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정 인쇄물과 국내 오프셋 인쇄물의 비교 평가에 관한 연구

        오승재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인쇄에서 컬러를 관리한다는 의미는 고객이 요구하는 컬러, 즉 교정 인쇄물과 실제 인쇄물이 얼마나 가깝게 재현될 수 있느냐이다. 특히 국내 디지털 인쇄에서 인쇄물의 컬러 관리(Color Management)는 다른 인쇄 방식보다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인쇄 시에 장치 프로파일(Device Profile)의 적용은 장치적인 특성에 따라 재현할 수 있는 컬러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인쇄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입력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스캐너(Scanner)가 있으며, 출력 장치로는 모니터(Monitor), 교정용 프린터(Proof), CTP, 인쇄기 등이 있으며 이들 장치는 모두 다른 색역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장치적인 특성에 따른 인쇄물의 객관적인 이미지 분석 방법으로는 ICC(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에서 제안된 색변환 규격이 ISO 표준 규격이 사용되어진다.1∼2) 장치 특성에 따른 교정 인쇄물이 오프셋 인쇄물의 색과 일치되기 위해서는 ISO 12647 표준 규격에 맞는 피인쇄체(Substrate), 잉크, 허용 오차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국내 인쇄 회사들은 ISO 규격에 맞추기보다는 좀 더 경제적인 방법을 택하고 있고, 표준 규격의 인쇄물 보다는 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통한 색재현을 하고 있어, 교정 인쇄물의 재현에 있어 실제 인쇄물과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교정 인쇄물에서 재현된 컬러와 인쇄물에서 재현된 컬러의 차이를 육안으로도 직접 확인됨으로써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인쇄 현장에서 동일한 데이터로 제작되고 있는 교정 인쇄물과 오프셋 인쇄물을 규격화된 객관적인 컬러 데이터 분석과 시각적인 특성을 이용한 주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 평가함으로써 장치적인 특성에 의하여 나타나는 색차를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를 위한 방법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정 인쇄시 사용하는 종이의 특성이 오프셋 인쇄물과의 비교 평가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 올바른 교정 용지의 선택을 확인하였다

      • 롤투피 그라비아 공정으로 플라스틱 기판위에 인쇄된 Active Matrix Backplane을 이용한 압력 센서 제작에 관한 연구

        염치선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기존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에 비해 보다 편리하고 많은 장점을 가진 인쇄전자 기술을 이용해서 TFTs(Thin Film Transistors)을 제작 및 인쇄된 TFT를 이용해서 Active-Matrix-Backplane을 제작 하였고, 압력에 따른 전류 변화가 발생되는 압력 센서 제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인쇄공정에 사용된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전극은 실버 잉크, 절연층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잉크, 그리고 반도체 층은 전기적, 구조적 특성이 뛰어난 SWNT(Single Wall Carbon Nanotube) 잉크를 사용하였고, Flexible Plastic 기판 위에 롤투롤 인쇄 장비를 이용하여 SWNT TFT Active-Matrix-Backplane 인쇄를 진행하였다. 현재 제작된 된 TFT 성능으로는 전계효과이동도 ~2cm2/VS, ION/OFF 10~4, 수율 97%(20x20-388/400)를 얻었다. 다음으로 압력 센서 제작 공정은 Backplane에 있는 Active are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Polystyrene 를 이용하여 코팅 후 그 위에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지닌 Pressure Sensitivity Rubber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과 압력에 따른 전류 변화를 이용해서 센서 구동 여부를 확인 하였다. 이로써 인쇄 전자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소자 와 센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작 하였고, 현재 인쇄 TFT가 가진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해 나감으로써 나아가 새롭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 시킬 수 있는 연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expensive flexible thin film transistor (TFT) backplane has been highly demanded for the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flexible OLED display, e-paper, wallpaper-like signage and e-skin-like sensor arrays. However, the cost and reliability of flexible TFT backplane have held the time of successful launching of those devices in the market. In this thesi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ll scalable printing method, roll to plate (R2P) gravure, was developed to print flexible 20 x 20 TFTs backplane on plastic foils and then, the resultant backplane were tested as pressure sensor arrays. For R2P gravure printing, we utilized silver nanoparticle based conductive ink,BaTiO3 nano-particle based dielectricink and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based semiconducting ink to meet there quire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R2P gravure with poly(ethyleneterephtalate) films. The characteristics of TFT backplane were analyzed using average values of mobility, threshold voltages,on-off current ratio and transconductance of 400TFTs. Finally, the printed TFT backplane was tested as pressure sensor array after laminating pressure sensor sheet.

