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내디자인관련 대학교 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 교과과정 개선안 연구

        이현주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83

        As people's views and interests have changed, interior design, which used to a part of constructional design, is considered an independent special field and more attention is drawn to activities of interior designers, and education and training of interior design keeps developing. Since 1995, as people's interest in interior design increased, many universities in Korea have had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And also at technical high schools,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was newly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6th amendment of curriculum in 1992. The original purpose of technical high schools was to help students equip themselves with practical skills needed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but as our society has changed, recently only 20~30% of students graduated from technical high schools want to get jobs and the rest 70∼80% go to college or university. Situation being so, it is necessary to make curriculum at technical high schools more focused on foundation for further study in college and university than on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at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will help students achieve their potentials in interior design and will also help students who want to go to university learn knowledge for further study, by analysing the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Methodologies of the study were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Theories of occupational education and curriculum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 analytical frame was set by studying data from Korea interior design Association. As for case study, method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curriculum were studied by information from each school's homepage and teaching plan.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and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is as follows. Universities and technical high schools that have interior design course are located mainly in Seoul, Incheon, Gyunggido, Busan, and Gyungsando, which shows the fact that demand for interior design is high in big cities. The notion that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and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are inherently different may result in lack of continuity and consistency in curriculums. As for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university and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university curriculum evenly covers interior space design and other theories, but that of technical high school focuses on interior space design, interior design theory and subjects related to digital design. A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which is in fact repetition of basic knowledge learned at universities. First,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should be organized as a preparatory one for higher course at university. And more consistent curriculum should be set for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And for development of creativeness, current required subject in the first year such as 'introduction to engineering' should be replaced with 'general design' and current recommended subjects in the second year such as ‘interior design’, ‘furniture design’, ‘display’ should be designated as required subjects. And in third year, on the basis of foundation knowledge learn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project-oriented class should be done for development of creativeness. And for students who want to get employed after gradu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learn practical skills such as CAD, 3D-MAX using after school class or discretionary activity. Second, nominally curriculum at technical high school is connected with that of technical college, but in fact, there is no practical connection between them. Therefore, curriculum at technical high school should b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it is efficiently connected with that of university by eliminating unnecessary or overlapping subjects. Third, currently interior design course at technical high school is considered a branch of architecture, so education of interior desig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s hard to be done. To remedy the situation, textbook of interior design with more practic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Fourth, most teachers at interior design depar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 majored in architecture and one teacher teaches average 24.1 students. If interior design course is designated as a special field and number of students a class is limited to 25,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will be 20. And opportunities of refreshment course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of interior design course. It is believed that if effort to improve is made according to the above 4 suggestions, many competent interior designers will be produced. 실내디자인은 사회 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건축 및 환경 설계의 한 분야에서 독립된 전문분야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인 관심의 증가로 인해 실내디자이너들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그에 따른 교육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우리나라에서 1995년 이후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많은 대학에서 교육을 하게 되었다.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학 및 전문계고등학교에서도 1992년 6차 교육과정의 개정과 함께 가사·실업계열의 교육과정에 실내디자인과를 신설하고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전문계고등학교는 졸업을 하고 취업을 위한 직무능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였지만 이후 산업구조의 변화 및 고학력화 추세로 인해 취업률은 20~30%로 낮아지고 진학률은 70∼80%사이로 높아졌다. 그렇다면 전문계고등학교에서도 교과과정을 지금의 취업위주의 교육이 아닌 대학교에 진행해서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과정으로 인식을 하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학생들은 일찍 진로를 선택해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으로 직업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있으므로 일반계고 학생들과는 다른 차별화되고 학생들의 숨은 잠재력을 끌어내어 실내디자인 문제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계속교육을 위해 대학교의 진학의 과정으로 입학해 교육을 받고자 할 때를 위한 대학교의 실내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및 교육현황을 분석해 전문계고등학교에서 필요한 교과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과 사례분석방법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문헌연구방법을 직업교육과 교과과정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의 전공 및 분야 분류표의 고찰을 통하여 분석의 틀을 추출하였다. 사례분석방법은 학교별 학교 계획서와 학교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자료를 가지고 교육방법, 교육목적, 교과과정등을 분석하였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현황을 분석의 틀에 맞추어 분석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실내디자인과는 주로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 지역과 부산, 경상권등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현황 파악되었으며 이것은 대도시에 실내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많음을 보여준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소속계열이 다르다는 것은 학교별 교과과정이 다를 수 있는 주요 이유가 되며 교과과정에 일관성이 없는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 4년제 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와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교 실내건축학과는 실내공간 설계와 이론 등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는 실내공간설계, 실내디자인이론, 디지털디자인과련 교과목에 치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에서는 대학교의 기초적인 답습이 아닌 창의적인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안 제언을 한다. 첫째, 전문계고등학교의 실내디자인과 교과과정에 대한 개선안이다.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교과과정이 계속교육의 단계로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교별로 교과과정이 다르다 보니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교육에 대한 일관성이 없으므로 일관성 있는 교과과정을 제안하다. 교과과정은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디자인의 기초적 원리학습과 실제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 되기 위해서 1학년때에는 계열필수과목을 이수하는데 ‘기초제도’, ‘정보기술기초’, ‘공업입문’이 있는데 ‘공업입문’보다는 ‘디자인일반’을 이수해 디자인의 기본적 지식을 이해하고 2학년부터는 실내디자인과 권장과목인 ‘실내디자인’, ‘가구디자인’, ‘디스플레이’같은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정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실내디자인을 배울 수 있는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선택하지 않은 학교들이 있기 때문에 필수과목으로 지정해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 1,2학년 때 기초적인 학습을 바탕으로 3학년때는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을 해야 한다. 그리고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재량활동시간과 방과 후 활동시간을 이용하여 CAD, 3D-MAX교육등 실무에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게 해 실무지식을 익힐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전문계고등학교에서는 2,3년제 대학과 연계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교과과정의 연계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계속교육으로 교과과정이 바뀌어지게 되면 대학교의 교과과정과 연계해 불필요한 교과과정을 없애고 다양한 교과내용으로 교육을 받을 수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지금의 전문계고등학교에서는 대학교와 중복되는 교육을 피하고 질적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지금의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는 건축관련교과에서 파생된 한 부분으로 실내디자인과를 운영하고 있어 독립적인 학문으로 실내디자인을 교육하기는 힘들고 실내디자인과의 교과서가 지금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많으므로 실내디자인과에 대한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냇째,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 교사 대부분이 건축을 전공했으며 교사1인당 학생수도 24.1명으로 많은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실내디자인과를 특성화분야로 만들어 학급당 학생정원을 25명으로 만들면 교사1인당 학생수를 20명이하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사들에게도 변화하는 사회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는 실내디자인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재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여건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네 가지의 개선안을 통해 전문계고등학교 실내디자인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간다면 역량있는 실내디자이너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Landscape-Podium개념을 적용한 H-University 건축대학 계획

