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리사회에서 공무원의 범죄와 이로 인해 공무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자질논란과 윤리적 선발을 위하여 공직동기 이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공직동기 이론은 조직구성원의 부패,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공직동기의 배양과 공직동기를 고려한 인재개발이 요구된다. 행정학과는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공공정책, 공익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행정학과 대학생들은 잠재적인 행정인으로서 공공부문에 적합한 능력과 자질 나아가 공직동기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학과 대학생의 저조한 공직진출이라는 문제의식하에서 공직동기와 외재적 동기간의 관계, 공직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합적인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소재 행정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성별, 학년, 봉사경험여부, 희망진로 등의 다양한 특성을 기준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사회화요인, 조직사회화 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공직동기와 어떠한 영향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주요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응답자들의 공직동기 수준보다 외재적 동기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직을 희망하는 행정인은 동정심, 자기희생과 같은 이타심과 함께 급여, 복리후생제도와 같은 외재적 동기도 중요시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는 ‘공직동기가 높은 개인은 외재적 동기가 낮게 나타난다’는 공직동기 연구의 가설적 전제와는 다른 연구결과이다. 둘째, 행정학 전공과 공직동기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동기와 행정학 지식이 갖는 유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학년의 상승에 따른 공직동기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봉사경험과 부모의 역할은 응답자의 공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경험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하여 공직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봉사정도, 동정심, 자기희생은 자녀의 동정심과 자기희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사회에서 성별에 따라 요구하는 기대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기대가 공직동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의 공직동기가 남성의 공직동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정심과 같은 하위개념에서 차이를 보였다. In the our society, negative perceptions of public servants are increasing because of crime and corruption of them. Therefore,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ory has attracted attention for solution of public servants selec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concerned with corruption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Government need a r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Th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provieds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ublic interest, publicness, public policy. Hence, public administration undergraduates as potential public servants are required suitable ability in the public sect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s research analyzes empirically public service motivationex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s an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this study, focus was given to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x, grade, volunteer experiences, etc. Also this research focused relationship of public motivation to general socializa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demographic factors. This study has some interesting finding. First, public service motivation level is lower than extrinsic motivation. For students who wanted to work for the government were important both public service motivations such as compassion, self-sacrifice and extrinsic motivations such as pay, job security.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existing literature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lower extrinsic motivation". Seco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not relevant to public administration's training. Despite the fact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s training are very simi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did not increase with grades. Third, volunteer experiences and parental influence has meaningful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Group volunteer experience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And volunteer experiences, compassion, and self-sacrifice of parents have influenced children's motivations. Forth, in gender, women'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higher than men's motivation.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role expectations in society a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사회과학의 여러 분과영역에서는 1960년대, 1970년대에 특히 제2차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후진국사회의 변동과 발전문제를 중심으로 사회변동이나 정치발전에 관한 논의가 뜨겁게 달아올랐는데, 이 시기 중에 콩트에서 파슨스로 이어지는 사회과학적 전통에 기초하고 있던 사회변동 및 발전론을 통상적으로 근대화론(modernization theory)이 라고 부른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 후진국에 대한 선진자본주의 국가의 관심은 자원과 이윤, 시장의 개척이라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대량의 재정적 기술적 원조가 농업적인 자급자족형의 전통사회를 근대 산업사회로 변형시킬 수 있다는 차원에도 초점이 모아지고 있었다. 다시 말해 구미의 정통파 발전이론가들은 '국가발전이 곧 근대화'라는 논리에 집착해 왔다. 따라서 신생국들도 서구의 가치, 제도, 자본, 기술을 수용·축적하면 전통적 고립에서 벗어나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정치 참여적이며 다원적인 사회체제로 옮겨가리라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종의 모방전략으로서 후진국사회의 근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던 이들 근대화론자들의 사회발전에 대한 기본적 발상과 준거는 서구의 역사적 경험을 기본모델로 삼아 서구의 발자취를 그대로 추종할 것을 전제로 형성된 것이었다. 즉 근대화론의 기본 골자는 서구가 이미 이룩한 근대사회로의 이행경험을 후진국에 그대로 이식함으로써 이들 후진국사회의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차원에서의 근대화론은 최종 종착지와 거기에 이를 수 있는 수단 등이 모두 특정화되어 있는 단선적 단일 발전이론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60년대에 이르러 서구의 선진국들은 이미 광의의 복지국가시대에 진입해 있었고 복지국가의 부작용에 관하여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때에 서구적 논리에 의하여 선진국이 이룩한 산업화부터 서둘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적 요청에 직면해 있었다. 이와 아울러 서구의 자본주의 국가에 있어서는 민주주의, 관료제, 그리고 자본주의의 제도적 논리들이 상호 긴장 속에서 조정을 해나가고 있었는데 비하여 우리는 이러한 제도들을 동시에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이다. 즉 정부의 주도로 경제발전계획을 추진하여 큰 성과를 거둔 반면에 민주주의, 관료제 그리고 자본주의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민주주의의 정착과정에서 참여와 합의간 긴장관계, 관료제의 운영에 있어서 집권화와 분권화간 긴장관계, 자본주의적 발전에 있어서 이윤의 축적과 소득의 배분간 긴장관계 등이 노정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발전행정이론은 단기간에 걸친 한국의 성공적인 근대화에 기여한 공로자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한국의 불균형적 발전과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킨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현 시대는 신자유주의 사조에 의한 무한경쟁과 자본세계화의 흐름에 의해 사회경제적 불평등 구조, 국가간 빈부격차의 심화, 타율적 구조조정, 해외자본의 의존도 가중, 실업문제, 환경파괴 등 새로운 차원에서의 범지구적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가발전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각 국가마다 세계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발전전략에 대하여 다시 논의하여야 할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1987년 6월 민중항쟁 이후로 점차 민주화되어 가면서 시민사회라는 용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것은 현실적으로 시민들에 대해 억압적이고 권위주의적이었던 국가의 성격이 점차 민주적으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제한적으로나마 시민들의 자유롭고 다양한 