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김영지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의 목적은 각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공통된 주제를 추출하여 주제 통합 단원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발의 방법을 결정하고, 제7차 4학년 2학기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주제 통합 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주제와 내용을 선정한다. 둘째 선정된 주제와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개발의 절차에 따라 통합 단원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에게 줄 수 있는 효과를 기술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①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을 실제 교육과정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 과제 수행 능력의 인지적 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②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을 실제 교육과정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의 정의적 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이 연구 내용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주제를 추출하고 통합 단원 개발 절차 5단계에 걸쳐 주제 통합 단원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통합 단원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2002년 9월에서 10월까지 2개월간 총 58차시에 수업을 적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참여 관찰, 심층 면담, 서술적 질문지의 자료 수집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구안하고 투입하는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학문적인 통합 방식의 특성을 기본 방향으로 초등학교 4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단원을 개발하였는데, 대주제는 '과거와 전통문화'이며 이에 따른 소주제는 '과거로의 여행', '전통문화 유산', '전통 놀이', '옛날과 오늘날의 가족관계'이다. 둘째 주제 통합 단원을 적용하고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차원적인 시각으로 학습을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통합적인 시각의 지식과 사고 방법을 습득하였다. 그리고 공통된 내용에 대한 반복과 확장을 통해 점차 질적으로 심도 있는 학습이 가능하여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다양한 학습 방법의 활용은 학습자에게 특성에 맞는 적합한 문제 해결 방법을 터득하여 과제 수행 능력의 향상을 가져 왔다. 그리고 적절한 통합 내용 조직과 학습 방법의 선정에 따라 학습자의 흥미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학습자의 참여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높여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과제 수행 방법에 대한 시행착오를 통하여 교사의 적절한 과제 수행 방법에 대한 조정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셋째 주제 통합 단원을 적용하고 양적 측정도구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소주제를 적용한 후의 시점을 기준으로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해서는 32.6%, 참여도에 대해서는 28.3%, 과제 수행 능력, 흥미도에 대해서는 19.7%의 증가율을 가져와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수업만족도의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자기 평가지와 동료 평가지 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공통된 주제를 중심으로 적절하게 개발된 통합 단원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통합 방식을 활용한 통합 단원의 실행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와 학습자의 학습수준이나 지역, 학년에 따른 효과 검증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 미치는 효과

        서미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A.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작곡활동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a-1.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적합성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a-2.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독창성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a-3.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기보력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작곡활동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1.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적합성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2.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독창성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3.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기보력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서산시의 면 소재의 중학교 1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1차시에 45분씩 총 10차시에 걸쳐 주2회 5주 동안 실시하였다. 작곡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교육부에서 개발한 음악 창작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따라서 자체 개발한 사전검사지, 사후검사지, 추후검사지 및 채점표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는 작곡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동질화되었으므로, 가설의 검증은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SPSS 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적합성이 높았다. 둘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독창성이 높았다. 셋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기보력이 높았다. 넷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적합성이 높은 것이 지속되었다. 다섯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독창성이 높은 것이 지속되었다. 여섯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 간에는 기보력이 높은 것이 지속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서 적합성, 독창성, 기보력을 신장시키고, 적합성과 독창성을 지속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기보력을 지속시키는데는 유의한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창작 성취기준을 ‘한도막형식의 가요곡 창작하기’에 한정하였다.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만든 음악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하기’, ‘만든 곡을 듣고 일정한 기준으로 평하기’ 등의 다양한 창작 성취기준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기보력은 단순 암기를 통하여 습득될 수 있는 능력이지만 창작 악곡을 악보라는 상징적 체계로 표현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표현능력이다. 따라서 기보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창작 학습방법이 창작 능력 이외에도 가창, 기악, 감상 등의 다른 음악적 표현 능력의 신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musical creative studying method applying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music creativity. To achieve this aim,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made. 1. There'll be some differences in test score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1-a.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groups. 1-b.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originality between the two groups. 1-c.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ability in music n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ll be differences in durability of creativ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2-a.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durability of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groups. 2-b.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durability of originality between the two groups. 2-c.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durability of ability in music n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san city Chung-nam province, and two classes of the first graders were chosen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done 10 times for 45 minutes each, and twice a week for five weeks. Instruments to measure creativity were pre-test papers, post-test papers, and sequenced test papers which were designed by me . In the result of the pre-test, there we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n the two groups had the almost similar quality. Therefore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processes was conducted with t-test using SPSS 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bove procedures were shown as following: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appropriateness.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originality. Thir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ability in music notation. Fourth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durability of appropriateness. Fifth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durability of originality. Sixthly, there we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durability of ability in music n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usical creative studying method applying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was effective on not only the improvement on students' creativity, the appropriateness, the originality and the ability in music notation, but also the durability of the appropriateness and originality, although it wasn't effective on the durability of ability in music nota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ome suggestions as following are recommended. 1. In this study, achievement criteria of music creation was limited to ‘to create a folksong of one part form’. To generalize the musical creative studying method, it is needed to do more studies and verify the effect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achievement criteria of music creation such as 'to express the ready-created music in various ways', and ' to evaluate the ready-created music after listening to it'. 2. Though the ability in music notation can be acquired through the simple memorizing, it surely is one of the most basic expressive abilities to express the ready-created music with a kind of symbolized system. Therefore, it is needed more following studies about effective improving ways with music notation. 3. There need consecutive studies about how effective the spiral method is, and in what field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can be applied, and how the musical creative studying makes the improvement of other musical expressive abilities as well as creativities in music such as singing, playing the instruments and appreciation.

