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정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새주소DB 유지 관리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계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51

        우리나라의 지번은 빈번한 토지이동과 산업화로 인한 토지개발로 배열순서가 불합리하여 위치를 찾는데 많은 불편이 있어 국가에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도로명과 건물번호 부여사업을 도입하게 되었다.새주소사업은 도로를 중심으로 건물번호를 부여함으로 무엇보다도 건물정보의 정확도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를 중심으로 새주소 데이터 정확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행정정보와 건물정보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건물명칭 불일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지역에서 관리하고 있는 행정정보와 건물정보를 건물명칭이 새주소에만 존재하는 경우,새주소와 건축물자료 양쪽에 존재하는 경우,건축물자료에만 존재하는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새주소 자료에 오류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지형도와 지적도를 중첩하여 분석할 경우에는 도면의 절대위치 상이관계로 1필지 1건물이 다필지 1건물로 분류되는 현상 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주소와 건축물대장의 지번과 명칭이 동일한 경우,1개 지번에 1개의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새주소 건물속성을 부여 하였고,1개 지번에 다수의 건물이 존재하는 아파트,관공서 및 부속건물의 경우에는 건물도형면적을 통하여 새주소 속성자료를 정비하여 효율적으로 새주소 DB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논문의 성과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관리대장의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새주소 건물의 건물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연결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Since the lot number system in Korea has been quite inconvenient to be used to find a location due to its irrationality of arrangement order resulting from frequent land movements and land development which are part of industrialization, the government has come to introduce a project to grant systematic and scientific names for the roads and buildings. Most of all, the new address project focuses on the accuracy of building information by granting a serial number to a building with the use of a near roa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unaccordance of building nam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so that a plan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new address data may be devised, having the area of Mapo-gu in the Seoul Metropolis as a study object.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ree cases such as that a building name was only in the new address list, that it was in both the new address list and the building data and that it was only in the building dat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ew address data had relatively many errors, and in case of analyzing the topographical map and the cadastral map simultaneously, there occurred a phenomenon that one building with one parcel was classified into one building with multi-parcel thanks to their divergent relation of the absolute location of maps. Accordingly, in this study, in condition that the lot number and the names were the same in both the new address and the building register, if one building with one lot number existed, the building attribute of the new address was granted, and in case of a multi-building with one lot number such as an apartment building, a public agency and an annex, a plan was suggested to maintain the new address DB effectively by arranging the attribute data of the new address through the square measure of the building diagram. So as to impr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sis, it is required to research into a new connector capable to modify the building information in the new address system by utilizing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aintenance register.

      •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지적확정측량 성과의 변동량 분석

        곽호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51

        현재 우리나라의 측량체계는 크게 측지분야와 지적분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전 세계가 단일화된 좌표체계로 전환해가는 추세에 맞추어 측지분야에서는 2001년도에 측량법을 개정하여 ITRF2000좌표계와 GRS80타원체를 측량기준으로 사용하는 세계측지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지적 분야에서는 지적삼각점의 세계측지계 성과 산출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지고 있을 뿐 국민의 재산권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필지의 경계와 면적의 변동량 분석의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세계측지계 도입 후 지적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필지별 면적 변동에 따른 사회적 혼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숭인4구역주택재개발지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지적확정측량 성과의 변동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지는 세계측지계와 지역측지계가 종선(X)축으로 305.87m, 종선(Y)축으로 70.87m 편차로 두 좌표계 간 북동방향으로 313.97m의 차이가 있고, 현행성과와 비교한 결과 종선(X) 방향으로는 평균 +4.0cm, 횡선(Y) 방향으로는 평균 -3.0cm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필지별 면적의 변동량은 1.0㎡ ~ 3.0㎡ 차이가 있지만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으므로 세계측지계 전환에는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대상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기 검증된 지적기준점 성과를 사용한 결과이므로, 향후 보다 효율적인 세계측지계 전환과 도입을 위해서는 현 지적기준점체계의 정확한 세계좌표계 변환 성과를 기준으로 한 대단위의 필지별 면적 변동량 및 허용범위 분석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urrent survey system of Korea is a dual one composed of the geodetic field and the cadastral field. In the geodetic field, Korea has introduced the world geodetic system utilizing ITRF2000 Coordinates System and GRS80 Ellipsoid as a survey standard since 2001 when its survey law was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hat most of the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ccepted a unified coordinate system. On the contrary, in the cadastral field, a researches are commonly focused on the world geodetic system while the researches on the analysis of the alternated amount of parcel boundaries and area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people's property rights, were rare and limit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judge whether or not a social disputes may occur due to the alternation of area classified by a parcel which may occur in cadastral field after introducing the world geodetic system in 2010. To analyze the alternated amount of readjustment survey results in case of the conversion into the world geodetic system, the 4th housing reconstruction section in Soon-in dong of Jong-no goo in the Seoul Metropolis as a study object area.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a deflection of 305.87m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axis(X) and 70.87m in the direction of horizontal axis(Y) between the world geodetic system and the local geodetic system respectively, showing a difference of 313.97m in the northeastern direction between the two coordinate systems. The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ystem,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4.0cm in the direction of vertical line(X) and -3.0cm in the direction of horizontal line(Y) respectively on aver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of between 1.0㎡ and 3.0㎡ in the alternated amount of area classified by a parcel. However it is still within the tolerance limit which indicates that there are very limited chances of social confusion resul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ic system. However,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chieved from a limited object range and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e verified cadastral survey control point, for a more effective conversion and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ic system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as soon as possible. Analysis of the alternated amount of large-scaled area classified by a parcel based on an accurate result of applying the existing system of cadastral control point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can be included in such farther study.

