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모니터링(monitoring)을 위한 평가준거체제 개발

        주경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35

        21세기에 들어서 더욱 거세지고 있는 지구화의 물결은 세계를 지식기반사회, 정보화 사회로 재구성해가는 가운데, 평생학습사회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자 불가피한 시대적 요청으로 대두되었다. 이에 우리 정부도 평생교육 분야에 꾸준한 투자를 진행하였다. 이처럼 평생교육의 양적 확대는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의 설립을 초래하였으며, 그 중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시대적ㆍ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교육의 기능강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대학평생교육은 기관들의 내적 충실도 부족, 프로그램의 획일성ㆍ비차별성ㆍ몰개성성, 교육 방식 및 운영상의 비전문성과 비효율성 등의 문제를 나타내 왔다. 이와 같은 문제 상황의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확한 현황진단과 더불어, 평생교육 각 분야에서 모니터링 평가의 활용이 적극 시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의 폭넓은 의미와 역할을 고려하여 논리 주도적 관점에서 평가의 형성적 기능에 초점을 두고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질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것이다. 한국의 대학평생교육은 매해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특히 90년대 후반부터 프로그램의 양적ㆍ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급속한 발전의 이면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기 위해서 모니터링은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평가모형이자 기법이다. 프로그램 모니터링은 유용성, 능률성, 효과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형성적인 기능이 강조된 평가이다. 따라서 모니터링 평가 논리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준거를 도출하는 작업은 추후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및 관리에 있어서 가치 있는 함의를 도출하는 작업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 높은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하기 위해서 통합연구설계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평가준거영역 및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배경 탐색 후, 대학평생교육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업무 매뉴얼의 내용 분석 등 질적인 접근방식을 취한 후 1차적으로 도출된 75개의 항목으로 평가 핵심이해관계자인 3개 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적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탐색적 요인분석 한 결과, 15개의 평가영역과 71개의 평가항목으로 최종 평가준거체제가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준거체제는 실행가능성이 높고, 실용성이 있으며, 논리 주도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각 기관과 실무자들에게 적극 권장할 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평생교육을 통해 평생학습자들에게 더욱 질적으로 향상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대안으로 모니터링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유층화 무선표집이 아닌 목적적 표집을 실시하였다는 점과 표집크기의 제한 등의 문제는 연구의 제한점으로 제시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추후 논리주도적 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작동논리를 분석해 보는 작업과 다양한 분야에서 모니터링 평가 시행에 관한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김유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35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al researches after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as a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adulthood based on social phenomenon and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lans to help to prepare the career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ch variable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s a main variable which was expected to influence college students to be independent, self-controlling, sound minded workers and citiz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selected, 6 large universities having the colleges of natural sciences ·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reg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data of 506 college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As a study tool,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onsisting of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daptation scal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daptation scale to college life consisting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sisting of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tool preparation activities’, and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is observ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overall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Mother’s ca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overprotect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st variable correlation wa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self-efficacy, mother’s caring, and mother’s overprotectiveness. Second,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overall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model I apply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howed the explanation of 18.2%, model II adding self-efficacy showed 26.8%, and model III addi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the explanation of 28.6%.