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 환경공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중국 사례

        Wu, Peng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1999

        With the rising attention focusing on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protec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ment of economics. Establishing an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disclosing corporate in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have become an impending task. Moreover, environmental disclosure has become a research hotspot.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have influenced environmental disclosure level. Based on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information asymmetry theory, decision theory and stakeholder theory,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estimation technique, we find positive effects that are related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environmental concern, corporate age and visibility. However, we find there are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disclosure and factors- environmental exposure and return on equity. In addition, the result suggests an unexpected-negativ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disclosure and corporate leverage. This result shows a specific feature of environmental disclosure in Chinese business environment.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환경문제의 해결은 지구촌 곳곳에서 경제발전에 중요한 전제조건이 되고 있다. 유효한 환경보호 시스템을 건설하는 것과 더불어 기업내부의 환경정보를 공시하는 것은 환경문제의 해결에 한걸음 다가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공시는 회계학 연구의 새로운 주제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기업환경 공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검정하는 것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론, 정보 불균형 이론, 이해관계자 이론, 및 의사결정 이론에 근거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평가방법으로 환경업적, 환경관심도, 기업나이, 부채비율 그리고 대중관심도 4개의 요소가 기업환경 정보 공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나 환경위험노출 변수와 자본수익률 변수는 환경정보공시 변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연구 결과는 예상과 다르게 자기자본이익률 변수가 환경정보 공시 변수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낱아 났다.

      • Search and indexing of high-dimensional feature spaces for similarity retrieval

        Wu, Peng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01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e rapid proliferation of multimedia data, in both consumer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has necessitate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for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such data. In recent years, the image processing and computer vision research has led to significant progress in feature extraction and data analysis. There has also been considerable work on high dimensional indexing within the database research. One of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and address some of the challenges that are at the interface of visual analysis and database indexing. In particular, the high dimensionality of the visual descriptors for data access pose problems in indexing and search. This is often referred to as the curse of dimensionality. We propose two new techniques that address this issue. In the first one, we propose an efficient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descriptor dimensions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earch and retrieval effectiveness of the descriptor. This is based on a weighted multidimensional scaling algorithm. The second technique introduces an adaptive index structure for nearest neighbor searches in high dimensions that adapts to the data distribution. This adaptive method offers orders of magnitude improvement in search and retrieval compared to the existing state of the art methods. Finally, we extend these methods to interactive learning systems such as those using relevance feedback. In relevance feedback, both the query and the underlying similarity metric may change based on the user's response. Nearest neighbor searches in this context can be very expensive for large databases. We propose a new technique that constrains the search space for efficient nearest neighbor searches when the similarity metric is changing. Extensive experimental results on real texture and color imag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 Analyses of pointers, induction variables, and container objects for dependence testing

        Wu, Peng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1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Many compiler optimizations rely on dependence test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ransformations. Classical dependence tests focus primarily on array accesses with affine subscript expressions. These tests, however, often fall short when dealing with program features such as pointers, irregular subscripts, and object-oriented designs, which are common in today's high performance applications. In this thesis, we present three analyses that enable dependence tests for three types of objects: pointers, induction variables, and container objects. The first analysis is a pointer analysis that is precise enough for iteration-based dependence tests. The analysis i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Java. An iteration-based dependence test needs to disambiguate pointers from different iterations. Therefore, our method summarizes memory locations referenced by a pointer at every instance of a static program point. Such pointer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to eliminate redundant exception checks on Java references. We then present an induction variable analysis that exploits IV information without closed form computation. Array subscripts involving induction variables are non-affine. In classical dependence analyses, such subscripts are handled by replacing occurrences of induction variables by their closed form expressions. Instead of computing closed form expressions, however, our method computes the value change of a variable along different control-flow paths. It then uses this information to discover that array references are dependence-free. The last analysis targets container objects that are provided by standard libraries. Object-oriented design plays an increasing role in performance-critical codes. When dealing with general-purpose programs, arrays share their preeminence with more general <italic>container</italic> components, such as lists, sets, and hash-tables. We provide a pointer analysis that accurately models containers, iterators, and container-element connections. The analysis is an extension of Sagiv, Reps and Wilhelm's shape analysis for destructive updating. The output of the analysis can be interpreted as alias relations, shape properties, or connectivity.