      • GIS기반의 환지설계에 관한 연구

        한수흡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51

        Project area which has high price of land relatively and existing buildings in urban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performed as a way of re-plotting which does not change relation of right given before starting business. Generally re-plotting has complex procedure and matters under consideration. Also, person who designs re-plotting conducts work by handicraft and manual calculation with reference to records and drawings with naked eye. It makes design of re-plotting to be slow and inaccuracy as well as takes much time to make final result due to separate management of records and drawings. I performed design of re-plotting in this study by introducing design of re-plotting method based on GIS, constructing as polygon and its attributions as GIS data and linking combination of spatial data and its attributions. I deduced 4 products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rocess has been rapid because person who conducts re-plotting doesn’t have to reference with naked eye according to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records and drawings. Second, the 216 lands, 48% of re-plotting lands, were allocated nearly identical actual re-plotting area by spatial join. Third, working hours for designing re-plotting was divided into halves due to spatial join. Finally, final results, records and drawings, can be constructed rapidly and precisely. On the basis of this study, design of re-plotting method based on GIS is convenient for positioning, area computation, aggregate and constructing of final product and it can conduct re-plotting work rapidly and precisely. To develop re-plotting system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lots of studies and examinations. 우리나라의 도시개발사업에서 지가가 비교적 높고 기존건물이 많은사업지구는 사업시행 전에 존재하던 권리관계에 변동을 가하지 않는 환지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환지방식은 절차가 복잡하고 고려사항이 많으며 환지설계사가 육안으로 조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수기, 수계산으로 환지설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지설계에 신속성,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도면과 조서의 이중관리로 최종성과 파일 작성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의 환지설계방식을 도입하여 환지업무에 사용되는 도형과 속성자료를 GIS데이터로 구축하고 공간데이터 결합 및 속성을 연계(Link)하여 환지설계업무를 수행하였다. 도면과 조서가 자동으로 연계되어 환지설계사가 육안으로 참조할 필요가 없어 업무가 신속해졌으며, 공간데이터 결합(Spatial Join)에 의해 환지대상토지의 약 48%인 216개의 토지가 실제 환지 위치와 거의 동일한 곳에 환지예정지 지정(할당) 되었다. 공간데이터 결합 작업 등으로 환지설계 작업시간의 2분의 1을 단축하였으며, 최종성과용 조서와 도면 생성 시 환지설계 된 GIS데이터를 다른 S/W와 연동하여 직접 사용하므로 신속·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GIS기반의 환지설계 방식은 위치결정, 면적계산, 집계 및 성과품 구축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신속·정확하게 환지할당업무를 수행 하게 되었으며 향후 환지설계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