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ubordinate factor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irst, model I fo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6.8%, model II was 26.2% increased by 9.4% in comparison with model I. The explanation of model III little increased to 27.5%. Second,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ool preparation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2.7%, model II was 16.4%, and model III was 20.4%. Third, the explanation of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as 13.6%, model II was 21.6%, and model III was 22%. Third, with regard to the results, does self-efficacy medi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and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doe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mediat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mother’s 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ally medicated. Finally,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time to choose the career suited to the aptitude and interests and practice the decision and through the study, mother’s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limited to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ern Gyeonggi region, it failed to represent the who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up researches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a variety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are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발달단계인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변인들을 사회현상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갖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 방향 제시 및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심신이 건강한 직장인 및 시민으로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주요변인‘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각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하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기 남부에 소재한 자연·공학 및 인문·사회계열 단과대학이 모두 설치 되어있는 대규모 대학 6 곳을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총 5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하위요인이 ‘돌봄’과 ‘과보호’로 구성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척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성된 자기효능감척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으로 구성된 대학생활적응척도와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어머니의 돌봄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는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이었으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의 돌봄, 부모의 과보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어머니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분석 결과는 대학생활적응만 투입한 모형Ⅰ은 18.2%의 설명력을 나타낸 반면, 자기효능감이 더해진 모형Ⅱ는 26.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해진 모형Ⅲ의 설명력은 28.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하위요인들과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영향력를 탐색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로는 정보수집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6.8%, 모델Ⅱ의 설명력은 26.2%로 모델Ⅰ보다 9.4%가 높아졌다. 또 모델Ⅲ의 설명력은 27.5%로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로 도구구비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모델Ⅱ에서는 16.4%, 모델Ⅲ에서는 20.4%로 나타났다. 셋째로 목표달성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3.6%, 모델Ⅱ는 21.6%, 모델Ⅲ은 22%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활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사항을 실행하여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기남부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연구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학생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 진로발달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러 각도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 일본 한인학교의 학교문화 연구 : T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한인학교 T학교의 학교문화의 특성을 알아보고, 변화의 원인을 살펴본 뒤, 각 시기별 학교문화가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재외 한인교육을 위한 정책의 나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선 학교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고찰하고, 연구자의 학교문화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연구함에는 질적 연구방법과 문헌 연구방법을 택하였다. 또한 재외 한인학교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학교문화 분석의 틀 중 문화생태학 관점을 취하여, 학교가 처한 물리적 및 사회문화적 환경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T학교 문화는 설립 초기부터 1980년대 중·후반 까지는 피식민의식이 잔존한 채 일본정착을 준비하는 재일한인 민족학교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는 현대 한국이 바탕이 된 상승지향의 국제학교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식 입시문화가 재현되고, 엘리트주의적 국제화교육이 실시되었으며, 민족교육기능은 약화되고, 따라서 학교 운영을 둘러싸고 이해관계가 대립하게 되었다. 또한 구성원들의 문화적 정체성이 다양해지고 국제적 인재를 지향하는 담론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처럼 학교문화가 변화하게 된 원인은, 현대 한국에서부터 새로운 구성원이 대거 이주했다는 점을 가장 큰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들 새 구성원들은 현대 한국에서 교육을 통해 계층 상승이동을 달성하고, 대기업에 취업하여 일본 파견근무의 명을 받은 사람들이다. 한편 이들이 출생하여 성장한 한국사회는 계층상승이동에 교육이 필수적이자 유일한 수단으로 되어 있어서,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입시위주의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들은 언젠가 한국으로 돌아가 다시 교육경쟁에 참여해야 하는 입장이다. 한편 재일한인들이, 세대교체와 의식변화로, 민족교육에 대한 수요가 많이 줄었다는 점, 그리고 일본사회가 점차 다문화공존을 의식하게 되었다는 점도 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학교문화가 이처럼 변화함에 따라, T학교라는 공간은 근·현대의 한국과 일본의 매우 다양하고도 역동적인 사회·문화·역사적 관계가 한꺼번에 교차하는 공간이 되었다. T학교에는 한국의 민속적 풍경(ethnoscape)도 나타나는 한편, 본국인 한국과 거주국인 일본과의 밀접한 통로를 확보한 초국가적 지역성(translocality)을 보유한 장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T학교의 재학생들은 각자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한국인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그 각자 삶의 이력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또래집단의 형성 및 언어생활에 있어 각 또래집단마다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T학교의 문화는, 내부적으로는 조화적이지 않은 이질적인 요소들이 한꺼번에 공존하고 있으며, 어느 한 요소도 완전하게 자리잡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의 전반적인 모습이 통일되게 일관성을 갖춘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력취득도, 민족교육도 어느 것 하나 완전하게 완성을 시킨다기보다는, 여러 가지를 조금씩 체험해 보게 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T학교 재학생들이 언젠가 학교를 졸업하고 혹은 전학을 가서 한국 혹은 일본에서 살아나가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러한 학교의 모습은 바람직한가 하는 의문을 남겨준다. 이에 따라, 같은 재외 한인이라 하더라도, 각 집단별 특성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점을 재외 한인의 교육의 정책을 위한 시사점으로 활용하여, 재외 한인의 각 집단별 특성에 맞는 교육을 수립할 수 있을 수 있어야 하겠다.

