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미연결망분석을 적용한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간호연구의 지식구조

        정상희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박사

        RANK : 23433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e keywords and topics of adolescent mental health research over the past 20 years to better understan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nursing. To establish a developmental strategy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the accumulated data gathered from nursing research were analyzed, understood, or visualized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of 1,714 articles published between from 2002 to June 2023 were selected in databases(Medline,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CINAHL, Scopus, ERIC, Education Source, and Wiley Online Library). And domestic databases were retrieved from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6,968 words extracted,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ver. 4 program. The LDA algorithm was used to confirm topics and trend trends by period. Word network maps were created based on standardized measures of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The most important keywords were 'schoolwork', 'somatic symptom', and 'well-being'. Six topics were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into four periods for 5 years, adolescent mental health-related nursing research were divided into six topics. Topic 1 was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consisting of information and programs to adjust the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adolescents and the decline in self-esteem due to academic performance. Topic 2, emerging from the adaptation to school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leading to physical and emotional imbalance, was identified as 'Somatization Disorders due to School Adaptation'. Topic 3, reflecting conflicts within the family or experiences of being ostracized at school, was named 'Victimization of Adolescent Bullying'. Topic 4 was termed 'Risky Behaviors of At-risk Adolescents', with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in crisis situations emerging as key terms. Topic 5,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and Management', was composed of health management for adolescents with suicide attempt experiences. Topic 6, exploring factors affecting well-being, was named 'Influencing Factors on Adolescent Well-Being'. The trend analysis of topics over time showed increasing trend for all topics. In the centrality analysis of topic trends in adolescent mental health nursing research, common terms throughout the periods included 'schoolwork', 'somatic symptom', 'well-being', and 'inform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over the past 20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chool and developmental issue related to adolescent mental health. In order to promote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and prevent risk behaviors,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should be developed in nursing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researchers expand the range of knowledge through collaborative author networks and advanced studies on citation networ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중소병원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갈등경험

        김성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35

        Registered nurses are responsible for care activities and nursing outcomes as a leader of a nursing care team including nursing assistants. As comprehensive nursing care has been expanded in Korea, RNs’ leadership role has become more critical. However, RNs have experienced conflict with nursing assistants, which seems to be more seriou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Nurse managers have to understand the conflict between RNs and assistive nursing personne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type of conflict so far, and thu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ir experience of conflict, focusing on perceived causes of conflict and how to manage it. Eight RNs and eight nursing assistants from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ith fewer than 300 beds participated in a face-to-face, individual interview from November 2018 to August 2019. The data was analyzed applying Braun and Clarke (2006)’s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causes of conflict between RNs and nursing assistan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unclear boundarie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 burden due to deficient performance of nursing assistants,” “low staffing levels in nursing,” “low understanding of job roles,” and “lack of mutual respect.” RNs and nurse assistants adopted different approaches for their conflicts: “avoidance,” “responding to the person concerned,” “seeking mediation of a nurse manager,” “resignation,” and “refreshing oneself by sharing one’s conflict experience with peers.” To prevent the conflict, it is recommended that the roles and the scope of practice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abided for RNs and nurse assistants. Also,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need to stress nurse leadership, right delegation and supervis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Nurse assistants should learn how to assist nursing practice and get enough supervision from RNs. Both RNs and nurse assistants often managed conflicts in a passive way and so are encouraged to adopt more positive and active approaches. Nurse managers should make sure that different nursing personnels work within their scope of practice in a proper staffing level. They need to equip with conflict management skills as a mediator among nursing personnels. 