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花卉裝飾 敎育의 現況과 敎育科程 開發 硏究

        옥진주 서울市立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95

        화훼장식은 화훼산업에 있어서 소비단계이지만 자연물인 화훼의 아름다움을 더욱 이끌어내어 화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점에서 화훼의 건전한 소비문화 정착 및 소비 활성화에 기여하여 화훼산업 자체의 확대를 이끌고 있다. 국내의 화훼산업은 약 1조원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큰 규모이며, 화훼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화훼산업의 성장은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인의 증가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화훼장식 교육 규모도 커지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화훼장식 교육과정의 개설은 화훼산업의 발전, 화훼의 건전한 소비확대, 화훼장식의 보급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일반인들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화훼산업의 성장에 따라 커지고 있는 고등교육기관의 화훼장식 교육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과정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 둘째, 국내·외의 교육과정의 조사 비교에 의한 장단점 분석을 통한 국내 화훼장식 교육과정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며, 셋째, 피교육자들의 요구가 반영된 화훼장식 교육 과정 개발에 따른 맞춤식 교육의 유도에 기여하고, 넷째, 화훼장식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의 인식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교육과정 작성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수요에 맞는 최적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외국과 우리나라 대학의 화훼장식 교육 과정을 원예학, 미학, 경영학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미국은 경영학 45.4%, 원예학 33.7%, 그리고 미학 20.9%의 분포를 보였다. 영국은 경영학 39.1%, 미학 38.1%, 그리고 원예학 22.8%의 순이었다. 독일은 미학 38%, 경영학과 원예학은 각 31%로 같았다. 우리나라는 미학 51.8%, 원예학 31.1%, 그리고 경영학 17.1%의 비율을 보여 대학, 대학교, 대학원 모두 경영 교과목은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 별 비교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미학 교과목의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직업세계에서의 미학 교과목 요구도 역시 원예학과 경영학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화훼장식 교육에서의 미학 분야에 대한 편중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이 업종의 특성상 미학 교과목과 관련한 실기교육이 강하게 이루어져야한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설문조사의 분석을 통한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다양한 의견을 고찰하여 핵심 교과목으로 35개의 교과목을 선정하였는데 교과목의 비율은 미학 54.2%, 원예학 22.9%, 경영학 22.9%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화훼장식 교육은 졸업 후 직업세계로 진입하였을 때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집중되어야 한다. 이에 대학은 핵심 교과목의 활용과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극 수용하여 이론과 실기 지도 외에 관람, 현장실습 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 교육은 전공자들에게 기술과 이론 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교육 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Floral decoration contributes to the prosperity of floral industry and the revitalization of healthy consumption culture by raising an added value to the natural beauty of flowers. The current market size of floral industry is about 1000 billion won, and the growth of floral industry leads to the increase of education market as well as expert florists in related area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ollowings: first, the collection of data required for efficient curricula by analyzing the statu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second, the contribution to the competitiveness elevation of floral education by the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thir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oriented programs based on educational demands, fourth, the development of the optimal curriculum to satisfy requests of educational supplier and demander. When the floricultural curricula of foreign and domestic universities are compared in terms of horticulture, aesthetics, and management, American curricula consist of 45.4% management, 33.7% horticulture, and 20.9% aesthetics. In Great Britain curricula, management, aesthetics, and horticulture occupy 39.1%, 38.1%, 22.8% respectively. German curricula shows 38% aesthetics, 31% management and horticulture each. With 51.8% aesthetics, 31.1% horticulture, and 17.1% management in Korea curricula, the portion of management is lower when it compares to the foreign curricula.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in Korea, demand on aesthetic education is also high. This analysis indicating the preponderance of aesthetics strongly supports the need of practical training related with aesthetics. The survey shows that 35 core subjects consist of 54.2% aesthetics, 22.9% horticulture, and 22.9% management in spite of various opinions of educational lecturer and demander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hesis,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which accommodate demands from education and business and strengthen technical training, is required. University and college curricula should focus on developing student's essential ability for the entrance of business, by utilizing core courses and accommodating the various instruction methods.

