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屬彫刻에 나타난 表現特性에 관한 硏究 : Stainless Steel를 中心으로

        박용국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대미술은 그 어느 때보다 우리 생활 주변에 가까이에 와 있다. 특히 수많은 환경조각이 도시의 환경 속에서 현대인의 시선을 끌고 있다. 20세기의 미술은 많은 영역상의 장벽들을 허물어 왔고, 새로운 표현 방식이 생겨나게 했으며, 현 사회에 대해 새로운 통찰력을 갖도록 해 주었다. 현대 과학과 산업의 발달은 더욱 많은 소재와 기술을 발전시켜서 예술가들에게 다양한 기법으로 작품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었다. 현대1) 조형에서는 특히 질감(Material)에 대한 적극적인 실험과 더불어 표현에 따른 재질감의 끊임없는 탐구가 계속되고 있다. 기술의 발달과 함께 재료의 발전을 가져 온 금속은 철과 비철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철의 단점인 부식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합금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소재인 스텐레스 스틸을 개발하였고, 조각작품을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스텐레스 스틸 제작기법에는 주물기법과 가공관련 기법으로 분류하여 각 기법과 특성사례를 다룬다. 금속조각에서의 스텐레스 스틸 주물은 기법 상 세라믹 셀을 주로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산업기술의 발달로 산업제품을 위한 기법에서 시작하여 현대에 와서 제작방법이 조형작업을 가능케 하였다. 스텐레스 스틸의 높은 온도의 융점 특성상 일반 모래 주물은 소성을 시킬 수 없으므로 세라믹 셀를 이용한 주조 방법과 가공관련 기법에서는 절단, 용접, 표면마감으로 크게 분류하여 설명하고, 특히 가공관련기법은 재료의 특성상 거울처럼 보여 줄 수 있는 투영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작품의 마무리 과정에서는 표면 마감 특히 질감표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였다. 본 논문은 현대 미술내의 금속조각의 출현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금속의 종류를 분류하여 특성을 연구하였다. 작품사례는 각 기법별로 분류하여 작품이 설치된 사례들을 통하여 그 특성과 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환경 조형작품과 본인의 작품의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따른 표현특성과 금속조각에 대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경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Modem art is closer to our lives than ever. Especially a great number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he city attract the eyes of people who are leading their urban lives. In the 20th century, art has been breaking down many of the barriers of genre and giving rise to new ways of expression. It has provided a new insight for the current society. The developments of modem society and industry have brought lots of better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artists to produce their works in many ways. Many artists in the field of Modem moulding has been actively experimenting on materials, while continuously exploring the feelings of materials. Metal, which has improved material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an be divided into iron and nonferrous metals. Artists alloyed metals to develop a new material of stainless steel to avoid rusting metals. Rust has been a serious defect with iron. It has been used in sculpture as a method. The two methods to use stainless steal are a moulding technique and a processing technique. Ceramic cell is usually used for stainless steal moulding in the metal sculpture. It originates from a method to produce industrial goods. The method is used for molding work in the modem. Since the melting point of stainless steal is very high, Sand mold can not be adapted to the temperature. For the reason, Ceramic cell is usually used. The processing techniqu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hree; cutting, welding, and external care. Thank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xternal finishing touch, especially for the expression of the feeling of a material, is very important so that you can put emphasis on its reflection as it is reflected in a mirror. In this report, I looked over the background and process where the metal sculpture appeared and developed in the world of modem art, classifying and studying the kinds and qualities of metal. The work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techniques. I went over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works according to where the works are set up. In this report, I introduced and researched the examples of foreign environmental moldings and mine, especially their expressive traits and general, universal trends of metal sculptures.

      • 初期 韓國彫刻의 歐美樣式 導入에 關한 硏究 : 海外留學派의 女人像의 形態와 材料를 中心으로

        이균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oots of European and American sculptures introduced through modern sculptures by international students. This ranges from figurative sculptures by Bok-jin Kim in the 1920s to the abstract sculptures by Jung-sook Kim in the 1960s. This thesis will study the female form specifically, the change from the figurative pattern to the abstract one, and the use of materials such as plaster, woods, stones, bronze, terra-cotta and other metallic material in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sculpture arts and its developing process. Herbert Read wrote that, ?We are immediately struck by the surprising fact that at least ninetenths of all the sculpture ever carved is devoted to one subject ? the human body. As is well known, art began, in prehistoric times, with a different prejudice-with an almost exclusive concern for the depiction of animals-and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is prejudice was connected with prehistoric man?s dependence on animals as his food. The rare examples of human representation in Paleolithic art are of males participating in hunting scenes or of females who, because they are represented as pregnant, may reasonably be associated with fertility rites. The male representations are, with one or two exceptions, all drawings; the female representations all sculptures. It used to be assumed that sculpture was the original art of prehistoric man and that drawing and painting were much later acquisitions. This view was based on the erroneous idea that sculpture