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모형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윤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43

        This study is to help establishing an inclusive, safe and resilient sustainable city. It begins with a review of the inclusive urban policies which are actively being promoted by many local governments at the moment, based on identifying the key components for inclusiveness such as solving social conflicts coping with economic changes and minimizing imbalances within regions. Previous studies on the inclusiveness of a city focused on creating the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as well as the inclusiveness of parks and public spaces. Additionally, many studies have been actively discussing the potential and economic recovery of cities. Furthermore, several researches presented a time-series analysis based on urban conditions,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 processes of cities to explain and diagnose the regeneration and decline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ess the problems that arise during urban 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residential environments; to analyz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inclusiveness of a city; and to diagnose the inclusiveness of that city comprehensively.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six areas as follows: First, it reviews each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for an inclusive city, social exclusion, objective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or studies. It then derives the uniquenes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Second, the study establishes an analysis framework and an evaluation system and goes to develop indicators for diagnosing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process for deriving these indicators includes the FGI with a panel of experts for indicator selec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verification. Third, to prioritize the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conducts a weight analysis using the AHP with a group of experts. Fourth, an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by measuring changes in inclusiveness of each region by administrative units (cities and distric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iagnosis on regional inclusiveness uses the public data derived from 2010 and 2020 to measure a comprehensive diagnostic index in accordance with to the current status in 2020 and the changes over ten years. Fifth, the results of the regional inclusiveness diagnosis and characteristics are used to categorize the types of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indicators by types are verified. Methods for type classification and verification include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ally, the study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and policy implications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identified. This study emphasize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 as follows; minimizes social exclusion and ensures that residents can enjoy a variety of opportunities throughout their l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redefining the concept of an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conceptual reflections on current topics like inclusive cities, residential environments, social exclusion, and urban resilience found in existing literature. Additionally,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inclusiveness from focusing solely on residents to encompassing the region's adaptability to change, applying the multidimensional strength of inclusiveness to the tool of regional resilience, marking a distinct approach in this field. In the analytic framework of the study,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diagnosing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Through prior research, domains for diagnosing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identified, along with detailed diagnostic indicators for each area promoting inclusive stability and growth. Preliminary index were chosen based on FGI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consist of 6 domains and 27 indicators for diagnosing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economy and industry, population and society, housing and environment, healthcare and welfare, education and culture, and safet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inclusiveness across 61 region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By calculating a comprehensive diagnostic index for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each region for the years of 2010 and 2020, the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atus in 2020 and the changes over the decade.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2020, the level of inclusive settlement environment was the highest in Gyeonggi Province, followed by Seoul and Incheon. Over the decade, Incheon showed overall improvement, Gyeonggi Province remained unchanged, and Seoul exhibited a declining trend. Based on the regional diagnostic results, the study conducted a primar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2020 status and a detaile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ten-year change, categorizing the regions into six types according to three stages of current status (growth, normal, vulnerable) and three trends of change (improvement, maintenance, decline). The types of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classified as Type 1 ( Continuous Growth), Type 2 (Normal Decline), Type 3 (Normal Improvement), Type 4 (Vulnerable Decline), Type 5 (Vulnerable Maintenance), and Type 6 (Vulnerable Improvement). Each type was analyzed for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in its constituent variables through one-way ANOVA, and the influence of diagnostic indicators for each area was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ypes (p<0.001), identifying the indicators that influence the typology based on the current status in 2020 and the changes over the past ten years. In this study, key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 Type 1 (Continuous Growth) enhancement of community capabilities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was emphasiz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hild welfare and child-friendly environments for a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Type 2 (Normal Decline) focuses on enhancing housing stability through the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aging residential areas. Additionally, this type involves deriving improvement strategies for building community safety net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olice stations and community police units. Type 3 (Normal Improvement) involved developing community suppor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mproving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creating jobs for women, and expanding public care services. Type 4 (Vulnerable Decline) identified as the most urgently in need of improvement among all six types, focused on measures such as financial support for childbearing and childcare,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strengthening social solidarity, establishing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s, enhancing green space connectivity and expansion, strengthening disaster safety nets, improving regional fiscal health and economic self-reliance, and expanding inclusive healthcare and welfare facilities in underserved areas. Type 5 (Vulnerable Maintenance) has derived improvement strategies that include expanding public housing supply, strengthening the public role in ensuring community safety, minimizing the exclusion from basic education, enhancing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heir accessibility, and efficiently arranging elderly welfare facilities with integrated services. Finally, Type 6 (Vulnerable Improvement) has identified several enhancement strategies, including increasing voter turnout in local elections and stimulating community participation, strengthening transportation safety infrastructure, creating region-specific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discovering public sector jobs, as well as augmenting the inclusiveness of facilit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iagnosing residential environments based on the sustainable and inclusive growth of regions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specific to each type. Accordingly,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inclusive resilience of regions and establish tailored guidelin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and projects that consider the siz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levels of each region. Second, developing region-specific inclusive diagnostic indicators and preparing policies for addressing regional issues and enhancing inclusiveness through regional diagnostics is crucial. Third, continuous monitoring of policy implementation should be conducted to propose realistic and substantive policies that strengthen community inclusiveness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has diagnosed and categorized the changes and levels of inclusiveness in regions by constructing a diagnostic model for inclusive residential environments to enhance urban resilience. The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local governments to assess the inclusiveness of their regions and establish inclusive policies tailored to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 확립'을 목표로 하여 지역의 사회 갈등, 경제 변화, 불균형 등을 포용성의 핵심 구성요소로 파악하 고,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포용도시 정책을 검토하는 것 에서 출발하였다. 