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현주의 관현악곡 <북촌회상> 분석연구

        이현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국 문 초 록 2014년 6월에 작곡된 국악관현악 <북촌회상>은 소금, 대금, 피리, 해금, 아쟁, 25현가야금, 거문고, 장구, 모듬북, 벨, 꽹과리로 편성된 곡이다. 악곡의 구성은 4악장 형식으로 서주부-제 1악장-제 2악장-제 3악장-제 4악장의 총 5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악장은 추억-낭만-소통-공감의 부제 아래 역사성과 일상성이 공존하는 북촌의 공간적 정체성을 표현하였다. <북촌회상>의 공간적 대상인 북촌은 단순히 서울 종로구 계동길 37 주변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서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에서 다양한 메타포로 작용한다. <북촌회상>은 북촌을 소재로 북촌이라는 공간이 지니는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작곡되었다. 본고는 <북촌회상>의 악곡 구조 및 선율, 리듬, 음악적 특징의 분석을 통해 <북촌회상>의 음악적 특징과 그로인해 만들어지는 의미를 추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주부는 ♩=82 템포로 모듬북이 제 1악장 ‘추억’으로 향하는 ‘발걸음’을 상징하며 시작된다. 제 1악장은 임종평조이며 A-B-A'의 3부형식이다. A는 ♪=100로 피리가 주선율을 노래하고 B는♩.= 50 템포로 악기군들이 돌림노래를 표현한다. 제 2악장은 황종평조를 사용하며 A-B-Bridge-A'의 3부형식을 나타낸다. A는 ♩.= 50으로 메기고 받는형식이 나타나고 B부분은 6/8에서 9/8로 변박되며 ♩.= 52 템포로 변화한다. 제 3악장은 황종평조가 사용되며 전주-A-B의 2부형식을 갖는다. 전주는 ♩=100에서 ♩=112로 변화하며 accel.로 빨라져서 ♩=115로 A가 시작되며 6/4에서 5/4로 변박된다. B에서 중려평조가 등장하고 ♩=100로 템포로 메기고 받는 형식을 나타낸다. 제 4악장은 A-B-A'-Coda의 3부형식을 갖고 ♩.= 52 템포를 나타나며 황종평조가 사용되고 B에서 대금 솔로가 카덴차로 나타나며 남려계면조가 사용된다. 둘째, <북촌회상>의 음악적 특징은 북촌의 역사성을 표현하기 위해 전통어법을 사용하고 이의 차용과 발전을 통해 역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동시에 역사성과 일상성의 공존을 표현하였다. 이를 선율적, 리듬적, 그 밖의 특징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선율적 특징은 악곡 전반에 걸쳐서 정악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평조·계면조를 사용하였고 완전 4도선율진행과 화성진행을 통해 끊이지 않는 역사성을 표현하였다. 리듬적 특징으로는 전통음악의 장단원리인 기경결해를 이용하여 역사성에 근간을 두었으며 3소박4박장단인 타령장단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였다. 그 밖에 콘체르토 그로소는 음향의 대조를 꾀함으로써 곡 안에서 역사성과 일상성의 공존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보다 더 능동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리듬의 강조뿐 아니라 점층적 분위기를 이끌어내는 악센트(>)와 더불어 국악기에 나타나는 농현, 전성, 퇴성의 시김새가 악센트로의 역할을 하며 음악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국악관현악 <북촌회상>은 각 악장별로 음악적 표현을 다양화하기 위한 여러 시도를 하였고 기존의 음악적 요소를 차용하여 이를 새롭게 해석하여 변화·발전시키는 형태를 찾아볼 수 있었다. 분석 연구를 통해 기존의 ‘북촌’의 의미를 다시금 되짚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본인의 음악양식 및 음악적 요소들의 재해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 보다 더 새로운 창작국악곡이 탄생되기를 바란다.

