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계 대학생들의 전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박신열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sent the influence of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on the major competencie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henceforth NS student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NS students’ creativity? Second, what are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NS students’ major competencies? Third, what are the creativity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NS students’ major competencies? Fourth, what interrelations exist between NS students’ creativity and major competenc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5 students attending either of two national universities in Gyeongsangnam-do. The subjects’ mean age is 20.6, 59.2% of them are male, and 40.8% female. Their current majors include mathematics (or mathematics education) and science (science education or biology) in a similar proportion. In the case of engineering majors, the proportion of students majoring in civil engineering was similar to that of students majoring in semiconductor engineering. The questionnaire survey tool used in this study was created by extracting and modifying the part of ‘creative ability’ among other parts of Park’s (1998:36-39) MAPS 4A model. This study set up 3 factors in NS students’ major competencies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time. The GPA in the last semester was taken as a past competency,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major as a present competency as shown in question 47 on the back-page of the questionnaire tool, and the resolution on vision creation based on the current major as shown in question 48 of the questionnaire tool. Cronbach’s Alpha was measured for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 questionnaire tool. The whole reliability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examination tool was .927, a very high score, as shown in tale 7. As for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the reliability of knowledge was .704, that of imagination .733, that of originality .847, that of sensitivity .718, that of fluency .622, that of flexibility .781, and that of preciseness .602. The reliability of major consistency was also high with the score of .646. The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275 students. Of them, 25 were insincere responders. They were sophomore students from a university of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an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biology education),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mathematics, biology), and the college of engineering (semiconductor engineering and civil engineering) at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to analyze all the data. A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i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frequency and proportion (%) were yielded, and the averages and standard errors of the levels of major competencies and self-report creativity.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and when there was significance, an post-hoc test was carried out in terms of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As for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yielded,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in major competencies. The significance level (α) of all the data analyses was .05. The order of the average values of the NS students’ recognition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was as follows: knowledge > flexibility > sensitivity > preciseness > imagination > fluency.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among the colleges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nd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e university education students’ average recognition was high with the factors of knowledge and sensitivity.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between the major fields (education and natural sciences/engineering),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urned out to have a high average of recognition.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among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proved to have a high average of recognition with the factors of knowledge and sensitivity.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due to individuals’amount of work, the more time one spent working, the higher the average of hir or her recognition with the factors of fluency and flexibility. Given that the average of the whole major competencies was 3.49 while the that in the past was 3.26, that in the present 3.55, and that in the future 3.66,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major competencies were increasingly enhanced over time.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competencies and recognition among age groups, the younger one was, the more influence he or she had on the major competencies.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competencies and recognition between genders, the female students turned out to have a high average of recognition in the major competency of GPA in the past.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competencies and recognition due to the high school major fields, the students from the general academic field appeared to have a high average of recognition in the major competency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major) in the present.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competencies and recognition among the colleges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nd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e particularitie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stronger than the college of education though they made similar responses, and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d a higher level of response than the college of engineering.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competencies and recognition between the major fields (education and natural sciences/engineering),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on the all sides of both the whole and specific major competencies.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competencies and recognition among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the students in natural sciences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in the whole and past major competenci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among the sub-factors in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and also in the major competencies. There appeared a comparatively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 and the major competencies. There was a low significant correlation existed in knowledge, sensitivity, and flexibility between the past major competencies and the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and no relation was observed with other self-report creativity factors. Considering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self-report creativity on the major competencies in general, it appeared that the entire major competencies were influenced most greatly by the factor of knowledge among other various creativity factors. In detail, the past major competencies turned out to be overwhelmingly influenced by the factor of flexibility, and the present and future major competencies by the factor of knowledge. In conclusion,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ajor competencies in student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s are ‘knowledge’ and ‘flexibility’ However, we need further work to find out specific factors in detail. It can be said that in future,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should make efforts to find and develop customized knowledge that can support creativity in various forms. Also, we can see considerable significance suggested by the fact that the students from the general academic field in high school had higher GPAs,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majors, and vision for their majors than those from the science field in high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계열 대학생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전공역량에 대한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취지와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자연계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어떤 것들인가? 