        이용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논문은 건축학과가 국제적 조건에 맞게 5년제로의 전환이 진행 중인 사회적 요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건축의 순수 학문의 측면에서 본질을 반영한 교육의 실현을 위한 시설 조건의 구체화를 그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근 건축가들은 도시의 전체를 통합하기위한 전략으로, 주변 환경, 도시에서 발생하는 유동적인 흐름과 행위들의 관계에 주목하고, 복합성이라는 현대사회의 특징을 담고자하는 대안으로 랜드스케이프 건축을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 하에 대학시설이라는 정형화된 unit 사이에서 랜드스케이프 건축 개념을 통해, 통합된 건축교육과 event의 장으로서의 대학을 구현해 보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5년제 건축 대학으로의 전환에서 오는 학제 변동에 대해 문헌 고찰과, 국내외 대학의 건축(공)학과의 소요 공간, 특히 설계 스튜디오 소요 공간의 기초 data를 수립한다. 둘째, 위에서 정리된 각론적 data를 바탕으로 landscape 건축이 갖는 비움의 방식, 바닥판의 연속, 경계의 조절, 판의 조작 등의 특징을 정리해 보고, 이를 건축 계획안에 반영해, 이러한 특성을 적용한 건축대학 계획안을 모색한다. 현대 도시성은 도시 전체를 통합하는 방법으로 Landscape 건축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Landscape 건축을 구현하는데는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유형화된다. ①비움의 방식을 통한 유연한 공간에 의한 현대사회의 불확실성에 대응 ②바닥판의 연속을 통한 주변과의 관계통합을 통해 전체성 회복을 목적 ③판의 조작을 통해 연속성을 획득, 인공적 지형판의 구축으로 주변 환경과의 통합을 지향 이상과 같이 도출한 Landscape 건축특성들과 특성들과 구현 방식을 H대학교 건축대학을 계획하는데 적용되었다. 판의 조작과 확장, 보이드를 통한 계획안은 사용자들이 대학을 이용하고 즐기는 가운데, 정보를 습득하고, 우연성을 경험하는 event의 장으로써, Landscape-Podium은 규정된다. 이는 자연과 문화, 일상의 장소나 배경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개념이며, 불안전하고, 고정되지 않으며, 유동적인 불확정성의 현대 사회를 담는 틀로써 많은 가능성과 시사성을 가지고 있다. This dissertation stems from the social demand that an architecture course's system should convert in international condition: Five-year-course. On the side of pure study of architecture, it materializes the facility condi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education which reflects an essence in that first objective. In addition, the recent architects are concentrated on the flow and the action occurs from cities as a strategy to unify the whole city and try to express the complex-a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ey suppose the Landscape-Architecture as an counterproposal. In this point,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university as a field of architectural education and event through the landscape-architect among the typical units of university's facilities. This research is progressed by two steps. First, investigating sundry documents about the reorganization of architecture course to five-year-system and establishing basic data of requirable space for architectural study, especially for a design studio. Second, arr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architect (the way of empty, successive slabs, control of the boundary, the regulation of slab, etc.) from these datum and suggesting a proposal of an architect college with these items. The modern city's characteristics show the concept of Landscape-Architect as a way to unify the whole city. The ways to realize the Landscape-Architect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①To cope with the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through the flexible space which is made by empty. ②To recover totality by combining the relation of circumstances with the successive slabs. ③To secure successiveness by control slabs and, unification with circumstances by constructing artificial ground. These three items are applied to the H-University project. Landscape-Podium is defined as an field of event where students get information and, experience accidents during studying and enjoying their school lives through control and expansion of slabs, and void. This concept pursues the unification with nature, culture, daily places and circumstances, is not fixed, and contains several possibilities to control the uncertain modern society.