      • 도로시아 린드 딕스의 정신병원 개혁운동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역사가들은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정신병원 개혁운동을 이끌었던 도로시아 린드 딕스를 남북전쟁이전 미국의 주요 개혁가들 중 한 명으로 언급해 왔다. 그녀의 개혁운동은 주로 빅토리아 시대 여성의 인도주의에 입각한 자선 사업이라는 측면에서 해석되어져왔다. 그러나 딕스는 단순히 자선의 측면이 아니라 사회의 질서회복과 안정을 위해 정신병원 개혁이외에도 감옥, 빈민, 흡연 등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개혁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개혁가로서의 도로시아 린드 딕스와 그녀의 대표적인 사회 개혁운동이었던 정신병원 개혁운동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딕스의 개혁사상은 인간의 완전성에 대한 낭만주의적 믿음 그리고 기독교 복음주의의 구원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에 깊이 영향을 받았다. 사람들은 인간과 사회의 완전성에 대한 신뢰를 통해 사회나 개인의 부패와 악덕을 제거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인간의 이상행동은 그들이 길러진 환경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그 잘못된 환경을 제거함으로서 죄, 정신이상, 빈곤 등의 문제는 해결 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한편, 기독교 복음주의는 구원과 완전성의 실현을 위해 기독교인이 사회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도덕과 규율을 중시하며, 영국의 사회개혁으로부터 사회개혁의 구체적인 방법을 습득한 딕스는 미국 전역을 순회하며 정신병 환자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그녀는 그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1843년 매사추세츠 주정부에 청원서를 제출, 만성 정신병 환자를 위한 시설 건설을 위한 지원을 주정부에 요구했다. 그러나 정신병환자의 비인도주의적 수용 상태를 고발한 딕스의 매사추세츠 청원서는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에는 성공했으나 그 보도 사실의 진위여부에 대한 논쟁에 휘말려 정치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지는 못했다. 만성환자를 위한 시설을 제안한 딕스의 안은 또다시 뉴욕에서 정신병원 의사들의 도전에 부딪히게 되었다. 만성환자 수용시설의 건설은 의사들에 의해 정신병에 대한 정신과적 치료의 무력함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리하여 유티카 정신병원 의사 브리엄의 로비로 인해 딕스의 안은 무산되었다. 충분한 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비난에 맞서 딕스는 정신병에 대한 당대의 의학적 설명을 수용했으며, 병원에서의 전문가에 의한 치료를 강조함으로써 미국에 있어 거대 정신병원의 시대가 열리는데 기여했고, 정신병을 의료화 시키는데 공헌했다. 그러나 당시 의사들은 정신병의 사회적 원인만을 강조했다. 그들은 사회가 산업화, 도시화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과거의 전통이 무너지는 상황을 사회적 무질서로 이해했으며, 그러한 사회의 부패가 정신병을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신병은 빈부의 격차나 계층에 관계없이 한 사람의 이성을 무너트릴 수 있는 무차별적인 질병으로 소개되어 정신병에 대한 공포가 형성되었다. 정신병에 대한 19세기 중반 의사들의 해석은 해부와 의학 실험에 기초했다기보다 잭슨 시대 사회에 대한 비판에 그 연원을 두고 있었으며 정신병원의 건설은 인도주의의 요청에 호응하는 것과 더불어 흐트러진 사회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한 사회 통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요컨대 도로시아 린드 딕스는 연방청원을 통해 자선의 범위를 사회적으로 확장시키고 정신병의 의료화에 공헌했다. 그러나 동시에 딕스의 정신병원 개혁운동은 19세기의 급격한 산업화와 사회변동에 대응해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고자 했던 보수적인 사회개혁운동으로서 평가될 수 있다. Dorothea Lynde Dix was a famous reformer who devoted herself to mental illness treatment in the mid 19th century. For generations, historians have noted her among the assortment of antebellum reformers. Despite her remarkable reputation, Dix floated outside the mainstream of American history and her "lunacy reform" movement has only been regarded as a philanthropic work. However as a 19th century reformer, she was involved in various social reform movements for prison, the poor, the insane and even tobacco, that were intended to settle social order. Dix's idea of social reform was rooted in the concepts of moral education and Perfectionism in the age of Romanticism and evangelical attitude of Unitarianism toward social reforms. She thought that deviant behaviors like crime and insanity could be rectified under an appropriate environment with good regulation uniting by kindness and well-ordered discipline, and that Christians should devote themselves into solving social problems to restore social order and advance the progress of American society. Dix moved from state to state to research the conditions of jails, poorhouses and alms houses. Based on the results, she wrote a number of memorials reporting indecent states of treatment for the mentally ill and disclosing the cruel manner in which the insane had been treated. She urged that to offering specialized places for the poor insane was favorable to removing social corruption and injustice,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social imperative of humanitarianism. However, her work encountered some obstacles. First, her exposure tactics were too direct to bring practical political change because the broad description of the mentally ill fell into controversial debate regarding the truth of it instead of generating general assent to her petition. Second, Dix's proposal for the poor incurable insane was attacked by mental hospital superintendents because it was quite contrary opinion to mental hospital doctors' interests by admitting their lack of ability in curing mental illness. Therefore, after the failures in Massachusetts and New York, she adopted the superintendents' explanation of mental illness and they began to cooperate together in lunacy reform. However the most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origin of insanity were within the ordinary comprehension of the social disorder and corruption, for the analysis depended not on medical experiment and anatomy, but on a critique of Jacksonian society. Medical superintendents gave an authority to the critique as a medical fact and reformers like Dix and Samuel Howe promulgated it socially. Thus establishing mental hospitals in the mid 19th century was an effort at social control. In conclusion, Dix's lunacy reform movement was not only a philanthropic work in which traditional concepts of charity and benevolence of Victorian womanhood were expanded to the sphere of recently transformed modern society but also a method of social control to cope with social deviant problems brought or deepened by the growth of variety and number of population, mobility, and urbanization.