간호사는 간호조무사를 비롯한 보조 인력의 간호행위를 지휘하고 책임져야 하며, 이 역할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로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는 갈등을 겪고 있으며, 특히 국내 병원의 다수를 차지하는 중소병원 내 갈등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호 인력 관리를 위해 간호관리자와 간호사는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갈등을 이해해야 하지만, 그동안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 갈등 원인과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이들의 갈등 경험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눈덩이 표본추출법을 통해 300병상 미만 중소병원의 병동이나 외래 근무 경험이 1년 이상인 간호사 8명, 간호조무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개인 인터뷰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8월에 실시되었고,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 분석 방법을 이용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 갈등 원인은 ‘불분명한 역할과 책임의 경계’, ‘미흡한 간호보조업무에 대한 부담감’, ‘간호인력 부족’, ‘직무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상호존중 부족’의 5개 주제로 나타났다. 이들의 갈등 대처방식은 ‘회피’, ‘직접대처’, ‘간접대처’, ‘사직’, ‘감정 전환’의 5개 주제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간호 인력의 갈등 예방을 위해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실무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준수할 것을 제언한다. 뿐만 아니라 간호조무사는 안전한 간호를 위해 간호사의 관리감독 권한을 인식하고 존중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 학부 교육과정에서 간호사 리더십, 올바른 위임 및 감독 기술,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간호조무사 교육훈련기관의 교육의 질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갈등 대처방식이 주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경향을 보이므로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갈등 대처가 가능하도록 교육하고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특히 간호관리자는 갈등 중재자로서 필요한 갈등 관리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로 더욱 중요해진 간호사와 보조인력 갈등 관리를 위해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 Spielman의 수면장애 모델을 근간으로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35

        목적 : Spielman의 수면모델을 근간으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하는 3, 4학년 총 119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와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 간호대학생 119명의 자고보고식 수면의 질 측정에서 70.6%의 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았다. 액티그래피에서 간호대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4.34시간으로 총 수면시간 5시간 이하 학생이 58.5%이었고, 수면효율성은 평균 82.55% 였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일주기수면유형(β=.27, ρ=.005), 알코올 섭취(β=.20, ρ=.032)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총 수면시간에 좌식생활(β=-.23, ρ=.018), 주간졸림증(β=-.29, ρ=.003)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상당 수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이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수면측정과 객관적인 생리적수면측정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주기수면유형이 저녁형인 학생들은 수면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좌식생활과 주간졸림증은 수면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추후 수면장애를 연구할 때 주관적 측정과 함께 객관적 측정을 병행하여 수면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수면, 액티그래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leep patterns of nursing students, to examine influencing on factors sleep patterns in based on Spielman’s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ctigraphy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When sleep was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84 students (70.6%) showed poor sleep quality. Mean total sleep time measured by actigraphy is 4.34 hours, and the number of student who sleeps for 5 hours and less was 70 (58.5%). Mean sleep efficiency was 82.55%, and the number of students showed low sleep efficiency (less than 85%) was 67 (56.3%).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leep pattern measured by KMLSEQ were circadian sleep type (β=.27, ρ=.005) and alcohol use (β=.20, ρ=.032). The factors affecting total sleep time were sedentary behavior (β=-.23, ρ=.018) and daytime sleepiness (β=-.29, ρ=.003). Conclusion: Man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eriod perceived sleep disturbance. Affecting factors on perceived sleep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objective sleep evaluated by physiologic measure were different. The evening type of students perceived poor sleep quality, however, sedentary life style and daytime sleepiness caused short sleep time. Sleep consists of su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studies measure o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are needed.