      • 리우쟈쿤(劉家琨)의 건축에서 나타난 서사성(敍事性)에 대한 연구

        진사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51

        Having suffered several external invasions and internal wars in its long history, China has been taking steps to make up for losses from aggression and war in economy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ince modern times. The stimulus of globalized capital prompted China to want to stand out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pursue more excessive economic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ese situations have contributed to frequent appearance of buildings that value only economic purposes and visual expressions in modern architecture. It is difficult for these buildings to meet the spiritual needs of modern people who values various aesthetic pursuits or emotional experiences since they mostly pursue only the efficiency of capital, functionality and visual expression at a material level. At the same time, modern architectural aesthetics are facing new challe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 It is difficult to judge modern architecture by conditions of classical western architecture such as proportionality and geometric shapes.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e architectural community has been looking for a new method of research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of other studies, and has been constantly thinking about new methods of architecture. Philosophy, semiotics, psychology, and literature began to be mentioned in the architectural world in the late 20th century, as well as the study of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This combined study of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can help regain the identity of architecture and improve the situation in the atmosphere of modern Chinese architecture. Narratology originated from literature and has many things in common with literature. Liu Jiakun, an architect representing Chinese modern architecture and gai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has the background of a novelist, and his architecture and literature are closely related. His architecture, influenced by the novelist background, is showing a strong architectural narrative. Through the study of architectural narrative about Liu Jiakun, the study of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can be achieved.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and the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u Jiakun’s architectural thoughts and the architectural narrative that emerged from his architecture. Next, this study divides Liu Jiakun’s architectural works into period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narrative in each architectural work to find out the way Liu Jiakun reveals architectural narrativ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om the viewpoint of the narrative, Liu Jiakun's architectural thoughts and tactics permeate his architecture, which makes his architectural works have the strong narrative. Looking at the narrative in his architectural works from three perspectives, narrative theme, content, and structure, Liu Jiakun gives architecture the consistent narrative with the themes of humanism, the obvious spatial structure as a novel, and architectural elements combined with domestic elements and traditional techniques. He initially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and gradually changed into narrative expression. His artist's workshop series was most influenced by the novelist background. Centered on the spatial structure, novel-like narrative structures were evident in architecture. In 1999, Liu Jiakun founded his own architectural firm. The early days of this time was the turning point for him because there was a change in his architectural narrative. His works of this time such as Luyeyuan Stone Carving Museum and the Clock Museum of Chinese Cultural Revolution still showed novel-like narrative structure, but the expression of the narrative content had become richer than that of the series of artist workshops. Since then, he has been more interested in content expression than narrative structure in architectural works. In particular, Liu Jiakun, who works as a local architect, had a major earthquake in his hometown of Sichuan, after which he paid more attention to architectural materials and narrative content expressions. From the whole flow, his focus of architectural narrative has changed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into the narrative content.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his study deals with only modern architecture which has organized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narratology. However, even before the particular terms were established, there had been architectures that revealed narratology in modern China or even ancient period.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chitecture, which has been boasted of by China, borrowed many literary works such as old poems and old advisors and used their expressions and the composition of sentences for the buildings of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chitecture. Subsequent complementary studies on this part are needed. 긴 역사에서 여러 외적인 침략과 내적인 전쟁을 겪었던 중국은 근대부터 침략과 전쟁으로 인한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경제와 기초시설 등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화 자본의 자극으로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싶었던 중국은 더 높은 수준의 경제발전과 상업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현대건축에서 경제적 목적과 시각적 표현만 중요시하는 건축물이 빈번히 나타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 건축물들은 대부분 물질적인 차원에서 자본의 효율성과 기능성, 그리고 시각적 표현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학적 추구나 감정적 체험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의 정신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렵다. 동시에 디지털 디자인의 발전으로 인해 현대건축의 미학은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서양 고전건축에서 나타나는 비례, 기하학적 행태 등의 틀 조건만으로는 현대건축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건축계에서는 다른 학문의 관점으로 새로운 연구방식을 찾아 왔으며, 새로운 건축 구현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해 왔다. 20세기 후반 철학, 기호학, 심리학, 문학 등이 건축계에 언급이 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건축학과 서사학의 연구도 시작되었다. 이러한 건축학과 서사학의 결합연구를 통해 중국 현대 건축의 분위기에서 건축의 정체성을 되찾고 이러한 현황을 호전시키고자 한다. 서사학은 문학에서 유래되었으므로 문학과 깊은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 현대 건축을 대표하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건축가 리우쟈쿤은 소설가의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건축과 문학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의 건축은 소설가라는 배경의 영향을 받아 강한 건축적 서사성을 나타내고 있다. 리우쟈쿤에 관한 건축적 서사성의 연구를 통해 건축학과 서사학의 연구를 이룰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축학과 서사학의 관계를 먼저 다루고, 이어서 리우쟈쿤의 건축사상과 그의 건축에서 나타난 건축적 서사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리우쟈쿤의 건축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리우쟈쿤의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건축 작품들을 시기별로 나누어 각 건축에서 서사성의 특징을 분석하며 리우쟈쿤이 건축에서 서사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알아보려고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사의 시점으로 살펴본 리우쟈쿤의 건축 사상과 책략은 그의 건축에 스며들어 있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건축에서 강한 서사성을 느낄 수 있다. 그의 건축 작품에서 나타난 서사성을 서사적 주제와 내용, 그리고 구조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살펴본 결과는 리우쟈쿤의 건축에서 인문성을 가진 주제를 수렴하여, 소설과 같은 뚜렷한 공간적 구조로 향토요소나 전통기법 등과 결합한 건축 요소를 조직하여 일관성이 있는 건축에 서사성을 부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시기별 건축 특징은, 초기에는 서사적 구조에 중심을 두었으며 점점 서사적 내용 표현으로 변화하였다. 그의 초기 예술가 공작실 시리즈 건축은 소설가 배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공간 구조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소설과 같은 서사적 구조가 건축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1999년에 리우쟈쿤은 개인 건축 사무소를 창립하였다. 창립 초기 그의 건축 작품은 서사성의 변화가 생겼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는 전환 시기에 해당한다. 전환 시기의 그의 건축 작품인 녹야원석각박물관(鹿野苑石刻博物館)과 문혁지종박물관(文革之鐘博物館)에는 여전히 소설과 같은 서사구조가 나타났지만 서사적 내용의 표현은 예술가공작실 시리즈 건축보다 더욱 풍부해졌다. 이 두 프로젝트가 끝난 2004년 이후의 건축 작품들에서는 리우쟈쿤은 서사적 구조보다 내용의 표현에 대해 관심이 더 많아졌다. 특히 지역건축가로서 활동하던 리우쟈쿤의 고향인 쓰촨에 대지진이 일어났고, 그 영향으로 건축 재료나 서사적 내용 표현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 그의 건축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 그의 건축적 서사성의 중심은 서사적 구조에서 서사적 내용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의 연구범위에 비교적 한계가 있다는 점은 본 논문의 아쉬운 점이다. 중국의 근대, 고대 건축부터 서사성이 드러난 건축을은 이미 존재하였다. 특히 중국이 자랑해왔던 중국 전통 원림건축에서는 조원(造園)할 때 많은 고시(古詩)와 고문(古文) 등 문학 작품을 차용하였으며, 그 작품들의 의사표현, 문장조식 등을 원림건축의 구성에 활용하였음으로써 서사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대건축 이전의 시기에는 건축에서 서사성이라는 용어가 정립되지 않았고, 1969년에야 비로소 서사성에 대한 정의가 되었으므로 본 논문의 연구범위에 비교적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속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 디지털 건축에서의 프로세스 비교분석을 통한 형태변이 인자에 관한 연구 :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 중심으로