      • 사회적경제기업가의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검증

        이현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corporate sustainability through social entrepreneurship targeting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In order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ustainability). Second step, the independent variable(social capital) and the social entrepreneurship total, which are parameters, and the sub-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innovation, execution, and social value pursuit, are examined to see if each has an effect. Three steps, the independent variable(social Capital) and the dependent variable(sustain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to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ub-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innovation, execution, and social value pursuit, were verified. Final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increase in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any at a significant level.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ocial capital of the leader of the social economy enterprise, the higher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erprise. Second, as social capital increased,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impact at a significant level. Third, as social capital increased, innovation, a sub-factor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at a significant level. Fourth, as social capital increased, practice, a sub-factor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at a significant level. Fifth, as social capital increased, the pursuit of social value, a sub-factor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at a significant level. Sixth, it was foun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connects the social capital of the leader of the social economy enterpris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erpri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novation, execution, and social value pursuit that are the sub-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each had a mediating effect.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of entrepreneurship may depend o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social capital, since entrepreneurs belonging to social groups with more social capital are more likely to be placed in useful situations internally through networks (Damirchi et al., 2011).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ncrease social capital. One of the ways is to prepare various venues to activate networks that can increase trust among social economy-related resources such as administratio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nd involved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Next,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sum of social entrepreneurship but also sub-factors of innovation, execution, and pursuit of social value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Therefore, it is proposed to introduce an additional point system for steady social economy-related activities within the community, such as compulsory completion of social economy-related education, mentoring programs, and consultative body network activ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detailed indicators to evaluate the qualitative part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Fourth,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social entrepreneurship of cooperatives was high in the significant difference test compared to other business ty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hat can be nurtured through minimum corporate management support by preparing standards such as B-Corp(Benefit Corporation) certification that can evaluate the aspect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Currently, Jeollabuk-do is actively carrying out various infrastructure projects such as unsecured fund support for social economy enterprises, operation support for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market support upon the Social Economy Basic Ordinance. Entrepreneu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can evaluate that their social capital is high. Due to this, I’m sure that social entrepreneurs will use their creativity to pursue social values such as solving community problems, and eventually put that creativity into practice, and build a sustainable ideal model for businesses or regions.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maintain and settle such an environment.

      • 여성노인의 운동참가정도와 건강상태지각이 운동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 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female seniors who reg larly participated in local fitness programs and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th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exercise effects. For validation of this st dy, 447 female seniors aged over 60 years, in B san, participated in this st dy, and were randomly administered. Analytical methods (e.g.,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 ct re analysis) for this st dy were adopted thro gh SPSS version 19.0 and AMOS version 19.0. A significance level of p<.05 was sed for all statistical tests, and a few interesting findings were discovered. 1. Variables and Exerciser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Regarding this aspect, it was fo nd that the participants’ age, ed cational backgro nd and reasons to exercise do not affect either self-efficacy or self-esteem when exercising. Another was that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showed differences dependent on their health condition, period, freq ency, and time of exercise. Also, the participants’ age, economic level and reason to exercise did not affect their self-esteem, and participants’ self-esteem differed, dependent on the participants’ ed cation level, health condition, period, freq ency, time, and level of exercise. 2. Correlations of between Variables and Self-efficacy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have positive relations, dependent on the variables (e.g., health condition, period, freq ency, time, and level of exercise). 3.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Self-esteem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participants’ self-esteem have positive relations, dependent on ed cation level, health condition, period, freq ency, time, and level of exercise. With respect to exercise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Self-esteem, it was fo n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self-esteem in exercising, in partic lar when their fitness condition had an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Simply p t, this research fo 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the female senior participants aged over 60 years, partic larly when being aware of their fitness stat s. Their health condition highly infl enced thei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exercising as well.