      • 사교육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최미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35

        점차 사교육을 받는 학생수가 늘어나고, 계층별 사교육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사교육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교육의 실태를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사교육과 학업성취간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배경변인과 사교육 경험 및 사교육비 지출액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한편 사교육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일반계 고등학생들이며, 분석방법은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교육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학생의 교육포부수준, 거주지역 등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통제한 후 사교육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수학에서만 사교육 경험의 효과가 나타났다. 국어와 영어의 경우 사교육 경험은 학업성취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세 교과 모두 구조적인 요인보다는 교육포부수준, 혼자 공부하는 시간, 독서량, 부모의 자녀에 대한 관심 등이 학업성취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과흥미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교과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탐색

        백은숙 단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7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at community colle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phenomenological inquiry. This study shows the reason why marriage migrant women enter the community college,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from the college life, and structuring explana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ctations for life after the learning experience. I involved six female foreign participants who have married to Korean males and lived in urban-rural region for from ten to eighteen years. They completed language education and adjustment training course to Korean society, and graduated from D community college in Jecheon of Chungcheongbuk-do. I chose those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matters related to the subject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study with using phenomenological inquiry with 「intentional sampling strategy」, suggested by Miles & Huberman(1994). This study had collected data through additional interviews and viewing process from Faburary 2014 to April. Especially, extra interviews, telephones, e-mails, internet data, lectures, events, and group activities were so helpful for collecting and using that informations, and I analyzed data in circular structure.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y's result is as below. Firstly, entering community colle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to realize dream, have confident parent image, pursue stable domestic economy, get specialized job, and decide career. Secondly,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mmunity college course for immigrant wives is to become self-directed learner, develop communication ability, establish self-awareness in family, get confidence in child rearing, improve healthy living for family, build healthy relationship, be a lifelong learner. Third, expected future life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learning experience is to live in a independent life with economic stability and a confident life as a Korean with learning. Through the study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poli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s to stand their own feet with financial independency. They need educational support such as customized vocational training and learning improvement to qualify for employment. Secondly, community college have to give immigrant wives more opportunities, education of vocational knowledge and technical training, and supplementary education after getting a job. For this, they need to make efforts to operate activation for the college-affiliated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and maintain a close cooperation and develop the easy accessibility between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and community college. Third, members of family and society also make efforts to respect for individuals, communicate with faith and consideration, establish reciprocal interaction with respecting and embracing cultures to build mature multicultural society. For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to try to learn Korean traditional cultures, customs, manners and values for themselves. They also need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area,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encouraging potential, and active participation to lifelong learning activity for economic independence. 이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탐색이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왜 전문대학에 진학을 하고, 그들의 전문대학 학교생활을 통한 학습경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학습경험 이후의 삶에 대한 기대 의미를 구조화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에 거주한 시기가 10~18년이 경과된 도농지역의 결혼이주여성 6명이었고, 그들은 이주 후 국내에서 한국어교육과 한국사회 적응교육과정을 마치고 충청북도 제천지역의 D전문대학을 수료하였다. 