포용성에 관한 선행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포용적 정주환 경, 공원 및 공공 공간의 포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도시의 잠재력과 경제 적 회복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도시재생 및 쇠퇴를 진단하 기 위해 도시의 현황, 특징, 변화과정의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는 연구들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지역의 정주환경 관점 에서 접근하여 포용성의 양상 및 특성의 변화과정을 통해 지역별 포용성을 종합적 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범위로 나누어 접근 하였다. 첫째, 국내·외 선행연구의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포용 도시, 사회적 배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목표, 포용적 정주환경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연구의 차별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분석의 틀과 분석체계를 정립하여, 포 용적 정주환경 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FGI(Focus Group Interview)와 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가중치 분석을 수행하 였다. 넷째, 수도권 중심의 행정단위(시·구)를 대상으로 지역별 포용성 변화의 측정 을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섯째, 2020년의 현황과 10년간의 변화량 기준의 종합진단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포용성 진단 결과 및 특성에 따라 포용적 정주환 경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지표의 차이와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용적 정주환경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포용적 정주환경의 개념적 정의를 사회적 배제를 최소화하고 생애 전 반에 걸쳐 지역민이 다양한 기회를 충분히 누릴 수 있는 정주환경으로 정의하였으 며, 지역의 포용적 정주환경을 진단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주환경, 사회적 배제, 도 시회복력 등 현재 대두되고 있는 연구들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개념적 반추를 통해 포용적 정주환경의 개념을 재정립함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포용성의 대상을 지역민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 자체의 변화에 대한 포용으로 확대하였으며 다차원을 아우르는 포용성의 힘을 지역회복력이라는 도구에 적용함에 있어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분석의 틀에서는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을 위한 진단모형을 구축하였다. 선행연 구를 통해 포용적 정주환경을 진단을 위한 영역을 정립하고, 진단지표의 포용적 안 정과 포용적 성장을 위한 잠재력 향상, 취약성 극복, 배제 최소화, 참여 증진 측면 의 관계설정을 통해 영역별 세부 진단지표를 도출하였다. FGI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증을 통해, 최종 6개 영역과 27개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를 선정 하였다. 선정된 지표를 대상으로 AHP 분석결과 경제·산업, 인구·사회, 주거·환 경, 의료·복지, 교육·문화, 안전 영역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총 61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의 포용성의 현황 및 변화 를 진단하였으며 분석모형을 토대로 유형화를 통해 포용적 정주환경을 실증 분석하 였다. 먼저, 2010년과 2020년 각 지역의 포용적 정주환경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여 지역별 2020년 현황 및 10년간의 변화량의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 기준 포용적 정주환경 현황 수준은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서울시, 인천시 순으로 나타났다. 10년간 변화량에서는, 인천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양상을 보인 반면, 경기도는 변화가 없었으며 서울시에서는 쇠퇴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지역별 군집분석 결과 성장, 양호, 취약의 현황 상태와 개선, 유지, 쇠퇴의 변화추이에 따른 최종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포용적 정주환경 유형은 유형1-지속성장형, 유형 2-양호쇠퇴형, 유형3-양호개선형, 유형4-취약쇠퇴형, 유형5-취약유지형, 유형6-취약 개선형으로 정의하였다. 분류된 유형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통해 유형별 특징과 구성변수들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영역별 진단지표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용적 정주환경의 유형별 특성과 주요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유형1(지속성장형)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유형으로써 고령 인구의 사회적 참여와 커뮤니티 활동 등 공동체 역량 강화와 아동복지 및 아동 친화적인 환경 조성 등에 서 개선이 요구된다. 유형2(양호쇠퇴형)은 현재는 양호하나 쇠퇴하고 있는 유형으로 지역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주거환경개선,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기초생활 소득 보장을 강화 및 포괄적인 사회 안전망 구축, 문화기반시설 확충과 문화예술 역량 강화 등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형3(양호개선형)은 현재 양호하며 개선되고 있는 유형으로 1인 가구의 공동체 의식 강화, 대중교통 네트워크 확장과 접근성 확보, 여성 일자리 창출과 여성 친화적인 직장문화 조성, 공공시설 중심의 돌봄 서비스 확충 등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유형4(취약쇠퇴형)은 현재 취약하며 쇠 퇴하고 있는 유형으로 가장 개선이 시급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취약성을 극 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출산 양육비 재정적 지원 및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 사회적 연대강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 효율적인 수질관리 시스템으로 주거 환경의 쾌적성을 높여 삶의 질 향상, 도시공원면적 확보를 위한 녹지 연계성 강화 및 공원녹지 확충, 화재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해 안전망 강화, 소방 서, 119안전센터 확보로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지역의 재정 건전성과 경제자립도 향상, 의료복지시설과 서비스 확충 강화 등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형 5(취약유지형)은 현재 취약하게 유지되고 있는 유형으로 공공주택 공급확대로 주택 보급률 확보, 지역사회의 안전 확보와 강화, 초등학교 감소로 인한 기본교육 배제 최소화, 공공체육시설 활성화, 노인복지시설의 효율적 배치와 복합서비스 제공 등에 서 개선이 요구되어 진다. 유형6(취약개선형)은 현재는 취약하나 개선되고 있는 유 형으로 지방선거 투표율 증진과 공동체 참여 활성화, 교통안전 인프라 강화, 장애인 복지시설의 포용성 강화,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과 공공일자리 발굴 확보 등에서 지역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모형을 구축하 여 지역의 포용성 변화와 수준을 진단하고 유형화하였으며 이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포용적 성장과 안정을 위한 정주환경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포용적 정책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정주환경의 포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각 지역의 규모와 생활환경 수준을 고려한 정책과 지역의 포용적 회복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맞춤형 가이드 라인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속가능한 포용적 정주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 맞춤형 포용 진단지표를 개 발하고, 지역별 진단을 통해 지역의 문제점 개선 및 포용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 사 업추진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제안된 정책들의 효 과와 실행 과정을 평가하여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포용성 강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도시재생사업이 노인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순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In the past, most residential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a complete demolition method, rai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local community and local locality.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illage-level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projects have recently been actively promoted. Most of these residential regeneration projects are carried out in existing urban areas where single-and multi-family areas are concentrated,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area for a long time is high. Therefore, in these projects,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elderly residents and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process are important factors in achieving the goals and purposes of the project.