      • 열린敎育 授業方法의 學習效果 分析

        김철환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수업 방법과 비교하여 열린교육 수업 방법이 학업성취도와 학업태도, 학습 습관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린교육 수업 방법이 전통적 수업 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열린교육 수업 방법이 전통적인 수업 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열린교육 수업 방법이 전통적인 수업 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습 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라는 3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홍성군 H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개반 39명, 통제집단 1개반 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 학업성취도 검사지는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제작한 진단평가지 및 사후 검사지를 사용하여 검사하였고, 학습에 대한 태도와 학습 습관 검사는 박경숙(1970)등이 제작한 검사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각 검사지는 spss/pc+(VER 8.0)의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 수업방법의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열린교육 수업방법과 전통적 수업 방법간에는 학업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Ⅰ]은 부정되었고,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중 지식 영역은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해와 적용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린교육 수업방법의 학습태도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열린교육 수업방법과 전통적 수업 방법간에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Ⅱ]는 긍정되었고, 학습태도의 하위 영역인 공부에 대한 태도, 급우에 대한 태도, 교사에 대한 태도에서도 열린 교육 수업 방법과 전통적 수업 방법간에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셋째, 열린교육 수업방법의 학습습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열린교육 수업 방법과 전통적 수업 방법에 비하여 학생들의 학습습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Ⅲ]은 긍정되었고, 학습습관의 하위 영역인 수업집중, 학습태도는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4학년 학생들에게 단위 학급 내에서 일일 단위로 교육과정과 시간 운영에 융통성을 두어 대집단 학습, 소집단 학습, 개별학습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는 열린교육 수업 방법을 6개월간 적용하였을 때, 학업성취도 면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학습 태도와 학습 습관의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re is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habit of studen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education when the method of open education is applied to the for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I set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s the effect of the method of open education on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en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education? second, what's the effect of the method of open education on the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education? third, what's the effect of the method of open education on the learning habit of studen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educ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in the for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ongsoung, and one class of experimentary group were composed of 39 children and one class of controlled group were composed of 37 children. As too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pen educatio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academic achivement paper made by researcher for native language. Also, the examination of learning attitude and habit test paper made by park kyong-sook(1970) and so on was used. The results of examination were verified by t-test through spss/pc(ver 8.0)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the effect of open educ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ry group and controlled group on the academic achivement. and the test of <hypothesis Ⅰ> in three sub-field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olution and applica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 but knowledge didn't. Second, an analysis the effect of open education on the learning attitud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ry group and controlled group on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test of <hypothesis Ⅱ> in three sub-field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learning, classmate and teacher made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n analysis the effect of open education on the learning habi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ry group and controlled group on the learning habit. and the test of <hypothesis Ⅲ> in three sub-field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on the concentrate of attention and learning attitude made significant difference, but learning method didn't. Putting above research results together, when the method of open education in which big group learning, small group learning, individual learning were run elastically with the flexibility of curriculums and time operation in a day, in a unit class was applied to the forth grade children for six months, academic achievement didn't show any difference. But the formation of affirmative learning attitude and habit could said to be effect.

      •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안은경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를 실험단원으로 하여 협동학습의 유형 중 팀 보조 개별학습(TAI)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2.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3.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4.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5.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6.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7.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8.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설계는 인천광역시에 소재 하는 J 초등학교 2학년 3개반을 수학과 사전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집단 2개반, 통제집단 1개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I은 이질적인 팀 구성을 한 후 협동학습의 유형 중 팀 보조 개별학습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II는 동질적인 팀 구성을 한 후 협동학습의 유형 중 팀 보조 개별학습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특별한 집단 구성없이 일제학습을 실시하였다.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수학과 학습태도를 검사한 후 SPSS-WIN8.0 통계프로그램으로 자료를 처리하고, 각 연구 가설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test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협동학습 방법은 일제학습 방법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습능력 집단별 학업성취도에서 중·하위수준 집단에서 협동학습 방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협동학습 방법은 일제학습 방법보다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넷째, 학습능력 집단별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에서 중·하위수준의 집단에서 협동학습 방법이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다섯째, 협동학습의 학업성취도에서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간에 차이가 없음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학습능력 집단별 학업성취도에서 중·하위수준의 집단에서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간에 차이가 없음이 검증되었다. 일곱째,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여덟째, 학습능력 집단별 학습태도 형성에서 중·하위수준의 집단에서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이 동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보다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기존의 일제학습의 방법에서는 학년이 올라갈 수록 개인차가 더욱 심화되는 것이 현실인데 협동학습 방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개별학습 효과와 동료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협동학습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New Education System, as a part of the recent education system restructure, suggests that individual students should be treated as equally, y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urrent position, ability and future potential in their study. The new system does not only promise to improve but also to diversify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so the students are able to choose their own tailer-made study considering their capacity, preferences and their future career in mind. Although the Differential Curriculum is the ideal alternative to our current, ineffective education system, it is pretty difficult to apply to the real situation. It is due to the fact that our class size is still too big, comparing to that of the most developed countries and also each of our class is looked after by each teacher given authority from the school. Another alternative is to divide one class into several smaller sub-groups according to students' current academic position. But this also seems to be very hard to apply in practice. Therefore, the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the final answer to those difficulties mentioned and the further investigation and studies to find out whether it is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our educational restructure, is to be discussed in this document. Following hypotheses have been made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search undertaken so far : 1. Studens' achievement from their study would significantly differ under two different systems,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lass Oriented Learning under the circumstances of applying the Differential Curriculum. 2. The study achievement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group and the low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woul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und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l Curriculum. 3. Studens' attitudes approaching to their study would significantly differ under two different systems,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lass Oriented Learning under the circumstances of applying the Differential Curriculum. 4. The study attitude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group and the low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woul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und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l Curriculum. 5.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f the study group is set with either same level students alone or different level students all mixed up, the students study achievement would differ significantly. 6. The study achievement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same level students group would significantly differ to the achievement of those who are in the different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7.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f the study group is set with either same level students alone or different level students all mixed up, the students attitude to their study would differ significantly. 8. The attitude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to their study in the same level students group and the low level students group would significantly differ to the attitude of those who are in the different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o verify above hypotheses, a public school 'J', located in Inchon was selected and tes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three classes from Year 2 were randomly chosen and each students were pre-tested for their study ability and attitude. After those tes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test group' and one 'controlled group' and the test group 1 was configured with students in all different levels and TAI tested. The test group 2 was formed with students in the same level in term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n also tested using TAI. Without setting any team format, students in the controlled group were taught with single, pre-selected curriculum. To verity the effects of the the Differential Curriculum for the Math education, the study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 the math subject were tested and the output data were collected from it. And then thos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WIN8.0. Finally the t-test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ose processed results and through that, the validity of our assumptions was verified under two different groups of 'tes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 from our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Cooperative Learning has shown its superiority ov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erms of students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2. The Cooperative Learning has shown its superiority ov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erms of the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3. It was reveal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more successful than the Class Oriented Learning, to motivate students in terms of their studying attitude and its effect. 4. The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ut evenly well in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erms of their studying attitude. 5. It was verifi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very effective regardless of different grouping method. 6. The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ut evenly well in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erms of their study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e group with all different level students mixed up. 7. The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ut well to improve the students' attitude even in the group with all different level students mixed up. 8.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students can be all helped out to improve their studying attitude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group with all different level students mixed up. As a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able to motivate students in different levels to help out one another and in the mean time each individual students can also improve their own study achievement, should be actively and yet properly applied to our school system.

