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융복합 교육체계 연구

        염자악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815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융복합 교육체계 연구 본 논문은 인플레이션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공연예술교육 체계를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현황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중국 사범대학교 공연예술교육 체계 구축 방안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의 교육현황을 분석한 결과이다. 5개 대학교의 무용인재양성방안과 공통모듈로 재분석한 무용공연수업의 학점 및 교시 비중을 통해, 내부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허베이 사범대학교(Hebei Normal University)과 신양 사범대학교(Shenyang Normal University)의 공연예술과목에 관한 교시와 학점의 비율이 균형을 이룬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두 대학교의 무용인재 양성방안은 공연과정에 관한 학점과 교시의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화이인 사범대학교(Huaiyin Normal University)과 무단장 사범대학교(Mudanjiang Normal University) 및 허베이 사범대학교(Hebei Normal University)의 공연과정 수업시간이 학점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대부분의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에서 공연예술교육이 인재양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또한 학점이 고정된 상황에서 공연예술의 수업시간 및 비중도 높임으로써 공연예술과목의 양성방안에서의 위상을 높이고 무용인재양성에 대한 공연예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창장 사범대(Changjiang Normal University)는 무용인재 양성 방안에서 공연예술 과목의 교시의 비중이 공연예술 과목의 학점보다 훨씬 낮고 적정체량에도 크게 못 미쳐 강의 설계 및 학점 설치가 불합리 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의 체계적인 공연예술교육 구축방안을 분석한 결과이다. 첫째,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 교육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으며, 교수진 확보, 대학 내 공연예술작품의 생산, 공연예술 수업의 확대에 대한 요구가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 요구도를 토대로 한 체계적인 공연예술 교육 구축 방안을 모색한 결과, 공연예술 과목 학점 비중의 25%이상으로 상향 조정, 공연예술 수업 시간 확대, 공연예술팀 강화, 공연예술작품 창작 강도 향상, 공연예술기구와의 협력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status of the dance department of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and to find a way to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is goal, problem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study, current status survey, and data analysis, and a plan for establishing a performing arts education system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was presented through an expert interview.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 status of the Dance Department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The internal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the weight of credits and teachings of the dance performance class, which was re-analyzed through a common module and the dance talent nurturing plans of 5 universities.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teaching and credits for performing arts subjects at Hebei Normal University and Shenyang Normal University was balanced. In other words, the two universities' methods of nurturing dance talents had a high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s and teachings related to the performance process. Second, it was found that class hours for performance courses at Huaiyin Normal University, Mudanjiang Normal University, and Hebei Normal University accounted for a higher ratio than credi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erforming arts education is important for nurturing talents at mos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class time and weight of performing arts in a situation where grades were fixed, the status of performing arts subjects was raised and it represented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for nurturing dance talents. Third, Changjiang Normal University was found to be unreasonable in designing lectures and setting up credits as the proportion of teaching in the performing arts subject was much lower than the grades in the performing arts subjects in the dance talent nurturing plan, and it was far below the appropriate body weigh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of the Dance Department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First, FGI was conducted for a group of experts related to dance education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demands for securing faculty,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university, and expansion of performing arts classes were analyzed. Second, as a result of seeking a method to build an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educational needs, plans for raising the percentage of credits in performing arts subjects to 25% or more, extending the performing arts class, strengthening the performing arts team, improving the creative strength of performing arts and cooperating with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were devised.

      •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향상을 위한 평가요소들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AHP 및 FGI 방법을 중심으로