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o evaluate the entire project, such as housing regeneration projects,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but limited studies have evaluate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resid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elderly, the mainstay of the resident-participating regeneration project, and studied the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in order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ag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sines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present the basic directions necessa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when planning in the future. The specific objectives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elderly residents in 19 project districts of three business types that conducted urban regeneration-related project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this end, 14 item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selected from the 2019 housing status survey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Incheon was insufficient. Since the data of the housing survey are reliable and objective data for the entire Incheon,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and problems of Incheon's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verall,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is conduct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regeneration project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cross-analysis i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ject implementation site and the non-execution site. Third, a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which factors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age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had lower satisfaction than the non-aged. In the case of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group,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high in all items except for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Second, as a result of cross-analysis of the elderly and non-aged people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site, both the elderly and the non-aged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site. When this was confirm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survey item,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project site was low in most of the questions for both the non-aged and the elderly. Third, when examined by business typ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seen a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for both the elderly and the non-aged. Most of the 14 survey item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s in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both the elderly and the non-ag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non-aged group had a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the elderly, even if compared to the project implementation site.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seen as raising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fact that the elderl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the non-elderly population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access to various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project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residents based on the 2019 housing survey on the premise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limitations still exist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search results to other general areas as the study area is conducted only on some of the completed case sites of the Incheon's urban regeneration project. 과거 대부분의 주거재생사업이 전면철거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지역사회 및 지역의 장소성 파괴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마을 차원의 주거지역 재생 및 정비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주거지역 재생사업은 대부분 단독·다가구가 밀집한 기존 도시지역에서 시행되고 있어 해당 지역에 장기간 거주하는 고령자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들 사업에서 노인주민을 고려한 계획수립과 사업과정에서의 참여는 사업의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주거재생사업, 지역사회 활성화, 주민참여 등 사업 전체를 평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노인 입주민의 입장에서 사업을 평가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주축인 노인층에 주목하여 급변하는 인구구조(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측면에서 사업 이후의 시사점을 노인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이 노인의 사업 및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계획수립 시 노인 관점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재생 관련 사업을 실시한 3개 사업유형 19개 사업 지구를 대상으로, 도시재생 사업이 노인 거주자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업시행지와 비시행지를 구분하고, 2019년 주거실태조사 내용 중, 주거환경만족도와 관련된 14개 항목을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인천의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주거실태조사 자료의 경우 인천광역시 전체에 대한 공신력 있고 객관적인 자료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주거환경만족도와 도시재생사업이 주거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을 규명하고, 노인들의 고립된 환경을 개선하고 미래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재생사업에 대한 인식, 거주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노인과 비노인 간의 집단 간 차이, 사업 시행지와 미시행지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이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와 비고령자 간의 주거환경만족도의 경우 고령자층이 비고령자층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과 비노인 집단 간 차이의 경우, 이웃과의 관계 외에는 모든 항목에서 주거환경 만족도가 비노인층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둘째, 사업시행지와 미시행지를 대상으로 고령층과 비고령층을 교차분석 해 본 결과, 주거환경 만족도의 경우 고령자층, 비고령자층 모두 사업 미시행지에서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설문 항목별 평균값 기준으로 확인하였을 때 역시 비고령자, 고령자 모두 대부분의 문항에서 사업시행지에서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회귀분석을 통하여 사업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주거환경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요소는 고령자, 비고령자층 모두 도시재생(뉴딜)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설문항목 14개 항목들 중 대부분의 요인들이 주거환경 만족도 상승에 있어 유의미한 통계 값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시재생 사업은 고령자나 비고령자 모두에게 주거환경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마을사업 시행지에서 한정하여 비교하여 보더라도 오히려 고령자층에 비해 비고령자층이 그나마 좀 더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노인들이 비노인층에 비해 대부분 사업시행지와 사업 미시행지 모두에서 주거환경 만족도가 낮았다는 것은, 노인층의 삶의 질,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단순히 주거환경 자체의 물리적인 개선 외에 다양한 시설에 대한 접근성 등 노인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비물리적인 요소들의 개선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사업이 고령층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기본적인 가설을 전제로 2019 주거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고령 거주자 관점에서 실증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진행되는 사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 대상지가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완료사례지 일부를 대상으로 진행함에 따라 연구 결과를 다른 일반지역에 적용하기에는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氣候變化協約에 對應한 韓國의 溫室가스 低減政策에 관한 硏究

        김병호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2015년에 킬리만자로 정상의 눈이 사라질 수 있다는 예측, 섬이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 우리를 숙연하게 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산업화이전시기로부터 인간이 발생시킨 온실가스의 증가가 지구대기의 구성을 변화시켜 왔다고 주장하며, 이와 같은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해 전지구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기후변화에관한국제연합기본협약(UNFCCC)이 채택되었고, 1997년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채택되어 선진국에 대하여 1차 의무이행기간(2008~2012) 중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1990년도 대비 평균 5.2% 감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임에도 불구하고 개도국으로 분류되어 온실가스 감축의무부담을 갖지 않는 위치에 있으나 자발적으로 참여의지를 갖고 국제협약 이행에 지속적으로 대책을 추진중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OECD 국가중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온실가스 저감정책을 추진하여야 하겠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방향은 첫째, 지속적 발전 가능한 대응체제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개발의 조절, 제도의 보완, 적절한 자원의 사용 등 적응(adaptation) 노력 및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 노력이 필요하고, 둘째, 기후변화는 문제의 특성상 사회의 전 분야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모든 분야를 다룰 수 있는 통합적인 체제를 유지하여야 한다. 셋째, ET(Energy and Environment Technology)를 IT산업과 함께 강력히 추진하여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경제구조로의 전환을 꾸준히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체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환경친화적 에너지수급 목표 설정, 난방 및 산업용 연료의 청정화, 신재생에너지의 이용기반을 확충하여야 한다. 지방정부의 경우 특히 서울시는 경제, 사회, 문화의 집중화과정에서 자연환경이 크게 훼손되고 심화되었다. 이에 대하여 지역의 공간적,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대응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서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으로는 먼저, 지방정부중심의 저감계획을 추진하여야 하고, 둘째, 산업화·도시화과정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규모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로 인하여 도시열섬과 같은 국지적 차원에서의 기상조건을 고려한 도시계획·설계 개념으로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시민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온라인, 대중매체 등을 통해 기후변화 문제, 정부대책, 국민 실천방안 등의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규정의 제정비를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또는 저감량의 구체적인 계량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지금부터라도 산업계, 정부, 연구소가 서로 긴밀히 협조하여 지속적인 에너지 효율화, 청정연료 사용 확대, 이산화탄소 회수기술개발,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등 에너지기술개발을 서둘러야 할 것이며, 더이상 온실가스 증가를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 앞으로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신재생에너지산업에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은 물론 전력, 가스, 난방열등을 IT혁명과 접목시킨 통합 에너지서비스(Integrated Energy Service)산업으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며, 이외에도 환경친확적인교통체제(EST)의 구축, 에너지저소비형환경친화형세제의 도입, 수송연료 탈석유화, 에너지산업의 High-tech화, 소비자선택에 의한 Green Pricing의 도입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협약은 우리 경제에 위기인 동시에 기회이다.