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 수업에 관한 조사 연구 : 교사의 배경과 교육 방법 중심으로

        황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 경제, 문화 전반에 걸친 세계화에 따른 영어의 필요성 강조와 초등학교의 영어 교육 시작 시기가 맞물리면서 학부모들의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어린이 집, 유치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아 교육 기관에서 영어 수업이 실시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유아 발달을 고려한 체계적인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연구 부족과 전문성을 갖춘 유아 영어 교사 양성 시스템의 부족으로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교육 기관에서 영어 수업을 하고 있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들의 교육 배경을 조사함으로써 교사 자질을 가늠해 보고, 유아 영어 수업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영어 교육 방법의 경향을 알아보아, 향후 유아 영어 교육 방법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국에 분포한 유아 영어 교사 34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216명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영어 교사의 자질 면에서 영어 및 유아, 아동학 전공자가 절 반 정도에 그쳐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비전문성의 문제가 심각하였으며, 교정할 발음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도 60% 가까이 이르러 전문적인 유아 영어 교사 양성이 필수 과제로 보였다. 둘째, 유아 영어 교사들은 수업에서 노래, 게임, 이야기, 챈트, 역할극, 등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빠르고 재미있게 진행되는 반면, 유아와 교사, 또는 유아와 유아 간에 영어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시간은 부족해 보였다.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교실영어 사용에 노력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의 효과적인 이해를 위해 모국어 사용과 시각 교재, 얼굴 표정, 신체 표현,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유아 교육 경력에 따른 교실영어의 사용정도와 인식정도에 대한 응답빈도의 차이는 발견 할 수 없었으며, 그 이유로 교사들 간의 교육에 대한 원활한 정보 교류로 인하여 동질성이 확보된 것으로 보였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사의 비전문성은 현실로 드러났으나 교육 방법 면에서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측면이 나타났다. 이제 유아 발달과 영어 교육 모두를 통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유아 영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이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라 하겠으며, 유아 영어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a result of increasing interest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most of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have taught English though over 10 year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fundamental data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y means of survey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er's background.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in-service English teacher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1. How is the background of English teachers: age, graduate degree, major, motivatio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2. How is the amount of classroom English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amount of visual materials, physical expressions, why to use their native language? 3. What are the teaching methods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use in an English class?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mount of classroom English and teacher's perceptions due t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First, most of teachers graduated university. But the only half of their majors were English education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uthermore, 60% of the teachers need the improvement of their pronunciation. Second, it revealed that more than 80% of the teachers tried to teach English through English. But they used their native language partly to help young learner's recognition effectively. And most of teachers used visual materials and face and body expressions as the same reason. Third, English teachers for very young learner used various teaching methods : song, chant, storytelling, reading aloud, role play, flash cards,..so on. And we focused on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used more various teaching methods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2 years. Comparably speaking, beginners used more songs and games than other methods and were not good at chant and role play. Forth, with teaching experiences as a fixed factor, the differences in amount of classroom English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p.=.530).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room English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 underlying dimensions: the amount of using visual materials and face and body expressions, why use their native language. Also, the differences in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As above results,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have several problems in their qualities. But they tried to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each English through English. So we need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studies on teaching methods for very young learners. For the future, I hope that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teaching method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developments on training models for teachers.

      • 배드민턴 여자단식 선수의 위치별 성공률 비교

        황혜영 경남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 정상급 외국선수 6명과 한국 대표선수 4명의 위치별 성공률 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전체선수의 성공률 순위는 4번(16.9%)이 제일 높고 6번(13.9%), 3번(10.6%), 1번(10.3%), 5번(10.4%), 8번(7.5%), 순이고 2번(3.7%)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전체선수의 실패율 순위는 3번(13.1%), 1번(12.1%), 2번(10.5%), 6번(8.9%), 4번(7.5%) 순으로 나타났으며 5번(0.95%)위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국가별에 따른 위치별 공격 성공률은 9번을 제외한 모든 위치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번 위치는 한국선수에 있어서 공격성공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4)외국 선수는 1, 2, 3, 4, 6번에서 실패율이 높고, 국내 선수는 1, 3번에서 실패율이 높아 차이를 보였으나 3번 위치에서는 비슷했다. 공격 위치 9번에서 국내 선수의 성공이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This study reaches a conclusion as follows after compare and analyze the positional success rate of six world-class foreign players and four Korean national players. 1) For the success rate of whole players, number 4(16.9%) is highest and Nos 6(13.9%), 3(10.6%), 1(10.3%), 5(10.4%), 8(7.5%) follow in order and finally No.2(3.7%) is lowest. 2) For the failure rate of whole players, number 3(13.1%) is highest and Nos. 1(12.1%), 2(10.5%), 6(8.9%), 4(7.5%) follow in order and finally No. 5(0.95%) is lowest. 3) Positional success rate of attack appears no difference in all positions except position number 9 for all nations. Number 9 has significantly highest success rate of attack in Korean players.(p<.05)) 4) Foreign players had showed high failure rate at No.1,2,3,4,6 position, and Korean players had showed different result because they had showed high failure rate at No.1,3 position. It was remarkable that Korean players had showed high success rate at No.9 attack position.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 Ⅱ 교과서의 생물분류에 대한 비교 분석