        박근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51

        21세기가 도래함과 동시에 인간의 생활 방식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보다 편리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건축에서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써 정형화된 형태의 추구가 아니라, 인간의 의한 문화에 의한 그리고 자연에 의한 욕구를 수렴함으로써 공간의 경계가 불분명한 형태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비동질성을 가진 혼합된 공간을 탄생시키게 되었고 비정형적이고 유기적인 디지털 건축 형태를 생성하기에 이르렀다. 생성된 디지털 건축 형태가 복잡하고 혼합적인 형태로 대부분 표현이 되기 때문에 형태 생성 프로세스들은 디지털 건축의 특성과 수많은 기하학 관점을 통해 생성과 변이에 대해 논리적 설명으로 정의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 시점과 같이 디지털 건축의 형태생성에 있어 한 가지 논리적 이론의 기준을 정하여 디지털 건축 형태를 정의한다면 디지털이라는 무한한 유기체적 방법론을 제한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건축의 내재되어 있는 다양성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논리적 측면에서 형태 분석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건축에서 형태변이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을 본 논문의 비교분석 기준으로 정하였다. 기하학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작품의 형태생성 프로세스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 가지 특성만이 아닌 또 다른 기하학의 내재된 특성과 변이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디지털 건축 형태변이의 무한한 다양성을 가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두 기하학의 표현 특징과 디지털 건축 최종 형태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위상기하학의 표현 특징으로서는 다양성이 존재하는 복잡성과 형태 변화에 따른 일관성, 그리고 복합적 형태 내에 존재하는 비동질성이 나타나고 있고, 표현 특징을 기반한 디지털 건축 형태로서는 연속적 관계에 의한 유동적 건축형태와 면의 재구성을 통한 맥락적 건축형태, 복잡하고 통합된 관계적 건축형태로 구성되어 진다. 다음으로 프랙탈 기하학 표현 특징으로서는 자기유사성, 무작위성, 비선형성, 불규칙성 등이 있고, 기하학적 생성자와 위상학적 생성자를 기반한 자기유사, 반복과 스케일링, 비규칙적인 왜곡, 연속적인 반복에 의한 중첩 등 형태 생성알고리즘으로 건축 형태를 구축한다. 형태 생성알고리즘을 통한 디지털 건축형태는 연속적인 변형에 의한 비예측적 건축형태, 혼합에 의한 비대칭적 건축형태, 비선형에 의한 유기적 건축형태, 이질성에 의한 상호 반응적 건축형태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형태생성 프로세스에서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이 나타나는 작품을 각각 선정 하였다. 위상기하학 특성이 나타나는 작품으로는 Son-O-House, Guggenheim Virtual Museum, ephemeralMATTER, Nuragic and Contemporary Art Museum, adaptiveARCHIVE, Euroscraper를 선정하였고, 프랙탈 기하학 특성이 나타나는 작품으로는 Cardiff Bay Opera House, Paris Courthouse(TGI), marinabay, Para-city, Bezalel Academy of Art and Design, Pompidou Two를 선정을 하였으며, 디지털 건축 작품의 형태생성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 특성을 갖고 있는 디지털 건축 형태는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의해 또 다른 기하학 특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과, 두 기하학 특성을 통한 최종 건축형태 분석에 의해 형태변이의 공통된 원리와 인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된 공통된 원리와 인자들은 형태생성 구성요소로서 공간경계 융해에 의한 연속성, 순간적 연결 관계에 의한 활동성, 실시간 반응에 의한 유동성과 형태 형성과정 구성요소로서는 복잡한 구성에 의한 혼합성, 다양한 형태간의 상호반응성, 형태의 비예측적인 반복성, 형태결과 구성요소로서는 이질화 된 형태의 이행성, 비선형 형태 구성에 따른 유기성, 전개적인 혼합에 의한 형태의 일체성 등이 두 기하학의 공통변이 인자로 존재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비교분석은 새로운 건축 형태변이를 설명 가능하게 한 도구이면서 더 나아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더불어 건축 형태변이 인자로 인한 다양한 방법론이다. 따라서 무한한 형태변이로 인한 디지털 건축의 내재된 다양성의 표현은 건축 형태변이의 한계점 넘어선 인간이 원하는 디지털 건축형태가 될 것이다. As 21st century started, people have pursued more convenient life through their lifestyle getting digitalized. Likewise, by introducing digital process, architecture searches not for the standardized space but for ambiguously bounded one, reflecting people's needs for culture and nature. Accordingly, the space with inhomogeneity program has appeared, and it ends up with creating complex and organic architectural forms. The process making such forms should be defined by logical explanation in terms of the creation and modification because the created form of digital architecture is expressed in complex and compounded shapes. However, if the form is based on one defined criterion of logical theory, it cause to limit the probability of making such sha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uch forms in multilateral and profound aspects for the inherent diversity in digital architecture. Especially,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Topology and Fractal Geometry, which a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methodologies in digital architecture, as well as the standard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ticipate the infinite diversity of the digital architecture by deducing inherent attributes and variance factor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jects with this two geometric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se two geometries and the final forms, the followings are coming. First, Topology shows diversified complexity, consistency of the program, and inhomogeneity(keeping each inherent characteristics) in compounded forms. The forms reflecting such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the form being in flux by means of sequent relation, a coherent form via facet reconstruction(no barrier between floors, walls, and ceilings) and relational form, which is complex and integrated. Second, Fractal Geometry's attributes are self-resemblance, randomness, nonlinearity, irregularity, and it builds architectural form by formation algorism, such as self-similarity based on topological generator, repetition and scaling, irregular distortion, and duplication by continuous repetition. At last , digital architectural forms, which are created by formation algorism, are composed of predictable architectural forms by continuous transformation, asymmetric architectural forms by compounding, organic architectural forms by nonlinearity, and mutual responsive architectural forms by heterogene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architectural works are selected, which are reflecting features of Topology and Fractal Geometry in process. As the works with Topological features, Son-O-House, Guggenheim Virtual Museum, ephemeralMATTER, Nuragic and Contemporary Art Museum, adaptiveARCHIVE, and Euroscraper are chosen, while Cardiff Bay Opera House, Paris Courthouse(TGI), marinabay, Para-city, Bezalel Academy of Art and Design, Pompidou Two are selected for Fractal Geometric works. In conclusion, the digital architectural works expressing features of Topology and Fractal Geometry demonstrated that the works inhere another geometric distinctions by comparative analysis, and there were common principles and factors of formation due to the ultimate forms of architectur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ometric studies. The analyzed common principles and factors of two geometric theories proved continuity by dissolution of space boundary, activity due to instantaneous connection relation, and mobility due to instant reaction as formation factors; mixture by complex composition, inter-reactivity among various forms, unpredictable repetition of shapes existents the factors of formation process finally, heterogeneous transference, organic according to nonlinear formation, expansive and compounded unity were showed as the factors of formation result. This comparative analysis from diversified perspective made the explanation of the new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possible, and is various methodology due to factors of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expression of inherent diversity of digital architecture due to infinite transformation will be the digital architectural type,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 of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and becomes what human desires.

      • 중국의 전통문화와 중국현대건축혁신의 연관 연구

        서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35

        현대건축의 반세기동안의 급속한 발전과정에 발로된 최대의 결함은 전통과의 격리에 있는바 세계의 문화가 다원화 내지 지역화추세가 강화되면서 각국의 건축사들은 모두 현대건축관념이 기술과 지역성 및 민족문화와 결부되어야 건축물이 영구적인 생명력을 부여받게 된다는것을 인식하고 있다. 전통건축문화의 승계와 현대건축의 혁신의 문제는 현대건축과 문화적 지역성, 민족성 및 다원화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하며 동시에 새로운 건축기술과 새로운 건축이념이 끊임없이 발전하는 전제하에서 어떻게 건축문화의 내재적 연속성을 확보할것인가 하는 등 다방면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건축사와 건축이론연구가들의 보편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상기문제에 대하여 많은 공동의 인식을 도출해내기는 했지만, 부동한 국가, 지역 그리고 개인사정에 따라 그 인식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보여지며 건축활동에서 취하는 방식이나 수단 또한 제각각임을 볼수 있다. 때문에 해당문제에 대한 연구와 토론은 우리나라 건축학계를 놓고 볼때 이론과 실천적인 면에서 모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건축의 혁신문제는 직업건축사들이 시시각각 예의주시하고 힘써 실천해야 하는 중차대한 문제로서, 건축물의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 그리고 정신적인것에서도 건축사들은 모든 설계안에서 새로운것의 창조에 힘을 기울여야 할바다. 이를 위하여 수천년간 인류는 끊임없는 노력을 하여왔으며 현시대에도 건축사들은 건축의 발전과 혁신을 위하여 여러측면으로 해당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일정한 성과를 취득하였는바 이러한 연구성과들은 우리들의 과제의 토대와 전제조건으로 되고 있다. 신합리주의(Neo-rationalism), 신네이티브파, 포스트 모더니즘, 해체주의, 하이테크파, 신모더니즘,간결파, 신표현주의(Neo-Expressionism), 유기주의 등 건축이념들이 있는데, 그중 일부는 전통문화승계에서 출발하여 현대의 혁신이라는 시각에서, 일부는 하이텍의 활용과 형식적인 혁신측면에서 건축을 다루는 등 여러측면으로 건축을 연구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문화의 세대의 격차를 경험하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라는 두가지 조화되지 못한 문화의 모순속에서 살아가고 있다.”우리나라의 많은 건축사들과 건축이론가들은 한편으로는 풍부한 건축문화전통을 보유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분 현대건축이론과 실천에 함몰되어 자기만의 독창적인 건축이론체계를 구축하지 못하였으며 “중국특색의”건축실천의 길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목전, 국내에서 해당 과제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혹자는 소개하는데에 그치고 혹자는 건축사, 심리학,철학 등 분야에 대한 연구에 기울어져 있으며 그 연구 또한 상대적으로 단편적이어서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고 전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중국의 건축학계는 반드시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교류와 비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이는 중국건축의 발전에 있어서 반드시 넘어야 할 단계이며 또한 세계적인 범위에서 보편적인 가치를 가지는 현실적인 사업이기도 하다