둘째, 자연계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어떤 것들인가? 셋째, 자연계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요인은 어떤 것들인가? 넷째, 자연계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전공 역량 간에는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은 경상남도 소재 2개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75명이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0.6세이며, 이 중 남자는 59.2%, 여자는 40.8%였다. 현재의 전공은 수학(수학교육, 수학과)전공 학생과 과학(과학교육, 생물학과)전공 학생이 비슷한 비율이었다. 공과대학의 경우에 토목공학 전공 학생과 반도체공학 전공 학생이 비슷한 비율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조사 도구는 박병기(1998: 36-39)의 MAPS 4A 모형 중에서 ‘창의적 능력’ 부분만을 발췌하여 부분적인 자구수정을 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계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개의 요인으로 상정하였다. 과거 역량으로는 직전학기 학점, 현재 역량은 설문조사 도구의 뒷면 47번 설문항과 같이 전공만족도, 미래 역량으로는 48번 설문항과 같이 전공에 기반을 둔 비전 창출 각오를 상정하였다. 설문조사 도구의 내적일치도인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측정하였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조사 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표 7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927로 매우 높았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지식 .704, 상상력 .733, 독창성 .847, 민감성 .718, 유창성 .622, 융통성 .781, 정교성 .602이었다. 전공 역량의 신뢰도 또한 .646으로 높았다. 설문조사 도구의 배포는 총 2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에서 불성실 응답자가 25명이었다. 경남소재 교육대학교(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2학년 학생과 국립대학교의 사범대학(수학교육과, 생물교육과) 2학년 학생, 그리고 자연과학대학(수학과, 생물학과) 2학년 학생과, 공과대학(반도체공학과, 토목공학과) 2학년 학생들이었다. 조사결과 자료의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의 분포는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전공 역량 및 자기보고형 창의성 수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특성이 나타난 경우는 Scheffe의 다중비교를 통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성은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전공 역량에 대한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의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의 유의수준(α)은 .05이다. 자연계 대학생들의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에 대한 인식 평균값의 순위는 지식 > 융통성 > 민감성 > 정교성 > 상상력 > 유창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대학․사범대학․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별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인식 차이는 지식 요인과 민감성 요인에서 교육대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계열(교육계열․이공계열)별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인식 차이는 지식 요인에서 교육계열 전공 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계열(교육대학․사범대학) 대학생들의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인식 차이는 지식 요인과 민감성 요인에서 교육대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 공부량에 따른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인식 차이는 유창성 요인과 융통성 요인에서 공부 시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전공 역량의 평균은 3.49였으며, 과거 전공 역량의 평균은 3.26, 현재 전공 역량의 평균은 3.55, 미래 전공 역량의 평균은 3.66인 바, 갈수록 자신의 전공에 대한 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연령별 전공 역량과 인식의 차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전공 역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전공 역량과 인식의 차이는 과거 전공 역량(학점)에서 여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계열별 전공 역량과 인식의 차이는 현재 전공 역량(전공 만족도)에서 문과계열 이수 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교육대학․사범대학․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별 전공 역량과 인식의 차이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서 대체로 비슷한 반응을 보이기는 했으나, 교육대학의 특수성이 좀 더 강하게 나타났고, 자연과학대학이 공과대학보다는 좀 더 높은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 대학계열(교육계열․이공계열)별 전공 역량과 인식의 차이는 전체적인 전공 역량 및 세부적인 전공 역량의 모든 면에서 교육계열 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공계열(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대학생들의 전공 역량과 인식의 차이는 전체적인 전공 역량과 과거 전공 역량에서 자연과학 전공 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내의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positive)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역량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과 전공 역량 간에는 비교적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전공 역량과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간에는 지식, 민감성, 융통성만이 낮은 유의한 상관성이 존재하며, 그 외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역량에 대한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의 영향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전공 역량은 창의성의 다양한 요인 중에서도 지식 요인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과거 전공 역량은 융통성 요인에 의해, 현재 전공 역량 인식과 미래 전공 역량 인식은 지식 요인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식’과 ‘융통성’이다. 하지만 보다 세부적인 요인을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작업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자연과학 전공자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창의성을 북돋울 수 있는 맞춤형 지식을 발견하고, 개발해내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문과 출신의 자연계 대학생들이 이과 출신보다 더 높은 학점과 전공 만족도 그리고 전공 창출 비전을 갖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수 있다.

      •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안은경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를 실험단원으로 하여 협동학습의 유형 중 팀 보조 개별학습(TAI)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2.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3.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4.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 방법과 일제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5.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6.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7.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8. 학습능력이 이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으로 팀 구성된 협동학습 방법은 중·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설계는 인천광역시에 소재 하는 J 초등학교 2학년 3개반을 수학과 사전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집단 2개반, 통제집단 1개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I은 이질적인 팀 구성을 한 후 협동학습의 유형 중 팀 보조 개별학습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II는 동질적인 팀 구성을 한 후 협동학습의 유형 중 팀 보조 개별학습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특별한 집단 구성없이 일제학습을 실시하였다.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수학과 학습태도를 검사한 후 SPSS-WIN8.0 통계프로그램으로 자료를 처리하고, 각 연구 가설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test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협동학습 방법은 일제학습 방법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습능력 집단별 학업성취도에서 중·하위수준 집단에서 협동학습 방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협동학습 방법은 일제학습 방법보다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넷째, 학습능력 집단별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에서 중·하위수준의 집단에서 협동학습 방법이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다섯째, 협동학습의 학업성취도에서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간에 차이가 없음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학습능력 집단별 학업성취도에서 중·하위수준의 집단에서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과 동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간에 차이가 없음이 검증되었다. 일곱째,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여덟째, 학습능력 집단별 학습태도 형성에서 중·하위수준의 집단에서 이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이 동질적 모둠의 협동학습 방법보다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기존의 일제학습의 방법에서는 학년이 올라갈 수록 개인차가 더욱 심화되는 것이 현실인데 협동학습 방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서 개별학습 효과와 동료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협동학습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New Education System, as a part of the recent education system restructure, suggests that individual students should be treated as equally, y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urrent position, ability and future potential in their study. The new system does not only promise to improve but also to diversify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so the students are able to choose their own tailer-made study considering their capacity, preferences and their future career in mind. Although the Differential Curriculum is the ideal alternative to our current, ineffective education system, it is pretty difficult to apply to the real situation. It is due to the fact that our class size is still too big, comparing to that of the most developed countries and also each of our class is looked after by each teacher given authority from the school. Another alternative is to divide one class into several smaller sub-groups according to students' current academic position. But this also seems to be very hard to apply in practice. Therefore, the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the final answer to those difficulties mentioned and the further investigation and studies to find out whether it is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our educational restructure, is to be discussed in this document. Following hypotheses have been made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search undertaken so far : 1. Studens' achievement from their study would significantly differ under two different systems,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lass Oriented Learning under the circumstances of applying the Differential Curriculum. 