        황혜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생물 Ⅱ 검인정 8종 교과서(A: 교학사, B: 금성출판사, C: 대한교과서, D: 중앙교육진흥연구소, E: 지학사, F: 대학서림 G: 천재교육, H: 형설)에서 “생물 분류” 단원의 구성, 종의 개념, 생물 분류 단원의 내용, 5계 분류 체계의 교과서 체제, 5계의 분류 기준 및 체계, 그림·표·탐구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물 분류 단원은 제7차 교육과정 생물 Ⅱ 교과서의 4번째 대단원인 생물의 다양성과 환경 단원에서 생물의 다양성 부분에 해당된다. 생물 분류 단원은 종의 개념과 계통 단원과 분류의 실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물을 분류하는 기본 단위인 종에 대한 개념을 교과서 별로 비교하면,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18세기 린네의 형태적 종과 현대의 생물학적 종의 개념이 제시되고 있으며, 연구 교과서 A는 형태적 종과 생물학적 종 모두 한계가 있음을 언급하여 학습자가 어느 하나의 종의 개념에 국한되지 않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었다. 연구 교과서 별 생물 분류 단원의 내용과 내용요소를 비교한 결과, 종의 개념과 계통 중단원의 내용 요소는 분류의 목적, 종의 개념, 학명, 분류 단계, 분류 방법 및 기준, 검색표, 계통수 등이고, 분류의 실제 중단원의 내용 요소는 5계 분류 기준과 5계의 체계로 각 계에 대한 특징을 제시하고 있었다. 5계 분류 체계의 교과서 체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각 계의 특징 및 분류기준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고, 계통단원은 따로 설정하지 않고 있었다. 각 계마다 계통수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일부 교과서였다. 모든 교과서에서 각 계 마다 계통 단원을 설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계통수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계통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5계의 분류 기준과 분류 체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연구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5계 별 분류 기준은 원핵생물계, 균계, 동물계에서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원생생물계와 식물계에서는 차이점이 일부 있었다. 연구 대상 교과서 모두 5계 분류 체계를 선택하고 있었는데 각 계의 분류 체계는 교과서 마다 차이점이 있었다. 원핵생물계는 시원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분류 체계의 차이가 있었고, 원생생물계 분류 체계는 조류에 쌍편모조류와 유글레나류를 포함시키는 여부에 따라 교과서 별로 차이가 있었다. 균계는 분류체계에서 용어에 대한 차이만 있었다. 식물계는 조류(홍조류, 규조류, 갈조류, 녹조류, 차축조류)를 식물로 분류하는지, 원생생물로 분류하는지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물계의 경우 동물계에 속하는 연체동물문과 원색, 척추동물문의 분류체계나 용어에 차이가 있었다. 연구 교과서 별로 생물 분류 단원의 그림·표·탐구활동의 개수를 비교한 결과, 생물 분류 단원의 그림의 평균 개수는 66개였는데, 교과서 H가 94개로 가장 많은 그림을, 교과서 A가 40개로 가장 적은 그림을 제시하고 있었다. 생물 분류 단원의 표는 평균 6개였고, 교과서 C가 10개로 가장 많은 표를, 교과서 A, D, H가 공동으로 5개의 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생물 분류 단원의 탐구활동은 평균 13개였는데, 교과서 A가 19개의 탐구활동을 수록하여 가장 많은 탐구활동을, 교과서 B가 3개로 가장 적은 탐구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림·표·탐구활동은 학습자가 분류 체계나 자료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에 그림·표·탐구활동의 개수가 평균 보다 적은 교과서의 경우, 개선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8종의 연구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분류 기준 및 체계는 교과서마다 차이점이 있었는데, 분류 기준은 생물의 계통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이기 때문에 교사나 학습자가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생물의 분류 범주를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교과서 중에 1종만 교과서로 채택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동등하게 학습 내용을 인지하도록 구성이나 내용 체계, 용어 통일 등 바람직한 방향으로 교과서가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eight authorized Biology Ⅱ textbooks were analyzed to be focused on the structure, concepts of species, contents, textbook system of 5-kingdom, 5-kingdom criteria, Pictures, Tables, Research activities in the " Biological classification" un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ructure: Biological classification unit in high school Biology Ⅱ textbooks by 7th curriculum is the biodiversity unit in the "Biodiversity and Environments" unit. Biological classification unit consists of "Species concept and systematics" unit and "Practice of Classification" unit. Concepts of species: Most textbooks show a concept of morphological species of Linnaeus in the 18th century and a concept of modern biological species. Four different kinds of study textbooks emphasized more on the concept of biological species than the morphological species of Linnaeus. Textbook A helps students not to limit their thoughts to one concept of species but helps learner to broaden their thoughts. Elements of content: Content elements of "Species concept and systematics" middle unit is the purpose of the classification which is the concepts of species, scientific name, taxonomic level and method, criteria, searching table, and phylogenetic tree. The content elements of "Practice of Classification" middle unit were 5-kingdom classifying criteria and 5-kingdom system. Textbook system of 5-kingdom: Most textbook commonly discuss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riteria of the each kingdom. They do not set "systematics" as a small unit. Only few textbooks discuss about a phylogenetic tree. I think it is much better to analyze a phylogenetic tree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better about the system. 5-kingdom classifying criteria and system: The studies of textbook are the 5-kingdom classifying criterion which is almost similar to the Monera, Fungi and Animalia. However, there are different from the Protista and Plantae. In the study of textbook all 5-kingdom classification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abou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ach kingdom in different textbook. The Monera had a difference to a system for archaebacteria and virus. The Protista had a difference to a system according to the "yes" or "no" which includes flagellates and euglenophyta in algae. The Fungi had a different term with a classifying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for classifying algae with a Plantae or a Protista. The Animalia had a difference in a classifying system and a term of moluscan, protochordate, vertebrate. Pictures, Tables, Research activities: The average number of pictures in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unit was 66, textbook H showed most pictures in 94 and textbook A most few pictures in 40. The average number of tables in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unit was 6, textbook C showed most tables in 10 and textbook A, D and H showed 5 in common. The average number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unit was 13, textbook A showed most research activities in 19 and textbook B most few research activities in 3. For Pictures, Tables, Research activities is useful so that a learner understands a classification system and documents easily, it is thought that the textbook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Pictures, Tables, Research activities be improved. After studying 8 textbooks, it will be desirable to make a classifying category clear for a teacher and the learner to learn. It is because classifying criteria are the bottom line to understand the system of the creature. By just adopting only one kind of textbook at school, students can only learn from the conclusion of that one study. Textbooks should be revised to unify the structure, content system, and terms.