      • 코메니우스의 교수학습방법론 연구

        박혜원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코메니우스의 새 교수법은 맹목적인 형식주의 언어교육으로 인해 참된 가르침과 배움을 상실했던 당시의 교육 현실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 우리 또한 과도한 경쟁으로 남보다 많이, 그리고 빨리 지식을 쌓는 것이 학습의 목적이 되어 버려 참된 가르침과 배움을 상실한 교육 현실을 보게 된다. 이에 연구자는 새로운 교수법을 창안하여 교육 혁신을 이루려 했던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에서 우리 교육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코메니우스가 활동했던 17세기는 종교개혁과 정치적 혼란, 새 과학 운동 등으로 급변하던 시대적 전환기였다. 대격변의 시기는 새로운 교수법의 등장을 요구했고, 새로운 교수법의 대표적 인물이 바로 코메니우스이다. 그는 당시의 종교, 과학, 인문주의의 사상적 토대 위에 교사와 학교 운영자, 교재 집필가로서의 경험에서 얻은 통찰력을 더하여 새로운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인간은 ‘적절한 교육’에 의해 삶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적절한 교육’은 학생의 발달단계에 알맞은 커리큘럼과 적절한 교수방법, 그리고 참된 교사가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코메니우스는 적절한 교육의 보편적 원리로써 ‘자연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아동의 발달은 자연의 질서에 근거하기 때문에 교육 또한 자연의 발달 원리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어린이의 본성과 발달단계를 이해하고 그에 적절한 교육 방법을 실천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 반자연적이고 강압적인 교육에 반대하며 충분한 학습준비의 중요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과 체계성, 아동의 인지적, 심리적 발달단계에 맞는 학습 과제와 학습량, 학문의 내적 즐거움, 학생의 능동성, 감각을 통한 지식 형성 등을 강조하였다. 자연의 원리를 토대로 ‘신속하게, 즐겁게, 철저하게’로 요약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가 지켜질 때 학생들은 참된 배움이 무엇인지 알게 되며, 학교는 즐거운 배움의 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교육방법론은 현대 초등교육이 잃어버린 교육방법의 철학적, 방법적 구심점을 제공한다. 강압적이고 인위적인 학습은 반자연적인 것이어서 자연의 원리에 어긋나며, 이런 방법으로는 교육의 목적에 도달할 수 없다. ‘교수학습방법’을 단지 어떤 지식을 가르치는 기술로 이해하는 협소한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넓은 개념으로 확장할 것을 촉구한다. 교육방법은 단지 교육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그 자체로서 중요한 교육의 한 축이 되기 때문이다. 코메니우스는 17세기를 대표하는 교육사상가로 그가 제시했던 학교 교육의 이념들은 후대 사상가들에 의하여 더욱 발전하며 근대학교교육으로 이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더욱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우리 초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원칙을 재검토하는 기회가 되었다.

