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의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비교=

        홍희정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ntal retardation in a special school amo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undergoing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f the realization and practice comparison.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follows: Do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of special school in  mental retardation realize the importance of undergoing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re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of special school in mental retardation putting into some initiative about undergoing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about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mental retardation special school for middle-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This study aimed to uncover five special schools in Daegu, middle-school and hgh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with 150 people participants. Data processing method of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Mental retardation in a special school for middle-school teachers and highschool teachers’ awareness of its importance on a relatively high level. Vocational life in the sub-region is awareness that most important things are health and safety, while using the phone is recognized through the importance of the lowest. the sub-region of the Job search is awareness that keep the workshops rules and perform the duty, but use of computer input devices, information search and using the e-mail are recognize the lowest awareness. In the sub-region of the caree preparation, clean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crafts, farming and breeding have been recognized as the lowest. in Employment agencies of the sub-region, going to a field trip to the career agency and academic institutions are most importantly to recognize, and job evaluation is aware of the lowest.   Look into the perveived gap From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t gender in teacher is the women Teachers, teacher who has more than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belonging to the high school teacher, in vocational teacher training experience, the experience teacher has been recognized as a high priority. Thus, mental retardation in a special school for middle-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and the importance of career preparation with emphasis on the many factors that can be seen. The practic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awareness about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a mental retardation special school for middle-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Look into the perveived gap From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t gender in teacher is the women Teachers, teacher who has more than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belonging to the high school teacher, in vocational teacher training experience, the experience teacher has been recognized as a high priority. for the high school teacher the practive is more higher because of related with the students major or employment, many vocational teacher training experiences help a lot to carry it out. The analysis on  vocational professional life, job search, job readiness, career design among special  middle-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have high awareness on the importance in the area, but also a significantly lower practice. For . p <.001 level, significant mean difference (t = 15.12) is displayed. The results shown are essential in social integration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tool to a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without hindrance. Theref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hav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ts execution as an active party which consequently will improve a variety of institutions. 

      •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홍희정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go-resilience and their peer relation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peer rel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adolescents within Incheon and Kyungsang-do area using Ego-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Atsushi et al. (2002), adapted by Jung (2006),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developed by Kovacs (1981) and adapted by Cho and Lee (1990), and Peer Relation Scale developed by Yang and Oh (2005). Total of 204 observation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Data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ego-resilience and their peer relation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peer relation. All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Ego-resilience of adolesc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peer relation. Second, Ego-resili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 and a static impact on their peer relation. Depression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eer relation. Third, Peer relation had mediating effect on ego-resilience and depression. These indicate that ego-resilience promoting programs and peer relation during consulting are important factors to reduce depression of adolescents. limits of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Key word: adolescent, ego-resilience, peer relationship,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관계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 경상도에 소재한 중학생 1학년, 2학년, 3학년에 재학 중인 204명 대상으로 Atsushi, Hitoshi, Shinji와 Motoyuki(2002)가 개발하고 정은옥(2006)이 번안한 자아탄력성척도, Kovacs(1981)가 개발하고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조수철과 이영식(1990)이 번안한 자기 보고형 우울척도, 양윤란과 오경자(2005)가 개발한 또래관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변량 정규성 검증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변인들의 하위 변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후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으로 검증을 하였고, 이후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관계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를 병행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우울, 또래관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관계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관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아지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관계가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우울한 감정을 낮추는데 자아탄력성과 환경적인 요인 중에 또래관계가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 증진과 건강한 또래관계를 배워나갈 수 있도록 주위의 지지와 증진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청소년,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우울