involved a much simpler process of reproduction than drawing-the idea that modeling or carving the round was a process of direct imitation, whereas drawing or painting required the translation of three-dimensional experience into two-dimensional abstraction.? First, to make an approach to the aesthetics of sculpture with a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art is perhaps an arbitrary proceeding. However, we shall find the development of the sculptural representation of the human body, considered purely as the representation of that particular subject, plunges us directly into aesthetic problems peculiar to the art of sculpture. The first Korean sculptor, Bok-jin Kim (1901~1940) not only pioneered the foundation of modern sculpture art but was also an outstanding artist. At that time, he greatly influenced many sculptors such as Doo-il Kim, Seung-wook Yoon, Kyung-seong Kim, Jung-soo Kim, Kook-jun Lee, Gyu-bong Cho, Hyo-joong Yoon and Jong-young Kim. Moreover, there were two outstanding sculptors: Jin-gyu Kwon and Jung-sook Kim in the 1960s. During that time, two common ways to create sculptures were molding and carving. The material used to create sculptures was also a decisive factor to express the content of their work. Bok-jin Kim molded his sculpture. Most modern sculptures in Korea had sculptured heads, nude and clothed figures, which were based on realistic depictions. This style wa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of Tokyo Art School?s Department of Sculpture. Tokyo Art School was established modeling the academy curriculum in France - the best technique for the work of art is to describe and depict the copy of gypsum figures or the drawing of a human body thoroughly shown in the norms of masterpieces. The early concept of Korean sculptures meant to transplant Western or European style. All kinds of sculpture styles and patterns were mingled together such as traditional carvings, European style sculptures, figurative sculptures, abstract ones from the new world, and patterns of figurative and non-figurative. When Bok-jin Kim studied in Japan, European impressionism was considered as the academism, and Rodin, one of the titans in the history of sculpture, paved the way with increasingly expressionistic forms. Japanese sculptors flew to Franceto meet Rodin, and introduced his impressive worksof art to their country. The aspirations for modern sculptures were the pick when Bok-jin Kim entered Tokyo Art School. I will explain the features of Korean sculptures by comparing the Western European art which Japanese sculptors have achieved with the Japanese art which Korean sculptors have acquired. First, in recent studies of the human figure in Western European art, art history has focused on questions of gender and sexuality in representations of the body, especially the female body. Traditionally, art historians have considered the female nude as an object, usually an object of beauty, and discussion has centered around formal issues and questions of artistic sources for the depiction of the nude. In Renaissance art, the male nude was much more frequently portrayed than the female nude. But by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is situation had changed. Artists more often depicted the female nude in finished works despite the continuing dominance of male models in academic training. Although the balance was redressed in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Neoclassical art, which focused much more heavily on the erotic aspects of the male nude, the female nude continued its overall historical dominance in Western depictions of the naked figure, as it does even today. Many depictions of the female nude, both traditional and avant-garde, focus on a display of the nude as a sexual object. In much twentieth century avant-garde art, the body, especially the female body, is further objectified. In Cubism, the body is geometrically fragmented. Compared with Western European art, the Japanese sculptors have two mainstreams kept balancing Japanese and Western European art in traditional and modern art. One is the Vincenzo Ragusa family of Industrial Art School. This focuses the reproductive description of Italian academic figures. The other is the Auguste Rodin family introduced by Hagiwara who came back to Japan in 1907 and roused his enthusiasm 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early exhibitions. Tokyo Art School is based on academism, so it affected the idiom of many Japanese and Korean sculptors at that time. Even though the mainstream in early 1960s in Korea was to erect memorial statues and figurative sculptures, interest in abstract sculptures increased during the late 1950s. The curiosity about abstract sculptures had an effect on the material change from wood, stone, bronze to metal. Jin-kyu Kwon is one of the symbolic artists in the 1960s when modern sculptures were experimentally created. His sculptures usually made of terracotta are animals, busts, and female nudes. On the other hand, Jung-sook Kim was at the center of early abstract sculptors. She was the first Korean sculptor who studied abroad and learned the technique, materials and concept of the modern sculptures in America. Returning to Korea in 1957, she created many sculpture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bronze, marble, wood and metal. This thesis will descri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ferred to in the bibliography of art works to study the patterns and materials of early Korean sculptures following these steps. This essay will explorethe history of Korean sculptures, the features of significant sculptors and their works of art, and I will explain my assessment and suggestion about Korean sculptures. 