      • 만성요통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수면장애의 관계

        황혜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만성요통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수면장애의 관계 간호학과 노인간호 전공 황 혜 영 지도교수 심 형 화 본 연구는 만성요통 노인을 대상으로 통증, 우울 및 수면장애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돕기 위한 건강증진 교육 및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2년 10월 22일에서 11월 21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6개월 이상 요통을 호소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부산광역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 신경외과,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노인 대상자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일대일 개별 면담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숫자통증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와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를 조맹제 등(1999)이 번역한 도구로 측정되었으며 수면을 측정하기 위해 오진주 등(1998)이 개발한 수면 측정도구를 이용해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Scheffé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통증은 최고 10점에 평균 7.78±2.00점, 우울은 최고 15점에 평균 11.74±4.01점, 수면장애는 최고 60점에 평균 47.29±6.5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증의 차이는 연령(F=5.50, p=.005), 성 별(t=-2.58, p=.001), 결혼상태(t=-3.11, p=.002), 가족동거상태(F=2.75, p=.046), 주관적 경제상태(F=6.11, p<.001), 주관적 건강상태(F=-4.1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학력(F=2.40, p=.050), 결 혼상태(t=-3.82, p<.001), 가족동거상태(F=4.29, p=.007), 주관적 경제상 태(F=7.41,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39, p<.001)에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의 차이는 결혼상태(t=-3.47, p=.001), 가족동거상태(F=4.11, p=.009), 주관적 경제상태(F=4.28, p=.00 7), 주관적 건강상태(F=-4.4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요통관련 특성에 따른 통증의 차이는 요통의 빈도(F=20.04, p<.001), 요통의 지속시간(F=13.68, p<.001), 요통의 통증양상(F=15.11, p<.001), 입원경험에 따른 통증(t=3.33, p=.001), 일상생활 불편정도 (F=69.8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요통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요통의 빈도(F=14.80, p<.001), 요통의 지속시간(F=8.21, p<.001), 요통의 통증양상(F=6.67, p<.001), 입원한 경험에 따른 우울(t=2.42, p=.017), 일상생활 불편정도 (F=10.53.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요통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의 차이는 요통의 빈도(F=30. 68, p<.001), 방사통에 따른 수면장애(t=3.99, p<.001), 요통의 지속시간 (F=21.21, p<.001), 요통의 통증양상(F=21.405, p<.001), 입원한 경험에 따른 수면장애(t=3.39, p=.001), 일상생활 불편정도(F=22.56, p<.001)에 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연구대상자의 통증과 우울(r=.437, p<.001), 통증과 수면장애(r=.641, p<.001), 우울과 수면장애(r=.589, p<.001)는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요통 노인의 지각한 통증이 높을수록 우울과 수면장애가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만성요통 노인의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만성요통 노인의 통증과 우울 및 수면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적절한 교육 및 치료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만성요통, 우울, 수면장애

      • Dick & Carey 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 개발

        황혜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Dick & Carey의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또한, 개발된 모형의 각 단계별 절차 및 구성요소를 체계화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숲체험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Dick & Carey 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의 절차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Dick & Carey 모형에 기반한 최적화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교육공학 전문가, 유아교육 전문가,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 로 구성된 6명을 대상으로 총 3차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Dick & Carey 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Dick & Carey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의 교수설계 단계는 11단계로 크게는 수업 전 활동, 수업 실행 활동, 수업 후 활동의 3단계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수업 전 활동 단계는 교수 목적 확인, 내용 분석, 학습자 및 학부모 분석, 학습 환경 분석 및 선정, 수행 목표 기술, 평가도구 개발, 수업 전략 개발, 수업자료와 계획안 개발 활동으로 구성되고, 수업 실행 활동 단계에서는 수업 실행과 형성평가 및 교수 프로그램 수정의 활동으로 구성되며 수업 후 활동 단계에서는 총괄평가 실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각 단계의 구성요소들은 유기적이고 순환적이며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Dick & Carey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의 절차나 구성요소에 따라 숲체험활동을 진행하되, 유아, 학부모, 기관, 지역사회 등의 특성 및 변화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단계마다 활동들은 순환과정을 거쳐 발전하고 형성평가 후 피드백을 통해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거치며 활동을 전개하도록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문가, 교수설계 전문가,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현장에서 실제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수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영향력 있는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Dick & Carey모형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활용 숲체험활동 교수설계모형’은 현장의 유아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수지원전략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텔레비전 드라마에 재현된 여성상에 관한 연구 : KBS2 주말 드라마 <넝쿨째 굴러 온 당신> 중심으로