      • 대학교육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in quantitative aspects greatly since it had been generalized after 1980s. However, the beginning of "Knowledge-based Society" after 1990s became the turning point for the trend of Korean Higher education. It was possible for Korean higher education to improve "the equality of opportunity to be educated" through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at the same time for Korean higher education to avoid the criticism that quality of education is lower than the other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n universities lo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effor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has been putting by the government. First of all, change of the high cost-low efficiency structures in national universities and encouraging universities to have autonomy are recommend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corporation, merger and abolition of universities a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here are also opinions that the government has to distribute the financial supports by the performance evaluation rather than the institution type. They insist that 80% of Korean universities are the private universities and the 75%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go to private universities. Therefore, the financial support has to be allowed by the performance not by institution type. It is time for Korea to discuss about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ver the quantitative one. For that matter, the study abou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is very needed. However, evaluation on educational performance is not easy in some reasons. First,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universities are not private goods, so it is difficult to evaluate just in monetary way. Second, there is no clear standards for performance such as profit in private sector. For these reasons,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has not been studied in separated field yet. Despite this difficulty, this research focuses on educational performance, because managing and evaluating universities are the unavoidable task nowadays. This research uses educational data from 「2008 우수인력양성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to analyz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empirically. This research sets the institution type,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the scale as a main factors expected to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ased on the framework in which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ill be different by those factors, this study set up three hypothesises and examines them. This research tri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Model Ⅰ,Ⅱ, and Ⅲ. Each dependent variable of Models as follows. ModelⅠ is the supplement rate of the student, Model Ⅱ i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Model Ⅲ is the condition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The reason to devide the research in three parts is for analyzing the factors clearly. The results of it as follows. First, in aspect of the supplement rate of the studen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classification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stitution type,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scale affects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the institution type*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Second, in aspec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classification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Moreo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stitution type,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no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hile the scale and the institution type*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In these regard, some facts can be founded. First, the larger the university is, the higher the educational performance is. Second,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no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as separated variables, but they do when they interact. In other words, when the university is national and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ose of universities which are national-non metropolitan area, private-metropolitan area, or private-non metropolitan area. Third, in aspec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the coedition of education,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classification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es no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hile the scale and the institution type*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This means that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universities as separated variables, but do as they become one variable by interac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o policy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ain indexes rather than the composite ones, when measuring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The power of explanation gets weaker as we moved from Model Ⅰ→Ⅱ→Ⅲ. It can be explained that factors added in Model Ⅱ,Ⅲ changed the result as they interact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here should be more creative effort to improv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 As it was founded in the research, there is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ose in metropolitan area show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in rural. Therefore, this distintion should be reflected when distributing financial support to develop universities in balanced way. Third, there is need to make universities larger. From the research resent, it was drowned that the larger the university is, the higher the performance is and the scale of university has important 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Small-scale specialized universities are necessary, but there are too many those small-scale universities with serious financial crisis. In this situation, it is hard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ies. To improve this, phenomenon of M&A between universities has to be strongly considered. Moreover, more effort should be put into the merger and abolition of universities to make universities have more competitiveness. 