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학생의 과학불안도

        신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807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을 가르치는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을 알아보고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학생의 과학불안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및 6학년 28학급, 723명의 학생과 과학지도교사 28명으로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학생의 과학불안도를 설문조사하였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검사 도구와 과학불안도 검사 도구(SAMS)는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은 전공, 학위, 연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라서는 과학이나 이공계 전공 교사가 예체능이나 인문사회 전공 교사보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학위 소지에 따라서는 석사 학위자가 학사 학위자보다 높은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보였고 과학 관련 연수 횟수가 많을수록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학생의 과학불안도는 학년과 성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불안도가 높게 형성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과학불안도를 보였다. 셋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학생의 과학불안도 사이에는 부적 상관이 존재하였고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상위 그룹 교사의 지도 학생들이 과학불안도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학습자의 과학불안도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는 학습자가 낮은 과학 불안 수준을 유지하며 학습 내용을 습득하기를 바란다. 학습자가 배우는 내용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기 위해서 교사가 교수법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을 높인다면 학습자는 과학 학습불안도를 낮추고 학습만족도를 높이며 유의미한 과학 학습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과학과 예비 교사들의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인식 조사

        김현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807

        중등학교 과학 교사는 자신의 전공뿐 아니라 타전공 과학 소양을 발휘해 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상황을 겪는다. 하지만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 등을 지도할 때,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불편함이나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교사의 생각과 태도는 가르치는 학생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교학점제 등으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강화되면 일부 과학 영역을 전공 교사로부터 배우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므로 중등학교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서, 과학 교사는 자기 전공뿐만 아니라 다른 과학 전공영역에 대한 소양을 고르게 함양할 필요가 있다. 과학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연수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비 과학 교사를 양성할 때부터 이러한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예비 교사들의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예비 교사들은 고등학교 교과목이나 대학의 전공을 선택할 때, 흥미와 적성을 중시하였으며, 주로 학교에서 지구과학 학습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지구과학에 대한 예비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발달에 학교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비 과학 교사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 대학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학과 예비 교사들은 지구과학 교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구과학 과목이 진로 탐색 및 지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거나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교과목을 선택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진로 관련성이며, 예비 과학 교사는 장차 중등 학생들의 진로 탐색을 지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예비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 관련 진로 지도를 위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과학과 예비 교사들은 향후 지구과학 교과목 지도를 위해, 대학에서 교과 내용 지식, 교수 방법이나 전략을 학습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과학 지도와 관련한 새로운 교수 방법 및 기술 활용, 학생 참여를 높이는 방안 등에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관련 전문성 개발에 대한 지원도 요구하였다. 따라서, 예비 교사 양성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 방법 및 기술을 적용한 교육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면 예비 과학 교사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및 교과 지도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지구과학을 구성하는 내용 영역(고체 지구, 유체 지구, 천체)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은 전공별로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사범대학의 지구과학 관련 강좌를 운영할 때, 전공별로 분반하여 수업을 편성·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교사들의 전공별 설문 결과를 참조하여, 지구과학 관련 전문성과 소양 함양을 위해 전공별로 필요로 하는 부분을 보강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교수태도 및 불안 연구