      • 원예학 전공학생들의 주거지역, 주거형태, 생활수준정도가 원예활동에 미치는 영향

        차명숙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원예활동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성별, 주거형태, 주거지역, 가족수, 주관적 생활수준, 한달 용돈별로 원예식물에 대한 인식과 원예활동을 할 때의 감정, 목적, 효과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원예활동 활성화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원예식물의 인식도는 χ^(2)-검정을 하였고 원예활동의 실행할 때의 감정, 목적, 효과는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사회적 특성(성별, 주거형태, 주거지역, 가족수, 주관적 생활수준, 한달 용돈)이 원예식물의 인식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원예활동을 할 때의 감정, 목적, 효과에서는 어릴 적 생각이 난다, 감수성이 예민해졌다, 건강에 자신감이 생겼다 등의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원예의 인식도와 원예활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suggest basic data for lifetime horticulture activity participation in terms a essential foundation for lifetime horticulture activ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have cognitive faculty of horticulture plant and horticulture activity in practice emotion, purpose, effect among social 1) The responses were recorded on SPSS coding form sheets crossta -bulation analysis have cognitive faculty of horticulture plant. 2)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was used to determine horticulture activity in practice emotion, purpose, eff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ocial characteristics(gender, residential form, residential district, the family number, a standard of living, a month for pocket money) influenced the cognitive faculty of horticulture plant. 2. Childhood memory, sensitive by nature, confident of health etc, factors pay regard to emotion, purpose, effect practice in horticulture activity. 3. Cognitive faculty of horticulture plant and horticulture activity is take up a positive attitude female rather than to male.

      • Comparative transcriptomic analysis of grapevines resistant to grapevine leaf rust by infection with Phakopsora euvitis