      • TSP용 미세패턴 형성을 위한 감광성 Silver paste의 물성연구

        정현욱 부경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전자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액정표시 소자 (LCD), 유기 전계발광트랜지스터 (OLED)로 대표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을 비롯하여 태양전지 (Solar cell)와 같은 표시 소자와 관련된 프린팅 전자 소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소자의 대화면화, 경량화, 슬림화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일정한 면적 안에 전자 소자를 구성하는 전극을 형성하거나 이들 전자 소자의 패키징 (Packaging)이나 조립 공정에서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금속 입자와 같은 전도성 소재를 수지 조성물에 분산시키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전도성 잉크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라는 것은 회로에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도전 패스 (Conductive path)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전도성 잉크는 고분자 바인더 (Polymer binder)와 전도성 충전제 (Conductive filler)로 구성되었으며,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패턴화하는 인쇄전자 기술이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인쇄, 롤 투롤 인쇄, 오프셋인쇄, 감광성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형성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감광성 패턴 형성법은 기존의 스크린 인쇄 등의 일반적 패턴 형성 공정에 노광 및 현상 등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접목한 기술이다. 기존의 스크린 인쇄 방법을 통하여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은 간편하나, 공정 특성상 메쉬 (Mesh)의 한계로 인하여 L/S=50/50 이하의 미세패턴 구현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미세패턴의 구현은 용이하나 작업성이 복잡하며 생산성이 낮고, 패턴 형성 후 현상처리에서 발생하는 폐액의 처리비용, 환경오염, 높은 제조비용의 단점이 있다. 한편, 오프셋 인쇄법이나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런 단점들을 보완하는 감광성 공정의 패턴 형성은 자외선 (UV) 에너지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편한 작업성과 미세패턴의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의 연속성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을 통하여 ⅰ) 멀티 터치화에 의한 배선 수의 증가, ⅱ) 배젤 부의 협소화에 따른 선폭의 미세화, ⅲ) 패널 거대화에 따른 배선거리의 연장, ⅳ) 피인쇄체의 경량화 (Glass → Film으로의 변화라는 터치패널 회로기술 동향)에 부합되는 조건으로서 충분하다. 특히, 감광성 패턴 형성 공정을 통하여 에칭법과 비교하면 공정수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단순 스크린 인쇄법으로는 곤란한 50 ㎛ 이하, 예를 들어 30 ㎛ 이하의 미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필러로써 Spherical 형태의 Ag powder를 사용하여, 미세패턴 형성에 적합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개발하였고 감광성 공정을 이용하여 Mesh 차이에 따른 인쇄 적성, Pre-heating의 온도, 경화 시 광량, Post-heating의 온도에 따른 패턴의 현상성 및 전도성, 접착성, 경도 구현의 최적 조건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As electronic technology is rapidly evolving, Typifi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organic light emitting transistor (OLED) Starting with flat panel display panel, Interest in printing electronic devices related to the display element is growing. recently, due to demand large screen, lighter and thinner electronic devices, to form an electrode constituting an electronic element to the area within a certain and it is necessary to form fine patterns, at assembly (packaging) packaging of electronic devices thereof.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onductive past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e conductive paste or conductive ink means that the role of Conductive path so that it is possible circuit current flows. Conductive ink is formed of a conductive filler and polymer binder. And is formed via various methods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roll-to-roll printing, offset printing, and photosensitivity. Among them, a photosensitive pattern forming method is a technique that combines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screen printing. If it is desired to form a pattern by a screen printing method, the operation is simple. but Process characteristics, there is a disadvantage due to a limitation of mesh (mesh). the implementation of the fine pattern of L / S = 50/50 or less is difficult. Photolithography process facilitates the implementation of a fine pattern, but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is low, and the pattern formation phenomena that occur in the processing of waste disposal costs, environmental pollution,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production costs. When using the gravure printing method and offset print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inuity of the work is reduced. Using ultraviolet (UV) energy,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 has the advantage of a fine pattern implementation with relatively simple workability that it is eas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work.(Increase in the number of wires by of multi-touch, Finer line width due to narrowing of the bejel section, Extension of wiring distance due to the size of the panel, Lighter printing material) In particular, the law etching through the photosensitive pattern forma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number of processes, and the difficulty of a simple screen printing less than 50 ㎛, for example, fine patterns of less than 30 ㎛ can be implemented. In this study, by using the Ag powder Spherical form as the conductive filler, to develop a conductive paste suitable for forming a fine pattern, using a photosensitive processes, printability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Mesh, Pre-you put the objective in that it examine the optimum conditions and conductivity phenomenon of pattern corresponding temperature of heating, light intensity at the time of c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ost-heating, adhesion, hardness implementation.

