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우리나라 건축산업과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과의 상관관계 연구

        하수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문초록 우리나라 건축산업과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과의 상관관계 연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 건축 산업의 경향 및 변화 동향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변화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우리나라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에 대해 미리 예측해 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 건설 산업의 개념․특징과 공업교육의 개념․범위․목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런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의 건축 산업의 역사와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역사를 문헌 및 선행 연구, 학술지 자료 등을 통해 광복 이전․이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위의 방법에 의해 우리나라 근․현대사 건축 산업의 특성을 시기별로 나누어, 광복 이전의 구한말은 우리나라 건축 산업의 전통과 외래 건축의 도입되는 시기였고,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건축교육은 학교와 교사의 수, 이론 및 실습 교재 등이 턱없이 부족하였고, 이런 이유 때문에 근대 건축교육이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의 식민 정책과 외래 건축의 형성과 한국인에 의한 새로운 건축적 시도가 이루어졌던 시기였고,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건축교육은 일제에 의한 공업학교가 설립되었고 광복될 때까지 이 땅에서 건축가를 양성하는 거의 유일한 교육 기관이었다. 그러나 교육 수준과 내용은 높지 않았으며, 당시 일본의 보통공업학교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표면적으로는 한국인을 교육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학생 대부분이 일본이었고, 한국인의 입학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건축 산업은 전후 복구 사업과 급격한 서구화의 진행 및 전통성의 논의, 그리고 주체적 역량의 발휘 및 한국 건축의 방향성에 대한 모색 등이 이루어졌던 시기였고, 광복 초기에는 일본식 건축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한국전쟁 후 대한민국 수립 때부터는 미국에 의한 건축기술과 교육이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1962년부터 시작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1970년 중반부터 시작된 해외건설의 진출, 1980년대 서울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 등으로 우리나라의 건축 산업은 외래 선진 건축기술 도입과 한국 전통의 건축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초고속 성장을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건축교육도 공업계 고등학교 및 교사의 수, 새로운 이론 및 실습 교재 등이 도입되어 가장 많이 발전되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은 IMF 경제위기로 인해 건설업체의 부도가 급증하고 공사물량 부족, 업체 난립, 수익성 악화, 해외시장의 대외신인도 하락 등 4중고로 건설 산업의 붕괴위기라는 사상 최대의 시련기를 겪었다. 이런 건설 산업의 위기로 인해 졸업을 하더라도 일을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 또한 크게 위축되었던 시기였다. 이처럼 우리나의 건축 산업의 변화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시기별 건설 산업의 변화에 따라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의 교육과정도 그 상황에 맞게 변화한 것이다. 이런 우리나라의 건축 산업의 변화 동향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변화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공업계 건축교육의 교육 과정 예측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건축교육을 이루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건축 산업의 변화 동향만을 분석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변화 동향을 파악하였다. 앞으로 계속되는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 교육과정의 변화가 실제로 건축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건축교육 , 공업교육 , 교육과정 , 건축산업 , 공업계 고등학교

      •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과 교육과정 분석

        이경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공업계고등학교 제 6차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각 학교의 교육과정과 실시되는 교육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과 각 학교에서 실시되는 교육과정과의 적합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리나라 공업교육과정의 고찰과 제 6차와 제 7차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과 교육과정 개관, 그리고 전국에 분포된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과 교육과정 분석은 첫째, 교육인적자원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인천지역의 5개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나누어 제 6차와 제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전문교과 교육과정을 학교별과 과목별로 분석하였다. 위의 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5개 학교의 교육과정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과 거의 흡사하게 편성되었기에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시한 교육과정과 각 학교의 교육과정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겠으나 경직된 제도를 가지고 공업계고등학교를 통제하는 것은 급변하는 산업체 요구에 대처해야하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현실과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교육인적 자원부가 제시한 교육과정과 각 학교의 교육과정은 적합할지라도 급변하는 산업의 변화와 요구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정이 교육 현장 중심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시한 교육과정과 각 학교의 교육과정은 적합할지라도 세계화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인 기능 ·기술인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서울·인천지역 5개교 공업계고등학교 만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이수단 위에 대한 비교 분석만을 하였으므로 앞으로 계속되는 연구에서는 건축과 교육 과정의 각 과목들이 얼마나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시대가 요구하는 산업현장의 기술·기능인으로써 필요한 과목으로 채워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mpatibility between education curricula off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ose adopted in school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e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a performed in schools, centering on the 6th and 7th Educational Curricula for industrial high schools. With regard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industrial education curricula in Korea and the outline of the 6th and 7th Education Curricula for the construction depart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s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construction departments in industrial high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Analysis of educational curricula for the construction depart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s was focused on, firstly,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five industrial high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classifying them into general and special ones based on the 6th and 7th Educational Curricula.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a by schools and by subjec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out of the result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five schools were organized similarly to those sugges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is shows that the curricula of each school are compatible with those suggested by the ministry. However, controlling industrial high schools with an inflexible system is far contrary to the reality of industrial high schools that have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areas. Therefore, although the educational curricula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re compatible with those in each school, it is still necessary to transform the educational curricula fitting the education fields to respond flexibly to rapid changes and demands in industr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curricula to develop creative technicians and technologists who will lead the society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Furthermore, because this study analyzed only the credit units of educational curricula for five industrial high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future studies must be continued on how deeply each subject are handled in the course of construction education and what subjects are required for developing technicians and technologists who can meet the demands from industrial fields.

