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35

        Development of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Program for Flow -A focus on Savina museum- Kang, Da Vi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Ryu. Jaman After COVID-19,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developed exhibition experience programs using online spa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at exhibitions can be enjoy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line exhibition programs were used as a way to replace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he online exhibition space drew attention for being able to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s what you actually saw without visiting the actual space, being able to view anytime, anywhere,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in real time. However, the online exhibition space was criticized for not sufficiently induc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the aura and atmosphere of the field given by exhibits in the actual exhibition space. In addition, depending on age and individual ability, they may not fully enjoy online exhibition sp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manipulate smart devices.Since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the fact that you can easily feel tired if you watch it for a long time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visitors and has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viewing program by applying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flow. In the flow theory organized by Csikszentmihalyi, a program that applies this was con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prerequisites necessary for flow: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rs of W Elementary School to check whether they experienced flow through flow scale tests, personal interview records, class recordings, and exhibition viewing appreci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learners could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online exhibition space to watch the exhibition, and what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viewing program helped flow.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viewing program for flow, three prerequisites for flow must be included: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e-learning of exhibition viewing based on three elements was very positive for the exhibition viewing. Giving clear goals every hour and setting individual exhibition viewing goals helped them to recognize what they had to do in their activities, which naturally helped them to flow themselves in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check whether they were following the activities well with immediate feedback from teachers and questions within the activity sheet that they could look back on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forming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viewing the exhibi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were very helpful in flowing themselves in viewing the exhibition. Second,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experience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means that when an actor focuses on a task, he or she does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task. The students said that when they watched the exhibition,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they were watching or their thoughts on the work, and they were only able to focus on the exhibition. In fact, none of the students did anything other than watching the exhibition during class.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time'. Most people who experience flow experience a 'transformation of time', often referring to feeling so focused that they lost track of time. Students were surprised to hear the notification of the end of class, such as "Are you done already?" and "Why is the time so short?" the most common words in class. It proves that most students were flowed in this exhibition program.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had a 'autotelic experience'. Students started with a sense of duty that everyone should attend classes, but by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ould rather try more enjoyed it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itself, such as wanting to go to an art museum, and they felt like I wanted to experience it more. Although it was an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motivating factor for future museum visits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 of exhibition view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revealed that exhibition viewing programs using online exhibition spaces can sufficiently attract viewers' flow. It can be a very good substitute for those who cannot visit and see an actual art museum due to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students in rural areas, such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can give them a new flow experience and act as a motivating factor to visit the actual art museum. In addition,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more people can enjoy various exhibitions if they can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works of famous overseas art museums through online exhibition spaces. keywords : online exhibition, virtual museum, museum program, flow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재만 ) 분위기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의 몰입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연령, 개인의 능력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로 인해 온라인 전시 공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가상공간이다 보니 오랜 시간 관람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관람객의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몰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 을 적용하여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칙센트미 하이가 정리한 몰입 이론에서 몰입에 필요한 전제 조건 3가지(명확한 목표, 즉 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상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W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몰입을 경험 하였는지를 몰입 척도 검사, 개인 면담 기록, 수업 녹화 장면, 전시 관람 감상 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전시 공간에 서도 충분히 몰입하여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지, 온라인 전시 관람 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가 몰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위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3가지 몰입의 전제 조건 요소를 포함 해야 한다. 학생들은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시 관람 사전학습이 본 전시 관람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차시별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적인 전시 관람 목표를 설정한 것이 활동에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 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중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활 동지 내 질문들로 활동 내용을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 다. 더하여 본 전시 관람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형성하고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의 조작 방법을 익힌 내용이 본 전시 관람에 몰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결과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부분 ‘과제에 대한 집 중’을 경험하였다. ‘과제에 대한 집중’은 행위자가 어떠한 과제에 집중하게 되 면 과제 이외의 어떠한 생각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본 전시 를 관람할 때 관람하고 있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품에 관한 생각 외에 다른 생각 은 하지 않았고 오직 전시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업 시간 중 전시 관람이 아닌 다른 행동을 하는 학생은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시간 감각의 변형’도 경험하였 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 대부분은 ‘시간 감각의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데, 흔 히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수업 중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벌써 끝났어요?”, “왜 이렇게 시간이 짧아요?”와 같이 수업 시간 마무리 알림을 듣고 놀라는 표현들이었다. 학생 대부분이 본 전 시 프로그램에 몰입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넷째,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 목 적적 경험’을 하였다. 학생들은 누구나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처 음엔 시작했으나, 프로그램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오히려 더해보고 싶다거나 직 접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등 전시 관람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겼고 또 더 경 험하고 싶은 마음을 느꼈다. 이는 비록 온라인 공간이었지만 전시 관람의 긍정 적인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관 방문에도 좋은 동기 요인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공간을 활용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도 충분히 관람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건 상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이와 같은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 시 관람 프로그램이 새로운 몰입 경험을 안겨주어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는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유명 미술관의 작품들을 온라인 전시 공간을 통해 충분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전시를 향유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요어: 온라인 전시, 버추얼 미술관, 미술관 프로그램, 몰입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일반 고교의 선택과목 연구 : 미술과 생활을 선택한 학생을 중심으로

