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 정립 및 사인용어 표준화 연구

        황유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도시는 산업의 발달과 인구 이동으로 변화하고 있고, 구(舊)도시의 재생사업과 새로운 도시의 건설로 거리환경은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도시 및 장소에서 우리들은 방향안내 및 정보안내와 같은 필요한 정보를 찾고 그 결과에 따라 행동한다. 효율적으로 소통(Communication)하기 위하여 사인(Sign)을 디자인하고, 제작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문자, 색채, 픽토그램과 같은 기본요소 등을 디자인하고, 적절한 위치에 배치 및 설치하게 된다. 초기의 사인은 자연의 재료를 직접 활용하여 글이나 그림을 그려 넣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한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인 재료와 제작 방법도 개선되어 왔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AR, VR 등 첨단기술이 접목된 사인은 공공터미널의 키오스크와 박물관의 가상현실 사인에 적용되고 있다. 사인에 대한 변화는 사인의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조세를 부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점들이 판매하는 물품이나 품목을 편액(간판)에 적어 게시하도록 하여 조세부과의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이후 산업의 발달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도로교통사인 등으로 확대되었고, 2008년 새주소 사업을 계기로 도로명을 기준으로 교통 표지판이 변경되었다. 이를 통해 전국 모든 지역이 하나의 교통사인 매뉴얼에 의하여 통합되었다. 한국철도공사, 인천국제공항, 국제스포츠행사 등에 사용되는 사인은 디자인부터 제작 설치에 관한 매뉴얼을 만들고 사인기본체계에 따라 사안과업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시설 안내와 이동에 따른 길안내 정보를 이용자가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사인과업에서 체계적인 사인계획디자인 체계를 수립하지 않고 이전부터 해왔던 관행대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가 직접 수행한 72건의 사례와 그 외 6건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사인과업 현장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인계획디자인(Sign System Design) 기본체계를 정립하는 것으로 사인과업의 기획 착수부터 마무리 보완까지의 전 과정의 사인체계를 정립하고, 각 단계의 시행 과정에서 디자이너와 제작설치자의 역할과 업무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이론과 실무현장에서 사용하는 사인용어의 불일치를 표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범위는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국내 사인디자인에 관한 단행본, 사인 관련 법률 및 규정, 실무사례로 선정하고, 여기에 나타난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 및 사인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및 국회도서관에 수록된 사인 및 사인디자인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37편, 그리고 단행본 8권을 선정하여 사인계획디자인의 기본체계 및 사인용어를 연구 분석하였다. 둘째, 사인 관련 법률 및 규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연구자가 직접 수행한 72건의 실무사례 중 지방자치단체 20건의 실무사례와 공공기관에서 시행한 20건의 사례 그리고 그 외 실무사례 6건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인계획디자인의 기본체계를 정립하고, 사인용어를 수집 정리하고 공통점을 도출하여 사인용어를 표준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인용어를 1)형태 및 용도 2)재료 3)제작방법 4)설치방법에 따른 4가지로 분류하여 표준화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우리나라 사인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37편 중 박사학위논문 13편, 석사학위논문 24편, 국내 단행본 8권과 법률 및 규정 즉, 행정안전부가 제정한 옥외광고물법,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공공디자인법, 그리고 국토교통부가 제정한 건축법, 경관법, 도로교통법 등 5개의 법률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무사례는 연구자가 직접 수행한 과업 중 지방자치단체 20건의 실무사례와 공공기관에서 시행한 20건의 사례와 그 외 사례 6가지로, 송도센트럴파크 사인, 인천지하철 2호선 사인, 수원법원종합청사 사인, 김포국제공항 사인, 인천국제공항 사인, KTX 사인사례(서울역, 부산역, 동대구역)를 연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가 미흡하여 사인과업현장에서 사인 제작 설치한 후 내용을 수정하는 오류와 위치이동 등의 시행착오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둘째, 디자이너와 제작 설치자 들이 사용하는 사인용어가 서로 달라 효율적인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사인과업을 시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선행연구 분석에 따른 개선 방향은 첫째,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를 정립하고 각 단계별 역할을 규정한다. 이를 통해 사인과업 수행에서 체계적이고 표준적인 사업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인용어를 표준화한다. 형태 및 용도, 재료, 제작방법, 설치방법에 따라 사인용어를 구분하고,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사인용어로 표준화한다. 이를 통해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정립과 사인용어 표준화를 아래와 같이 연구하였다.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는 선행연구 학위논문, 단행본, 법률 및 규정 그리고 실무현장에서 1) 사인계획디자인 기획 및 컨셉 2) 사인계획디자인 설계 3) 사인 제작 및 설치와 같이 총 3단계 과정만 있었다. 사인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류와 시행착오가 빈번히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절차가 없어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단계를 추가하여 1) 사인계획디자인 기획 및 컨셉 2) 사인계획디자인 설계 3) 사인 가(假)설치 4) 사인 제작 및 설치 5) 디자인 감리와 같이 5단계로 체계화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사인용어를 디자인 전공자의 시각에서 연구 분석하여 사인용어 표준화 작업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국어국문학과 전문가 자문을 받아 사인용어의 전문성을 높였다. 1) 형태 및 용도에 따른 사인용어는 가로형사인, 세로형사인, 원형사인, 부정형사인, 그리고 공간안내사인, 내용구분사인, 방향유도사인, 교통지시사인으로 하였다. 2) 재료에 따른 사인용어는 코팅철판, 나무, 아크릴, 네온, LED, 파나플렉스, 부식철판으로 하였다. 3) 제작 방법에 따른 사인용어는 실사출력, 레이저, 용접, 접착으로 하였다. 4) 설치 방법에 따른 사인용어는 부착형, 천장형, 지주형, 이동형, 돌출형, 바닥형으로 표준화를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인계획디자인 기본체계를 단계별로 구축하였고, 5가지 단계에서 디자이너, 제작 설치자, 발주자 등의 역할을 규정해 체계적인 사인과업 수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법률 및 규정으로 제정하여 명문화한다면 사인과업의 성과가 이전보다 우수할 것으로 본다. 