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心理學的 理論을 背景으로 한 幼兒敎育 프로그램의 두 典型

        박영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8751

        兒童에 대한 認識과 人間의 學習과 發達에 관한 견해의 變化는 幼兒敎育課程의 변화에 重大한 影響을 미쳐 왔다. 변천하는 心理學的 觀點에 따라서 많은 幼兒敎育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그들이 기초로 하는 기본 假定이 다르고 心理學的 槪念을 使用하고 接近하는 方法이 다르기 때문에 敎育目標나 內容, 方法도 각각 다르다. 本 硏究는 行動主義와 認知理論을 배경으로 하는 幼兒敎育 프로그램의 두 典型에 관한 것이다.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여러가지 論義는 결국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내용 방법에 관한 문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의 目標를 人間의 바람직한 人格形成, 價値形成에 두느냐 혹은 技術習得訓練에 두느냐 하는 문제이며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근원을 일상생활에서 찾느냐 혹은 學文的 基礎를 위한 지식과 기술에서 찾느냐 하는 것이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行動主義 理論에 기초하느냐, 認知 理論에 기초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므로써 아동의 학습과 발달에 관한 견해사이의 관계를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本 연구는 행동주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Bereiter-Engelmann 프로그램과 인지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Kamil-Devries 프로그램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것이 교육에 주는 示唆點은 무엇인가를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각 프로그램의 차이점은 아동과 학습을 보는 견해의 차이라고 볼 수 있으며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최근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지향하고 있는 대체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통점에 기초해서 앞으로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점을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幼兒敎育은 아동이 위치하는 현재 수준에서 시작한다. 2. 모든 시도는 개별화 교수로 행해져야 한다. 3. 바람직한 학습을 위해서는 좋은 환경이 필요하다. 4. 각 프로그램은 분명한 목적과 목표 아래서 계획되고 수행되어야 한다. 5. 幼兒敎育 프로그램은 학교학습과의 연계성을 중요시 한다. 6. 어린이가 학교생활에 흥미를 갖도록 한다. 7. 幼兒敎育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父母敎育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8. 政府의 行政的, 財政的 뒷받침으로 幼兒敎育課程에 대한 연구 計劃이 확장되어야 한다. We have looked about two mode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hich are on the basis of behaviorism and cognitivism. After all, many Kinds of discussions about early childhood programs are able to integrate the problems about educational objects, contents, and methods. That is, educational purpose is advisable character building and value formation or it is academical skill aquirement, drill. That is a question. Also in the contents, in order to accomplish educational purpose, whether we'll search for the origin from daily life or knowledge and skill which is for academical foundation.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problems are in the theory of behaviorism or the theory of cognitivism. The main research was looked about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Bereiter-Engelmann program and Kamii-Derries Program which inquired into what was the suggestion giving education. These programs were analyzed dividing five dimensions. The difference point of each programs is the divergence of opinion viewing children and learning. We can think that the similarity is-the most recent - the general direction which pointed to early childhood program. In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commonness of early childhood program, in order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we'll research the problems to examine and study that continuousl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a) Education start where the learner is. b) Every aftempt should be made to individualize instruction within the limits of available educational resources. c) Children can and will learn the essentials from a curriculum if the right conditions for learning are established. d) Successful programs must have sufficiently clear goals to provide direction and consistency in educational planning and curriculum delivery. 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grams recognize that the importance of school learning. f) Children should feel good about what they do in school. g) Systematic attempts at parent involvement are under taken. h) A study and plan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extent by public financial support.