        정은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35

        한글초록:일반 고교의 선택과목 연구-미술과 생활을 선택한 학생을 중심으로-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미술교육전공정 은 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변화를 거듭하면서 학습자와 학습자의 선택을 중요시하고 있다. 2003년 10학년부터 적용된 7차 교육과정은 국민공통교과와 선택과목(일반선택, 심화선택)으로 나뉘어져 있다. 11학년 학생은 일반선택 교과인 '체육과 건강(4단위)', '음악과 생활(4단위)', '미술과 생활(4단위)' 중 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도록 되어 있다. 학교마다 교육여건에 따라 선택의 영역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1주당 정해진 시간으로 수업을 하던 때와는 달리 미술교과의 입장에서 보면 점점 비중이 줄어 들어가고 있는 형편이고 학생의 선택이 교과의 생사를 결정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되어 현장의 교사들에게 위기감을 주게된다. 그러나 정작 미술교사는 미술과 생활을 선택한 학생들이 미술교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이유로 선택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본 연구는 2004년 3월 처음으로 선택교과 중 '미술과 생활'을 선택한 11학년을 대상으로 미술교과에 대한 인지도, 선택한 이유와 동기요인, 교사와 수업에 요구하는 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고 불만을 해소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미술과 생활'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Ⅰ. 학생들은 미술교과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Ⅱ. 학생들이 미술교과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Ⅲ. 학생들은 미술교육이 더 나아지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WIN 11.0이며 분석결과를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등학교 교육의 목적이 '올바른 진로선택' 이라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고, '감성의 순화' 라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일반 선택교과 중 감성의 순화에 가장 도움이 되는 교과는 '미술과 생활' 이라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창작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고, 선택교과를 결정할 때 흥미·적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과 생활'을 선택한 동기는 선택교과의 실기 중 미술을 가장 잘하고, 친한 친구와 수업을 같이 듣고 싶고, 수업의 분위기가 자유롭기 때문인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교사의 칭찬과 격려가 미술에 흥미를 갖게 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편안한 수업 분위기를 조성해 줄 경우 표현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다 나은 수업을 위해서 교사가 개인적 판단을 배제한 다양한 감상지도를 해 주길 원했으며 작품평가는 과정을 중시하고 공개되기를 바라지만 평가방법이 다양해지는 것은 준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평가결과는 점수평가와 서술형평가에 대한 의견이 백중지세를 보였다. 현실에 맞는 미술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표현활동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가장 해보고 싶은 미술활동은 애니메이션, 비즈공예, 석고조각, 도자공예, 작품감상 등으로 나타났다. 미술을 선택한 학생들이 모여 수업을 할 경우 서로 적절한 조언을 해 주거나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교사의 칭찬·격려, 편안하고 자유로운 수업분위기 등의 심리적 효과가 미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술과 생활'을 선택한 학생들의 성향은 다소 내향적이고, 정서적이며 인간관계와 자신의 내면세계를 우선으로 고려하여 선택교과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업시간에 학생들을 세심하게 대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혜자가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교육과정이 바뀌지 않는 한 해마다 예·체능 교과는 보이지 않는 치열한 경쟁을 하게 될 것이다. 현장의 미술교사들도 미술교과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요구사항, 개선점 등을 고려하여 더 많은 학생이 '미술과 생활'을 선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초록:It has been made much account of student and choosing behavior of student, which our educational system has been changed continuously.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was divided with common subject and choosing subject from the tenth grade at 2003. The eleventh students should be credited one subject among 'Physical education and life', 'Music and Living', 'Art and Living', which is constituted with two-time weekly. By the way, choosing area of student is changing by school situations. We can say that these environments are quite different with the past. From the art subject perspectives, the position of art subject is decreasing. Accordingly, art teacher feels critical consciousness owing to choosing behaviors of student. However, art teachers don't understand that choosing student of 'Art and Living' how to making sense art subject, why they choose it, accurately. In this research, I surveyed the awareness, choosing factors and motivations of art subject, besides requesting factors of teachers and classes focusing on the eleventh grade. Accordingly, I set three goals through this research in order to resolving dissatisfaction of students by accepting their opinions. Goal One : What do students think about role and necessity of art ? Goal Two : What is influenced on choosing behavior of student? Goal Three : What do students think about necessary factors in order to getting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s of theirs'? In this research, I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spsswin program, which version is 11.0. First of all, the majority of high school student answered right course choice the question of educational goal in high school. The other side, the minority of high school student answered purification of emotion the question of the same. Also, 'Art and Living' would be helped when students purify themselves' emotion. When students choice the selecting subject, they are tend to considering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Because they feel pleasure throughout creative working. Students with selecting 'Art and Living' have an excellent ability, which express their feeling. Also they are incline to participate class with familiar friends, owing to like an atmosphere of liberal class. An praise and encouragement of teacher has an influence on holding interests for art from students. In case making convenient atmosphere of class, students have more strong expressing desires.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control their personal judgement for student. Students thought that portfolios' estimation should be judged fairly. Therefore they have opinions that estimation processes must be opened. However, they have opinions against various estimation method, which give rise to emotional burdening. The output of estimation has an balance between score-estimation and descriptive-estimation. They have an opinion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xpressed working should be leveled up for actual art education. The most liking art activity are animation, biz arts, gesso sculpture, ceramic arts, appreciation of a piece of work. The selecting art are apt to holding positive attitude when they are participated in class by survey. The praise and encouragement of teacher, convenient liberal atmosphere of class have an influenced on positive estimation for art. The student with selecting 'Art and Living' are apt to having intern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lso they are incline to considering first human relationship and their internal world, deciding selecting subject.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be treated for student cautiously. The entertainment and physical subject would be experienced intense competition, unless educational process would not changed. Art instructors should be endeavored for improvement of class atmosphere, as they consider recognitions, requests of student. The more student would be selected 'Art and Living'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과학 '생물 다양성' 단원을 중심으로