2. The study achievement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group and the low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woul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und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l Curriculum. 3. Studens' attitudes approaching to their study would significantly differ under two different systems,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lass Oriented Learning under the circumstances of applying the Differential Curriculum. 4. The study attitude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group and the low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woul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und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l Curriculum. 5.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f the study group is set with either same level students alone or different level students all mixed up, the students study achievement would differ significantly. 6. The study achievement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same level students group would significantly differ to the achievement of those who are in the different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7.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f the study group is set with either same level students alone or different level students all mixed up, the students attitude to their study would differ significantly. 8. The attitude of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to their study in the same level students group and the low level students group would significantly differ to the attitude of those who are in the different level students group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o verify above hypotheses, a public school 'J', located in Inchon was selected and tes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three classes from Year 2 were randomly chosen and each students were pre-tested for their study ability and attitude. After those tes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test group' and one 'controlled group' and the test group 1 was configured with students in all different levels and TAI tested. The test group 2 was formed with students in the same level in term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n also tested using TAI. Without setting any team format, students in the controlled group were taught with single, pre-selected curriculum. To verity the effects of the the Differential Curriculum for the Math education, the study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 the math subject were tested and the output data were collected from it. And then thos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WIN8.0. Finally the t-test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ose processed results and through that, the validity of our assumptions was verified under two different groups of 'tes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 from our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Cooperative Learning has shown its superiority ov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erms of students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2. The Cooperative Learning has shown its superiority over the Class Oriented Learning in terms of the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3. It was reveal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more successful than the Class Oriented Learning, to motivate students in terms of their studying attitude and its effect. 4. The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ut evenly well in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erms of their studying attitude. 5. It was verifi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very effective regardless of different grouping method. 6. The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ut evenly well in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erms of their study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e group with all different level students mixed up. 7. The Cooperative Learning worked out well to improve the students' attitude even in the group with all different level students mixed up. 8. Intermediate, and the low level students can be all helped out to improve their studying attitude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group with all different level students mixed up. As a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able to motivate students in different levels to help out one another and in the mean time each individual students can also improve their own study achievement, should be actively and yet properly applied to our school system.

      • 소크라테스 문답법에 담긴 지식교육의 방법적 원리에 관한 연구

        오세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날로 불어나는 지식을 이른바 주입식이라는 교수·학습 방법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오늘의 학생들에게는 단순한 지식과 정보의 습득이 아니라,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등의 계발이 더욱더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어떤 형태의 교육이든 교육내용의 핵심은 지식이라고 볼 수 있고, 따라서 지식의 의미와 성격을 어떻게 보느냐가 교육방법의 원리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지식교육을 위해서는 지식의 성격에 맞는 방법적 원리가 무엇인지를 밝혀야 하고, 이런 원리를 학교교육에 적용하여 학교 교육의 질적 개선을 이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지식교육의 원형으로서 자유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의 철학적, 역사적, 심리학적 배경을 토대로 지식교육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보았고, 훌륭한 수업의 모델로서 소크라테스의 '문답법(dialetike)' 속에 담긴 방법적 원리를 찾아, 문답법의 가치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찾아낸 것이 바로 '발견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이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이성의 계발을 위하여 오직 질문으로서 학습자 스스로가 지식을 '상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이 방법은 자유교양교육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지식교육의 원형으로서의 자유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은 절대적인 가치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믿음을 아래에 이성을 계발하고자 하는 교육관이었다. 교육을 상기(recollection)의 과정으로 정의한 소크라테스 역시 절대적으로 불변하는 지식이 존재함을 확신하던 것이다. 이런 확신 아래, 소크라테스는 학습자 스스로 세운 가설들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완전한 결론(지식)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고를 촉진하는 적절한 질문을 던졌다. 이렇게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나가도록 수업의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곧 '발견의 원리'이며, 소크라테스는 지식의 성격과 지식교육의 목표를 자신의 교육방법 속에 고스란히 담아내었던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학습자가 기꺼이 배우고자 하는 상황을 만들기 위하여 '반어법(eironeia)'을 사용하였다. 반어법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함으로써 지식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또한 '산파법(maieutike)'은 학습자 스스로가 지식을 산출하게 함으로써 성취동기를 불러일으킨다. 소크라테스는 학습자가 스스로 생각하여 답을 구하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하기 위하여 이런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 볼 때, 소크라테스의 '반어법'과 '산파법' 속에는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참여를 돕기 위한 원리, 즉 '자발성의 원리'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반어법과 산파법은 학습자 스스로가 지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었고, 이런 방법들은 학습자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학습과정을 반영하였다 소크라테스에게 있어 학습은 곧 상기의 과정이다. 그리고 지식을 상기해 낸다는 말은 기존에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결부시켜 또 하나의 새로운 지식을 얻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학습자 내부의 '상호작용'을 촉발하기 위하여 수업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고, 학습자료를 적시에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소크라테스의 수업이 학습자의 사고 수준에 적합하면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치밀하게 계획되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 모든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오늘날 사고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식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가치 있는 교육방법임에 틀림이 없다. 지식교육은 학습자가 참다운 지식을 획득하도록 하여 사고력을 계발하고, 이런 사고력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아 실현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교육의 본질적 기능이며, 학습자의 사고를 독려하고 학습자의 자발성을 촉발하는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야말로 이런 교육의 기능을 실천할 수 있는 고귀한 교육방법일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지식을 아는 자로서의 교사가 모르는 자로서의 학습자에게 지식을 바깥으로부터 안으로 넣어주는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적절한 발문과 자료의 제공으로 지식을 학습자의 안으로부터 바깥으로 끌어내는 이해를 돕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소크라테스 문답법이 오늘날 지식 교육에 주는 시사에 귀기울여야 할 것이다.