        Zar Le Myint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포도나무 녹병(병원균: Phakopsora euvitis)은 포도생산에서 생산량의 감소와 품질저하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녹병균을 접종한 포도나무에서 병저항성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를 비교하였다 2 계통의 개머루 (Ampelopsis sp.)에 포도나무 녹병균을 접종하고 24 시간후에 RNA 를 분리하여였으며 pathogenesis-related 1 (PR1), β-1,3glutannase (Glu), chitinase (Chi), superoxide dismutases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chalcone synthase (CHS) ,stilbene synthases1 (STS1), 및 resveratrol Omethyltransferase (ROMT) 유전자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를 수행하였다. YG11030 와 YG10075 에서 모든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며 특히 병원균에 저항성인 YG10075 계통에서 발현이 많이 유도되었다. Glu 와 STS 는 YG11030 보다 YG10075 에서 발현이 많았다. ROMT 유전자는 YG11030 에서는 발현이 유도되었으나 YG10075 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차이는 녹병균 감염에 대한 식물체의 방어반응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유전자는 저항성 반응을 검정하는 데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결과는 향후 저항성 반응의 연구와 저항성 품종의 육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자생물학 수준에서 녹병에 대한 기주 식물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RNA-Seq 을 이용한 전사체 분석을 통해 국내 자생종 머루, V. coignetiae Pulliant (Vc) 및 V. flexuosa Thunb. (Vf)에서 발현되는 특이 유전자(DEGs)를 선발하고 발현을 확인하였다. 포도나무 녹병균을 접종하고 24 시간후에 RNA 를 분리하였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내성 및 감수성 유전자형에서 총 3979 및 2436 DEG 를 80 밝혔으며, 이 중 1765 및 1162 는 발현이 유도되었고 2214 및 1274 는 각각 억제되었다. Vf 에 대한 Vc 의 상위 5 개 발현 유도유전자는 carrot EP3-3 chitinase, CBL-interacting protein kinase 20, Chalcone and stilbene synthase family protein, osmotin 34, 및 MLP-like protein 423 였다. Vf 에 대한 Vc 의 유전자는 RAD-like 1, flavonol synthase 1, glutamine synthetase 2, RAD-like 6 및 GDSL-like Lipase/Acylhydrolase superfamily protein 였다. 전사체 분석에서 DEG 중 상위 10 개의 발현이 다른 유전자를 선발하고 real-time PC 을 통해 이들의 발현 프로파일을 검증 하었다. Gene Ontology (GO) 분석에 따르면 Vc 에서 유도되는 유전자의 대부분은 metabolic processes 과 관련이 있는 반면 Vf 에서 억제되는 유전자는 대부분 catalytic activity 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GLR 에 반응하는 포도나무의 전사체 분석에 대한 최초의 보고로서 향후 저항성 유전자 발굴 및 GLR 저항성 포도나무 품종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Grapevine leaf rust (GLR) caused by Phakopsora euvitis results in the reduction of fruit quality and yield loss in grape p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with defense responses in the grapevines infected with rust pathogens. In two genotypes of Ampelopsis species inoculated with P. euvitis, the real-time PCR with RNA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ranscripts levels of nine defense-related genes, including pathogenesis-related 1 (PR1), β-1,3glutannase (Glu), chitinase (Chi), superoxide dismutases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chalcone synthase (CHS) ,stilbene synthases1 (STS1), and resveratrol Omethyltransferase (ROMT). All tested genes were up-regulated in both YG11030 as well as YG10075, while mostly the expression of genes was higher in YG10075 than that in YG11030. Glu and STS showed significantly high expression in YG10075 than in YG11030. Expression of ROMT was upregulated in YG11030 and downregulated in YG10075 at 24 hours after inoculation. The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 of the tested genes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defense responses, considered to be involved in plant-resistant responses against the infection by P. euvitis, and further studies on resistant responses based on the expression of gene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breeding grapes resistant to diseases. Moreover, to understand plant host response at the molecular level against rust, transcriptome analysis using RNA-Seq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responding to rust infection in two genotypes of Korean wild grapes, V. coignetiae Pulliant (Vc) resistant and V. flexuosa Thunb. (Vf) susceptible to rust. RNAs were extracted from uninfected and infected leaves of 24 hour post-inoculation (hpi). Expression profiles of transcriptome data revealed a total of 3979 and 2436 DEGs in the resistant and susceptible genotypes of which 1765 and 1162 were up-regulated and, 2214 and vii 1274 were down-regulated respectively. The top five up-regulated genes in Vc against Vf were homolog of carrot EP3-3 chitinase, CBL-interacting protein kinase 20, Chalcone and stilbene synthase family protein, osmotin 34, and MLPlike protein 423. The five most down-regulated genes in Vc against Vf were RAD-like 1, flavonol synthase 1, glutamine synthetase 2, RAD-like 6, and GDSL-like Lipase/ Acylhydrolase superfamily protein. Among DEGs, the top 10 up and down-regulated genes were selected from transcriptome analysis and their expression profiles were validated by real-time PCR. According to the Gene Ontology (GO) analysis, most of the up-regulated genes in Vc were associated with metabolic processes whereas down-regulated in Vf, most of the genes are associated with catalytic activity. Down-regulated genes in Vc and up-regulated genes in Vf were mostly associated with metabolic processes and catalytic activity. As the first report for transcriptome analysis of grapevine in response to GLR,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studies for resistant gene discovery and the development of GLR-resistant grapevine varieties.

      • Physical mapping of clubroot resistance locus in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L.ssp. pekinensis)