활동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시민사회는 일명 '시민들의 정치적 공동체'라고도 불리워지는데 이를 위해 대내적으로는 공동체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구성원들의 이해갈등을 공정하게 해결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며, 대외적으로는 공동체 외부의 개입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런 맥락에서 시민사회는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고 또 이들 간의 이해관계 갈등을 공정하게 중재하는 기구로서 국가를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그 간의 위와 같은 국가발전에 대한 대내외적 환경변화로 인하여 과거의 단선 단일발전론적 발전행정과는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발전내용과 발전방법으로 접근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학자들이 발전행정론에 대해 1960-70년대를 풍미했던 하나의 행정학이론의 분과영역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이미 발전을 경험한 우리의 현 상황 하에서는 더 이상 발전행정론의 존립의 필요성이 그 만큼 약해졌다는 의식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국가가 존재하는 한 정부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현 상황 하에서도 정부가 국가적 당면과제에 대해 적극적인 개입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볼 때 아직도 발전행정체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과거 1960-70년대식의 일방적 국가주도의 불균형적 발전론에서 탈피하여 시민과의 상호 연계를 통한 균형발전론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이와 아울러 세계화라는 무한경쟁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경쟁력의 제고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의 관점을 전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행정학과의 교과목으로서 발전행정론의 주요 내용이었던 불균형적 발전행정논리로 국가발전에 대한 행정체제의 역할수행에 이론적 모형을 제공하였던 상황은 한계가 있다고 보고, 새로운 모습으로의 역할변화가 요구되는데 이에 대한 국가발전을 위한 핵심적 역할, 즉 국가 전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본 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균형적 발전행정으로의 정체성을 다시금 재정립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거시적 접근방법을 동원하려고 한다. 보통 이루어지고 있는 각각의 연구들은 미시적 접근방법을 활용하게 됨으로써 깊이있는 연구가 가능하지만 너무 지엽적인 부분에 치우쳐 전체를 통찰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각 학문분과로서의 개별적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발전행정에 관한 연구 자체는 국가발전에 대한 부문별 유기적 관계를 고찰하거나 국가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통시적인 상황들을 조명해야 하는 학문분과 자체로서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깊이 있는 연구를 함에 있어서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거시적 접근방법을 통해 전체를 조망하는 입장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아울러 발전행정의 정체성을 우리나라가 국가발전을 추진해 가는 동안 중심적 발전전략으로 원용되었던 서구적 논리의 불균형적 발전행정이론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로 노정하게 된 기존 발전행정이론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이미 정립된 현대발전이론들을 접목시키고, 세계화의 추세에 따른 국가경쟁력 제고에 대한 방안제시에 있어 각종 관련된 문헌, 정기간행물, 정책자료, 연구논문,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등을 분석·고찰하는 문헌중심의 연구방법을 동원하였다. 또한 행정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발전행정론 교과목의 개설실태와 개설하고 있는 경우 어떠한 내용으로 수업이 진행되는지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전화조사에 의하거나 해당 행정학과의 홈페이지를 접속하는 방법을 동원하여 한국행정학회 홈페이지에 등재되어 있는 대상학교를 중심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본 논문에서 다룬 바와 같이 국가가 존립하고 있는 한 행정체제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수행될 것이고 이에 따른 발전행정의 역할 또한 지속될 것이다. 다만 균형발전체제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요구될 뿐이다. 발전행정의 정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바는 국가 전 분야에 대한 발전전략의 모색을 추구하는 종합학문적 성격, 현재 노정되고 있는 국가발전욕구에 대한 구체적인 처방책을 제시하는 정책지향적, 또한 이러한 욕구충족을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설정하고 기획하는 변동지향적, 이러한 발전의 방향을 추구하는 데 있어 적용되는 기본가치가 무엇이며, 역사철학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해 보았다. 현 시대는 국가가 국가경쟁력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우며 민간부문의 성장으로 인해 정부의 모습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행정체제가 보다 효율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의 모색이 요구되는 데 여기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좀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현실에 적용 가능한 전략이 다양하게 제시되는 상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rom multi section territory of social science, 1960s, 1970s, and especially post World War Ⅱ, it sent the discussion regarding a fluctuation of the backward country society which becomes independent and developmental problems, a social fluctuation and a political development. It is called modernization theory that social fluctuation and development theory is based upon social science tradition from Conte to Parsons. After World War Ⅱ, western concern in developing nations made the subject matter of public administration take active position, which can initiate the development programs. The interest of the advanced capitalist country about the backward country was not only cultivation of the resources, profit, and market but also the massive public finance and technical assistance will be able to change the traditional society of the agriculture self-supply sufficiency pattern in the modern time industrial society. The development theorists in the United States believed that national development is modernization. The concept of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changed by the new situation of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orm the new of administration development process by analyzing the existing concept and model. This study see things in broad prospective. The existing method which was used is microscopic method but it has the limit which is not the possibility of seeing the whole. The study of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volves the organic relationship about national development. The role of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nfronted new dimension of public administration. If the tasks of modern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adequately respond to such change, the tasks should be carried out by an adequate administrative system, which eventually necessary to administrative reform. This study did a sample survey and made a thorough investigate in order to have grasp of the install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yllabus planning centering around the four-year-course colleges and Universities affiliated to the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Society of Korea. Making up a question by telephone and visiting a homepage of the department are us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ertainly contribute in building new theory of administrative reform in Korean context and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 source of policy guidance to decision-makers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reform and institution building. When the nation is not equipping a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recently time, it is difficult for the nation to exist. So the government is coming to be small a lot because of development of private sector. From like this point of time, the strategy is demanded in order that the administrative system accomplishes an efficient role. Based on the contents which is discussed from this study, much more concrete research must become accomplished and the strategy that it will be able to apply in actuality must be presented.