        이태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3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과학 ‘생물 다양성’ 단원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이 태 호 과학 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물질적 풍요와 편의를 제공해주었으나 이로 인한 자연 파괴,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로 현재 우리가 살아가 는 생태계는 그 기능을 상실하고 이제는 회복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에 자연과 함께 공존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등장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은 전 세계의 지속 가능한 미래와 발전을 위한 교육 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교육기본법 개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큰 축으로 생태 전환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모든 교과 교육이 지구 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시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이 과학적 소양을 갖춰 우리가 처한 전 지 구에 걸친 환경 문제를 과학적,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인재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 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환경 문제가 가진 복잡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 하며 생각해볼 수 있고, 지구 내의 여러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시스템을 전 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사고를 도입하였다. 특히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 관되고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는 생물 다양성을 본 연구의 주 제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 다양성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기후변 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이를 중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 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 그리고 시스템사고 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 였다. 이에 대해 예비 파일럿 테스트와 현장 교사 피드백을 시행하였으며 도출된 결 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 후 최종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효과성 분석은 중학생의 시스템사고력과 기 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로 2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먼저 사전-사후 설문지 를 분석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양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고 인과지도 분 석 및 사후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더욱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생물 다양성 내용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 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총 12차시로 총 5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시스템사고에 대한 이론적 내용 학습. 기후변 화와 시스템사고 학습 동기 함양, 기후변화의 원인 및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다양성 파괴 사례 인과지도 학습, 프로젝트형 모둠활동 및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대응 방 안 모색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시스템사고력 향상과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를 함양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시스템사고력에 대한 설문지의 사전-사후 양적 분석 결과 시스템사고력 측정 하위 5개 영역 모두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p<0.0001)을 보였다. 또한, 시스템사고력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위한 인과지도 사전-사후 분석 결과, 인과지도 내의 사용한 개념 수, 구성한 순환 고리 수, 연결 관계 발견 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일 부 중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사후 인과지도에서 개념 수와 순환고리 수, 연결 관계 발견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시스템사고 과정이 학생들로 하여금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등의 개념들이 명확한 인과관계로 학습 및 정리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생들의 심층 인터뷰 결과, 시스템사고 인 과지도 학습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과 문제 해결 방 안을 모색하는 과정에 흥미를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스템사고의 과정 이 환경위기의 심각성을 깨닫게 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복잡한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한 방법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생물 다양성 회복의 긍정적인 전망을 갖게 되는 모 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설문지의 사전-사후 분석 결과,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p<0.0001) 이 있었다. 또한, 인터뷰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깨닫는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행동 방안을 마련하는 모습 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시스템사고의 과정 이 학생들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시스템사고가 학생들이 환경위기의 심각성을 깨닫고 자신의 삶에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하며, 앞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인 생각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교육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시스템 사고가 중학교 과학에 제시된 먹이사슬, 생물 다양성 파괴 원인, 생물 다양성 보존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시스템사고 과 정을 통해 학생들이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깨닫고 자신의 삶을 반성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구체적인 다짐을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사고 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이론적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시스템사고가 기후변화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와 다양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셋째, 시스템사고 의 과학 교과 접목에 대해서 더욱 체계적이고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학생 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행동 실천이 지속해서 이어지도록 추가적인 교육 체계와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주제어: 기후변화, 시스템사고,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중학교, 생물 다양성