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갖춘다면 다가올 미래는 분명 기회일 것이다. ‘혁명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In this thesis, I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macro economy and CO2 reduction required by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Bases on this analysis, I attempt to propose the best strategy for the Korean Government in compliance with the UNFCCC. The countries included in the Annex Ⅰ of the UNFCCC have already agreed to reduce their overall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by 5.2 persent on average from 1990 levels, in the first commitment period 2008 to 2012. The measures of Korea's central government toward UNFCCC are as follows : First, such efforts for adaptation and mitigation as continuous monitoring, development adjustment, regulation changes, use of appropriate resources, etc. have been made to achieve the goal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Second, weather change is closely related to every area of our society, so that a comprehensive planning has been established for all social and economic sectors. Third, continuous efforts to convert social and economical structures of our society to consume less energy by aggressively promoting ET(Energy and Environment Technology) with IT industry. Fourth,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demand and supply target and secure clean fuels for heating and industrial use, and infrastructure for new recycled energy and increasing alternative energy. Especially,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nation's capital, Seoul, has been detrimentally damaged for economic development. Seoul's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are as follows : First, Seoul should nurture its own CO2 reduction plan. Second, new city planning and design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s required, which considers a city "heat island" caused by high energy consumption dur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ird, PR should be reinforced through online and mass media, etc. to promot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with recognition of global weather change and our government's responses. Fourth, quantitative measuring methods for CO2 emissions and reduction under different regulations. Both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xpand investment in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nergy efficient technology including expansion of clean fuel use, recovery technology of carbon dioxide, etc. and also for new clean alternative energy including solar energy, biomass, wind force, etc. which can replace fossil fuels. In addition, they should also convert power, gas, and heating energy, etc. to Integrated Energy Service industry together with IT revolution. On top of these issues,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EST,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tax system for low energy consumption, petroleum-free transportation, high-tech energy industry, introduction of green pricing based on customers' selection should be considered. Greenhouse gas increase should not be allowed anymore. Generally speaking, CO2 reduction will bring very naga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Therefore, what appears to be the best strategy for Korea is to delay voluntary participation in UNFCCC as late as possible. Meanwhile, we have to transform our economic system into an energy-efficient one to reduce CO2 emission. The Climate change is not only a crisis, but also it can be an opportunity in the long-term. That is, it brings a new business opportunity such as : the energy savings industry. It is likel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while transform the industrial structure into the environmemt-frendly.

      • The urban fabric and road accident risk model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MCCARTYDAKOTAAARON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Road accidents have risen in frequency alongside the rise of the automobile becoming the 8th leading cause of death globally in 2016 putting them above many other major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and HIV/AIDS. By taking a public health perspective through the epidemiological triangle to better examine the host, agent, and environment in relation to road accident risk, this dissertation aims to better identify the factors that most contribute to road accident risks. Through in-depth research of socio-demographic, economic, and physical factors related to the makeup of an area’s fabric influencing road accident risk, taking the aforementioned public health perspective, this dissertation’s output is an accident risk map that can be used by researchers, planners, and other actors involved with road transportation planning with the aim to mitigate road accident risks. The dissertation takes a focus on England in the United Kingdom as they are well known for their history of successes i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excellent open data infrastructure. Taking data from a range of sources from the United Kingdom Department of Transport, Statistics Authority, Met Office, Transport for London open datasets, Open Street Maps, Safe Graph, and a range of open data sources, this dissertation shows the ability to produce a large scale, big data set to represent all of England in terms of urban structure and fabric, population distribution, and other variables such as weather and economic features. This dataset was then used alongside in-depth literature reviews to explore the impact of demographic features on driver behavior and risk; used to construct Exploratory Factor Analyses, producing five factors related to the urban fabric, that were then input into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etermine their influence on road accident frequency. The most meaningful features from the initial results were then used to construct various machine learning models capable of predicting road accident hotspots, based on DBSCAN results, at various severity levels. The predictions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s were then aggregated and processed through a cost estimation algorithm built from statistics of historical accidents using the cost of accidents, based on a willingness-to-pay model, to provide average costs by severity and type of road they occur on (built up, non-built up, highway). To test this model, 705,000 random points were generated across the study area and assigned random dates and data on weather, road type, demographics, and other previously determined impactful features. Then this artificial dataset was processed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model with the results being compared to actual historical data. In the end, the model performed well being able to predict “slight” accident hotspots at 86% accuracy, “moderate” accident hotspots at 77%, and “fatal” accident hotspots at 85%. This test also demonstrates the ability for the model to produce accurate results on artificially generated data meaning that data can be tailored to test changes to the environment, urban structure, or fabric, or any of the other features used in the prediction making it a powerful tool for planners, developers, and researchers. The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not only provide in-depth analysis into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road accident risks but additionally provide a tool that can be used by academics, planners, or other relevant actors to better conduct cost-benefit analyses, estimate potential effects of changes, and better allocate resources to areas with the highest risk.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findings have been split into two separate sections focusing on policy as well as design in order to focus on the need for more modern approaches to policy design with deeper collaboration across departments but also the need to better incorporate design into mitigation strategies alongside policy developments. 자동차의 부상과 함께 교통사고 수는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2016년부터 결핵과 HIV/AIDS와 같은 다른 주요 질병들보다 높은 세계 8위의 사망 원인이 되었다. 본 논문의 주목적은 교통사고 위험 요인을 도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역학적 삼각관계를 통해 공중보건 관점에서 도로 사고 위험과 관련한 여러 호스트, 에이전트 및 도시환경의 역할을 조명한다. 