        황혜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사이론의 경향이 언어학적 모델에서 의사소통의 모델로 바뀌면서 텍스트 중심에서 스토리 중심으로 변화 되고, 재현 되는 드라마를 통해 가부장적 중심의 스토리 전개의 변화의 틀을 깨고, 여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에 대한 재현을 현 사회에 맞게 표출해 나가는 드라마 이야기를 구성하는 수단과 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채트먼(Chatman, 1978)의 서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한 결과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사회활동이 요구되고 있는데 반하여 TV 드라마는 현실적 가족의 모습과 동떨어진 대가족을 재현하고 있는 경향이 많았다. 보다 현실적인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전략으로 여성의 재현과 가치는 평등하고 민주적인 여성역할의 정립을 위해 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과 현 시대에 맞는 여성담론으로 남성의 예속물이 아닌 동반자로서의 여성상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모든 부분들이 주 시청자인 수용자가 여성이기에 시청률을 생각하고 드라마에 광고를 위한 상업적 통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닌지, 여성의 사회참여도가 확대되고 제도 개선을 위한 반영으로 인해 제작자가 수용자를 고려한 기획 및 제작의도가 살아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한계점과 모순으로 나타날 것은 무엇인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사람들의 사고가 각각 틀려 보는 관점에 따라 시각의 변화와 차이는 늘 발생 할 것이라고 보인다.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the narrative analysis by Chatman (1978) to measures and strategies constructing drama stories that outweigh women and express the reappearance of women designed to current society as the tendency in the theory of epic changed to the model of communication, its focus changed from text to story, through reproduced dramas, the frame of changing in the development of stories centering on patriarchal environments was brok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le modern society needs women's active and enterprising social activities, TV drama tends to reproduce large families different from actual phenomena of current families. As narrative strategies for more realistic TV drama, the reappearance and values of women are equal,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drama stories in order to establish democratic women's role are required, and as discourse of women for modern times, the image of women is described as the companions not the subordination of men. Such points brought doubts what are the limitation that commercial relations for advertisement in drama with a consideration of a program rating since women are major viewers and if producers have plans and intention to consider viewers since women's social participation expanded caused by the reflection for improving systems and contradic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it seems to have the changes and differences in viewpoint always since people have different thoughts.

      •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를 활용한 공공미술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황혜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공공미술의 환경문화적, 사회문화적, 조형예술적인 역할을 활용한 실천적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과의 연계를 통한 미적 감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미술의 표현 활동을 생활 속에 활용함으로 미술의 생활화를 실천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공공미술의 여러 유형들 중 단발성 활동을 중심으로 한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의 활동 방법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는 시민들의 생활권과 인접한 장소를 활용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활동의 규모가 작고 단발적인 활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요구되지 않는 표현 활동으로 참여가 가능한 주체의 범위가 넓다는 점을 통해 공공미술 교육으로써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성과 접근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 분석과 교사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공통된 결과로는 공공미술 활동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활동 자료들이 많이 부족하다는 점과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장소가 없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활용도가 높은 공공미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3장에서는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의 방법을 환경문화적, 사회문화적, 조형예술적인 활동으로 분류하여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한 후 결과를 도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은 첫째, 감상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공공미술에 대한 개념과 다양한 유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 후 진행될 표현 활동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환경을 중심으로 한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통해 그동안 인지하지 못했던 주변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갖고 문제점을 인식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또래문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공감하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합한 방안을 학습자 스스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미술의 조형예술적 성격을 반영한 표현 활동을 통해 버려진 공간을 새롭게 재발견하고 지저분한 장소를 재미있는 이미지로 변화시키며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의 활동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도출된 교육적 효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비교감상법을 통해 공공미술의 개념과 다양한 유형을 학습함으로써, 새로운 표현 방법으로 공공미술을 이해하고 경험하였다. 둘째,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버려진 공간을 재발견하는 활동을 통해 실천적 공공미술의 표현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미술창작활동이 사회적 변화와 주변 환경개선의 실제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주변 세계로의 관심이 확장되었다. 셋째, 또래문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현 활동으로 구성된 사회문화적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이 속한 또래문화에 대한 이해와 재인식을 기반으로 개선해야할 목표를 추진, 실천하며 소통매개체로서의 공공미술의 기능을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소의 선정과 저렴한 재료를 활용한 표현 활동을 통해 활동장소로 인한 한계점 개선과 고가의 준비물에 대한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장소에 얽매인 활동을 벗어나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자들의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문제해결능력 역시 증진하였다.