      • GPS/INS 항공사진측량의 지상기준국측량에서 VRS(가상기준점)적용에 관한연구

        송태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51

        종래의 항공사진측량에서는 항공사진 촬영 후 사진기준점측량 등을 수행하여 촬영당시의 카메라의 위치 등을 계산하였다. 그런데 지상기준점 설치를 위한 측량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는 지도제작 비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항공사진측량은 꾸준한 장비의 개선과 함께 디지탈처리에 의한 수치해석 개발로 새로운 기술과 접목되어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Direct Georeferencing는 위에서 설명한 항공사진 촬영 시에 카메라와 위치 및 자세정보를 재현하는데 GPS/INS를 통하여 사진기준점측량을 대체하는 방식이다. Direct Georeferencing는 기존의 사진기준점 측량을 대체하는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GPS/INS촬영지역내에 지상기준국을 설치하여야 하는 필요조건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S/INS를 이용한 항공사진측량을 수행하는 데 있어 촬영지역 내에 설치하는 지상기준국의 운용을 국가기관에서 운용하는 상시관측소를 이용하여 가상기준국(VRS)으로 효율적으로 GPS/INS 항공삼각측량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 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GPS/INS자료처리를 수행하였으며 가상기준국을 이용한 방법이 소축척 지도제작에 있어서 지상기준국측량을 대신하여 충분한 정확도 유지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지상으로 접근이 불가능한지역의 지상기준국측량 뿐만 아니라 지상기준점측량을 VRS로 수행함에 따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e common practice of air-photographing measurement aerial-photogrammetric, the location of camera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is identified by performing aerotriangulation. However, installing ground-base station to enable aerotriangulation takes majority portion of a map making cost. Aerial-photogrammetric has shown a great improvement helped by steady upgrading in equipment and development in quantitative study. aerotriangulationcan be replaced by Direct Georeferencing, which uses GPS/INS to identify a camera location and to produce detailed information. An innovative technique replacing aerotriangulation, it has a disadvantage that base station has to be available in the area of photographing. The thesis intends to suggest a method applying VRS in GPS/INS aerotriangulation. Despite the fact that Direct Georeferencing is the innovated technique which substitutes existing aerotriangulation, it still need to install the ground-base station in GPS/INS aerotriangulation GPS/INS data was analyzed with 4 different cas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ddition, in the thesis, it was approved that VRS can be utilized to make small-scale map as accurate as base st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 by showing that VRS can be used not only in base station but also enabling base station in the ground-access challenging area.

      • 정밀도로지도 공간관계 참조객체의 속성 입력 자동화에 관한 연구

        성동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6351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중 하나인 자율주행은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 센서 기반 자율주행의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의 중요한 참조 데이터로 제작되고 있다. 공공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밀도로지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작하기 위한 기술발전과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은 기구축 구간(고속국도, 일반국도 등)의 변화탐지 및 갱신사업과 신규 구간(지방도, 특별시군도)의 제작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최신성 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위해 품질검증 사업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AI,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도로 상황을 학습하여 실시간으로 도로 변화를 탐지하고 항공사진 등 타 데이터를 활용한 정밀도로지도 제작, 정밀도로지도 오류 자동 판독 등 정밀도로지도의 제작 및 품질검증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 중인 정밀도로지도 벡터 데이터의 신속, 정확한 갱신 및 제작을 위해 속성 구조화 공정에서 참조객체의 공간관계를 분석하고 오픈소스 기반 PyQGIS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공간관계가 성립되는 참조객체의 속성 입력 자동화 방법론을 통해 도로 등급 별로 대상지(고속국도, 일반국도, C-ITS 실증구간)를 선정 및 자동화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Recently, autonomous driving,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dvancing, but there are limitations of sensor-based autonomous driving, such as traffic accidents occurring in unexpected situations, and to compensate for this, HD map are being produced as important reference data for autonomous driving. A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is, much attention is being paid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research to produce HD map quickly and accurately. Currently, NGII is conducting change detection and update projects for existing sections (free way, high way, etc.) and production projects for new sections (local roads, special municipal roads) every year, and is striving to secure the integrity of data through quality verification projects for accuracy as well as up-to-datenes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production and quality verification of HD map, such as learning road conditions using AI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to detect road changes in real time, building HD map using other data such as aerial photographs, and automatically reading map errors with precision,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relationship of reference objects in the attribute structuring process for rapid and accurate update and production of HD map vector data being built by NGII, and selected and automated target sites (free way, high way, and C-ITS demonstration section) by road class through the attribute input automation methodology of reference objects in which the spati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using the library of open source-based PyQGIS, and analyzed the results.