연구의 최종 결과물은 공중보건 관점에서 도로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구조적 특징과 관련된 물리적 요인과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교통사고 위험 완화를 위한 사고 위험 지도 구축에 있으며, 이는 향후 연구자, 계획가, 그리고 도시 교통 계획 수립에 있어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구대상지는 개방형 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통계획에 성공적인 역사를 갖고 있는 United Kingdom내 잉글랜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잉글랜드 내 모든 지역의 도시구조, 인구 분포, 그 밖의 날씨 및 경제적 특성 등에 대한 대규모 빅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는 UK 교통부, 통계청, Met 오피스, 런던 교통 공사 오픈 데이터 셋, 오픈 스트리트 맵, 세이프 그래프 및 다양한 오픈 데이터 소스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운전자 행동 및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위의 데이터 세트와 함께 탐색적요인분석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도시 구조와 관련한 5가지 요소가 생성되었으며, 이들 요소가 도로 사고 빈도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지 구조 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기 결과에서 가장 의미 있는 특성들은 DBSCAN결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심각도 수준에서 도로사고 핫스팟을 예측하는 여러 머신러닝 모델들을 구축하는데 사용되었다. 머신러닝 모델들의 예측치들은 그 후 지불 의사 모델에 기초하여 사고 비용을 활용하고 과거 사고 통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비용 추정 알고리즘을 통해 집계되고 처리되었다. 이를 통해 각 필지, 유휴부지, 고속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평균 비용을 피해 심각도 및 도로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이 모델을 실증적으로 시험하기 위해 대상지 내 705,000개의 랜덤 포인트를 생성하였고, 임의의 날짜와 날씨, 도로 유형, 인구 통계 및 이전에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들을 할당하였다. 이 인공 데이터 세트는 머신 러닝 모델을 통해 분석(예측)되었으며, 그 결과를 실제 과거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예측 모델은 "경미한" 수준의 사고 핫스팟 지점을 86%의 정확도로, "보통" 수준은 77%, "심각한" 사고 수준은 85% 정확도로 핫스팟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모델은 또한 인공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변화된 환경, 도시구조, 또는 다른 도시 특성)에 맞춤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기에 향후 도시계획가, 도시개발자, 그리고 연구자를 위한 강력한 의사 결정 도구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연구 결과는 교통사고 위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계, 도시계획가 및 다양한 관련 이해당사자에게 더 정확한 비용 편익 분석과 도시 구조 변화로 인한 잠재적 영향 추정, 그리고 사고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자원을 적절하게 할당함에 있어 중요한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 시사점은 부서 간의 보다 긴밀한 협업을 통한 정책 설계에 대한 보다 현대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정책과 디자인에 초점을 맞춘 두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분할, 제시되었으며, 정책 개발과 함께 교통사고 완화 전략에 디자인적 요소를 통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 한국의 스마트도시 발전을 위한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박종훈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도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거주인구 증가, 기후변화, 자원과 에너지 고갈, 환경오염 등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UN과 국제사회에서는 인류의 최대 공동 목표로 지속가능한 성장(SDGs)을 설정하여 실행하고 있으며, 도시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성장의 실현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스마트도시(Smart city)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도시는 물리적 도시 기반시설 구축뿐만 아니라 시민과 민간기업의 참여, 거버넌스, 서비스 전달 정보 등 도시의 운영을 위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구축까지 포함하는 광의적인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까지 통일된 스마트도시의 개념 자체가 모호하고 평가지표의 구성과 요소가 지역 특성에 따른 물리적 환경 중심으로 개발되어 각기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현대도시가 추구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시민의 삶의 질 개선을 통해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 조성을 위한 방향성 제시에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의 광의적 개념으로‘사람이 살기 좋은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라는 모델로 스마트도시를 조성하는 데에 있어서 국내에 적용 가능한 평가지표 체계를 구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도시 차원에서 연계하여 평가 및 개선 정도를 점검·분석 할 수 있는 종합적 지표 체계와 평가 기준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스마트도시 평가지표는 스마트도시 조성에서 있어 물리적 환경 중심의 정책방향을 개선하고, 현재 활용되는 평가지표의 보완을 위하여 지속가능성, 가치지향성, 시민지향성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사람 중심적’이고‘광의적’개념의 계획 요소를 추출하여 창조적인 스마트도시 요소들을 새롭게 도출하였다. 특히, 지속가능한 성장의 개념에서 디지털 기술이 도시에 융합되어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그리고 도시의 종합적 평가를 위해 영역체계를 통합하고 가치공학 분석 방법인 품질모델 및 부정합적 기법을 활용 사람 중심적이며 저비용 고효율 가치 창조의 평가지표를 핵심 5개, 세부 25개로 구축하여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추가로 도출된 지표들 중에서 계획, 평가과정에서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전문가 설문을 통한 AHP 분석을 실시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평가지표 도출 결과를 보면, 핵심지표(5개)는 안전시스템, 복지시스템, 창조·혁신 지원시스템, 에너지 자원관리 시스템,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이 도출되었으며, 세부지표(25개)는 보건의료 및 질병관리 체계구축, 지능성 위기관리, 저탄소 녹색사업 중심의 사업구조 재편, 자원재활용센터 자동화 등의 지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지표의 구성은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사람의 안전과 복지, 자원의 효율적 활용, 이상 기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반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 대상으로 한 AHP 분석결과는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건은 복지시스템과 안전시스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지표는 감염성 폐기물 관리 서비스, 지능형 위기관리, 보건의료 및 질병관리 체계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시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인천지역 도시의 스마트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의 평가를 위해 핵심지표(5), 세부지표(25)에 대해 정량적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원도심의 경우, 스마트화는 도시재생사업과 함께 추진하고 있으나 디지털 기반 부족과 도시기반 시설의 노후, 공간 부족으로 많은 부분 제약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물리적 시설 개선 측면보다는 지속가능한 성장에 주안점을 둔 도시환경 개선, 지역 경제성장, 삶의 질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신도시 경우는 정보통신 기술의 물리적 도시기반 시설 구축의 성과는 있으나, 공공의 이익과 환경보전, 자원 효율화 등에 대한 지속가능성은 미흡한 실정이다. 하지만, 스마트도시 구축에 대한 장래 확장 계획과 도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등의 마스터플랜이 구체화 되어 있어 스마트도시 조성에 필요한 조건은 충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기반 구축과 더불어 시민참여, 효율적 인적관리, 도시 안전과 복지관리 등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스마트화의 발전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스마트도시 실현 위한 정책적 추진방안 27개를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첫째, 새로 도출된 평가지표는 기존 연구의 U-City 중심 물리적 환경 구축을 목표로‘디지털 기술의 효율적 도시 적용’이라는 단편적인 기술 중심의 지표와는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도시의 각 요소가 상호 영향을 주는 상관관계가 다양하고 체계화된 지표로 구축되어 스마트도시 실현을 위한 방향성 제시에 효과적인 지표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둘째, 지표의 활용측면은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의 방향성을 제시한 지속가능한 성장 개념의 사회, 경제, 환경이 순환되는 현대도시 구조에 적합한 지표로서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적 목표 설정 및 문제점 분석, 자체 개선 방안 도출, 가이드라인 설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도시 평가지표의 발전과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인 노력이 필요하다. 즉, 스마트도시 실현을 위한 성과 달성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는 국가, 지방, 지역 단위의 지표 설정 및 제도적 도입이 정착되어야 평가지표를 통해 도시문제 해결, 경제 성장 지원, 도시 관리·운영 효율화 등 스마트도시의 분명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성과들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 공공차원에서 매년 정기적 모니터링 및 평가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 지역활성화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부천시를 중심으로

        이수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ABSTRACT Regional Revitalization and Urban Regeneration for Community's Residential Satisfaction : Focused on Bucheon City Lee, Soo Ill Dept. of Urban Planning and policy,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s an active spa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functions,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ing to urban regeneration to recov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w functions, breaking away from the framework of new city development and urban maintenance projects. Considering that this is a series of processes to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regional revitalization in cities that have been stagnant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effect of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specific analysis of this was insuffici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nd substantially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ocal revitalization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urban regeneration studies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improve community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ly, based on practical empirical analysis to improve sustainable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regional revitaliza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effici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he policy direction and policy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pecifically set as follows to understand these factors, as regional revitalization will lead to improveme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framework of restoring local communities and improving residential satisfaction. First,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ich is a parameter. Second,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a parameter. Third, it was attempt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th, residents' participation was intend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parameters would be effectiv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resident satisfaction by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Fifth,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resident participation will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Sixth,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will affect residence satisfa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Seventh, community consciousness was intended to be verified by judging that the parameters would be effectiv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Finall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each route was judged to differ according to the general neighborhood and economic-based area.