이 논문은 한국의 초기 조각을 1920년대의 김복진의 구상조각으로부터 시작하여 1960년대의 김정숙의 추상조각에 이르기까지의 해외유학파의 초기 구미 근현대 조각양식의 도입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조각예술의 도입과 발전과정에 있어서 여인상(女人像)의 형태와 재료를 중심으로 양식의 변화(구상에서 추상으로)와 재료(석고, 나무, 돌, 청동, 테라코타, 금속)의 사용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리드(Herbert Read)는 "조각 작품 가운데 90%가 인체를 소재로 하고 있다."라고 하였다. 또 그는 "선사시대인의 미술의 출발은 조각이었으나, 그림과 채색화는 훨씬 뒤에 시작되었다는 것이 이제까지의 통념이다."라고 하면서, 신석기시대의 미술의 주제는 예외 없이 동물이었으나, 구석기 시대에는 대부분 남성은 회화로, 여성은 조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우리나라 조각분야에서 최초의 조각예술가인 김복진(1901-1940)은 근대적 조각예술의 기틀을 다진 선각자일 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문예활동에서도 뛰어난 면모를 보여 준 예술가이다. 당시 대부분의 조각가들이 김복진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김복진에 이어 등장한 조각가로는 김두일, 윤승욱, 김경승, 김정수, 이국전, 조규봉, 윤효중, 김종영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1960년대에는 권진규와 미국에 유학하여 현대조각을 배운 김정숙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근대조각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사실적 묘사에 바탕을 둔 ①두상, ②나상, 또는 ③착의의 인물상 등으로 이것은 근대조각의 선구자들이 대부분 수학하였던 동경미술학교의 조각과의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것이었다. 동경미술학교는 프랑스의 아카데미 교육제도를 모델로 하였는데, 그것은 가장 훌륭한 미술이란 고대와 르네상스 대가들의 작품에서 보이는 규범에 따른 믿음 속에서 테크닉 습득을 위한 석고조각의 모사나 인체 데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었다. 전통조각과 새로운 유럽식 기법의 조각, 이에서 파생되어 확고히 구축된 구상조각과 새로운 세계에서 도입된 추상조각, 구상과 비구상이라는 양식의 문제 또한 역사의 발전과 함께함을 한국의 초기 조각사에서 볼 수 있다. 김복진이 일본에 유학하였던 당시 일본 화단은 바야흐로 유럽에서 도입된 인상파 미술이 아카데미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인상파시대 조각의 거장이었던 로댕의 예술이 뜨겁게 수용되고 있을 시기에 해당된다. 일본조각가들은 직접 프랑스에 건너가 로댕 등을 만나고 그들에게 깊은 감명을 받으며, 로댕의 예술을 일본 조각계에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서, 김복진이 동경미술학교 조각과에 입학하던 무렵은 근대조각에의 열망이 가장 높아 있었던 시기에 해당된다. 한국조각가들이 배운 일본의 미술학교와 일본조각가들이 배운 프랑스의 미술학교의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의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의 조각은 초기 공업부 부설 미술학교에서 그리고 동경미술학교에서 일본, 서유럽, 신·구의 입장에서 조화시키면서 다음 두 가지의 특색 있는 흐름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였다. 서유럽의 조각에는 분명히 두 가지의 원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로, 공업부 부설 미술학교의 라구사(Vincenzo Ragusa,1841-1927)의 계통으로, 아카데믹한 이태리조각의 재현적인 형체묘사를 주안으로 하고 있다. 둘째로, 1907년에 귀국하여 초기 문전에 크게 기세를 세운 하기와라(萩原守衛) 등이 도입한 로댕의 계통이다. 로댕(Auguste Rodin, 1840- 1917)은 형체묘사의 조각에 생명의 숨을 불어넣는 것이다. 그것은 정말 근대조각의 문을 연 것이라고 하여도 좋다. 동경미술학교는 이른바 아카데미즘을 근간으로 한 풍조가 지배적인 미술학교로서 당시 일본 화단은 물론 한국 화단에 있어서도 미술의 기조를 이루고 있었다. 다음으로. 일본의 근대조각은 위와 같이 서유럽으로부터 습득하였으며 서유럽의 아카데미는 다음과 같다. 미술에서 보는 인물상의 최근의 연구에서는 미술사는 인체, 특히 여인상의 표현에 있어서 나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왔다. 미술사가들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나체를 하나의 아름다움의 대상으로서 고려하여 왔다. 그리스·로마 고전시대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사상, 인간상은 가장 빈번히 취급되었던 테마이다. 예술작품이 태어나는데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사실이다. 르네상스미술에 있어서는 남성의 나체가 여성의 그것보다도 더욱 빈번히 조각화되었다. 그러나 17세기의 끝까지에는 이와 같은 상황이 변화하여, 조각가들은 완성작품으로 가끔 여성의 나체를 제작하게 되었다. 이 균형은 18세기의 말엽에서부터 19세기 초두의 신고전주의의 미술에 있어서 회복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남성의 나상(裸像)의 관능적 측면에 한층 중점을 두게 되었지만, 여성의 나상은 서유럽의 나체표현에 있어서는 통사적으로 보면 우위를 지속하여, 오늘날에 있어서도 또한 그대로이다. 1950년대 후반기에는 조각계에도 추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추상조각에 대한 관심은 재료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이제까지의 나무, 돌, 청동이 주가 되었던 조각의 재료에 철조를 비롯한 금속이 새로운 재료로 등장하였다. 1960년대 현대조각의 분기점에 있는 길목에서 권진규(1922-1973)는 독특한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새로운 현대조각의 실험이 한참일 때 보수적으로 볼 수 있는 구상조각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작품세계는 주로 테라코타 상으로 ①흉상, ②나상, ③동물상 등이 주가 된다. 현대조각의 초기에 추상조각의 중심에는 김정숙(1917-1991)이 있다. 김정숙은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에 유학하여 현대조각의 기법이나 재료 및 개념에 대하여 배워, 1957년도 귀국 뒤, 청동, 대리석, 나무,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작품제작으로 발전시켰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기 조각 연구의 양식이나 재료에 관하여 작품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다음의 목차에 따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다. 이 논문은 연구의 체계에 따라 ①서론, ②본론 그리고 ③결론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며, 본론에서는 첫째, 한국 조각예술의 전개과정, 둘째, 각 조각예술가들의 예술세계와 작품 특징을 해설한다. 결론으로 종합평가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작품을 중심으로 문헌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초기 조각사에 나타난 양식과 표현재료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술적으로 기술한다.

      • Herbert Ferber 작품 연구

        주송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20세기 미술의 가장 큰 변화는 2차 세계대전이후 미술의 중심이 파리에서 뉴욕으로 옮겨오면서 서양미술사조의 전통적 계보 상 새로운 미술 사조로 추상표현주의라는 미술사조가 등장하게 된다. 추상표현주의는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이었으며 미국 미술에 있어서 1940-1950년을 비약적이고 신화적으로 발전시킨 매개체라 할 수 있다. 특히 조각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정신적 배경과 산업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금속이 조각의 재료로 활용되면서 미국조각은 철재조각이 새로운 영역으로 등장한다. 스미스(David Smith), 칼더(Alexander Calder), 퍼버(Herbert Ferber), 코넬(Joseph Cornell) 등이 새로운 재료인 철을 용접과 Mobile, assemblage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미국의 새로운 조각의 영역을 확장, 발전시킨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본 논문은 위의 열거한 인물 중 미술사가나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갖지는 못했지만 추상표현주의 또는 뉴욕화파라는 20세기 혁신을 가져왔던 예술가 그룹에 속한 멤버이며 폴록(Jackson Pollock), 로드코 (Mark Rothko), 스틸(Clyfford still) 등과 함께 당시의 아방가르드의 척도로서의 왕성한 활동을 한 H. Ferber의 조각가로서의 삶과 그의 작품을 통해 미국의 철재조각의 발전과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H. Ferber의 작품형성과정과 시대적 배경 그리고 미국의 새로운 조각을 분석하고 그의 조형이념을 바탕으로 초기 구상조각에서부터 추상조각과 환경으로서의 조각을 연구하였다.

