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육 실태 분석

        황선경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 in all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usic teachers at 13 schools for the Bli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facilities, content and methods of music instruction, and teaching Braille music no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ufficient instruction time. ·The music teachers did not have professional competencies enough and they did not understand braille music notation well. ·There were problems about methods of teaching transmission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 impairments. ·Musical instruments and facilities for music instruction were not sufficient. These problems required for areas of improvements in music education of schools for the blind. The studies for these improvements would be conducted in future.

      • 교사와 학생을 통해 알아본 수준별 영어 수업의 효과 및 개선방안

        황선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nd the way of the improvement through the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Hwang, Sun Kyung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iated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re performed and examine how much the classes influence students and then find the method for better classes. This study is executed through interview with a student teacher and survey from 9 teachers and 222 students. The survey for teachers and students consists of 10 and 3 sections each. The research shows that teachers differentiated students in teaching method, frequency of speaking English, adaptation of textbook and material by their ability.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it was proved that the classes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y, and the improved par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High ability group improved a grammar skill whereas low ability group raised a grade of reading skill. By taking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students lower affective filter because they study with the same ability group members. This phenomenon remarkably occurs in a low ability group. According to the use of English in classes, the research shows that it is helpful to high ability group, but not to low ability group. For the better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eachers think the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for high ability group is 10 to 20, and for low ability group is less than 10. From the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high ability group hopes to improve listening skill while the other groups want to improve writing skill. Teachers think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is different by students’level. To be specific, for the high ability group, GTM(Grammar Translation Method)is appropriate whereas for the low ability group, the method in which uses variety of pictures and videos are effective. Students also have different opinion about ideal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ir level. High ability group wants to learn English by doing group work whereas low ability group hopes to have teacher-oriented classes. In a conclusion, teachers use different teaching method by students’ level so that students think a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is effective to improve their ability. For the advanced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eachers should consider various students’needs and study students’interests on different level. ?

      • 소방민원정보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IoT 적용 중심으로

        황선경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의 급격한 성장과 스마트 혁명을 통해 최근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급속도로 성장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소방예방업무 또한 이러한 기술발전과 사회변화 추세에 맞춰 나날이 증가하고 변화되는 민원인의 요구와 수요를 빠르고, 정확하게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비스의 질과 방법 등을 개선해야한다. 소방시설의 적정한 설치와 이력의 관리는 소방예방업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형식적인 관리와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 실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의 설치 및 이력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IoT(사물인터넷)기술의 적용을 모색하였고, 이러한 기술을 통해 특정소방대상물의 설치부터 관리까지 모든 대상물의 이력을 관리하고, 대상물 관계자와 소방조직 모두에게 효율적으로 예방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oT를 적용한 스마트 예방행정 시스템은 상호보완적인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oT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경우 소방관서, 관리자, 시설이용자가 모두 참여하며 서로 검증과정을 거치는 동안 자연스레 최신화가 이루어지므로 문제점이 나타날 확률은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해당 부서의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나가서 확인해야하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킴으로써 업무의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기존 및 신규 소방대상물의 데이터는 소방조직 및 유관기관이 분산저장 하는 형태로 관리하고, 이 데이터는 시설에 설치된 IoT소방 설비에서 24시간 전송되는 정보와, 대상물 관리자나 안전관리자의 점검 및 변동시 입력되는 정보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에 업로드 된 내용은 관리자의 확인 후 그대로 소방관서의 예방시스템에 적용되게 되고 업로드 시점부터 각 설비는 자체의 데이터를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권한에 따라 차등적으로 공유 한다. 따라서 설비 자체의 문제, 변동사항, 점검과 같은 특정 사항이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내용을 인지 가능하며, 해당 부분을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가 확인하고 수정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소방예방업무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소방민원정보시스템의 활용실태에 대해 소방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소방예방업무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IoT를 어떠한 모습으로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인지 소방시설과 소방민원정보시스템의 측면으로 나누어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고, 이에 따른 한계점과 앞으로의 소방에의 적용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IoT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민원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이다. IoT기술을 기존 민원정보시스템과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을 활용한다면 해당 시스템 인증을 받은 자라면 어디서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은 각 노드별로 분산저장 및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자동으로 최신화가 이루어지므로 철저한 이력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소방예방업무에 활용하여 업무처리를 함으로써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행정을 구현해 나갈 수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도 향상될 것이다. 