우리나라는 근대 교육의 도입기를 거쳐 1980년대 이후 고등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시작된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는 그동안 양적 성장 일면도의 고등교육에 있어서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지금까지 고등교육의 양적 팽창을 통하여 교육 기회의 평등이라는 중요 가치가 실현될 수 있었지만, 교육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였기에 교육의 질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대학의 국제경쟁력은 잃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 주도하에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먼저 국립대학의 고질병이라 불리던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타파하고 대학의 자율성을 고취시켜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립대학의 통?폐합과 국립대학 법인화와 같은 대안들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기존 국립대학에 대한 지원금을 설립 구분 없이 대학의 성과에 따라 배분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전체 대학 중 사립대학이 80%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대학생 중 사립대 재학생이 75%를 차지하고 있기에, 설립주체에 따라 재정을 지원하는 것은 이미 설득력을 잃었으므로 앞으로는 설립주체가 아닌 각 대학들이 성취한 성과를 기준으로 재정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이제는 고등교육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대학의 질적 향상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의 가치는 단순히 화폐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사적재와 다르고, 영리조직의 이익과 같이 측정 가능한 대표적인 성과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학의 성과 측정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은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논의가 별도의 독립된 영역에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성과 관리와 평가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내용을 주요 사안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성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08 우수인력양성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교육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Model Ⅰ, Model Ⅱ, Model Ⅲ을 설정하여 각각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시도 하였다. Model Ⅰ의 종속변수는 재학생충원율, Model Ⅱ의 종속변수는 교육성과, Model Ⅲ의 종속변수는 교육여건과 교육성과이다. 이렇게 연구를 세 가지로 나누어 보는 것은 핵심요인에서 시작하여 연구범위를 넓혀감으로써 성과개념을 명확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재학생충원율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 구분에 따른 대학교육성과 차이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와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는 유의도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재학생충원율과 취업률의 합인 교육성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 구분에 따른 대학교육성과 차이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와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의 규모와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은 규모가 클수록 대학교육성과가 높다는 판단을 할 수 있으며,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이 단독 변수로 쓰일 때는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경우에는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국립대학이면서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일 때, 다른 경우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교육여건까지 감안한 Model Ⅲ의 연구결과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 구분에 따른 대학교육성과 차이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와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규모와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odel Ⅱ와 마찬가지로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이 단독 변수로 쓰일 때는 대학교육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경우에는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성과를 측정할 때 다양한 지표가 아닌 핵심지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Model Ⅰ→Model Ⅱ→ Model Ⅲ으로 갈수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해주는 설명력이 떨어진다. 이는 핵심요인만 변수로 두었던 Model Ⅰ에서 연구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Model Ⅱ와 Model Ⅲ에 포함되는 요인들이 다른 변수들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구결과를 변화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의 교육성과 향상을 위해서 획기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학의 소재지역에 따라 대학교육성과에 차이가 있었고,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육성과가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육성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대학에 지원을 할 경우에는 이러한 지역적 상황을 반영하여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비수도권 대학의 발전과 육성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셋째, 대학을 대규모화 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학의 규모는 대학교육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규모가 클수록 교육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성화된 소규모 대학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현재 재정난이 심각한 소규모 대학들이 무분별하게 난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교육의 성과향상은 사실상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대학 간 M&A를 할 필요가 있으며, 최근 대학 간 통?폐합 등의 노력을 보다 가속화 하여 대학교육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인적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홍희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기술과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항공여행을 이용하는 승객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적서비스 품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항공 산업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승객들의 품질지각이나 고객만족과의 관계가 있는지 깊은 것으로 인식하여, 객실승무원들의 서비스 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노력할 뿐만 아니라 외적이미지 관리를 위한 교육을 통하여 회사와 객실승무원들에게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인적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1년 이내 1회 이상의 국내외 항공사를 이용하여 여행을 한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2년 10월 15일부터 21일까지 일주일간 인천국제공항에서 실시하였다.