        정성영 상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9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elements to measure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cultural art center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ther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analyz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 FGI(Focused Group Interview) on the result of the AHP was also held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questions such as how public art centers can develop a strategy for enhancing management outcomes and where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public administration of culture and art. The elements for evaluating outcome were analyzed and selec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These elements were ref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such as publicness,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and 27 sub-elements, which was evaluated using the AHP method. The AHP analysis on the first level elements reveals that publicnes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public art centers, followed by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publicness category, professionals in the field indicated that 󰡐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enjoy culture and art'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planning events with high publicness,󰡑 󰡐encouraging education in culture and art,󰡑󰡐institutions󰡑distinctive mission·role·objective,󰡑󰡐contribution to local community,󰡑󰡐accessibility of the theater,󰡑and 󰡐focusing on minorities and diversity.󰡑 In the artistry category,󰡐various performance·exhibitions󰡑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attracting people’s interest,󰡑󰡐reflecting the contemporary nature of the works,󰡑󰡐developing new programs and architectonics,󰡑󰡐proportion of experts in the institution,󰡑󰡐regular interchange with local artists,󰡑and󰡐active support for exclusive artists.󰡑 In the management efficiency category,󰡐leadership of head office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management of human resources,󰡑󰡐management of finance·accounting·budget,󰡑󰡐marketing·advertisement,󰡑󰡐theater operation rate,󰡑󰡐constructing external relationships,󰡑and 󰡐revenues of the theater.󰡑 When it comes to the degree of importance among those sub-elements,󰡐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enjoy culture and art󰡑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various performances·exhibitions,󰡑󰡐attracting people’s interest,󰡑󰡐planning events with high publicness,󰡑󰡐reflecting the contemporary nature of the works,󰡑and󰡐encouraging education in culture and art.󰡑Some sub-elemments which are lower in the rank showed much lower degrees of importance. In addition to the AHP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 FGI with five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the FGI, several important points were First,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public art centers in Korea are established with the objective of promoting publicness in art and supporting pure art performance.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a lack of publicness, an over-concent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artists, and excessive power of the head officers of art centers. Second, discussing about the system of evaluating the management outcomes of public art centers, the participants showed strong agreement with the result of the AHP analysis in this study. Third, the participants suggested some management improvement strategies,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In the case of publicness, they pointed out that centers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and a balance between publicness and other elements is needed. In the case of the artistry category, they emphasized that centers should try to develop civil understanding on art by benchmarking good examples abroad. Finally, in the case of management efficiency, they suggested that centers should attenuate tension between managers and field officers by reinforcing the regulations, processes, and procedures of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we should confirm how local art centers successfully disseminate art to local residents. To achieve this goal, local art centers need to establish a way to communicate with people, to promote their participation, and to survey the satisfaction degree of local art centers, in addition to existing quantitative elements in the evaluation system. Second, centers should establish a business model for developing and marketing variou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and public art centers need to develop educational art programs for citizens. Third, art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in less-developed areas to solve the problem of over-concent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the national network of public art center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mall theaters so that the main institution in a local area can manage these theaters and accessibility to art centers will be enhanced. Final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art centers, the excessive power of head officers should be controlled by regulating and limiting their roles. Keyword: Public Institution of Culture and Art, Outcome Evaluation, AHP, FGI, Priority Analysis, Policy on Culture and Art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성과 측정을 위한 요소들을 수집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식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AHP 설문의 중요도 분석을 토대로 전문가들과의 FGI(Focused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여, 기관의 입장에서 문화예술행정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떤 부문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문화예술행정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 및 보고서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 평가 체계의 구성요인들을 취합하여, 겹치는 내용을 제거하고, 상위 범주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문헌검토를 통해 도출한 ‘공공성’, ‘예술성’, ‘경영효율성’의 3가지 상위범주 및 27개 하위 요인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 수준, 즉 상위계층의 AHP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 평가 요소들 중에서 공공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예술성, 그리고 경영효율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2차 수준, 즉 하위 요인들의 AHP 분석 결과, 공공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 평가를 보면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노력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다음으로 공공성 높은 공연 기획,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기관의 사명‧역할‧목적의 명료성, 지역사회공헌, 공연장 접근성, 그리고 소수자 배려 및 다양성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술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공연 ‧ 전시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다음으로 대중의 관심유발, 예술작품의 시대 반영, 새로운 프로그램 및 지식정보 창출, 구성원 중 문화예술 전문가 비율, 지역 문화예술계와 정기교류, 그리고 전속단체 운영활성화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경영효율성 항목의 하위 요인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 평가를 보면 기관장 리더십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고, 그 다음으로 조직인사관리, 재정‧회계‧예산관리, 마케팅‧대외홍보, 공연장가동률, 대외협조체제 구축, 그리고 공연장수익률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항목 중요도 순위를 계산한 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평가를 위한 요소들 중 응답자들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노력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공연‧전시프로그램의 다양성, 대중의 관심유발, 공공성 높은 공연 기획, 예술작품의 시대 반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그 이하의 순위에서는 중요도가 크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AHP 분석에 더하여 공공문화예술기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를 총 5명 선정하여 FGI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에 대해 공공성의 강조, 순수 예술지원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공성과 예술성 사이의 괴리, 지나친 수도권 집중, 기관과 예술가의 관계 개선, 지나치게 강한 기관장의 역할 등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해 논의하면서, AHP에서 도출된 1차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즉 공공성-예술성-경영효율성의 순서로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AHP 분석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공성과 관련해서는 공공성의 실현을 중요시해야 하나, 공공성 자체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여 공공성에만 치우치지 않은 경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술성과 관련해서는 공공성과의 조화를 우선해야 하지만, 지나친 예술성의 강조보다는 해외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시민들의 전반적인 예술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경영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조직 구성의 효율성을 강화하여 경영자와 현장 사이의 갈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에 있어, 기존의 정량적 요소들에 더해 지역주민과의 소통 시도 및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그리고 참여한 주민들의 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여 실질적으로 지역별 공공문화예술기관이 해당 지역주민에게 얼마나 성공적으로 예술을 보급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중들의 관심을 끌만 한 다양한 공연‧전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보급하는 사업들의 선순환을 위해 우선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나친 수도권 편중 문제의 경우,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기관을 설치하되 소극장 및 소공연장 등을 해당 지역의 중심 문화예술기관의 하위 기관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전국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넷째, 지자체와 공공문화예술기관 사이의 관계를 재논의하면서 기관장의 역할 및 한계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기관장의 지나친 영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예술계가 법제화 및 조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 전제된다. 주제어: 공공문화예술기관, 성과평가, AHP, FGI, 중요도 분석, 문화예술정책

      • 축제의 속성 분석을 통한 한국공연예술축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원미 상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83