      • 프랭크 스탤라 연구 : 스텔라의 공공프로잭트를 중심으로

        진승연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초의 독일 표현주의 조각의 특성을 재검토하고 주요 주제 및 대표적 조각가의 작품 경향을 분석하고 재조명하는데 있다. 191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일어났던 독일 표현주의 미술 운동은 하나의 개별적인 장르나 매체에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특히 조각은 회화와 함께 이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미술사적 의의에 걸맞은 적절한 조명을 받지 못해왔던 독일 표현주의 조각은 자연의 사실적 재현이라는 전통적인 조각관을 극복하고 자아와 정신과 감정의 주관적 표현을 추구함으로써 현대 조각의 지평을 여는 중요한 촉매의 하나였다고 재평가할 수 있다. 에른스트 바를라흐, 빌헤름 램브루크, 에른스트 루드비히 키르히너 등을 대표적인 작가로 손꼽을 수 있는 독일 표현주의 조각의 특성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내적 경험을 가시화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고난과 분노와 같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적절한 제스처가 동원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주제를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매체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질료-특히 나무-의 고유한 속성에 천착했던 점 또한 독일 표현주의 조각의 또 다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질료에 대한 관심은 당시 예술가들의 주목을 끌던 원시미술의 영향과도 함수 관계를 이룬다. 독일 표현주의 조각가들이 작품 속에 담았던 가장 빈번한 주제는 전쟁과 영성이라고 요약될 수 있다. 제 1차 세계 대전은 표현주의를 하나의 미술 운동으로 자리매김시킨 계기였다. 전쟁에 대한 초기의 환영, 전쟁이 남긴 부조리와 고난과 불안함에 대한 반동과 회의는 표현주의 조각에 의해 압축적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전쟁에 대한 비탄과 애도는 종교성 또는 영성과 관련된 주제를 통한 예리한 감정으로 표현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주제와 심리적 태도를 농축된 방식으로 전달하고 소통하기 위해 표현주의 조각가들은 초상 조각에 주목했다. 재현성이나 유사성과 같은 전통적 관념을 극복하고 주제의 정신을 포착하기 위한 표현주의적 초상을 실험했던 것이다. Under the criticism on conventional art which was possessed by a few experts under the assmption of representing aesthetic sense of the public, public art, new type of art which communicate witch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imply emotion of the public, was born 30 years ago. Majority of old public sculptures such as Memorial statues and Monuments built in 19th century had a symbolic function of announcing the policy of nation to the public. Since 1960, aspirant of the artists to break from conventional art which were isolated with the life of public, and necessity of administrative to prove the improved quality life, has led off public art. In that moment, public artwork, mainly in the form of abstract sculpture or installation, entered upon the stage in park, square, campus and in fornt of buiiding on official commission of company or government. However, the artwork was chosen,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the place or the public deaire, by name value of artists and installed outside even though there were no differenee from being installed inside such as art museum. This kind of artwork failed to obtain cognizance of the public because they were nothing but changes of installation site from inside like art museum to outside. Consequently, new issue on public art such as the site and associafed conditions, possession of the artworks,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public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came out. In general, public art is defined as artwork installed in public place and the public could be initiated with. But the definition of public art might be dependant on the age. The public, a composition of public art, is a general concept of transmission of the associated meaning with communal society, social order and self-negation. The art, the other composition of public art, is a general concept of private investigation of sculptor or painter or self-expression might be against customary knowledge and worth. The concept of public and that of art are mutually contradictory. Like a contradietion of its terminology, many contemporary public artwork became not only target of disputation but also that of the public's attack due to a lack of consensus about the function of public art, social position and the artist responsibility for public. In addition, the tension between puhhc work and public became more even and radical because the eventual source of the public project was tax. In 1936, Frank Stella was born in America and influenced by modernism which was the main stream of art world and distinct situation of America. By the time abstract art got into a groove as a firm aesthetic form and Post-Paintary Abstract entered upon the stage, instead of Abstract Expressionism, with a support of Modernism Theory of Clement Greenberg, she proc ed the platform and built her unique art world with her ceaseless experimental attitude, challenge toward new, and strong device-abstract. She, had attracted art circle's attention with her progressive style on Black Stripe Series in her early stage, continued experiment and investigation on color and space through transformed canvas and relief work. Eventually, she completed her distinct art world vrhich overcarne the limit of painting. On the basis of this experimental and distinct artwork, large public art was made from the late 80's to 90's. Her public project could be divided into two main types,' painting project and sculpture project. Although her art work was cognized as public work because i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 site and surrounding space, it was criticized just like the other public art. However, her basic idea of public art was that it, keeping relationship with all surroundings like a city or buildings, could give a vital power to the surroundings and rebuild it into the space full of energy. To achieve the goal, she thought that new way of sculpting open to the public should be created replacing the former way of sculpting closed to the public. Fvrthermore, she pursued open art having participated with the public in her work process and aesthetic experience.

      • 현대 조각에 나타나는 인체표현 연구

        김은지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고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의 모습은 미술의 중요한 주제가 되어왔으며, 특히 인체조각은 사람의 형체에서부터 영감을 얻고 그 형상을 만들어 가는데 가치를 두었다. 인체조각의 주제는 사회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른 형상이나 의미로 상징화되고 재해석되었다. 특히 현대 미술은 변혁의 개혁의식과 맞물려 진전되면서 인체조각은 재현적인 형태에서 탈피해 순수한 조형성에 주목하며 분해, 왜곡되고 재구성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곧 사회적인 모습을 내포하며 인간의 감정에 호소하고 인간정신의 갈등과 모순을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를 대상으로 표현한 조각 작품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원시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적인 변화를 알아보고, 현대 인체조각에서 내재되고 있는 인체표현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현대 인체조각은 인간이 스스로의 신체를 표현하는 정신적인 활동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진정한 주제로 나아가고 있다. 이것은 자신이 사회를 보는 방식은 물론 자아의 모습을 반영한다. 