      • 전문계고등학교 건설교과 교사들의 실습기자재 활용실태 및 활용도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공립공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주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43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전문계고등학교 건설계열학과에서도 다변화하는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다기능 전문 인력을 양성 하고자 학교의 실습기자재를 현대화, 첨단화를 도모하고 있고, 이에 맞추어 교사들의 실습기자재의 활용 및 활용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실습교과 비율은 전국적으로 거의 비슷하게 운영되고 있는데,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고등학교 건설교과 분야의 실습 교육도 3개 학년 과정 중 50%이상의 높은 비율로 실습교육이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전문계공업고등학교 교사들의 기능 실습 관련 기자재 활용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자재의 활용 및 활용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기능 실습을 통하여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 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6개 공립 공업고등학교 건설계열과 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하였고 조사 도구는 연구자가 기초자료, 기자재 현황, 기자재 활용도, 기자재 활용도 향상 방안 등 4개 영역 44문항 설문으로 구성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자재 관리를 위한 기능직 요원이나 실습 보조교사 등 별도 전문 관리 인력의 필요성이 85.4%로 나타났다. (2) 실습기자재 활용이 어려울 때 동료 자율 장학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비율이 64.6%로 나타났고, 동료 자율 장학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81.2%로 나타났다. 52.1%는 학교의 교과활동 외 공무활동이 동료 자율 장학에 지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과중한 업무가 해소되기를 희망했다. (3) 다변화, 첨단화하는 현장의 기술의 변화에 맞추어 실습내용을 지도 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으로부터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전문분야 직무 연수의 필요성을 87.6%의 교사가 느끼고 있다. (4) 교사들에 대한 교육 관련 직무연수가 학점화 되어 관리자 승진에 반영됨으로서, 경기도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연수에 참여하고자 하는 선생님의 비율이 62.5%로 나타났고, 전문분야 직무 연수도 사이버 연수로 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5) 교원자격검정령(2000.1.28 교육부령 제761호)에 따른 건설과 교원자격검정령에 의하여 임용되어 현직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교과 전문성 대하여 95.8%가 문제점이 많다고 생각하며, 특히 실습교과 지도에 대한 어려움이 72.9%로 나타나 제도 개선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교원자격검정령에 대한 개선안으로 토목· 건축과 각각 전공별로 분리하여 재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72.9%로 나타났고, 경기도교육청 주관으로 전문분야 직무 연수를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16.7%로 나타나, 교원 배치 후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 등이 필요하며, 아울러 건설계열과 뿐 만 아니라 화공·섬유, 기계·금속 등 다른 전공교과도 효율적인 교육을 위하여 체계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tual use, increase the frequency of exercise materials and devices by teachers because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making their exercise materials and devices be more modern. They want to be state-of-the-art, in order to grow multi-functional specialized workers awareness of the construction sites changed variously. The rates of exercise classes carried out in that high school are nationally similar and the rate of the exercise classes for the construction subject carried out by the high school that I'm working for is about 40% to 50% high on average. Therefore, through the research of the actual use and the problem of the exercise materials and devices by the teachers, I am suggesting the idea to increase the frequency and the efficiency so that the educational effect can be increased and maximized. The object of this research and analysis is construction divisions of 6 public industrial high schools in Gyung gi province and 51 teachers. And the research includes 44 questionnaires on 4 areas such as basic information, current possession of the exercise materials and devices,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idea to increase the frequency.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necessity of designated assistant for managing the exercise materials and devices is 85.5% (2) The rate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olleague self encouragement' when it is difficult to use the exercise materials and devices is 64.6% and the rate answering that 'colleague self encouragement' is helpful is 81.2%, and 51.2% of the teachers hoped that heavy administrational work should be reduced. (3) 87.6% of the teachers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specialized job training for the new technology from the related institutions to teach students fitting the state-of-the-art sites that are changed variously. (4) 62.5% of the teachers want to take part in the trainings organized by the Gyung gi province education authority due to the fact that the scores from the trainings related educational jobs influences the promotion of managers. On the other hand, it is acceptable for them to take part in the trainings for technological area through cyber space. (5) 95.8% of the incumbent teachers appointed by 'Construction subject teacher qualification order' under 'Teacher qualification order (2000. 1.28 Education ministry order Nr. 761) are thinking that there are a lot of problems about getting specialty on subjects and 72.9% of them have trouble teaching exercise class. Therefore they desire to improve the system. (6) As an idea to improve 'Teacher qualification order', 72.9% of teachers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ubjects insist that they be reassigned on the basis of their major and 16.7% of them insist that specialized job training for them be carried out by the Gyung gi province education authority. It means that training, management etc. based on the system are necessary after assignment of teachers and the systematic research and examination are necessary for efficient education, not only for construction subject, but also other subjects such as chemical industry & fiber, machine & ir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