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과 벽화 : '거리의 벽화를 보다' 전을 중심으로

        황숙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photography study done over a year centred around Seoul and Gyeonggi-do which was the basis of an exhibition, ‘Seeing street Wall Paintings’. The main part of the thesis looks at how images centred on large cities and provincial towns expressed in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come to an understanding within our society. Also how modern world is influenced and through what method these images acquire visual effects is investigated. Also I have analysed how desires and power that can appear anywhere, especially within wall paintings are expressed. A study is conducted on how through these works, modern society ultimately copes with the periodic flow through public art of wall painting, and how through space, the human self-portrait comes together within the role of image of a wall painting This thesis is split largely into three parts. Firstly the history of wall paintings is examined and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modern wall paintings on humanity. Secondly, a study of how the form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at constitute a space is accomplished and the how the visual images of the composition of a wall painting are accomplished is carried out. Also message contained in imaginary and real spaces is investigated. Thirdly, the production motive of ‘Seeing street Wall Paintings’, details of the exhibition are described and what are the influenc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have on reality is investigated. Also what kind of contrasting relationship between real and imaginary spaces within wall paintings exists is investigated. Lastly, an analysis of the mutual effects of the public and the images of the wall paintings was conducted. In conclusion, I have found variety of life in images of these wall paintings and at the same time, was able to find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and intentions these images gave. Wall paintings mediate the integration of society created by the human relationships and the new world and also conduct ‘image education’ of the viewer. Wall paintings allows one to experience different space at the same location and also it allows the awarenes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rough the experience of new and old, dream state and the consciousness, art and goods and many more.

      • 놀이중심의 주장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황숙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친숙한 놀이를 통해 흥미 있고 자연스럽게 실시할 수 있는 놀이중심의 주장훈련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했을 때 아동들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놀이중심의 주장훈련을 받은 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놀이중심의 주장훈련을 받은 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0명씩 선정하고,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놀이중심의 주장훈련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2개월간 주 1-2회 적용한 후 자기존중감과 사회성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의 변화 및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SPSSWIN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면담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피험자의 소감, 행동목록에 의한 관찰, 담임 교사의 의견, 지도자의 종합의견 등의 내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중심의 주장훈련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놀이중심의 주장훈련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간에는 상관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중심의 주장훈련프로그램이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n the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programs, which can be performed interestingly and naturally through familiar plays, are designed and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oncrete operation stage, to examine the effect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assum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n terms of the self-esteem, the group which has been trained by the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s not been trained. Second, in terms of the sociality, the group which has been trained by the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s not been trained. Third, there will be static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mong the 4th grade children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1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subjects for the control group. The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programs which can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were designed and applied to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e or twice a week during 2 months. Then,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in terms of self-esteem and sociality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data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WIN 10.0. In ad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interview research, a content analysis on the opinion of subjects, observation of the activity list, opinion of class teachers, and overall opinion of leaders was implemented. Through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programs ha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the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programs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rd,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ays on the fact that this study found out the effectiveness of game-oriented assertive training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oncrete operation stage.

      • 魏晉南北朝 書藝 硏究