      • 대학수학능력시험 일본어과 문항분석

        안길현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19

        한글초록:교육평가 의의는 교육목표를 정하고 교수․활동을 행한 후 교육목표의 달성도를 파악하는 점에서 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현 교육과정에서 가장 마무리 단계의 평가가 바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일본어과 각 문항(2001~2005년)을 평가목표이원분류표를 기준으로 언어재료와 언어기능의 영역으로 나뉘어 분석한 후 출제기준과 그 결과가 부합하는가를 분석해보고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더 나아가 그 문제점을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음영역은 주로 의미변별에 관여된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고, 문제․표기영역은 漢字를 ひらがな로 고치는 문제가 대부분이었고, 실제 발음과 ひらがな표기가 일치하지 않은 문제가 출제되어 추후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둘째, 어휘영역은 전체문항의 17.3%로 명사, 형용사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부사에 관한 평가는 거의 평가되지 않았다. 셋째, 문법영역은 전체문항의 16%로 동사와 형용사의 비중이 컸으며 세부항목으로는 동사의 활용형을 묻는 문항과 형용사의 활용형을 묻는 문항이 많았다. 또한 문장분석의 문법 위주보다는 현행 교육목표인 의사기능중심의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어 문항유형에서 다양성을 시도한 부분이 많이 보이고 있는 점이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넷째, 문화영역은 일본개관, 식생활, 연중행사 등의 내용으로 골고루 출제되고 있으나 문화적배경이나 지식없이 어휘력만으로 풀 수 있는 문항이 다소 보여 추후 문화교육의 목표와 방향에 맞는 다양한 내용의 문항개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독해영역은 문의파악의 문제가 가장 많았고, 매년 지문의 길이가 늘어나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지문에 제시된 주요어휘만 알면 풀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여섯째, 의사소통기능 문항은 전체문항의 36.3%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질문, 허가, 확인, 지시등의 요구기능과 의향, 전갈, 제안 등의 정보전달기능의 문항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비해 단순질문이나 요구와 지시 등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어 앞으로는 다양한 의사소통기능영역에서 출제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언어기능에 따른 분석 결과는 표현기능인 말하기와 읽기가 47%, 3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의 대부분은 단순히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의 단독의 문제라 볼 수 없는 문제가 많았고, 복합기능을 묻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었다. 첫째, 이해기능인 듣기기능 평가는 내용고르기와 맞는 내용 찾는 문항형식이 주로 출제되었으며, 지필고사의 한계로 간접평가로 이루어져 추후 시험에서는 직접평가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말하기기능 평가는 언어기능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의사소통기능중심의 교육목표에 따라 구성되었고, 01,02년의 인사하기, 자기소개하기 등의 짧은형식의 지문보다는 대화문형식의 지문형식으로 구성되어있으나, だ체나 회화체에서 많이 등장하는 종조사나 축약표현이 적어 앞으로 다양한 회화체 형식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셋째, 읽기기능 평가는 문법에 관한 읽기와 독해형식인 문장의 내용을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문항이 상당수를 차지하여 전체적인 요점을 파악하는 힘을 평가하는 문항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문이 대부분 ひらがな로 되어있어, 앞으로는 ひらがな와 漢字의 혼용된 예시문으로 구성되어 읽기능력의 바람직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넷째, 쓰기기능 평가의 출제지침은 10%의 간접평가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분석결과 평균 4.7%의 낮은 비율이었으며, 漢字를 ひらがな쓰기, ひらがな 漢字쓰기의 문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추후 시험에서는 교과서의 쓰기영역인 문형바꿔쓰기나 그림보며 문장을 완성하는 문항으로 첨가하여 자연스런 일본어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해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평가목표이원 분류표에 의한 분석 결과는 말하기 기능이 가장 많았으며 하위영역으로는 지식을 묻는 문제 47.3%, 그 다음으로 이해와 사고력을 묻는 문제순이었다. 그러나 단편적인 지식과 이해를 묻는 문제가 많아 이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문제상황에 적용하거나 응용하는 문항개발로 종합적인 사고력을 요구하는 평가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문초록: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ach of the Japanese examination questions in th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college entrance(over the period between 2001 and 2005)by dividing it into the domains such as the data and function of the language on the basis of the dual classification tabl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 After that, it sought to analyze how far the objectiv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were reflected and investigate its problem.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First,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distinction of meanings in the domain of pronunciation were largely made out for the Japanese examination. The domain of the question and description was mostly concerned to changing the Chinese character into Hirakana. It is seen that future improvement is needed as the question with the disagreement between actual pronunciation and its corresponding Hirakana spelling was made out for the Japanese examination. Second, the verb and the adjective accounted for the highest 16% of the overall question in the vocabulary domain, but the evaluation of the adverb was almost not made. Third, the grammar domain accounted for 16% of the overall question, which was concerned with the verb and the adjective. In detail, there were many questions relating to the conjugated form of the verb and the conjugated form of the adjective. The questions were focused on the sentence oriented towards the skill of communication, the current educational objective rather than the grammar for the purpose of sentence analysis. It is characterized by a great attempt to pursue diversity in the pattern of questions. Fourth, questions related to the cultural domain were evenly made out such as an overview of Japan, eating habits, annual events and the like, but the questions were somewhat made out that student could solve with the word power without any cultural background or knowledge. Therefore, it is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verse contents appropriate to the objective and direction of future cultural education. Fifth, the questions were most made out in the examination for students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the domain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nnual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passage caused students difficulty in solving the question. But they were composed of the questions that could be solved with the knowledge of major words presented in the passage. Sixth, the questions in the examination relating to the communication skill of Japanes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356.3%) of the overall questions and were mostly concerned with the skill of demand such as question, permission, confirmation, instruction and the like and the skill of information delivery such as intention, message, suggestion and the like. Therefore, it is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out the questions in the examination in the domain of diverse communication skills in the future with a greater emphasis on the simple question, demand, instruction and the like.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the skills of the language showed that speaking and reading accounted for 47% and 36%, respectively. Most of the questions had the single skill such as simply speaking,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many questions were made out in the examination to ask the complex skill as follows:First, the question patterns such as choosing the content and locating the correct content were largely made out in the examination to evaluate students' listening ability as one of comprehension skills