      • 평가 결과 표기 방법으로서 문장기술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 주지교과(국어, 수학, 사회, 과학)를 중심으로

        옥남숙 고려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 문 초 록 평가 결과 표기 방법으로서 문장기술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 주지교과(국어, 수학, 사회, 과학)를 중심으로 연구자 : 옥남숙(2005)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지도 교수 : 홍 후 조 학교 교육에서 학습 목표의 도달 정도를 확인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평가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파악하여 목표달성정도를 확인하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학습의 성공과 부진의 정도를 판별하게 해준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 결과의 제시 방법은 문장기술식으로 주로 학기말에 학생의 학습 결과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정확한 평가 결과를 대변하지 못하고 교사나 학부모, 학생에게도 성적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지식적인 측면이 보다 강조되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주지교과의 평가 기술에 있어 문장기술식만으로 그 역할을 감당하기에 한계가 있어 정확한 평가 결과의 정보전달과 해석이라는 두 관점에서 신뢰로운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의 도입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주지교과를 중심으로 현행 평가 결과 표기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가 결과 표기 방식으로서 문장 기술식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문장기술식의 문제점과 그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문장기술식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연구를 겸하였다. 우선 교육평가의 개념적 정의와 기능, 7차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의 방향 및 평가 결과의 활용, 평가 결과 표기 방식과 이의 변천과정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를 토대로 하여 문장기술식 평가 결과 제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국․공립학교 10개교의 195명, 사립학교 10개교의 182명의 교사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의 보다 정확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교사, 학부모, 학생과의 면담을 통하여 문장 기술식을 통한 정보의 해석과 정확성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6학년 주지교과의 평가 결과를 문장 기술식으로 표기하는 방식에 대해 교사들은 대체로 부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71.1%의 교사가 문장으로 충분히 기술할 공간이 부족한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같은 성적에 대해 문장식 평가 결과의 일관성도 잘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평가 결과의 문장 표기를 위해 예시문에 의존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평가협의회의 기능은 매우 제한되어 있었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예시문을 이용하는 경우가 46.2%나 되었다. 학생의 능력을 대변하는 문장을 찾기 어렵다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여 모순을 보인다. 셋째, 문장 기술식 평가 결과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정도는 적은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장식으로 표기된 평가 결과가 일관되게 해석되지 못하고, 단점을 기록하지 않으며 이는 정확하게 기록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넷째, 문장 기술식 평가 결과 표기 방식의 개선은 5~6학년 수학과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주지교과의 비중이 커지고 습득해야할 지식의 양이 많아지는 이 시기에 정확한 평가 결과의 제시가 꼭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단계형 교육과정인 수학과의 특성상 다음 단계의 무리없는 학습을 위해서 전단계의 정확한 평가와 피드백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섯째, 문장 기술식 외의 다양한 평가 방식이 검토되어야 한다. 점수와 평어를 함께 제시하는 방식이나 3단계 또는 5단계의 평어 제시 방식, 평균과 석차를 표기하는 방식 중 학교와 학년의 실태에 맞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 미치는 효과

        서미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A.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작곡활동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a-1.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적합성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a-2.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독창성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a-3.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기보력의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작곡활동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1.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적합성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2.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독창성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b-3.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간에는 기보력의 추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서산시의 면 소재의 중학교 1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1차시에 45분씩 총 10차시에 걸쳐 주2회 5주 동안 실시하였다. 작곡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교육부에서 개발한 음악 창작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따라서 자체 개발한 사전검사지, 사후검사지, 추후검사지 및 채점표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는 작곡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동질화되었으므로, 가설의 검증은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SPSS 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적합성이 높았다. 둘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독창성이 높았다. 셋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기보력이 높았다. 넷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적합성이 높은 것이 지속되었다. 다섯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보다 독창성이 높은 것이 지속되었다. 여섯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 간에는 기보력이 높은 것이 지속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서 적합성, 독창성, 기보력을 신장시키고, 적합성과 독창성을 지속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기보력을 지속시키는데는 유의한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창작 성취기준을 ‘한도막형식의 가요곡 창작하기’에 한정하였다.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만든 음악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하기’, ‘만든 곡을 듣고 일정한 기준으로 평하기’ 등의 다양한 창작 성취기준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기보력은 단순 암기를 통하여 습득될 수 있는 능력이지만 창작 악곡을 악보라는 상징적 체계로 표현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표현능력이다. 따라서 기보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창작 학습방법이 창작 능력 이외에도 가창, 기악, 감상 등의 다른 음악적 표현 능력의 신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musical creative studying method applying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music creativity. To achieve this aim,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made. 1. There'll be some differences in test score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1-a.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groups. 1-b.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originality between the two groups. 1-c.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ability in music n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ll be differences in durability of creativ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2-a.