        강지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07

        According to 2009-revised national curriculum, high school "science" subject is a balanced fusion of the basic concept of physics, chemistry,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epartmental curriculum and encourage the purpose "fusing scien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has to be cultivated,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 of science has to be decreased. In this regard, a survey was conducted to 109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in Seoul, Gyunggi and Gangwon area. And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composed of teaching anxiety and Teaching attitude towards teaching about non-major field of science.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variable (gender, education level, teaching careers, and maj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attitude of science and its teaching anxiet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onsidered non-major field of science as important as their major field of science and took major efforts to incorporate positive teaching attitudes toward non-major field of science; however, non-major field of science class took more effort and time to prepare class. Educational and teaching career did not have great influence on high school teachers’ teaching attitude toward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Gender and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aching attitude. Male teachers were more comfortable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than female teachers. Also, general science dually majored teachers had more confidence teaching non-major filed of science than single majored teachers. Furthermore, general science dually majored teachers considered non-major field science laboratory class and felt class preparation for non-major field of science class relatively easy. Second, when it comes to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teaching anxiety gets worse, and state anxiety was stronger than trait anxiety. Educational and teaching career did not great influence impact on this anxiety, but gender and major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nxiety. Female teachers had higher anxiety about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and occupational responsibility. General science dually majored teachers had lower anxiety and higher confidence than single majored teachers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non-major field of science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 of sc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less anxiety factors the teachers have, the more stabl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class, and class preparation the teachers have. As the study shows that general science dually majored teachers had more positive teaching attitude, dually major should be encouraged and institutionalized in scienc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administrative/financial system to go to graduate school for single majored teachers. Also, class consulting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in each science major to improve teaching attitude of science teachers and to reduce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future science education.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과목은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의 기본 개념들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면서 융합되어 있는 과목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분과적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융합형 ‘과학’의 취지를 잘 살리기 위해서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교수태도 함양과 교수불안 감소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의 고등학교 과학교사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과학 교수태도와 과학 교수불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변인(성별, 학력, 교직경력, 전공)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과학 교수태도와 과학 교수불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과학 교수태도는 타전공 과학 영역을 자신의 전공 영역만큼 중요하게 생각하며 수업에 접목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타전공 과학 영역의 수업 준비 과정에서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학력, 교직경력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 전공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칠 때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안정감을 가졌으며 공통과학복수전공 교사들은 복수전공을 하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교수 안정감이 높고 편안함을 느꼈다. 또한 공통과학복수전공 교사들은 타전공 과학 영역 실험 수업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준비 과정을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느꼈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과학 교수불안은 타전공 과학 영역을 수업할 때 불안과 두려움이 크고 특성불안보다 상태불안이 더 컸다. 학력, 교직경력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 전공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칠 때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불안이 높았고, 직업적 책임감에 대해서도 불안요소가 높았다. 공통과학복수전공 교사들이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칠 때와 평가할 때 불안이 낮고 자신감이 높았다. 셋째,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과학 교수태도와 과학 교수불안의 상관관계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과학 불안요소가 낮아질수록 교수 상황의 안정감은 높아지고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 준비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공통과학복수전공 교사는 복수전공 하지 않은 교사에 비해 과학 교수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과학교사 양성과정에서 복수전공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려가 필요하고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대학원 진학을 장려하는 행·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공별 교사의 차이를 고려한 수업컨설팅을 통해 교사의 과학 교수태도를 개선하고 과학 교수불안을 감소시켜 향후 과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과학사 기반 호흡 개념 유형 분석 도구 개발

        신미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07

        과학사에 나타난 개념발달과정이 학생들에게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알고 이를 다시 교과서나 교육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과학교육에서 의의가 있음이 여러 가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개념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정교한 개발과정과 도구의 개발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형성되어 있는 과학사적인 호흡에 대한 개념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Tamayo와 Sanmarti(2007)는 과학사적인 호흡에 대한 설명으로 생기론적모형, 연소모형, 가스교환모형, 분자모형, 산화환원모형의 다섯 가지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다섯 가지 모형의 설명 차이에 기초하여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호흡 개념유형 분석도구 개발틀를 작성하였는데, 이 분석 기준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자료가 활용되었다. 첫째, Tamayo와 Sanmarti(2007)가 논문에서 기준으로 삼은 다섯 가지 모형의 특징을 모형별로 서술해 놓은 내용이었다. 두 번째는 초, 중, 고등학교 및 대학에서 쓰는 교과서의 내용 중 호흡에 관해 기술된 내용을 과학사적으로 다섯 가지 관점에 따라 비교·분석한 내용이었다. 세 번째는 간단한 개방형 검사지를 통해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개념들을 수집한 후, 다섯 가지 모형에 따라 개념을 구분한 자료였다. 이와 같은 자료들을 통해 호흡에 대한 설명 범주를 호흡의 정의, 호흡 장소, 호흡의 반응 요소, 호흡 결과로 생성되는 것, 에너지의 근원, 산소의 역할, 영양소의 이용, 운동할 때 호흡이 빨라지는 이유, 호흡의 정의 등의 여덟 가지로 묶었다. 이 여덟 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여덟 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구성된 검사 문항들은 모두 다섯 가지 답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형 문항으로, 세 번의 현장 선행 검사를 통해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구성된 여덟 개의 문항은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완성된 검사지를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시범 투입한 결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호흡에 대한 개념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은 호흡개념 발달의 단계상 고대의 생기론적모형을, 중학생은 중세 혹은 근대의 가스교환모형을,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근대 혹은 현대의 분자모형과 산화환원모형을 나타내며, 이는 학습 내용의 계열성과 관계가 깊어 검사지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함과, 과학사적인 호흡개념 발달과정의 교육과정 도입에의 타당함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사에 기반 한 호흡 개념 유형 분석 유형 평가 도구는 호흡에 관한 생물 교육과정을 구성한다거나 생물교사들이 호흡에 관한 수업계획을 구상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of examination for analysis of conception type about respiration which has been made in students. Tamayo and Sanmarti divided respiration of history of science into five explanations, that is, vitalism model, combustion model, Exchange gases model, molecular model, Oxidation-reduction model. According to differences of explanations of these five models, analysis standards of conception type models were made, and following three materials were used. First of all, contents which described special features of five models that Tamayo and Sanmarti made was used. Second of all, contents which compared and analyzed contents about respiration that are used in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by the five viewpoints of history of science were used. Last of all, conception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hool students have in present were collected through simple open questionnaires, and then materials which divided conceptions according to five models were used. According to above three contents and materials, explanation categories about respiration were classified into eight groups, that is, respiration place, reaction factor of respiration, products of respiration, energy source, function of Oxidation, function of nutrition, the reason of rapid respiration during exercise, definition of respiration. These eight categories were made into each questionnaires which were selective questionnaires of five answers and were corrected and completed through three field examination in advance. These eight questionnaires were confirmed by evaluations of expert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n result conception types about respiration of students could be classified. An instrument of examination for analysis of conception type about respiration based on history of science which is made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ssential basic materials, when biology curriculums about respiration is made or when biology teachers make lesson plan about respiration.