      •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유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735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량과 소양에 따라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이론적 기틀마련과 더불어 직전교육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론으로 배운 다양한 교육내용들을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환경에서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직실무 경험, 교수역량 증진, 교직준비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교육현장 경험은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의 교육 현실은 아직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이며, 예비교사들은 교육역량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장 경험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는 교사양성 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교육봉사활동을 구축하였다. 이에 학교현장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교사교육에 있어 교육현장에 대한 강조는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추구하게 한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게 하기에 이를 위한 수업에 대한 성찰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의 하나로 사범대학과 교육청이 연계해 실시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과 수업경험을 한 다섯 예비교사들의 사례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의 학교현장에서의 수업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자 해석학적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경험하는가? 둘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의미화 하였는가? 셋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어떻게 성찰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를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찰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점 변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성찰을 돕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볼 때 예비교사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가르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교육에서 중요시하는 교사의 성찰은 방법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되었을 때 수업에 도움이 되고 더욱 그 가치가 드러난다. 이에 성찰문 쓰기, 동료교사들과 수업경험 나누기, 수퍼바이저의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의 제안과 그 효과를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본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은 교사되기 과정으로 자신의 배움을 견고히 하고, 학생들을 이해하며, 학교현장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또한 성찰을 통한 수업개선과 자기효능감을 갖게 함으로써 교직전문성과 현장적응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에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현장경험에서의 실천경험의 중요성과 예비교사의 내면 성찰을 돕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경험, 성찰, 자기주도학습, 사례연구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성찰 최 유 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교사는 부모만큼이나 학생들을 많은 시간동안 가까이서 보아왔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량과 소양에 따라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이론적 기틀마련과 더불어 직전교육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론으로 배운 다양한 교육내용들을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환경에서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해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직실무 경험, 교수역량 증진, 교직준비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기에 교육현장 경험은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의 교육 현실은 아직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이며, 예비교사들은 교육역량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장 경험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는 교사양성 과정의 개선방향으로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교육봉사활동을 구축하였다. 이에 학교현장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교사교육에 있어 교육현장에 대한 강조는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추구하게 한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게 하기에 이를 위한 수업에 대한 성찰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의 하나로 사범대학과 교육청이 연계해 실시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과 수업경험을 한 다섯 예비교사들의 사례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의 학교현장에서의 수업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자 해석학적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경험하는가? 둘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의미화 하였는가? 셋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어떻게 성찰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를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찰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점 변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성찰을 돕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볼 때 예비교사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가르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교육에서 중요시하는 교사의 성찰은 방법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되었을 때 수업에 도움이 되고 더욱 그 가치가 드러난다. 이에 성찰문 쓰기, 동료교사들과 수업경험 나누기, 수퍼바이저의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의 제안과 그 효과를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본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은 교사되기 과정으로 자신의 배움을 견고히 하고, 학생들을 이해하며, 학교현장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또한 성찰을 통한 수업개선과 자기효능감을 갖게 함으로써 교직전문성과 현장적응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에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현장경험에서의 실천경험의 중요성과 예비교사의 내면 성찰을 돕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경험, 성찰, 자기주도학습, 사례연구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19.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Yu-Seon Choi Education Psychology and Curriculum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Young Son) Teachers have seen and influenced their students almost as long as their parents. Therefore, teac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students solve difficulties and form valu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bilities and skills, students gets to learn or gets hurt.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s, the training institutes are carrying out the pre-teaching experience as a prior education along with the theoretical basis. The pre-service teachers will experience th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aught in college through the pre-teaching experience with the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field experience is being more emphasized because it can improve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ability, and preparing for teaching. However, the reality of education at education universities is still too theoretical, and pre-service teachers are demanding for better education courses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capabilit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is field experience,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since 2009 as a way to strengthen the link with the site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herefore, school field practice and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are actually helpful by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actual schools. Such emphasis on the field of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drives