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ODIPY 유도체를 이용한 OLED 발광소재 합성

        황희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멀티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보다 더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어 왔던 LCD(Liquid Crystal Display) 그전 사용되어 왔던 CRT보다 전력소모가 작고 휴대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back light라는 광원을 가져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그 두께에 한계를 가진다. 1986년 Kodak사의 Tang에 의해 유기 단분자 EL이 발견된 후 back light필요성이 사라진 OLED의 등장은 사람들의 연구에 큰 자극을 주었다. 본 실험에서는 현재 바이오이미징에 이용되어지는 대표적인 저분자 형광물질인 BODIPY(Borondipyrrole)와 현재 HTL(Hole Transport Layer)층에 사용되어지는 Carbazole계 화합물과 Triphenyl amine화합물의 합성을 하고자 한다. BODIPY는 두 개의 pyrrole ring과 difluroborane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좁은 범위의 파장을 흡수 및 발광하며, 높은 양자수율과 높은 흡광계수를 가지며 빛과 화학반응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아주 좋은 분자이다. 이러한 BODIPY와 높은 산화안정성과 광특성, 전자의 이동이 용이한 특성을 가지는 Carbazole과 Triphenyl amine 유도체들의 합성으로 기존의 BODIPY가 지니고 있는 자극을 오래주면 빛을 잃어버리는 특성을 바꾸고 보다 좋은 형광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people are demanding, thinner and lighter than present display. LCD (Liquid Crystal Display) has the advantage of ease of portability, smaller and consume less power than the CRT, but LC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back light source, the light has limitations due to its thickness. Tang by Kodak's 1986 after being found ectroluminescent (EL), OLED does not require a back light gave a great stimulus to the study of people. In this study, Synthesis of compounds with small-molecule fluorescence BODIPY (Borondipyrrole) that are currently used in bio-imaging and HTL (Hole Transport Layer) layer which is used Carbazole-based and Triphenyl amine compounds. Such as BODIPY and that high oxidative stability, op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asy mobility of electrons with Carbazole and Triphenyl amine derivatives synthesized is expected to be better to change the light characteristics lose them for a long time, stimuli of existing BODIPY fluorescence.

      • 국제화교육프로그램 참여와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가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황희민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global education programs and attitudes toward pandemic on universit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The global crisis that cannot be solved by only one country, such as the pandemic, nuclear weapons, and abnormal climate, is increasing. Global citizenship refers to the willingness to take interest in such international issues and to solve them.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as follows. First,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for global citizenship and attitude toward pandemic appropriate?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major field of study, overseas travel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possible foreign languages? Third, does university participation in global education programs affect universit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Fourth, does the attitude toward pandemic affect the glob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A through allocation sampling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7, 2020. Accordingly, a total of 253 responses (129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 124 non-participating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Jamovi 1.2.27.0 and Rex 3.0.3. Global citizenship was composed of 6 factors: knowledge (7 questions), analytical skills (6 questions), social skills (2 questions), attitudes (7 questions), empathic intention (2 questions),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7 questions). And the attitude toward pandemic was composed of 4 factors: anxiety about the governance for Covid-19 response (4 questions), Covid-19 infection phobia (4 questions), exploration of Covid-19 response measures (4 questions), and satisfaction with life (4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factor analysis on global citizenship and attitude toward pandemic, CFI=.902, RMSEA=.0601 / CFI=.929, RMSEA=.0759, both models were found to be suitable. Second,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knowledge, empathic intention,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overseas travel experience after enroll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nalytical skills,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factors tha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can speak two or more foreign language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factor than those who cannot speak foreign languag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major field of study, and overseas experience before enrollment. Third, looking at the effect of global education programs on global citizenship,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presented by the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had high knowledge and social skills factors.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verseas volunteering had a high factor of empathic intention. Participation in overseas internships helps with analytical skills, and experience in living in a global village dormitory Dormitory where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live together has been shown to help with social skil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student mentoring program had a high level of public interest inten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the overseas exchange student or short-term language training program did not raise global citizenship. Fourth,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pandemic on global citizenship, phobia about Covid-19 infection did not affect global citizenship. However, the lower the confidence in governance to respond to the Covid-19, the lower the knowledge and attitude factors among global citizenship. On the other hand, the more actively searched for Covid-19 countermeasures, the five factors: knowledge of global citizenship, analytical skills, social skills, empathic intention,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e higher the five factors: analytic skill, social skill, attitude, empathic intention,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excluding knowledge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global education programs in the era of “with Covid-19” or “post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국제화교육프로그램과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가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팬데믹을 비롯하여, 핵무기, 이상 기후와 같이 한 국가의 힘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글로벌 위기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세계시민의식은 이와 같은 국제적 문제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의지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세계시민의식과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적절한가? 둘째, 성별 및 학년, 전공계열, 해외여행 경험, 가능한 외국어 수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의 국제화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는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30일부터 10월 7일까지 할당표집의 방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총 253명(국제화교육프로그램 참여 학생 129명/미참여 학생 124명)의 응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은 Jamovi 1.2.27.0과 Rex 3.0.3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빈도표작성, T-test, 카이제곱검정,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시민의식은 지식(7문항), 분석적 스킬(6문항), 사회적 스킬(2문항), 태도(7문항), 공감적 실천(2문항), 공의적 실천(7문항)의 6개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는 코로나 대응 거버넌스에 대한 불안감(4문항), 코로나 감염 포비아(4문항), 코로나 대처방안 탐색(4문항), 삶에 대한 만족(4문항)의 4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의식과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FI=.902, RMSEA=.0601 / CFI=.929, RMSEA=.0759로 두 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세계시민의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식, 공감적 실천, 공의적 실천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학 후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지식, 분석적 스킬, 공의적 실천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2개 이상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학생이 외국어를 하지 못하는 학생보다 지식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 및 전공계열, 입학 전 해외여행 경험에 따른 세계시민의식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국제화교육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으로 대표되는 세계시민교육에 참여한 학생은 지식, 사회적 스킬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외봉사에 참여한 학생은 공감적 실천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인턴십 참여는 분석적 스킬에 도움을 주며 글로벌빌리지 거주 경험은 사회적 스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공의적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해외교환학생이나 단기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세계시민의식을 제고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가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코로나 감염에 대한 우려는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에 대응하는 거버넌스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세계시민의식 중 지식과 태도 요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극적으로 코로나 대처방안을 탐색할수록 세계시민의식의 지식, 분석적 스킬, 사회적 스킬, 공감적 실천, 공의적 실천의 5개 요인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에 대한 만족감이 큰 학생일수록 지식 요인을 제외한 분석적 스킬, 사회적 스킬, 태도, 공감적 실천, 공의적 실천의 5개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드코로나 또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국제화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