      • 중등 과학교사들의 전공교과 배경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김진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07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교과 특이적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알아보고 지구과학교과 특이적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이 교수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직 중등 과학교사들을 전공교과 배경에 따라 지구과학 전공 과학교사들과 비지구과학 전공 과학교사들로 나누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및 교수태도를 비교한 후, 다시 지구과학 전공과 물리 전공, 지구과학 전공과 화학 전공, 지구과학 전공과 생물 전공으로 개별 비교하여 그 차이를 구체화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과정에 재학 중인 현직 중등 과학교사 171명이었으며, 검사도구로는 Cho 등(2006)이 번역한 VOSE(View on Science and Educa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VOSE는 과학지식의 임시성, 관찰의 본성, 과학적 방법, 이론과 법칙, 상상의 사용, 과학지식의 타당화, 과학에서의 주관성과 객관성의 7가지 영역에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 이 중 과학지식의 임시성, 과학적 방법, 이론과 법칙, 과학에서의 주관성과 객관성의 5개 영역에 대한 교수태도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는 기술통계에 대한 해석과 함께 통계적 차이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과학 전공 과학교사들은 비지구과학 전공 과학교사들에 비해 과학 지식의 임시성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현대적인 관점을, 주관성과 객관성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전통적에 가까운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지구과학 전공 과학교사들은 물리 전공, 화학 전공, 생물 전공 과학교사들과 각기 다른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화학 전공 과학교사들과는 가장 많은 영역인 4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물리 전공 과학교사들과는 과학지식의 타당화 영역과 과학에서의 주관성과 객관성 영역에서 각각 논리의 절약과 관련된 관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생물 전공 과학교사들과는 과학 지식의 임시성과 과학에서의 주관성과 객관성 영역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관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해당 교과의 모학문과 지구과학의 고유한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과학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 일치하는 교수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각 과학교과 사이에서 유의미한 관점 차이가 나타났던 영역은 대체로 해당 영역과 관련된 교수태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 과학교사의 전공교과 배경에 따른 차이는 교수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같은 과학교과로 묶여 있지만, 지구과학 전공 과학교사들은 지구과학교과 특이적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및 교수태도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육은 교과 특이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지구과학 교육을 위해서는 지구과학교과 특이적인 과학의 본성 영역을 반영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하겠다.

      • 중학교 1학년 물질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에서 과학 교사의 전공분야와 교수경험에 따른 내용교수지식의 비교