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durability of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groups. 2-b.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durability of originality between the two groups. 2-c. There'll b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n durability of ability in music n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san city Chung-nam province, and two classes of the first graders were chosen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done 10 times for 45 minutes each, and twice a week for five weeks. Instruments to measure creativity were pre-test papers, post-test papers, and sequenced test papers which were designed by me . In the result of the pre-test, there we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n the two groups had the almost similar quality. Therefore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processes was conducted with t-test using SPSS 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bove procedures were shown as following: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appropriateness.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originality. Thir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ability in music notation. Fourth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durability of appropriateness. Fifth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durability of originality. Sixthly, there we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durability of ability in music n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usical creative studying method applying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was effective on not only the improvement on students' creativity, the appropriateness, the originality and the ability in music notation, but also the durability of the appropriateness and originality, although it wasn't effective on the durability of ability in music nota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ome suggestions as following are recommended. 1. In this study, achievement criteria of music creation was limited to ‘to create a folksong of one part form’. To generalize the musical creative studying method, it is needed to do more studies and verify the effect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achievement criteria of music creation such as 'to express the ready-created music in various ways', and ' to evaluate the ready-created music after listening to it'. 2. Though the ability in music notation can be acquired through the simple memorizing, it surely is one of the most basic expressive abilities to express the ready-created music with a kind of symbolized system. Therefore, it is needed more following studies about effective improving ways with music notation. 3. There need consecutive studies about how effective the spiral method is, and in what field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can be applied, and how the musical creative studying makes the improvement of other musical expressive abilities as well as creativities in music such as singing, playing the instruments and appreciation.

      •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김영지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각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공통된 주제를 추출하여 주제 통합 단원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발의 방법을 결정하고, 제7차 4학년 2학기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주제 통합 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주제와 내용을 선정한다. 둘째 선정된 주제와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개발의 절차에 따라 통합 단원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에게 줄 수 있는 효과를 기술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①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을 실제 교육과정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 과제 수행 능력의 인지적 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②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을 실제 교육과정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의 정의적 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이 연구 내용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주제를 추출하고 통합 단원 개발 절차 5단계에 걸쳐 주제 통합 단원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통합 단원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2002년 9월에서 10월까지 2개월간 총 58차시에 수업을 적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참여 관찰, 심층 면담, 서술적 질문지의 자료 수집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구안하고 투입하는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학문적인 통합 방식의 특성을 기본 방향으로 초등학교 4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단원을 개발하였는데, 대주제는 '과거와 전통문화'이며 이에 따른 소주제는 '과거로의 여행', '전통문화 유산', '전통 놀이', '옛날과 오늘날의 가족관계'이다. 둘째 주제 통합 단원을 적용하고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차원적인 시각으로 학습을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통합적인 시각의 지식과 사고 방법을 습득하였다. 그리고 공통된 내용에 대한 반복과 확장을 통해 점차 질적으로 심도 있는 학습이 가능하여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다양한 학습 방법의 활용은 학습자에게 특성에 맞는 적합한 문제 해결 방법을 터득하여 과제 수행 능력의 향상을 가져 왔다. 그리고 적절한 통합 내용 조직과 학습 방법의 선정에 따라 학습자의 흥미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학습자의 참여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높여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과제 수행 방법에 대한 시행착오를 통하여 교사의 적절한 과제 수행 방법에 대한 조정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셋째 주제 통합 단원을 적용하고 양적 측정도구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소주제를 적용한 후의 시점을 기준으로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해서는 32.6%, 참여도에 대해서는 28.3%, 과제 수행 능력, 흥미도에 대해서는 19.7%의 증가율을 가져와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수업만족도의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자기 평가지와 동료 평가지 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공통된 주제를 중심으로 적절하게 개발된 통합 단원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통합 방식을 활용한 통합 단원의 실행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와 학습자의 학습수준이나 지역, 학년에 따른 효과 검증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최준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59