      • 연속 인쇄 공정을 통한 논리 회로 인쇄 및 활용

        장환웅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논리 회로는 이상적으로 블 대수를 물리적 장치에 구현한 것으로 논리 연산을 하나 이상의 논리적 입력 값에 대한 하나의 논리적 출력 값을 생산한다. 논리 회로는 주로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자적으로 구현된다. 이 논리 회로로 복잡한 논리를 간결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컴퓨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 등 여러 전자 소자에 사용이 가능하다. 논리 회로를 인쇄 전자 기술의 롤투롤(Roll-to-Roll) 공정을 이용한다면 유연한 전자 소자를 낮은 가격에서 연속 인쇄를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논리 회로를 구동하는데 있어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따라 회로 구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본이 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롤투롤 인쇄를 통해 논리 회로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논리 회로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안정성과 균일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도체, 유전체, 반도체 잉크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해 롤투롤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 인쇄를 진행하여 인쇄 압력, 인쇄 속도, 중첩 정밀도 등 각 lay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인쇄하고, 인쇄 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균일성을 확인하였으며 On/off ratio, threshold voltage등 트랜지스터 특성에 따른 논리 회로의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인쇄 공정을 통해 NOT gate, NAND Gate, NOR gate를 인쇄하여 2×4 디코더를 제작하고 제작된 디코더를 통해 전자소자의 구동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논리 회로의 인쇄를 통해 디코더 뿐 아니라 그 외 다른 조합 논리 회로도 제작 가능 할 것이다.

      • 유연한 인쇄 탄소 나노 튜브 박막 트랜지스터의 균일성에 대한 트레인-소스 전극 인쇄의 역할

        정대곤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도처에 존재하는 전자소재의 수요가 광범위하게 됨에 따라서 어떤 분야에서 강력한 마이크로 전자 소재보다 저비용과 큰 시장이 더 중요하다. 그러므로 인쇄 제조 공정을 통해 제작한 TFTs (Thin Film Transistoirs)은 디스플레이 산업에 있어서 유연성, 고생산성 및 투명을 키워드로 하는 차세대 IT 전자소자 제작에 있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쇄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재료로 사용하는 유기반도체는 전자소자 제작에 있어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 만, 유기 반도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TFTs (Thin Film Transistoirs)는 환경적 요인과 각각 인쇄 layers에 접촉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반도체 대신 단일벽탄소나노튜브를 반도체 잉크로 사용하여 Roll-to-Plate 그라비아 인쇄 공정을 통해 제작한 TFTs (Thin Film Transistoirs)에 인쇄 드레인-소스 및 인쇄 유전체가 TFT의 안정성과 재현성에 미치는 역할을 연구 하였다. Fully gravure-print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nwSWNT)-based thin-film transistors (TFTs) on plastic foils have several advantages over organic-based printed TFTs because of their scalability and tuneable operation speed. However, the fundamental causes of variations in their electrical properties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work, variations in mobility, threshold voltage, and transconductance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subtle changes of work function of gravure-printed drain-source electrodes using a silver nanoparticle-based ink because silver inks often are lowered their viscosity by adding solvent.