      • 성 호르몬의 변화가 여성의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항상성은 내분비계 호르몬의 작용으로 유지된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사춘기, 월경과 임신 및 폐경에 이르기까지 생애 각 주기별로 나타나는 성호르몬의 생산과 분비의 변화가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성호르몬들은 구조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인체에 작용을 하며, 치주조직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사춘기 치은염 및 임신성 치은염이나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관련한 치주염의 진행 등 치과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한다. 성호르몬이 치주질환의 발병과 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실하다. 각 호르몬의 작용 메커니즘이 정확히 밝혀진다면 치주 질환의 진단과 치료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생애 주기라고 할지라도 환자마다 호르몬의 변화에 대한 치주조직의 반응에서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환자마다 치태 조절 능력, 전신 질환의 유무, 개인의 치주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 전략과 계획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여성의 신체적인 성장과 발생 과정 중에 나타나는 호르몬의 변화가 치주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최신의 지견을 바탕으로 호르몬이 치주 조직에 작용하는 메커니즘 및 각 호르몬의 역할과 효과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한 폐경기 여성의 치주질환의 치료와 관련하여 호르몬 대체요법이라고 알려진 치료방법의 여러 가지 프로토콜들을 비교 고찰하여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 초등학교 경도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연구

        이현주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경도장애아동의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교육과정 교과와 연계된 자기결정기술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기술의 하위영역과 영역에 따른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기본교육과정 6개 교과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교과내용과 연계된 자기결정기술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써 연구대상문헌은 기본교육과정의 6개 교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건강, 예능의 Ⅱ단계와 Ⅲ단계 내용이다. 6개 교과의 분석기준은 자기결정기술 6개영역과 각 영역에 따른 하위요소로 구체적인 내용은 <표Ⅲ-1>과 같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인식 기술과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과학, 건강, 예능 교과이다. 이 영역에서는 자신에 대한 기본 정보, 가족에 대한 인식, 나와 다른 사람의 기분 인식, 자신이 좋아하는 것 알고 표현하기 등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내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둘째, 자기관리 기술과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수학, 건강 교과이다. 이 영역에서는 자신의 물건 관리하기, 알림장 바르게 쓰기, 용돈 관리하기 등 자기의 일상생활을 관리하고 점검하는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셋째, 선택기술과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건강, 예능 교과이다. 이 영역에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음식·놀이 선택하기 등 자신의 관심, 흥미, 선호도를 나타내는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넷째, 자기옹호 기술과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교과이다. 이 영역에서는 도움 요청하기, 여러 상황에서 바르게 대처하기, 대상과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의사 표현하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을 옹호하는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지원망 구성 기술과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예능 교과이다. 이 영역에서는 주변 사람의 이름 익히기, 상대에 맞게 바르게 인사하기,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기, 친구와의 약속 정하기 등 자신의 주변인물을 알고 그 사람들과 지속적인 대인관계를 형성·유지하는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지역사회시설 활용기술과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과학, 예능 교과이다. 이 영역에서는 백화점 이용하기, 서점 이용하기, 교통수단 이용하기, 미용실 이용하기 등 지역사회의 공공기관 이용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기본교육과정과 연계된 자기결정기술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했는데, 특수교육을 담당하는 현장의 교사들은 자기결정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장애아동들의 자기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시도해야 하겠다.