      • Marine Boundary Layer Cloud and Drizzle Properties from Ground-based Observations over the Azores

        Wu, Peng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Marine boundary layer (MBL) clouds cover vast areas of the subtropical and midlatitude oceans and impose strong cooling effects onto the underlying surface, making them a key component in earth’s radiation budget. It is, however, challenging to simulate MBL clouds realistically in global climate models (GCMs). GCMs disagree substantially in the signs and magnitudes of cloud feedback for the regimes of subtropical MBL clouds, and suffer from the so-called “too few, too bright” problem. In addition, GCMs simulate too frequent but too light MBL precipitation compared with observations. To understand MBL cloud and drizzle processes, the Clouds, Aerosol, and Precipitation in the Marine Boundary Layer (CAP-MBL) field campaign was conducted at the Graciosa Island over the Azores from April 2009 to September 2010, which was later established as a fixed site since September 2013 by the US Department of Energy (DOE) Atmospheric Radiation Measurement (ARM) program.There are three objectives for this dissertation. First, innovative methods are developed to simultaneously retrieve cloud and drizzle microphysical property profiles using a combination of ARM ground-based cloud radar, ceilometer, and microwave radiometer observations. These retrieved microphysical properties, such as cloud and drizzle particle size (rc and rd), their number concentration (Nc and Nd) and liquid water content (LWCc and LWCd), are validated with collocated aircraft in-situ measurements and the retrievals agree well with in-situ measurements both in timeseries and in vertical variations. Treating the aircraft in-situ measurements as truth, the estimated median retrieval errors are ~15% for rc, ~35% for Nc, ~30% for LWCc, and rd, and ~50% for Nd and LWCd, which are compariable with existing retrieval techniques in literature. The retrieval methods are then applied to all available ARM ENA observations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data record. The derived climatology shows annual mean drizzle frequency in single-layered MBL clouds of ~55%, with ~70% in winter and ~45% in summer. The rd retrievals are 3-6 times greater than their rc values, and Nd and LWCd are three and one order(s) of magnitude lower than their cloud counterparts. The rc and LWCc increase from the cloud base to 75% of cloud layer by condensational growth, while the rd increases from the cloud top downwards the cloud base from the collision-coalescence process. LWCc in non-drizzling clouds can be greater than those in drizzling clouds, especially near the cloud top, where drizzle drops usually form.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orcing on drizzle formation, the drizzling MBL cloud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type I clouds can last for more than five hours before intense drizzle occur while the type II clouds are characterized by mesoscale convection cellular (MCC) structures with drizzle occur every two to four hours. By analyzing the wind profiles (direction and speed) as well as boundary layer stability, it is found that either directional or speed shear is required to promote drizzle production in the type I clouds while the boundary layer instability is the main driver in drizzle formation in the type II clouds. Both the wind shear and boundary layer instability can generate turbulence and enhance the collision-coalescence process between cloud droplets, and/or drizzle drops, resulting in rapid drizzle formation.In the last part of this dissertation, the ground-based observations and retrievals are used to evaluate the so-called autoconversion and accretion enhancement factors (Eauto and Eaccr) in GCM warm-rain parameterizations. Eauto and Eaccr are used to account for sub-grid variations in cloud and drizzle properties but are often prescribed in GCMs. Comparing the Eauto and Eaccr values calculated from surface retrievals and the prescribed ones in a representative microphysics scheme, we find that a smaller Eauto and larger Eaccr should be used in GCMs to simulate reasonable precipit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This result partially explains the “too frequent too light” problem in GCM precipitation simulations.

      • 중국 대학교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WU PENG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1983

