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여자 중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홍철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에 미치는 관계를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인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증된 인성도구를 통해 현재 학교의 정규수업과 별도로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는 서울지역 거주 여자 중학생과 경기지역 거주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방과 후 스포츠 참여여부, 참가정도와 종목 그리고 유형에 따른 인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여자 중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을 통해 학교나 가정 그리고 나아가 사회에서 이성적이며 유능한 구성원으로 성장하여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맺어 나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고등학교 문학교과의 山水詩歌 지도 연구

        홍철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문학에 대한 이해와 소양을 길러서 전통적인 산수시가의 이름다움과 산수관을 이해하는 감상 능력을 함양하고 총체적인 문학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고전시가 이론 지도에 중점을 두었다. 현재 고등학교 문학교과는 교사 중심의 지도로 작가와 작품의 대략적인 역사적 배경이나 어휘의 주석적 설명을 통한 주제를 파악하는 정도의 다소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고전문학 학습목표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채 수동적으로 수업에 임하여 교사와 학생간에 정서의 공유를 통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아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문학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학교과 수업 방안으로 기본적인 이론교육 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조 산수시가 지도에 있어서 사대부들의 자연관에 대한 개관의 지도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산수시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대부들의 자연에 대한 인식 양상을 먼저 이해해야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감상의 차원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연을 노래한 시가들을 당쟁이라는 사회적 · 정치적 사건과 결부시켜 현실 도피적인 유희적 성격으로만 보는 도식화된 시각에서 벗어나 성리학 이념의 실천이라는 복합적인 시각에서 고전시가의 흐름을 파악하는 안목을 길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조 정치 · 사회적 환경과 연계한 지도가 필요하다. 조선조 사대부들의 귀거래 동기는 정치 · 사회적 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시가 반영 양상도 致仕 후의 閑適과 黨爭下의 明哲保身 · 賢者避世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고등학교 문학교과의 산수시가 지도에서는 산수생활이란 소재의 공통성으로 인해 일률적이고 도식화된 '안분지족', '안빈낙도' 등으로만 한정하여 지도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선조 산수시가 지도에서는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귀거래의 양상에 따라 작품을 개별화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셋째, 조선조 산수시가에 나타나는 사상적 배경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조선조 산수시가의 주담당층인 사대부들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세계관과 미의식이 작품 속에 투영되고 있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당시의 문학적 특색과 작가의 학문정신을 터득하게 되고 작품의 참된 가치를 발견하여 심미적 감상의 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조선조 산수시가 지도에서 실용적인 교육활동의 하나인 현재의 환경문제와 연계하는 지도의 필요성이다. 이는 문학교육을 통해 현실 인식과 현실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산수시가를 통해 사대부들의 산수애호 정신과 안빈낙도라는 삶의 자세를 체득하게 하여 자연 파괴 및 자연 훼손,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즉 자연의 소중함과 무절제한 물질 소유욕에 대한 각성과 비판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습자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다섯째, 18종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산수시가의 학습목표와 학습 활동의 내용을 분석하고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는 무엇을 지도의 중점으로 설정해야 할 것인가를 알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이것은 교과서마다 독창적이고 보편적인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을 제시한다는 면을 고려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산수시가 지도의 주요 사항을 파악하고, 앞에서 제기한 조선조 정치 · 사회적 환경, 성리학적 배경, 사대부들의 자연 인식 양상 등의 문학외적인 요소와 실용적 차원인 환경 문제와 연계한 교육의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지도 방향을 바탕으로 산수시가를 지도하면, 고등학교 문학교과의 새로운 학습 방법을 창안하고 강구하여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 · 학습 모형을 개발하려는 관점에서 고전시가의 전체적인 흐름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교사와 학생간의 공감대 형성으로 흥미와 의욕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게 되어 심미적 감상 차원의 지도가 이루어질 것이다. 또 고전시가에 나타난 자연을 대하는 태도와 시각을 올바로 인식하고 체득하여 학습자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teach the basic literary theory of classical San-su poetry, nature poetry, in order to make students develop the literary knowledge, appreciate the poets' view of nature and the beauty of classical nature poetry, and improve the whol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ture. Under the current literature class situation in high schools, teacher-centered, the teacher explains the writer's though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literary works and some difficult vocabulary in them,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e subjects of literary works through his or her explanation. As a result, students seem to be very passive during class, losing the goal to lear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Since the teacher and students cannot share the feeling and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for the teacher to lead an active and students-centered class. This study presents new ways on the basic theory teaching in a literature class in order to solve above matters as follows ; First, it is needed to teach Sadaebu, the gentry' general view of nature in relation to San-su poetry. Because the analysis and the appreciation of San-su poetry cannot be achieved until the poets' view of nature is not understood. This way allows students to develop a variety of an eye for the stream of classical poetry, by interpreting nature poetry during Yi Dynasty as not only escape from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such as Dangjaeng, party strife, but also poet's effort to practice Confucian ideas in real life. Second, it is needed to teach San-su poetry connect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Yi Dynasty. Sadaebu seemed to return home after their resignation from a government office, mainly becaus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Yi Dynasty. Most of San-su poetry mainly dealt with poets' resignation from public life to protect themselves from party strife, their quiet and free life in nature after resignation, or other wise men's retirement from the real world. Nevertheless, San-su poetry in high school is taught only under the view of "contentment with the situation", or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Taoist way". Therefore San-su poetry needs to be taught in groups according to the aspect of homecoming after resign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teach thoughts involved in San-su poetry. Understanding those of Sadaebu, the main poets during Yi Dynasty, can help catch how the poems reflects the poets' view of world and their sense of beauty This way allows students to recognize the then current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nd poets' academic world, realize the real value of poems, and, at last, aesthetically appreciate them. Fourth, it is necessary to teach San-su poetry connecting with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 it's one of practical activities of education. It means that literature education can go far in recognizing reality and solving the problems in real life. Accepting Sadaebu's love for nature and acquiring their way of life such as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Taoist way, Students will recognize the se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such as destruction of natur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other words, in realizing the value of nature and criticizing the excessive desire to possess material, students will set up their own values that human and nature coexist. The final chapter analyzes the learners' aims and activities which San-su poetry in 18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has, and select the common elements, This can help to know what should be essentially taught. Of course, each textbook is considered to have its own learners' aims and activities. In addition to this, new syllabus is presented, To do this, several things are considered ; the major points taught with San-su poetry,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Yi Dynasty, some elements affected by Confucianism, Sadaebu's view of nature, practical teaching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With this ways, the teacher can develop new teaching approach and more efficient syllabus of high school literature teaching, allow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general aspects of classical poetry. Moreover, the response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can let students interested in literature, and in the long run, develop their aesthetic appreciation of literature. Understanding Sadaebu's view of nature and their attitude toward nature, students will set up their own values.