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to compl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discussing and theoretically examining regional vitalization factors,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spirit, and residence satisfac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nd Chunui-dong, Wonmi 1-dong area, of Sosabon-dong and Sosabon-3-dong, Wonmi-2-dong and Simgok-2-dong, Bucheon c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designed and proposed in the Chunui-dong, Wonmi 1-dong area, a survey method was used for each region to the residents of the target area.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20, 2022 to October 20, 2022.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5 residents in each dong, 6 dongs, 420 copies were collected, 398 copies were used as valid samples,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anted to secure.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questionnaire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of 39 people were analyzed by data.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activation factors,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after going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validity test for valid research model test. In this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data analysis col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as used by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r each variable,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us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research model test. Looking at the main researc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14 out of a total of 17 path hypotheses were adopted, and 3 hypotheses were rejected. Based on th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also increased residents' particip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also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increasing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also increases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increasing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increases residential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meaningful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that high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increased resid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n resident satisfa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 and the economic-based area. First, it was foun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increased by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nd there was no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 economic-based areas.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creases resident particip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but there is no change in resident participation in economic-based area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lso increased community consciousnes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economic-based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social activation in economic-based areas lowered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ocial activ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general neighborhood area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gh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increas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re was no change in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economic-based areas. Summarizing the above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are emphasized because they are found to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olidarity. Therefore, public roles are important to improve resident satisfaction, bu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re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resident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cooperative governance is needed based on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is, continuous residential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only when the local community is centered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l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ddition, both neighborhood regeneration and economic base have a policy commonality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so even if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regardless of the type of project, the local community must lead the project. Keywords :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residential satisfaction. 국문초록 지역 활성화와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 부천시를 중심으로 도시는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으로 중추적 기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동공간으로서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는 과정에 신도시개발과 도시정비사업으로 전면철거방식인 물리적 측면의 활성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수단을 수반하는 틀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기능의 거주환경을 회복하고자 도시재생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있다. 이는 거주환경 악화로 침체 된 도시에 지역 활성화를 통하여 거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때,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와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연구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실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역 활성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질적인 실증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도시재생의 정책적 방향과 정책과정 연구에 참고자료로서 효율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재생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지역공동체 회복과 거주만족도 향상이라는 큰 틀에서 볼 때, 지역 활성화가 곧 거주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활성화요인이 매개변수인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지역활성화요인이 매개변수인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지역활성화요인이 종속변수인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넷째, 주민참여는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주민참여와 주민 거주만족도와의 관계로 주민참여는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공동체 의식과 거주만족도와의 관계로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일곱째, 공동체 의식은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일반근린형 권역과 경제기반형 권역에 따라 각 경로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목적을 완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시재생사업의 지역활성화요인,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에 대한 논의와 이론적 고찰 후 연구대상지인 부천시 소사 본동·소사본3동 일원, 원미2동·심곡2동 일원의 일반근린형 권역과 춘의동·원미1동 일원의 경제기반형 권역에서 설계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지 지역주민들에게 권역별로 설문방식을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2년 8월 20일부터 2022년 10월 20일까지 동별 주민 약 75명씩 6개 동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450부를 배부하여 420부를 회수 398부를 유효표본으로 하고 최종분석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의 부족한 설문을 보완하기 위하여 39명의 심층 면담한 조사내용을 자료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활성화요인과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타당성 있는 연구모델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측정모델 타당성 검정 과정을 거친 후 연구모델을 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변수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활성화요인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와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특성과 같은 빈도분석과 변수별 기술통계분석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모형검정을 위한 SEM 분석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설정한 가설검정 결과 총 17개의 경로 가설 중 14개의 경로는 채택되었고, 3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를 토대로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는 주민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주민참여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역활성화요인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는 공동체 의식에도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공동체 의식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는 거주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는 거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거주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이 높으면 거주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가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의 매개 효과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민참여는 부분 매개 효과가 있고,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민참여는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완전 매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일반근린형 권역과 경제기반형 권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 주민참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와 주민참여 간에는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가 높아지지만,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공동체 의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와 공동체 의식 간에는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없었다. 