둘째, 소방시설의 활용방안이다. IoT 기술을 적용한 모든 시설들에 유·무선 센서를 연결하여 해당 시설에 대한 정보를 일정한 간격마다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방시설의 실시간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불필요한 업무는 줄어들 것이다. 또한, 신속한 대응을 통해 항상 최적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이력 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자는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가 있다는 점, 실제 소방설비의 설치(기존 또는 신규) IoT 및 소방민원정보시스템과의 연동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비용 등에 대해 자세히 연구에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소방의 다른 분야 즉, 현장 대응의 분야를 연구에 포함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Throug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smart revolution, our society has been growing and changing so rapidly that it is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e prevention work should also improve the quality and method of service to meet the demands and demands of civil petitioners who increase and change day by day in line with the tren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Proper installation and history management of firefighting faciliti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fire prevention work,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formal management and inspection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sought the application of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hich has been widely used throughout society, to efficiently manage the installation and history management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through these technologies, we wanted to present a system to manage the history of all objects from installation to management of specific fire prevention targets, and to provide efficient prevention work for both target officials and fire organizations.Smart preventive administration system that applies IoT can be said to have complementary orientation. The IoT system involves firefighters, managers, and facility users and naturally updates each other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thus reducing the task burden 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by the staff of the respective department to go out and check on the site. Data on existing and new fire targets are managed by fire fighting organizations and related agencies in a distributed storage format, and this data is integrated with information transmitted 24 hours a day from IoT fire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ed in the facility, and entered upon inspection and variation by the target manager or safety manager to establish the database. The uploaded contents of the system are applied to the fire department's prevention system as confirmed by the administrator, and from the point of upload, each facility will share its data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authority to the users of the program. Therefore, when certain items such as problems, changes, and checks of the facility itself occur, they are recognizable by the application and the authorized user can identify and modify the parts.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to survey the status of the use of the firefighting civil service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be considered the basis of fire prevention work, to find out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fire prevention work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fire officials, and based on this survey, we wanted to present and report how the IoT could be used in terms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and firefighting service information system, and we looked at the limitations and the future application of fire prevention. The use of IoT sugges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a plan for the use of the fire service information system. If IoT technology is connected to existing civil service inform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s are utilized, anyone who has received certification for the system will be able to access the system. The deployment of these systems will automatically be up-to-date during the distributed storage and verification process for each node, which will help with thorough hysteresis management. By using fire prevention and handling, transparent and reliable administration can be implemented, and efficiency of the work will be improved. Second, it is a method of using fire prevention facilities. All facilities that are applied with IoT technology are connected with wired and wireless sensors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ies in real time at regular intervals. This will result in real-time management of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reduce unnecessary work. It is also expected that rapid response will ensure optimal opera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thorough history management at all of the time. This researcher has limitations on the representative nature of the sample, the failure to include in the detailed study the installation of actual fire fighting facilities (old or new) IoT and the associated development costs of ap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that other areas of fire fighting, namely field response,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study.