        그 동안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많은 평가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 양적인 방법을 통해 주로 이루어져왔지, 실질적으로 한 학교 내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나 교육실천가인 교사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한 심층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내에서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한 7차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왜곡되고 있지는 않은지, 그렇다면 왜 그러한지를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개된 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로서 세 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강조 사항인 학생 중심의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행평가 실행의 문제점에 관해 집중적으로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육이론가로서의 견해가 아닌 교육실천가로서 현장 교사의 솔직한 경험과 의견을 통해 향후 교육과정 개정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실천적 시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초등학교를 연구학교로 선정하였으며, 세 초등학교의 담임교사와의 심층면담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장기간의 관찰 및 자료 분석, 참여관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세 학교의 교육과정 실행의 모습을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한 연구 방법의 활용과 사례의 연구를 통해 현 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가교육과정이 학급교육과정에 도달되기까지의 과정상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국가교육과정의 비현실적 요인, 교육과정 실천가로서 정체성이 부족한 교사 요인, 사회적 여건과 인식의 부족 요인 등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수준별 교육과정은 교육의 본질에 가깝고자한 그 교육적 이상과는 거리가 먼 현실 여건으로 인해 이상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또 그러한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국가적 노력과 지원이 충분치 못하여 현장 교사의 실천은 현실적 선택으로서 학력이 부진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편성만을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국가와 교사가 모두 공감하는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의 이상은 교육현실에 대한 충분한 이해나 지원, 준비 없이 시행되었기 때문에 단편적인 수준별 지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도입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는 없었다. 하지만,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의 교육적 이상은 정보화 여건이 향상되고 있는 현실과 맞물려 사이버 교육환경을 활용한 수준별 학습의 기회 제공과 방과 후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의 개성과 적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적 모색과 방향 제시를 위한 자극제 역할을 해왔음은 인정할 수 있을 것 같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이며 전통적 평가에 대한 대안적 평가로서 적용된 수행평가에 관해, 과연 학교현장에서는 어떻게 실행되고 있으며 실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수행평가는 학교교육과정과 수업개혁의 출발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다양한 평가 방법과 관점의 적용을 통해 도입 취지를 살리고자 하였다. 하지만, 현실을 충분히 감안하지 않은 채 서구 모방적으로 적용됨으로써 평가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허물지 못하였고, 지필평가 일변도의 상대평가에 비해 그 가치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시키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수행평가의 실행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과 개선의 여지를 남기게 되었다.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협의과정의 부족은 부적절한 평가도구의 활용과 형식적인 수행평가로 이어지기도 하였으며, 평가 과정과 방법상의 신뢰도를 충분히 확보하지도 못하였다. 또한 수행평가가 교수·학습 목표를 정확히 인지시켜 수업의 질적 향상과 교수·학습의 과정 자체를 중시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평가결과 도출을 위한 결과 중심의 평가에 치우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본 제 7차 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점은 교육실천가로서의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립의 필요성을 함께 인식하게 하였다.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과정상에 교사의 역할과 책임이 불분명하여, 교육과정 실천가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한 조언가로서의 정체성을 스스로 확립하는데 미흡하였다. 국가교육과정의 단순 전달자 역할이 아니라 교육과정 개선과 실천을 위한 주체로서 교사의 적극적인 이해와 막중한 역할이 요구되는 존재임을 본 연구를 통해 재발견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실천을 위해서는 교육현실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이론가 및 행정가, 그리고 교사가 책임 있는 교육주체로서의 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야 함을 시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가 교육실천가로서의 정체성을 지니지 못한 교사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다시금 비춰볼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이 환경교육에 미치는 효과

        김현숙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59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한 초등 환경 교수-학습 방법이 아동의 환경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가설은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인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보다 환경관련 정보 및 지식의 습득에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인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보다 환경에 대한 기능의 습득에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인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보다 환경에 대한 가치 및 태도 형성에 효과적일 것이다. 넷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인 환경교육을 받은 학습집단보다 환경에 대한 행동 및 참여 수준이 높을 것이다 연구 방법은 부천지역 소재 초등학교 1학년 2개반을 선정하여 각각 4시간에 걸친 실험 수업을 하고 그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활동이 환경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실험반은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활동으로, 비교반은 이를 제외한 일반 정규 환경 수업으로 진행하였고 이들의 정보·지식, 기능, 가치·태도, 행동·참여 영역별 검사결과는 자작 평가지와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두 집단의 목표 영역별 성취도 검사 결과 정보·지식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의 평균차는 약 0.0909점으로 실험반이 더 높았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기능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의 평균차는 약 0.0455점으로 비교반이 더 높았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가치·태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의 평균차는 약 0.2727점으로 실험반이 더 높았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행동·참여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의 평균차는 약14.650점으로 실험반이 더 높았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두 집단의 정의적 측면의 설문조사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환경 보전에 관한 의식 및 참여, 행동이 매우 적극적이었고 이를 t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환경교육은 환경교육의 동기 유발과 정의적 측면의 학업성취도 및 환경 행동 실천 의지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또한 두 집단의 수업 분석 결과, 실험반 아동들의 학습 활동이 더 활발하고 학습태도도 좋았으며 특히 중·하위 수준의 아동들이 예전보다 학습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 성취도를 높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텔링은 환경교육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 흥미와 성취도 및 행동의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좋은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스토리텔링을 초등학교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아울러 그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중등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현장 유용도에 관한 국어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박지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59