      • 실기교육 방법론의 기본 프레임

        김창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법 제21조 ②와 교원자격 검정령 시행규칙 제2조 ③에 명시되어 있는 실기교사의 자격요건’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실기교육 방법론의 기본 프레임을 모색·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기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나 지식, 그리고 이론적인 바탕이 되는 아이디어들에는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둘째, 실기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와 수업설계의 기본 프레임에는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셋째, 실기교육의 실제 문제들과 그 해결전략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본 자료에는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넷째, 실기교육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내용들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본 연구에 사용된 주요 자료들은 교육방법론(이성호, 1999), 교육공학의 탐구(권성호, 2000), 실기교육 방법론(임일남 외 2인, 2002), 실기교육 방법론(한방교·윤길근, 2002), 실기교육 방법론(노승윤, 2003),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심리학(양용칠, 2004),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정찬기오 외 2인, 2006), 실기교육방법의 이해(지용근·정채기, 2006), 실기교육의 이해(류윤석 외 2인, 2006), 중등교육연구(정찬기오·김훈희, 2006),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특론(정찬기오·문승한, 2006), 실기교육 방법론(임채식 외 5인, 2007), 실기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방법론(김진호 외 3인, 2007), 실기교육 방법론(이상현 외 6인, 2008),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매체의 제작(백영균 외 6인, 2009)등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실기교육을 위한 관련 기초 이론에는 Thorndike의 시행착오설,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강화와 강화계획, Wertheimer·Kohler·Lewin·Tolman·Bruner 등의 인지학습 이론들, 인지발달의 기본 개념들,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Merrill·Jonassen 등의 구성주의 관점과 교육적 적용,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적용,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실기교육 방법의 역사적 흐름은 고대 교육, 중세 교육, 근대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고대 교육 방법의 흐름은 원시시대의 교육에서 후기 로마 교육까지 구분할 수 있다. ②중세 교육 방법의 흐름은 예수교의 교육에서 사라센 교육까지 구분 할 수 있다. ③근대 교육 방법의 흐름은 개인적 인본주의 교육에서 사회적 실험주의 교육까지 구분할 수 있다. 실기교육을 위한 교육방법의 기본프레임 학습은 실기교육 방법의 역사적 바탕위에서 교육과정 개발하기, 실기교육에서 수업목표의 설정하기와 진술하기, 실기 수업 설계 이론들의 기본구조 탐색하기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한다. 실기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학습은 Tyler와 Taba의 합리적 모형, Walker와 Skilbeck의 순환적 모형, Wheeler와 Nicholls의 역동적 상호작용 모형과 이러한 모형들을 절충한 모형의 학습이 바람직하다. 교육목표의 위계를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한 대표적인 학자는 Bloom, Krathwohl, Harrow이다. Bloom은 인간의 인지적 능력을 지식과 ‘지적 능력 및 기술’로 유목화하고, 지적 능력 및 기술은 이해력·적용력·분석력·종합력·평가력으로 분류하였다. Krathwohl은 정의적 학습의 과정을 수용· 반응·가치화·조직화·인격화로 분류하였다. Harrow는 운동기능의 위계를 반사적 운동기능·초보적 기초 동작기능·감각적 지각기능·신체적 기능·숙련된 운동기능·동작적 의사소통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교수이론과 수업설계이론에는 Glaser의 교실 교수모형, Skinner의 안내식 수업이론, Carroll의 학교 학습모형, Bloom의 완전학습 이론, Ausubel의 유의미(설명) 수업이론, Bruner의 탐구(발견)수업 이론, Massialas와 Cox의 사회적모형, Taba의 귀납적 교수모형, Collons-Stevens의 인지적 탐구 이론, Gagne의 학습과제의 위계와 조건, 그리고 수업의 계열화 이론, Landa의 Algo-Heuristic 이론, Reigeluth의 인지정교화 수업설계이론, Merrill의 수업요소제기이론, Keller과 Suzuki의 학습동기유발·유지·관리(ARCS)이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실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전략들의 학습은 교수·학습 매체들을 선정하고 개발·제작하기, 수업사태를 구상하고 조절하기, 교수·학습 내용과 활동을 선정하고 조직하기, 교수·학습 전략들을 선택하고 활용하기, 현장실습 교육과 안전교육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멀티미디어 수업자료 만들기는 이미지 자료 만들기, 사운드 자료 만들기, 동영상 자료 만들기, 프리젠테이션 자료 만들기, 웹 자료 만들기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 전략은 두 개의 기본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설명적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탐구적 전략이다. 설명적 전략에는 강의법, 시범 등과 같은 귀납적 교수법 등이 포함된다. 탐구적 전략에는 직접경험 학습, 현장 견학, 역할연기, 게임 등과 같은 연역적 교수법 등이 포함된다. 실기교육 평가의 학습은 교육평가의 기초 이해하기, 관련 주요 특성들을 이해하기, 실기교육 평가 설계의 기본 프레임과 평가문항 항목의 기능 이해하기, 실기기능의 수행 평가하기, 실기교육 평가의 결과 처리하기와 활용하기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실기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은 학습목표에 부합되는 활동, 학습자에게 적절한 활동, 자료 이용이 가능한 활동, 제약조건을 감안한 활동이어야 한다.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 전략은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 설명적 전략과 탐구적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교수·학습 활동의 조직은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실제 장면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정신적·내적과정, 학습목표와 흥미의 역할, 학습자의 잠재능력, 학습 행동의 객관화와 조절 방법, 지적·정의적·사회 문화적 발달의 차이, 교수전략이나 기법, 과정별·단계별 적용 가능한 아이디어나 기법, 실용적 가치를 지닌 교육방법이나 기술, 학습자의 자율성,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대한 부담감, 지식의 제시 형태나 표상,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학습과제 수행을 위한 동기유발, 거시적 이론의 이론과 미시적 이론의 상호보완성, 이론과 실제의 관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멀티미디어 자료의 제작과 활용은 시대·사회·문화적 경향이 반영된 텍스트자료-이미지자료-그래픽자료-소리자료-애니메이션자료-동영상자료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기교육의 평가는 측정의 초점, 측정 표본의 성격, 곤란의 정도, 평가의 시기, 평가도구의 유형, 평가도구의 용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행평가의 여러 기법들이 상호 보완적이면서 교수·학습의 과정을 개선할 수 있고, 개별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게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sic frame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raining teacher specified in 2-③ the requirements of the Teacher Certification Regulation under 21-②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Comprehensiv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basic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theoretical idea for practical skills education? Secon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basic frame of the curriculum design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practical skills education? Thir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basic material to present as solving strategies and actual answers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 Fourth,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actual contents to apply for the assessment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by the following people; Educational Methodology(Lee, Sung ho. 1999),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Gwon, Sung ho. 2000),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methodology(Lim, Il, nam. & others. 2002),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methodology(Han, Bang gyo. & Yoon, Gil geun. 2002),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methodology(Noh, Seung yun. 2003), Learning psychology for instructional design(Yang, Yong chil. 2004),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Chung, Chang-gi-oh. & others. 2006),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comprehension(Ji, Yong geun. & Chung, Chae gi. 2006),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comprehension(Ryu, Yun suk. & others. 