        황숙희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魏晉南北朝는 東漢 末의 建安年間(196-219)로부터 隋나라 開皇 9년(589) 陳나라가 멸망한 시기까지 400년 동안을 말한다. 魏晉時期 서예는 글자체의 질적 변화가 크게 있었을 뿐만이 아니라 이론 저작 및 서예의 감상과 비평도 점차 형성되어, 서예는 하나의 독립적인 예술로 발전되고 있었으며, 서예 風格流派의 형성도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南北朝時代 서예의 地域的 풍격은 兩晉을 지나면서 전파되고 확산되었으며 풍격이 매우 다른 서예문화를 형성하였다. 南朝의 서예는 빼어난 지리 · 환경적 영향을 받아 風流가 자유로우면서도 아름답고 묘함이 있는 반면, 北朝는 中原의 옛 서법이 엄숙하면서도 근엄하여 풍속을 지키는 것을 법으로 삼아 뚜렷한 남북조의 차이를 볼 수 있다. 南北朝 書家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三國時期 種繇 ·衛瓘 · 索靖을 宗으로 하여 北朝에서는 崔浩 · 廬諶이 나오고, 南朝는 二王서법이 전해지게 된다. 이러한 서법의 전파와 유파의 형성은 지역적 분포의 불균형과 지역의 차이를 내포하고 있다. 魏晉南北朝 전체를 통합하여 보면 河淮 · 江南이 가장 서예가 발달하였던 지역이며, 다음으로는 河北 · 河東지역이다. 이러한 불균형적 원인은 경제환경의 우월성, 지리 · 환경적 영향, 정치환경의 영향 등으로 볼 수 있다. 魏晉南北朝 서예가 발전한 요인을 書寫材料의 발달, 宗敎的 影響, 書藝作品의 品評 · 收藏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한대의 종이 발명과 붓 · 먹 · 벼루 등 서사재료의 발달로 해 · 행 · 초서가 성행하게 되었고, 서예가들의 예술성취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魏晉南北朝 사회는 혼란하고 봉건통치의 儒家學說은 이미 새로운 사회형세에 적응할 수가 없었으므로, 종교는 이러한 기회를 타고 발전을 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불교와 도교는 의식형태 중에 기반을 다졌고, 체제를 완전하게 구축하여 갔으며, 자신들의 지위를 공고히 하였다. 이로써 經典의 서사와 造像記, 磨崖 등이 성행하여 서예는 왕에서부터 사대부 일반민중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전파되고 발전하여갔다. 또 한 가지는 제왕 및 서예가들이 작품을 品評 · 收藏하는 유행이 불어, 서예는 더욱더 번성하여 갔다. 당시 朝廷과 在野에서는 많은 서가들이 나타났고, 그들은 각기 宗法을 가지고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다. 曹魏시의 鍾繇, 晉의 魏氏 · 王氏父子 · 치씨, 南朝의 陶弘景 · 崔 · 廬 등이 대표적이었다. 특히 제왕들의 서예에 대한 애호는 유명한 서예가들과 실력을 같이 할 정도였으니, 이는 당시 제왕들의 墨迹愛好가 서예부흥기에 얼마나 중요한 기여를 하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남북조 서예는 당대의 歐陽詢 · 저수량 · 虞世南 · 顔眞卿 등의 四家들을 배출하여, 隋 · 唐시기를 평정 · 조화 · 준엄 · 방정하게 정리하였다. 隋唐시기는 남북조의 여러 가지 서체를 종합하고 참고하여 조화를 이룬 새로운 면을 열어가게 되었다. 이는 중국은 물론이고 우리나라의 고려, 조선의 서예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400 years ranging from the Year of Jian An (A.D. 196~219) at the end of East Han Dynasty to the fall of the Chen Kingdom in the 9^(th) year of the opening of Sui Kingdom is said to be the period of Wei, Jin Kingdoms and North & South Dynasties. Other than the qualitative changes in calligraphy during the period,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calligraphy also started forming their shapes while abundant theoretical writings were published. The period of Wei Jin Kingdoms and North & South Dynasties is when the calligraphy cut the tape of becoming one independent field of art and there appeared many sects, which was very natural considering the environment. Local characters of North & South Dynasties' calligraphy were diffused and spread through the Two Jin Kingdoms (West and East Jin Kingdoms) and two different calligraphy cultures with very unique styles were formed as well. While the spirit of being free, beautiful and exquisite stand for the principal characters of South Dynasty calligraphy, North Dynasty calligraphy focused more on serious ad dignified styles. Originated from the Zhong Yao, Jie Guan, Suo Jing of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Cui and Lu Families led the culture in North Dynasty while the Two Wang's (Wang Xizhi and Wang Xianzhi) calligraphy was the most famous in the South Dynasty. Spread of such calligraphy and the formation of sects, when assort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shows extreme unbalance and the local character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whole during the period of Wei, Jin Kingdoms and North & South Dynasties, Hehuai and Hunan were the places with the most advanced calligraphy culture followed by the Hebei and Hedong areas. The reason of such unbalance can be found in the difference in local economic situation, geographical influence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e advancement of calligraphy in this period owes greatly to the development in transcription material industry, religious rehabilitation and the spread of criticism and collection of calligraphy works. Invention of paper in the Han Dynas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cription material industry such as writing brush, ink stick and ink stone promoted the prevalence of Square Style, Semi Cursive and Cursive Style calligraphies and the artistic achievements of many masters. Social and religious atmosphere during this period were very unstable and the feudal Confucian theory could no longer correspond to the new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Buddhism and Taoism, from many religions appeared during the period, made big leaps and took firm roots on stable foundations. The transcription of the sacred books, Zaoxiangji (genealogy keeping) and Moya (engraving letters, Buddhist statues and images on the stone wall) were very much prevalent in this age and the calligraphy was generally distributed and developed from the general public all the way to the royal families. There also were booms in criticism and collection of the finest works by many emperors and calligraphers. From the many masters of the wring brushes became distinguished during the time with unique traditions and principles, Zhong Yao of Cao Wei era, Wei Family, Two Wangs, Kou Family in Jin Kingdom and Tao Hongjing and Cui Lu of the South Dynasty are the most famous ones. Especially, the emperors loved the calligraphies and their standards were not lower than those famous masters of calligraphy and it contributed largely to th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in this field of art. The calligraphy in period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gave birth to the unrivaled masters such as Ouyang Xun, Yan Zhenqing and Chu Sui liang whose styles later in the age of Sui and Tang Dynasties became organized in tranquil and balanced manners while remaining strict and upright. The age of Sui and Tang Dynasties opened a new era of calligraphy by synthesizing and borrowing from a variety of styles. The calligraphy in this period influenced largely to the calligraphy of Koryo and Joseon Dynasties in Korean peninsula.