따라서 변형되고 재구성되는 인체조각의 복합적인 형상을 통하여, 현대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체조각의 내재된 의미를 알아보고 새롭고 깊이 있는 표현 형식을 추구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 현대조각에서의 공간성 표현에 관한 연구 : 전통문을 주제로 한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철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the spaces to express through the work by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breaking down of grid structure and non-grid structure of lattice that is shown in researcher's work. The researcher concentrat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paces between borders and tried to visualize this by expressing the traditional lattice structure which is applied to work. The real function of door is the route that connects or closes between the spaces. Also, it excludes outside sounds or lights properly. The thing to symbolize with lattice structure can be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followings: inside and outside, spaces and spaces, borders and borders, humans and humans, spaces and humans, humans and materials, existence and society. The researcher intended to adopt the geometric structure of lattice formation and symbol and function of door to his work actively. While researching the work, the researcher concentrated on repeated space formation searching the grid structure at the beginning. In the work series of <Door> of grid structure, the researcher emptied the inside of the log and carved Korean traditional geometric structure on the surface and punctured then, converted to open structure between the surface and inside of work. On the surface, he carved 田, 亞 and 用 shape repeatedly. He carved along with the status of surface and his preferences rather than regular displa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ing and closing of spaces, he selected the surface to carve. The reason that the researcher chose the log as the material is the characteristic of nature that log has. While he was working with repeated structure, it came to have the impression that the work becomes craft works. In order to avoid from such identity, he started to break grid structure one by one. Thus, he came to show the changes of curve far from the early regular shape(田, 亞 and 用) in non-grid structure of <Door> series. He changed to emptying way from the repeated puncture and relief way. For the formation of inner side, he destroyed the frame and frame structure, which was maintained and broke away the original form of the log. Also, in order to remove the artificial element, he changed his method to the maintaining the early standardized structure from completing with air-sand. However, the problem in the way of inserting the non-standardized surface structure was the sense of artificial hardness. Thus, the way that the researcher selected to give change on the autonomy of space as well as surface of the log, was the firing to attempt to remove artificial trace. Those works that advent as recent research works are the fragmented materials and the shapes that integrate the cracks. As it is broken away from one thing, it forms an empty space, which is the essential space for the composition of material space as a non-material space.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show the close tense relationship and mutual complement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spaces and non-material spaces by making works occupy the spaces. In other words, showing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fragmented material cracks, he tried to represent the formation of fragmented materials and the status that the cracks were formed in the space. Researcher's work is the result of sense of space of sculpture. Likewise all the contemporary sculptors, he was trying to expand the mass by introducing the sense of space actively in his work. It is considered that the fact when he was designing his work, he followed the line of nature and the balance between symmetry and asymmetry then, he designs along with the nature of log by removing artificial work and returning to the flow of nature is reflecting this idea. As he intervenes the material with the minimal artificial manipulation. he tried to take drag the nature of log. In conclusion, the sculpture of the researcher shows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fragmentation status, likewise, the environmental sculpture that is shaped variably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lso,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newly leading the spatial recognition. Besides, through the minimal occupancy of material space, it takes drag the non-material space more actively and functions as active element of sculpture the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out of the range of represent sculpture or abstract sculpture of non-material space.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efers to evaluated the sculpture that are give new formation by mutual exchange of punctured spaces of works and displayed spaces to give detailed formation on his work.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문창살 구조의 그리드적 구조와 탈그리드적 구조가 형성되고 해체되는 과정을 고찰해 봄으로써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경계들 간의 소통과 공간성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것을 전통적인 문창살 구조를 작품에 차용하여 표현해 봄으로써 이를 시각화시켜 보려하였다. 문의 실재 기능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기도 닫기도 하는 통로이며, 안과 밖의 경계선에서 빛과 소리를 적절히 차단하여 안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문창살 구조를 통해서 상징하고자하는 바는 안과 밖, 공간과 공간, 경계와 경계, 사람과 사람, 공간과 사람, 사람과 사물, 존재와 세상 간의 소통이라 할 것이다. 기하학적 구조의 문살 형태와 문의 상징성과 기능성을 적극적으로 작품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려 한 것이다. 작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그리드 구조에 천착하여 반복적인 공간 형성에 주목하였다. 그리드구조의 <間>시리즈 작품들에서 연구자는 통나무 속을 비워내고 그 표면에 한국 전통 문의 기하학적 구조를 새겨 넣고 이를 투각하여 작품 표면과 내부를 열린 구조로 전환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나무표면에 전(田)자형과 아(亞)자형, 용(用)자형을 반복하여 표시를 한다. 규칙적인 배열보다는 나무의 표면상태와 기호의 형태에 맞추어 표시를 하게 된다. 그리고 공간의 열림과 닫힘의 긴장관계를 고려하여 투각하는 면을 선택한다. 여기서 연구자가 작품의 재료로 나무를 택한 연유는 자연물이 갖은 비인위적 특성 때문이었다. 반복적인 구조로 작품을 진행하던 중 작품이 공예적 성격으로 변화되는 듯 한 인상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동일성을 탈피하고자 그리드 구조를 하나씩 깨뜨리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탈그리드 구조의 <間>시리즈 작품들에서는 기존의 규칙인 기호형태(아(亞), 용(用), 전(田))의 형태를 벗어나 곡선의 변화를 주었다. 투각과 부조를 반복적으로 구축하던 방식에서 한 부분을 비워내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내부공간의 형성을 위해 지속시켰던 살과 사리의 구조를 파괴시키고, 나무의 원형 또한 함께 파편화시켰다. 그리고 인위적 흔적을 지우고자 에어샌드로 마무리를 하던 방식은 기존의 정형화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되었었다. 그러나 비정형화된 표면구조를 삽입하는 방식에서도 여전히 남는 문제는 인위적 특성의 딱딱함이었다. 이에 공간의 자율성과 나무표면의 질감에도 변화를 주고자 선택한 방식은 불로 태움으로서 인위적인 손의 흔적을 지우려 시도하였다. 최근의 연구 작품으로 등장하는 작품들은 파편화된 사물과 그 틈을 모두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 보여주는 형식이다. 원래의 한 덩어리에서 깨어짐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비물질적 공간으로서 물질적 공간의 구성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이 작품들은 공간을 점유하며 물질공간과 비물질 공간과의 긴밀한 긴장관계와 상보적 관계를 보이려하였다. 