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들레 원예 작물화에 관한 연구

        홍지한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학과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sic siology of dandelions such as germination, storage, growth, wering etc. And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t of chitosan to germination, storage and growth of dandel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rmination-optimum temperature of Taraxacum officinale and T. laevigatum for germination was 20℃,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light condition than in dark condition. 2. The germination rate of T. officinale and T. laevigatum kept high at 4℃ for 90days after storage. T. laevigatum has high germination rate till 60days after storage at -20℃. 3. The growth of both dandelion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ot diameter. 4. Fresh weight of T. officinale and T. laevigatum was increased under long-day length condition in heated greenhouse. The shoot growth was effected by day length rather than temperature, and growth of root vice versa. Water content of both dandelion was decreased under short-day length in unheated greenhouse. 5. Without cold treatment, the flowering of both dandelions was de under long-day length in heated greenhouse, while after cold treatment, the flowering was accelerated under long-day length in unheated greenhouse. 6. T. officinale tended to be high in germinating rate and low in contamination rate when the seed was coated by 0.1% solution of oligosaccharide molecule weight chitosan after seed disinfection. 7. The seed of T. officinale coated 0.5% by low molecule weight chitosan stored at 4℃ had good germination rate after disinfection. 8. The seeds coated by 1.0% of high molecule weight chitosan stored at 4℃ had high germination rate. 9. Folian spray of chitosan increased the growth of T. officinal and the 0.1% of oligosaccharide molecule weight of chitosan was most effective among various chitosan treatments.

      • 고등학교 日本語 교과서에 대한 학습자 요구 분석 : 文化素材를 中心으로

        홍지 中央大學校 校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823

        グロバール社会への展開につれて英語だけではなく、日本語も第2外国語として大きな部分を担ってきた。よって教育当局は入試を主とする文法中心の外国語教育から抜け出してグロバール社会に適用できる実用的な意思疎通の能力向上を基に、非言語的な要素である文化という項目を新しく強調するようになった。つまり急変する時代の変化とともにグローバルという環境に応ずる教育過程を提示したのである。それによって韓国の学校教育も変化しつつある。その変化の中で、学校教育の中心になっている教科書は、はたしてどうなっているのか。この問いに従って、本研究は日本語教科書の文化項目を調べるようなったのである。 まず、日本語の第7次改訂教育過程において、強調している文化項目を中心に、教科書に登場する文化素材の比重と学習者の選好とを比べて教科書がどのぐらい学習者の要求を反映しているのか分析してみた。その後、現在使用されている教科書の問題点を抉り出して、その改善方向を探ることにする。 一方、第7次改訂教育過程で提示している文化素材を基にして高等学校の日本語教科書Ⅰ·Ⅱに載っている内容の素材を分類し、素材に伴う頻度を調べてみた。その結果、「日本語Ⅰ」では年中行事(20%)、衣食住の生活(17%)、学校生活(11.5%)という三つの素材のみが多く取り上げられている。これと違って、「日本語Ⅱ」は比較的に多様な素材が均等に現れているのが分かる。 また、「日本語Ⅰ」と「日本語Ⅱ」の文化項目の割合は年中行事と衣食住が13.8%、社会生活10.5%、学校生活10%、交通および通信の媒体8.8%、余暇の善用と地域文化8.4%になっている。この以外に非言語活動、大衆媒体,危機管理、環境、通過儀礼、遊びの文化、大衆文化、宗教、うちの文化(우리문화)などの出現頻度は0~2%として、ほとんど取り上げていない。これで、文化素材の選択において、偏重現象が見えることも確認する。 次は高校で日本語を学習する生徒600名に対して設問調査を実施した。そして文化学習に関する学習者の実体と認識、または文化素材に対する選好および学習者の要求を調べてみた。 設問調査の結果、教科書の文化内容は興味度、理解度、意思疏通の機能、そしてうちの文化との比較の可能性という面などにあまり影響を及ばないことが分かった。また、文化素材による学習者の選り好みには、大衆文化、衣食住の生活、余暇の善用、学校生活,社会生活、言語活動、家庭生活、遊びの文化、年中行事、大衆媒体、通過儀礼、危機管理、非言語活動、交通および通信の媒体、地域文化、うちの文化、伝統芸能、環境、宗教の順番に現れた。 調査の結果から、教科書に載っている文化項目と学習者の選り好みの項目とは差が存在するのが分かる。これもまた学習者の性別や系列(人文、実業)の特徴によって変わる可能性も見つけた。 最後に、学習者の要求分析から学習者の興味と関心が学習向上に影響されることと、教科書と教師に対する多様な意見も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以上の調べで言えるのは、現在の教科書では、様々な項目の中、大衆文化素材の受容において学習者の要求を満足させ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特に、文化というのはその内容と素材が広いし、その基準も明確でないので混乱を起こすかも知れない。だからといって、文化教育の重要性を見過ごす訳にはいかない。従って、まず学習者の対象が高校生という点に注目して、彼らの関心を引くような素材を取り上げ、教科書を改善する認識が必要である。そしてもっと効率的な文化教育ができるように教師の態度の改善も要求される。 글로벌 사회로 전개됨에 따라 영어 뿐 만아니라 일본어 역시 제2외국어로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맞춰 교육당국은 입시위주의 문법중심교육에서 벗어나 글로벌 사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이고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배양과 비언어적요소인 문화 이해교육을 새롭게 강조하고 있다. 즉,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 변화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여념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 나라의 교육과정을 나타내는 수단이며 학교교육의 중심이 되고 있는 교과서는 과연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과정과 점점 더 다양해지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 것일까? 이에 의문을 제기하며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어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문화소재에 중심을 맞춰 교과서 내 등장하는 문화소재의 비중과 학습자가 선호하는 문화소재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흥미가 충실히 반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 교과서의 문제점을 살펴내어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먼저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화소재를 기준으로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Ⅰ·Ⅱ에 실린 문화 내용에 관한 소재를 분류하여 문화소재 별 출현 빈도를 조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일본어Ⅰ」은 ‘연중행사’가 20%, ‘의식주’가 17%, ‘학교생활’이 11.5%로 세 문화소재 위주로 주로 다뤄지고 있는 것에 비해 「일본어Ⅱ」는 비교적 다양한 문화소재가 균등하게 다뤄지고 있었다. 또한 「일본어Ⅰ」과 「일본어Ⅱ」의 총 문화소재에 대한 분포도는 ‘연중행사’, ‘의․ 식․ 주’ 13.8%, ‘사회생활’ 10.5%, ‘학교생활’ 10.0%, ‘교통 및 통신 매체’ 8.8%, ‘교통 및 통신매체’와 ‘지역문화’가 8.4%로 나타났다. 반면 ‘비언어행동’, ‘대중매체’, ‘위기관리’, ‘환경’, ‘통과의례’, ‘놀이문화’, ‘대중문화’, ‘종교문화’, ‘우리문화’등의 문화소재는 그 출현 빈도수가 0%~2% 로 거의 다뤄지고 있지 않아 교과서 문화소재에 있어 편중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고등학교에서 일본어를 학습하는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본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실태와 문화학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문화소재 별 학습자들의 선호도 및 학습자 요구분석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지 분석 결과, 교과서 내 문화내용과 소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흥미도, 이해도, 의사소통 기능, 우리문화와의 비교의 가능성 여부 면 등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내용 및 소재 개선의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소재 별 학습자의 선호도는 ‘대중문화’, ‘의식주 생활’, ‘여가선용’, ‘학교생활’, ‘사회생활’, ‘언어행동’, ‘가정생활’, ‘놀이문화’, ‘연중행사’, ‘대중매체’, ‘통과의례’, ‘위기관리’, ‘비언어행동’, ‘교통 및 통신매체’, ‘지역문화’, ‘우리문화’, ‘전통예능’, ‘환경’, ‘종교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문화소재 별로 학습자의 선호도를 만족하는 소재도 있지만 교과서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문화소재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문화소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이 교과서의 문화소재 선택 시 반영되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요구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이 학습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과서와 교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통해 학습자들이 평소 바라던 요구사항들을 엿볼 수 있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일본어 교육은 영어 교육만큼 구체적이고 전문화되지 못해 여러 방면으로 미흡한 점들이 많이 눈에 띄고 있다. 특히 문화는 그 내용과 소재가 너무 광범위하고 기준이 모호하여 딱히 문화의 범주를 한정시키기에 애매한 점이 많다. 하지만 앞으로 문화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임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학습 대상이 고등학생인 점을 감안하여 이들이 흥미로워하는 문화소재에 초점을 맞추어 교과서에 적극 반영하여, 학습자요구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문화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욱더 연구해나가야 할 것이다.