        Korean festivals of 2018 are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e global promotion festival, the major festival, the best Festival, the excellent festival, the promising festival and the promotion festival. Select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s, 85 local festivals have been support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known as a successful festival of local festivals, performing art festivals include Chuncheon Mime Festival, Milyang Arirang Festival, Eumseong Pumba Festival,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seong Baudeogi Festival, and Jeongseon Arirang Festival. This study aims to analyze 9 performing arts festivals mentioned above and divide them into some types of festivals. Based on these typ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specialize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and considers the situation facing up to each region. First, a study on performing arts festival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Beginning as ' Korean Mime Festival', Chuncheon Mime Festival was created for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Mime art and got recognized as both the trigger of activating domestic performing arts and an international mime festival. Milyang Arirang Festival, based on an Arang story, is the one that begins with the form of Milyang Arang festival and involves Arang festival consisting of religious services of Arang, Arang-related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Eumseong Pumba Festival is characterized by the stage in which people go through mental catharsis through humor and satire by combining the itinerant vendor(Pumba) and saint the beggar ( the elderly named Gwidong Choi),aiming to raising the resentment of the Koreans to the dimension of love.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renowned for the first Korean Rock Music Festival, has implication for succeeding to the Triport Rock Festival. Beginning as Wonju festival with the soldiers,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has been widely known as the longest street performance festival in the world.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with Byeolsingut Mask Dance centered, has been held for upgrading cultural competence of Andong and making use of the religion as tourism resource. Jarasum International Festival is the event which stages several excellent jazz performances in the unknown Jara island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Anseong Baudeogi Festival is referred to as the festival focusing on enhancing the culture of baudeogi and namsada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Jeongseon Arirang Festival is the festival intended to preserve and spread Arirang listed as No.1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do Province, Second, the study has revealed that the properties of the regional festivals are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topic and subject shown in the festivals. The universal features of the festivals entail the properties of artistry, tourism, culture, economy, sociality, locality, deviation, playfulness, experience, geographical nature, activity amusement, event, uniqueness and distinction. According to 10 professionals' analysis, using Giorgi phenomenal methodology, artistry, tourism, culture, economy, sociality, locality, deviation, playfulness have been selected as the properties of the festival. Finally, four types of performing arts, culture, welfare and industry are drawn. 'Performing Art' type has the elements of artistry and culture.'Culture' type is characterized by sociality and locality. 'Welfare' type has playfulness & deviation, ‘Industry' type includes tourism and economy. Looking into the performing art festivals in the modern times, a number of contents and types of festivals look similar though they are not entirely the same in genre division. It is recommended that each festival aim to distinguish itself from one another by specializing in performing arts. keyword : Culture tourism festival, Performing arts festival, Local festival, Type of festival, Property of festival 2018년 한국의 축제는 글로벌육성축제, 대표축제, 최우수축제, 우수축제, 유망축제, 육성축제로 나뉘어져 총85개의 지역축제가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지원을 받게 되었다. 문화관광축제의 경우 지역축제 중에서도 성공한 축제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중 공연예술에 속하는 축제는 춘천마임축제, 밀양아리랑 축제, 음성품바축제, 인천펜타포트음악축제, 원주다이나믹댄싱카니발, 안동국제탈춤축제, 자라섬재즈페스티벌, 안성맞춤 남사당바우덕이축제, 정선아리랑축제 등 9개이다. 본 연구는 위 9개의 공연예술축제를 분석하여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보고자 한 것으로, 이 유형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공연예술축제를 어떻게 특화시킬 것인지 점검해보고 각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축제에 대한 연구이다. 춘천마임축제는 ‘한국마임 페스티벌’이라는 명칭으로 출발하여 마임예술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국내공연예술 활성화 및 국제적인 마임축제로도 명성을 얻고 있다. 밀양아리랑축제는 아랑이야기에 근거를 둔 축제로 밀양아랑제로 시작하여, 아랑제향과 아랑을 소재로 한 공연 및 전시가 주를 이루는 아랑축제로 이원화되어 진행되는 축제이다. 음성품바축제는 장돌뱅이의 품바와 거지성자인 최귀동 할아버지의 박애정신을 접목시켜 해학과 풍자로 정신적 카타르시스를 체험하고 민족의 한을 사랑으로 승화시키고자 만들어지게 된 축제이고, 인천펜타포트음악축제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 록음악축제인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의 역사를 계승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축제이다. 원주다이내믹댄싱카니발은 ‘군과 함께하는 다이내믹 원주 페스티벌’로 시작한 축제로 그 후 ‘군과 함께하는 원주다이내믹댄싱카니발’로 바뀌었는데, 다른 축제에 비해 지상최대 최장의 거리공연형 축제이다. 안동국제탈춤축제는 하회 별신굿 탈놀이를 중심으로 안동이라는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최된 축제며,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은 가평 내에 알려지지 않은 자라섬에서 이루어지는 축제로 재즈라는 음악 장르를 축제 주요 프로그램으로 하고 있다. 안성맞춤남사당바우덕이축제는 조선 최초의 여자 꼭두쇠였던 ‘바우덕이’와 ‘남사당’ 문화를 세계적인 대표문화로 발전시키고자 개최된 축제이고, 정선아리랑축제는 아리랑 중 유일하게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아리랑을 전승 보전하고, 널리 퍼트려 발전시키고자 개최된 축제이다. 둘째, 속성에 대한 연구로 지역축제에 대한 속성은 축제의 주제와 소재, 종류에 따라 혹은 축제의 어떤 특성을 강조하느냐 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비슷하였다. 축제의 보편적인 속성은 예술성, 관광성,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 지역성, 일탈성, 놀이성, 체험성, 지형 자연성, 활동 재미성, 이벤트성, 고유성, 차별성 등 다양하게 들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장에서 9개의 공연예술축제의 속성을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10명의 축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해 분석한 결과 예술성, 관광성,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 지역성, 일탈성, 놀이성 등을 축제의 속성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위의 속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4가지의 유형(공연예술형, 문화형, 복지형, 산업형)으로 분석되었다. ‘공연예술형’이라 함은 무대 위에서 실연을 목적으로 구성된 공연예술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축제로, 공연예술형’ 유형은 ‘예술성’과 ‘문화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특성 지울 수 있었다. ‘문화형’ 유형은 ‘사회성’과 ‘지역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특성 지웠으며, ‘복지형’은 ‘놀이성’과 ‘일탈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그리고 ‘산업형’ 유형은 ‘관광성’과 ‘경제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를 주요 특성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현행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축제를 살펴보면 장르의 특성만 다를 뿐 콘텐츠의 내용이나 축제의 유형에서도 별다른 차별성이 없이 대동소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분류해 놓은 유형에 따라 그 유형에 따른 특징적인 속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축제가 특성화함으로써 축제의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문화관광축제, 공연예술축제, 지역축제, 축제유형, 축제속성

      •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 : 한국무용 중심으로

        문지원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 中 한국무용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류 무용단 (보무 - 춤을 알리다)’, ‘정동극장 (시즌 - 궁:장녹수전)’, 국립무용단 (향연)을 비교분석하여 각 무용공연의 특징을 살피고 개선점을 찾아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무용 작품들을 선정하고 분석하여 이 시대에 걸 맞는 한국무용만의 전통적인 특색이 담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사)보훈무용예술협회의‘2018 무담(舞談) - 춤 이야기 中 대통령상 수상자, 2018 당대(黨代)의 춤(이 시대의 춤)’ 기획을 통해 연관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을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문화를 보존·전승 시켜야함은 물론 문화적 수준에 맞게 재창조하고 발굴하는 등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두 번째, 시대적인 트렌드에 맞게 단지 눈으로만 즐기는 공연이 아닌, 관객들이 체험하고, 함께 소통하는 등 적극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공연으로 다가가야 한다. 세 번째, 전통문화 콘텐츠와 다양한 문화상품과의 패키지 결합을 통하여 관객모집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네 번째, 문화콘텐츠 창작인력을 육성하여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수준 높은 작품을 기획해야 한다. 위의 결과가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 발전 방안으로 해답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 발전 방안으로 문화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한층 더 공연예술이 발전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약이 따른다. 현재 국내자료 중에 전통문화 콘텐츠에 관련된 선행연구가 미비하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본 논문은 참고문헌들을 토대로 결과를 유추하고 예측하였기에 현실적으로 객관화 및 일반화 적용에는 다소 제한이 있다. 주제어 : 전통문화, 문화콘텐츠, 공연예술, 무용예술, 무용공연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ree kinds of performances in order to develop Korean dance performance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performances and found improvement points and suggested ways to develop performing art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through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o do this, we selected and analyzed Korean dance work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developed a program with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that is suitable for this era and studied the development plan. Also, I tri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performance of dance (dance of this age) performed by the Association of Veteran Performing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performing art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First, we must make efforts to preserve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to recreate and discover it in accordance with cultural level. Second, it is not a performance that is enjoyed only by eyes, but the audience must approach the performance that can actively communicate such as experienc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ruit audiences by combin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with various cultural products. Fourth, cultural contents creators should be fostered and high quality work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lanned. The above results can not be a solution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s a way of developing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hopes that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developed. The above results can not be a solution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s a way of developing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hopes that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develop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Currentl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mong domestic material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Since this paper deduces and predicts the results based on the reference documents,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application of objectification and generalization in practice. Key words : Traditional culture, Culture contents, Performing arts, Dancing arts, Dance performance