the pursuit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s meaningful in that it overcome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is a case study of five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hich was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 proceeded hermeneutic analysis based on the improvemen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de during the class in order to know the meaning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So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eaching? Second, how did the researcher attached meaning to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ird, how did I reflected on the content? Conclus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a way to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time and place that pre-teachers can incorporate what they have learned into their own. Thir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viewpoint of students. Fourth,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provide diverse systems to help reflection. In this regar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meet and teach students directly in the educational field so that they can reflect on themselves and change. Teachers' reflection on teacher education is not only recognized as a method but is useful for teaching and is more valuable when practic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writing reflection, sharing class experiences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 support are required. Through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pre - service teachers observed by the researchers was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learning,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to know the school site. In addition, there was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 and field adaptability by improving class through reflection and self -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actice experiences in various field experiences in the pre - service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process to help the pre - service teachers to reflect themselves.    Key words: pre-service teacher, teaching experience, reflection, case study

      • 중국 한 농촌 마을 '유수아동(留守兒童)'이 참여하는 학습공동체 운영 경험에 대한 비판교육학 의미 이해

        賈素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2018년 중국 정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유수아동 수는 697만 명에 달한다. 이러한 큰 규모의 유수아동들이 교육, 생활, 심리 등 여러 면에서 문제를 겪고 있다는 선행연구가 있어왔고 연구자 역시 유수아동이 어떻게 전 생애에 걸쳐 교육적 불평등 및 교육적 소외를 겪고 있는지를 연구한 바 있다. 또한 연구자는 석사논문에서 유수아동들에게 가정교육과 학습 감독 역할이 부재하며, 그들이 상업화된 대중문화에 침식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석사논문의 후속연구로서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유수아동들이 살고 있는 마을에 들어가 공부방을 마련하고 공부방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유수아동의 소외된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때, 공부방 운영 경험에 접근하여 연구하는 패러다임은 질적 연구이고, 연구를 바라보는 관점은 비판교육학이며, 연구방법은 실행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 실행, 성찰로 구성되는 실행연구의 사이클이 세 차례 진행되었다. 비판교육학 시각으로 연구를 진행하겠다는 계획과 달리 실제 1차 실행에서는 전통적 교육패러다임을 따르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자는 성찰을 통해서 이를 반성하고 아이들을 실행연구의 주체로 만들기 위해 2차 계획 및 실행에서는 그들의 내적 동기를 촉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2차 실행이 1차 실행보다 잘 진행된 원인을 2차 성찰을 통해 정리하여 비판교육학 시각에 따른 ‘나만의 공부방 놀이 실행 준거’를 드러냈다. 이어진 3차 실행은 이러한 준거들에 따라 여러 놀이들을 실행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공부방 경험의 의미는 세 부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공부방은 민주적인 공간으로, 공부방 경험은 학습자인 유수아동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기능을 했다. 둘째, 공부방은 참여적인 공간으로, 공부방 경험은 대화를 통해서 유수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여 그들의 능동성을 촉발하는 기능을 했다. 셋째, 공부방은 해방적인 공간으로, 공부방 경험은 유수아동들의 문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기능을 했고 연구자를 더욱 비판교육학적인 교수자로 발전시키는 기능을 했다. 이와 더불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성찰이 가진 의미를 고찰한 결과, 연구자의 끊임없는 성찰은 더 나은 공부방 경험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드러났다. According to the data announced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2018, the number of `Yoo-Su` Children in China reached 6.97 million. There are earlier studies showed that these huge numbers of `Yoo-Su` Children are experiencing problems in various aspects such as education, life, and psychology. Also, I had studied about how `Yoo-Su` Children are experiencing educational inequality and educational alienation in their lifetime. In addition, in my master's thesis, I confirmed that the family education and learning supervision of `Yoo-Su` Children are insufficient, and the result of they are eroded by commercialized popular culture. As a follow-up of the master's thesis, in this study, I tri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underprivileged reality of `Yoo-Su` Children by entering the village where `Yoo-Su` Children live and preparing Study Rooms with several projects. At this time, the paradigm for approaching and studying the operating experience of the Study Rooms is qualitative research, the perspective is critical pedagogy, and the research method is action research. In this study, the execution research is divided into three cycles, including planning, execution and reflection. Different from the plan that conduct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edagogica, it has experienced the process of following traditional education paradigm in the first execution cycle. The researcher reflected on this. In order to make children be the subject of action research, the second planning and execution strive to stimulat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second execution cycle progressed better than the first one was summarized through the second reflection. According to the critical pedagogical perspective, "My own practical standard of Study Rooms project" was revealed. The projects of third execution wer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se standar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search, the meaning of the Study Rooms experie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or confirmation. First, the Study Rooms act as a democratic space, the experience of the Study Rooms is the function to reveal the voice of `Yoo-Su` Children who is the learner. Second, the Study Rooms act as a participatory space, the experience of the Study Rooms stimulates the activities of each `Yoo-Su` Children through conversations and respect the characteristics. Third, the Study Rooms act as a liberating space, the experience of the Study Rooms help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problem of `Yoo-Su` Children and train the researcher to become a more critical pedagogical professo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reflec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in creating a better Study Rooms experience.