이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이유는 이 연구가 현상학적 해석방법을 활용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 모두가 연구문제와 관련된 사항에 대한 유경험자이어야 함을, 그리고 연구의 질적 보증이 가능하도록 Miles & Huberman (1994)이 제시한 「의도적 표본 추출 전략」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절차는 2014년 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과 추가면담 및 관찰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특히 추가면담, 전화, 메일, 인터넷자료와 학교강의, 행사, 동아리모임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연구 참여자를 관찰하면서 연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활용하였다. 그리고 자료 분석은 선형적이 아닌 순환적 구조로 진행하였고, 연구결과 해석은 Giorgi의 ‘과학적 현상학’ 4단계와 Moustakas의 4단계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활용을 통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과정은 자신의 꿈 실현, 당당한 부모상 찾기, 안정된 가정경제 추구, 전문직업 갖기, 진로결정의 수단의 의미로 탐색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후 학습경험의 의미는 자기주도적학습인으로 성장, 의사소통 능력증진, 가족관계에서의 자아상 확립,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가족건강생활 증진, 인간관계증진, 배움을 통한 평생학습 인간이 됨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학습경험이 미래의 삶과 관계 짓는 의미 구조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추구해 나가는 주체적 삶, 배움의 가치추구를 통한 한국인으로서의 당당함과 인간답게 사는 삶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실제적인 요구는 경제적 자립이다. 한국의 취업제도에 부응하는 자격을 갖추고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소양을 기르기 위한 맞춤형 직업교육과 학력향상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교육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전문대학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교육요구 충족을 위하여 입학기회 확대, 직업전문지식과 기술교육, 취업 후 보수교육 등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대학 내의 부설 평생교육원 운영 활성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와 전문대학간의 협력 관계 유지 및 접근의 용이성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족과 사회구성원은 인간존중, 믿음과 배려의 소통,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포용하는 상호호혜적인 관계형성이 가능한 성숙한 다문화 사회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결혼이주여성 스스로도 한국 전통문화와 관습, 예절과 가치관 등을 배우고 익혀서 당당한 한국시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언어능력 향상, 사회문화 이해, 자신과 가족 간의 소통능력 및 관계향상, 자신의 잠재능력 개발 그리고 경제적으로도 풍요로운 자립을 위하여 평생학습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평생학습인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백병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존재양상을 밝히고, 경제자본과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고등학생들의 수능 및 내신 성적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갖는지를 밝힘으로써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의 완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한국교육고용패널 1차년도 자료에 들어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987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가정의 문화자본 및 사회자본 보유 양상은 가구 소득과 학력, 직업에 따른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여성 보호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사회자본은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학생 문화자본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수능 및 내신 성적과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수능 성적이 내신 성적에 비해 경제자본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능 성적과 내신 성적 모두에 대해 가정 문화자본은 상대적으로 작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학생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은 상대적으로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해서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에서 사회자본과 학생 문화자본을 확충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업성취의 격차를 일정 정도 완화할 수 있으리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정부의 대학규제유형 분석

        김윤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19

        21세기의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대학의 다양화·특성화를 도모하고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자율이 전제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모든 규제가 완화되어야 하고 없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필요한 규제가 있고, 동시에 정도가 지나쳐 교육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규제가 있다. 그간 우리나라는 정부의 지나친 규제 속에서 대학의 자율이 훼손되어 왔고, 방치할 경우 대학교육의 질이 회복할 수 없을 만큼 떨어져 버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교육규제완화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규제완화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직접 규제가 약화되면서 간접규제가 등장하였고, 이러한 간접규제 속에서 정부의 대학규제가 얼마나,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접규제인 대학재정지원정책에 나타난 정부의 대학규제유형을 분석하였다. 평가를 통한 재정지원은 각 대학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게 되며, 이때 정부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평가지표를 만드느냐에 따라 대학교육에 득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대학통제의 손쉬운 수단이 되어 대학의 획일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간접규제의 연구대상으로 평가와 재정지원이 연계된 대학재정지원정책을 선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재정지원사업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규제의 특성상 정부의 대학규제 목적과 대학규제정책의 수단, 교육규제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부의 대학규제를 분석하였다.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에서는 두가지 정책목적이 서로 상충되어 나타났다. 