      • 열방대학교 프로그램에 기초한 기독교유아교육과정개발

        신춘화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열방대학유아교육과정을 연구하고 이것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유치원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의 현장적용에 따른 기독교유아교육과정 개발 의 방향은 어떠한가? 셋째, 기독교유아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프로그램의 실제는 어떠한가? 연구내용은 열방대학유아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고 이것을 일반유아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기독교유아교육과정 모형개발을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피드백을 얻은 후 개발된 기독교유아교육과정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의 실제를 개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을 위한 교육철학, 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등을 기록하였고 이것에 기초하여 연간교육계획안, 주간교육계획안, 일일계획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방대학유아교육과정의 연구를 통해 일반유아교육과정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이 통합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열방유아교육과정과 7차 개정 유아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수직적인 통합과 수평적인 통합을 시도하였다. ⅵ 셋째, 개발된 기독교유아교육과정 모형에 말씀묵상이 있는데, 교사들이 매주 말씀으로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위로받고, 도전을 받고, 기독교적인 세계관정립과 자신을 말씀으로 조명 할 수 있었다. 넷째, 열방유아교육과정에 기초해서 개발된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은 유아를 위한 기독교교육을 위해 매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의 기독교교육을 원하는 유아교육기관이나 교회의 주일학교에서도 적용해 볼 수 있다. ⅶ ABSTRACT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Choon-hwa Sh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effective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and editing that curriculum for fitting to the circumstance of our country, and applying to kindergarten.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Second, what is the orientation of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ird, what is the practice of progra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process contained the research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at curriculum to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editing and supplementation the mod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that model to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fit to our country circumstance. Through these proces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bjects, contents, educational method and evaluation for christian children educational curriculum were made up and the annual education plan, weekly education plan, and daily education plan were made up based on all of the proc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find that the integration between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possible through research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Second, the vertical integration and horizontal integration could be tri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and the 7th modified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ird, because there is bible contemplation in the model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eachers could be consoled, challenged, establish christian worldview, and illuminated themselves by Words through the meeting with God in bible every weeks. Fourth,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d ba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the Nations can be considered as very effective one for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Fifth,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hurch school which want applicable christia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