      • 노인요양시설 거주자 간 학대 관리를 위한 간호제공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수정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19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거주자 간 학대 관리의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제공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노인요양시설 거주자 간 학대 관리를 위한 간호제공자 교육프로그램은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단계로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 실시한 간호제공자와의 개별면담과 초점집단면담의 내용분석에서 도출된 인간중심돌봄과 SEARCH 접근법을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간호제공자의 거주자 간 학대와 관련된 지식, 인간중심돌봄, 거주자 간 학대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와 교육프로그램의 질적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초점집단면담을 병용한 혼합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자가 편의 표집한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제공자로 최종적으로 중재군은 39명이었으며, 대조군은 43명이었다. 중재군에게는 주 1회, 30분/회, 4주간의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군 중에서 5명을 집단으로 구성하여, 한 개의 집단에서 초점집단면담을 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거주자 간 학대와 관련된 지식, 인간중심돌봄, 거주자 간 학대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설문 조사하여 기술통계와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고, 녹음된 면담자료는 필사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결과: 거주자 간 학대 관리를 위한 간호제공자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거주자 간 학대와 관련된 지식(F=14.138, p=<.001), 인간중심돌봄(F=6.641, p=.012), 거주자 간 학대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F=7.356, p=.008)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질적 자료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제공자의 ‘거주자 간 학대에 대한 인식변화와 지식 습득’, ‘거주자 간 학대 대처방법 변화’, ‘거주자 간 학대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상승’ 등이 확인되었다. 결론: 노인요양시설 거주자 간 학대 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제공자의 거주자 간 학대와 관련된 지식, 인간중심돌봄, 거주자 간 학대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며, 간호제공자의 거주자 간 학대 관리 실무에 효과적이었다. 향후 거주자 간 학대 관리를 위해 모든 노인요양시설에 본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affs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resident-to-resident abuse (RR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affs on the management of RR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developed, guided by SEARCH(Support, Evaluate, Act, Report, Care plan, Help to avoid) approach and person-centered care paradigm. The quasi-experiment study i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nursing staffs’ knowledge on RRA, self-efficacy on its management, and person-centered care after taking the education program. Also,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was qualitatively identified by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staff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Final number of participants were 39 individuals for intervention group and 43 individuals for control group. Intervention group completed a 30-minute video educational program per week for four weeks. FGI was performed in one group, which is comprised of five students in intervention group. The knowledge related to RRA, person-centered care, and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of RRA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questioned in th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corded data of FGI was transcrib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Upon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nursing staffs’ knowledge related to RRA (F=14.138, p=<.001), person-centered care (F=6.641, p=.012), and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of RRA (F=7.356, p=.008)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change in recognition and attainment of knowledge of RRA', `change in method of coping with RRA’, and `increase in self-efficacy regarding the management of RRA’ were revealed in FGI. Conclusion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affs on the management of RR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staffs’ knowledge related to RRA, person-centered care, and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of RRA.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management of RRA, adopting this educational program to all long-term care facilities is suggested for the management of RRA in future.

      • 간호 대학생을 위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하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1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validate its effects with a sample of third-year nursing students, there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field of gerontological nursing. Methods: Humanitude care comprised four strategies and five steps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 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process. And then, a non-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The intervention group with 22 third-year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then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for 3 weeks. The 25 third-year nursing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without taking educational intervention.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on Humanitude car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were analyzed with t-tests. Results: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t=8.82, p<.001),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t=2.54, p=.015), and care efficacy (t=2.14, p=.040) whereas the score of human-centere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0.86, p=.394) was not. However, after finishing clinical practi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However, to continue the educational effect, instructors should facilitate nursing students applying Humanicide care in clinical practice. Ultimately, it can propose a novel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applied to human-centered care in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간호교과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휴머니튜드 케어의 4가지 전략과 5 단계를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델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간호 대학생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로 하였다. 중재군은 22명이었고, 6가지 주제에 대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임상 실습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25명으로, 교육 중재 없이 임상 실습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차이검증은 t-test, 두 군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결과변수의 변화와 그룹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여부에 대한 검증은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동질하지 않은 나이와 성별 항목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였고, 구형성 검정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제공한 직후, 중재군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t=8.82, p<.001),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t=2.54, p=.015), 돌봄 효능감(t=2.14, p=.040)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노인에 대한 인간중심적 태도(t=0.86, p=.394)는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결론: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간호 대학생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돌봄 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노인 간호학 실습에서 인간중심돌봄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용을 위한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개발