      • 국내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아이덴티티 이미지 현황 연구 : 브랜드화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황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지식기반의 무한경쟁 사회이고, 지식과 감성의 융합이 경쟁우위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시대이다. 지식이 경쟁력인 사회에서 대학이 국가경쟁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또한 대학이 국내 및 세계시장에서의 전면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감성 측면을 보강해 차별적 우위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다시 말하면 독특하고 명확한 대학의 개성을 표현한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감성 요소라는 매개체를 통해 차별적인 대학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덴티티는 항상 주변과의 관계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자아의 표현인 아이덴티티와 타인의 인식인 이미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물론 통합, 체계화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이미지의 혼란이 일어나거나 선입관, 선택적 자각이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쟁력있는 아이덴티티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 두가지를 일치화시켜 나가야 한다. 여기서 필요한 매개체가 감성경쟁력이며, 이를 구축하기 위한 감성적 요소중의 핵심이 바로 브랜드이며, 곧 대학의 브랜드화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아이덴티티 이미지 현황을 연구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국내 대학의 당면 분제 진단 및 생존, 경쟁 전략 모색으로 화두를 제시하였고, 아이덴티티와 이미지 및 브랜드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거쳐 브랜드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아이덴티티 사례 및 이미지와 비쥬얼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한 실제적인 현황 분석으로 대학 브랜드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대학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발휘하여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일관성있는 아이덴티티 수립 및 지속적인 유지, 보완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또한 브랜드 경쟁력의 제고에 경영 역량을 집중하고, 경영 전반에 감성적 대학 문화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우리의 대학이 자랑스러운 세계속의 브랜드가 되어 대학 이름이 쓰여진 티셔츠를 입고 어깨 펴고 다니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In the 21stcentury which features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fierce competition, knowledge combined with sensitivity is esteemed as the key factor to win competitions. In this age when knowledge is regarded as the competitiveness, universities are suggested to positively cope its surrounding environment to that they could contribute to the enhanc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Universitied are suggested to possesssensitivity as well as knowledge to survive the all-out competition at home and international market. To do so, universities should reinforce the aspect of sensitivity in addition to the aspect of knowledge by means of selective concentration to have differential advenrage. In other worlds,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differential image through the intermediary of sensitive aspect based on identity that represent their unique and clear characteristics. Identity, which is always formed by one's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s and is an expression of the self, should be harmonized with image, which is defined as the perception of others. Images may be confused by dissociated and unsystematic information, and prejudice or selective self-consciousness may influence on them. These two factors, however, should be unified for an identity to be competitiveness of sensitivity and the key factor of sensitivity is the brand of univers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nditions for identity and images of Korean universitie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mpetitiveness. This study took the diagnosis of problems that Korean universities currently face and strategies for their survival and competition as the primary subject, investigated theories about identity, image and brand to identify the role of brands, conducted a survey about examples of identity, images and visuals, and analyzed actual condition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university brands.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should incessantly exert efforts to establish a consistent and systematic identity and maintain it as well as win a favorable image so that they could improve competitiveness and thus enhance theistature. They are also suggested to concentrate their managemant on the improvement of brand competitiveness and introduce a university culture that esteems sensitivity highly throughout the whole management aspects of the university. It is the hope of the author that brands of Korean universities could become a world-renowned brand somday through these processes so that students could walk along streets in a proud way wearing T-shirts with the print of names of Korean universities.