      • 장(場)개념 적용을 통한 병산서원의 형성과정과 공간구성의 조응관계(調應關係) 분석

        장혁진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35

        대물리학의 장이론 도입은 서양 세계관을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유기론적 세계관’으로 변화시키면서 대상을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적 사고가 아닌 ‘유기적 관계’로 사고방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동양은 기존의 유기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풍수지리와 음양이론을 통해 유기적 관계로서 전통건축을 축조해 왔다. 물리학 패러다임의 변화는 서양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에서 유기체적인 사고방식의 변화를 가져왔지만, 건축을 단순히 주체와 객체의 사고로서 바라보고, 기능적 측면 혹은 구성적 측면의 독립적 형태로 바라보는 시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동양철학을 바탕으로 축조된 전통건축마저 서양의 기존 사고방식을 통해 바라보고 있다. 이에 장이론의 개념과 특징을 인지적 관계의 측면으로 재해석하여 전통건축을 관계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축은 단순히 단편적인 결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완성되는 과정 또한 가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 중심적 사고가 아닌 과정 중심적 사고의 전환을 바탕으로 건축을 위한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건축을 더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관계적 측면의 건축개념인 조응건축(調應建築)을 새롭게 정의하고 조응건축(調應建築)의 관계요소를 환경적, 인문적, 인위적 관계요소로 분류한다. 그리고 조응(調應)건축을 살펴보기 위해서 건축의 형성과정을 탐색수용, 구축형성, 변화적응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조응(調應)관계와 축조된 구축물의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의 조응(調應)관계를 살펴본다. 실제, 환경과의 관계가 조화롭다고 불리는 우리나라 전통건축 중 하나인 병산서원을 사례로 선정하여 병산서원의 형성과정과 만대루 형성으로 인한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조응(調應)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전통건축을 전체 관계의 맥락 속에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조응(調應)의 개념을 바탕으로 실제 사례의 공간분석을 통한 건축 디자인의 응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역할로써 유효한 가치가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The change in the paradigm of physics converts way of thinking from the dichotomous thinking of the west to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but most of the point of view is that simply regard architecture as a thinking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the dominant view regard architecture as an independent form of functional or compositional aspects. Even traditional architecture built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is viewed through the existing Western way of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point of view that sees traditional architecture relatively by reinterpret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eld(場) concept. Since architecture is not only formed by fragmentary results, but the process of formation is also valuable, we can examine architecture more closely by converting way of thinking as process-focused thinking rather than result-focused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newly defines correspondence-architecture(調應建築), an architectural concept in terms of relation, and classifies the relevant elements of correspondence -architecture into environmental, humanistic, and artificial elements. And to examine the correspondence-architecture, this study divides the process of architecture formation into exploration/acceptance, construction/formation, and change/adaptation stages and examine the correspondence-relation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nstructed structure and the correspondence-relation(調應關係) at each stage.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spondence-relation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which is caused by the formation process of Byeongsan-seowon and formation of Mandaeru by selecting Byeongsan-seowon which is called the harmonious place with nature as an example.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that views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context of the whole relationship. This study is seen as an effective study as a role of It is judged to be a valuable study as a role that presents applicable basic information through space analysis of real cases.