      •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유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에 따라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에도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남부 지역의 2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사업을 운영 중인 4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452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 간의 상호상관을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에 대한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잠재평균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였다. 관계모형 분석을 위해 측정모형의 타당도 검증을 한 후, 관계모형 적합도 검증 및 경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이 학교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도 함께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는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지능은 다문화 수용성과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수용성 또한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학생은 비다문화 학생에 비해 부모 지지와 학교적응 수준을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측정모형 검증 결과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이에 따라 부모 지지, 문화지능, 다문화 수용성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모형 분석 결과, 부모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화지능과 다문화 수용성을 거쳐 간접적으로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지능은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부모 지지는 문화지능을 거쳐 다문화 수용성에도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다집단분석 결과, 부모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비다문화 학생보다 다문화 학생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 지지가 문화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비다문화 학생이 다문화 학생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비다문화 학생은 부모의 지지가 문화지능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었지만, 다문화 학생은 부모의 지지가 문화지능과 다문화 수용성을 이중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역량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지능과 다문화 수용성을 중심으로 부모와 학교적응 관련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또한 다문화 여부에 따른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여 이들의 학교적응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역량의 관점에서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학교적응 요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다문화 밀집지역 더 나아가 앞으로의 다문화 사회에서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다문화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cultural intelligenc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4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rades 5th and 6th in Seoul, Korea. Firstl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Next, the latent mea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on parental support, cultural intelligenc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students from immigrant families and non-immigrant families. Als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to examin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parental support, cultur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adjustment. Finall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from immigrant families and non-immigrant famil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th of each variable to school adjustment. Results were as follows. Parental suppor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ultural intelligenc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chool adjustment. Cultur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chool adjustment. Also, multicultural accept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migrant and non-immigrant students in parent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Parenta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and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through cultur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inally, the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s of parent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were greater in immigrant students than in non-immigrant students. But the influences of parental support on cultural intelligence were greater in non-immigrant students than immigrant students. Also parent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 non-immigrant students through cultural intelligence. But for immigrant students, parent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were mediated by cultur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ental support, cultur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play important roles in school adjust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to enhanc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 탈북 후기청소년의 대학적응

        문희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탈북 후기청소년들의 대학적응과정에서 겪는 경험들과 심리·정서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교육적 논의의 필요성에 의하여 내러티브탐구 연구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대안학교와 공립학교를 졸업하고 대학특례입학으로 대학에 입학한 남한에 거주한지 5년이 경과된 2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3차원에 주목하여 다음의 연구 질문을 따라 진행하였다. 첫째, ‘탈북 후기청소년의 대학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탈북 후기청소년의 대학적응 과정에서의 심리·정서적 특성은 어떠한가?’ 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사례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미를 살펴보면, 북한에서의 가정배경과 탈북과정에서 가족해체를 경험하였고, 북에서의 교육적 배경으로서 학업중단, 남한학교에서의 문화적응, 학업적응에서의 기초학력과 학업부담에 의한 심리·정서적 스트레스, 휴학, 진로갈등, 진로불안, 진로장벽 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경험과 여정 속에서도 자라온 환경과 이주 이후의 사회적 자원의 구성과 동원에 따라 서로 다른 선택과 삶의 경험들은 또 다른 삶의 여정과 결과들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의 의미를 바탕으로 드러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과 탈북학생의 범주화와 적응특성의 이해측면에서 역사적, 사상적, 심리적 배타성, 탈북과정의 경험 등과 같은 다른 이주학생들과는 매우 다른 집단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북한에서 생애 전반기의 이질적 경험으로 형성된 특성과 함께 탈북과정, 이주의 결과에 따른 문화적응, 학업적응, 제한된 사회적 자원 같은 이주자적 특성이 일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측면에서 적응단계와 발달시기에 따른 고려가 필요하다. 이주자로서 특성과 학령기의 시기적 특성으로 인해 탈북 후기 청소년들의 문화적응 특성은 학업적응과 진로경로에서의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새로운 정체성 형성과 사회통합 측면에서도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적응과 정착과정에서 오는 위기와 갈등, 사회적 차별을 극복할 수 있는 특성으로서의 레질리언스 강화와 보호적 요인의 역량을 발할 수 있는 교육적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였다. 셋째, 학업적응 측면에서 학업적응을 위한 교육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대안학교와 공립학교 같은 학교형태에서 초기적응의 문화적응과 학업적응에서 많은 어려움에 노출되었다. 따라서 학교의 형태는 적응시점과 가정적, 교육적 환경 등을 고려한 최선의 선택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어떤 유형이 최적합 한 형태라 할 수 없고, 각각의 학교 형태에 따라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기초학력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는 징검다리 교육으로서의 전문적이고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였다. 넷째, 진로의 측면에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진로 성숙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탈북청소년들의 정착을 위한 진로결정은 매우 중요하지만 주변의 압력과 기대는 합리적 의사결정의 장벽이 될 수 있다. 진학과 진로결정 과정에서 객관적인 학업상황과 전공의 학업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학상담 자원의 확보와 진로지도는 매우 중요하였다. 