      • 가치사슬을 활용한 공연예술산업 분석모델 연구

        손신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83

        Since early-2000,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had been expected to be developed rapidly, but the reality is not the same as our expectation from 2010’s. This study is reached out that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 Korea needs the support by cultural policy to promote its development which is getting slow for the recent 5-6 years. To make a suitable and effective policy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e policy should be based on the concrete evidence or reasoning, and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analysis model for the cultural policy. Cultural industry, upper category of Performing arts industry, is creating more jobs because of its labor intensiveness as well as producing financial benefits.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local economy collaborating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tourism. Ultimately, cultural industry helps to promote brand image of country itself and as a result it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untry in the world wide. Therefore, the developed countries tend actively to promote cultural industry by cultural policy. In 1999, Korean government made a cultural industry promotion law and started legal support for its economic development. Before then, the cultural industry was treated as an industry which needs regulation by government. However after 1999, the cultural budget was increased up to 1% of total government budget. Initially the cultural budget targeted to encourage creating arts, but from mid-2010’s, the government cultural policy has turned into infra development, cultural well-being, and cultural enjoyment. This change affects performing arts industry widely. Cultural policy should be developed by rational and detailed analysis of the real market, as using public resources like tax. It means the changes have to be based on the result of objective analysis. In America, Americans for the Arts is a non-profit organization to analyze the culture markets to empower American culture and arts. It is an interest group for the American culture and arts by speaking out to the government through its meaningful analysis and reports to vitalize the culture industry. National Arts Index is one of its strong reports annually produced. It represents the vitality of cultural industry in America through balanced score card model with 81 indicators. It shows annual changes and up and downs of cultural industry in America. In Korea, the government also tried to develop the analysis model but it wasn’t continuously developed. The model made only one time report and disappeared. Furthermore, performing arts industry is considerably unique comparing to other genres of cultural industry. Its liveliness and time and place constraint are pros and cons to its development. Performing arts industry has relied heavily on the cultural policy and government suppor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o develop a separated analysis model for the performing arts for the policy of government. The model is based on Michael Porter’s value chain which could show vitality of each chains separately. According to Delphi method, 12 professionals got together to develop the analysis model by using a value chain. Finally, an analysis model to find the vitality of performing arts industry with 55 indicators. By using this model, this study analyzed actual data from 2013 to 2018. The analysis showed that current performing arts industry was growing little. Relatively support activities was slightly increasing but the satisfaction of service takers was decreasing. Primary activities was slightly decreasing and the one of key factors of this degradation is rapid rising of expense. Four professionals and two heavy-performing arts-goers had a deep interview about the result of analysis. Two of them were performing arts professionals, a producer and a director, and two of them were members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Heavy-performing arts-goers were students regularly visiting theater. They reviewed the result and confirmed the usefulness and scalability of the model. 본 논문은 2010년대 중반부터 저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공연예술산업의 활성화 정책을 위해, 시장의 실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종합분석모델을 다각도로 연구, 개발, 검증하였다. 2000년대 초반부터 급성장이 예견되었던 공연예술산업은 2010년도 중반부터 총매출액 기준으로 저성장세에 있다.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매년 16%씩의 고도성장하였던 공연예술산업은 2012년까지 8-10%의 성장세를 보이다가 2014년 이후에 평균 2%대로 낮아졌다. 본 논문은 최근 5〜6년간 저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공연예술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밝히고, 이를 위해 정책개발자, 정책입안자, 정책실행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분석모델을 연구하였다. 분석모델 개발에 앞서 주요사례로 연구한 미국의 National Arts Index, Theater Facts, 한국의 예술지수, 국민문화지수, 지역문화지표 등은 균형성과표, 가치사슬 등의 다양한 경영분석모델을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이들은 각기 장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단계별 분석이 용이하고, 지원활동이 강화된 가치사슬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산업 전문가 12명을 패널로 선정하고,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개의 상위수준(지원활동, 주활동), 7개의 중위수준(외부기금, 인력양성, 기술개발, 기획/제작, 창작, 유통, 마케팅), 55개의 하위수준(각 중위수준에 대한 평균 8개의 세부 지표 선정. <표 4-9> 참조)으로 구성된 공연예술산업 분석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로 데이터 모집이 가능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공연예술산업을 각 지표별로 그래프화하고 시계열로 정리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해보았을 때 공연예술산업의 전반적인 정체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지표들을 보면 기획/제작과 유통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공연작품수가 줄어들고, 매출의 증가에 비해 지출이 늘어나 순이익 감소가 진행되어, 자생력 약화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는 예술가들의 창작활동 수입과도 연관되어, 전반적으로 수입이 상당히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원활동의 경우에는 지원에 대한 수요자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전반적인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수용자 중심의 지원정책과, 관객개발을 위한 캠페인발의, 공연예술산업 내의 단체 및 시설운영을 위한 인적자원 확충 및 운영자문 도입, 그리고 창작자들에 대한 최저사례비 기준제 등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국내 경기의 불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회복세도 느린 공연예술산업의 특성에 따라 경기흐름에 따른 탄력적 지원이 필요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공급자(정책입안이나 실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경영지원센터의 기관 관계자)와 정책 수요자(민간창작, 제작자, 충성도 높은 공연관객)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 참가한 7명은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분석모델의 필요성과 연구결과의 유의미함을 검증해주었다. 본 연구결과로 얻은 분석모델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2015년에 구축하여 운영 중인 공연예술통합전산망시스템(KOPIS)의 데이터들과 연계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이 개발한 분석모델을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다년간 진행한다면 장기적, 단기적 정책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스트릿 컬쳐와 한국무용의 융복합 공연을 통한 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