둘째, 사인용어를 이론과 실무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을 거쳐 표준화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사인과업 수행이 가능하며, 과업 수행 주체 간 동일한 용어의 사용으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게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사인과업의 기획부터 마무리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는 과업주체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인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사인과업을 수행할 때 완성도 높은 사인이 제작 설치될 수 있도록 감리 감독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dern cities are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movement of people, and street environments are changing with the regeneration of old c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In this changing city and place, we find the information we need, such as direction and information, and act accordingly. Signs have been designed, manufactured, installed, and used in order to communicate effectively. Basic elements such as font, colors, and pictograms are designed, and placed and installed in appropriate locations. The early signs were produced by using nature's materials and drawing or writing. 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ig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have also been improved.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igns that incorporate high-tech technologies such as AR and VR are applied to kiosks in public terminals and virtual reality signs in museums. Changes in the cause of death can be seen through the history of the cause of death. For the purpose of imposing tax, the standards of the tax department were prepared by posting the items or items sold by stores in a single price (signage). Since then, as the industry developed, exchanges became active and expanded to road traffic signs. In 2008, the traffic sign was changed based on the name of the road after the new address project. Through this, all parts of the country were integrated into one traffic sign manual. Signs used for the Korail(Korea Railroad Corporati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ternational sports events are created from design to manual for installation and work is undertaken according to the basic sign system. Therefore, it was possible for the user to efficiently find information on the route according to facility guidance and movement. However, many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s did not establish a systematic sign plan design system in the signing task, but they were carrying out the business as they had done before. Therefore, through 72 case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and 6 cas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the field of autographs were studied. This study establishes the basic system of Sign System Design. It establishes the sign system of the entire process from the initiation of the signing project to the completion of the signing process. The goal wa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and standardize the discrepancy in sign language used in theory and practice.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lected as domestic master's and doctorate thesis, domestic book design books, autograph-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practical cases. First, the basic system and signing terms of sign planning design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selecting 37 pieces of master's and doctoral thesis related to signing and signing design and 8 books in the signing and signing design included in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 Second, the status of autograph-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as analyzed. Third, among 72 cases directly conducted by the researcher, 20 cases of local governments, 20 cases conduc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6 cases of other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basic system of sign planning design was established, sign terms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and common terms were drawn to standardize sign terms. Specifically, the sign language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1) form and use 2) material 3) manufacturing method 4) installation method, and standardized. In previous research analysis, among doctoral and doctoral thesis related to autographs in Korea, 13 doctoral dissertations, 13 master's dissertations, 24 domestic books and laws and regulations, that i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Outdoor Advertisement Law,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t targeted five laws including the Public Design Act and the Building Act, Landscape Act, and Road Traffic Act, enac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mong the tasks directly conducted by the researcher, 20 cases of local governments, 20 cases conduc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6 other cases were include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Sig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ign, and KTX Sign Case (Seoul Station, Busan Station, Dongdaegu Station).