또한 제한된 자원과 진로장벽으로 인한 진로대안의 선택과 타협과정에서 주도적인 진로결정과 진로부적응을 합리적인 사고로 전환시킬 수 있는 조력을 필요하였다. 다섯째, 심리, 정서적 측면에서의 지원이 요구된다. 탈북 후기청소년들은 북한과 탈북과정의 한계적 경험과 남한입국 이후의 적응과정에서 심리, 정서적 어려움에 노출되었다. 따라서 제한적인 인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원이 탈북공동체와 남한 사회구성원과의 관계에서의 균형과 함께,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원이 확대·심화되어 심리·정서적 지지와 사회맥락에서의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적, 평가적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탈북 후기청소년의 남한사회와 학교에서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조명하여 대학적응과정에서의 개별화된 특성을 사회의 맥락 속에 살펴봄으로써 실제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의 독특한 교육적 특성과 적응과정에 따른 심리·정서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육의 기획과 교육현장에서의 조력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교와 사회공간에서의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이해는 우리사회와 학교공간에서의 사회적 수용력에 대한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른 배경을 가진 북한 출신 학생들에 대한 연구의 다양성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Based on this, the experience of two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graduated from alternative schools and public schools and who have lived in South Korea since college admission.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the three dimensions of time, sociality, and place and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adapting college adolescents to late adulthood? Second, what a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dapting to colleg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family disintegration and the discontinuation of study as educational background in North Korea and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 and cultural adaptati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ress due to the basic academic ability and academic burden, absenteeism, career conflict, career anxiety, and career barriers in South Korea school. In addition, the different experiences and different choic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mobilization of social resour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fter the migration showed different life journeys and results. Therefore, implications based on the meaning of the study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collectiv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very different from other immigrant students such as historical, ideological, psychological exclusion, experience of defecting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categorizing and adapting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y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In addition, immigrant characteristics such as cultural adaptation, academic adjustment, and limited social resources as a result of migration, generalized, with the characteristics formed by the heterogeneous experiences of the first half of life in North Korea. Second, cultural adapta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adaptation stage and development stage. Due to the nature of the immigrants and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ge, the cultural adaptatio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in academic adjustment and career path, which is a major factor in the formation of new identity and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as a characteristic to cope with crisis and conflict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and to provide educational capability and support to develop protective competence. Third, education support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academic adjustment in terms of academic adjustment. In the form of schools such as alternative schools and public schools, the initial adaptation was exposed to many difficulties in cultur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Therefore, the type of school should be the best choice considering the time of adapt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etc. Therefore, it can not be said that the type is the most appropriate form, but it wa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s a stepping stone bridge education for supplementing basic education problems. Fourth, various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from the side of career, and support for career maturity is needed. The career decision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s very important, but the pressure and expectations around them can be a barrier to rational decision making. It was very important to secure counseling resources and career guidance based on the objective academic situation, academic level of the major, and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urriculum during the course of admission and career decision.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assist in the selection of career alternatives due to limited resources and career barriers, and in the process of compromise leading to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maladjustment into rational thinking. Fif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s required.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ere exposed to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fter entry into universirt of South Korea. Therefore, the limited human networks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be balanc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fectors' communities and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formal and informal support is expanded and deepened, so tha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should be possi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outh Korea's society and schools of the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so that the individualize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daptation proces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ociety.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help in planning and education of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uniqu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adaptation proces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school and social space showed the need for social capacity in our society and school space. A study middle-adolescent adolescents, which are on the rise recently, is required for diversity of research on North Korean stud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 학교수준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탐색