        오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07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물질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에서 과학교사의 전공분야와 교수내용에 대한 실제적인 교수경험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내용교수지식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공분야가 서로 다르고 물질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한 교수경험이 서로 다른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표집 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내용교수지식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인 내용표상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후 연구대상 교사들이 작성한 내용표상과 면담내용을 분석하여 과학 교사들의 전공분야와 교수경험에 따른 내용교수지식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전공분야에 따라 물질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하여 강조하는 주요개념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물리전공 교사는 열에너지와 열에너지의 이동 개념을 강조하고, 화학전공 교사는 분자 간의 인력 변화를 강조하는 등 교사의 전공분야와 관련이 있는 개념은 중요하게 제시하고 강조하였으며 구체적인 교수전략을 제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생물전공 교사와 지구과학전공 교사는 특별히 강조하는 주요개념이 없이 주로 교과서에 명시되어 있는 개념들만을 주요개념으로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이들의 일부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부족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교수경험이 적은 교사들은 주로 교과서에 안내된 정도로만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수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선수학습 내용과 후속학습 내용을 연결 짓지 못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였고,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부족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반면 교수경험이 많은 교사들은 안내된 방법대로 가르치기 보다는 교사의 필요에 따라 교수내용을 재구성하여 가르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전략으로는 학생들의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주의 전략을 제시하거나 학생들의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과학 교사의 전공분야와 교수경험에 따라 동일한 교수내용에 대한 내용교수지식에서 서로 다른 모습이 나타나며 일부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비 중학교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네 영역의 교육 비중을 동일하게 하고, 현 과학교사 연수 시 교사의 전공분야를 고려한 연수 내용 구성을 통하여 과학 교사들이 전공 외 영역에 대한 내용교수지식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사의 전공분야와 교수경험에 관계없이 교과서에 명시된 개념들은 모두가 중요한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는 바, 교과서의 개발과정에서부터 면밀한 작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학습하는 데 있어 필요한 주요개념들이 빠짐없이 교과서에 명시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또한 교수경험이 적은 교사들을 위하여 교수경험이 풍부하고 내용교수지식이 높은 교사들이 많은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과학 전담 및 전공여부에 따른 초등교사 PCK 사례 연구

        이금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0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의 전담 및 과학 전공 여부에 따른 PCK 특징을 과학교수 지향, 학생에 대한 지식과 신념,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과 신념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고 과학 전담 및 전공 여부에 따라 교사의 PCK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 중에서 과학을 전공한 담임교사 2인과 전공하지 않은 담임교사 2인, 과학을 전공한 전담교사 2인과 전공하지 않은 전담교사 2인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고 사전 질문지 작성 및 수업 촬영, 전사 자료 분석 및 면담 등의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수 지향에서는 담임교사의 경우에는 과학 전공 유무가 교수 지향에 영향을 미쳤다. 과학을 전공한 교사는 안내된 탐구 중심의 지향을 갖고 있었으며 과학 비전공 담임교사의 경우에는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내용 전달 중심의 지향을 갖고 있었다. 반면 전담교사의 경우에는 교사의 과학전공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교사가 안내된 탐구 및 탐구 중심 지향으로 학생들의 탐구가 과학 수업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에 대한 지식과 신념은 담임교사와 전담교사 모두 교사의 과학 전공 여부와 상관없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학생에 대한 지식과 신념은 교사의 교수 지향과 연관 지어 수업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과 신념은 담임교사의 경우에는 교사의 전공 영향을 많이 받아 사고 확장 전략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담교사의 경우에는 모든 교사가 토의 전략 및 사고 확장 전략을 사용하는 등 과학 전공 여부가 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했다. 이는 추수 교육 및 동료 교사와의 충분한 의견 교환, 교재 연구의 시간적 여유 등 전담교사의 이점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전담교사제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담임교사를 위한 추수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동료교사와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소통의 장,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 최근 5년간 중등 지구과학 교원 임용고사 현황과 문항 분석