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system of sign planning design is insufficient, and trial and error such as error and location shift are frequently occurring after sign production is installed and installed at the signing project site. Second, the sign language used by designers and production installers is different, making effective communication difficult. The improvement dire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basic system of sign planning design is established and the role of each step is defined. This enables systematic and standard business management in the execution of autograph tasks. Second, standardize slang terms. Sign wor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orm and use,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and standardized as sign words that everyone can understand. Through this, the basic body account establishment of sign planning design and standardization of sign terms were studied as follows. The basic system of sign plan design was only three steps: 1) sign plan design and concept 2) sign plan design 3) sign production and installation in the thesis of previous research degree papers, books, laws and regulations, and practice. In the process of signing, errors and trials and errors occur frequently, and there are no procedures to compensate for this, so in this study, two steps were added: 1) sign planning design planning and concept 2) sign planning design 3) signing Mock-Up Installation 4) Sign production and installation 5) Systematized in 5 stages as design supervision. Signed term standardization was conducte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sign terms that appeared in previous studies from the design major's perspective. In addition, the expert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as consulted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sign language. 1) Sign terms according to form and use were horizontal, vertical, circular, irregular, and space guide, content divider, direction guide, and traffic sign. 2) Sign words according to the material were coated steel plate, wood, acrylic, neon, LED, Panaflex, and corrosion iron plate. 3) Sign word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were photorealistic output, laser, welding, and adhesion. 4) Sign term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were standardized as attached type, ceiling type, prop type, mobile type, protruding type, and floor type.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system of sign planning design was established in stages, and in 5 steps, the roles of designers, production installers, and orderers were defined to enable systematic signing tasks. To this end, if enacted and stipulated by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e performance of autographed tasks will be superior to the previous one. Second, sign terms were standardized through expert advice based on terms used i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is, efficient sign-in tasks can be performed, and trial and error can be reduced by using the same term among the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ope that the task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to finishing of the signing task will help to perform the signing work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to supervise and supervise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high-quality signatures when performing autograph tasks in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 Additive effect of prednisolone and cyclophosphamide to ACE inhibitor alone in the treatment of IgA nephropathy

        황유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methods:It has not been clear whether immunosuppressive therapy favorably influences renal function and proteinuria in IgA nephropathy(Ig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ACEi) has an anti-proteinuric effect in IgAN.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to see whether the addition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to ACEi produces a more excellent anti-proteinuric effect and preserves better renal function than ACEi alone. A total of 49 patients with proteinuria>1.0g/day and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s<1.5 mg/dl were followed up from at least 1 year to 9 years. Among them, 25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cyclophosphamide, prednisolone and ACEi while the other 24 treated with ACEi alone. Results:The combination therapy or ACEi alone both reduced proteinuria with significant value(the combination group: from 5.74 5.08 to 2.29 2.77 g/day, ACEi group: from 3.85 2.54 to 1.68 1.91 g/day),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duction of proteinuria were noticed between two groups. There is no significant elevation of serum creatinine in both groups during follow-up(the combination group: from 0.91 0.20 to 1.03 0.38 mg/dL, ACEi group: from 0.93 0.27 to 0.99 0.37 mg/dL). This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in slope of 1/serum creatinine levels during the follow-up period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According to this results, ACEi may be a valuable therapeutic agent due to its effectiveness in severe proteinuric adult patients with IgAN, avoiding serious side effects of immunosuppressive agents. And the addition of immunosuppressive drugs may have no additional therapeutic effect in these patients. One consideration is that large dose and over a long period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may be necessary to reach final conclusion.