        김수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1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that can contribute improvement of clinical nursing competency by helping the build-up of systematic assessment capability and evaluate the protocol by applying it to the clinical practice cours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During the clinical training course of adult nursing held between August 29th and October 5th, 2022 in K university hospital, 23 students among 36 third-year students assigned to two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is protocol after implementation, changes in scores of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path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i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were analyzed. Their perception of the Patient Rounding Scale was measured only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tocol.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fo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comprised nine assessments and referral to a nurse if needed: level of consciousness, pain, personal needs, position, intravenous injection, oxygen supplying system, nasogastric/ nasoenteric tube, maintenance of urine bag, and environmental risk for fall. Participants did intentional rounding at least 2 times per da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ommunicational and interperson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hile score changes of empath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not significant. In qualitative evaluation, four main topics including relational growth, getting to know the practical field, becoming a nurse, and facing reality barriers were drawn. Conclusion: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encourages nursing students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nurses,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linical training. It would be effective for clin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to nursing practice courses would be expected. Thi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fostering of competent nurses who are essential fo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이루어지는 관찰 학습보다는 체계적 사정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임상적 판단 능력 증진과 실무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도적 간호수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실습에 적용하여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개발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임상실습에 적용한 후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의도적 간호순회적용 전, 후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효능감, 공감능력, 그리고 환자안전역량을 측정하여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일군 전후설계이며, 프로토콜 적용 이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순회 인식을 적용하였다. 2022년 8월 29일부터 10월 5일까지 K대학병원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중 내과계 간호단위이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두 곳에 배정된 3학년 36 명 중 23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로 초점집단면담을 5명에게 실시하였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의식수준 사정, 통증 사정, 개인요구 사정, 체위 사정, 말초정맥주입 사정, 산소 사정, 비위(장)관 사정, 소변주머니 사정, 낙상예방을 위한 환경 사정으로 구성된 프로토콜이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수행 후 정량적 평가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효능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공감능력과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에서 관계의 성장, 현장을 알아감, 간호사가 되어감, 현실에 부딪히는 장애(벽)의 4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로써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어 임상실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하며, 또한 환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임상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표준화된 간호순회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임상에서 요구되는 실무중심적인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규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19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for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factors affecting patient competency. A 171 nurses working at medium-sized hospitals, which are operat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 Seoul completed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by on-line survey from February 10, 2020 to February 28,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test, chi test, AN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22.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ge of participant was 48.0% for those under 30 years of age, 67.8% for singles, and education 66.7% of bachelor's degree, 52.6% of mixed wards in the working ward department, 60.2% of the surgical departments had more. The average work experience of nurses was the most, with 17.5 years or less and less than 3 years, 37.5%, and 3 shifts with 65.5%. The position was 55.5% for general nurse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nurses was 55.0% for less than 10, and the average number of education completions was 3 times, and 59.6%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reporting patient safety accidents. 2. The subject'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76.64±11.55 points and vertical communication among the sub-areas was 28.32±3.77 points. self-leadership averaged 64.66±9.18 points, and self-compensation among the sub-areas was highest at 11.31±2.23 points.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164.93±19.87 points and the attitude was 60.09±7.69 points. 3. The subject'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elf-leadership was. Patient safety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partment (t=-2.17, p=.032) and the department of unit (t=2.31, p=.022). 4. The subject's patient safety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35, p<.001) and self-leadership (r=.55, p<.001). 5. The subject's Self-leadership (β=0.49, p=.001) and combined ward (β=0.18, p=.004)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competence. These factors explained 32.4% of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F=21.401, p<.001). This study found that the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engaged in patient safety competence to self leade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among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considering self-leadership affect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의 정도를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관계 및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3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을 운영하고 있는 200병상 규모의 중소종합병원 17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SNS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2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30세 이하가 48.0%, 미혼이 67.8%, 교육정도는 학사 학위자가 66.7%, 병동 진료과는 혼합병동이 52.6%, 근무부서는 외과계가 60.2%가 더 많았다. 