한 가지는 ‘대학의 질 향상과 자율성 확보’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의 효율적 통제’이다. 2003년을 기점으로 정부의 규제목적이 ‘대학의 효율적 통제’에서 ‘대학의 질 향상과 자율성 확보’로 변화되었고, 규제강화에서 규제완화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규제기관의 적극적인 문제해결의 결과라기보다는 규제정보의 불확실성 문제를 적당히 회피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의 자기완결적 속성으로 인해 2002년까지만 해도 정책지표의 수가 계속 증가하였다. 정부의 교육규제 유형은 초기에는 주로 지원행정규제였으나, 점차 교육활동 및 학사규제가 크게 증가해 2002년까지 대학재정지원사업을 통한 교육규제는 오히려 강화되어 갔다. 이는 대학을 통제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대학재정지원사업이 이용되는 면이 있었음을 뜻한다. 우리나라는 사회적 규제를 강화시킨다고는 하지만 정치적·경제적 여건상 크게 증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대학재정지원사업 평가지표에도 반영되어 사회적 규제는 그다지 늘어나지 않았다. 2003년에는 사업목적에 맞게 평가지표가 특성화되고 지표의 수도 간소화되었다. 이로 인해, 2003년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정부교육규제가 상당히 완화되었다. 그러나 새로 평가지표가 바뀐 직후라 계속 지켜봐야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정보의 불명확성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정책의 부작용으로 인해 생기는 비효율의 문제가 더 심각하기 때문이다. 어떤 것을 규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하기위해서는 철저한 분석과 함께 관련 집단들과의 충분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학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이러한 개념정립 없이 정책이 형성되고 실행되다 보니 개혁의 의미가 상실되어 대학재정지원사업과 같이 전혀 다른 목적의 정책이 규제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재정지원사업에 한해 행해졌기 때문에 다른 간접 규제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규제가 완화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간접 규제를 통해 또 다른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The higher education should have self-autonomy for qualitative improvement, diversity and characterization. However, it doesnt mean that all regulations have to be relieved or abolished. Some regulations are positively necessary; others destroy the autonomy of the higher education. In the meantime, excessive regulations have made the autonomy of the higher education destroyed and at last they may deteriorate the quality of the higher education. Thus the government has been making an effort to appease the regulation: forming the committee of the regulation appeasement, etc. But as direct regulations weakened, indirect regulations showed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higher education is regulated under the indirect regulation. The researcher chose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as an example of the indirect regulation. The funding through an evaluation affects the higher education immense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which the state makes the items of evaluation, the higher education can be unified or its quality can be improve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and classified them into the purpose, the means and the types of the higher education regulation based on the characters of the regulation.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has two contrary purpose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the autonomy of the higher education and the efficient control of the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ate-regulation has changed from the efficient control of the higher educa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the autonomy of the higher education in 2003. But these changes are the result of the evasion rather than the active settlement about the uncertainty of information. The number of the items of evaluation has also increased due to self-fulfilling characteristic by the year 2002. The type of the higher education regulation was mainly the regulation by the administration support at first. However, the regulation by the educational activity and educational matters has increased magnificently. In result, the regulation in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has intensified by the year 2002. It means that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have been used as the efficient control of the higher education. The state has not enlarged the social regulations for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s. Since it was reflected on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the social regulations have not particularly been enlarged. In 2003, the items of the evaluation were specialized and their numbers also decreased. The state-regulation for higher education hereby was weakened considerably. But we need to watch the evaluation items which changed for the time being.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 purpose of the state- regulation policy is proper. The state should deal with the uncertainty of the information more actively because the disutility from the uncertainty of the information is serious. The state should reach an agreement with the related groups for the rational judgement about what should be regulated.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agree on the role of the state. A disagreement on it has made the unrelated policy such as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used as the effective mean for the control. This study is restricted in the State-Funding Projects for the higher education. Therefore, the studies need to follow whether other indirect regulations are weakened together or other regulations are rather tightened.