      • 환형음각말뚝의 거동 특성

        홍철화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말뚝 지지력의 증대를 위하여 말뚝주변에 음각을 주어 말뚝과 흙의 마찰저항을 증가시켜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음각율에 따른 콘크리트말뚝의 주변마찰저항력 증가 경향을 확인하고 말뚝의 거동 특성을 구명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말뚝체는 직경 20㎝, 높이 1m 원형단면이며 음각율을 0.00∼0.42까지 7가지로 변화 시켰다. 또한, 중심축 강봉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20㎝ 간격으로 설치하여 축응력을 측정하여 순수한 마찰력을 환산였으며 지반은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여 상대밀도 60%로 조성하여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음각율이 클수록 말뚝의 주변마찰저항력이 증가했으며, 음각율이 0.42인 경우 말뚝의 주변마찰저항력은 음각율이 없을때보다 2.5배이상 크게 나타났다. 심도별 축응력은 음각율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심도가 깊어질수록 주변마찰력의 증가로 인해 축응력이 작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on the model tests of piles with intaglio at the surface of them to improve piles compression capabilities by increas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oil and pile. Through the test, it were observed that piles with bigger intaglio ratio had higher lateral friction resistances 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intaglio pile were identified. Test were performed on the circular concrete piles with 0.2m diameter and 1.0m height, which had 7 intaglio ratio among 0.00 - 0.42. Piles had strain gauges at 20cm intervals at the central steel rods of the piles and measured axial stresses and converted into the pure friction. test grounds were made with "Jumunjin" standard sands at the relative density of 60%. By the test, it were observed that piles with bigger intaglio ratio had higher lateral friction resistances and it were showed that lateral friction resistances of piles with 0.42 intaglio ratio are 2.5 times bigger than intaglio ratio is zero. Axial stresses showed higher values for the higher intaglio ratio piles and decreased with depth by the increase of lateral friction.