        김소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8719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in Education conferred in February, 2018.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So Young Kim Major in Educational Psychology and Curriculum,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Doojung Kim Under the assumption that various factors compos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ct complexly or dynamically, this study approaches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As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are process-bas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wareness, which subjects have, by examining various factors.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pos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Second, what factors affect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Third, how is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appreciate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people who are parents, teachers, principals/vice-principals, the members of the Education Ministry/Education Offices, or other specialists in curricula.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the questionnaires were checked by professionals. With SPSS 24.0, the percentage and frequency values were calculated and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output. Then, the Cronbach's Alpha value was measured. In order to analyze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groups and the gap between the groups respectively by domains or indicators,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Test). Scheffé was applied for post-hoc analysis on the differences.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consist of four domains and nine indicators. Second, the student domain at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is composed of three indicators as sub-factors: the students' need reflection, the diverse class composition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 domain of the school intensive cooperation and support has four indicators: the material support and human resource increase by the local Education Office, the system establishing cooperation between institutes, the task minimization in school, and the cooperative organization/management. The school condition and the parents' participation play a role in the school condition domain and the parents' participation domain as an indicator respectively. Third, the awareness scope of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is measured as follows. The parents' awareness is different at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age: the domains of the student and the parents' participation, and the indicators of the students' need reflection, of the various class compositions,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and of the cooperative organization/management. The teachers mak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factors by school: the domain of the school intensive cooperation and support, the domains and indicators of the school condition and of the parents' participation, the indicators of the students' need reflection, of the diverse class compositions, of the material support and human resource increase by the local Education Office, of the system establishing cooperation between institutes, of the task minimization in school, and of the cooperative organization/management indicator. The awareness of the principals/vice-principals shows differences at the factors by school: the domains of student and of the school intensive cooperation and support, the indicators of the students' need reflection and of the material support and human resource increase by the local Education Office, of the system establishing cooperation between institutes, of the task minimization in school, and of the cooperative organization/management. The awareness of the Education Ministry/Education Office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factors. The awareness of the specialists in the curriculum is different in the indicators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of the cooperative organization/management according to the ag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he teachers, the principals/vice-principals, the member of the Education Ministry/Education Office, and the specialists in curriculum, and the group of the parents are at the factors: the domain of the student and of the school condition, and the indicators of the students' need reflection and of the diverse class compositions. At the indicator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 contrasts a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of the teachers, principals/vice-principals, and the Education Ministry/Education Office, and the group of the parents, and between the groups of the principals/vice-principals and the group of the specialists in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six proposals as follows. First, the appreciation standards by the Education Ministry/Education Office need to reflect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considering school-centered cooperation and support. Second, it is indispensable to build an environment in which parents trust in school so that they take part in, and cooperate in the school-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voluntarily and actively. Third, a possibility is open that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play a role as a guideline on to what extent the school-level curriculum should be or is implemented. Fourth, the school-level curriculum is expected to improve each unit school or even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by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under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various ent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Fifth, it is very urgent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minimizes the school work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research tools to form a questionnaire.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department and the education office of the parent organization to plan the time for the teacher to concentrate on the student and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Teachers, who are an important part of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should not only transfer responsibility for performance but als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focus on students. Sixth, this study does not include the examination of parents in the test of the validity of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This is why follow-up studies are highly required to consider parents as a factor. [Key words] school-level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implementation standards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school curriculim.

      • Zwei Vertreter der Ermutifunpspadgodik:Ein Vergleich der pa'dagogischen Konzepte Von Makia Montessori und der individualpsychdlopie Alfred : 김춘경