        김성인 상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83

        Street culture started as a subculture born from black culture and now it has become a huge culture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popular culture. Currently, it is not a culture that only young people can enjoy, but a culture that various age groups can enjoy.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stereotype of young people's culture is deeply engraved to this day. To improve this, various changes have been attempted, and this is trying to combine art or culture of other genres using the advantage of the most liberal culture. Among street cultures, street dance is currently gaining worldwide status based on its high artistry and its foundation. However, it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other art fields, and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 academic database because of this, so it is not recognized academically. On the other hand, Korean dance has a long history, so there are many academic databases and based on this, it has received artistic value and academic recognition. However, Korean danc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cause public interest. Therefore, this study combines street dance based on street culture with artistic value and rich database of Korean dance, It has the purpose of helping to develop and activate trendy performance contents with Korean feeling. The process and activation plan of combining two or more fields in performing ar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make the traditionality of Korean dance live and to change popularly through street dance. This will seek a way to encompass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and will train artists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Second, it is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street culture and Korean dance respectively. Street culture has a short history, which makes it easier for younger audiences to access. On the contrary, Korean dance has a long history and it is difficult for young people to enter because the audience of high age group forms the main audienc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usion of street culture and Korean dance will be a satisfactory performance content for both the audience of street culture and the audience of Korean dance, and the possibility of accessing various age groups is enhanced. Third, the development of new performance contents business through the fusion cultural business competition or the multi-art business competition held by each cultural foundation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audience will rai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performing arts through this. The above results can not be an absolute answer to develop and activate contents continuously through performing arts activities. However, through the performance ‘on故zishin’, it was possible to show the fusion of street culture and Korean dance, and I hope that the performing arts world will be weak but revit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various genres. keywords: Street Culture, Street Dance, Korean Dance, Convergence, Performing Arts 스트릿 컬쳐는 흑인문화에서 탄생한 서브컬쳐로 시작하여 지금은 대중문화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거대한 문화가 되었다. 현재는 젊은이들만 즐길 수 있는 문화가 아닌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문화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젊은이들만의 문화라는 고정관념이 깊게 새겨져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고 이는 가장 자유분방한 문화라는 이점을 사용하여 타 장르의 예술이나, 문화와의 융복합을 시도하고 있다. 스트릿 컬쳐 중에서도 스트릿 댄스는 현재 높은 예술성과 이를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위상을 떨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예술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고 이로 인해 학술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이 어려워 학술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것이 현 상황이다. 반면 한국무용은 긴 역사를 지고 있어 학술적인 데이터베이스가 많이 구축되어있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적인 가치와 학술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대중적인 흥미를 유발하지 못한다는 점이 현재 한국무용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릿 컬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트릿 댄스를 한국무용의 예술적 가치와 풍부한 데이터베이스를 융복합하여, 한국적인 느낌을 가진 트렌디한 공연 콘텐츠를 계발하고 활성화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에 공연예술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야가 융복합되는 과정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무용의 전통성을 살리되 스트릿 댄스를 통하여 대중적으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통과 현대를 모두 아우르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고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를 양성할 것이다. 두 번째, 스트릿 컬쳐와 한국무용의 인식을 각각 개선하는 것이다. 스트릿 컬쳐는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의 관객의 접근이 쉽다. 반대로 한국무용은 역사가 길며 높은 연령층의 관객들이 주관객층을 형성하고 있어 젊은 연령층의 진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스트릿 컬쳐와 한국무용의 융복합은 스트릿 컬쳐의 관객층과 한국무용의 관객층이 모두 만족할 만한 공연 콘텐츠가 될 것이고 다양한 연령층이 접근하기 쉬운 가능성이 제고된다. 세 번째, 각 문화재단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진행되는 융복합 문화사업 공모전 또는 다원예술사업 공모전을 통하여 새로운 공연 콘텐츠 사업을 계발하고 이를 통해 관객들이 공연예술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올리는 것이다. 위의 결과들이 공연예술 활동을 통한 지속적인 콘텐츠 계발과 활성화할 수 있는 절대적인 해답이 될수 없다. 하지만 공연 ‘on故zishin’을 통해 스트릿 컬쳐와 한국무용의 융복합을 보여 줄 수 있었고 다양한 장르들이 융복합하는 과정을 통해 공연예술계가 미약하지만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주제어: 스트릿컬쳐, 스트릿댄스, 한국무용, 공연예술, 융복합

      • ‘언택트(Untact)’ 기법의 공연예술 마케팅에 관한 연구 : 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예술 마케팅