      • 미용종사자의 직무만족영향요인과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숙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odern, industrial society advances and modern people's standard of living is improved, people's interest on the appearance tend to increase. In response to such trend, the beauty industry has rapidly changed and advanced. Since the late 1990s when town hair-shop was the mainstream, the beauty industry has gradually expanded its scale and many hair shops have been transformed into franchised branches. Like that the beauty industry has accomplish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s. However, as these days, hairdressers are exposed to the long labor hours, the unclear promotion system, the poor welfare programs, the low wage, much psychological, physical stress due to the complexity of job contents and long-hours repeating work, so they eventually tend to generate the deterioration of service quality and the productivity decrease. And especially,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re much influenced by the beautician's work conditions and treatment ways. Also, most sale activities of hair shops are conducted by customers and hairdressers, and then the customer satisfaction level is dependent on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and the service quality also influences on the customer's reuse inten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determinants and the service quality's influence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 customer's satisfaction's influence on the customer's reuse intention. In order to look at such influence relationships, this study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of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the human relation factor, the economic factor and the job contents factor positively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s. The working hour factor wa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relationship, and the factors of self-development, working facility and external environmen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s. Second, concerning the service qual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service quality factors into the environment factor, the personnel factor, and the reliability factor by adapting the SERVQUAL. As the result from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onnel factor and the environment factor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s wi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While the environment factor in a hair shop had somewha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rvice quality, but its influence was very little comparing to influences of reliability factor and personnel factor. Third, in order to recognize how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fluences on the customer's reuse inten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a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e customer's satisfac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customer's reuse intention. This study focusing on the human resource in the beauty industry, that is, on the hairdressers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customers influence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As the result from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human relationship factor had greater influenced on the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than the environment factor or the economic factor, and the personnel factor and the reliability factor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environment factor in terms of customer's satisfaction. Therefore, in the beauty industry,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could be identified again. People's desire for beauty is expected to become stronger, and that will become a positive factor enabling the beauty industry's continual development. Thus, in order to spur the beauty industry's development, more effective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 satisfaction of both hairdressers and customers should be made. 현대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외모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이에 따라 미용 산업도 급속한 변화와 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90년대 말경 동네 미용실이 주류를 이루던 미용 산업이 점점 규모화 되고 프랜차이즈화 됨에 따라 미용 산업은 질적·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현대의 미용사들은 장시간의 노동, 불확실한 승진, 열악한 복리후생, 낮은 임금, 직무 내용의 복잡성과 장시간의 반복 작업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 등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서비스품질 저하 및 생산성 저하라는 결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미용업은 고객의 신체 일부를 서비스제공의 대상으로 하므로 고객과의 접촉시간 및 친밀도가 다른 여타의 서비스업에 비해서 매우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고객을 대하는 미용업 종사자들의 근무 조건이나 대우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서비스품질은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미용실의 영업활동은 대부분 고객과 미용사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에 의해 고객만족도가 결정되며 이는 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객 만족도가 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 결정요인 중 인간관계요인, 경제적요인, 직무내용 요인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시간 요인은 유의미한 부(-)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발전요인과 근무시설요인, 외부환경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품질에 있어서 SERVQUAL을 변형하여 환경적 요인, 인적 요인, 신뢰성 요인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신뢰성 요인과 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모두 