2006), Journal of Secondary Education(Chung, Chan-gi-oh. & Kim, Hun-hee. 2006), Advanced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Chung, Chan-gi-oh. & Moon, Seung-han. 2006),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methodology(Lim, Chae sik. & others. 2007), Educational methodology for practical skills pre-service teachers(Kim, Jin ho. & others. 2007),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methodology(Lee, Sang hyun. & others. 2008), Produ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for effective instruction(Baek, Yeong gyun. & others. 2009). Basic theories for practical skills education can include followings ; Thorndike's Trial-error learning theory, Pavlov's Classical conditioning, Skinner's Operant conditioning, and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schedules, Wertheimer·Kohler·Lewin·Tolman·Bruner and others' Cognitive learning theories, and basic concepts of cognitive development,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Merrill and Jonassen's Constructive view and educational applicati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and educational application, and creative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The historical period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 is classified into ancient education, Medieval education, and modern education. ①The beginning of ancient education goes back to Primitive times, and it had been conducted until Late Rome. ②The period of Medieval education is defined as between Jesuits Education and Saracen Education. ③The period of Modern Education is defined as between Humanistic Education and Social Experimentalism Education. The basic frame learning for practical skills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curriculum based on the history, setting and explaining the instruction goals in practical skills education, and exploring the basic structure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design. The learning of curriculum development models for practical skills education should be as follows; Tyler and Taba's rational models, Walker and Skilbeck's cyclical models, Wheeler and Nicholls's dynamic interaction models, and eclectic models. Representative scholars who classified and arranged the hierarchy of educational objectives were Bloom, Krathwohl, Harrow. Cognitive ability was classified into knowledge, 'cognitive ability and skill' by Bloom. He also classified into comprehension,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e process of affective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receiving, responding, valuing, organization, and characterization by Krathwohl. The psychomotor skill hierarchy was classified reflex movement, basic fundamental movements, perceptual abilities, physical abilities, skilled movement, and nondiscursive communication by Harrow. Teaching theories an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should include as followings; Glaser's classroom meeting model, Skinner's programmed instruction, Carroll's school learning model, Bloom's mastery learning theory,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theory, Bruner's inquiry(discovery) instructional theory, Massialas and Cox's social studies models, Taba's inductive teaching model, Collons-Stevens's cognitive inquiry theory, Gagne's hierarcy of learning tasks and instructional sequence theory, Landa's Algo-Heuristic theory, Reigeluth's Elaboration Theory of Instruction(ETI), Merrill's Component Display theory, and Keller and Suzuki's ARCS theory. The learning strategies for solving actual problems in practical skills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choosing teaching and learning media, developing and producing teaching and learning media, devising and controlling the instructional event, choosing and manag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work experience education and safety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data for instruction should be classified into image data development, sound data development, movie data development, presentation data development, and web data development.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s divided into two basic strategies; One of them is explanatory strategy. Another is inquiry strategy. Explanatory strategy includes inductive teaching as lecture, or demonstration. Inquiry strategy includes deductive teaching as actual experiential learning, field trip, role play, or game. The learning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assessment should b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basis of educational assessment, related major characteristics, the basic frame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assessment design and functions of assessment items,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function, and treating and using results from practical skills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The choice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for practical skills education should be the activity considered of the instructional goals, learners, materials and restrictions. The selection of strategie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should be kept pace with the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and the explanatory and inquiry strategies. The principle for organi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The instructor in the actual scene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learner's mental process, the rol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terests, learner's potential ability, objectification of learning behavior and controlling methods, the each difference of cognitive development·affective development·sociocultural development, teaching strategy or skill, applicable idea or skill on process or step, educational method or skill with practical value, learner's autonomy, pressure from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type or symbol of knowledg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motivation for performing the learning task, complementarity between macro theory and micro theory, and relation between theory and reality. The development and use of multimedia data should be performed while focusing on text material, image material, graphic material, sound material, animation material, and motion picture material reflected with the tendency of the era·the society·the culture. The assessment of practical skills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focus of the measurement, the personality of the measurement sample, the level of difficulty, the time of the assessment, the type of the assessment material, and the use of the assessment material. In addition, the several skill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in complementary relations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o help each learner.