      • 현대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현상학적 지각과 공간 경험에 관한 연구

        고광용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35

        Humans began life as they perceived light, and it may be said that the life is the successive time of experience through the perception of light. Humans accumulated experience as they interacted with the world through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their growth, and have developed themselves and society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Here, light, which is the basis of perception, was used to illuminate spaces or to represent religious symbols in the past, whereas it has offered new meanings to space as well as our lifestyle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methods for its expression are construed as having diverse meanings through the combination of aesthetic expression and functionalit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various presentation of light in architectural space creates emotional experiences via human perception. This light becomes the object of perception on its own as well as provides us with brightness for spatial perception. Moreover, light works as a physical medium that connects reason and sensibility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human as a visual expression medium, and plays the role of controlling human psychology. Each light designed for a certain purpose on this wise within space plays the role of expressing one organic space that has inevitable relationship as a whole. Like this, there is the element of light on the background of space; and component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ight change a perceiver's emotion as well as the atmosphere of space, and provide the space with vitality and energy. In addition, light creates changes in the user's emotion through spatial images provided, and has been used as a sensibility-controlling spatial component and an important element for designing architectural spac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In this context, light began to be perceived as a medium for phenomenological perception that influences senses of other body parts, not merely the visual medium. In particular, Richard Meier, Kuma Kengo, and Peter Zumthor as well as Steven Holl began to focus their design on spatial experience, which allows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space, using light as a medium in space. The reason for calling their architecture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is that they not only perceived light as the visual medium, but also perceived and designed light as the medium that vitalizes spatial experience by influencing other senses of the body in perceiving and expressing space phenomenologically,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study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e user of space does not simply perceive light, but experiences light with the body through physical intervention. Here, the physical intervention means spatial experience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ception, i.e., the sensation of all body parts, as well as visual sensation. Thu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light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as spatial elements and expression tools that vitalize the user's experience; and tries to analyze and synthesize spatial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 spaces that carefully used light among modern architects' cases of space.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talk about spatial experienc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diverse light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s. Here, the 'experience' carries a more or less abstract and comprehensive meaning, and is equivalent to our daily life in some ways, and so it is difficult to specify it logically. In addition, fundamental discussion is also needed about in what process spatial experience favorably spoken of is created. But as for experience in this paper, it needs research about which experience of a user is influenced in space by it, together with the perception of light, and how it is created in interaction with space. On this, the present study tried to arrang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s part of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and to investigate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in linkage to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how to interpret and apply the user's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e body, depth, movement, place, and time, which are the elements of spatial concept as well as the basis of perception suggested by Pont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a user's spatial experience were derived as 'perception based on movement,' 'perception based on experience and memory,' and 'perception based on changes in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light shown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were analyzed using the key words deriv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ight and space, the theme of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in which the user reads and feels space through phenomenological perception, were investigated. It may be said that this is a study to investigate how spatial components and images expand human sensation and vitalize spatial experience via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which is a non-material e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were investigated by dividing experience in terms of the body, place and temporality according to the inflow of light, which is the object of the study. Division was made into 'the vitalization of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erception of light on the side of the user, and 'spatial experience effects' from the standpoint of a space planner;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ffects were defined. This study ended with the conclusion that tries to find the future directions of space creation from the formation of space where reason and sensibility are merged, and the 'architecture of spatial experience made by light' through the expansion of sens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at effects the expression of light perceived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spatial concept and the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how phenomenological perception by means of light communicates with the meaning of spatial experience, thereby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light as a symbolic medium. Therefore, spatial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of light provides human with a new experience through the spatial implementation of light and phenomenological sensory stimuli transcending material limitations. Thus, the user who participates in space can newly vitalize experience within space through phenomenological perception provided by light. 인간은 빛을 지각하면서 삶이 시작되었고 그 삶은 빛의 지각을 통한 경험의 연속적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성장과정에서 지각을 통해 세상과 상호교류하며 경험을 쌓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과 사회를 발전시켜왔다. 여기서 지각의 토대인 빛이 과거에는 공간을 밝히고 종교적 상징을 의미하는 용도였다면, 산업혁명 이후 우리 삶의 방식뿐만 아니라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표현 방법 또한 미적인 표현과 기능적인 부분과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건축공간에서 빛의 다양한 연출은 인간의 지각에 의해 감성적 경험을 생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빛은 우리에게 공간 지각을 위한 밝기를 제공할 뿐 아니라 빛 그 자체만으로도 인식의 대상이 된다. 더욱이 빛은 시각적 표현매체로서 인간과 상호작용하여 이성과 감성을 이어주는 물리적 매개체로 작용, 인간의 심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공간에서 일정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각각의 빛은 전체적으로 필연적인 관계를 가지는 하나의 유기체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공간의 바탕에는 빛이라는 요소가 있고 그 빛을 통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밀접한 연관성을 갖으면서 공간의 분위기와 지각자의 감정까지 변화시켜 공간에 생명력과 활기를 부여한다. 또한 제공되는 공간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일으켜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감성을 지배하는 공간구성 요소로 건축공간을 디자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근대건축 이후, 빛이란 요소도 단순히 시각적 것만이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분의 감각에 영향을 주는 현상학적 지각을 위한 매개체로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스티븐 홀을 비롯하여 리차드 마이어, 쿠마 켄고, 페터 춤토르 등은 공간에서 빛을 매개로 사용하여 공간을 현상학적으로 지각하게 하는 공간 경험에 디자인의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그들의 건축을 현상학적 건축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한 것처럼 빛을 시각적 매체로만 인식한 것이 아니라 빛이 신체의 다른 감각에도 영향을 주어서 공간을 현상학적으로 지각하고 표현하게 하여 공간 경험을 활성화 하는 매체로 인식, 디자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현대 건축공간에서 공간 사용자가 단순히 빛을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개입을 통해 빛을 몸으로 경험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신체의 개입이란 단순히 시각적 의미뿐만 아니라 온 신체 각 부분들의 감각이라는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 경험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 건축공간에서 빛의 현상학적인 지각과 표현이 공간 사용자의 경험을 활성화시키는 공간 요소이자 표현 도구로 인식, 현대 건축가들의 공간 사례 중 빛을 세심하게 사용한 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경험 특성을 분석, 종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건축공간에서 다양한 빛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여기서 ‘경험’이란 다소 추상적이고 포괄적 의미로 어찌 보면 우리의 일상에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구체화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좋다고 표현하는 공간경험이 어떠한 과정 속에서 생성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 또한 필요하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의 경험은 빛의 지각과 함께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경험에 영향을 미치며 공간과의 상호작용 속에 어떻게 생성되는가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빛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을 효과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통해 공간의 의미와 특징을 정리하고, 경험개념의 이론적 특성과 연계하여 빛의 현상학적 지각에 따른 공간경험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퐁티가 제시한 지각의 근거이자 공간개념 요소인 신체, 깊이, 움직임, 장소, 시간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시키는지 알아보고, 경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용자에 의한 공간 경험의 특성은 ‘움직임에 따른 지각’, ‘경험과 기억에 따른 지각’, ‘시간 변화에 따른 지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통해 현대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현상학적 지각과 표현에 의한 공간경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제인 자연광인 빛과 공간 관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현상학적인 지각을 통해 공간을 읽고 느끼는 공간 경험의 표현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비물질요소인 빛의 현상학적 지각에 의해 공간 구성요소 그리고 이미지들이 인간의 감각을 확장, 공간경험을 활성화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인 빛의 유입에 따라 신체, 장소, 시간성의 경험으로 나누어 빛의 현상학적인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는 사용자 측면의 빛 지각에 따른 ‘공간경험의 활성화’와 공간 계획자 입장의 ‘공간경험 효과’로 구분하여 그 특성과 효과를 정의하였다. 이처럼 빛은 이성과 감성이 융합된 공간형성, 그리고 감각 확장을 통한 ‘빛에 의한 공간경험의 건축’으로 앞으로 우리가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공간개념을 바탕으로 지각되는 빛의 표현과 빛에 의한 현상학적 지각에 의한 공간경험이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말하고 있다. 또한 빛에 의한 현상학적 지각이 공간경험의 의미와 어떻게 상통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여 상징적 매개체로서의 빛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따라서 빛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공간경험은 빛이 공간을 구현하며 물질적인 한계를 초월한 현상학적 감각 자극을 통해 인간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로서 공간에 참여한 사용자는 빛이 제공하는 현상학적 지각을 통하여 공간에서 새롭게 경험을 활성화 할 수 있다.

      • 현대 박물관건축에 나타난 건축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조성춘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35