고객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용실의 환경적 요인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긴 하였으나, 신뢰성 요인과 인적 요인에 비하여 영향력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이 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유의미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산업에 있어서 인적 자원 즉, 미용사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직무만족과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도 환경적인 요인이나 경제적인 요인보다 인간관계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만족에 있어서도 인적 요인과 신뢰성이 환경요인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미용 산업에서 인적 자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사람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는 더욱 더 강해질 것이며, 이는 미용 산업의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할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미용 산업의 밝은 청사진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해 미용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인적 자원(미용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중등 가정과 초임교사의 교과지도에 관한 연구

        황숙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중등학교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가정과 지도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교과지도법을 알아보고 지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정도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교나 연수기관에서 교직을 희망하는 가정과 예비교사들과 발령전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사전에 교과내용 전달에 효과적인 지도법을 준비하도록 하여, 교실현장에서 활기차고 흥미있는 가정수업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인천지역의 공립 중등학교로 발령을 받은 가정과 초임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초임발령임에도 불구하고 대상자들 대부분이 기간제교사 및 시간강사의 경력을 갖고 있는 경력자 교사들로, 전공은 주로 가정교육인 사범대학 출신이 많았고, 연령은 25세에서 30세가 대부분이었으나 임용고사의 응시자격이 있는 만40세까지 폭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과거 3-4년간 전국적으로 가정과 초임발령이 없었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주로 활용하고 있는 교과지도법은 `강의법`(56.71%)이었으며 강의법을 통한 교과지도에 있어 교사자신들이 느끼는 만족의 정도는 `보통정도`(53.61%)이고, 가정과목의 효율적인 교과내용의 전달을 위한 교과지도법은 `실험실습 및 시범학습`(48.46%)이라고 인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초임교사 자신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지도법과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교과지도법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가정과 초임교사들은 이러한 결과의 이유로 `학급의 학생 수, 학교의 시설 및 설비, 수업 시수 등의 외적요인의 개선`(39.17%)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지적은 현재 각 학급의 학생 수, 학교의 시설 및 설비, 1주일에 1-2시간인 수업의 단위 수 등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교과지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원인과 정도로는 `보통정도`(3.18)로 대부분의 가정과 초임교사들은 교과지도영역에서 다소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가정과 초임교사들은 교과지도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관심부족`(35.05%)과 `열악한 교육환경(과밀학급, 낙후된 교육시설 등)`(29.90%)을 지적하였다. 이 결과는 교과내용의 전달에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가정과목이 되도록 교사자신들의 끊임없는 노력 및 정부의 재정.환경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가정과 초임교사들의 일반적인 특성(연령, 교직경력,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학급 수 및 학교급별, 전공)에 따른 교과지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항목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가정과 초임교사 모두 교과지도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가정과 초임교사들은 교과지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해결을 위해 주로 `가정과 전문서적을 읽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혼자 해결`(59.79%)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초임교사들은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 학습의 대체도구나 보조자료를 얻기보다는, 교육청 단위의 대화방을 실시간 토론의 장소나 집단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해 교사들간의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가정과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교직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의 실행의사를 묻는 문항에 대해 대부분 `적극적으로 실행한다`(3.29)라고 하였다. 이는 초임교사의 특성인 열정과 의욕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특히, `전공과 관련된 교양서적, 잡지, 인터넷 자료를 찾아 읽는다`(3.75)에 적극적인 실행의사를 보였는데, 연수나 교육은 시간과 장소의 제한으로 인해 다소 낮은 실행의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서적 및 인터넷 활용은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높은 활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연수나 교육의 기회 확대, 장소 및 프로그램의 확충이 요구된다. 가정과교사는 학생들이 가정과에 흥미와 관심을 갖으며, 가족이 겪는 어려움의 해결방안을 줄 수 있는 과목이 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겠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 예비교사들과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대학 및 연수기관에서 효과적인 교과지도준비를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실습은 그동안 대학에서 배운 다양한 교육학 이론을 교실현장에 적용하여 수정.보완하는 과정이므로, 대학교 4학년 1학기에만 시행했던 `교육실습`의 횟수를 늘리는 방안(년2회 정도)을 검토해야 하겠다. 1차에 경험했던 실습생들의 실습과정에서 미비했던 점과 개선점을 수정.보완하여, 다음 실습과정에서 확대.실시하며 다음 차수 또는 현직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둘째, 임용고사는 현행 공립 중등학교 교사의 충당을 위해 `교육학`과 `전공`에 대한 필기, 면접, 논술, 수업시연을 통해 실시되고 있는데, 현행되고 있는 `수업시연` 부분의 비중을 높여 이론과 실기가 조화를 이루도록 검토해야 하겠다. 실기보다 이론을 중시하는 임용고사는 다소 지식에 많이 치우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학교현장의 교과지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잘 파악하지 못하고 이론만을 교육에 결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따라서 수업시연의 비중을 늘려 수업상황에 맞는 대처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제언한다. 셋째, 현장의 교사들은 동료교사의 수업을 참관하여 지도?조언하는 동료장학을 비롯하여 지구별 가정과 `연구회 및 교과소모임` 등에 적극 참여해야 하겠다. 의.식.주.가족 등 다양한 교과영역을 지도해야 하는 가정과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학습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교과지도법을 수정?보완하여 좀 더 효율적인 수업을 하도록 제언한다. 넷째, 가정과 학회나 시.도 교원 연수기관들은 가정과 내용에 다양하고 적절한 `학습자료`를 제작하여 학교현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겠다.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의 대처방안으로 전문서적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자료를 얻고 있는데 비해, 가정과 학회나 시.도에서 지원되는 자료들의 다양성과 보급률이 대체로 부족한 것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다. 이것의 해결방안으로 국가차원의 지속적인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가정과교사의 창의·인성교육 교수역량 척도 개발