지방의회 입법 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의회를 중심으로
유병덕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지방의회 입법 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 충청남도의회를 중심으로 - 유 병 덕 지도교수 임 헌 만 배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의회 입법 활동실태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입법 활동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8년 7월 1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이며 공간적 범위는 충청남도의회이다. 1991년 지방의회가 부활 되어 약 30년간 진행되어온 지방자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여전히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인식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지방의회는 입법 활동이 대표적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법령의 구체적 집행을 위한 보충적 매개규범기능을 하고 있어, 본래적 자치입법으로서의 기능이 미흡하다고 평가된다. 지방의회의 자치입법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지방정부의 조례제정, 개정 그리고 폐지안의 발의나 심의·의결을 통하여 지방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그 입법 활동의 결과에 따라 지방행정이 구현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지방의회의 입법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그 실상이 어떠한지, 바람직한 개선방향은 어떠한지 문제의식을 가진다. 현재 지방의회는 1991년 부활이후 1995년 광역의회의원의 정당공천제 도입, 1999년 주민의 조례제정 및 개폐청구, 2006년 무보수 명예직이던 지방의원에 대한 유급제 시행, 기초의원의 정당공천제 전면실시, 지방의회의 회기운영이나 상임위원회자율화 등 제도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지방의회의 자치입법 활동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선행연구는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일부로서 단지,「의원발의 조례비율」이나,「조례안의 수정가결비율」등을 종속변수로 취급하여 숫자 이외의 정보는 얻기 힘든 한계가 있으며, 계량화된 활동실적을 토대로 지방의회입법 활동의 평가기준으로 삼아 그 이면에 내포된 입법 활동의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연구기간마저 비교적 단기간(3∼4년)으로 신뢰성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며 입법 활동을 다룬 연구마저 지방의회 입법 활동의 중요성만 강조할 뿐 규범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실상부한 지방자치시대에 합당한 자치입법 활동방향을 모색하고자 입법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와 달리 입법 활동의 종속변수로「의원발의 공공서비스관련조례」와「조례안의 처리소요기간」등을 채택했다. 또한 선행연구 대부분이 수도권이나 영호남권지역에 치중되어 있어 충청권으로 선택하고 기존 단기간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20년이라는 비교적 긴 시간적 범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법 활동내용으로 충청남도의회 20년간 발의된 1,719건의 조례안의 제정목적에 따라 기관운영관련조례와 공공서비스관련조례로 분류하고 심의과정에서 철회나 폐기된 안건을 제외하고 본회의 가결된 1,671건의 조례에 대하여 처리소요기간에 대하여 심층·고찰하였다. 특히,「의원발의 공공서비스관련조례」는 집행부나 의회의 기관구성운영이나 행정절차이행 등이 아닌 주민의 복리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치입법이며,「조례안의처리소요기간」은 시의적절하게 입법서비스를 주민에게 제공하였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의원발의공공서비스관련 조례비율은 2006년 유급제 시행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조례안의 1건당 평균처리 소요기간은 다소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급제가 시행되어 조례안의 심의의결에 보다 치열한 논의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여소야대의회 하에서 야당의 견제가 강화되어서인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입법 활동영향요인으로 개인적, 정치적, 행정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개인적 요인으로 의원학력, 경력, 성별, 연령, 정치적 요인으로 당선득표율, 정당독점률, 비례대표의원비율, 행정적 요인으로 의원 1인당사무직원 수, 입법정책전문직 수, 유급제 시행 여부를 측정지표로 정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입법 활동의 과제로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지방의회 재선이상 다선의원이 입법 활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의원 인적구성혁신과 의정활동피드백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특히, 재선이상 다선의원 경력이 전체분석기간에서 과반을 점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NGO등 관련시민사회의 입법 활동 평가나 정당공천심사 시 입법 활동실적반영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지방의회 의원의 입법 활동의 지원체계개선과 종합적인 입법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담교육기관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2006년 이후 의원 1인당 지원 인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전체분석기간에서 의원발의 조례비율이나 수정가결 비율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바 사무처인력진단과 능력 있고 참신한 인력보강으로 효율적인 지원체계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주민의 다양한 요구와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입법 활동이 질적·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바 정례적이고 종합적인 교육·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칭 “지방의정연수원”설치·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자치입법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의원 유급제의 발전적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유급제 도입 이후 의원발의 공공서비스관련 조례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바 의원 보수의 현실화뿐만 아니라 지방자치정신에 부합하게 주민의 대표인 지방의원 후보자 발굴에서부터 공개예비선거(open primary: bottom up)로 참신하고 전문성 있는 인물을 발굴하는 것이 자치입법 활성화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제6∼10대 충청남도의회 20년간 입법 활동과 영향요인들의 자료가 기본적으로 각 대수별로 이루어져 있어 표본수가 적은 한계로 영향요인의 엄밀한 인과관계분석이 불가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실적 자료를 대상으로 영향요인과 입법 활동간 인과관계에 대한 엄밀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주제어〕: 지방의회, 입법 활동과 영향요인, 조례안의 발의, 조례안의 심의·의결, 공공서비스조례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local council legislative activities -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council – Yu, Byong-Duk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Lim, Heon-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cessary legislative task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legislative action in local council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The time range covered in this study is from July 1, 1998 to June 30, 2018, and the spatial range is the Chungcheongnam-do Council. After the revival of the local council in 1991,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on local autonomy that has been in progress for about 30 years still has a positive evaluation and a negative perception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they serve as supplementary mediation norms for concrete enforc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although legislative activities are representative functions of local councils; for this reason, the original autonomous legislative function is considered insufficient. The legislative activity of the local council is imperative because local administra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legislative cont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how the legislative function and role of the local council are in reality and what is the desired direction for improvement. Since the previous study treats the ordinance rate proposed by lawmakers as a part of the council activities of the local council or the modified approval rate of the ordinance, qualitativ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other than quantitative values is not readily obtained. In addition, because the activities of the local legislative act are evaluated based on the measured performance, it is challenging to grasp the substance of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behind them.