셋째,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사회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거주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사회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일반근린형 권역에서 물리적 활성화가 높으면,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이 높아지고,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지역활성화요인은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에 대한 지역공동체 결속력에 따라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그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공공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 향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기 때문에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민·관이 서로 노력하는 협력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거주만족도 향상 차원에서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되어야 지속적인 거주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근린재생형과 경제기반형 모두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라는 정책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업유형과 관계없이 사업추진과정에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민간, 기업, 행정이 협업하는 가운데 지역공동체가 주도하여야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주제어: 도시재생사업, 지역 활성화 요인,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 한국의 항만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윤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항만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우리 삶의 중심공간으로 물류와 여객운송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항만을 중심으로 형성된 항만도시들은 19세기부터 제조업을 기반으로 급격한 성장과 확장을 이루었다. 항만으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많은 사람들은 항만도시를 중심으로 공동생활권을 형성하면서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던 번영과 풍요를 누리게 되었다. 하지만 인류문화의 발전 과정이 그러하듯, 항만도시들도 성장만 계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성장이 있으면 퇴보하거나 퇴행하는 부분도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컨테이너의 등장으로 물류운송방식에 혁명이 발생하면서 선박은 대형화되었고, 새로운 접안 시스템이 요구되면서 기존 항만과 도시의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이를 수용할 여력이 없는 항만들은 배후도시와 함께 쇠퇴라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맞게 된다. 그리고 육상교통의 발달로 외곽에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기존 항만도시의 공동화(空洞化)와 인구유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에 기능 전환과 역할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한 선진국의 구(舊) 항만도시들은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국내의 항만도시도 동일한 패턴과 문제점을 나타내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항만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여건과 이해관계자간의 갈등 발생 등의 문제로 아직까지도 항만도시재생사업의 성과가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항만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한 선진 사례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출발점인 “국내 항만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요인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한국의 항만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 이론들을 바탕으로 항만도시재생에 대한 방향성을 경제적, 공공적, 문화적, 행정적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개 유형에 대한 핵심요인 12개를 도출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 해외 4곳을 대상으로 핵심요인을 분석하고 가설을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2곳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추가로 AHP 분석을 실시하여 핵심요인에 대한 가설을 재검증하고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분석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해외사례 분석을 위해 핵심요인(12개)을 정성적 요인(4개)과 정량적 요인(8개)으로 나누었다. 정성적 요인은 산업구조 개편, 공공성 확보, 친수 공간 조성, 참여주체로 요인에 대한 주요내용을 정리하였다. 정량적 요인은 기업유치, 상권 활성화, 공간 구성, 접근성 향상, 지역자산 활용, 앵커시설 조성, 개발방식, 재정지원이다. 정량적 요인은 측정지표와 기준 값을 요인별로 정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외사례 분석결과, 항만도시재생에서 정량적 핵심요인들이 인구와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도시가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량적 핵심요인은 모두 항만도시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각의 핵심 요인별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핵심요인 중 기업유치, 접근성 향상, 개발 방식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은 경제적·공공적·행정적 유형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반면, 핵심요인 중 공간구성은 영향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추진한 국내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의 경우 항만도시재생계획이 인프라 측면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과 산업유산 재활용 시 차별화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공공적 측면의 공공용지 비율에 대한 계획은 해외사례 지역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추진한 AHP 분석결과 전문가들은 경제적, 공공적, 문화적, 행정적 측면 중 공공적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적 측면의 접근성 향상, 공공성 확보, 공간 구성의 핵심요인들이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그리고 전문가 그룹간의 인식차이를 확인한 분석결과에서도 공공적 측면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반면, 행정적 측면의 재정지원과 참여주체는 낮은 중요도를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차이점으로 사례분석 결과 3개 유형(경제적·공공적·행정적 유형)에서 중요한 핵심요인이 도출되었으나, AHP 분석은 1개 유형(공공적 유형)에서 핵심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핵심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공간구성 요인은 AHP 분석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사례분석에서는 가장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개발방식 요인은 사례분석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AHP분석 결과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 향상 요인은 사례분석과 AHP분석 모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한국 항만도시재생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도시재생 추진 시 공공적 측면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과거의 개발방식은 공공성보다는 경제성 논리에 무게를 두고 진행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항만 공간을 공공적 공간으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항만공간은 과거에는 국가산업을 위해 시민에게 단절된 공간이었으나, 이제는 시민에게 환원해야 하는 공간이다. 둘째,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내실화하여야 한다. 국내 항만도시재생사업은 초기 단계로 공공이나 민간 중 어느 한쪽이 추진할 경우 다양한 갈등이 대두될 수 있다. 현재 추진 중인 부산과 인천의 경우에도 사회적 갈등으로 사업추진 성과가 미진한 상태이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합의를 전제로 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구성원들 스스로 사회적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과 경험 축척에 대한 방안들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가능한 항만도시를 위한 새로운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최근 항만도시들은 물류 기능을 넘어서 항만과 도시의 연계를 통해 신산업을 발굴하고 있다. 이에 국내 항만도시의 장점을 살린 신산업 유치와 자생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산학연의 협업을 바탕으로 추진하되, 그 중심적 역할은 지역 대학들이 담당하여야 한다. 이런 선제적 대응은 항만도시의 수익창출 구조를 만들어 내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 서울시의 친환경포장에 관한 연구 : 서울 시가화지역을 중심으로

        권정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세계적으로 도시생태계에 대한 많은 연구와 개선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제의 추세이다. 친환경적이고 친생태적인 도시의 조성은 경제적인 면만을 강조한 기존 도시의 우월감에서 벗어나 문화적 환경적 특성을 겸비한 도시로의 탈피로 변모되어가고 있다. 이는 문화적 환경적인 특성이 곧 도시의 경쟁력이 되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도시의 “불투수성 포장”을 개선하여 생태적인 면에서도 환경적인 면에서 도시를 개선하여 도시민이 도시에서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와 권리를 되돌려주고 도시의 불투수로 인한 여러 환경오염 “도심열섬”, “도시하천 건천화,”등을 방지하고 “투수지”와 “식재지”의 확대를 꾀하는 중요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서울시의 대다수 사용지의 불투수 면적비율이 도시의 48%이상을 상회하는 현실에서 녹지의 확보자체를 “투수성” 포장을 통하여 확대가능 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의 불투수성 포장은 해체되고 나아가 “친환경적인 포장소재”를 이용한 도심의 친수성화는 결국 도시에 투수면적의 확대와 식재지의 확충을 이끌어 도심 전체의 생태적 공원화를 조성하는 커다란 촉매제가 될 것이며,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게 많은 환경적 이익을 배분할 것이라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투수성 포장의 개선방안과 현행 시행중인 친환경소재의 문제점을 분석 비교하여 보다 나은 도심 “지표면 포장”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그 효과를 예견해 보고자 한다.