      •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소설과 드라마의 내용과 형식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each of the three realms: the story, the discourse, and the context. It also tried to draw a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narrative genre through mutual reading of novels and dramas. Chapter 1 presented research purpose, research history review, research methods, and scope of research. The review of research history was examined in four parts; A Study on the Reality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of the novel『dwarf』, A Study on the Unique Expression Techniques used by Cho Se-hui to criticize problems sharply through the field of labor,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 Transformation of the novel and drama『Dwarf』,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Techniques in the Drama『Dwarf』. Chapter II looked at the real perception of the 1970s in the novel 『Dwarf』. Due to low production costs and industrialization based on export-oriented industrial systems, this study looked at the appearance of workers who should have worked in poor conditions and confirmed that 『Dwarf』 emerged in the 1970s with a speciality of the times. Unlike other novels of realistic style, 『Dwarf』 exposed the lives of workers and employers to the world through various forms,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style. Metaphors and stylistic features show how the dwarf is maximizing the real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metaphors and styles and presented their meanings and effects. Chapter III looked at the value of the drama『Dwarf』as a visual literature. The HD TV Literature-theater, where the drama『Dwarf』aired, is aimed at re-interpreting literature by current perspective. The drama adapted a series of short stories, 『The Mobius band』,『The knife-edge』 and 『The small Ball shot by a Dwarf』 The drama『Dwarf』reinforced reality through technical features such as short and angle, visual images and fantasy elements.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fantasy shown in the drama『Dwarf』relates to reality and plays a functional role. Chapter IV intended to activate the mutual reading of novels and dramas through comparison of story areas, contrast of speech (discussion) areas, and exploration of context. Mutual reading followed the suggestion made by Park(2007).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 common feature of the story, such as characters and plots. Next, it contrasted the discourse, such as the formal differences in time and description. Finally, it explored the communication-situation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novels and dramas. Although the adapted drama reduces social problems to family problems, The drama showed social problems of the 1970s through family: poverty and the grief of day laborers, conflict and unemployment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redevelopment and the grief of migrants. This study conducted a mutual reading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ovel and drama for a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Dwarf』 Although the original novel and adapted drama developed the story through different mediums of writing and video,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activate the mutual reading of novels and drama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 and form for a deep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narrative genre. 본 연구는 소설『난쏘공』과 드라마『난쏘공』의 내용과 형식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논문이 아주 적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설과 드라마가 이야기의 영역, 표현(담론)의 영역, 맥락의 영역 등 각 3가지의 차원에서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서사 장르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와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를 제시하였다. 연구사 검토는 크게 소설『난쏘공』이 다루고 있는 1970년대 산업화 시대에 대한 현실 인식에 대한 연구, 산업화시대의 문제점을 노동의 현장성을 통해 날카롭게 고발할 때, 조세희가 사용한 독특한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 소설과 드라마『난쏘공』의 서사적 변용에 대해 비교 분석한 연구, 드라마『난쏘공』에 나타난 영상적 기법을 분석한 연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소설『난쏘공』에 나타난 1970년대 현실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낮은 생산비와 수출 중심의 산업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화로 인해, 비인간적 대우를 받으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 근무했어야 했던 노동자의 모습을 살펴보고, 『난쏘공』이 1970년대 시대적 특수성을 담아내며 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난쏘공』은 리얼리스트적인 문체의 다른 소설들과 다르게 다양한 형식과 은유적인 표현, 문체를 통해 노동자와 사용자의 삶을 세상에 폭로하였는데, 『난쏘공』속에 나타난 은유적인 표현과 문체의 특징을 통해 『난쏘공』이 어떻게 리얼리티를 극대화 시키고 있는지 각 유형을 분류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영상문학으로서의 드라마『난쏘공』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드라마『난쏘공』이 방영된 HD TV문학관은 영상과 문학의 만남을 주선하여, ‘문학을 현재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갖는 프로그램으로, 연작집『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내의 단편 「뫼비우스의 띠」, 「칼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각색하였으며, 드라마『난쏘공』은 쇼트·앵글과 같은 기술적 특징과 영상적인 이미지·환상적인 요소를 통해서 리얼리티를 새롭게 강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드라마『난쏘공』에 나타난 환상성이 현실과 어떤 관계를 맺으며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야기 영역의 비교, 표현(담론) 영역의 대조, 맥락의 탐구를 통해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를 활성화 하고자 하였다. 