        전진우 忠南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7615

        Club root disease is caused by Pl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a soil-borne obligate plant pathogen. All the Brassica species including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sp. pekinensis) are affected by this disease. In the infected plants, the roots produce galls (club), resulting in wilting and stunted growth. A genetic map was constructed to identify DNA marker(s) linked to a resistance gene, CRb. In a high resolution genetic map, the CRb locus was found to map between SCAR markers, TCR 04 and TCR 08 within 2.7 cM genetic distance (Piao 2002). A physical map encompassing CRb locus was constructed by overlapping BAC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clones through chromosome walking. Probes of Arabidopsis genes and Chinese cabbage BAC clone-end sequences were used for chromosome walking. We have been able to identify two BAC contigs. One contig spans 244 kb staring from TCR04 and the other 244 kb from the marker, TCR 08. These two contigs have been confirmed by ECL and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Complete physical mapping of the locus will lay the foundation to clone the club root resistance gene in Chinese cabbage. 배추 뿌리혹 병은 Pl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이라는 토양 전염성 활물 기생균에 의하여 발생한다. 배추를 포함하여 모든 Brassica 종이 이 병에 의하여 감염된다. 감염된 식물들은 뿌리에 혹이 생기고 결국 위조나 고사하게 된다. 저항성 유전자인 CRb에 연관된 DNA 마커가 개발되었다. High resolution 유전자 지도에 의하여 CRb 유전자좌는 2.7cM의 유전적 거리를 가지는 TCR04와 TCR08 두 SCAR 마커 사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Piao, 2002). CRb 유전자좌를 포함하는 물리지도는 chromosome walking 방법에 의하여 BAC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클론에 의하여 구성되었다. Arabidopsis유전자와 배추 BAC 클론을 이용하여 Probe를 제작하여 chromosome walking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개의 contig를 얻을 수 있었다. 하나는 TCR04로부터 시작된 244kb와 또 다른 하나는 TCR08로부터 시작된 244kb의 contig였다. 이 두개의 contig는 ECL과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 유전자좌의 물리지도가 완성되면 배추의 뿌리혹병 유전자의 클로닝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 Floating Plant Mat를 이용한 수생식물의 수질정화