      • 초등교원과 중등교원 양성과정 비교연구

        양선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19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과 같이 교육에 있어서 교원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관건이고 그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어떤 사람을 교원으로 양성하고, 또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가장 중요한 질문일 수밖에 없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양성되고 있다. 초등교원은 국립의 11개 교육대학과 한국교원대학 및 사립의 이화여대 초등교육과에서, 중등교원은 국.사립의 사범대학, 일반대학의 사범계 학과, 일반대학의 교직과정, 교육대학원에서 동시에 양성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교육대학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초등과 중등 연계자격증 정책과 그에 따른 교.사대 통폐합 정책, 교육대학교 편입학제도, 중초임용 등과 같은 초등교원 양성정책의 개방적 개혁의 움직임과 더불어 초등교원 양성에 다양성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 및 제도들은 중등교원 양성체제와의 결합력 강화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들이다.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은 교원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원양성기관이므로 교원양성과정도 상호 유사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비교.연구 작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피상적인 수준의 이해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교원과 중등교원 양성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에 근거해 상호 보완할 점들을 찾고, 현재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교.사대 통폐합 및 연계문제', '중초교사임용' 등 초.중등 교육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 관련 정책들의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학생선발, 교육과정, 교원자격을 중심으로 초.중등교원 양성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학생선발은 지원자격과 선발 방식, 면접고사에서의 평가기준에 있어 대체적으로 유사한 면을 지니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 있어서는 여러 교과(10개 교과)를 담당해야 하는 초등교육과 한 교과의 전문성을 요하는 중등교육의 특성이 반영된 교과교육학과 교육내용학의 학점 구성비를 제외하고는 실상 그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다. 셋째, 무시험검정을 통하여 교육대학을 졸업한 자는 초등학교 정교사(2급), 사범대학 졸업자는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을 취득하고 있다. 위와 같이 비교. 분석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초등교원과 중등교원 양성 과정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교대학점제와 비교해 본 결과, 교대학점제는 교육과정상으로 살펴보았을 때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초교사들의 교직 수행 능력이 교대 출신 교사들에 비해 상당히 뒤진다고 평가되고 있고, 중초교사가 배치된 후 기존 초등교원들은 사기나 헌신, 자긍심이 크게 ㅜ이축되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중초임용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기간의 보수교육만을 거쳐 초등학교에 근무하게 할 것이 아니라, 3학년으로 편입학 시켜 현재 학사편입 한 학생에 준하는 교육과정을 이수케한 후에 정규 4년제 졸업생과 같이 임용고사를 거쳐 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바람직한 초.중등교원 양성의 연계 및 통합을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 외에 다른 요소까지 가미하여 더욱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utual supplements needed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eacher's training cour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middle-high school teacher, and to offer necessary basic materials for searching for the desirable plan of policies related to teather's training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high school.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eachers' training cour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middle-high school teacher with priority given to enrollment, education course, and teachers' certif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eachers' colleg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enrollment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eachers' college, there are roughly some similarities by the evaluation criterion of qualification of admission, the method to enroll, and the interview. Second, for the education course,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except the compoene ration of credits 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 knowlege. Lastly, the person who graduates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ithout examination obtains the elementary school certification, whereas the person who graduates the teachers' college obtains the middle-high school certification.

      • 교장 자격임기제와 선출보직제 비교연구

        박성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19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은 어느 때 보다도 근본적인 개혁과 혁신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른바 세계화와 교육시장의 개방, 정보통신 기술과 교육, 정보와의 급진전, 참여와 자치에 기반을 둔 시민의 발달, 교육자치의 진전,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학교 참여의 제도화, 사회 전반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의 변화 등 급격하게 변화되는 현실 속에서 학교의 기능과 교사의 역할, 학습의 개념 등도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안 될 상황에 놓여 있다. 학교 체제를 21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학교체제로 변화시켜야 하며, 이 변화는 교장에게 교사, 학생, 학부모 및 교육행정 기관과 지역사회 인사를 포함하는 학교공동체를 구축하고, 학교 경영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열린 사고와 민주적이고 책임 있는 학교 경영을 실천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오늘날 사회변화의 맥락에서 꼭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서 새로운 교장임용제도인 선출보직제가 전교조에 의해서 제안되었으며, 이 교장 선출보직제를 둘러싼 논란은 더욱더 팽배해 지고 있다. 현행 교장자격임기제는 학교경영의 민주화, 승진기회를 확대하여 교사들의 사기진작, 장기간의 교장재임으로 인한 관료주의 시정을 위해 1991년 4년의 임기 1차중임 가능한 형태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교원들이 58세, 즉 65세 정년을 앞두고 교장임용 되기를 희망하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교장들은 1차 임기 완료 후 통과의례적인 중임심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교장임기의 8년화라는 현상을 가져왔다. 