다시 말해 파편화된 물질들 틈새의 각각의 특성을 보이면서 그 파편화된 물질의 형태와 틈이 공간 내에서 형성된 상황을 모두 재현해 보이려 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조각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많은 동시대 작가들처럼 작품에 공간성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임으로서 매스의 확장성을 꽤하려 했던 전통에 서있다. 작품을 제작할 때 대칭과 비대칭의 조화와 자연의 선을 따르고, 나무의 본성을 따라 제작하며, 인위적 조작을 지워냄으로써 자연의 흐름에 되돌려 놓는 것이 이를 반영하고 있다할 것이다. 그리고 자연이 제공한 소재에 최소한의 인위적 조작으로만 개입하여 나무가 갖은 본질을 끌어내려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의 조각은 환경의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환경조각처럼 파편화되어지는 상황에 따라 결과는 차이를 보이며, 공간인식을 새롭게 유도하는 조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물질공간의 최소점유를 통해 비물질 공간을 더욱 더 적극적으로 끌어내어 조각의 적극적 요소로 기능하게 하며, 비물질 공간의 재현적 조각 또는 추상 조각의 범주를 벗어난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연구자는 작품에 구체적 형상을 부여하기보다 작품의 투각된 공간과 작품이 놓여진 공간이 적극적으로 상호교류하여 항상 새로운 형상을 부여받는 조각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 세라믹 셸 몰드(Ceramic Shell Mold) 주조법에 의한 조각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양홍섭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세라믹 셸 몰드(Ceramic Shell Mold) 주조법은 가장 첨단적인 주조기법이다. 1960년대에 이 주조기법이 개발된 이후 산업현장에서 초정밀 기계 부품을 주조하는 데 사용되어 오다가 정밀한 청동 조각작품을 주조하는 데 주로 응용되어 이 방법으로 작품을 제작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주조법이 도입되어 산업현장은 물론 조각가들이 이 주조법을 이용하여 본격적으로 조각작품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주조법에 의한 조각 작품 제작이 점차적으로 확산 일로에 있는 현 시점에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확한 정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밝혀보고자 함은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의 기법을 직접 현장에서 실험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제시한다. 본 연구자의 작품세계에 재료적인 측면에서 신소재 재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고 규소청동(Si Bronze), 알루미늄 합금(Aluminium Alloy), 탄소강(carbon Alloy Steels) 및 스테인리스 스틸강(Stainless Steels)을 원하는 많은 조각가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이 미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도입된 계기를 살펴보았고 주조의 역사에 대해 서술하였다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을 활용한 조각품 주조제작의 프로세스의 전 과정을 서술하였다. 위에 언급된 프로세스를 통해 재료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연구하였다. 특히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에 Silicone Mold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자세히 연구하였다.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작품을 중심으로 선행 작가연구에 가름할 것이며, 선행 작품은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에 의해 주조된 작품에 한정하다 보니 소수의 선행 작가에 국한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 역시 이 주조법을 응용하여 작품에 어떻게 연구하고 있는지를 기술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연구는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으로 Si Bronze, Aluminum Alloy, Carbon Alloy Steels, Stainless Steels 등을 Casting하여 얻어진 작품에 한하여 연구 표본으로 제시하였다. Sn Bronze(주석청동)는 고대로부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Si Bronze(규소청동), 알루미늄 합금, 탄소강 계열, SUS 계열의 신소재는 산업용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런 재료들을 조각 분야에 응용함으로 확장시키고자 연구하였다.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으로 연구자 작품이외 비철금속인 금, 은, 주석, 티타늄 등 주조가 가능한 여러 금속류 재료도 Casting할 수 있어 응용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 연구자 작품은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으로 산업용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신소재를 이용하여 작품제작을 하였다. 선행 작품을 제작한 작가들은 정밀한 조각을 이용하여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으로 작품을 발전시켜 나간다. 연구자의 작품도 선행 작품과 똑같이 Ceramic Shell Mold 주조법으로 작품제작을 하지만 방법론에서 역으로 Ceramic Shell Mold에 각기 다른 재료를 고온에서 녹여 Casting한 후 경험을 살려 각기 다른 금속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주형을 깨뜨리면 금속 고유의 특성인 (마티에르) 재질감을 드러낸다. 본 연구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물질성과 우연성에 대한 가능성도 충분히 엿볼 수 있는 기법이라 사료되어 연구하게 되었다. Ceramic shell mold casting is one of the most up-to-date casting techniques, and it has been used to manufacture ultra-precision machinery parts since developed in the 1960s. Further, it has been applied to the casting of elaborate bronze sculptures. Ceramic shell mold casting is not only used in the industry but it is also utilized as a method of creating sculptures by sculptors. It is notable that the use of the technique is gradually spread. So, it is required to obtain the corr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it.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feasibility of using ceramic shell mold casting for creating sculptures. For this purpose, I provide scientific data based on in-situ testing. I will look into the potential of using new materials in my works and share the findings with the sculptors who want to use Si bronze, aluminum alloy, carbon alloy steels and stainless steels in their works. I reviewed how ceramic shell mold casting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the US. Also I described the history of ceramic shell mold casting. I described the entire sculpturing process using ceramic shell mold casting, and studied both materials aspect and technical aspect. Especially, I performed in-depth study on the silicone mold which is the key item of ceramic mold casting. I adopted sculptures using ceramic shell mold casting as the scope of the target sculptors. This led me to choose only a few ones. I also described how I am utilizing this casting technique in my works. Let me turn into the study on ceramic shell mold casting of my sculptures. To present study samples, I selected as materials Si bronze, aluminum alloy, carbon alloy steels, stainless steels, etc. Sn bronze has been used in sculpture for a long period. On the other hand, new materials such as Si bronze, aluminum alloy, carbon steels, SUS series were used mainly for industrial use. I performed the research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se new materials to modern sculpture. Ceramic shell mold casting has a great potential of application because,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used in my works mentioned above, various nonferrous metals are used as materials for casting: gold, silver, tin and titanium. I created my works using the new materials and ceramic shell mold casting, which were mainly used in the industries. Other sculptors are improving their works using ceramic shell mold casting. I use ceramic shell mold casting for my works as others do, but with different methodology. I conduct the ceramic shell mold casting for different materials at high temperatures. If I break the mold by utilizing experiences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each metal, the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s (i.e. matiere) of the metal is revealed. Thus, ceramic shell mold casting can be a technique that enables us to embody materiality and contingency in our works.

