea horse trad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wa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Southern Silk Road and even China. In the vast majority of Chinese history, the main area of Chinese political activities was in the north, and the south was less prone to fighting than the north, so the rulers hoped to achieve the political purpose of circumnavigation the South with the relative political stability of the South. From a comprehensive analysis, in order to ensure political stability and deterrence, Chinese rulers in the south are not willing to carry out large-scale acts of war in the south, so many political and economic policies adopted by the rulers in the South are mainly based on stability and deterrence. The Southern Silk Road area was a region with early tea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deep influence. The early tea economic development brought considerable economic benefits to Bashu(巴蜀) area. But its economic nature began to change when the rulers discovered that tea was becoming a daily necessity for ethnic groups in the northwest and southwest including the Tubo(吐蕃) region. The Chinese government needed the war horses of the ethnic minorities in the north, and the ethnic minorities needed the tea from the south, so the Chinese government gave the tea horse trade a political purpose and meaning. From the late Tang Dynasty, China's tea trade basically lost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free trade, and was replaced by national monopoly and monopoly. This political and economic policy brought about the extensive cultivation of tea in the south under the leadership of the state. Therefore, the whole South, including the coastal areas, had a huge number of tea gardens, and the whole south also had extremely prosperous tea culture, including the vast minority areas. However, from the middle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Bashu(巴蜀) area became the main source of tea horse monopoly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namely, the tea in the South Silk Road area was mainly used for "Yima(易馬)", and the tea produced by tea farmers was no longer traded in the market, but directly purchased by the government. On the one hand,the quality of tea produced could be sold whether it is good or bad. On the other hand, it destroyed the market-oriented development of tea economy, which drew the foreshadowing of the decline in tea economy along the Southern Silk Road after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ashu(巴蜀) area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outhern Silk Road and one of the core areas of the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Southern Silk Road. As far as tea production was concerned, Bashu(巴蜀) area was also undoubtedly an important town. Firstly,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s, the tea production and the tea production provided to the central government in Bashu(巴蜀) were the highest among all the regions.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tea, Bashu(巴蜀) area was one of the birthplaces of artificial tea planting, which had made inestimable contribution to human tea civilization.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mission path of tea economy and culture, the development of tea economy and culture in Bashu(巴蜀) should be earlier than that in Yunnan, Guizhou and Guangxi in the south. There was a cultural phenomenon that the southern people regard Zhuge Liang(諸葛亮) as the "tea ancestor". The tea culture in Nanzhao(南詔) period of Tang Dynasty was influenced by the tea culture in Central Plains and Bashu(巴蜀) area in Wei(魏) and Jin(晉) Dynasties. From these phenomena, it could be concluded that tea economy and culture spread from Central China to the south along the Bashu(巴蜀) region. Tea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n Yunnan, Guizhou and Guangxi w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ea culture and exchange along the Southern Silk Road. Tea culture in Yunnan had a long history and features, and zen tea culture was rich in connotation, and the tea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rapidly in the tea horse trade. Guizhou and Guangxi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discussing tea", and the tea industry has been developed to a certain exten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culture and tea industry economy discussed in this paper, its cultural development process is completely dependent on economic development. Without a high level of material civilization as a guide, the Southern Silk Road would not have formed such a rich cultural type. The developed tea culture of the Southern Silk Road is built on the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spreading power is also increased based on the economic influence, and its richness changes with the changes of the economy.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outhern Silk Road from the Angle of classical philology.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Southern Silk Road are mostly confined to the field of archaeology. Scholars pay more attention to the research of the Southern Silk Road before the Qin and Han Dynasties and have a lot of achievements, while the research of the Southern Silk Road after the Han and Wei Dynasties is relatively lacking. Based on the literature, this paper mainly extends the study period of the Southern Silk Road to the Han and Wei dynasties. Based on the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it makes full us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resources, takes tea as the main research object, and conducts in-depth research and demonstration on the main c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related to the tea culture of the Southern Silk Road and the economic exchanges of the tea industry. Based on the collation, comparis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of the Southern Silk Road tea, the main content of this paper is formed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