        남주원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method of approaching the performing arts marketing using internet online-based media from a “Untact” oriented perspective. Today is the “Untact” era. Untact is a new term made by adding the negative prefix ‘un’ to the English ‘contact’, meaning ‘non-contact, non-face-to-face’. That is, it refers to a phenomenon that avoids contact and prefers non-contact. Untact has now begun to take root in various parts of human life as COVID-19 spreads all over the world. It is highly probable that such an untact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but a long-term trend in modern society. The reason is as follows. First, people have become accustomed to ‘physical distance'. People were initially unfamiliar and uncomfortable with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19, such as refraining from going out, refraining from participating in events and gatherings, and wearing masks, but began to adapt gradually as the implementation period was extended. Like the sentence ‘human beings are animals of adaptation’, people are gradually getting used to the new environment. Second, ‘Untact’ fits the trends of th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the leading players in the modern era. Millennials are flu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multitasking, such as mobile and SNS. Generation Z is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and the Internet, and is especially a generation who grew up with the growth of the video platform, preferring video content. In other words,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MZ Generation) spend a lot of time online and are always connected even when they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MZ generations, who are the mainstays of the current and future consumer markets, “untact” communication is not stranger at all, but already fits their tendencies and lifestyles. Third, because of the trauma to Corona 19, people will try to reduce the likelihood of future infections. As a result of experiencing the Corona 19 pandemic, the modern society is bound to divide sharply before and after Corona 19, and life after Corona 19 will change greatly. The representative phenomenon that will appear in ‘Post Corona’ is the popularization of Untact. Accordingly, the paradigm of performing arts is also changing. As an alternative to the Corona period, the performing arts world is being replaced entirely with “no-audience / online” performances. Numerous performances, regardless of genre, are performing online performances through online video platforms such as YouTube Live Streaming and Naver Live. Along with these changes in performance, a change in marketing of performing arts is also essential. Performing arts marketing must be completely changed from the existing offline method to the online basis. Online marketing is no longer ‘parergon’ but ‘princeps’ in the Untact era.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Untact, Performing Arts, and New Media, and examines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major social media and video platforms used by the current generation. In addition, I tried to discuss the marketing effects of this. Next, I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online performances by various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which faced the era of Untact.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paid online performances ‘Beyond Live’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did not address the limitations of Untact performing arts. Second, this study did not conduct separat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onsumers who actually experienced Untact performing arts. Third, representative cases at home and abroad reviewed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large companies and institutions. Fourth, the analysis of ‘Beyond Live’ online marketing in Chapter 4 was conducted only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Fifth, this study examined marketing factors affecting untact performing arts based on online-based media, but did not derive a professional performing arts marketing model. Accordingly, there are many tasks remaining in this study, and active studie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the future. I hope that at the present time when Untact came, Korean performing artists could re-establish their perception about marketing using online-based media and get some practical help in this regard through this study. 본 논문은 인터넷 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예술 마케팅을 ‘언택트’ 중심의 시각으로 접근해 그 의의와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늘날은 ‘언택트(untact)’ 시대다. 언택트는 ‘접촉’을 뜻하는 영어 ‘콘택트(contact)’에 부정접두사 ‘언(un)’을 붙여 만든 신조어로 ‘비접촉·비대면’을 의미한다. 즉 접촉은 회피하고 비접촉을 선호하는 현상을 말한다. 언택트는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인류의 생활 속 곳곳에 본격적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러한 언택트화는 일시적 현상이 아닌 현대사회의 장기적인 트렌드로 고착될 가능성이 높다.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람들은 ‘물리적 거리두기'에 의외로 익숙해졌다. 사람들은 외출 자제, 행사·모임 참여 자제, 마스크 착용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 조치사항에 대해 초반에는 마냥 낯설어하고 불편해 했으나 시행 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점차 적응하기 시작했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는 말처럼 사람들은 새롭게 맞닥뜨린 환경에 적응하며 익숙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언택트’는 현시대를 이끌어가는 주역인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트렌드와 맞다. 밀레니얼 세대는 모바일, SNS 등 정보기술(IT)과 멀티태스킹에 능통하다. Z세대는 디지털 기기·인터넷 환경에 익숙하며 특히 동영상 콘텐츠를 선호해 영상플랫폼의 성장과 함께 자란 세대다. 즉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이하 MZ세대)는 온라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언제든지 연결이 돼있는 상태다. 현재와 미래 소비 시장의 주축이 되는 MZ세대에게 ‘언택트’ 소통이란 전혀 낯선 것이 아닌 이미 그들의 성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것이다. 세 번째, 코로나19에 대한 트라우마로 인해 사람들은 앞으로 감염될 우려가 있는 행동은 최대한 줄이려고 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은 이상 현대사회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극명하게 나뉠 수밖에 없으며 코로나19 이후의 삶은 크게 변할 것이다.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뜻하는 ‘포스트 코로나’에 나타날 대표적인 현상은 언택트의 대중화다. 이에 따라 공연예술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 시기의 대안방안으로 공연예술계는 ‘무관중·온라인’ 공연으로 전면 대체되고 있다. 장르를 불문하고 수많은 공연들이 유튜브 라이브스트리밍이나 네이버라이브 등 온라인 영상 플랫폼을 통해 소위 ‘방구석 1열’ 공연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공연의 변화에 맞춰 공연예술 마케팅의 변화도 필수적이다. 공연예술 마케팅은 기존 행해졌던 오프라인 방식에서 온라인 기반으로 완전히 변해야 한다. 언택트 시대에서 온라인 마케팅은 더이상 ‘부(副)’가 아닌 ‘주(主)’다. 본 논문은 언택트, 공연예술, 뉴미디어 등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으며 현 세대가 사용하는 주요 소셜 미디어 및 영상 플랫폼의 특징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에 따른 마케팅 효과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 언택트 시대를 맞이한 국내외 여러 공연예술기관의 온라인 공연 현황 및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고 특히 유료 온라인 공연인 ‘비욘드 라이브’에 대해 소비자의 입장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 본 연구는 언택트 공연이 갖는 한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두 번째, 본 연구는 실제 언택트 공연을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따로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지 않았다. 세 번째,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국내외 대표 사례들은 대형 기획사 및 기관에 국한되어 있다. 네 번째, 제 4장의 ‘비욘드 라이브’ 온라인 마케팅에 대한 분석이 소비자의 입장에서만 이루어졌다. 다섯 번째, 본 연구는 온라인 기반 미디어를 중심으로 언택트 공연에 영향을 주는 마케팅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그에 따른 전문적인 공연예술 마케팅 모델을 도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 과제가 남아있음을 밝혀둔다. 언택트가 도래한 현시점에서 국내 공연예술가들이 본 논문을 통해 인터넷 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고 그와 관련해 조금이나마 현실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길 바란다.