        황숙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 교수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ㆍ인성교육 내용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가정과교육의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한 교수역량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가정과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 교수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세 가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문헌고찰과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협의 및 두 차례의 수정 델파이 조사, 예비 조사 그리고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가정과교육의 창의ㆍ인성교육 내용요소로 문제해결력, 흥미, 배려, 책임이 추출되었다. 가정과교육은 가족원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하도록 돕는 교과로, 학습자의 흥미와 호기심 등을 유발하기 용이하며,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해 가정과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은 설계역량, 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으로 추출되었다. 설계역량은 가정과교사가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해 수업 전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인지적 역량으로 교육과정 이해력, 교과내용 이해력, 학생이해력이다. 소통역량은 가정과교사가 창의ㆍ인성교육의 실천과정에서 요구되는 행동적 역량으로 상호작용력, 상황대처력이다. 자기관리역량은 수업 후 가정과교사가 창의ㆍ인성교육의 점검 및 노력 등의 정의적 역량으로 성찰력과 연찬력이다. 셋째, 가정과교육의 창의ㆍ인성교육 내용요소와 교수역량을 기초로, 설계역량 28문항, 소통역량 20문항, 자기관리역량 16문항으로, 총 64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1차 도출된 64개 문항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24문항으로, 설계역량 3요인(교육과정이해력 3문항, 교과내용이해력 4문항, 학생이해력 4문항), 소통역량 2요인(상호작용력 5문항, 상호조정력 3문항), 자기관리역량 1요인(성찰/연찬력 5문항)이다. 24개 설문문항의 모형적합도 검증결과, 가정과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 교수역량 척도의 최종모델 적합도는 GFI=.951, AGFI=.913, CFI=.979, RMSEA=.067로 적합기준을 충족하였으며, 개념신뢰도 .802~.873, 분산추출지수 .577~.714로 수용기준을 충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24개의 설문문항은 가정과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 교수역량을 점검할 수 있는 타당한 척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developing and justifying teaching competency scale on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Three research questions set up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ntent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teachers? Second, what is the teaching competency's elements fo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n home economics? Third, what is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competency scale on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like?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literature was reviewed and experts' consultation was done targeting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wo Delphi revisions of the research and the preliminary and prime investigation were carried out targeting them. The primary results through this study summarize as follows: First, problem-solving ability, interest,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was derived as creativity-personality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economics education helps all the family members live a happy and healthy life and it induces learners' interests and curiosity. Also, it contains contents of helping develop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home econom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fo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re planning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management competency. Planning competency is the cognitive one that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be equipped fo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before class and it contains course comprehension, curriculum content comprehension, students' comprehension. Communication competency is the behavioral one that needs during the proce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nd it contains interaction ability, mutual coordination ability. Self management competency is the affective one such as checks and efforts to the home economics teachers'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nd it contains self-examination ability and study competency. Third,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nd teaching competency of home economics, 28 questions of planning competency, 20 question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16 questions of self- management competency, total 64 questions are derived. The first 64 questions became final 24 questions through validity verification. That contains 3 factors of planning competency (3 questions of course comprehension, 4 questions of curriculum content comprehension, 4 questions of students' comprehension) and 2 factor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5 questions of interaction ability, 3 questions of mutual coordination ability) and 1 factor of self management competency (self-examination ability/ study competency). As as result of 24 questions' verification on model fit, the final model fit of teaching competency scale on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is GFI=.951, AGFI=.913, CFI=.979, RMSEA=.067, which meets suitability criteria. Also, it meets acceptance criteria as construct reliability .802~.873 and dispersion index .577~.714. Therefore, the 24 ques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reasonable scale to check the teaching competency on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