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32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37부를 제외한 총 287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적이미지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인성요인에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는 유니폼 스타일에서는 대학원 재학/졸업이상의 응답자들이 고졸이하의 응답자들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서는 태도와 유니폼에서 전문직 응답자들이 학생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공기 탑승횟수에서는 유니폼스타일에서 2-5번 탑승한 응답자들이 0-1번 탑승한 응답자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의 결과를 요약하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인적서비스 품질의 적극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태도만이 인적서비스 품질의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인적서비스 품질의 친절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태도만 인적서비스 품질의 친절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외적이미지의 인성항목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인적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인적서비스 품질의 적극성과 친절성 요인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가 인적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하여 항공사들이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의 중요성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각 항공사에서는 서비스 향상에 체계적인 기준을 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미지의 태도 항목이 인적서비스 품질의 친절성과 적극성 요인 모두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응대접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 여러 감정들이 태도항목이기 때문일 것이다. 셋째, 객실승무원의 외적미지의 인성 면에서는 공감화 능력과 청각적 인지 능력이 더 우수하고, 따뜻하고 상냥한 음성에 더 크게 반응하는 여성의 응답이 고객만족에서 더 높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항공사들은 외적이미지와 더불어 승무원들의 음성과 말씨에 더욱 더 고려하여 훈련함으로써 더 좋은 이미지를 각인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윤택해진 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화생활을 영위하고, 서비스에 대한 기호 또한 상당히 높아졌으며, 서비스를 경험이 풍부하여 한층 더 까다롭고 요구사항이 많아진 승객들이 객실승무원의 인적서비스 품질의 적극성과 친절성의 두 요인 모두가 고객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사에서는 객실승무원들에게 철저한 사전교육과 구체적인 사례별 교육이 필요하다. 위의 결과들은 향후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의 보다 나은 서비스 구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인재를 채용하고 교육시키는 연구과제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passengers using the air transport is rapidly increasing ow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civilization. The airline industry which has a high dependence on the personal service quality, is recognizing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image of cabin crews and the quality perception of passengers and customer satisfaction. It is not only making an effort to improve the service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cabin crews, but is emphasizing its importance through the educa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external image of the company and the cabin crews. We intend to study how the external image of airlines' of cabin crews ha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personal service and a customer satisfaction in this report. The subjects of this inquiry were men and women, 18 years old and above, who travelled more than once a year using domestic and foreign airlines. The inquiry was carried out during a period of one week from October 15th, 2012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 total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24 copies were collected. In total 287 questionnaires, excluding 37 copies those containing insincere or omitted answer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actual proof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sult of whether the external image has a difference by sex, it appears that the women think the personality factor more important than the men, by scholastic career, it appears that the respondents above graduate school/graduation think the style of uniform more important than the respondents below graduation of senior high school. It appears that by occupation, profession민 think the attitude and the uniform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and it appears that by the frequency of boarding, the respondents who boarded 2 to 5 times think the uniform style more important than the respondents who boarded 0 to 1 time.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influence on the activeness factor of personal service quality by the external image of cabin crew of airlines shows that attitude only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tiveness factor of personal service quality, and attitude only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riendliness of personal service quality by the external image of cabin crews of airlines. Third, the result of checking the external image having an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demonstrated, the personality item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sult of the personal service quality of cabin crew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the activeness and friendliness of personal service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suggestions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checking the importance of external image of cabin crew wit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effect on the personal service quality,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the airlines, each airline is a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capable of setting up the systematic standard for the improvement of service based on thi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attitude item of external image in cabin crew of airlines had the biggest effect on both the kindliness of external service quality and activeness factor, which may be because the various emotions to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re the attitude items by the service supplier from the viewpoint of serving the customers. Third, in the personality aspect of cabin crew, the result has been deduced that women’s responses show that there is a greater response to sympathy, and the warmer, and more pleasant voice. Accordingly, airlines will have to impress a better image by training in the light of the voice and manner of speaking of cabin crew, together with the external image.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the two factors of activeness and kindliness of the personal service quality of cabin crew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airlines need to provide the cabin crews with thorough prio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 case by case. The above results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set up a better service of airlines, and cabin crew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a field of study to recruit and train talented individuals.