        김한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91

        2005년부터 최근 5년간 실시해온 지구과학 교사선발 임용고사의 제도와 방법 및 임용고사 내용이 변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지구과학 교사 채용을 위한 임용제도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찾아내어 임용고사 개선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중등 지구과학 임용고사 현황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2009년을 기준으로 임용고사 내용이 크게 바뀌었다. 그 현황을 분석하고 과거의 임용고사 내용과 비교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2005~2009년까지의 5년간 중등 지구과학 임용고사의 문항을 대상으로 출제영역, 배점률, 문항수 및 빈도를 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중등교원 임용고사 문항을 분석 한 결과,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최근 5년 동안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각각 28~32%와 68~72%로 출제 되었다. 그러나 임용 공고에 제시된 교과교육학 30~35%, 교과내용학 65~70%의 비율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반면, 전국의 사범대학 교과과정의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각각 6~21%와 75~94%이다. 둘째, 교과내용학의 영역별로 임용고사 출제비율은 지질학(39.7%), 대기과학(17.3%), 해양학(20.4%), 천문학(24.6%)로 지질학의 출제 비율이 가장 높다. 먼저 교과내용학은 지질학이 임용고사 출제문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9.7%로 가장 높고 해양학은 20.4%로 비중이 가장 작아 출제에 편중이 나타나고 있다. 교과교육 관련 6개 영역 교육과정, 교육 평가, 교수 학습지도와 방법, 교수 학습이론, 교육철학, 교육 공학 중 교수 학습지도와 방법이 가장 높은 비율(43%)로 출제 되었다. 이것은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수업방법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교육공학 영역은 1회 출제 후 임용고사출제에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교과교육학의 교육평가는 2005~2007년에 매년 1문항씩, 2008년에 0문항이었지만 2009년에는 2문항 출제되었다. 이는 7차 교육과정에서 수행평가가 도입되므로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셋째, 지구과학 임용고사 내용은 2008년 이전에 1차 시험에서 교육학 4지선다형, 전공 서술․단답형이다. 가산점은 10점이고 130%를 선발한다. 2차 시험은 논술과 면접, 실기평가로 평가하며합격자 결정은 1차와 2차 시험을 합산하여 100% 선발한다. 2009년 개선 임용고사는 1차 시험에서 교육학 및 전공을 5지 선다형(OMR 채점)으로 평가방법이 바뀌고 가산점은 5~10점이며 배점 비율은 각 교육청이 결정하고 있다. 2차 시험 에서는 논술형 시험(100점)을 실시하여 전공에 대한 종합적 이해 및 교직 수행능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며 2단계에서 150%를 선발한다. 3차 시험에서는 교직 적성 심층면접 및 수업능력 평가(100점)를 실시하는데 예,체능 교과나 과학 교과 등은 실기, 실험 평가가 포함된다. 1차에서 지필고사와 대학성적 등으로 200%를 선발하고 2차 전공 논술형 시험으로 70%를 추려낸 뒤 3차 교직 적성 심층 면접과 실기능력으로 최종합격자를 선정하는 것이 큰 변화이다. For the recent five years since 2005, the recruitment examin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has been changed in its system, method and contents.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recruitment examination for Earth science teachers,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o improve the future recruitment examination. For this,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cent five years' condition and question items of recruitment examination was carried out. In particular, this analysis was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contents of the past recruitment examination for five years from 2005 to 2009 and it based on the range of questions, the distribution rate of marks and the number and frequency of question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s of subject pedagogy and subject contents were 28 to 32% and 68 to 72% by each. However, somewha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suggested figures on the public notice of recruitment - 30 to 35% for subject pedagogy and 65 to 70% for subject contents. In contrast, the proportions of subject pedagogy and subject contents in the nationwide curricula of educational colleges were 6 to 21% and 75 to 94% by each. Second, the proportions of test questions of subject contents in recruitment examinations were 39.7% for geology, 17.3% for atmospheric science, 20.4% for oceanography, and 24.6% for astronomy, of which geology marks the highest portion. Above all, the highest proportion of 39.7% for geology and the lowest one of 20.4% for oceanography of the question items in recruitment examinations indicate that there exists a bias of questions in subject contents. Of six areas related to subject pedagogy - curriculum, educational evaluation, teaching-learning guidance method, teaching-learning theory,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engineering, - the proportion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method was the highest as 43%.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 in the several fields is considered most importantly. Educational engineering area has not been reflected in the questions of recruitment examination. Educational evaluation of the subject pedagogy has been reflected by one item every year from 2005 to 2007, but by zero item in 2008, and by two items in 2009, which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that evaluation became importa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inally, the contents of recruitment examination for Earth science teachers before 2008 are made up, in the first test, of the four-choice type for pedagogy and the descriptive and simple response type for major as Earth sciences. The additional mark was 10 points, and 130% candidates of the quota were selected. In the second test, logical writing, interview, and practical skill evaluation were introduced, and 100% finalist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tests in sum. Since the revised recruitment examination in 2009, in the first test, the evaluation method has changed to the five-choice type for pedagogy and major of Earth sciences., with the additional marks varied from 5 to 10 points, and each education office has bee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rates of the additional marks. In the second test, the logical writing test(100 points) is implemented in order to evaluat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major and the ability of teaching performance, and 150% candidates of the quota are selected in the second phase. In the third test, the in-depth interview on teaching aptitude and evaluation on teaching ability(100 points) is implemented, particularly including the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 and experiment for arts, physical education, and science subjects. A great change is that 200% candidates of the quota are selected through paper-based examination, G.P.A.(Grade Point Average) in college, etc. in the first test, and 70% of the selectees in the first test are singled out through the logical writing on major in the second test, after which the finalists are determined through the third in-depth interview on teaching aptitude and practical skil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