      • 현형법에 의한 지적측량 면적오차 비교 분석

        김장호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6351

        측량의 영원한 숙명은 오차를 없애는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측량은 항상 오차를 수반한다. 이러한 오차를 없애기 위해 측량 관련 기관에서는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지적도는 토지조사사업 당시 작성한 지적도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그 당시 설치했던 지적기준점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현형법에 의한 지적측량에서는 그 특성상 지적측량수행자의 주관이 내포하고 있다. 국민의 재산권인 토지를 관리함에 있어 면적오차 비교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강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면적 측정을 하기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도해지역, 현형법, 면적에 대해 탐구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남양주시 일패동 550-9번지 일원과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855-40번지 일원을 실험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일패동 일원은 개별 필지 위주로 측량이 이루어져 지적도 상 폭과 지적측량 상 폭이 일정하지 않고, 신현리 일원은 현장에서의 부족한 폭을 해결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오차 범위 내로 경계를 조정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대상지 선정 후 토지대장 상 면적, 지적도 상 면적, 지적측량 상 면적을 구하여 각각을 비교⋅분석하였다. 면적 분석 결과, 일패동은 특정 필지에서 지적도 상 면적과 측량 상 면적의 차가 크게 발생하였고 신현리에서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좀 더 좋은 지적측량 성과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측량종합도를 작성하여 지적도 상 폭과 현장 폭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Eternal fate of the survey is to eliminate errors. In other words, the survey always involve errors. To eliminate this error, research is ongoing at the survey agencies. Currently, the cadastral map of the Republic of Korea is derived from the geographical map prepared during the land survey project. Thus, unless the cadastral control point that was set up at the time exists, Cadastral Surveying by the Resection Method Based Positioning Techniques is characterized by the supervision of the cadastral survey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find solu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rea error in managing land,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Prior to the measurement of areas, the author explored graphical areas, resection method based positioning techniques, and areas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And A member of the team was selected as the upper extremity of the research team at 550-9 Ilpae-dong, Namyangju, Gyeonggi-do and 855-40 Shinhyun-ri, Oppo-eup, Gwangju, Gyeonggi-do.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ach member of Ilpae-dong is measured on individual lots, thus the intellectual field width and the cadastral survey width are not constant, and Shinhyun-ri is planning to adjust the area to the area's insufficient range. After selecting the site, the area for land register, the area for cadastral map and the area for cadastral survey were obtained and each was analyzed in comparis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rea,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differences between the cadastral map area and the survey areas in Ilpae-dong, Shinhyun-ri generally had good results. It is important to compare the cadastral map width with the field width through a survey summary plot in advance to determine better cadastral survey performance.

      • RTK-GPS측량 현장 품질검증모듈 개발

        김준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35

        실시간 이동측량(RTK-GPS)은 현장에서 곧바로 측량성과를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측량성과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없어 최대의 정확도를 요구하는 지적측량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적기준점측량에서는 기준점마다 독립적으로 측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관측이 잘 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 측량성과에 오차를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다시 현장에 가서 TS에 의하여 거리를 확인하여 검증을 하고 재 측량을 수행하는 크나큰 번거로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RTK-GPS측량의 NMEA데이터를 이용하여 RTK측량성과의 품질을 검증하고 지적측량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한 기법을 개발하여 실무에 적용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PDA를 사용하여 RTK-GPS측량성과의 품질을 현장에서 검증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RTK-GPS측량 현장 품질검증모듈은 지역위치와 정확도 정보를 제공하는 Leica GPS의 고유 포맷인 $GPLLQ데이터 정보를 취득하여 GPS Quality가 3인 RTK Fix값만 선별하고, 선별된 Coordinate Quality가 사용자가 설정한 정확도 이내의 데이터일 때 연속적으로 설정한 개수만큼의 취득된 데이터를 가지고 위치좌표의 표준편차를 구한다. 또한 표준편차가 설정된 정확도 이내일 때에는 계산된 좌표를 더해서 평균을 구하고 최종 결정좌표로 저장하도록 하였다. 검증모듈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토탈스테이션(TS:Total Station)측량 등을 이용하여 실험측량을 수행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X의 표준편차는 2.24cm, △Y의 표준편차는 2.6cm, 연결오차의 표준편차는 1.66cm로 각각 예측되어 측량성과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RTK-GPS측량 현장 품질 검증 모듈은 지적측량의 실무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Controller대신 PDA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볍고 이동이 편리하며, RTK정보인 NMEA데이터의 N(X)좌표, E(Y)좌표는 물론 Coordinate Quality, GPS Quality, Reference와 Rover간의 무선통신 상태 등을 종합 판단하여 PDA화면에 나타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판단하여 RTK-GPS측량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al-Time Kinematic surveying (RTK-GPS) provides the surveying product in the field, but there is a no separate wa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surveying data obtained by RTK-GPS. Therefore, cadastral surveyors can not make best use of RTK-GPS in cadastral surveying that demands high accuracy level. If surveying data has some mistake or error in RTK-GPS Surveying, we have to resurvey to check the distance between RTK-GPS and TS(Total Station) at the sam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quality of the cadastral surveying results by utilizing NMEA data obtained by RTK-GPS and to develop a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cadastral surveying so that it could be applied at surveying fields. For this, a module which can verify the quality of GPS surveying results in the field was developed using PDA First, the quality checking module sort out the RTK FIX data(value 3) in the $GPLLQ that is a Leica data format suppling local location and accuracy information. And then, it calculates standard deviation from selected data that satisfy the required accuracy and several pre-set criterias. Also if standard deviation satisfies setting accuracy, the average measurements are saved as decisive coordinat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quality checking module, the results of pilot surveying by TS were compared and analysed. As a result, standard deviation of 2.24cm, 2.6cm in △X, △Y and misclose vector of 1.66cm were obtained. So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checking module of RTK-GPS surveying data could be applied to cadastral surveying very usefully. Also, because PDA is more lightweight than controller, quality checking module provide convenience at field work. Futhermore, through PDA screen, user can efficiently estimate all surveying condition such as plane coordinates(N, E) of NMEA data, Coordinate Quality, GPS Quality, communication condition between the reference station and the rover.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quality checking module leads to more efficient and economic cadastral surveying.