      •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중심으로

        고영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계획·정책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9711

        The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propose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policies for the system of real estates over decades, providing multiple systems. Nonetheless, to control the sharp rise of the price, restrictions on the loans have been introduced such as debt-to-income (DTI) ratio, loan-to-mortgage value (LTV), and debt service ratio (DSR); term of residence and qualifications have been limited; and trading terms have been regulated to tax heavily on the transfer income tax an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trend of the price under these multiple regulations on the real estates and to analyze the apartment market in 4 Gangnams, Mapo, Yongsan, and Seongdong that could not explain with the existing theories. To do so, real transaction prices of apartments registered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al policy on the prices of apartments, objectively. In particular, the analysis model of difference-in-differences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of private apartments among the governmental regulations on the real estates. The study subjects were apartments in 7 implemented Gus of the system including Gangnam, Seocho, Songpa, Gangdong, Mapo, Yongsan, and Seongdong, and 7 non-implemented Gus of the system including Gangbuk, Dobong, Jungrang, Jongro, Gwanak, Geumchon, and Guro, registered with their real transaction prices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rom May 28th to September 28th 2020 (before and 2 month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of private apartments as of July 28th 2020). A total of 13,191 households were the analysis subjects consisting of 7,663 in the implemented areas of the policy and 5,528 in the non-implemented areas; 9,801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nd 3,390 after the implementation; 5,451 for northern areas from Han River and 7,740 for southern areas from Han River; and 5,079, 5,606, and 2,506 for small, medium, and large sized apartments, respectively.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policy implementation in both implemented and non-implemented areas were established as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Dependent variable was the real transaction price (log value of transaction price per ㎡) registered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uring the selected period,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licy implemented area, policy implemented duration, alternating effect, and features of apartments including floor, area, construction age,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buildings, number of parking spaces per household, number of subway stations, distance to subway station, surrounding park, and type of heating. In addition,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as established by sizes (small, medium, and large) and location from Han River (north and sout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lementation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of private apartments resulted in raising the price level compared to that before its implementation, however, the estimate of difference-in-differences which is an effect of the policy showed the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implicating to lower the price increase in the implemented areas than in the non-implemented areas suggesting the price control effect. Among the features of apartments, all the variables except surrounding park availability showed the impact on the price level, significantly. Second, with respect to the size of apartments, the policy effects showed differently by the sizes of apartments, demonstrating the price lowering effect from the policy only in the small sized apartments while none in the medium and large sized ones. Third, in terms of location from Han River, the policy effects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were found to lower the price level relatively only in the northern areas from the river. Effects of apartment features on the price level were not varied from overall analysis results, however, the price level in the southern areas from Han River was increased more as the construction age was older and the parks were available nearby. In summary on the effects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the degree of price increase was weaker in the policy implemented areas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than in the policy non-implemented areas and before the implementation, respectively. This means not to lower the price level by the policy. Only small apartments not bigger than 60㎡ for the size and northern areas from Han River showed to lower the price, suggesting no price stabilization effects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in the mid-to-large sized apartments and in the southern areas from Han River. Hence, the price limitation system implemented from July 28th 2020 seemed to achieve the policy goals, partially. The system did not stabilize the price level of mid-to-large sized apartments, and its effects were not found in the southern areas from Han River.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seek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policies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real estate regulation policies by the Moon’s government that continued the policies of the Roh’s government. Also,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reasons of the areas and the types of apartments that the policy effects were not found, thereby to prepare the proper and effective alternatives. 한국 정부는 수십 년 동안 부동산 제도를 다양하게 내세우면서 합리적․효율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 급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같은 대출 규제를 도입하였고, 거주 연한 및 자격을 제한하기도 하였으며, 매매기간을 규제하여 양도소득세를 중과하고 종합부동산세를 높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부동산 규제 속에서 가격의 변화를 살펴보고, 기존이론으로 설명 불가능한 강남4구와 마포, 용산, 성동의 공동주택 시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공동주택의 실거래가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 중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도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중차분법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2020년 5월 28일~2020년 9월 28일(2020년 7월 28일을 기준으로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정책 도입 전과 후 2개월) 사이에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등록된 주택을 분석 대상으로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정책 도입 지역 7개 구(강남, 서초, 송파, 강동, 마포, 용산, 성동)와 정책 미도입 지역 7개 구(강북, 도봉, 중랑, 종로, 관악, 금천, 구로)를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에 해당하는 아파트는 전체 13,191세대로, 정책 도입 지역 7,663세대, 정책 미도입 지역 5,528세대, 정책 도입 이전 9,801세대, 정책 도입 이후 3,390세대, 한강이북 지역 5,451세대, 한강이남 지역 7,740세대이고, 주택규모별로는 소형 5,079건, 중형 5,606건, 대형 2,506건이다.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적용‧미적용 지역의 시행 전‧후를 기본적인 이중차분법 모형으로 구성하였는데, 전체 모형의 종속변수는 범위로 선정된 기간 동안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실거래가(㎡당 거래금액의 로그값)이고, 독립변수는 정책시행지역, 정책시행기간, 교호효과, 그리고 주택 특성(층, 전용면적/공급면적, 건축연령, 세대수, 동수, 세대 당 주차대수, 지하철역 수, 지하철역 거리, 주변공원, 난방방식)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주택규모(소형‧중형‧대형) 및 한강기준 지역구분(강남‧강북)에 따른 이중차분법 모형을 각각 구성하였다. 전체 자료를 이용한 이중차분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시행의 결과 시행 지역과 미시행 지역 모두 시행 전에 비해서 시행 후의 가격수준이 높아지기는 했지만, 정책효과인 이중차분 추정치는 음(-)의 회귀계수로 나타나 즉 미시행지역에 비해 시행지역의 가격 상승이 상대적으로 낮아 분양가 상한제 정책이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특성 중에서는 주변 공원 유무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가격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규모별로 이중차분법 분석을 한 결과, 분양가 상한제의 정책효과는 주택규모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소형인 경우에만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가 상대적으로 가격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고 중형과 대형 주택은 정책적 효과가 없었다. 셋째, 한강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 지역을 구분하여 이중차분법으로 분석한 결과, 분양가 상한제의 정책 효과는 한강이북 지역에서만 상대적으로 가격수준을 하락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수준에 대한 주택특성변수의 효과는 전체 분석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한강이남 지역에서는 건축연령이 오래될수록, 주변에 공원이 있을 경우 가격수준이 높아졌다. 이와 같이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의 정책적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전체적으로 정책 미시행 지역보다 정책 시행 지역에서 정책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아파트 가격 상승정도가 덜하다. 즉 실제 정책의 효과는 가격수준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못했다. 주택규모에 따라서는 60㎡ 이하인 소형주택에서만, 한강 기준으로는 북쪽 지역에서만 정책이 가격수준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중‧대형 주택과 한강이남 지역에서는 분양가 상한제의 가격 안정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2020년 7월 28일부터 시행된 분양가 상한제는 이와 같은 정책 목표를 부분적으로만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분양가 상한제가 중‧대형 아파트 시세를 안정시키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한강이남 지역에서도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을 답습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 부동산 규제 정책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합리적‧효율적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지역과 아파트 유형에 대해서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적절하고 실효성 있는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