      • 초등학교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홍희정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의 본래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학교교육의 기본 성격은 학습자 개인의 자기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활동이라고 전제할 수 있다. 상담은 기본적으로 학습자의 자기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조력활동이라는 점에서 크게 학교교육의 기본 성격과 모순되지 않는다. 또한 교육은 교과의 지도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학교에서의 모든 경험과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개인의 일상적인 경험은 교과교육과 통합될 때 비로소 참다운 깨달음에 도달하고, 개인의 삶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는 교과를 단순히 교과로 다루려는 한계를 넘어서 아이들이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게 연결시켜주는 매개역할-자기성찰을 위한 교과교육-을 하도록 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Ⅰ. 초등학교 아동의 국어과 학습동기는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유의미하게 높다. Ⅰ-1 초등학교 아동의 주의집중력은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유의미하게 높다. Ⅰ-2 초등학교 아동의 관련성척도는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유의미하게 높다. Ⅰ-3 초등학교 아동의 자신감은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유의미하게 높다. Ⅰ-4 초등학교 아동의 만족감은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유의미하게 높다. 가설Ⅱ. 초등학교 아동의 국어과 학업성취도는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유의미하게 높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 시 지역에 위치한 B초등학교 2학년 2개 반 아동 45명이다. 이 가운데 1개 반은 실험집단이고 나머지 1개 반은 통제집단이다.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은 자기성찰을 위한 교과교육 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의 아동은 전통적인 지도법에 의존하는 학습활동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은 사전검사로 학습동기 검사와 국어과 첫째마당 학업성취도 평가를 받았으며, 사후검사로는 학습동기 검사와 국어과 넷째마당 학업성취도 평가를 받았다. 실험과제는 송재홍(2005)이 제시한, 교과가 갖는 상담활동의 도구로서의 유용성 평가준거에 의하여 대단원 분석을 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가 나온 국어과 2학년 1학기 넷째마당 ‘내 생각 어때요’를 채택하였다. 이 연구는 가설Ⅰ과 가설Ⅱ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전검사를 공변량으로 하여 교수법에 따른 차이에 대한 일변량공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전통적 학습집단보다 학습동기가 높다는 것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가설Ⅰ-1, 가설Ⅰ-4) 둘째, 자기성찰 학습을 실시한 학습집단이 전통적 학습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가설Ⅱ)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이 연구는 교과학습에 상담의 마인드를 접목한 자기성찰 학습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교과의 특성상 ‘국어’는 자아에 대한 세계와 세계에 대한 자아를 표상하는데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기 때문에 상담의 마인드와 차별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오히려 상담과 거리가 멀게 느껴지는 다른 교과(예 : 수학, 과학, 실과 등)에 자기성찰 학습이 적용된다면 그 효과는 훨씬 크리라 예상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과에 대한 사고를 확장하고, 모든 교과에서 자기성찰목표를 찾고, 교과목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모형을 수립하여 적용한다면 학습자체를 놀이처럼 즐기면서 할 수 있고, 교과에서 습득한 앎을 교과 밖의 삶에까지 전이 시킬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It could be supposed that teaching is the activity to promote self-reflection. Counseling is a practical education activity to the promote children's self-reflection, and it is not contradictory to the originality of education in general. Moreover, education is realized not only through instruction of subject matters but through all experiences that students take in the schooling. When a student integrate his own experiences into subject matters, he could be aware of his own pictures and bring significant changes to he's life. By using the subject matters to promote students' self-reflection, the schooling could accomplish it's ow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self- reflective learning on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Hypothesis Ⅰ.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arning group which practices self- reflective learning. Ⅰ-1 Children's concentration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arning group which practices self-reflective learning. Ⅰ-2 Children's relation scale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arning group which practices self-reflective learning. Ⅰ-3 Children's self-confidence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arning group which practices self-reflective learning. Ⅰ-4 Children's satisfaction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arning group which practices self-reflective learning. Hypothesis Ⅱ. Children's learning achievement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arning group which practices self- reflective learn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5 children of two classe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One class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for self-reflection, while those of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relying on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For the pre-test, the subjects took test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first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matter. As the post-test, they underwent tes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fourth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matter. As a result of analyzing units in accordance with criteria for usability of subject matters as counselling means suggested by Song Jae-hong(2005), the fourth unit, "What Do You Think about My Idea?", earned the highest score. Thus, the fourth unit was adopted as an instrument. To verify Hypothesis Ⅰ and Hypothesis Ⅱ, this study calculated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one-way ANCOVA on difference by teaching methods setting down the result of the pre-test as covari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partially upheld the hypothesis that the group which practices self-reflective learning would show higher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group of traditional learning(Hypothesis Ⅰ-1, Ⅰ-4).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group which practiced self-reflective learning show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an the group of traditional learning. Putting all findings stated above together, it can be judged that this study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at the self-reflective learning grafting the spirit of counseling in learn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However,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grafting it in Korean language subject matter because 'Korean language' is the most powerful means to be used easily in representing the world toward self and self toward the world. Instead, it is expected that if self-reflective learning is applied to subject matters distant from counseling, for example, mathematics, science, and practical course, the effect will be enormous. If teachers widen thoughts on subject matters, search for objectives of self-reflection in all subject matters, and establish and apply diverse teaching-learning models, children can enjoy learning itself as if it is a game and spread what they acquire from subject matters to life beyond them.