        A Study on 'Architectural Publicity' revealing in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 Focused on Perceptual Phenomenology and Minimalism - CHO, Sung-Cho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Namseou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 Kyung-Soo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design is to deal with ‘a life inducing arbitrary behaviour’ that is more than the matter ‘to satisfy functions in human life’, and the ‘life’ just mentioned here means a human correlation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to the course of architectural style.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draw out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space & form and life areas as architectural styles.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emphasized in functional efficiency or economic rationality, consequently showing homogeneous space sense in which meaning for each role is decreased. Area of architecture is curtailed and simplified more and more without consideration of its intrinsic value and meaning reflecting individuality. Thus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space by modernism patterns caused the loss of human being and standardization which was being followed by the loss of natural identity of human be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reak from the dualistic way of thinking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the Phenomenology and minimalism, and prepare the groundwork for the human publicity recovering their identity by observing human body. Museums have developed differing their concept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ir function and social role also have underwent many changes. From the concept that they simply collect data or works to preserve and exhibit to the role-taking of citizens education as the space of mass culture open for citizens. Such change in concept generated the change in museum space construction. That is, the museum architecture settled down as a architectural style post -18th- century, raise their interest in education?research areas as the public space open for the mass with exhibition areas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the public and exhibits after 1970th, showing their effort to make opportunities for the general public to be close to the exhibits easily, and those results are seen in spatial matches following various researches and program diversifying of the museum which are actually built. 1980th is the time those efforts are settling down, and the traits of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museum built at that period is the groping for a new way that the 21th century's museum architecture should go. Especially, from the analysis on currently built museums, it appears that as the public numbers using education?research areas increases, pavilions which were only for noble class in the past time are changing newly into social public institutes for general public. This study required two methods, one is an inquiry into documents, and the other one is analysis of cases, and with the former one, an analytic frame was developed standing on the phenomenology, minimalism & arrangement of museum's concept and role, and with the latter, an expression aspect of ‘Architectural Publicity’ revealing in the museum architecture was settled down. Those cases selected from the works post -1980thwhich show a great change in the appearance time of new architectural spatial concepts and museums's history and 9 works by 7 architecture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defining Perceptual Phenomenology by M. Merleau-Ponty, three concept elements were deduced, and drew out 4 concept elements which defining the phenomenological spatial concept among architectural concept that explain minimalism to use as a standard of selecting cases and preparing analytical framework. To here 6 elemental spatial traits(Openness, Accessibility, Amenity, Sequence, Transparency, Symbols)which embodying Publicity were grafted together to complete the analytical framework. We sought for a direction of embodiment of publicity by planning Phenomenology theory dealing in this study as architectural design principle and then expressing archit