      • 고대 그리스 건축에 나타난 인체조각의 상징 연구 : 그리스 인체조각과 본인의 작품 분석

        이원욱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그리스인들은 인간의 신체를 이상적으로 신성화시켰고, 전 지역에 분포된 성소(聖所)에는 자신들의 신상을 모시는 신전을 인체조각으로 장식하였다. 그리스 신전은 비가시적인 신성(神性)이 형상화 된 공간이었다. 즉 제의적 기능의 장소인 것이다. 연구자는 인체조각이 단순히 건축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고 가정하였다. 오히려 조각은 상징화된 신상이나 인체조각의 형식으로써 건축이라는 공간의 지성소에 위치하며, 공간을 능동적으로 장악하는 구심점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고대 그리스 건축은 단지 주거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종교적 기능도 함께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스 건축 내부의 홀에서 화로는 우주와 소통하는 매개체였는데 화로는 점차 신상으로 대체되어 되었다. 신전건축과 주택건축은 신상조각과 화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인 것이다. 또한 신전건축의 오더(order,柱式)는 단순히 지붕을 받치기 위한 기둥의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우주를 소우주로 구체화 시켰다는 의미를 함축한다. 결국 인간과 우주, 인간과 신의 매개체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정리하면 고대 그리스 건축은 신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인간의 삶과 종교적 행위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 인체조각의 발전 양상은 이집트와 근동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조형체계를 창조하였다. 기하학기의 인체조각은 경직되고 단순하게 생략된 표현으로 형식적이었다. 아르카익기에 들어서 자연스러운 인체표현이 가능해졌고, 클래식기에는 비로소 이상적인 형태와 완전한 조형미를 구축하였다. 이 시기에 인체 조각은 주로 건축과 함께 어우러졌다. 대표적인 인체조각인 코우로스상은 무덤건축이나 신전의 봉헌용으로 제작되었고, 신상이나 올림피아 제전의 우승자상은 신전과 성소주위에 배치되었다. 그리스 인체 조각은 신전에 직접적으로 장식되거나 신전 주위에 조화롭게 설치되었다. 또한 그리스인들은 신인동형론(神人同形論)에 기초하여 신의 모습을 젊은 인간의 형상으로 대체하였다. 그들의 삶의 이상인 ‘칼로카가티아’(kalokagathia)는 육체적 아름다움에 도덕적 탁월성이 결합된 신적 위대함에 도달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시기에 조각의 역할은 신과 종교에 봉사해야만 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Among Ancient civilization accomplished by humankind, stone architecture and sculpture figure are distributed from one place to another all over the world. Specially, European remains surrounding the Mediterranean is important area occupying third of the ancient historic sites. Most of all the sculpture figure included with Greek temple and architecture show the proper move for stone construction art. Researcher is to pursue own studies for the correlation of Greek sculpture and architecture by the sculpture of the human body on the Acropolis temple. Generally in the past, it has been regarded that sculpture exists belonging to a building just as the means for decorating it. Also in the ancient religious construction, was it considered that it expressed an image of a God or an idol, and functioned as an object for worship. In researcher's opinion, escaping from the existing subordination relationship of them, architectural and sculpture of the human body are representation of spirit not being selfsame form. Greek ideally sublimed to make holy human body and ranged in all area, the holy place solemn with human body sculpture of the temple enshrining their God statue. Greek temple was the space in which sacredness invisible became the shape of an object. Research presume that the sculpture of human body is not to merely make outward show of erection. On the contrary, the sculpture was located at the holy of holies, the architecture spot, being a form of symbolized idol of a deity and human body sculpture, and function as the center of a sphere, on its own initiative holding the space. In the interior hall of the ancient Greek architecture, a brazier was a medium communicating with the Universe. It was gradually substituted for a holy object. The Greek architecture has the function as not only residence but also religion. And the temple and a dwelling structure are a room for accepting them. Also the Order of temple building implies that it concretizes a macrocosm to a microcosm, not being quit for a part for bolstering up a roof. Finally, it serves as a medium between human, universe and God. Precisely the architecture reflects human life and regional act for having mutual understanding God. Through influenced from Egypt and Near East, did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Greek human body sculpture created their own original modeling system. Geometrical human body sculpture was formal of rigid, simply abbreviated expression. Setting in Archaic period, it was possible for natural express of body and in classic period, was ideal model and perfect figurative aesthetic constructed. Human body harmonized with architecture with architecture actually kouros was made for the consecration of tomb of temple, and winners statue of the Olympia was arranged around holy place. The Greek human body sculpture directly decorated temple or was matchably set surrounding it. Greek depicted God as young human being based on the anthropomorphism. The ideal for Greek life, kalokagathia indicated that it attained the grandeur of God which combine body beauty with moral excellence. The Greek sculpture was transmit to Roma and become the origin of Renascence. The architectural sculpture of Michelangelo was prosperous to form mixed architectural and sculpture. In the time of neoclassicism, the ancient Greek sculpture was reconsidered by canova, houdon and h.powers, and remained in existence. Even if it was impossible to escape the tendency following classical model, it sufficiently expressed perfect beauty of the sculpture of human body, and reflect dress and its ornaments and society of the same period. In modern times, it is possible that human body sculpture represent free expression by new materials and various technique. Nevertheless, in the modern art, sculpture of human body is neglected, for needing hard course for manufacture and taken exception by a sculptor. Finally, sculpture of human body is indiscreetly reproduced and decorated on the porch or outer wall of current buildings following neoclassicism. That produce the result deteriorating the value of realistic sculpture of human body. But Mark Queen, a modern artist, represent