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because the research period is relatively short (3 to 4 years); for this reason, some studies dealing with legislative activity have 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ocal legislative activity, which can be considered a limited approach at the normative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in-depth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the legislative contents are conducted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autonomous legislative activity suitable for the era of decentralization. Particular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legislative activities are adopted in this study, such as the Ordinance on Public Service proposed by the Lawmakers and the Duration of Processing of the Ordinance, etc. In addi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Gyeonggi metropolitan, Yeongnam, and Honam areas, so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the Chungcheong area; and a relatively long time range of 20 years was set to overcome the short-term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or the 1,719 ordinances proposed by the Chungcheongnam-do Council for 20 years as legislative activities, we classified them into institutional operation related regulations and public service related ordinanc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Also, the period required for processing was reviewed for the 1,671 ordinances passed by the plenary session, excluding those withdrawn or discarded during the deliber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Ordinance on Public Service proposed by the Lawmakers is not an executive or parliamentary organization or an administrative process, but is an autonomous legislation aimed at improving the welfare of residen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Duration of Processing of the Ordinance is an indicator to understand if timely provision of legislative services has been provided to resi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ate of the Ordinance on Public Service proposed by the Lawmak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paid system in 2006, and the average processing time per case of the ordinance has increased slightly.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is was due to the fierce discussion of the ordinance propos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aid system, or whether the opposition party's checks were strengthened under the environment of small ruling party.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legislative activities are addressed by classifying them into personal,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The following factors were determined and considered as measurement indicators, which were presented as tasks for legislative activities: personal factors including legislative education, career, gender, and age; political factors including the percentage of elected votes, party monopoly rates, and the ratio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administrative factors including the number of clerical staff per member, the number of legislative policy professionals, and whether a paid system is implemented.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in member composition and feedback on legislative activities, so that re-elected members of the local council can contribute to legisla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although the re-elected member careers are identified to be over 50% in the entire analysis perio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confirmed.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performance of legislative activities in the evaluation of legislative activities of related civic groups or in the nomination review of political parties. Beside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of legislative activities of local councilors and the need for dedic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ovide comprehensive legislative education programs are revealed. Since 2006, support staff per capita has been strengthened; nevertheless,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on the ordinance rate or the modified approval rate proposed by the member during the entire analysis period, suggesting the need for a workforce diagnosis and efficient support system improvem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legislative activities are increasing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ue to various needs of the residents and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install and operate training centers, tentatively called Local Council Training Center, which can provide regular and comprehensiv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Lastly, there is a need for the progressive operation of the parliamentary pay system for the activation of autonomous legislative activities. It wa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the ratio of legislation initiated by lawmakers and the ratio of public service-related regul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aid system, indicating that the realization of conservative membership leads to the activation of autonomous legislation. Since the data of the 6th to 10th Chungcheongnam-do Council legislative activities for 20 years and underlying influencing factors are basically limited due to the small number of samples, a rigorous caus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was not practicable in this study. Thorough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gislative activiti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long-term performance data. Key Words: Local Council, Legislative Activities and Influencing Factors, Ordinance Proposals, Deliberation and Resolution of Proposed Ordinances, Public Service Ordinances.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2020년과 2021년 학위논문 중심으로
YESUJIN NOMIN 가천대학교 일반 대학원 행정학과 2021 국내석사
국문 초록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2020년과 2021년 학위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Yesujin Nomin 지도교수 이 영 균 조직의 경쟁력과 건강성을 제고하는 중요한 변인은 조직구성원이 담당직무를 수행하면서 표출하는 긍정적인 직무태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생활에 있어 상사와 부하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스타일에 주목하고자 한다. 조직구성원들은 상사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조직에서의 직무태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 특히 학위논문들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20년과 2021년에 발표된 학위논문을 선정하여 각 논문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선행연구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가 호텔종사자, 중국교사, 미용실 경영자, 요양보호사인 사례에 있어 상사의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은 연구대상자의 특성, 직무경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선행연구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가 문화예술종사자, 중국기업인, 무용단인 사례에 있어 상사의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특성, 직무환경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선행 연구는 2020년과 2021년 학위논문 2편이다. 이들 선행연구의 경우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중국 기업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상사의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특성, 직무환경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공무원의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Effects of Public Official's Ethic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 Mediating Effects of Followership and Organizational lntegrity Lee, Chul-Woo Advised by Prof. Kim, Chulwoo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Recently, the concern of ethical issues on leadership has been increasing in public area.