      • Evaluation of Endothelial cell-specific molecule-1 as a Biomarker of Glycocalyx Damage in Canine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홍희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Endothelial cell-specific molecule-1 (ESM-1) has emerged as a potential biomarke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humans.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 is the most common heart disease in dogs, and we hypothesized that MMVD causes chronic inflammation that increases susceptibility to endothelial glycocalyx (eGCX) damag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ESM-1 in a group of dogs with MMVD and evaluated factors affecting eGCX damage. Sixty-four dogs (control, n=6; MMVD, n=58)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ESM-1 concentrations among the MMVD stages. The serum ESM-1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ath group than in the alive group in MMVD dogs. (p = 0.006). In five dogs with MMVD, serum ESM-1 concentrations tended to decrease when the cardiac drug (pimobendan, furosemide, and digoxin) dose was increased. In cases where MMVD progressed to decompensated heart failure with clinical symptoms and resulted in death, the concentration of serum ESM-1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ESM-1 could be utilized as a new potential negative prognostic factor in dogs with MMVD. Endothelial cell-specific molecule-1(ESM-1)은 인간의 심혈관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생체지표로 떠오르고 있다. 점액종성 이첨판 질환(MMVD)은 개의 가장 흔한 심장 질환이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 질환이 내피 글리코칼릭스 손상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점액종성 이첨판 질환을 가진 개 그룹에서 ESM-1의 농도를 측정하고 내피 글리코칼릭스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했다. 64마리의 개(대조군, n=6; MMVD, n=58)가 이번 연구에 참여하였다. MMVD 병기 간에 혈청 ESM-1 농도에는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혈청 ESM-1 농도는 MMVD 개에서 생존 그룹보다 사망 그룹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확인되었다 (p = 0.006). MMVD가 있는 5마리의 개에서 심장 약물(pimobendan, furosemide 및 digoxin) 용량을 증가시키면 혈청 ESM-1 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MMVD가 임상 증상을 동반한 비보상성 심부전으로 진행되어 사망한 경우 혈청 ESM-1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ESM-1을 MMVD 환자에서 새로운 잠재적인 음성 예후 인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사회복지조직의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종교적 기반이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희정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arts with a premise that social workers' active and innovative practice will help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be ultimately effective for achieving the goal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workers' practical actions is organizational culture. The present study made an assumption that if an organization creates a culture of placing importance on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mutual trust and consideration to make proper reactions to a changing environment, it will boost the morale of its social workers, help them increase their trust and sense of duty for their organization, and eventually lead to their innovative behavio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Given that a major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nation were managed by religion-based organization, the study recognized a ne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whether social workers' innovative behavior would be affected by their organization's religion-based. The study thus set out to search for effective plans for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achievements by facilitating the expansion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encouraging social workers to do creative and innov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sampled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ccording to religion and conducted a survey with them. Total 20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recorded average 3.65 in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ndicates that there was a strong tendency for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nation; second, social workers' innovative behavior were assessed based on three factors including two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service innovation and work innovation, and an activity outside the organization, advocacy for social welfare. They scored mean 3.47 in innovative behavior. Each of the variables had a mean score higher a median value, which suggests that social workers considered their innovative behavior to be positive;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religion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either, according to the religion(religious order) of the management corporation; and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workers'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the religion-based of their organiz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benefit from positive mutual concern and consideration and develop fellowship, solidarity, and attachment for their organization in its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o valu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trust. These factors, in turn, increase their sense of duty and lead to their innovative thinking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is, when social workers recognize that their organization has a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they will feel that they receive proper aid, support, respect, and consideration from the organization and thus have a greater tendency for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ir increased trust in the organization.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create a relation-oriented culture at an organization and introduce an organizational system to support it so that it will achieve its goals as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ff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irst,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an organizational culture to value interpersonal relations based on trust,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can have impacts on social workers' professional practice based on their interactions with clients and proposed effective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second, it was a strong belief that a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maintenance of the internal system and is passive about environmental changes,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members' innovative behavior. The present study, however,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nnections between them, thus contributing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oretical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 