상호적 읽기는 박기범(2007)이 제안했던 방안을 따랐으며, 소설과 각색된 드라마의 내용적인 공통 요소인 등장인물과 플롯과 같은 이야기 구성 요소들을 비교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형식적인 차이 요소인 시점 및 서술과 같은 담론 요소들을 대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소설과 각색된 드라마의 소통·상황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탐구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를 통해 원작 소설에 비해 각색된 드라마에서는 노사문제, 주택문제, 빈민문제 등 현실 사회 문제를 보다 축소하여 다루고 있지만, 1970년대의 사회적 문제를 한 가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로 접근하여 가난의 대물림과 일용직 노동자의 외로움, 노사관계의 갈등과 그에 따른 실업, 재개발과 이주민의 비애 등 사회의 균열을 보여주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난쏘공』의 더욱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위해 소설과 드라마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근거한 상호적 읽기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원작 소설과 각색된 드라마가 문자와 영상이라는 각기 다른 매체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시켰지만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서사 장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위해 내용과 형식의 비교 분석을 통한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진단 초기 암 환자의 공유적 의사결정 과정

        이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진단 초기 시점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환자와 의료진 간에 이루어지는 공유적 의사결정 과정을 환자와 의료진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암 환자의 치료적 의사결정에의 참여요구 충족 및 국내 임상 현장에서 효율적인 공유적 의사결정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의 연구 질문은 ‘진단 초기 시점의 암 환자와 의료진이 치료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공유적 의사결정을 해나가는 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시내의 일 상급종합병원에 암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 10명과 이들을 진료 및 간호하는 의료진 9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면대면 심층면담 및 전화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2월부터 2018년 5월까지였고, 면담 자료의 필사는 연구자가 하였으며,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을 진행하며 의미 있는 진술이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 이론적 포화 상태에 이르기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암의 재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안개 속 같은 상황과 같은 암 치료’, ‘완치에 대한 간절함’ 등 47개의 개념과 ‘막연한 질병의 예후와 예측 불가능한 치료 효과’, ‘선택의 기로에 놓임’, ‘정답을 찾기 위해 끝없이 헤맴’ 등 20개의 하위범주, ‘뿌연 안개 속에서 선택의 갈림길에 홀로 서 있음’, ‘옳은 답을 찾기 위한 끝없는 싸움’,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 가족회의’ 등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범주들로부터 속성과 차원을 추출하였다. 축코딩에서는 10개의 범주들을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로 구성되는 패러다임으로 제시하였고 시간에 따른 과정 분석을 통해 암 환자가 진단 초기 시점에 치료방향 결정을 위한 공유적 의사결정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정보탐색, 소통, 심사숙고, 선택 및 시작의 네 단계를 거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의료진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 ‘자율성에 대한 중요성 증가’, ‘환자에게 고민할 시간을 제공함 ’ 등 46개의 개념과 ‘자기결정권의 중요성 인식’, ‘최적의 결정을 하도록 도움’, ‘진전이 없는 진료가 답답함 ’ 등 20개의 하위범주, ‘치료방법 결정의 주체가 환자임을 인정’, ‘안타깝게 지연되는 치료적 의사결정’, ‘의학 정보의 대중화’ 등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범주들로부터 속성과 차원을 추출하였다. 축코딩에서는 9개의 범주들을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로 구성되는 패러다임으로 제시하였고 시간에 따른 과정 분석을 통해 의료진이 진단 초기 시점에 놓인 환자의 치료방향 결정을 위한 공유적 의사결정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정보교환, 신뢰구축, 심사숙고, 결정의 네 단계를 거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선택코딩과 상황/결과모형의 제시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 양자의 관점에서 공유적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각 결과를 통합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이야기 개요의 진술을 통해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후회 없는 선택을 향해 나아감’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고, 연구에서 나온 모든 결과를 통합하는 모델로써 상황/결과모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암 진단 초기 시점의 환자와 의료진의 치료 방향 결정을 위한 공유적 의사결정 경험을 근거이론방법으로 탐색한 국내 최초 연구로써 양자의 결과를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실무 이론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고, 국내 임상 현장에서 효율적인 공유적 의사결정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사회심리적 요인 및 수면의 질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occupational stress, socio-psychological factors (Type A behaviors,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quality of sleep among ,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fatigue. The subjects comprised 600 fire service workers at 5 fire departments in 5 districts in Daejeon City,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 2015 and November 30, 2015,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ublic Health conferred in February, 2017.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1. Among research subjects the level of their fatigu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a group of firefighters with a low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p<0.001), a lower level of subjective quality of sleep (p<0.001), a higher level of physical burden (p<0.001), and job dissatisfaction (p<0.001), and a lower level of leisure activities (p=0.003). Among the subjects the level of their Fatigu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for a group of the drivers and firefighters (p=0.027), for shift workers (p=0.009). Fatigue was higher for those who unfit for work(p<0.001) and for those who were considering job transfer (p=0.007). 