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thical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re related with organizational integr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public officials of te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 total of 40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ept for the four unfaithful responses which were discarded, the remaining 404 respons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es.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sampling structure, Cronbach's Alpha and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research subjects.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multiple regressions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followership (H1). Second, both ethical leadership and followershi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integrity (H2, H3). Followership and organizational integrity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H5, H6),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was not supported (H4).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and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both organizational integrity (H7)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H8) were both supported. Also, 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tegrity and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H9) was supported. This study verified followership and organizational integrity ar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and how ethical leadership is an important antecedent of followership. Key words: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Integrity, followership,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국문요약 공무원의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전공 이 철 우 지 도 교 수 김 철 우 최근 윤리문제와 관련한 사회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공직사회 윤리수준 제고를 위한 리더십 접근방법으로 윤리적 리더십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팔로워십의 결정요인으로 윤리적 리더십을 규명하고, 윤리적 리더십과 팔로워십, 조직청렴도,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본은 정부 10개 중앙부처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408개의 설문지를 배포한 가운데 10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불성실하게 답변한 4부를 제외한 40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표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윤리적 리더십이 팔로워십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리더십, 팔로워십, 조직청렴도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과 팔로워십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윤리적 리더십의 정도가 높을수록 팔로워십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 및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연구가설은 상당부분 채택되었다. 윤리적 리더십과 팔로워십은 모두 조직청렴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데 반해,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팔로워십과 조직청렴도의 중요성이 의미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팔로워십의 선행요인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이 연구가 중앙부처 일부 기관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전체 공무원으로 일반화에 곤란한 점과 기업대상 연구를 공공조직에 적용함으로써 측정과정에 일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공공조직의 특성을 감안한 측정도구 개발과 함께 지방정부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범위를 넓히고 다양화함으로써 연구의 질적 성과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윤리적 리더십, 조직청렴도, 팔로워십,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and Influence Factors of Integrated Organization Oh Chang-S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etition among organizations is also accelerating. The public sector has already merged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agencies to provide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advocating competition principles and customerism and applying competition for services and customer choice to the fullest extent possible. The private sector is also working on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strengthening its market dominance for corporate growth, finding new growth engines and reorganizing its business portfolio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consolidation of organizations, regardles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Efforts for survival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conomic environment have continued constantly, with the public sector's lax management and inefficient administrative demands reduced, and private companies addressing their business and overlapping fun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vision, personnel, leadership, culture, communic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competitiveness), and control variables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private companies)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o evaluate their impact on the coordination effects and competitiveness, thus to improve the synergy of the organization's growing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both ground and mobile survey methods for government ministries with experience in integration (7), public agencies (8), and private companies (8). The survey distributed a total of 450 copies, 150 copies each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and mobile surveys were conducted in places limited by geographical conditions and small organizations. ’ 397 (88%) were retrieved from 18 days from 1.14 to 1.31 in 1919, but all 375 (83.3%)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excluding 22 insincere or erroneous samples.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tilized the Social Survey Statistics Package (SPSS24.00) program and performed the one-way ANOVA and the post-test of the Scheffe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tegrator. To verify the study theor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step adjustment effectiveness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Kenny (1986). For detailed analysis, the research was reinforced by interviews with experts engaged in integrated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and private businesse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ound in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of the variables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showed that the values of leadership, vision, culture, communication, and competitive variables, excluding personnel, differ in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organization. Personne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organizational types. This measured promotion, remuneration, employment, personnel change, welfare, and fairness, which are close to personal status, and it is judged that any organization is in a different position due to sensitive issues. Second, the multi-reciprocution analysis results for th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impact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showed that both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and private companies were appropriate for their explanatory power and model.