        윤종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quatic plant cultivations on the purification of water contaminated by piggery wastewater, heavy metals and agricultural chemicals. To achieve this, the contaminated waters were diluted with groundwater, then three groups of aquatic plants were cultured in the diluted water. For the purification of water contaminated by piggery wastewater, the treatment plants were A (T. angustana + P. stratiotes), B (I. pseudoaco + P. communis) and C (E. crassipes + P. stratiotes) and the concentrations of piggery wastewater were controlled to 0.5 and 2.0 % by dilution with groundwater. The diluted solution was put into 800L plastic container and aquatic plants were cultured on the floating plant mats which were located on the top of the solution in each container. For the elimination of heavy metals, the solution with the concentrations of 2 or 4 mg·L-1 of Cd, Cr and Pb was put into 180 L plastic container and the 5 aquatic plants such as T. latifolia, T. angustana, T. orientalis, I. pseudoaco and P. stratiotes were cultured on the floating plant mats in a container. For the experiment of agro-chemical elimination, the solution containing 20 or 40 mg·L-1 of the insecticide Cartap, the fungicide Mancozeb, and the herbicide Butachlor was put into 50 L plastic containers and the elimination rates by aquat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1. The growth rates of aquatic pla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piggery wastewater. The I. pseudoaco and E. crassipes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in above-ground part at the 0.5% treatment. The growth rates of T. angustana, T. orientalis, P. communis and P. stratiotes were th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2.0%. The growth rate of under-ground part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treatment. 2. The elimination rates of NH4-N in the all treatments of piggery waste water were higher than 99% and those were 97 to 99% in NO3-N and T-N during the 8 weeks of experiment. The elimination rate of T-P was in the range of 75 to 94% and tha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plants C (E. crassipes + P. stratiotes). The solution pHs influenced by treatment plants A, B and C were around 7.0 at 8 weeks after cultivation on the floating mats. 3. The tissu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s were higher in the aquatic plants cultured in 2.0% than those of 0.5% of piggery waste water. But tissue carbon contents were vice verse. The E. crassipes, I. pseudoaco and P. communis had the highest contents of nitrogen, phosphorus and carbon, respectively. 4. The plants treated with 2 and 4 mg·L-1 of Cd, Cr and Pb showed the a little improvement in growth rate of T. latifolia, T. angustana, T. orientalis, and I. pseudoaco. The P. stratiotes had the highest growth rates in Pb treatments rather than Cd or Cr and that did not influenced by the treatment of Cd. 5. The contents of Cd, Cr and Pb in the plant tissue were the higher in the plants grown in 4.0 mg·L-1 solution than those in 2.0 mg·L-1 solution. The P. stratiotes and T. orientalis had higher tissue Cd contents and T. orientalis, and I. pseudoaco had higher Cr and Pb contents than any other plants tested. The tissue contents of Cd, Cr, and Pb in under-ground part of aquatic pla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bove-ground part. 6. The growth of all plants tested in this experiment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chemicals of insecticide Cartap, the fungicide Mancozeb, and the herbicide Butachlor.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agricultural chemicals, the concentrations decreased gradually at 5 weeks after treatment in all treatments including control treatment. This indicates the natural decomposition of three chemicals. In case of the fungicide Mancozeb, the cultivation of aquatic plants influenced significantly on elimination of the chemical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lant species except control treatment. For the elimin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T. angustana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tested plants after week 5 of experiment. 수생식물의 수질오염 개선 방안을 증진시키기 위해 축산폐수, 중금속, 농약을 희석한 물에 Floating plant mat를 이용하여 식물 종류의 조합을 세가지로 나누어 재배하였다. 공시식물로는 큰부들(T. latifolia), 애기부들(T. angustata), 좀부들(T. orientalis), 노란꽃창포(I. pseudoaco), 부레옥잠(E. crassipes), 물상추(P. stratiotes) 를 사용했다. 축산폐수를 이용한 실험은 A(애기부들 + 좀부들), B(노란꽃창포 + 갈대), C(부레옥잠 + 물상추)의 재배조합별로 두 종씩 식재한 Floating plant mat를 띄워 800L(직경 100cm)의 플라스틱 수조에 축산폐수 0.5, 2.0%의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2종의 식물을 18주씩 36주를 띄워 실험하였다. 중금속 흡수율의 비교는 큰부들, 애기부들, 좀부들, 노란꽃창포, 물상추 총 5종의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180L(직경 70cm)의 플라스틱 수조에 Cd, Cr, Pb를 2, 4mg/L의 농도로 처리하고 5종의 수생식물 모두 한 수조에 식재였다. 그리고 농약 제거 효과는 애기부들, 노란꽃창포, 부레옥잠총 3종의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50L(직경 40cm)의 플라스틱 수조에 살충제 Cartap hydrochloride, 살균제 Mancozeb, 제초제 Butachlor를 20, 40mg/L의 농도로 처리하고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실험하였다. 1. 축산폐수 농도에 따라 수생식물의 생육은 차이를 보여 노란꽃창포와 부레옥잠은 0.5% 처리구에서 지상부의 생육이 좋았고 애기부들, 좀부들, 갈대, 물상추는 2.0%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지하부는 대조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2. 축산폐수 내중 NH4-N의 함량은 A, B, C 재배조합 모두에서 8주 후에 99%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NO3-N와 T-N는 97~99%의 제거율을 보였다. T-P는 C 재배조합에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75~94%의 제거율을 보였다. EC는 0.5, 2.0% 처리구에서 모두 C 재배조합에서 가장 높은 경감효과를 보였고 pH는 A, B, C 모든 재배조합에서 8주 후에는 pH 7.0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3. 식물체내 질소와 인은 모든 수생식물에서 2.0% 처리구가 0.5%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고 탄소는 0.5% 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질소 함량은 부레옥잠이 가장 높았으며 인 함량은 노란꽃창포에서 가장 높았고 탄소 함량은 갈대에서 가장 높았다. 4. 중금속의 농도에 따른 수생식물의 생육은 Cd, Cr, Pb 처리에서 큰부들, 좀부들, 애기부들, 노란꽃창포에서는 생육 증가를 보였다. 물상추는 Pb에서 가장 높은 생육을 보였으며 Cd 에서는 신초의 발생이 거의 없었다. 5. 식물체내 Cd, Cr, Pb 함량은 4mg/L 처리가 2mg/L 처리에 비해 흡수량이 높았다. Cd 함량은 물상추와 좀부들에서 많았으며 Cr과 Pb 함량은 좀부들과 노란꽃창포에서 가장 높았다. Cd, Cr, Pb 함량은 지하부가 지상부에 비하여 높았다. 6. 농약 농도에 따른 수생식물의 생육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각 식물의 제거효율은 5주 후 자연 감소에 의해 대조구와 실험구 모두 잔류량이 적었다. 살균제인 Mancozeb 처리에서 제거효율은 공시식물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주 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제초제인 Butachlor 처리구에서는 5주 후 애기부들 재배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