      • 와이파이 P2P 환경에서 group key 관리를 위한 random number 분배 방안에 관한 연구

        홍철화 崇實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그룹키 갱신을 위해서 해쉬함수를 이용한 그룹키 생성 기법과 다항식 연산을 이용한 그룹키 분배기법을 제안한다. IEEE 802.11i에서 제안하고 있는 그룹키 핸드 쉐이크 기술은 그룹 구성원이 변경되는 경우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그룹키를 각각 전송한다. 이런 그룹키 분배 기법은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증가시키며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가 균등하게 그룹키를 전송받지 못한다. 또한 중앙키 관리 기법과 비중앙 그룹키 관리 기법은 각각 그룹키 확장성과 그룹간 통신과 같은 그룹키 갱신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제안 기법은 사용자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키 값을 이용해 그룹키 전달 메시지를 생성한다. 다항식 연산을 이용한 그룹키 전달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전송되므로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되기 때문에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은 균등하게 그룹키를 생성한다. 커뮤니티 기반 네트워크 환경은 커뮤니티 단위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때문에 확장성이나 그룹간 통신에 그룹키 갱신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heme to update and distribute the group key. The scheme of updating the group key uses hash function and polynomial arithmetic. Group key handshake is a group key management protocol defined by 802.11i standard. This protocol distributes a group key to each nodes in group by encrypting KEK(key encryption key). Updating the group key and delivering it to each group member causes it to increase network traffic and to lose fairness of key distribution.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way to distribute group keys. Group key is based on user’s table which includes the member’s key information. Thus, we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show the performance and scalability benefits of our approach over previous key management approaches.