이렇듯 교장자격임기제의 본래의 취지를 상실한 것도 문제지만 교장 자격임기제의 또 다른 문제로 학교운영의 비민주성, 자격증 취득시의 과열경쟁, 교장으로 승진하지 못한 평교사의 좌절감 증대가 있다. 현행 교장자격임기제의 문제점은 교장자격임기제의 실시전의 교장 자격제의 문제점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그렇다면 교장자격제도의 문제점이 교장임기의 문제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것과 관련해 전교조측은 선출보직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전교조가 주장하는 선출보직제는 교장자격제도폐지를 전제로 하고 있어 선출보직제와 교장 자격제도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를 보인다. 그래서 이것과 관련해 교장단, 교원노조, 학부모 등 교육주체간 의견들은 팽배하고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교조가 주장하는 것처럼 교장 선출보직제가 현행 교장자격임기제의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을지, 될 수 없다면 그 한계점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현행 교장 자격임기제와 전교조가 제안하고 있는 교장 선출보직제의 임용체제를 자격요건과 임용원칙, 임용절차로 나눠 비교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장 자격요건으로서 교직경력의 문제를 규명하기위해 교사로서의 교직경험과 교장의 역할과 직무영역의 관련성을 논의했다. 일정한 선발과 훈련의 과정을 거친 교사가 교육전문가임에는 틀림없지만, 교사가 교장이 되는 것은 전직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유능한 교육전문가와 유능한 학교경영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단정할 순 없다. 즉 교장자격요건을 교직경력 하나에 한정시키고 있는 교장 선출보직제는 현행 교장 자격요건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장 임용원칙에서 나타나는 교장자격제도 폐지와 교장선출보직제도 도입이 문제를 규명하기위해 선출보직제도 자체가 교장자질을 함양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했다. 교장의 자질은 교장의 역할과 직무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교육과 훈련에 따라 개발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이다. 교장 선출보직제의 선출보직제도 자체는 교장의 여러 가지 자질 중 특정자질의 중요성을 부각할 수 있을 뿐 이것이 교장의 자질을 개발하고 유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교장 임용절차에서는 승진제도 폐지와 선출보직제 실시, 근무성적평정제도 폐지와 종합인사기록카드제 도입, 학교운영위원회의를 통한 교장선출의 문제가 나타났다. 현행승진임용절차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승진평정방법을 개선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고, 교장 선출보직제에서 승진평정방법의 개선안으로 제시된 선출평정방법인 종합인사기록카드는 교사 개인의 일반적인 활동을 포괄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이것이 선출평정방법으로 유용되기에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마지막으로 교장 선출보직제에서 강화된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과 권한은 강화된 역할과 권한만큼 이에 따른 책무성이 강화되어야 하나 오히려 책임담보의 불확실성은 커진 것으로 보인다. 교장 임용제도의 개선을 위해선 첫째, 교장자격요건은 교장직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적격자를 선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이것에 따라 자격요건을 명시한다. 둘째, 교장임용원칙은 교장으로서 직무수행에 적합한 자질과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임용방법의 원칙을 마련한다. 셋째, 교장임용절차과정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 교장 자격임기제와 선출보직제를 비교연구한 결과 얻은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최고책임자로서의 교장의 역할을 재정립하여야 한다. 둘째, 재정립된 새로운 교장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교장임용제도를 다양화시킨다. The pres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faces up to a demand on a large reform and innovation unusually. That is to say, in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such as globalism and educational market opening, rapid advance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based on participation and self-government, the advance of educational autonomy, system of parents participation on school administration via a school committee, the change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education, etc, it is inevitable that the function of school, the role of teacher, concept of lesson, etc must be changed on the whole. It is necessary that the existing school system changes to a new system suitable for the 21th century. Considering that it is earnestly demanded for a principal to have the open mind and to practice democratic and responsible school administration, enabling to construct a school community including teachers, students, parents of students,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 public figures and to increase the effect of school management, the change toward a new system must be an indispensible issue. According to this trend,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a new assignment system selecting a principal, was suggested by Korea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Jun-gyo-jo) and there is a hot controversy about the issue. The term of a principal is four years and according to the existing Principal Qualifications Tenure System, a principal may hold the office for a second term (only once) of four years since 1991 in order for the democratization of school management, for the high morale of teachers by enlarging the opportunity of promotion enlargement and for redressing bureaucratization caused by long-term reappointment. However, a large majority of teachers is wanting to be assigned as the post of principal at his/her age of 58 considering of the age limit of 65 and unless any particular reason, the principals can resume the office through the ceremonious reappointment screening after completion of the 1st term of office. Thus, naturally, the term of a principal becomes eight years habitually. As like, the loss of primary purpose in Principal Qualifications Tenure System is a problem awaiting solution and more important side effects of this system is the undemocratic school management, the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time of acquiring license, the frustration of ordinary teachers who failed