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chlin involves immune response of hair cell degeneration by acoustic trauma

        배성훈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32991

        Introduction: Recently, the immunologic function of the LCCL peptide cleaved from the cochlin protein was revealed in infectious condition. However, cochlea have distinctly specific immune response in the inflammation induced by acoustic trauma.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ochlin function in sterile inflammation induced by acoustic trauma. Methods: The wild type and COCH knock-out C57BL/6 mice were used. The change of LCCL concentration in the perilymph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The hearing function, outer hair cell loss, expression of inflammatory molecules and macrophage distribution pattern were measured after acoustic trauma. Results: The LCC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e perilymph after acoustic trauma. The COCH knock-out mice showed preserved lower frequency hearing function and outer hair cells after acoustic trauma.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olecul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enotypes. The recruited macrophages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apical 10% of COCH knock-out mouse cochlea, and monocytes showed chemo-attraction by LCCL peptide in transwell assay. Conclusion: The LCCL is cleaved in the sterile inflammation induced by acoustic trauma as well as bacterial infection, but the quantity seems to be limited. The COCH knock-out mice showed preserved lower frequency hearing after acoustic trauma. The recruited macrophages were less in the cochlear apex in the COCH knock-out mi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transwell assay, the absence of LCCL seems to be responsible for it. Cochlin 단백질은 내이에서 많이 발현되는 구조단백질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의 연구에서 Cochlin 단백질에서 잘려 분비되는 LCCL 단백질의 선천면역 기능이 보고되며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소음노출에 의한 달팽이관의 염증은 세균 감염에 의한 면역반응과 여러 가지 다른 점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chlin 단백질이 소음노출에 의한 달팽이관 염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chlin 유전자를 Knock out 시킨 마우스와 wild type 마우스를 비교 분석하였고, 115dB 의 백색소음에 1시간 동안 노출시켜 소음에 의한 달팽이관 염증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소음 노출 후 Cochlin 단백질에서 절단된 LCCL 단백질의 농도가 달팽이관의 외림프액에서 점점 증가하였고, 소음 노출 1일 후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동일한 소음 노출 후 Cochlin knock out 마우스의 청력이 wild type 마우스와 비교하였을 때, 저음역대에서 보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외유모세포의 수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소음 노출 3시간, 1일, 1주일 후의 염증관련 물질들의 RNA 발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음 노출 후 외림프액 공간으로 유입된 단핵구 수에서는 cochlin knock out 마우스가 달팽이관 첨부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 이는 마우스의 골수 단핵구에 대한 LCCL 단백의 화학주성실험에서도 재현되었다. 결론적으로, cochlin 단백질은 소음노출에 의해 유도된 달팽이관 염증에서도 LCCL로 절단되어 분비되었다. Cochlin 단백이 없을 때, 저음역대에서 소음노출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었고 이는 아마도 LCCL 단백질의 단핵구에 대한 화학주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청소년의 비행 문제 감소를 위한 롤플레잉게임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배성훈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2988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 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구성요소들을 롤플레잉게임(Role Playing Game)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치료 효과 뿐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서 비행 문제로 의뢰된 36명의 청소년들과 이들의 담임교사 18명이었다. 청소년들은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되었고 담임교사 역시 청소년들의 무선 배정에 의해 함께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고 비교집단에는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에게는 매 회기 후에 청소년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는 교사 교육을 받지 않고 사후 및 추후 측정에만 관여하였다.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행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자기 통제 수준을 사전, 사후, 추후(한 달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비행행동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력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프로그램이 종결된 시점에서 한 달이 지난 후에 재측정을 했을 때에도 비행 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및 자기 통제력 수준이 모두 사후 평가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더불어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RPG형식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비행 문제 감소 및 비행 문제 감소와 관련된 기술 및 전략의 향상에 효과적이면서도 비행 청소년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집단치료 프로그램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imed at reducing juvenile delinquency and enhancing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elf-control skills, and furth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adopted the form of Role-Playing Game (RPG), a game genre, to increase motivation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6 adolescents with delinquent behavior and 18 of their homeroom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dolescents with delinquent behavior and their homeroom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or comparison group. Experimental group received RPG form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and comparison group received problem-solving group therapy.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ducation about how to guide their students following every therapy session while teachers in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receive any education. Outcome variables including delinquent behavio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elf–control skills were assessed at baseline, post-treatment, and one month follow-up. At post-treatment, the RPG form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reduced delinquent behavior and increase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elf–control skills, and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mparison group. Also, these changes remained at one month follow-up.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for the treatment program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is RPG form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adolescent delinquency and improv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associated with delinquency, and motivating delinquent adolescents to engage more actively in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