third, the study raised a need for a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ccurate personnel information and data in addition to the reinforcement of an activity support system within the organization includ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the network so that social workers could think and perform in a creative and innovative way; fourth, given the finding that the religion-based of an organiz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mbers' innovative behavior, it is needed for a religion-base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o do ethical management for changes and innovations and provide its members with supports as a profession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o that they will practice profess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values; and finally, if an organization creates an atmosphere and system to encourage and support innovation within it, it will help its members take interest in innovation and make an attempt at various activities to realize it. There is a need to keep developing the factors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novative behavior in a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supportive system to facilitate and reinforce such innovative behavior. There is a big possibility of conservative and pass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due to their standardiz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lated policie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an organization supervised by managed corporation. There should be ongoing researches to figure out which organizational culture will be useful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achievemen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ole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upposed to make sensitive reaction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client needs. Such researches will provide more empirical concepts and richer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workers' pract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능동적이고 혁신적인 실천이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실천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가 조직문화이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조직이 민주적인 의사소통, 상호 신뢰와 배려 등을 중시하는 문화를 조성한다면 이는 사회복지사의 사기 증진과 더불어 조직에 대한 신뢰를 고취시켜 결국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는 사회복지사의 혁신적인 활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국내 사회복지조직의 다수가 종교기반 법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이 조직의 종교적 기반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조직문화 연구의 확장을 도모하고, 사회복지사들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및 조직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의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종교기반 사회복지조직과 비종교기반 사회복지조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201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는 평균 3.65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사회복지조직에서는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혁신행동은 사회복지사들의 조직 내 활동인 서비스 혁신행동과 업무 혁신행동, 그리고 조직 외 활동인 사회복지옹호활동의 3가지 요인을 통합적으로 바라본 것으로써 평균 3.47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들의 평균값이 중앙값 이상으로 도출되어 사회복지사들이 스스로의 혁신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복지조직의 종교적 기반에 따른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으며, 운영법인의 각 종(교)단별에 따른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는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의 종교적 기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신뢰를 기반으로 소통과 참여를 중시하는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에서 구성원들은 상호 간의 긍정적인 관심과 배려를 받으며, 조직에 대한 유대감과 결속력, 애착심 등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요인은 구성원들의 사명감을 높여 혁신적인 사고와 실천적 활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이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라고 인식할수록 조직으로부터 적절한 지원과 지지, 존중과 배려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조직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혁신적인 행동을 수행하려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조직에서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관계지향적인 문화 조성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직 체계가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 및 실천적 함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신뢰와 배려, 소통을 기반으로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조직 내 문화가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인 인적자원 및 조직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내부 체재 유지에 가치를 두고 환경 변화에 소극적인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부정적일 것이란 인식이 높았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 정(+)의 관계로 나타남에 따라 각 개념들 간의 이론적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와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교육 및 네트워크 참여 등의 조직 내 활동지원 시스템과 더불어 정확한 정보와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넷째, 조직의 종교적 기반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종교기반 사회복지조직에서는 변화와 혁신을 위한 윤리적 경영이 요구되며, 전문적인 사회복지조직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이 사회복지적 가치에 따른 전문적인 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혁신을 장려하고 지원하는 분위기와 체계를 조성하면 구성원들은 혁신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시도할 것이다. 따라서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에서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계속 발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혁신행동을 촉진하고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조직 분위기와 지원체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복지조직은 관련 정책과 제도적 틀에 따른 정형화된 활동 수행과 운영법인의 산하 조직이라는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보수적이고 수동적인 조직문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변화하는 환경과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는 사회복지조직의 역할을 고려하여 어떠한 조직문화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연구와 사회복지사의 실천 활동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개념과 풍성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주요어 : 관계지향적 조직문화, 종교기반, 혁신행동