      • 敎育方法으로서의 敎師의 '示範'

        이승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주제는 다음의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다. 교육 방법이란 무엇인가? 다시 말하여, 특정 방법을 교육 방법이라 말할 수 있는 근본적 원리는 무엇인가? 이에 연구자는 그 대답으로 교사를 상정하였다. 즉, 특정 방법을 교육 방법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은 그 방법 자체에 어떤 교육적 원리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교육 방법의 근본 원리라 할 수 있는 교사가 그 방법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이는 교사가 하는 교수 행위인 ‘시범’을 분석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 행위인 시범의 교육 방법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때의 시범은 여러 교육 방법 중의 한 가지인 즉, 교육 방법의 한 사례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 시범은 교사가 지닌 교육 방법적 의미를 개념화하는 이론적 개념이다. 다시 말하여, 시범은 교사가 그 자체로 교육 방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할 때 교사가 지닌 그 교육 방법적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적 장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하는 교수 행위(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그 이면까지 온전하게 전달하려는 행위)가 어떻게 시범으로 개념화될 수 있는지가 본 연구의 관건이다. 수업을 ‘지식 전달의 장’과 같은 기법이나 기술적 측면으로만 파악하는 한 시범이 함축하고 있는 교육적 의미가 드러날 여지는 희박하다. 수업이 외관상 정보나 문자와 같은 세부 지식을 단순하게 전달하는 것처럼 보인다하더라도 수업을 오로지 지식과 학습자간의 단순한 물리적 전달 행위로만 파악하는 것은 수업을 제대로 이해하는 올바른 방식이 아니다. 수업은 인간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지식을 다루는 ‘심성 함양의 장’이라는 총체적 관점으로 파악해야한다. 수업에 대한 위와 같은 관점은, 왜 교육 방법을 교사의 시범으로 규정해야 하는가에 관한 이론적 설명을 필연적으로 요청하게 한다. 교육 방법이라는 것은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교육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달하는 교육 내용이 어떤 성격을 갖고 있으며, 그 성격으로 인해 교수 사태가 어떤 식으로 전개되는지가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교육 내용은 성격상 표면과 이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오우크쇼트에게 그것은 ‘정보’와 ‘판단’이며, 폴라니에게 그것은 ‘초점식’과 ‘보조식’이다. 이런 개념적 구분을 통해 지식은 성격상 그것의 묵시적 기반을 몸에 내면화한 인간과 분리하여 전달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게 된다. 결국 교사는 수업에서 지식을 그 묵시적 기반까지 전달하게 하는 필수 요소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교사는 교육 방법의 기본 원리라고 말할 수 있다. 교수 사태에서 교사의 행위는 단지 지식을 물리적으로 매개하거나 전달하는 행위가 아니다. 교사의 행위는 지식의 이면(묵시적 기반)을 몸소 드러내는 행위(표현 행위)이다. 이때 지식의 이면을 드러내는 행위가 바로 교사의 시범이다. 교사의 시범은 한마디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묵시적 기반을 전신체적으로 표현하는 행위’로 규정된다. 수업의 실제에서, 교사의 시범은 크게 보아 ‘대답으로서의 시범’과 ‘질문으로서의 시범’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두 가지 서로 다른 시범의 모습을 가능한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각각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교사상을 생각해 보았다. 대답으로서의 시범과 질문으로서의 시범의 대표적 교사상으로 헤세의 소설 ‘유리알 유희’에 나오는 명인과 소크라테스를 살펴보았다. 이 두 교사상을 통해 시범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교육 방법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시범의 교육학적 함의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재해석해 보자면,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시공간적 분리라는 근본적 제약을 가진 채, 교육이라는 연극 무대에서 각기 다른 배역으로 동일한 일을 하는 관계로 규정될 수 있다. 즉, 학생과 교사라는 서로 다른 입장에서 교육 내용의 이해라는 동일한 일을 하는 관계이다. 더 나아가 학생은 일방적 지식의 수혜자가 아니라 수업을 완성하는 동반자, 협력자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규정은 교수 사태가 교사의 시범으로 설명되고, 이에 따라 모방의 성격이 다양하게 규정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발견학습과의 관련 논의를 토대로 교사와 교육 방법의 관계를 재해석해 보았다. 교사는 교육 방법의 소비자나 개발자가 아니다. 교사와 교육 방법의 관계는 교육 방법이 교사에 대해 독립적인 위치로 연결되는 관계가 아니라, 교육 방법이 교사에게 의존하여 포함되는 관계이다. 연구자는 이런 논의들을 통해 교육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려 하였다. 즉, 교육 방법이란 살아있는 교사의 몸짓(시범), 바로 그것 자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를 배제한 교육 방법은 더 이상 교육 방법이 될 수 없다. This study aime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verse modern education method and eventually to overcome conceptual confusions about educ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could be boiled down to two questions: ‘What is the education method?’ and ‘What is the common fundamental principle is among different education method?’ and the answer is the teacher. A specific education method could be named as it is, not because there are some technical principles within the method itself, but because the teacher who actually uses the method exists. And the education method doesn’t refer to any specific technique or skill. instead, it could be defined as every behavior by the teacher who conveys what he or she intends to teach. Therefore, an education method means something teacher does, and any education method that excludes teacher can no longer exist, since demonstration-that is, a teaching behavior- shown by teacher, is significant from an education method perspective. the demonstration is an act for a teacher to express what he or she has his or her own body. Through this definition, it is meant in this study to see teacher's education behavior in a new light. In other words, demonstration as an education method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to explain its own principle and as a prototype of every teaching method, since every education method could be regarded as an demonstration by the teacher on the ground that it delivers what he or she intends to say.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the meaning of demonstration and analyze the nature of knowledge on the basis of Oakeshott and Polanyi’s theories. both theories suggest that there is a tacit dimension in knowledge that cannot be revealed explicitly. According to these theories, a teaching behavior can be described as conveying both explicit and implicit aspects of knowledge. That is, it could be defined as what teacher ‘express’ the implicit ground of knowledge through his or her body, and the word express could here be explained by Collingwood's theory of art. According to the new definition of demonstration, it could largely be divided into two types in real context: one is a demonstration as an ‘answer’ that reveals what teacher think, and the other is a demonstration as a ‘question’ that casts a doubt on that. The two types of demonstrations are products of how teacher sees and expresses teaching content. thus, this study made an effort to depict the diversity and dynamics of demonstration by taking a look at it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Finally, educational issues related to demonstration were reinterpreted. firs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reinterpreted in terms of demonstration. teacher and student are not mere knowledge deliverer and receiver. they are companions who carry out an act of knowledge deliver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education method was reinterpreted. the teacher is the source of education method, not its consumer or developer. therefore, teacher is an education method itself.