      • 확장형 패커를 이용한 가압식 쏘일 네일링의 전단거동 연구

        홍철화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Soil nailing is the most used reinforcement method for slope and braced wall or retaining wall. It is a concept that complements the shear strength of the in-situ ground by utilizing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nail. There are two types of design method for soil nailing. One considers only the pull-out resistance, and the other considers pull-out resistance, shear resistance and bending resistance in soil nails as well. But in the case of circular sliding failure of slope, it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shear resistance and bending resistance on slip surface as well as the pull-out resistance. However this is rarely accounted for owing to lack of study. I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the increase of the pull-out resistan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material, the shape, the construction method, etc. were focused, but the researches on bending resistance and shear resistance of soil nail is not conducted ye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hear resistance and the bending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soil nailing. By conductin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resistance behavior of a new concept nail that can increase the shear resistance and bending resistance. The new soil nailing is using the concept of expanding the nail by installing a packer on the outside of the reinforcement (the deformed bar) and pressurized grout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hear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nail, injection and expansion test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workability by surveying the expansibility of the inside of the packer and the injection rate of the outside of the packer. And bond strength test (pull-out test) was also carried out to measure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deformed bar and the expanded packer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expanded packer. In addition, we conducted an indoor large-scale shear test, and measured the shear stress of the ground, moment, axial force, shear force that occurs in nail body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and diameter of the expanded packer, and by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soil nail confirmed the reinforcement effect, and analyzed the shear impact zone. Result of the study, the expanded packer nails showed a tendency to continually increase the shear stres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t is estimated because even if the outer grout of the packer is destroyed due to shear stress, resisting force of the grout body increases the inner grout of the packer not being destroyed and maintaining shear resisting force. The maximum moment of all nails appears at a regular distance from the shear surface, and the maximum moment of the expanded nail with a broad interval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ail, also the maximum axial forc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ail or the expanded nail with a narrow interval. The shear strength has small and wide distribution range as the expanded packer interval was larger, slightly reduced in the conventional nail and the expanded nail with a narrow interval. In the conventional nail or the expanded nail with a narrow interval, the inflection point at which the shear direction changes is closer to the shear surface as the increase of shear displacement, while, in the expanded packer nail with a broad interval, the change of the inflection point was hardly indicated though the increase of shear displacement and it was continuing to resist the load thanks to the ductile behavior of the expanded packer. As a result of bond strength test, bond strength of the nail with a broad interval was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nail, and the strength of nail with a narrow interval was small.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anded nail with a broad interval was pulled out like a conventional nail thanks to the integrated behavior between the deformed bar and inner expanded packer body. The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soil nailing continues to deform by the ductility with a superb load transfer effect, even after the grout body is broken and shear resisting force increases, and the moment decrease by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grout body wrapped by the packer body integrally behaving. 쏘일 네일링은 비탈면뿐만 아니라 흙막이벽이나 옹벽 등을 보강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공법으로 네일의 인발저항력을 이용하여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보완하는 개념이다. 쏘일 네일링을 설계할 때에는 인발저항만을 고려하는 방법과 인발저항, 전단저항 및 휨응력을 모두 고려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비탈면이 원호활동파괴되는 경우 네일부재의 인발저항은 물론 활동면에서 발생하는 전단저항 및 휨저항까지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들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경우가 드물다. 현재까지 진행된 쏘일 네일링에 관한 연구들은 재료, 형상, 시공방법 등의 개선을 통한 인발저항력 증대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쏘일 네일링의 전단저항 및 휨저항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존 쏘일 네일링에 대해 전단저항 및 휨저항 특성을 분석하였고, 전단저항과 휨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네일에 대해 실험적으로 전단저항거동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 적용한 새로운 쏘일 네일은 보강재(이형철근) 외측에 패커를 설치하고 가압 그라우팅하여 확장시키는 개념의 네일이다. 이 같은 새로운 쏘일 네일의 전단저항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주입 및 팽창시험을 실시하여 패커 내측의 팽창성과 외측의 주입율을 확인하여 시공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부착강도시험(인발시험)을 실시하여 확장형 패커의 간격에 따른 이형철근과 확장형 패커의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내대형 전단시험을 수행하여 확장형 패커의 간격, 직경에 따른 지반의 전단응력, 네일체에 발생하는 모멘트, 축력, 전단력을 측정하고 일반 쏘일 네일과 비교하여 보강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토압 측정을 통하여 전단영향권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확장형 패커 네일은 일반 네일과 달리 전단응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확장형 패커 외측 그라우트는 전단에 의해 파괴되어 기능을 상실하여도 패커 내측 그라우트는 파괴되지 않고 전단저항력을 발휘하여 그라우트체의 저항력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모든 네일의 최대 모멘트는 전단면에서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나타났으며, 패커 간격이 넓은 확장형 네일의 최대 모멘트는 일반 네일에 비하여 대폭 감소하였고 최대축력 또한 패커 간격이 넓은 확장형 네일은 일반 네일 및 확장형 패커 간격이 좁은 확장형 네일보다 감소된 축력을 나타냈다. 전단력은 확장형 패커간격이 클수록 작고, 넓은 분포범위를 보이며 일반 네일 및 확장형 패커 간격이 좁을때 약간 감소된 값을 나타냈다. 일반 네일 및 간격이 작은 확장형 패커 네일은 전단변위 증가에 따라 전단방향이 변경되는 변곡점이 전단면으로 가까워지는 반면 간격이 넓은 확장형 패커 네일의 경우 전단변위 증가에도 불구하고 변곡점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확장형 패커의 연성거동에 의해 하중을 지속적으로 저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착강도시험 결과 간격이 넓은 패커 네일과 일반 네일은 유사한 부착강도를 나타났으며 간격이 좁은 네일이 부착강도가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격이 넓은 확장형 패커 네일일 경우는 이형철근과 내측 확장형 패커부가 일체거동으로 일반 네일처럼 인발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적용한 확장형 패커 쏘일 네일링은 그라우트체가 파괴된 후에도 하중 전이효과가 좋아 연성에 의해 계속 변형이 발생하였고 팩커체로 감싸고 있는 그라우트체와 보강재가 일체화 거동을 하여 전단저항력이 증가하고, 모멘트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