      • 지상 LiDAR를 이용한 하수시설물 조사 개선에 관한 연구

        이명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6335

        현재 서울특별시에 구축된 하수도 GIS DB 성과는 하수관로 조사 및 정비 기본설계(1992~2001) 성과와 종이(준공) 도면 전산화를 기반으로 2003년까지 구축된 데이터로 최신성 결여 및 정확도가 검증되지 않은 자료로 수리 검토의 활용성에 대한 한계가 계속해서 제기되었다. 또한, 2017년에 구축 완료된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사업에서는 지하시설물의 심도 데이터가 없거나 위치정확도가 매우 낮고 기존 데이터를 그대로 구축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부실한 성과가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다. 이에 활용 가능하며 신뢰성 있는 하수도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는 기존 하수시설물 조사방식에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 데이터로 기존 육안 조사방식과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조사한 성과를 2020년도에 직접 취득하였고, 대조군으로는 기존에 구축된 원시 GIS 성과와 2019년 지상 LiDAR 성과자료를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구축된 원시 GIS 성과는 기존 방식과 지상 LiDAR를 이용한 방식 모두에서 공공측량 작업 규정의 오차범위를 크게 벗어났으며, 2020년 직접 취득한 실험군의 성과 비교·분석에서는 연장이 최대 18cm, 심도가 최대 6cm로 차이가 컸지만, 대조군인 2019년 지상 LiDAR 조사성과와는 연장이 최대 2cm, 심도가 최대 0.01cm의 가장 균일한 오차로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상 LiDAR를 이용한 하수시설물 조사를 통해 수리 검토에 활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위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효율적인 하수관로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도시홍수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으로 맨홀 관련 사고 방지 및 주기적인 지상 LiDAR 성과자료 취득으로 맨홀 점검 등 체계적인 하수시설물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Sewer GIS database currently established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data built up until 200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basic plan(1992~2001) of sewage pipeline investigation and the computerization paper (completion) drawings. Therefore, the limits on the availability of hydraulic studies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construction project completed in 2017, there was an absence of depth data concerning underground facilities. Moreover, the location accuracy was remarkably low, and the existing data were produced unmodified. As a result, there was debate regarding whether the performance was in general subpar. Consequently,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current sewer facility investigation approach is necessary to ensure valuable and reliable sewer data.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results using the existing visual investigation method and terrestrial LiDAR were directly acquired in 2020 as the data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previously produced raw GIS and the 2019 terrestrial LiDAR data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raw GIS result accuracy was insufficient for data consumption, as both investigation methodologies significantly exceeded the error range required by the public survey regulation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s data directly acquired in 2020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the extension of up to 18cm and the depth of up to 6cm. Meanwhile, it was possible to secure accurate data with a uniform error of up to 2cm in extension and 0.01 cm in dept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2019 terrestrial LiDAR investigation results. Accordingl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errestrial LiDAR investigation of sewer facilities can be utilized for hydraulic research. Thus, it is expected that an ultimately efficient Sewer Rehabilitation Planning will be established to prevent urban flooding, and continuous manhole-relate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creating a safe working environment.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ewer facilities through manhole inspection using the terrestrial LiDAR data.