        교육법 제118조에 의하면, 사범대학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원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므로 사범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국어교육과의 설치 목적은 중등학교 국어과 교사를 양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중등학교 국어과 교사의 양성 체제에 적합하고 중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편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 본 논문에서는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현장 유용도에 관한 국어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런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장별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내용이 학교 현장에 나와 교직 활동을 수행할 때 각 과목별·영역별로 얼마나 유용한가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제안한다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으며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용어에 관한 정의를 살펴보았다. 한편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의 국어과 교육과정과 중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조사한다. 둘째, 사범대학에서 배운 국어과 교육과정이 현직 중등학교 국어교사들에게 얼마나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지 조사한다.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학문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국어교육의 본질, 목표, 내용, 방법 등의 체계를 밝히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국어교육학의 정립을 위한 논의는 그동안 꾸준히 전개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활동 현상의 교육적 연구’로서의 노명완의 관점과, ‘언어기능, 언어지식, 문학영역의 통합적 수용’으로서의 박영목의 관점, ‘국어사용학, 국어학, 문학학의 메타(META)학’의 최현섭의 관점, 끝으로, ‘국어활동의 도구성과 문화성’ 측면에서의 김대행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점을 논의해 국어교육학의 이론 정립 및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특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중등 국어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의 특성을 살펴보며 중등 국어교사의 전문성을 논하였다. 무엇보다도 중등교사에게는 일반적 자질 못지않게 전문적 자질이 요청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중등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법규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교원자격검정령에 의해 명시된 사범대학 졸업자의 자격증표시과목, 전공과목 및 교직과목의 이수기준과 학점 등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전공과목의 경우 기본이수과목 14학점(5과목) 이상을 포함하여 42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며, 교직과목의 경우 교직이론 14학점(5과목) 이상, 교과교육 4학점(2과목) 이상, 교육실습 2학점 이상을 포함하여 2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등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기본 이수과목(또는 분야)으로서 ‘국어교육론, 국어학 개론, 국문학 개론, 국어사, 국문학사, 국어문법론, 소설론(또는 시론, 또는 희곡론, 또는 수필론, 또는 의사소통론)’ 중 5과목(14학점) 이상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Ⅲ장의 연구결과에 있어서는 Ⅱ장에서 밝힌 이론적 근거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위치에 있는 3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선정하여 교육과정의 체계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중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범대학의 졸업 요구 총 이수학점의 경우 130점~140점임을 알 수 있었고, 그 중 교양학점이 차지하는 비는 15%~ 27.69%이며, 전공학점이 차지하는 비는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 각각 44%, 41.53%, 47.9%로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가 졸업 요구 총 이수학점 대비 교양학점과 전공학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공 개설 과목 중 교과 교육학과 교과 내용학의 과목 수를 분석해보니 세 학교 모두 순수 이론(교과 내용학)과목이 많고 중등학교 교사로서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 방법과 기술을 터득시켜 주는 교과 교육학 과목이 적어 이를 통해 사범 대학 출신 교사로서의 변별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편, 국어교육의 핵심 영역들에 대한 교과목인 ‘화법교육론, 독서교육론, 작문교육론’과 같은 과목이 전공 필수 영역이 아닌 선택의 한 강좌로 개설되어 있는 점도 세 대학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중등학교 국어과 제7차 교육과정 분석의 경우, ‘국어’와 ‘생활국어’로 구성되는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중 ‘국어’ 교과서는 ‘읽기’와 ‘문학’영역을 다루고 있는데 비해 ‘생활국어’교과서는 ‘듣기’, ‘말하기’, ‘쓰기’, ‘국어지식’영역을 중심으로 교과서 단원이 구성되었다. 특히 ‘생활국어’ 교과서에서는 언어 사용 기능의 각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듣기’와 ‘말하기’는 다른 영역과의 통합이 보다 많이 이루어져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경우 영역 통합적인 단원 구성이 이루어졌는데 ‘쓰기’와 ‘문학’영역이 통합된 단원이라든지 ‘듣기’와 ‘읽기’가 통합된 단원 등이 그것이다. 이는 국어사용의 실제가 ‘듣기’ 또는 ‘읽기’처럼 하나의 영역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영역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 실제 국어생활의 모습을 학교에서 교육하기 위한 의도로 볼 수 있다. 즉 중등학교 국어과 교육은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신장에 목표를 두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문학 영역이 교수-학습되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또한 실제 언어생활과 사고를 연결 짓는 활동을 수업의 내용선정에서 강조하고,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어 토론하고 비판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즉 지식의 전수보다는 언어 사용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다시 말해, 국어교육과 교육과정에서 비중이 낮은 국어교육 분야가 중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Ⅲ장에서는 이와 같은 문헌 연구와 함께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이 국어교사로서 활동하는데 얼마나 큰 도움을 주고 있는지의 현장 유용도를 분석하기 위해 질문지를 작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위치에 있는 3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공통적으로 이수하고 있는 8개 과목(교과 교육학 2개 과목, 교과 내용학 6개 과목)을 택하여 각 사범대학 출신의 선생님들과 사범대학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의논하고 이 중 공통적으로 배운 내용을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설문지를 만든 후, 서울·경기 지역의 중등 국어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연구변인이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50명의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전공 개설 과목에 따른 국어교사의 현장 유용도 인식 차이는 ‘국어교육론’의 경우 대부분의 하위 영역들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국어과의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과 ‘국어교육사’, ‘국어교재·교과서 체제’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이 중·고등학교 국어과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국어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에서 ‘국어과 지도안 작성’의 유용도는 중·고등학교에서 모두 유용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국어과 지도안 작성의 개선 방향’의 질문의 응답에서 ‘확대(강화)’의 의견이 다수를 이루는 것으로 보아, ‘국어과 지도안 작성’ 영역은 그 중요성과 함께 개선의 필요성을 다시 확인 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사’의 경우는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차이로 인해 교사들의 유용도 인식에 그 차이가 있었으며, 반대로 ‘현대문학사’의 경우는 시대별 문학의 차이로 인해 교사의 유용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제한적이지만 특정 연대별 시점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고등학교의 시대별 문학 작품의 차이와 난이도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국어학 개론’의 유용도 인식 차이에서는 ‘국어사’와 ‘의미론’, ‘문법론’ 부분에서 ‘차이가 없다’는 응답의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국어사’와 ‘의미론’, ‘문법론’의 내용을 단계별로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국어문법론’의 