        교육 대계, 교육 위본이라는 말이 있다. 교사는 지식과 사상을 전파하고 교육업의 발전을 추진하는 역사적 사명을 갖는다. 대학교 미술 교사는 많은 대학교수 중 하나로 교수의 전 문적 발전이 학교 내 고차원적 인재의 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대학교 미술 교육은 학생의 예술적 인지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이 예술적 사고를 통해 신경을 이완하고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창의력을 발휘하고 다양한 시각에 서 문제를 사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예술적 표현력을 높 일 수 있다. 학생은 시각적인 방식으로 세계에 대한 인식, 정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미술 교육은 인재양성에서 매우 중요 하며, 대학교 미술 교사는 대학교 내 미술 교육의 주체다. 학생의 건강한 성장과 전면적 발전은 미술 교육과 떼려야 뗄 수 없고, 대학교 미술 교육의 발전은 높은 소양의 전문화된 교수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대학 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은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에 관한 연구를 비교적 늦게 시작해 초중고 미술 교사 중심이며 대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러나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 과정에서도 일부 문제 점이 있다. 먼저, 커리어 성장 측면에서 성장에 대한 능동적 인식이 부족 하고, 커리어 성장에서의 비전이 부족하다. 자격시험에서의 미술 전문 지 식과 기능에 대한 교육 지식을 더욱 중시하고, 자신의 교육 지식 역량에 대한 요구는 높지 않다. 둘째, 현 단계에서 사회 전반의 요구로 볼 때 과 학기술을 중시하고 인문학을 소홀히 하고 예술을 소홀히 하는 현상도 있다. 미술 교사는 대학교 교수 집단에서 권한이 약하고 종종 무시당하기 도 하며 많은 관심을 얻지 못해 발전 기회를 얻지 못하며, 자체 개발이 상대적으로 느리다. 일반적으로 교수에 대한 대학교의 배려와 투자가 많 은 편이지만 미술 교사의 전문성 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추진력은 미흡하 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경비 등의 투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 적 발전에 도움이 되는 거시적 환경이 구축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는 대학교 미술 교사 의 발전에 반드시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발전이라는 연구 영역을 선정했고,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새로운 시대를 배경으로 대학교 미술 교사라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문적 발전의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가 대학교 미술 교 사 자신의 발전과 관련된 영향요인를 발견하고 전문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교육 행정부와 대학 총장이 대학 내 미술 교사의 발전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교수의 전문적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과 실행에 있어 어느 정도 실현 가능한 건설적 의견을 제공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크게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개의 장을 포함 한다. 제1부분은 이론적 개요로 전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 준비와 이론적 토대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제1장과 제2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연구 배경, 연구 목적, 연구 의미, 연구 문제, 연구 내용 및 연구 범위 정의 여섯 가지 측면에서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을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참고 문헌을 종합하였다. 교수의 전문적 발전에 관한 문 헌 및 기존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교수의 전문적 발전의 의미 및 관련 이론, 중국 대학교 교수의 전문적 발전에 관한 정책 및 관련 연구, 교수의 전문적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관련 문헌의 분석과 연구를 통해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의 방향성과 전문적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대 학교 미술학부 교사의 전문적 발전에 대한 영향요인을 선정하고 분석하 는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제2 부분은 연구 설계 및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제3장과 제4장으로 구성된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방법과 전체 연구의 설계 과정 을 설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법, 인터뷰, 설문 조사 방법을 채용하였다. 먼저,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 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영향요인을 보 다 종합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심층 면접을 통해 보완하였다. 인터뷰 개요의 설계에서 개 방형 문제를 선택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미술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적 환경적 요인과 전문성 개발 과정에서 직면하는 주요 어려움에 관련된다. 인터뷰의 모든 질문에 정해진 답변과 판단 지침이 없었으며, 주로 인터뷰 대상자의 수 년간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의 미술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더욱 포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인 터뷰 대상자 선정에는 예술계 전문가 5명과 대학의 미술 교사 7명이 선 정됐다. 마지막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해 일차적으로 선정한 영향요인과 비교해 보완하고, 대학 미술 교사의 전문적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미술 교사의 전문성 개 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조사 대상 선정 에서는 중국 대학 미술 교사를 조사 대상으로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하여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지 642부가 회수되 었고, 표본의 효율은 91.71%이며, 이어지는 데이터 분석에 유효한 표본 을 제공하였다. 제4 장은 회수된 유효 설문지에 대한 데이터 정리와 결과 분석이다. 도수 분석, 상관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등 통계적 방법으로 데이터를 처 리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1차 28인 자의 영향요인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영향요인 모델에서 각 영향요인 의 중요도에 대해 범주형 회귀 분석(CATREG)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의 기본 정보에 대한 통계를 통해 단일요인분산법을 이용하여 모집단 및 조직변수의 특성을 분석하여 대학 미술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다양한 차이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본 논문의 결론과 제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의 제5장이다. 관련 연구성과에 따라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 영향 요인은 개인, 근무지, 사회 환경적인 측면에서 하나의 유기적인 총체이 며, 여러 가지 요인으로부터 분명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구축한 영향요인 모델은 대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위한 길 에 중요한 지도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학에서 미술 교사의 전문성 개발 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교사별 수준, 근무지 수준, 사회적 환경 수준을 깊 이 파고들어 반드시 이 세 가지 수준의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학에서 미술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 음과 같은 제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먼저, 교수는 개인 차원에서 자아 실현적 동기를 부여해 미술 학과 지식을 얻고 미술 기법을 향상할 수 있 으며 자기반성을 하고 타인과의 교류 및 협력 강화하게 된다. 또한, 과감 하게 혁신을 실천해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근무지 측면에 서는 학교의 조직적 효율을 높여 전문적인 대학교 미술 교사 전문 발전 기구를 설립하여 교수를 위한 전문 발전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교 사 평가체계를 개선하여 대학교 미술 교사가 공생하고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근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 는 정부와 대학교의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미술 교사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고 직업적 윤리 규범 강화하며 전반적인 사회에서 미 술 교사가 적극적으로 더 나은 직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교 미술 교사가 지속해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미술 교사라는 집단을 연구대상으 로 하여 그들의 전문적 발전 촉진을 위해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를 결 합한 방식으로 교사 개인, 근무지, 사회환경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대 학교 미술 교사의 전문적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연구 하였다. Teachers are the key to the success of education development. Teachers undertake the historic mission to spread knowledge, idea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rt teachers are the members of universities whose professional developmen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ultivation of high-level talents. Art education can improve artistic cognitive ability of students and establish artistic thinking so that they can relax themselves and stimulate innovative spirit to think from multi-angle. Moreover, art education can improve students’ artistic expression ability. Students can express their understanding, emotions and feelings about the world visually. Art education is extremely important for students’ cultivation, and art teachers are the main groups to implement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healthy growth and overall development of students is inseparable from art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 needs a team of high-quality and professional teachers.