      • 탄소중립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법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도시·군 기본계획수립지침의 기초조사내용을 중심으로

        방혜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35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계획수립지침의 개정과 함께 ‘탄소공간지 도기반 계획지원 기술개발’을 국가 R&D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 계획수립을 위해 현행 기초조사항목이 충족되 는지 분석하여 법제도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토계획법 상에서 지침과의 기초조사 관계를 파악하고, 탄소중립 조사항목을 도출하여, 기초조사항목과 탄소공간지도의 기초데이터 활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현행 기초조사항목과 기초데이터는 탄소중립 조사항목 의 약 20%만 활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현 행 기초조사항목에서 ‘탄소중립’을 대항목으로 추가하고, 이를 법 제도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정(안)을 제시 하였다. 끝으로 기초조사정보체계와 탄소공간지도시스템의 연계 및 활용을 통한 기초조사 수집 체계를 제안하였다. Along with the revision of Planning Guideline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Development of Planning Support Technology based on Carbon Spatial Map” is being promoted as a national R&D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current basic survey items were met to establish carbon neutral urban plans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legal system. By basic surveys in the legal system, we derived carbon neutrality survey items, and analyzed the usability of the basic survey items and carbon spatial map data for them. Thus the analysis confirmed the usability of only 20%. Accordingly, we added ‘carbon neutrality’ as a new category to the existing basic survey items list, and proposed the revision draft of the legal system that can link between information systems.

      • SHOALS 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에 관한 연구

        정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19

        현재 정확한 해저면의 위치와 형상파악은 선박을 이용한 멀티빔, 단빔, 사이드스캔소나 등의 측량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측량시간과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며, 해안절벽과 도서지역에 있어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측량환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레이저 측량장비를 탑재하여 해저면의 수심을 측량할 수 있는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역에 대하여 항공레이저 수심측량(SHOALS : Scanning Hydrography Operational Airborne LiDAR Survey)을 실시하고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또한 항공레이저 수심측량의 국내 활용분야 확대를 위하여 이미 구축된 수심측량 데이터 등과 비교, 평가를 실시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해저면 지역에 대하여 단빔 수심측량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실험지역 A에서는 표준편차가 ±1.795m, 실험지역 B에서는 표준편차가 ±2.251m로 제시되었다. 또한 SHOALS 데이터와 7개의 암초에 대하여 9개 지점의 암초 수심측량 값과 비교하였으며, 암초 수심측량 값의 측량밀도가 적어 암초의 형상을 3차원으로 재현함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지만 SHOALS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초에 대한 형상을 정확하게 3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육지지역에 대한 SHOALS 데이터 검증을 위하여 라이다 데이터와 비교 한 결과, 0.16m±0.16m로 나타났으며, 1/1,000 수치지형도와 비교한 결과, 0.51m ±0.26m로 SHOALS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SHOALS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안선측량 및 수심측량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현행 수심측량으로 어려움이 많은 수심이 낮은 천소지역과 접근이 어려운 절벽지역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prevailing methods to measure the undersea position and shape is done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using multi-beam echo-sounder, single beam echo-sounder, side scan sonar. But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are limited because of costal cliff, islands and financial burden, On the contrary, SHOALS can perform accurate and efficient bathymetric in spacious areas. In this study, shore lines are extracted using SHOALS data of the study area. Also, to demonstrate the usability of SHOALS data it was compared with pre-constructed bathymetric data. The comparison between single beam data and SHOALS data for the undersea, Site-A yield ±1.795m standard deviation and Site-B yield ±2.251m standard deviation. Another comparison between SHOALS data and a value of bathymetric of 7 reefs in 9 locations, Single-beam data was very difficult to make a surface model because of the limited density points in bathymetric data. But SHOALS data resulted in an accurate 3D model of reefs. For the verification of SHOALS data, it was compared with LiDAR data in the land area, and the result yields 0.16m±0.16m and 0.51m ±0.26m for the 1/1,000 digital maps. It means that SHOALS data is accurate enough to implement. Thus, SHOALS data extends the limitation of current bathymetric data with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