      •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에 관한 연구 : 키워드와 토픽 분석을 중심으로

        양수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67

        - Abstract - YANG SOOJIN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Performance Arts Management Major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daily lives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and one of these changes is the popularization of a non-contact lifestyle. The non-contact lifestyle also has changed the spectatorship in performance arts. The existing field-based offline performance dominated the mainstream, but it has been substituted for online performance that approaches the audiences through the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other streaming services. Especiall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had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rts with the prospect for the futuristic performance arts. For instance of the performance applied reality technology, the viewers experience the new form of performance development as well as the new environment where the wall between virtual space and real space is torn down. Nowadays the term 'Metaverse' refers to the creation of the above environment, where the social and cultural space is created through a computer-based network environment.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eral-purpose technologies that materialize the contents in a Metaverse environment is extended reality (XR), the cutting-edge technology that covers the different concepts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he online performance arts, which the contents created based on the extended reality, have an influence on the spectators and users. This study has tried to look into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performance art through the conten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ith extended reality in Metaverse, analysis o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and the responses from the directors and audience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divided groups: the public and the experts for the study and the interviewers were limited to the spectators of the performance arts.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audiences and the experts, and an automatic tex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by utilization of the language network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via the analysis of the keywords and topics that appeared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XR performance arts in Metaverse environment. The analyzed data shows the recognition of the XR performance arts in Metaverse and this study suggests the discussion direction for the invigoration of the performance art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where the extended reality is appli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are able to be considered from several viewpoints. First, from the technological perspective, the spectators tend to prioritize the technological sides in the XR-applied performa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experts consisting of directors, writers, producers, and artists tend to prioritize the performance and audiences but doubt the positive effects of extended reality.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formance arts, the spectators thought that the XR-applied performance has its own meaning and can be developed as a new exciting form of the arts. On the other hand, the experts showed a skeptical view of the effects of the Metaverse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arts. The third perspective is the viewpoint on the environment where the public understands the extended reality technology. Both the spectators and experts feel the necessity of extended reality's application on the performance arts. However, there are various variable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ies, development of contents that may substitute the offline contents, the spectators' sympathy through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on extended reality performance, and technical training and utilization abilities of the artists. The interviewers responded that these variables are the problems to be sol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audiences consider the extended reality performance as a trend, but they also feel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experts think that XR performance hardly overcome the area of the existing performance arts as the extended reality performance cannot deliver the inspiration of the field as it is. For this reason, the experts tend to impart a huge meaning to offlin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that the new technologies are applied utilizing the extended reality in the performance arts preceding the trend. In particular, choice and concentration strategy is required to focus on the competitive contents including musical performance, video, and movies by utilization and comb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original contents on the different genres including performance, videos, and movies. The public (spectators) have adapted to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new technologies that came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y have excitement and worry about the new contents from XR performance arts. However, the result also reveals the different thoughts from the experts and artists who directly produce, direct, and perform the stages. The center of the performance is the spectators. However, it is time that the recognition of the experts is very important in producing and directing the stages. Above all, the experts have to evolve and change, not just stay in the past. This research is based on interviews with the audiences and experts. As the study could not include the data from various stratum such as the public, policymakers, artists, and actors, and actresses, the result of the study has a limitation to be generalized. For the reason above,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follow-up researches explore the subject by the interviews with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and analysis on various big data(newspaper, articles, and reports) and unstructured data(videos and images) for analysis on the different phenomena and the continuity of the study. The not-contact concept may result in the attention for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etaverse environment. The various forms of constant researches must be the way to cope with the coming paradigm of the performance arts and resolve the social phenomenon.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the fundamental data or contribute to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the audiences and experts.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the Metaverse environment has been around the corner even in front of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The performance arts will not be the exception. Perhaps the performance arts will be the first field where the new concept is applied.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researches look into the XR performance arts in the more expanded Metaverse environment. Lastly,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XR performance art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arts that apply the extended reality in Metaverse. Key Words : Performance Arts, Metaverse, Extended Reality, Language Network 코로나19로 촉발된 변화된 사회현상은 우리들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가운데 코로나 이후의 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대표적인 현상은 비대면의 대중화다. 이는 공연예술의 관람 형식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기존의 현장 중심의 공연 관람이 주였던 것에서 유튜브나 스트리밍 같은 플랫폼을 통하여 관객을 만나는 온라인 공연으로 전면 대체되어 옮겨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신기술의 발전은 미래형 공연예술 형식을 예견하며 공연산업 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실감 기술을 활용한 공연의 경우에는 관객들에게 체험을 통하여 몰입감을 주는 새로운 형태의 공연콘텐츠 개발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가상공간과 현실 공간이 허물어지는 새로운 환경의 조성까지 이루어지게 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메타버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메타버스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서 새로운 사회·문화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이다. 메타버스 환경에서 콘텐츠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범용기술을 확장 현실이라고 하며, 이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최근에 개발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 현실을 바탕으로 만든 공연콘텐츠가 공연 관람자나 사용자에게 미치는 온라인 공연예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함이다.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확장 현실 활용을 통한 콘텐츠 개발 및 적용과 그에 따른 공연환경 분석과 공연제작자 및 관람자들의 반응 등을 통하여, 공연예술의 현재와 미래를 바라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조사를 위해서 일반인과 전문가 분류를 통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은 공연예술의 관람자로 한정하였다. 연구 분석은 관람자와 전문가의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언어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기법을 적용하였고,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에 관한 논의는 주요 키워드와 토픽 분석을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을 적용한 공연예술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도출할 수 있고, 향후,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을 적용한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논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응답자들의 분석 결과를 가지고 몇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술적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관람자의 경우에는 확장 현실을 활용한 공연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을 우선 적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제작자, 작가, 연출, 배우, 예술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문가의 경우에는 확장 현실을 활용한 공연에서 기술적인 것보다는 공연과 관객이 우선적이고, 확장 현실 기술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공연 예술적 관점에서 본다면 관람자들은 확장 현실을 활용한 공연도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으며, 흥미롭고 새로운 공연의 형태가 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메타버스 환경이 과연 공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의구심이 들고 있다. 세 번째는 확장 현실 기술을 이해하는 환경에 대한 관점이다. 관람자나 전문가 모두가 공연예술에서의 확장 현실 적용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만 기술의 원활한 적용과 오프라인을 대신할 만한 콘텐츠 개발, 그리고 관객들의 확장 현실 공연에 대한 이해도와 적응을 통한 공감대 형성, 공연전문가들의 기술적인 학습과 활용 능력 등 여러 가지의 변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해야 하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분석 결과를 보면 관람자들은 확장 현실을 통한 공연을 시대의 흐름으로 여기고 있다. 다만 기술적인 부분과 콘텐츠의 개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확장 현실을 활용한 공연은 기존의 오프라인 공연의 영역을 넘어서기 힘들다는 견해가 많다. 그러한 이유는 공연 현장에서 오는 감흥을 관객들이 그대로 전달받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그래서 공연예술은 오프라인 공연이 의미가 크다고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의하면, 공연예술의 경우 시대의 흐름에 앞서서 확장 현실을 활용하는 신기술 적용에 입각한 콘텐츠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특히 공연, 영상, 음악 등의 장르에 대한 원천 콘텐츠 기술개발에 집중, 이를 융합하고 활용하여, 음악공연, 영화 등 경쟁력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이 필요한 시기이다. 연구 결과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일반인(관객)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의 시대의 흐름에 적응되어 가고 있으며, 공연에서도 확장 현실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기대와 우려 등의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연을 기획하고, 제작하고, 직접 실연하는 아티스트 등 전문가의 경우에는 조금 생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공연의 경우 그 중심에는 관객이 있지만, 무엇보다 공연을 기획하고, 만드는 전문가들의 의식이 매우 중요할 때이고, 전문가들이 예전에만 머물러 있지 말고 진화되고 변화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본 연구는 관람자와 전문가의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고, 일반인, 정책입안자, 예술인, 아티스트, 배우 등의 다양한 계층의 자료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연구 결과의 연속성과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더 폭넓은 관련 종사자의 인터뷰, 다양한 빅데이터(신문기사, 논문, 보고서 등)나 비정형데이터(동영상, 이미지 등)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비대면 시대에는 메타버스 환경과 관련한 기술이 다시 주목받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공연예술 패러다임을 대처하고, 사회적 현상을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가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이다. 이때 본 연구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거나 관람자나 전문가의 지각한 내용분석이 가능한 연구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확장 현실은 코로나로 인하여 문화예술 분야의 바로 앞에까지 왔으며, 공연예술 또한 예외가 아니거나 가장 먼저 적용되는 분야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더 확장된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련 후속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을 적용한 공연예술의 현시점의 흐름과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메타버스 환경에서 확장 현실을 적용한 공연예술의 방향성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의 협업을 통한 자생력 확보방안