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shown a significant impact on competitiveness in vision, communication variables, and private companies in leadership, personnel and communication variables. What is unusual is that the communication variables affect all three organizations by type,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oday's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rd, it was analyzed that only leadership, personnel, and cultural variables control their influence on competitiveness by type of integrated organization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companies) after evaluating the effect of controlling by type of integrated organiza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1 The policy implications should be identified and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public/private sector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and maintai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significant variables (vision, leadership, personnel, culture,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fact that they are carefully compared and stud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objective indicators, 2 studies of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or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nd 3 variables (vision, leadership, culture, and communication) that are still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In making advanc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size of the relatively small sample may cause statistical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s the survey in this study had difficulties obtaining samples for organizations with prior experience of integration. Subsequent studies will be able to gather survey data for respondents with more sufficient sample sizes, and to utilize quota sampling of the values of the respondents’ demographic variables will enable them to obtain data that conforms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draw useful conclusions. □ Topic words: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integrated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vision, leadership, personnel, culture, communication 통합조직의 경쟁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 창 세 강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 간의 경쟁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공공부문은 이미 경쟁원리와 고객주의를 주창하며 서비스 경쟁과 고객 선택권을 최대한 적용하여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을 통·폐합하여 왔다. 민간부문에서도 기업 인수·합병(M&A) 방식으로 기업 성장을 위한 시장지배력 강화, 신성장동력 발굴, 사업포트폴리오 재편 등 다양한 성과를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민간부문을 막론하고 조직을 통·폐합 하는 주된 이유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공공부문의 방만한 경영과 비효율적인 행정소요를 줄이고 유사업무와 중복 기능을 해소하며, 민간 기업들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노력들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을 통하여 조사된 독립변수(비전, 인사, 리더십, 문화, 소통)와 종속변수(경쟁력), 그리고 조절변수(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간의 차이분석과 조절효과 및 경쟁력에 대한 영향여부를 평가하고 통합된 조직들이 경쟁력을 갖춘 조직으로 성과를 내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점차 증가하는 조직통합 기관들의 성과 향상에 기여는 물론, 통합조직의 경쟁력 향상 및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통합 경험이 있는 정부부처(7개), 공공기관(8개), 민간기업(8개)을 대상으로 지면 및 모바일 설문 방식을 병행하였다. 설문은 조직유형별 각각 150부씩, 총 450부를 배포하였으며 지리적인 여건상 제한되는 곳과 소규모 조직에는 모바일 설문을 하였다. 2019년 1.14일부터 1.31일까지 18일간 실시하여 397부(88%)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표본 22부를 제외한 375부(83.3%)를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사회조사통계 패키지(SPSS24.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통합기관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analysis)과 통합조직 유형별 조절효과 분석을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의 조절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세밀한 분석을 위하여 통합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민간 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 내용을 보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통합조직 유형별 변인값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사를 제외한 리더십, 비전, 문화, 소통, 경쟁력 변인 값이 통합조직에 따라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사는 3개 조직유형에서 공히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개인의 신상과 밀접한 승진, 보직, 인사이동, 보수, 복지, 상하 공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어느 조직이든 민감한 사안으로 각 기관의 처한 상황이 다르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통합조직의 경쟁력 영향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결과에서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모두 설명력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이 비전, 소통 변수에서, 민간 기업은 리더십, 인사, 소통 변수에서 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소통 변수가 3개 조직유형별 기관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오늘날 조직 환경에 있어 소통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셋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에서 통합조직 유형(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별 조절효과를 평가한 결과, 리더십, 인사, 문화변수만이 통합조직의 유형별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시사점은 ① 통합 공공·민간부문에 있어 동일 조건하, 객관적 지표로 비교·연구한 점, ② 조직의 성과 또는 조직의 효율성을 ‘경쟁력’이라는 평가 지표로 연구 한 점, ③ 선행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조직통합에 대한 변수(비전, 리더십, 인사, 문화, 소통)들이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의한 변수로써 조직의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 확인, ④ 조직통합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기획 단계부터 통합 전·중·후 구간별로 구분하여 관리해야 될 이슈들을 착안하고 해당조직에 특화된 조직융합관리(PMI)를 해야 된다는 점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향후 연구를 위한 발전적인 제언을 한다면,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기 통합 경험이 있는 조직에 대하여 표본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의 크기는 분석결과의 해석에 통계적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후 연구는 보다 충분한 표본의 크기를 가지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수의 값에 대한 할당샘플링(quota sampling)을 활용하게 되면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 확보와 유익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정부부처, 공·사기업, 통합조직, 경쟁력, 비전, 리더십, 인사, 문화, 소통
공공기관 관리정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07년 이후 패널 및 이중차이 모형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문성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국문 초록 공공기관 관리정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07년 이후 패널 및 이중차이 모형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정책학 전공 문 성 주 지 도 교 수 이 영 균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관리 및 운영체계를 크게 개선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전체 공공기관(기타공공기관 제외)을 대상으로 개별기관의 내부적 요인이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정부의 공공기관 관리정책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7년~2016년 기간 동안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된 이력이 있는 총 243개 기관을 대상으로 약 10년간의 자료를 수집해 패널데이터(panel data)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패널 계량모형과 이중차이 모형(DID)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 공공기관의 자산 및 임직원 수 등 외형적 규모는 과거(2007년~2011년)에는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2012년 이후에는 그 중요성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급의 경우 2007년~2011년에는 상대적으로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했으나 2012년 이후에는 보다 양호한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상임이사의 수는 2007년~2011년 기간에는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2년 이후에는 그 같은 효과가 다소 약화되었다. 