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The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China starts relatively late. Most of the research objects are mainly art teacher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and there are not many related researches specifically on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there are also a series of problems, for example, teachers lack initiative and planning in their own career growth path. Teacher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art subject literacy, academic level, and ar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qualification assessment, while they do not have high requirements for their teaching knowledge and ability. In addition, except for teachers in some Chinese professional art universities, art teachers in other universities are often ignored. They cannot get too much attention and get better development opportunities. What’s more, universities pay more attention and investment to teachers, but the actual promotion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is not significant. Society pays less attention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in terms of policies and funding. An external macro environment which is conducive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has not been built. These problems will definitely affect the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and the quality of school talents cultivation. Under the background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he research choose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research field and makes a systematic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I hope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help art teachers promote professional ability.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leaders of universities will pay mor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art teachers, providing constructive suggestions whe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 for teacher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containing five chapters. The first part is theoretical overview, which consists of the first chapter and the second chapter, preparing for the whole study. Chapter one expounds the research ideas from six aspects, including background, purpose, significance, problems, content and study area. Chapter two is literature review, which systematically analyzes the literature and existing research results abou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vides relevant theories for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its influencing factors. The second part is the research design and results, composed of chapter three and chapter four. Chapter three expounds research method and design. Firstly, preliminarily selec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and collect first-han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of five art experts and seven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Then compare two materials, supplementing and selec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Finally, compile the questionnaire of the above factors and take the art teachers in Chinese universities as objects. A total of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investigation and research. Chapter four has analyzed the effective questionnaire data and results and processed them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 test and other statistical method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used to construct the one-stage 28-factor influencing factor model. Under the guidance of the influencing factor model, the optimal scaling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each influencing factor. Finally, through the statistics of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urvey objects, the single-factor variance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organization variables to produce different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The third part is research conclusion and suggestion, which is the chapter five of this paper. According to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it draws a conclusion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f ar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universities are unified and organic at the level of individual, workplace and soci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is affected by many factors. The constructed influencing factor model has an important guiding role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universities. At the individual level, teachers should stimulate the motivation of self-realization, master the knowledge of art disciplines and improve art skills. They should also awaken the consciousness of self-reflection, strengthen cooperation with others, brave to innovate and practice, and constantly improve themselves. At the workplace level, schools should have bett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t up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formulate sound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Moreover, schools can optimize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build a good working environment of symbiosis and progress for art teachers. At the level of social environment,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ould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social status of art teachers and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ethics. The whole society should create a good environment in which art teachers can actively pursue a bright career future, and help art teachers obtain sustainable and upward development. To sum up, the research takes art teachers in Chinese universities as research objectives. With the goal of promo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 u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level of individual, workplace and social environment to conduct in-depth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Chinese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