the fine art by a monument sculpture through classical sculpture of human body. He sculptured in relief "the disable pregnant woman" being representative of the minority, located the Trafalgar square in London. It means that the sculpture of human body has possibility as mediums. Todays, as before, classical human body sculpture is very worthy of appreciation because it is perfect for art. Classical human body sculpture is not copy just human's externals. It is the case that put in precious spirit. The human divine nature, reflected on the ideal human body sculpture, usefully affect on assimilating appreciators. This gives a sense of the esthetic to them and to be able to sublime their own mind and distinguish authentic beauty. On sculpture, researcher mixed own Oriental outlook on the universe and architectural image. The sculpture is expressed by the Oriental body, too, and seek classical beauty. Furthermore, referring to the Greek sculpture, researcher investigated noble and elegant human beauty

      •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彫刻의 造形性 硏究 : 金屬彫刻에 나타난 이미지와 造形的 特徵을 中心으로

        남상연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David Smith는 20世紀 美術에 있어서 가장 革新的이고 創意的인 彫刻家로 評價 받는 人物이다. 그는 彫刻과 繪畵를 獨特하게 折衷시킴으로써 彫刻에 있어서 造形的인 可能性을 넓혀 주었고 美術史에 있어서 열세에 놓여있던 彫刻의 比重을 한층 强化시키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그에 관한 知識 및 硏究가 매우 未備한 領域으로 局限되어 있었다. 本 論文은 David Smith의 彫刻이 어떠한 造形的 過程을 거처 그의 獨特한 彫刻樣式으로 確立되기 始作했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繪畵의 2次元的 畵面과 彫刻의 3次元的인 요소를 折衷하기 위한 그만의 獨特한 意識世界의 形成過程을 살펴보고자 한다. David Smith는 初期에 Pablo Picasso와 Julio Gonzalez 作品에 影響을 받으면서 美國에서 最初로 熔接彫刻을 製作한 彫刻家가 된다. 熔接技術을 이용하여 製作된 David Smith의 彫刻作品은 線的이고 開放的이며 繪畵的인 特性을 나타내는데, 그 繪畵的 요소를 充分히 活用하면서 獨特한 자신만의 彫刻樣式을 具體化 시키기까지 수많은 時間을 實驗的인 作業에 沒頭해야 했다. 1940年代 中半까지만 해도 David Smith의 作品들은 平面的인 空間 內部에서 그 각도를 變形시키거나 구성요소들을 솟아오르게 하는 극히 2次元的인 繪畵의 畵面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었다. 그러나 以後 1950年代 初부터 David Smith의 熔接技術 및 意識世界는 급격하게 변하게 되고 "空間 속의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作品을 製作하면서 마침내 David Smith는 진부한 消極的 作業方法을 脫皮하고 人體의 形象을 抽象化 시킨 彫刻을 시도하게 된다. 그것은 3次元으로서의 Object 樣式과 2次元으로서의 畵面을 折衷시키는 作業이었다. 그가 2次大戰 參戰 以後 그 影響으로 그의 作品 속에는 野蠻性과 暴力의 이미지와 破壞이미지를 지닌 作品이 나타나게 되고, 熔接形式이 아닌 주로 量感과 質感을 지니고 있는 靑銅鑄造 形式의 作業을 잠시 하게 되는 것은 注目할만한 일이다. David Smith는 1940年代부터 美國 모더니즘 繪畵의 特性과 彫刻的인 特性을 接目시키는 作業에 沒頭해온 結果 1950年代부터는 獨特한 繪畵와 彫刻의 折衷樣式이 정립되면서 彫刻家로서 確固한 成功을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1960年代에 접어들면서 Smith는 2次元的 요소와 3次元的 요소의 折衷的인 製作方式을 통하여 作品의 規模를 더욱 擴大시키고 發展시켜 나가게 된다. 이때에 製作한 「Cubi」 連作과 「Voltri」連作 등은 그가 美國에서 가장 偉大한 彫刻家로서 位相을 確立하는데 重要한 요인이 된다. David Smith가 美國 美術界에서 强力한 影響力을 지니게 됨에 따라 그의 作品의 表現技法 및 熔接方式의 獨自的 造形性은 當時의 畵家들에게는 물론이고 Anthony Caro나 Minimalism 彫刻家들에게 決定的 役割을 미치게 된다. 당시 미국의 代表的 評論家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와 社會, 政治的 脈絡에서 David Smith의 作品을 硏究한 로버트 루바(Robert Luba)는 David Smith를 繪畵에서의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에 比較하고, 모더니즘 彫刻의 새로운 지평을 연 偉大한 作 家로서 그를 評價하였다. David Smith is a sculptor who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nnovative and creative artist in the 20th art. He broadened the formative possibility in sculpture by compromising uniquely sculpture with painting and contributed to strengthen the values of sculpture which has scarcely been in mainstream in art history. Nevertheless, he has not drawn much attention as a focus of investigation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spect through what formative process the sculptural work of David Smith began to achieve his own distinctive style, with special regard to the course where he build up his originative consciousness to combine and modulate respective elements of two-dimensional canvas and three-dimensional sculpture. Under the influence of Pablo Picasso and Julio Gonzalez, David Smith became the first artist who produced welding sculpture in US. His welding sculpture shows linear, open, painterly characteristics. and he spent much time in experimental works to establish his style making full use of the painterly elements. Until the mid 1940s, his works are substantially the same with two-dimensional painterly flat surface by twisting angles or protruding constitutional elements inside plane space. Since the early 1950s, his welding techniques and consciousness underwent rapid change; with producing so called ''Drawing in space" he broke from trite and passive method, and attempted abstract figure sculptures. This was compromising three-dimensional mode of object and two-dimensional canvas. But it is notable that there appeared barbarism and image of violence and destruction in his artworks and bronze works characterized by massiveness and material, not welding form, prevailed after he had engaged in the Second World War. To summarize, having concentrated on joining the special qualities of American modernist painting and those of sculpture since 1940s. David Smith earned a name as a sculpture with establishment of his own compromising style of painting and sculpture, with which he began to develope and enlarge the size of his artwork since 1960s. <Cubi> and <Voltri> series in those times played a important role in giving him a reputation for one of the great American sculptors. As David Smith became an increasingly influential artist in American a r t world, his expressive techniques including the creative plasticity of welding method had a decisive effect on Anthony Caro or Minimalist sculptors as well as the contemporary painters. Clement Greenberg, a representative critic in America of that time, and Robert Lubar who studied his works in societal, political context, compared him with the painter, Jackson Pollock and labelled him a great artist who opened a new horizon to modern scul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