특히 내부통제의 핵심 주체로서 경영진의 감시와 견제 역할을 하는 비상임이사의 경우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개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정규직과 여성임직원의 비율은 공공기관의 경영성과에 정(+)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왔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중차이 모형(DID)을 통해 검증한 정부의 공공기관 정책효과는 2007년~2011년간 개별기관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그러나 2012년~2016년간에는 정부의 정책이 통계적 유의성 1%의 범위 내에서 개별기관의 경영성과에 두드러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공공기관 관리정책의 효과가 시행 초기에는 더디게 나타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뚜렷하게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공공기관의 상임이사와 비상임이사가 실질적인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임원 인사제도를 업무전문성에 초점을 두고 운영하고, 특히 비상임이사의 경우 낙하산 인사를 줄이기 위해 도입한 임원추천위원회 제도가 본래의 취지대로 잘 운영되도록 내실화를 위한 보완방안 검토가 요망된다. 또한 공공기관 성과급 비중의 경우 개별기관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직원 평균임금 중 성과급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리거나 경영평가 대상기관 간의 성과급 격차를 더 늘리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여성임직원의 활용 문제는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제고는 물론 나아가 국가경쟁력과 연결된 사안이므로 경영진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목할 점은 2007년 이후 정부의 공공기관 관리정책은 각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향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정부 정책의 기본적인 틀과 방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공기관의 비효율성 제거 등을 위한 지속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 공공기관, 지배구조, 경영성과, 경영평가, 정책효과
여성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광영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Abstract The Impacts of Feminin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ollowership You, Kwang Young Supervised by Prof. Lee, Young Gyun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With the rise of big data and high-speed network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ganizations are becoming more transparent and interdependent than ever. Moreover, due to a general trend toward a liberal and democratic atmosphere, women are increasingly making careers across a variety of fields. The expanding proportion of women in the workplace appears to have a role in transforming what was previously a traditional and patriarchal corporate culture into one that is more open, democratic, and emphasizes emotional empathy. In such an age, “feminine”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ionship-oriented and emphasize cooperation and acceptance, are increasingly prized over “masculine” traits that emphasize competition and success as a crucial contribution to organizational efficiency (Morgan, G., 2004). It can thus be said that creativity, emotional capacity, empathy, and network thinking are more valuable than the ability to command. The attitude and behaviour of employees toward their affiliated organization are crucial for achieving objectives and maintaining order. Rather than the top-down, hierarchical leadership of the past, feminine leadership which stimulates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in a democratic manner and prioritizes intrapersonal communication holds much greater potential in promoting followership as well as in corporate management and efficacy. Existing scholarship has little to offer by way of theoretical research on the basic background of feminine leadership and its efficacy.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empathic ability will serve to provide deeper understanding of feminine leadership. Furthermore, new perspectives on feminine qualities, which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followership,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differs from pre-existing research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 of feminine leadership’s effectiveness and followershi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to serv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First, does feminine leadership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followership? Second, does followership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does feminine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ollowership mediate this effect? A survey of 600 Seongnam City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was conducted in regard to this research question,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eminine leadership was reveal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ollowership, and therefore stimulating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Second, follow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f significa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feminine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independent thinking (an independent variable), a subordinate factor of fellowship (mediator variable), had a complete mediator effect on the link between relational-considerat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a dependent variable). Active participation, another subordinate component of the mediator variable “followership”, was shown to have a complete mediator effect between relational-considerate leadership and innovative activity, between considerat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focus, and between relational-considerate leadership and organization-citizen behavior. Fifth, active participation, a subordinate factor of followership, did not have a mediator effect in democra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action. However, followership did have a partial mediator effect between feminin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flecting on this study, feminine leadership is expected to have an even greate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ue to the need for interdependent and flexi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as we move toward a ubiquitous society that maximizes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networking environment. Moreover, by stimulating followership and motivating self-development of members, feminine leadership serves the role of improving the overall capacity of an organization. In order to expand and develop feminine leadership,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gender recognition education that allows for gender differentiation without discrimination. With greater under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without tradition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it would be possible to generate diverse discussions regarding leadership. Feminine leadership emphasizes empathic capacity, an adaptive characteristic in women. This cognitive structure is the result of human evolution, and is the drive that stimulates feminine traits. Strengthening gender-recognition education, which acknowledges the advantages of feminine leadership, newly interprets hitherto ignored feminine characteristics and values and thereby gives new meaning to a new kind of leadership based on human mutual respect. In an increasingly interconnected world, organizational management without empathic background will be impractical. A democratic organizational atmosphere is necessary to realize feminine leadership. This would require a pragmatic educational system that focuses not on conventional ideas of gender equality as formality but rather one that promotes under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and values. A new understanding of feminin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ring new perspectives and possibilities. This study thus proposes an overall strengthening of education on the advantages of feminine leadership and methods of realization. Key words: Leadership, Feminine leadership, Followershi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국문초록(연구의 개요) 여성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천대학교 일반 대학원 행정학과 복지행정전공 유 광 영 지 도 교 수 이 영 균 빅데이터와 초고속 네트워크에 의해 모든 정보가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서로 융합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조직은 상호의존적이고 투명한 환경하에 놓여 있다. 