경우 학년이 올라가도 ‘단어의 형성·품사’와 ‘문장의 성분과 짜임’, ‘문법요소’는 중·고등학교에서 모두 유용함으로 나타나, 중·고등학교에 상관없이 위 요소들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모두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학할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 본 해당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중점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어사’와 ‘국문학 개론’의 경우 모든 측정 영역에서 모두 유용도의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어사’와 ‘국문학개론’의 경우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숙지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현 국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유지와 개선에 관한 인식 조사에서는 ‘국어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 ‘국문학개론’, ‘국어문법론’에서 학교급별에 따른 개선 필요성 인식에 차이가 없었지만, 대부분의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확대(강화)’의 응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더욱 효과적인 사범대학 국어과 교육과정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장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2008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사회과를 중심으로

        박신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59

        장애 학생들의 교육 목적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성과 가능성을 최대한 계발하여 독립된 삶을 살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사회과는 다른 어떤 교과보다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학습의 효과 또한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교과이다. 하지만 장애 학생은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하고 복잡한 내용에서 필요한 단서를 찾아내는 능력, 사회과에 필요한 경험과 학습 동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교과의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지금까지의 수업 방식은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과 목적에 적합한 지도에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에서 요구되어지는 문제해결 능력 향상과 실제 생활에서의 적용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문제중심학습(PBL)을 장애 학생에게 맞게 수업 설계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사회과 학업 성취도와 문제해결력 향상에 있어 교사주도의 설명식 수업방법보다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의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방법은 설명식 수업방법 보다 장애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인가? 둘째, 기본교육과정의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방법은 설명식 수업방법 보다 장애학생의 문제해결력에 효과적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성남시 소재 S특수학교 4개 학급 20명을 실헙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를 위해 사용한 도구는 사회과 학업 성취도 검사, 문제해결력 검사이다. 문제중심학습 교수-학습과정안은 임소인(2005)이 구안한 경도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모형과 조연순(2004)의 초등학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근거로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Ⅱ단계 제12단원 교통수단, Ⅲ 단계 제14단원 유통기관과 제17단원 자원 절약에서 비구조적이고 실제적인 문제를 추출하고 6차시(1차시에 80분) 분량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문제중심학습 수업집단과 교사주도의 설명식 수업집단에 사전 사후 사회과 학업성취도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회과 학업성취도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공변수로 하여 공분산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통계 분석을 위해서 SPSS 13.0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문제중심학습 수업방법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PBL)이 고학력의 학생을 위해 개발된 교수법이지만 장애 학생의 사회과 수업에도 적용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특수교육 교과 교육 현장에서도 문제중심학습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s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developing their potentialities and preparing themselves to become independent. Social studies are the most practical and realistic subject in preparing the disabled student ability to independence. Howeve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rouble finding the clues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his is because they have less experiences and lower motives in studying Social studies. and the teacher centered teaching methods of Social studies have failed to lead the motives and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these teaching methods were not used suitably to the essential aim of the subject (Social studies). This study is about PBL(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BL is well known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practical, realistic abilities, and this study compares PBL (Problem Based Learning) with DITS(Direct Instructions for Teaching Social studies).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 First, is PBL more successful than DITS in school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ly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 Second, is PBL more effective than DITS in developing the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ly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made two groups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members of these groups were 20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4 classrooms of a special school in Sungnam. I used the school achievements of Social studies test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ests as tools for this study. My PBL lesson plans are based on Yim So In (2005, PBL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and Jo Yeon Soon (2004, A theoretic study on the teaching - learning process for PBL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 abstracted the contents of my lesson plans from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 the second degree Unit 12 - transportation, the third degree Unit 14 - distribution centers, the third degree Unit 17 - resources saving. The lesson plans are systematized as 6 lessons (80min. per 1 lesson). Before and after this experiment, two groups (PBL/DITS) had tests of the school achievement of Social studies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Pretests became covariate and I did ANCOVA. To take the statistics, SPSS 13.0 was used.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show that PBL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chool achievements of Social studies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PBL was made for the general students at first time, it was also successful to educat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PBL is very useful in the field of the subjects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