      • 바이오모픽 建築의 表現特性과 디자인 思考體系에 관한 硏究

        김정신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8735

        Architects for about twenty years before or after the 1980s have had interests in mixed and heterogeneous forms. Their works were to comb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form in various phys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 Those architectures are the logic to define potential antagonism between unalike elements, through the strategy of discontinuous, split and heterogeneous diagonal form, which is based on the mixture and antagonism of program, and express the differences in the extreme contradiction of form, through antagonism. In the other side of the tendency maximizing the antagonism and conflict, an alternative that can recover to simplified architectural language again was required. Although post-modern architecture, which dominated the 1980s, increased quantitatively, it was not a perfect alternative against modernism. For architecture after that time, strong desire for new alternative was maximized, due to antipathy to both the excessive formalism of the deconstruction architecture and fractioned, heterogeneous forms. Modern architecture at the point of time required the advent of architecture which is able to create vital, dynamic new situations, has strong vitality, and has consistent behaviorism dispositi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thought system of the categories of architecture, which have concrete specialty in the messiness of modern architecture having mixed aspects since deconstruction, are analyzed. This study was begun on the premise that architecture which has the definite disposition for survival even in the urban, social structure of that uncertainty and constructs specialty is biomorphic architecture. This study was made with the following four specific purposes largely.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at appears in the tendency that modern architecture develops into the architecture of de-stereotype and new form, its meaning and definition are examined. Second, the analysis of biomorphic architecture is investigated and the generation causes of biomorphic architecture are classifi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background of circumstantial construction and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The analysis about how the causes are applied architecturally and generate biomorphic architecture is made. Third, analyzing the example works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re deduce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 works are analyzed by dividing the categories deduced by the system of three generation cause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at appears by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the main generation causes are analyzed. Fourth, by analyz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architecture, which expresses the vitality of organism, as the design thinking system, are investigated. The main range of this study includes the modernism architectur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internationalism style which is quickened based on the historical vanguard experiment, the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appearing presently by various forms and expression techniques, and the digital architecture which reconstructs virtual space. In the study, the possibility of digital technology as a medium forming interactive relations with users is observed. The progr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Wit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semantic analysis of biomorphic architecture is made and the conclusions are deduced. Next, analyzing biomorphic architecture from the standpoint of morphological generation, what a certain generation cause is being applied to architecture through a certain mechanism is analyzed, and with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the basi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udy is prepared. The generation causes are analyzed by the philosophy of organism,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having an influence on the genera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environment of uncertainty, which is the background of circumstantial construction, and the interactive technology, which is the concrete method of communication. The example works analyzed centering around the generation causes of biomorphic architecture represent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anifestation of fluid phenomena, the generality of the complex system information and the flexible expansion. The manifestation of fluid phenomena is characterized by the opportune development of interaction without rank phenomena and the phasic transformation of multi layer for the analysis of the new traffic line system. The generality of the complex system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 construction of unpredict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agram. The flexible expansion is characterized by the fluid changeability by variables and the interaction that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s in real time is possible. The design thinking system was deduced throug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design thought system is analyzed into dissipating structure, real-activity, and incompleteness. Dissipating structure is the thought system constituting active activity organization through the form development by feedback and the convergent development. Real-activity is the thought system for constructing active diagram and reconstituting complex environment information. Incompleteness supports the action of users having mixed identity and is the thought system of interactions by the smart network. The first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biomorphic is able to transmit effectively the potential of growth which life has in the form of a certain individual having vitality existing in space and time everywhere, namely, life having autonomous existence structure, which repeats self-multiplication and breeding. The second conclusion is that the generation causes of biomorphic architecture are an organic philosophy, a uncertainty environment and a curved surface modeling digital technology. Biomorphic architecture makes the realization of simile form using the procedural principle represented by in natural phenomena. The form here is difficult to define and for which unphysical interactions that change through reaction are possible. The third conclusion is tha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ecture are a revelation of fluid appearance, wholeness of the complicated data community and a geometry collision increase. Biomorphic architecture shows, through decentralized and not ranked phenomena, the characteristics of topological form by opportune development and multi-layer, shows, through the construction by interactions of in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constituting the program as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and the diagram of dynamic information, and shows, through fluidity, th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fluid changeability and fluidity with virtual meaning. The fourth conclusion is that the design thinking system of biomorphic architecture analyse a dissipation structure, a multi-position network and a active polylogue. A dissipation structure analyze a form evolution by feedback and a active structure through a convergence evolution. A multi-position network analyse a active diagram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complex environmental data. A active polylogue analyze a support of user activity and interaction by smart network. The ideal architectural space of the future is a combination of digital space, physical space and emotional space, biomorphic architecture is serving as bridgehead which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the future architectural space. 본 연구는 해체주의 이후의 혼성적 양상의 현대건축의 혼란스러움 속에서도 구체 적인 특성화를 가지고 있는 건축범주들의 디자인 특성과 사고체계를 분석하였다. 이 러한 불확정성의 도시 사회구조에서도 생존을 위한 뚜렷한 성향을 가지고 특성화를 구축하는 건축을 바이오모픽 건축이라고 본 연구에서 전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다름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현대건축의 탈정형적이고 새로운 형상의 건축으로 전개되어 가는 경향에서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건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의미와 정의를 고찰한다. 둘째, 바이오모픽 건축에 대한 해석을 고찰하고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요인을 이 론적 배경 ․ 상황적 구축의 배경 ․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에서 분류한다. 이러한 요인들 이 건축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어 바이오모픽 건축을 발생시키는지 분석한다. 셋째, 바이오모픽 건축의 사례작품을 분석하여 표현특성을 도출한다. 사례작품의 표현특성은 세 가지 발생 요인의 체계에 의해서 도출된 범주를 나누어 분석하여 주요 발생요인의 건축적 적용에 의해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건축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기체의 생명력을 표현하는 건 축의 디자인 사고체계로서의 의미와 가능성을 고찰한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는 역사적 아방가르드 실험을 바탕으로 태동한 국제주의 양식 바이오모픽 建築의 表現特性과 디자인 思考體系에 관한 硏究 弘益大學校大學院建築學科金貞信 指導敎授李榮秀 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건축부터 현재 다양한 형상과 표현기법으로 출현하고 있는 현대건축과 가상공간을 재현하는 디지털 건축의 영역까지도 연구의 범위로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 인터랙티브한 관계를 형성하는 매체로서의 디지털 테크놀러 지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바이오모픽 건축의 이론적 형성 배경과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건축에서 가지는 의 미론적 해석을 분석하였다 의미론적 . 해석을 통하여 바이오모픽 건축의 정의를 추출 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요인이 추출되는 과정을 분 석하였다.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요인은 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특성을 형성함에 구 체적인 작용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마지막 과정인 디자인 사고체계의 전체적인 틀을 마련해주는 기본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오모픽 건축은 자체 증식과 번식을 반복하는 자율적 생존구조를 지닌 생 명체의 형상으로 생명체가 지닌 생명현상의 잠재력을 형태로 구체화한 건축이라고 정 의하였다. 바이오모픽 건축은 건축 중심에 있는 생명력을 활기나 생기가 아닌, 정보 ․ 언어 ․ 명령들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하여 동적 구조체인 바이오모픽 건축은 실시간으로 새로운 정보를 해석하였다. 둘째,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요인은 유기체 철학, 불확정성의 환경, 곡면조형 디지 털 테크놀러지로 분석되었다. 새로운 건축 발생의 배경에는 건축 관련 구성요소와 환 경과의 유기체적인 통합의 특성이 작용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전개를 통하여 바이오모픽 건축 발생요인은 이론적 ․ 상황 구축적 ․ 커뮤니케이션 방 법을 배경으로 분석되어 연구되어졌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특성은 유동적 현상의 형태화와 복잡계 정보의 총체성과 기하충돌 확장성으로 분석되었다. 유기체 철학의 발생요인과 연관성을 가지는 유동적 현상의 표현특성은 위계현상 없는 상호작용의 계기적 진화와 새로운 동선체계 해석의 다층적 레이어의 위상학적 변형의 세부적 표현특성에서 도출 되었다. 불확정성 환경의 발생요인과 연관성을 가지는 복잡계 정보의 총체성의 표현특성은 탈 구조화된 유연한 프로그램과 비예측적 환경정보의 다이어그램 구축의 세부적 표현 특성에서 도출되었다. 곡면조형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생요인과 연관성을 가지는 기하충돌 확장성의 표 현특성은 변수에 의한 유동적 가변성과 실시간 여러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상 호작용의 세부적 표현특성에서 도출되었다. 넷째 바이오모픽 건축의 디자인 , 사고체계는 소산적 구조와 다거점 네트워크와 활 성적 폴리로그 체계로 분석되었다. 소산적 구조의 디자인 사고체계는 피드백에 의한 형태진화와 수렴적 진화를 통한 능동적 활동조직을 구성으로 분석되었다. 다거점 네 트워크는 활성적 다이어그램 구축과 복합적 환경정보의 재구성으로 분석되었다. 활성 적 폴리로그 디자인 사고체계는 혼성적 정체성의 사용자 행위지원과 스마트 네트워크 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분석되었다. 바이오모픽 건축가들은 과거에 고유의 맥락적 갈등으로부터 복합과 대립이 생기던 곳에서, 불특정한 위치와 비일상적인 재료, 유연한 프로그램들을 자신들의 개별적 이 질성을 유지하며 건축 속에 유연하게 침투시키고 있다. 이 유연한 방식은 불연속적 요소들의 절대적 응집이 아니라 자유로운 요소들 사이의 잠정적 ․ 집중적 ․ 국부적 연 결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것은 건축물 표면의 인위적 조작을 통해 건축 공간 의 모호함을 만들려는 건축적 유희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 조작이 단 순히 인체나 동물의 형상만을 모방하는 피상적인 역동적인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 아 니라, 최근 급변하고 있는 문화적 역사와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반영하여 새로운 흥미 로운 발견의 역동적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다. 건축은 이미 오래전부터 생명체로 존재하고 있었다. 건축은 인간과 함께 성장하고 변화되어 오면서 인간의 삶을 담으며, 생명현상의 탄생과 진화와 소멸의 과정을 통해 가시적 ․ 비가시적인 결과물들을 생산해왔다. 건축가는 생명체의 창조자가 되기를 강 요받고 있는지도 모른다. 인간은 신이 아닌 이상 완벽한 건축을 구축할 수는 없다. 이러한 미완벽성이 지속적인 건축의 실험적인 구축과정을 시도하게 하고 발전시켜 나 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미래의 이상적인 건축공간이 디지 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과 감성적 공간의 결합이라고 한다면, 바이오모픽 건축이 미래 건축공간으로 진행되어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교두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 다. 바이오모픽 건축의‘유동적 현상의 형태화’ 표현특성에서 생명체의 지속적인 생 명현상과 자기 조직적 진화특성을 반영하는 소산적 구조의 디자인 사고체계를 도출시 킬 수 있다. 소산적 구조의 디자인 사고체계는 피드백에 의한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능동적인 활동조직을 지원하면서 정형화된 관계성을 탈피한 유동적 열린 구조의 특성 을 갖는다. 바이오모픽 건축은 불확정성 환경의 비예측적 혼성・탈구조・탈중심 위계구조를 통해서 복잡계의 정보를 총체적으로 구현하려는 표현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표현특 성을 통해 바이오모픽 건축의 디자인 사고체계는 비선형적 ・비위계적 특성의 다거점 네트워크로 분석된다. 바이오모픽 건축의 다거점 네트워크 디자인 사고체계는 여러 개의 거점이 다양한 링크로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건축 구성 정보의 총체적인 관계성 을 갖게 한다. 바이오모픽 건축의 곡면조형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유연성과 분열성의 현상을 통해 서 '기하충돌의 확장성'이라는 표현특성을 나타낸다. 이 관계성을 통해 분석된 디자인 사고체계는 이질적인 다층구조의 활성적 폴리로그(polylogue)이다. 활성적 폴리로그 디자인 사고체계는 건축 구성요소와 주변요소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바이 오모픽 건축의 상호작용 확장성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의미론적 해석과 상황적 배경을 통해 단순히 생명체의 형상만을 표현하 는 건축으로서가 아닌, 현대건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바이오모픽 건축의 체계적인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배경 과 요인의 세부적인 분석은 추후 연구되어져야 할 구체적인 디자인 구축방법의 방향 성을 제안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