      • WELL Building Standard v2와 국내 건강건축 관련제도의 비교분석

        황선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sugges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WELL Building Standard v2 and Health Architecture System in Korea. WELL v2 is a certification prepared for health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focusing on humans, and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G-SEED, a Health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 Indoor Air-quality System in Korea, and Water management method System in Korea. The results of analyzing WELL v2 as Four Parts by subjec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each area was in the order of Management Part (44.5%), Technology Part (22.6%), Designing Part (21.0%), and Construction Part (11.9%).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WELL Building. Active participation of managers and occupant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design books and building usage guidelines is required, and efforts are needed to induce users' participation in technology, planning, and construction field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perspective to find improvements through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monitoring and analysis, and post-residence evaluation. First, in the concept of Air, the standards of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formaldehyde, which are the main air quality, should be gradually raised from the current one and recommended not only for multi-use facilities but also for other facilities. By monitoring the main outdoor and indoor air quality so that occupants can easily recognize it, awareness of ventilation, replacement of filters and cleaning are reinforced, and it is submitted to the institution. To minimize combustion, limit the use of heaters, ovens, and heaters, and minimize vehicle idling. Second, as for the concept of Water, there are many pollutants that the domestic law reads for water pollutants, and the limits are mostly the same or higher. The maintenance part also has a higher number of meter readings.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nage water inside the building due to the aging of the pipes,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drinking wat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drinking water fountain, maintain cleanliness, and manage to prevent condensation and mold. Third, the concept of Nourishment is a part that encourages customers to easily purchase fresh agricultural products within 800 meters of the sidewalk and grow their own products. Fourth, in the concept of Light, lighting and spatial daylight autonomy are planned together and a 24-hour visual balance is maintained. The user's autonomous control of lighting such as lighting system,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and color is also required, as well as luminance management of finishing materials. Fifth, the concept of Movement should be planned as a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natural extension of walking, and the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connected within 800m. Use of ergonomic furniture, exercise programs and self-monitoring are recommended. Sixth, the concept of Thermal comfort considers not only simple temperature but also air volume and humidity as important factors. Based on individual control of temperature, ventilation, and relative humidity, the heating zone is planned and monitor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r control. Seventh, the concept of Sound not only blocks external noise, but also divides internal noise by space, and plans sound absorption with walls, doors, and ceilings. You can also introduce sound masking and plan open and closed spaces. Eighth, the concept of Materials encourages the use of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in Korea. The views on hazardous substances are simila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co-friendliness of the field management. During construction, contamination of building materials should be reduced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tamination should also be prevented. Ninth, in the concept of the mind, contact with nature is recommended as essential, and this is planned in