      • 전극 스트립 제작을 위한 스크린 인쇄 기법 : 스크린 망사의 견장 각도별 치수 및 영상 검출 방법에 관한 연구

        문길환 중부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전극 스트립 제작에 있어 요구되는 기능 특성(Functional characteristics)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시된 설계도면의 값과 인쇄물의 치수 오차를 최소화하고 인쇄 횟수가 증가하여도 안정적인 특성 변화를 유지할 수 있는 스크린 인쇄 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스크린 망사의 견장 각도를 0도, 15도, 22.5도, 30도, 45도로 달리하여 제시되는 도면의 설계기준 대비 인쇄되는 패턴의 두께, 정사각형의 인쇄 면적, 패턴의 선폭, 패턴의 길이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한 결과, 패턴의 두께 변화에 있어서는 견장 각도 22.5도가 우수한 조건이었으며, 정사각형의 인쇄 면적, 패턴의 선폭, 인쇄 길이 변화에 있어서는 견장 각도 45도 조건이 가장 우수한 조건으로 분석되어 전극 스트립의 요구 성능에 적합한 제작 조건 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인쇄물의 검사에 있어 인쇄선폭에 대한 기하학적 형상 특성 분석을 자동화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영상 처리 순서는 영상 획득 장치를 구성하여 인쇄물의 선폭 영상을 획득한 후 이진화 방법을 수행하여 직각 선형 패턴의 선폭 이외의 배경 등의 잡음을 제거하고, 모폴로지 연산을 수행하여 영상의 잡음을 2차적으로 제거하고 Suzuki contou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직각 선형 패턴의 윤곽선을 검출하여 선폭 값을 산출하도록 단계를 구성 하였으며, 영상 획득 장치를 통해 획득한 인쇄선폭과 동일한 인쇄물의 선폭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값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유의수준 5%에서 검정을 한 결과, 두 값의 차이가 없다고 판정되어 향후 인쇄전자분야의 인쇄물 검사 장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secur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required to manufacture the electrode strip, this paper studied the conditions of screen printing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characteristic change even when the number of printing increases while minimizing the dimension error of the proposed design drawing and the printed material. First, this paper experimented to see how it affects the change in length and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pattern, the printing area of the square, the line width of the pattern by changing the stretching angle of the screen mesh to 0°, 15°, 22.5°, 30°, 45°. As a result, the stretching angle of 22.5° was excellent in the change of the pattern thickness, and the stretching angle of 45° was the most excellent condition in the change of the square print area, pattern line width, and printing length. It wa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to set production conditions. Second, this paper attempted to study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can automate the analysis of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print line width in inspection of printed materials. In the image processing procedure of this paper,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was configured to acquire the line width image of the printed material, and then the binarization method was performed to remove the background other than the measurement object. After removing the background, morphology operations were performed to remove noise from the image once again. After that, the Suzuki contour algorithm was used to detect the contour of a right-angled linear pattern and calculated the line width value of the obtained contour. As a result of test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two methods by measuring the line width of the printout which is the same as the print line width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with an optical microscope,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It was expected to be used in print inspection devices in the printed electronics field.

      • 고품질 색재현을 위한 오프셋인쇄 공정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김성수 부경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19

        For the color offset printing, it starts with input of data. The past days, drum scanner or flat scanner used to input of data, but now it changes gradually into using of digital camera because digital camera become popular. The high quality digital camera saves things as a data(RAW file format), sRGB which have built in digital camera, or Adobe RGB format. sRGB of ICC(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 profile is a standard color gamut of digital camera. In ICC profile, Distribution of color gamut in sRGB is less distributed than Adobe RGB. sRGB also can not be expressed in some specific part, because distribution of color gamut in sRGB is not able to cover all parts in ICC Profile of international standards CMYK. By these reasons, it is more popular to use Adobe RGB than sRGB to do high quality offset printing and software basis color setting in Europe and Japan. In spite of this data basis, there is a difficulty of doing color correction between the color proofing prints and the final prints. Producing printing plate is essential progress to do offset printing. In this Film-less period, the more PS plate becomes extinct, the more the age of the Plate-Making of Exposure declines the place to stand. To do offset printing, the CTP (Computer to Plate) is taking a place of PS plate that covers speed, quality and economical problems. The biggest advantage of using CTP is that laser directly goes to the plate, thus there are no dust from the Plate-Making of Exposure. It is also theoretically able to print 200lpi~300lpi as well as print 175lpi, because it has over 2400dpi resolution. The high quality printing could be available inside of the country, if printing machine keeps the optimum condition in offset printing. The CTP has many advantages, 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for the operators to preserve the equipment. The actual circumstance is that they cannot make a decision about how many dots need to be generated, and also it is necessary to know how to establish the setup at RIP on CTP to make the optimum condition output. If offset printing machine keeps the optimum condition, it would be able to print up to high quality printing however it is hard to comment what is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printing machine. In a subjectively view, anyone could easily say that machine is in the optimum condition, however it is hard to estimate by number objectively. To see how the software color setting effects to RGB data, this thesis will use GretagMacbeth ColorChecker 24 patch which has the most general natural color chart to compare sRGB and Adobe RGB to check the differences of color changes. It will use the several factors that came out from the process of making ICC Profile to figure out the optimum In-house profile. It also compares the differences of using matt paper and glossy paper to do best quality color proof offset printing, and how the Rendering Intent effects the proof print. Also in this research, GATF / Plate Test target used to analyze the image and to make numerical value of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CTP. It also uses GATF / The sheet fed test printing 5.0 to find the best establishment of printing density, dot gain and gray balance for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print machin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present the ISO 12647-2 : 2004 / Amd1 : 2007 with domestic printing system which does not have standard of offset color printing. Therefore this thesis tries to find optimum condition of a domestic offset printing process and it expects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high quality color offset printing.