        오진숙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performing arts sector is traditionally dependent on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public sector because of its weak self-sufficiency. In recent years, economic recession has been continuing globally, and the aftermath of this recession has been widespread in Korea, therefore, performing arts activiti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hrinking. This study investigated ways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wer of the performing arts community, which is concerned with the survival issues. I tried to find the detailed policies to apply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Sinc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need places to perform their works and the performing theaters need the performing organizations, both parts are very closely related each other. In most cases, however, the pursuing directions and goals of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performing theater’s, and thus it is hard to see co-work for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ublic aid is indispensable for the performing arts area judging from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or methods of self-help presented in the performing ar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ituation analysis and diagnosis about the stagnant performing arts field have been done and the policy options for the cooperation with the performing arts group and the performance hall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are provided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wer in connection with public assistance.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functions of the performing arts, and have investigated the performing arts environmen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performance theaters. And I also have examined the public support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status of the performing theaters, and overseas cases. Then, the SWOT analysis for the performing arts field and the Delphi survey for the experts were conducted, and the strategic and development plans for securing the self-sustenance were suggested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of Delphi survey, five strategies and 36 specific strategies are identified, the priorities and importance of each strategy are reviewed, and finally 17 items were summarized The five strategic items are (1) the strengthening of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ontents (the accumulation of repertoires), (2) the collaboration of performing theater and performing arts group, (3) policy supports, (4) group operations, and (5)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And these strategies should be linked with public aid, and the development strategies can be realized by the collaboration between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theaters. First, the public art support system should less conditional and a cultural space as an open platform should be provided to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econd, we will introduce “theater + performance arts” package support (3 years + 2 year system) for the foundation of collaboration between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theaters. Third, in order to allow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reation of arts, we need to introduce "the cooperative management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which is a structure that third parties can help the management of art groups, or to establish "a third organization, agency, or company that take charge of business, finance, and accounting of the performance group. keyword: performing theater,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self-reliance, performing art, financial support of the public sector 공연예술분야는 전통적으로 자생력이 취약하여 공공부문의 지원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경제적 불황이 지속되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그 여파가 미치고 있어서 공연예술 활동은 점점 더 위축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환경에서 현실적으로 생존의 문제까지 고민하고 있는 공연예술계가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공연예술분야의 3대 요소인 배우, 장소, 관객 중에서 공연제작과 상연의 두 주체인 배우(공연예술단체)와 장소(공연장)간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자생력 확보방안을 연구하였고,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공연예술단체는 작품을 제작하여 공연할 장소가 반드시 필요하고, 공연장은 공연할 단체가 반드시 필요해서 서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서로 추구하는 목적이나 사업방향을 달리하여 독자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공연활동을 하고 있는 편이어서 연계가 부족한 편이다. 한편으로, 선행연구나 공연예술계에서 제시된 자생력의 방안을 보면 결국은 공공의 지원을 필수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침체된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 분석과 진단을 통해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공지원과 연계하여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이 협업을 통하여 자생력을 확보해 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공연예술의 특징 및 사회적 기능을 살펴보고, 공연예술 환경, 공연예술단체 및 공연장 운영현황, 공연장과 연계하여 공공부문에서 시행했던 지원사업과 해외사례를 조사하였다.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SWOT 분석과 함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자생력 확보를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 5개 분야 전략과 36개의 세부전략 항목을 도출하고, 각 전략별 세부항목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조사하여 우선적으로 추진할 전략항목 17개를 최종적으로 정리하였다. 5개의 전략항목은 ① 콘텐츠의 기획․제작 강화(레파토리 축적), ② 공연장+공연예술단체 협업, ③ 정책지원, ④ 단체운영, ⑤ 마케팅․홍보로 나타났다. 이들 전략을 공공지원과 연계하여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의 협업을 통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단체에게 “자유로운 예술 지원제도 도입과 열린 플랫폼인 문화공간을 제공”한다. 둘째,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의 협업기반 조성을 위해 “공연장+공연예술단체 팩키지 지원(3+2제)”를 도입한다. 셋째, 공연예술단체가 예술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연예술단체의 운영을 제3자가 도와줄 수 있는 구조인 “공연예술단체 공동 운영제 도입” 또는 “공연예술단체의 경영․재정․회계를 실질적으로 대행하는 제3의 기관․단체․회사를 설립”한다. 우리나라의 예술지원제도는 제약조건이 너무 많아 공연예술단체들이 창작에만 전념하기가 매우 힘든 구조이다. 이들이 여러 형태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편리하게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새로 만들고, 공연장과 공연예술단체를 같이 묶어서 집중 지원하는 등 공공지원의 기본 틀을 혁신적으로 바꾼다면, 장기적으로 공연예술단체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지원체계에서 자칫 예술지원을 가로막는 ‘구호’로 악용될 수도 있는 ‘자생력’에 대한 예술계의 현상들을 가감 없이 진단하여 공연예술단체들의 실질적인 자생력 확보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어: 공연장, 공연예술단체, 자생력, 공연예술, 공공지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