간호사의 평균 근무 경력은 1년 이상 ~ 3년 미만이 37.5%, 근무형태는 3교대가 65.5%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55.5%, 간호사가 담당하는 평균 담당환자 수는 10명 미만이 55.0%, 교육이수 횟수는 평균 3회,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이 있는 경우 59.6%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은 116점 만점에 평균 76.64±11.55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수직적 의사소통이 평균 28.32±3.77점(평균 평점 3.59점)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평균 64.66±9.18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자기보상이 평균 11.31±2.2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은 205점 만점에 평균 164.93±19.87점이었고, 환자안전태도가 70점 만점에 평균 60.09±7.69 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 내 의사소통 분석 결과, 근무형태(F=6.35, p<.001), 직위(F=10.46, p<.001), 담당환자 수(F=6.47,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셀프리더십은 결혼여부(t=-3.17, p=.002), 학력(F=4.36, p=.014), 근무부서(t=3.06, p=.003), 근무형태(F=4.32, p=.006), 직위(F=4.46, p=.01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조직 내 의사소통(r=.35, p<.001)과 셀프리더십(r=.55, p<.001)은 환자안전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 (β=0.49, p=.001), 혼합병동(β=0.18, p=.004)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안전역량에 대한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32.4%로 확인되었다(F=21.401, p<.001). 이상의 결과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하여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독려하는 중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차후 간호사들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주관성 : Q 방법론적 접근

        정수경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고 그 유형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추상성 높은 개념을 객관화하기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Q-방법론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Q-모집단은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와 심층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Q-모집단을 추출하여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술문을 추출하여 176개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다. 둘째, 표집 된 176개 진술문 중 내용의 중복과 표현의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수정한 후 Q-모집단을 의미와 주제별로 3개의 범주로 분류한 다음 각 범주에서 대표적이거나 상이한 의미의 Q-표본 36항목을 선정하였다. 셋째, P-표본은 S시 소재의 상급종합병원과 I시 소재의 종합병원에서 근무 중인 응급실 간호사 39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넷째, 36개의 진술문을 7☓5㎝ 카드에 인쇄하여 연구 대상자들로 하여금 강제 정상 분포가 되도록 각자의 의견의 중요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 Q-분류하도록 하였고,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대상자와 면담하였다. 다섯 째, Q-분류된 결과를 PC–QUANL program에 맞는 자료를 작성한 후 주요인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태도는 3가지 유형으로 발견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태도는 전체 변량의 약 50.15%를 설명하였고, 각 요인별 설명력은 요인 1이 37.97%, 요인 2가 6.94%, 요인 3이 5.24%로 나타났다. 제 1유형이 37.97%의 변량을 가지므로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주관성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제 1유형은 ‘시스템 책임 전가형’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피로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유형으로 공감피로가 유발된 경우에 병원 차원의 지지를 개인 차원의 지지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 행정 시스템에 대한 기대가 높고 심리적으로 의지를 많이 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응급실 간호 업무 특유의 환경적인 면에서 갈등을 크게 느끼고 있고, 공감피로에 취약한 유형이다. 제 2유형은 ‘내적 동기부여 극복형’으로 공감피로를 힘들게 느끼지만 여행이나 취미생활로 해소하고, 자신을 위해 개인 시간을 보내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와 보호자의 관심과 지지를 받으면서 해소하고, 공감피로와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 갈등을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량에 압도당하는 순간이 지나가면 나아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으며, 응급실 간호사라는 직업을 통해 자기만족과 삶의 활력을 얻는 유형이다. 제 3유형은 ‘적극적 자기 통제형’으로 업무량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적으며 공감피로가 발생해도 크게 느끼지 않고 털어버리는 유형이었다. 그리고 여행이나 취미생활로 공감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가까운 사람들(직장동료, 친구, 동기, 선배, 가족 등)과의 대인관계를 통해서도 안정감을 얻으며 관심과 지지를 받고 있었다. 유형에 따른 고유한 특성이 있지만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공통적인 견해는 응급실 간호사로서 받은 충격적인 경험이나 우울한 감정을 본인의 개인적인 삶과 분리시켜, 건강하게 공감피로를 대처하고 있었으며, 전문가적인 자세로 간호 업무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려는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주관성은 3개 유형으로 발견함으로써 각 유형이 지닌 특성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하였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대한 유형별 대처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간호 조직의 업무 만족과 성취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의 형성과 인력관리 차원에서의 정책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간호사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 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보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19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정도 및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을 통해 골다공증 골절 환자의 이차골절을 예방하고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서울시,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에 소재한 종합병원 응급실, 정형외과, 신경외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의 차이는 t-test, ANOVA,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및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골다공증 지식은 20점 만점에 평균 15.74(±1.48)점,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총점은 120점 만점에 평균 89.78(±11.75)점이며,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 총점은 72점 만점에 평균 49.35(±9.32)점이었다.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은 일반적 특성 중 골다공증 예방교육 경험의 유무(t=-2.990,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지식은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124, p=.131).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은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538, p<.001).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골다공증 예방교육 유무(B=2.940 p=.034), 건강행위 자기효능감(B=0.404,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1.5%였다(F=10.941, p<.001).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골다공증 예방교육 경험과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골다공증 예방간호행위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예방간호 교육과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orthopedic and neurosurgery in general hospitals in Seoul, Chungcheong-do, Gangwon-do and Gyeongsang-d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 WIN 21.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actors affecting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steoporosis knowledge averaged 15.74 (±1.48) points out of 20 points, and the total score of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averaged 89.78 (± 11.75) points out of 120 points, and 49.35 (± 9.32) out of 72 points on average. The point.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t = -2.990, p = .003). Osteoporosis knowledge was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r = 0.124, p = .131). The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performance (r = .538, p <.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education for preventing osteoporosis (B = 2.940 p = .034)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 (B = 0.404, p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was 31.5% (F = 10.941, p <.001).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influenced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es'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behavi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for nurses.