      • 윤전 오프셋인쇄에서 인쇄뒤비침에 영향을 미치는 인쇄조건에 관한 연구

        홍기안 釜慶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Print-through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offset printing and affected by some components such as opacity of paper, penetration of pigment and oil vehicle from ink. In this study, five kinds of domestic uncoated paper and one coated paper were tested by PM-902PT printability tester, and Print-through was measured by 3 methods using Densitometer, Elepho and Image Analysis Program. Also, three kinds of inks and some kinds of different printing conditions such as the changes of drying condistion, amount of ink-feed and emusification rates were compared. At the results of different ink feed, Print-through using Image Analysis Program is the most reliable on both uncoated and coated papers. And at the results of experiment for five uncoated paper, control of opacity, brightness and roughness of paper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print-through but control of formation and porosity is not. Also inks made several companys respectively have an different effect on Print-through on same paper. And changes of ink affected Print-through when happened in drying and emusification processes.

      • 保安印刷用 볼록인쇄판의 物理的 特性 改質에 關한 硏究 : 인쇄판의 제판적성 및 표면처리를 중심으로

        이혁원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19

        In the security printing, the relief printing is the most important printing, specially As means of anti-counterfeit elements for preventing copy and scan, the fine line which is reproduced by the relief printing is very significant. Therefore, To represent the fine line, the properties of printing plate must be excelle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printing plate, we modify the properties of photo-sensitivity printing plate and evaluate its plate-wear of the abrasive. In addition, Manufacturing the high durability metal printing plate from photo-sensitivity printing plate as the ALTO(Master plate), and to improve plate-wear applying the Dry surface modification method. From the surface modification of photo-sensitivity printing plate, The evaluation of plate?wear properties is depend on the kind of printing plate, also heat treatment of printing plates that is in the stat of ex-glass transition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late-wear. The metal relief printing plate is possible to be produced by the electro-forming method, that is manufactured from the photo-sensitivity printing plate. To improve plate-wear and modify the surface of properties, deposit DLC, CrN and TiN on Ni plate, and we analyze the modification of surface properties from the contact angle, plate-wear and hardness measurement etc. From the result, DLC deposition is not suitable because of the brittleness of itself. The Hybride coating of AIP and sputtering is the best treatment for the modification of Nickel printing plate, It?s possible to apply the high durability metal printing plate.

      • 韓國 新聞 印刷에서 濃度의 均一性 向上에 관한 硏究

        백용국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19

        Looking arou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newsprinting of newspaper we always read in our everyday life, we have to make newsprinting at the same time within the limited timeframe and to effectively keep the consistent quality of the same image at every newsprinting factory in the whole country, which is substantially difficult due to a variety of restrictions. These characteristics have caused readers and advertisers to file complaints and newspaper companies to subsequently increase cost. Until now the measure against these problems is that the printer's proof is divided in pieces and distributed to the factor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newsprinting. Being divided in pieces,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color impression on the whole. And even a divided printer's proof in a piece has not been provided to the factory outsid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overcome these barriers, the printer's proof has been used with a color print. However the difference of the color impression and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 between color printer's paper and newsprint causes to make difference between the printer's proof and actually printed newspaper. Eventually, the newsprinting has been proceeded depending on the operator's subjective decision at each factory in the whole country. The necessity to settle the outstanding problem has come to the fore. First it is require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news-printing quality, and proper remedy and control for the affecting factors should be prepared. It is finally needed to adopt the appropriate management tool for the consistent quality all over the news-printing factor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ive factors affecting on newsprinting and the optimum conditions based on these factors. We also determined the composition combination of the gray balance bar suitable to the newsprinting, as the proper tool for maintaining the consistent quality at each the newsprinting factory, and analyzed its effects on newsprinting after having applied the gray balance bar into the actual design of newspaper print. The application of the gray balance bar into the news-printing of the domestic factories has turned out to be excellent. The composition of the gray balance bar was calculated applying the Dot-Area Correlation Equation of C, M and Y. When calculating the equation with 22% of C, both M and Y were 15%. This composition rate is almost the same scale to that of the subjective evaluation, which was C:22%, M:15% and Y:16%. In this study, therefore, we adopted the color of gray with C:22%, M:15% and Y:16% as the best gray balance bar matched with the design of newspaper. Also, the above-mentioned gray balance bar has been actually applied into 5 newsprinting factories for one month, and through this applic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density of printed newspaper is stable and well-balanced and shows excellent quality within the acceptable error range, which we consider is experimentally 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