terms of visual, cognitive, and accessibility. It is recommended to arrange a recovery space and a rest space indoors and outdoors, and to plan the seating or space arrangement, and a space for noise and isolation to increase concentration. Tenth, in the concept of community, technicians, designers, engineers, occupants, owners, managers and related workers are all integrated and discussed and communicated after the project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ntinuous improvement and participation through resident surveys are essential. Accessibility and universal design to enhance the culture and sociality of the community and residents, use of toilets and provision of community space are recommended. 기대수명이 점차 증가하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로 건강건축에 관한 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WELL v2은 인간을 중심으로 총괄적 관점에서 건강에 대하여 마련된 인증으로 국내 건강건축 관련제도인G-SEED,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 실내공기질 관리법, 먹는물 관리법 등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WELL v2와 국내 건강건축 관련제도를 비교하여 부족한 건강건축 부분을 도출,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1) WELL v2와 G-SEED를 기술영역, 계획영역, 시공영역, 관리영역으로 분류하여 주체별로 건강건축의 해결방안을 구분하였다. WELL v2는 관리영역(44.5%), 기술영역(22.6%), 계획영역(21.0%), 시공영역(11.9%) 순으로 영역별 빈도수가 나타나고, G-SEED는 주거부분, 비주거부분에서 계획영역(41.5%, 40%), 기술영역(27.7%, 30%), 시공영역(23.1%, 16%), 관리영역(7.7%, 14%) 순으로 나타났다. WELL v2은 관리영역이 가장 빈도가 높고 G-SEED는 계획영역의 가장 빈도가 높으며, 두 인증 모두 기술영역이 두 번째로 빈도가 높다. 이는 건강건축에서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설계도서와 건축물 사용지침의 제공뿐 아니라 관리자와 재실자 소유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기술·계획·시공 분야에서도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홍보와 교육, 모니터링과 분석, 거주후 평가를 통하여 개선점을 찾아가는 제도적 관점이 필요하다. 2) WELL v2의 10가지 개념인 공기(Air), 물(Water), 영양(Nourishment), 빛(Light), 운동(Movement), 열쾌적감(Thermal comfort), 음(Sound), 자재(Materials), 정신(Mind), 커뮤니티(Community)에서 국내 건강건축을 위한 대안을 도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Air) 개념에서 주요 공기질인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의 기준을 현행보다 점차 높여가며 다중이용시설뿐 아니라 다른 용도시설에도 권장하도록 하여야 한다. 실외와 실내의 주요 공기질을 재실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여 환기의 인식과 필터의 교환 및 청소를 강화하고, 기관에 제출 하도록 한다. 연소의 최소화를 위해 난방기기, 오븐, 히터의 사용을 제한하고 차량의 공회전을 최소화한다. 둘째, 물(Water) 개념은 수질 오염원에 대하여서는 국내법이 검침하는 오염물질도 많고 그 한계치도 대부분 같거나 높다. 유지관리 부분도 검침 횟수도 더 많다. 그러나 배관의 노후화로 인한 건축물 내부의 물관리가 필요하며, 식수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식수대의 접근성을 높이고 청결을 유지하고, 결로와 곰팡이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영양(Nourishment) 개념은 신선 농산품을 보도 800m 이내에서 쉽게 구매하고 직접 농산물을 키울 수 있게 권장하는 부분이다. 넷째, 빛(Light) 개념에서 조명과 공간주광자율성이 함께 계획되도록 하며 24시간 시각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조명시스템, 조도, 색온도, 색상등의 사용자의 자율적인 조명제어도 필요하며 마감재의 휘도 관리도 필요하다. 다섯째, 운동(Movement) 개념은 심리적이고 물리적으로 자연스러운 도보의 연장으로 계획하여야 하며, 생활편의시설의 이용이 800m 내외로 연결되도록 한다. 인체공학적인 가구를 사용하고 운동프로그램 및 자가 모니터링을 권장한다. 여섯째, 열쾌적감(Thermal comfort) 개념은 단순 온도뿐 아니라 풍량, 습도등도 중요 요소로 한다. 온도·환기·상대습도의 개별제어를 기본으로 온열구획을 계획하고 모니터링화 하여 사용자 제어의 편의성을 높인다. 일곱째, 음(Sound) 개념은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것 뿐아니라 내부의 소음을 공간별로 구획하고, 벽과 출입문, 천장마감으로 흡음계획을 한다. 사운드 마스킹을 도입하고 개방공간과 폐쇄공간을 계획할 수도 있다. 여덟째, 자재(Materials) 개념은 국내에서도 친환경 건축재료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유해물질에 대한 견해도 비슷하며, 현장관리에 대한 부분도 친환경성 부분에서 큰 차이점은 없다. 시공시 건축자재의 오염을 줄이도록 하며, 외부환경 오염도 막도록 한다. 아홉째, 정신(Mind) 개념에서는 필수로 자연과의 접촉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는 시각적, 인지적, 접근성으로 계획한다. 회복공간과 휴식공간을 실내·외에 마련하고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좌석이나 공간배치, 소음 공간과 격리공간을 구분하여 계획하길 권장한다. 열째, 커뮤니티(Community) 개념에서는 기술자, 설계자, 엔지니어, 재실자, 소유자, 관리자와 관련된 종사자들까지 모두 통합하여 토론하고 프로젝트 이후에도 소통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거주자 설문을 통하여 지속적인 개선과 참여를 필수로 한다. 지역사회와 거주인의 문화, 사회성을 높이기 위한 접근성과 유니버셜 디자인, 화장실 사용과 커뮤니티 공간제공 등이 권장되고 있다. 3)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영역별 빈도수의 객관적 한계성이다. 이는 각 파트별로 중요성을 부과한 것이 아니라 키워드별로 각각의 영역이 중복되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중요성의 순위를 나타내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 둘째, WELL v2는 건축이외에도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이 ‘건강한 삶’을 위해 마련한 인증제도로 그 개념이 포괄적이어서 국내의 건축제도만으로 비교하기에는 세부적인 내용에 한계가 있다. 셋째, WELL v2는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인증을 제시하고 있지만, 국내의 여건이 미국과 달라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