      • COVID-19 상황에서 간호사의 여가활동, 일과 삶의 균형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예미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work-life balance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understand the leisure activities and work-life balance of nurses, and to find out the influence factors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fter obtaining permission from the IRB, data were collected from 179 nurse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during the period of April, 11 to April 15 in a single General hospital. Leisure activities were assessed through a series of questions based on the national poll of the population’s leisure activities. Work-life Balance scal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ProQOL version 5 were used to form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spent most of their leisure time to rest, followed by socializing and other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were higher in participants who were single, have no children, below the age of 25, career of less than 5 years, and have a regular working shift. The participant’s work-life balance score was 82.77±19.72 out of a total of 145. Work-life balance were higher in participants below the age of 25 than participants who were ages 36~40, with higher education, and with a regular working shift. The participant’s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ose who were married, have children, ages older than 41 and with higher education. Burnout was lower in participants who were married, have children, ages older than 41, and with a fixed working shift. Secondary traumatic stress was not found to differ with an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leisure activities, work-life bala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marital status(β=0.290, p=.029) and work-life balance(β=0.380, p<.001) to be influencing factors of compassion satisfaction, and this explained 25.8% of compassion satisfaction. Ages 36 to 40(β=0.174, p=.034) and work-life balance(β=-0.687, p<.001) were influencing factors of burnout, and this explained 58.6% of burnout. Work-life balance(β=-0.522, p<.001) was the influencing factor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explained 58.6%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nurses may be enhanced through more leisure activity and better work-life balance. Active investments in programs such as incentives for leisure activity, more efficient rotating shifts, child care support, and career-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are suggested as some of many efforts that can be taken to elevat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nurses.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일과 삶의 균형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IRB 승인을 받은 후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1일부터 4월 15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로 여가활동은 국민여가활동조사를 근거로 유형별 여가활동을 조사하였고,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와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ProQOL version 5)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휴식활동과 사회 및 기타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만족은 학력(t=-3.554, p=.001), 결혼 여부(t=-4.349, p<.001), 자녀 유무(t=-4.132, p<.001), 연령(F=4.95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소진은 학력(t=2.719, p=.007), 근무형태(t=2.719, p=.006), 결혼 여부(t=2.489, p=.014), 자녀 유무(t=2.816, p=.005), 연령(F=5.163,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가활동, 일과 삶의 균형, 전문직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가활동이 높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 전문직 삶의 질이 높았으며, 일과 삶의 균형이 높을수록 전문직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결혼 여부(β=0.290, p=.029)와 일과 삶의 균형(β=0.380, p<.001)이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는 공감만족을 25.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7.866, p<.001).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36∼40세(β=0.174, p=.034)과 일과 삶의 균형(β=-0.687, p<.001)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는 소진을 58.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26.014, p<.001).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β=-0.522, p<.001)이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를 26.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33.087,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사의 여가활동, 일과 삶의 균형, 전문직 삶의 질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일과 삶의 균형은 전문직 삶의 질의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간호사의 여가활동을 증진시키고 일과 삶의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가활동 격려금 지급, 근무형태 조정 및 개선, 육아지원 정책, 연차별 맞춤 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적극적인 투자와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