2. Among research subjects Fatigu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subjects with higher job demand (p<0.001), with lower degrees of job autonomy (p<0.001), with Type of A behaviors (p<0.001), with high self-esteem (p<0.001), and with a subjectively poor quality of sleep (p<0.001). Fatigue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ubjects who go to sleep in less than 30 minutes at least 3 times per week (p<0.001); who wa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at least 3 times per week (p<0.001); who get up early in the morning at least 3 times per week (p<0.001); who doze off while driving, eating, or working at least 3 times per week (p<0.001); who use medication to sleep at least 3 times per week (p<0.001); who consume alcohol to sleep at least 3 times per week (p<0.001). 3. The statistics shows that while their fatigue leve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job stress(r=0.234, p<0.05) and Type A behavioral patterns(r=0.226, p<0.05). their fatigue level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self-esteem (r=-0.225, p<0.05) and quality of sleep(r=0.493, p<0.01), respectively. 4.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fatigue level was much higher in the subjectively poorer health condition, in the lower level exercise condition, in the poorer sleep quality condition, in the higher level physical burden condition, in the poor occupational adaptation condition, and in the high occupational stress condition. Also fatigue level was much higher in subjects with type A behavior patterns and lower self-esteem. This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is 42.7%. 5.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hows that job stress factors (job demand, job autonomy,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workers) had a greater impact on fatigue symptoms than sleep quality or socio-psychological factors. Fatigue symptom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job stress factors such as higher job autonomy, lower social support from coworkers, increased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poorer sleep quality.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fatigue symptoms of uniformed workers in the fire service are correlated not only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but also with socio-psychological factors (Type A behavior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and quality of sleep. In particular, fatigue symptoms were highly influenced by job stress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to increase organizational support to deal with firefighters’ fatigue in fire service. 본 연구는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자기존중감, 통제신념) 및 수면의 질에 따른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구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소방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p<0.001), 주관적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을수록(p<0.001), 여가활동을 하지 않을수록(p=0.003), 화재진압 업무 군과 운전업무 군에서(p=0.027), 교대근무를 한다는 군에서(p=0.009), 신체부담이 심할수록(p<0.001), 업무에 만족하지 못하다는 군에서(p<0.001),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직업전환의사가 있다는 군에서(p=0.007),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힘들수록(p<0.001), 업무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p<0.001),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직업전환의사가 있다는 군에서(p=0.007) 유의하게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p<0.001),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p<0.001), A형 행동유형일수록(p<0.001),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p<0.001),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01), 잠자리에 든 후 30분 이내에 수면에 들지 못하는 경우가 일주일에 3회 이상이라는 군에서(p<0.001), 밤중에 잠을 깨는 경우가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아침 일찍 잠을 깨는 경우가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운전․식사 및 업무활동 중 졸음이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잠들기 위한 약물사용이 일주일에 3회 이상인 군에서(p<0.001), 잠들기 위한 음주사용이 일주일에 3회 이상한 군에서(p<0.001) 유의하게 높았다. 3.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r=0.234, p<0.05), A형 행동유형(r=0.226, p<0.05)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기존중감(r=-0.225, p<0.05), 수면의 질(r=-0.493,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을수록, 주관적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 여가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업무에 대한 신체적 부담 정도가 심할수록, 업무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않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A형 행동유형일수록, 자기존중감이 낮을수록 피로수준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2.7%이었다. 5.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업무의 요구도, 업무 자율성,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지)은 사회심리적 요인이나 수면의 질보다 피로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 요인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고, 동료의 지지도가 낮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이 증가할수록,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피로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 및 수면의 질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직무요구도, 업무의 자율성,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에 큰 영향 받고 있음으로 근무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