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를 활용한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지속해서 활용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는 생활 속 미술의 실천적 표현 활동으로서의 공공미술을 적극적으로 활용 및 학생들의 주변 환경과 연계된 활동문제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활동장소를 선정하고 적합한 자료의 개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미술 교과에서의 공공미술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활용 가능성의 모색을 통한 공공미술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삶과 주변 환경에 대해 자연스럽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applies to middle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practical public art program with eco-cultural, sociocultural, and formative artistic role of public art, so desires to improve aesthetic sensitivity through ties between students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tudy is to offer an opportunity to make art a way of life by using expression activity of art in life. This study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y using activity method of ‘Seoul Urban Guerilla Project’, focusing on temporarily activity among various types of public art. For this, the second chapter examined overall understanding about ‘Seoul Urban Guerilla Project’ and necessity of developing public art program in art education. ‘Seoul Urban Guerilla Project’ is a public art project that uses a place where is adjacent to living sphere of citizens. This project has flaws that the scale is small and temporarily activity is central, but is an expression activity that does not need special knowledge or skill, so use and accessibility in school are high as a public art education through the wide scope of main agents whose particip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as a common result deducted through textbook analysis and a survey for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ublic art program whose use is high, activity data is very insufficient to use practically in a public art activity and there is no place used on clas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ublic art program whose use is high. The third chapter developed and applied public art program by dividing methods of ‘Seoul Urban Guerilla Project’ into eco-cultural, sociocultural, and formative artistic activities, and then deducted the results. Composition of developed program is that first, the concept about public art of learners and understanding about various types are improved through appreciative activity, and then, the study gets it connected to expression activity that will proceed. Second, this study makes learners improve by caring macro-environment they did not recognize in the meantime and realizing problem through public art program with environment connected with living sphere of learners as a center. Third, the study makes learners suggest method themselves to solve problem by emphasizing problems that occur in peer culture. Lastly, this study rediscovers an abandoned space newly, changes a dirty place into an interesting image, and induc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through expression activity that reflects formativ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The fourth chapter suggested educational effect and method to revitalize of this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from activity analysis in the third chapter. Educational effects deducted through application of developed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understood and experienced public art with new expression method by learning the concept and various types of public art through comparative appreciation. Second, learners realized that creative activity of art functions in social change and improvement of macro-environment practically by experiencing expression activity of practical public art through an activity that improves surroundings and rediscovers an abandoned space, so expanded interest in surrounding world. Third, learners promoted and practiced purpose to improve, and understand the function of public art as a communication medium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peer culture they belong to through sociocultural public art program composed of expression activity to solve problems in peer culture. Lastly, improvement of the limit by activity place and cost cutting about expensive materials are possible through expression activity that selects place where can be approached easily in surroundings and uses cheap materials. In addition, the study stimulated the creative thinking of learners to solve problems, departing from activity occupied with place. Through this, problem solving skill also increased to improve a live environment of learners. Vitalization methods to use public art program with ‘Seoul Urban Guerilla Project’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are the active use of public art as a practical expression activity of art in a life, suggestion of activity problems connected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f students, and selection of activity place considering region character, and development study of compatible data. Like this, the researcher hopes that students can recognize and understand their lif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naturally through development of public art program by understanding distinctiveness of public art in art subject and seeking various use possibilities.