      • 태권도 품새선수의 성취목표와 내적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홍희정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태권도 품새선수의 성취목표와 내적동기에 따른 운동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선수들에게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두고 2010년 대한 태권도협회 등록된 고등학교 이상의 선수 2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성취목표의 차이에서 입상경력이 있는 사람이 과제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내적동기의 차이에서 성별, 소속, 입상경력에서는 재미와 긴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운동시간에 따라 재미, 유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에서 입상경력, 운동시간에 따라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품새선수의 성취목표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몰입에서 과제성향, 자기성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서는 과제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새선수의 내적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미, 유능감, 긴장이 인지몰입, 행위몰입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necessity and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players performance during the match by examining how the Taekwondo Poomsae players' goals and internal motivation influence their immersion in the sport.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sample group of 262 players older than high schoolers and registered to Korea Taekowndo Association as of in 2010. And the author concluded the followings; first, for differences in goals according the categorical variable,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layers' goals according to their awards histo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01 in the task goal orientation. And players with the award history had high task goal orientation. Second, for differences in internal motivation according to the categorical variable, the difference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fun and ten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two factors were more significant among women than men. Also, another study by group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 and tension. The two factors were more significant among high school players than among university counterparts. For the awards histor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 and tension, and the two were more significant among the superior players than among less superior ones. For the exercise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 and competence. The postmortem autopsy suggested that one works out four hours a day showed more significant a difference than one three hours a day. Third, by the categorical variable of differences in immersion in the spor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mersion by the awards history. Superior players showed more significant a difference than less superior ones. By the exercise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mersion in the activity. For example, one who exercise more than four hours a day was more significantly difference than one who do three hours a day. Fourth,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the Poomsae player's goal on the perception immersion, the goa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immersion. For the immersion in activity, the task goal 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ivity immersion. Fifth, in the effect of the Poomsae players' internal motivation, the task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he perception and activity immersions.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국내 양식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홍희정 慶尙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global fishing industry is witnessing a decrease in deep-sea fishing production due to the depletion of fishery resources and the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fishing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of the aquaculture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gaining attention as an industry that provides alternatives to insufficient food resources. On the contrary to such trend of growth, the aquaculture industry in Korea is for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labor-intensive, and based on the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depending on individual experience, which results i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excessive breeds and feed and the degradation of ecological systems caused by water pollution around aquafarms because of diseases. This study tried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from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worldwide. The world’s leading aquaculture countries such as Norway and Denmark, for example, are spearh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aquaculture industry based on their advanced aquaculture industry. In Korea, however, the industry, being recognized as the primary industry, is still in its infancy.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nalyze aquafarm cases based on the aquacultu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home and abroad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aquaculture production technology and seek for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sustainable aquaculture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more effectively, this study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a statistical data analysis, and a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aquafarms built on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home and abroad, the fact that there are few data bases that can be used for convergence,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of the technology, is a limit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Korean aquaculture market is too small and focused on the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system to employ advanced aquaculture technology. In addition, the technology has not been applied or utilized since the current aquacultur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by IT companies. In order to solve above problems,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sustainable aquaculture industry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create the big data of the aquaculture industry, which is the premi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aquaculture industry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so as to leap forward to the intelligence pha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smart aquafarming and to achieve convergence with the fishing industry in the future. Second, since it costs a large amount of money to install equipment in the initial st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quaculture industry for large-scale capital investment to introduce advanced aquaculture technology. Thir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to develop the aquacultu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ploy and distribute the advanced technology in more practical way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nurtur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who can utilize and apply the advanced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as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aquaculture industry in Korea by identifying individual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ultimate solution was found to be scaling up the aquaculture industry.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develop a big data and a market applied with aquaculture technology built on the big data by expanding the aquacultur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