      • 듀이의 교육론을 적용한 활동 중심 교육방법 개발 : 6학년 사회과 정치단원을 중심으로

        정선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전통적 교육방법의 실패는 학생 심리와 교과 논리 사이의 간극을 메우지 못한 것에 그 원인이 있다. 안타깝게도 여전히 언어를 통한 주입식 설명 방식이 수업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인식주체인 학생과 인식대상인 교과와의 괴리는 좀처럼 좁혀질 줄 모른다. 인식주체와 인식대상 간의 괴리가 문제시 되는 이유는,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이 학생의 삶과 동떨어진 상태로 전달되어서 암기와 표면적 이해 수준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상징매체를 통한 설명, 지시와 같은 교수방법은 학생들의 학습에의 자발적인 참여를 제한하고 그들의 탐구활동을 가로 막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기도 하다. 듀이는 경험을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다. 여기서 경험이란 1차적 경험과 2차적 경험으로 나뉘는데 연구자가 주목하는 것은 1차적 경험, 즉 직접 경험이다. 직접 경험은 논리적으로 정련된 지식의 결과물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고 현재의 지식 체계가 성립하기 전으로 돌아가 현실에서 나타나는 문제 상황의 인과 관계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1차적 경험을 뛰어 넘어 간접 경험을 통한 지적, 이성적 사고 방법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학생의 성장 단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과 교과의 상호작용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학생이라는 유기체의 삶은 교과와 같은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성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과 교과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간접 경험으로 조직되어 있는 교과를 직접 경험 활동으로 재구성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사회과 정치단원을 중심으로 활동 중심 교육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현행 초등학교 교육에서 교수 방법의 난점과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밝힌다. 둘째, 듀이의 교육론에서 교수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것이다. 셋째, 듀이의 교육론을 적용해서 활동중심 수업 방법 개선의 실례를 제시한다. 이 연구의 핵심은 교재의 심리화이다. 이에 교과가 가진 위엄, 경직, 고정성으로 인해 학생과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교과 내용을 학생 활동 중심으로 편성하였다. 행함과 겪음을 통해 교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게 하고 그러한 과정이 지속되고 누적되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연구자는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어려운 교육 내용이 교재와 학생의 삶을 분리시켜 학생들의 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바로잡고자 교과의 내용을 학생 삶의 소재와 연계시켜 재구성해보았다. 이는 배움과 삶의 분리라는 이분법적 오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모든 학습은 경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학생들은 경험으로부터 가장 잘 배우기도 한다. 교사는 가공되지 않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직접 경험을 뛰어 넘고 가르쳐서는 안 된다. 2차적 경험, 즉 반성적 경험은 직접 경험을 했다라는 전제 하에 비로소 총체적 경험으로 완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포스코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분석

        이병국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코의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프로그램들의 초점은 어디에 맞추어지는가? 즉, ①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②각 서비스 프로그램들의 초점은 어디에 맞추어져 있는가? ③국내의 대표적 서비스 프로그램들의 교육내용은 각각 어떻게 다른가? 둘째, 포스코-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과 구체적인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즉, ①아웃플레이스먼트 예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②생애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③재취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④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⑤재무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⑥사후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법을 사용하였다. 즉, 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프로그램들의 초점은 어디에 맞추어지는지를 검토하는데 사용된 주된 자료는 강혜숙(2005)의 퇴직자의 전직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천영희(2002)의 전직지원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태원유(2001)의 전략적 퇴직관리 추진방안, 김은경·홍순경(2008)의 POSCO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 개선방안 등이다. 포스코-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과 구체적인 내용체계는 어떠한지를 검토하는데 사용된 주된 자료는 김은경·홍순경(2008)의 POSCO 아웃플레이스먼트 예비교육 교재, 김은경·임주연(2008)의 POSCO 아웃플레이스먼트 심리·재취업 매뉴얼, 홍순경·이상진(2008)의 POSCO 아웃플레이스먼트 창업 매뉴얼, 홍순경·이상진(2008)의 POSCO 아웃플레이스먼트 재무관리 매뉴얼 등이다. 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은 Conroy, Mirabile, Gruber, Aquilanti 등의 학자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들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들을 종합하여 재구성하면 심리적안정, 핵심역량분석, 경력목표설정, 구직·창업준비, 구직·창업실행, 정착의 6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국내의 대표적 아웃플레이스먼트 컨설팅 기업에서 지원하는 교육내용을 종합해보면, 재취업 및 창업교육의 전 과정과 생애관리교육의 퇴직 스트레스 관리, 새로운 목표수립, 그리고 재무관리교육의 퇴직금 관리 등은 공통적으로 지원되고 있으나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기업별로 지원되는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포스코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육은 퇴직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고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생애관리-재취업-창업-재무관리교육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선행학습이 이루어진다. 퇴직예정자는 예비교육을 통하여 퇴직으로 인한 충격을 극복하여 평상심을 회복하고 변화에 대비한 인생목표를 재설정하고 그에 대한 실행계획을 세우게 된다. 또한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의 운영 취지를 이해하며 생애관리교육, 재취업교육, 창업교육, 재무관리교육, 사후관리교육 각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에 대한 이해와 중요사항에 대한 선행 학습이 이루어진다. 생애관리교육은 정년퇴직과 함께 찾아오는 많은 변화에 적응하여,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고 주변인들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건강하고 여유롭게 의미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퇴직예정자는 생애관리 교육을 통하여 퇴직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도전의식을 고취한다. 또한 퇴직자에게 도움이 되는 각종 지원제도를 알게 되고, 가족과 동료 등 주변인들과의 갈등 예방법과 갈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질병관리방법, 운동방법, 유익한 식생활 등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지식을 갖게 되며 퇴직과 함께 늘어난 여가를 활용하는 방법과 국내·외로 이주하는 방법에 대한 실무 지식을 갖게 된다. 재취업 교육은 재취업하여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퇴직대상자들이 재취업을 하고 취업한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구직에 필요한 실무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퇴직예정자는 재취업 교육을 통하여 각종 진단과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와 직종별 취업환경을 참고하여 취업목표를 설정한다. 또한 인맥관리, 시간관리, 자격증 취득 등과 같은 자기개발 방법을 알게 되며 재취업을 위한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구직에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고 재취업을 위한 구직현장 탐방, 구직서류 등록과 같은 구직활동의 방법을 알게 된다. 직원을 채용하려는 기업의 채용 의도를 분석하고 고용기간, 연봉과 같은 취업조건의 협상방법을 알게 되며, 면접시 대응방법과 재취업하여 새직장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창업교육은 창업을 희망하는 퇴직대상자들이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단계에서 실행, 그리고 창업후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의 실무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퇴직예정자는 각종 창업 검사 결과와 본인의 미래 희망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창업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창업을 하기위해 알아야하는 시장의 동향과 창업자의 정신자세를 알게 되며 사업아이템 선정 방법, 상권분석과 입지선정의 방법, 창업의 성공조건을 알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작성 할 수 있게 된다. 창업과 관련한 인·허가 방법과 점포 계약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알게 되며 판매전략 및 영업전략의 수립, 절세전략, 창업후의 지원제도 등 창업후의 유지관리 방법에 이르는 실무지식을 갖게 된다. 