        김춘경 Rheinisch - Westfa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 1994 해외박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20세기 초 유럽에서 거세게 일어났던 교육개혁의 두 선구자였던 M aria Montessori와 Alfred Adler의 개인심리학의 교육학적 이론과 실제를 문 헌해석학적 방법으로 비교연구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의사로서 그의 작업을 시작하였으나 인간의 치료는 근본적으 로 예방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에서 본업인 의사로서의 활동보다 는 교육실천가로 그 당시 활약함으로서 교육개혁을 앞장 서게 되었다. 다른 교육개혁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이들도 그 당시의 비관적인 아동관과 교 육관을 비판하고 낙관적인 아동관과 세계관의 기초위에 아동의 선한 본성을 믿고 그들의 잠재력과 내면적 세계가 갈등없이 각개인의 발달적 특징과 욕구 에 맞게 전인적으로 성장. 개발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을 목표로 한다. 아동중심의 교육관은 공동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구체적인 아동의 문제해결에 있어서 이들은 서로 다른 양극에서 문제해결의 시도를 단행한다. Montessori 는 개인의 자유개념을 시발점으로 하고, Adler는 인간은 사회적 존재라는 기 초하에 공동체감 형성개념을 교육의 시발점이자 궁극적 목표로 삼아 그의 이 론과 실제를 전개시켜 나간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결코 그들의 교육학적 입장의 분리를 뜻하는 것이 아 니고 다만 강조점을 달리할 뿐 그 전체적인 내용을 일치하고 있다. 실제방법론에 있어서 Montessori는 그녀의 원칙에 따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방법 및 교구교재를 개발한 것이 그녀의 커다란 업적인 반면,Adler는 이 런 구체화되고 실제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했다기 보다 심리치료 및 정신과 의 사로서의 관점에서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간관계상에서의 문제로 보고 이를 구체적이고 실제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의 입장은 그의 제자인 Dreikurs에 의해 미국에서 활성화 되고있다. 이 두학자의 연구가 교육학적 합의를 넘어서,실제 교육현장에서 상호보완적 인 측면에서 협조될 때 교육개혁의 의지를 실현시키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소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ask value and learning support on learning outcomes of the adult learner in distance educa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efforts as follows: 1.Di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ask value and learning support have an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of the adult learner in distance education? 2.Di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ask value and learning support have an effect on learning flow of the adult learner in distanc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160 government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Republic of Korea in the area of Daejeon city responded the survey which was used to measure each variabl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y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are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stery avoidance goal and superior's support, mastery avoidance goal and peer's support,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achievement value,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effective value,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peer's support,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task value (intrinsic value, achievement value, effective value),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superior's support,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peer's support,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learning persistence,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learning flow while the rest of the factors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by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the mastery-approach achievement goal, task value(intrinsic value, achievement value, effective value), supervisor's support and peer's support predicted the learning persistence. However, mastery avoidance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organization mood can't be able to predict the learning persistence. Third, by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there is only one variable which ca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arning flow. It is effective value a sub-factor of task value.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원격교육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이 학습지속의향과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 연구교육과정을 받은 공무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에 수집된 데이터를 가지고 신뢰도를 검증한 후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절차를 거쳐 도출된 상관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과 학습지속의향 및 몰입 간의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지속의향, 몰입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과제가치는 학습지속의향, 몰입과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더불어 학습지원은 학습지속의향, 몰입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학습지속의향은 몰입과는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 변수들과 학습지속의향 간에 상관관계를 보면 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는 학습지속의향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숙달회피목표는 학습지속의향과는 매우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수행회피목표는 학습지속의향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과제가치의 하위 변수들과 학습지속의향 간에 상관관계를 보면 과제가치의 3개 하위변수인 성취가치, 내적가치와 효용가치는 모두 학습지속의향과는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학습지원의 하위 변수들과 학습지속의향 간에 상관관계를 보면 학습지원의 3개 하위요인인 상사지원, 동료지원과 분위기는 모두 학습지속의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 변수들과 몰입 간에 상관관계를 보면 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는 몰입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숙달회피목표는 몰입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수행회피목표는 몰입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과제가치의 하위 변수들과 몰입 간에 상관관계를 보면 과제가치의 3개 하위요인인 성취가치, 내적가치와 효용가치는 몰입과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학습지원 각 하위 변수들과 몰입 간에 상관관계를 보면 상사지원, 동료지원과 분위기는 몰입과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 변수인 숙달접근목표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가치의 세 개 하위변수인 성취가치, 내적가치, 효용가치 역시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학습지원에서 상사지원, 동료지원도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은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과제가치의 하위 변수인 '효용가치' 하나만이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이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세분화된 성취목표지향성, 과제가치, 학습지원의 하위변수가 원격 교육연수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원격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 몰입이라는 학습성과에 대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접근목표, 과제가치의 3개 하위변수인 성취가치, 내적가치와 효용가치, 학습지원에서 상사지원, 동료지원이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성인학습자가 어떤 교육과정을 선택하거나 한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 계속적으로 다른 교육과정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수 설계할 때, 학습자에게 현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내용이나 더 가치가 있는 학습내용을 설계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숙달접근목표는 내적동기 변수로 학습자들은 학습 전에 어떤 목표를 가지고 학습을 계속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므로 성인교육 혹은 원격교육의 교수자들은 교육현장에서 성인학습자들이 학습 전에 명확한 학습목표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 자신의 숙달접근목표를 인식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과제가치의 하위 변수인 효용가치만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보면 학습자들이 학습내용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학습에 대해 몰입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 학습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학습내용을 제공하는 것이 교수자와 교수설계자들이 해야 할 일일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넷째, 원격교육에서 인터넷을 통해 더 편리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학습자들은 이런 교육을 선호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 신입 사원에게 교육시키거나 직장인이라서 직무연수를 받아야 되거나 하는 경우에 원격교육이 더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위한 질 높은 원격교육을 제공하는 데에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