      • 무용전공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신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혜영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신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교를 선정한 후 무용과에 재학 중인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의 세부 전공자를 대상으로 3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응답내용이 무응답이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하여 총 274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PASW 21.0 Version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사용된 분석기법은 각 변인의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t-검정과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무용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가 자신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학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무용자신감, 무용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 모두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자신감과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무용자신감, 무용수행능력의 차이분석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모두 외국무용이 한국무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자신감과 무용수행능력의 경우 하위요인 모두 한국무용이 외국무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무용자신감, 무용수행능력의 차이분석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신체관리, 건강관리, 미용관리 요인은 경력 7년 이상이 7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무용자신감과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경력 7년 이상이 7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상경력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무용자신감, 무용수행능력의 차이분석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 모두 수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외모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자신감의 하위요인의 외형적 자신감의 경우 수상경험이 없는 집단이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적 자신감의 경우 수상 경험이 있는 집단이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수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모만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무용자신감, 무용수행능력의 차이 분석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 모두 외모에 만족하는 집단이 불만족하는 집단보다 관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신체관리 요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자신감의 경우 요인 모두 외모 만족 집단이 불만족 집단 보다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용수행능력의 수행성취, 수행집중, 수행자신감 요인 역시 모두 외모 만족 집단이 불만족 집단 보다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집중과 수행자신감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모관리행동이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이 무용자신감의 하위변인인 외형적 자신감, 내재적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모관리행동이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이 무용수행능력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 수행집중, 수행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무용자신감이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용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외형적 자신감, 내재적 자신감이 무용수행능력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 수행집중, 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