재무관리교육은 기존 재산을 기반으로 한 재산증식 방법과 퇴직이후 달라지는 수입과 지출을 고려하여 노후까지 생활 할 수 있도록 하는 재무설계 방법 등 재무관리 전반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퇴직예정자는 금융투자 방법, 유망 금융상품 등의 금융 투자방법과 부동산 투자에 관한 지식과 공매·경매에 대한 실무 지식을 통하여 재산증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퇴직이후 달라지는 수입과 지출을 고려하여 자산을 배분하는 방법을 알게 되고 연도별 자금 사용계획을 수립하여 본인의 여생에 대한 재무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사후관리교육은 퇴직한 이후에 성공적으로 새로운 삶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재취업, 창업, 재무관리, 생활법률 등에 대해 도움을 주는 카운슬링 지원과 각종 정보 제공으로 이루어진다. 퇴직자는 사후관리교육을 통하여 퇴직후 3개월간의 카운슬링을 받게 되어 재취업, 창업, 재무관리 관련 카운슬링을 통한 성공적 정착을 도모하게 되고, 퇴직후의 지속적인 정보받기를 통하여 생애관리, 재취업, 창업, 재무관리 정보와 구인 정보도 지원받게 된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프로그램의 초점은 심리적안정, 핵심역량분석, 경력목표설정, 구직·창업준비, 구직·창업실행, 정착에 맞추어져야 한다. 특히 재취업·창업교육과 퇴직 스트레스 관리, 새로운 목표수립, 퇴직금 관리 등이 중심이 되고 그 외의 내용은 요청기업의 여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둘째, 포스코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육은 퇴직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고, 생애관리-재취업준비-창업-재무관리교육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선행학습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생애관리교육은 정년퇴직과 함께 찾아오는 많은 변화에 적응하여, 안정된 심리상태로 주변인들과 더불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내용이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재취업교육은 재취업하여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퇴직대상자들이 재취업을 하고 취업한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구직에 필요한 실무적인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창업교육은 창업을 희망하는 퇴직대상자들이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단계에서 실행, 그리고 창업후의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의 실무적인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재무관리교육은 기존 재산을 기반으로 한 재산증식 방법과 퇴직이후 달라지는 수입과 지출을 고려하여 노후까지 생활 할 수 있도록 하는 재무설계 방법 등 재무관리 전반에 대한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사후관리교육은 퇴직한 이후에 성공적으로 새로운 삶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재취업 또는 창업, 재무관리 등에 대해 도움을 주는 카운슬링 지원과 각종 정보 제공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placement services program of POSCO and to present its content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laid down on the basis of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does the outplacement program contain and on what is it focused? That is, ①What does the outplacement program contain? ②On what is the program focused? ③How is the program different from other programs? Second, how is the main contents and system of POSCO-outplacement program? That is, ①How is the system of the propaedeutic program? ②How is the system of the lifetime management program? ③How is the system of the outplacement program? ④How is the system of the enterprise foundation program? ④How is the system of the financial management program? ⑥How is the system of the post-management program? The method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documentary records.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were worked out on the authority of the opinions of scholars, such as Conroy, Mirabile, Gruber, Aquilanti and others, and the programs presented by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reconstituted such programs and focused on six steps, that is, psychological stability, core ability analysis, career goal setting, job-hunting or enterprise-founding preparation, job-hunting or enterprise- founding fulfillment, and settl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me out as in the following; The propaedeutic course of POSCO-outplacement program aims at relieving the shock from retirement, at orienting lifetime management-outplacement-enterprise foun- dation-financial management program, and at antecedent learning. The lifetime management program was set up so that retirees can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can be psychologically stable, can be favorably related to the people around them, and can enjoy their lives healthily. The outplacement program was composed of practical contents so that retirees, who have an intention to work again and are able to work, can get jobs again and can well adapt themselves to new jobs. The enterprise foundation program was focused on practical affairs, covering preparation, foundation, maintenance and otherwise, in order that retirees, who want to found their own companies, may found enterprises without problems. The financial management program was set up so that retirees can increase their fortunes in consideration of their holdings, incomes and expenditures changed after retirement, and can enjoy the rest of their lives comfortably. The post-management program is to counsel retirees to get jobs again, to found enterprises, to manage their assets, and to be proficient in common sense in law, as well as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to them. The conclusion that can be presented on the base of the study result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outplacement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psychological stability, core ability analysis, career goal setting, job-hunting or enterprise-founding preparation, job-hunting or enterprise-founding ful- fillment, and settlement. In particular, the program should be centered by outplacement, enterprise foundation, retirement-related stress management, new goal setting and retirement grant management, and other details should be focused on the conditions of enterprises. Second, the propaedeutic course of POSCO-outplacement program should aim at relieving the shock from retirement, at orienting lifetime mana- gement-outplacement-enterprise foundation-financial management program, and at antecedent learning. The lifetime management program should beset up so that retirees can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can be psychologically stable, can be favorably related to the people around them, and can enjoy their lives healthily. The outplacement program should be composed of practical contents so that retirees, who have an intention to work again and are able to work, can get jobs again and can well adapt themselves to new jobs. The enterprise foundation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practical affairs, covering preparation, foundation, maintenance and otherwise, in order that retirees, who want to found their own companies, may found enterprises without problems. The financial management program should beset up so that retirees can increase their fortunes in consideration of their holdings, incomes and expenditures changed after retirement, and can enjoy the rest of their lives comfortably. The post-management program should be to counsel retirees to get jobs again, to found enterprises, to manage their assets, and to be proficient in common sense in law, as well as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