아울러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사회환경의 변화로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대되고 있다. 조직 구성원에서 차지하는 여성의 비율 증가는 과거의 전통적·가부장적 조직문화를 개방적이고 민주적이며 감성과 공감을 중요시하는 문화로 변화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는 경쟁과 승리만을 강조하는 남성적 특성보다는 관계 지향적이고 협력과 포용을 강조하며 민주적인 여성적 특성이 조직효과성 향상에 기여하는 새로운 관리역량으로 주목받고(Morgan, G., 박상언 역, 2004)있다. 물리적인 통제력 보다는 창의력, 풍부한 감성, 공감, 네트워크적 사고와 같은 능력이 보다 중요한 경쟁력의 원천이 된 것이다.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갖는 태도와 행동은 건강한 조직의 유지와 조직의 성과달성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과거의 수직적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한 통제위주의 전통적 리더십보다는, 의사결정 권한을 공유하고, 정보의 흐름을 개방하며, 공감과 소통을 중요시하여 구성원 개개인의 민주적 참여를 촉진시키는 여성적 리더십이 유연한 조직운영과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팔로워십의 매개에 의한 여성적 리더십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나 여성적 리더십의 기본 배경에 대한 이론적 탐구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여성적 리더십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공감능력의 배경을 탐구하는 것은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가져다 줄 것이다. 또한 팔로워십에 영향을 미치는 여성적 특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여성적 리더십이 인간 중심의 리더십임을 이해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행정 공무원을 대상으로 여성적 리더십의 효과성과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적 리더십은 팔로워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팔로워십은 조직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여성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팔로워십이 그 효과를 매개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 성남시의 행정 공무원 466명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적 리더십은 팔로워십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쳐 조직 구성원의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팔로워십은 조직효과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성적 리더십은 조직효과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매개변수 팔로워십의 하위 요소인 독립적 사고는 독립변수인 관계적 리더십·배려적 리더십과 종속변수인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매개변수 팔로워십의 하위 요소인 능동적 참여는 관계적 리더십·배려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에, 배려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 관계적 리더십·배려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팔로워십의 하위 요소인 능동적 참여는 민주적 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으며, 그 외의 매개관계에서는 팔로워십이 여성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에 부분매개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정보전달과 네트워크 환경이 극대화된 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행될수록 상호 의존적이고 유연한 조직운영이 요구되므로, 여성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성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팔로워십을 자극함으로써 구성원의 자기발전과 능력개발을 유도하여 조직의 전체 역량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조직현장의 리더십 개발에 폭넓은 시각과 다양한 가능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결된 사회로 진행될수록 공감적 배경이 없는 조직운영은 어려울 것이다. 여성적 리더십은 출산과 양육에 깊이 관여함으로써 여성 조상들에게서 나타났던 적응적 특성인 공감능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의식구조는 인류가 지나온 흔적의 결과이며, 여성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기질의 동인(動因, drive)이다. 이와 같은 여성적 리더십의 실천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여성적 특성의 장점에 대한 높은 인지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양성의 차이와 가치를 차별없이 이해할 수 있는 성 인지력(性認知力)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여성적 리더십의 장점을 수용하는 성 인지력 교육의 강화는 그동안 도외시되었던 여성적 특성과 여성적 가치의 배경을 새롭게 해석하여 인간존중의 새로운 리더십으로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여성적 리더십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자유롭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민주적인 조직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하며, 여성적 리더십의 장점과 실천적 방법에 대한 교육을 보다 강화할 것을 제언한다. 주요어: 리더십, 여성적 리더십, 팔로워십, 조직효과성
중국 상해시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
중국 상해시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 장양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초록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의 끊임없는 소모로 지구 환경이 갈수록 나빠지면서 세계 각국은 전통 석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사용을 줄이기 시작했고, 중국도 이런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래서 중국은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상해시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소비자의 구매의향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중국의 경제발전과 시장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요인이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구매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는 차 값이 싸고, 나중 에 사용하는 원가도 싸며, 중고차 가치 유지율이 좋다. 이것들은 소비자들이 가장 마음에 두는 요소이다. 둘째, 시장적 요인도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구매 의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는 브랜드가 많고 브랜드 간 시장 경쟁이 치열한 데다 뛰어난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의사가 높아질 수 있다. 반면에 정책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편의성 등은 구매 의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제어: 소비자,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구매 의사 Research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s of new renewable energy vehicles in Shanghai, China ZHANG YANG Jeju National University, Administration, Master Abstract As the global environment is getting worse due to the constant consumption of non-renewable energ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gun to reduce the use of cars that use traditional petroleum fossil fuels, and China is also facing this problem. So China is aggressively fostering new and renewable energy vehicles. Observing and analyzing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automobile consumers in Shanghai is b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and market development in the long run.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conomic facto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buy new and renewable energy cars. Renewable energy cars are cheap, the cost of later use is low, and the value retention rate of used cars is good. These are the elements most on consumers' minds. Secondly, market factors also have a great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purchase new and renewable energy vehicles. New and renewable energy vehicles have many brands, competition among brands is fierce, and excellent marketing can increase consumers' willingness to buy them. On the other hand, policy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convenienc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Keyword: Consumer, New renewable energy vehicles, Purchase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