      •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 중심으로

        황유철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거리에 버스정거장, 보행자 안전 펜스, 가로등, 보안등, 그리고 판매 부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들이 있다. 이러한 시설물들을 디자인 하는 것을 공공디자인 이라고 한다. 특히 공공디자인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디자인 사업을 말한다. 이에 우리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용으로 보다 공익적 가치에 대한 올바른 대처와 수용을 통하여 더불어 바람직한 도시 환경을 형성 전개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현대 공공디자인은 새로운 경향인 주민참여라는 가치의 확대와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전 공공디자인 사업은 사업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일방적으로 주도하고 시행하였기 때문에 일반주민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디자인 사업을 시행하여도 주민들이 사용하지 않고 유지 관리도 되지 않아 거리의 흉물로 전락하는 사례들이 늘어났다. 또한 전반적인 기본계획(Master Plan)하에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이 추진되지 않고 단편적이 사업들이 추진되는바 그 사업의 효과는 지속 가능하게 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례는 대표적 사업으로 1구1특화사업, 고가하부 개선사업, 경관형성사업등이 있다. 특히 관공서(공공기관)가 주도하는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은 2008년부터 본격적인 시행을 하여 왔다. 이 기간동안 인천광역시는 각 구,군청을 중심으로 30여차례 인천 전역의 대도로 상권을 중심으로 간판 개선 사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무분별하고 대형 간판은 대부분 정비가 되었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현재의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지와, 이 시범거리를 유지하고 있는지는 평가 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인천광역시는 자체적으로 10개 구군에 매년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을 포함한 다수의 공공디자인 개선 사업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있지만 행정적인 평가에만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의 발전방향과 거리 경관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실질적인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에 성공적 수행을 추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eroxisome-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γ activation increases insulin secretion through the up-regulation of the free fatty acid receptor GPR40 in INS-1 cells

        황유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15

        It has been reported that peroxisome-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γ and their synthetic ligand have direct effects on pancreatic β-cells. PPARγ activation with rosiglitazone (RGZ) treatment and/or adenoviral PPARγ overexpression increased FFA receptor GPR40 expression, and increased insulin secretion and calcium mobilization, and was blocked by the PLC inhibitors, GPR40 RNAi, and GLUT2 RNAi. As a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of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PPARγ acti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expression of phospho-CaMKII, phospho-CREB, and the downstream IRS-2 and phospho-Akt.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expression of IRS-2 and phospho-Akt via increased insulin secretion, we performed insulin receptor RNAi, however, the expression of IRS-2 and phospho-Akt was still maintained with PPARγ activation. In addition, PPARγ activation increased the β-cell specific gene expression, including Pdx-1 and FoxA2, in a GPR40- and GLUT2-dependent manner. Furthermore, PPARγ activation up-regulated β-cell gene expression through FoxO1 nuclear exclusion, independent of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Based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GLUT2, IRS-2, Pdx-1, and GPR40 were more strongly expressed in islets from RGZ-treated OLETF rats compared to control islet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PPARγ activation with RGZ and/or adenoviral overexpression increased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insulin secretion, and β-cell gene expression through GPR40 and GLUT2 gene up-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