in the promotion. The existing Principal Qualifications Tenure System has the same question to that of Principals Tenure System, the former system. Then, it may be said that problems in Principal Qualification System is more fundamental than that of principals tenure. Concerning to this point, Jun-gyo-jo insists the introduction of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The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by Jun-gyo-jo sets the abolition of Principal Qualification System forth as a premise, so the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corresponds to Principal Qualification System each other. The educational subjects, such as the principal party, the teachers union, parents of students, etc have a heated argument on the matter. In this study, I researched whether the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can be the best alternative on the existing Principal Qualifications Tenure System, as Jun-gyo-jo insists, or not and if not, what the limit is. This study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assignment system between the existing Principal Qualifications Tenure System and Principal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by Jun-gyo-jo by dividing items, such as the qualifications, the principle of assignment and the process of assignm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qualifications for a principal, I studied the relations between the experience in teaching profession of teacher and the role & job specifications of principal in order to look into the problem of experience in teaching profession minutely. It is a plain fact that a teacher completed the all course of screening and training is the expert in education. However, because if a person is promoted from the duty of teacher to the post of principal, it must be a change of occupation, it cannot be concluded that an able expert in education can be an able expert in school management. That is to say, Principal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premising that the experience in teaching profession is the only qualification for the post of principal, may include the problems in the qualification for the existing principal as it stands. This study discussed if the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can improve the quality of principal by the abolition of Principal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Principal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in the principle of principal assignment. The quality of principal may vary according to the roles and duties of principal. That is to say, it is insisted that the quality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education and training.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in Principal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can clearly bring out in itself the importance of a limited quality among a lot of qualities but there is a gap in the reasoning that it can develop and maintain the quality of principal. In the process of principal assignment, there are some disputes in the abolishment of promotion system and introduction of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the abolishment of performance record rating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general personnel record card system and the selection of principal through school committee. The problem co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existing promotion assignment can be settled by improving the promotion rating method. The general personnel record card, the selection rating method, which is suggested as a remedy of the promotion rating method in the Principal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records the general activities of a teacher individually in comprehensive aspects, so it has a limit as the selection rating method. Lastly, the role and authority of school committee strengthened in Principal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must have the responsibilities as much as the strengthened role and authority but on the contrary, it is seemed that the uncertainty of responsibility increases. For the improvement in the principal assignment system. First, there must form a condition, enabling to select a qualified person, who perform the duties of principal perfectly and accordingly it, the qualifications must be stated plainly. Second, in the principle of principal assignment, there must be principles of systematic assignment method being able to verify the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suitable for the execution of duties as the principal. Third, there must secure justice and objectivity in the process of principal assignment. In the conclusion of comparative study on Principals Tenure System and Election Duty Assignment System, the suggestions o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principal as the top responsible person for school must be reconstructed. Second, there must be a program, which can cultivate the qualifications for performing the reconstructed role of a new principal. Third, the Principal Assignment System must be conducted in various man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