      •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

        홍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23

        본 연구에서는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에 대한 접근을 통해,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의 모습 및 특징을 분석하고,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이 이루어지는 데 영향을 준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연구 초기에는 사례 지역(라온동)에 대한 직・간접적 접근을 통해 학교・지역사회・가정의 현황 분석 및 관찰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점차 자유학기제 정책과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이후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실증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수행을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낸 내용을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라온중의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을 통해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에서 학교・지역사회・가정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경험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을 시기에 따른 모습 및 특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초기(‘경계의 담’)에는 교육공동체의 핵심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지역사회・가정이 각각 담을 쌓아 올려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에서 나타난 문제’, ‘활동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문제’, ‘가정(학부모) 참여의 부재로 인한 한계’ 등의 중주제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라온중은 2014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를 시작으로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고자 했으나, 본격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되어 운영된 시기는 2018년부터였다. 물론 2018년 이전에도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운영된 사례는 있었다. 하지만 운영과정에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협력적인 소통의 과정이나 실질적인 진행은 이루어지지 못했었다. 자유학기제가 시행 초기 단계였기에, 학교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지역사회와 연계를 통해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없었으며,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도 낮았기 때문이었다. 낮은 인식 수준은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가정에서도 나타났었다. 특히 학교에서는 초기에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의 교육자원과 연계하여 운영해야겠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으나, 지역사회에 어떤 교육자원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상황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는 어렵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와 가정 역시, 학교가 학생들의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역할의 중요성과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학교의 담이 높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과정에서 발견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은 문제와 한계로 경계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중기(‘담에 생긴 틈’)에는 교육공동체의 핵심 주체인 학교・지역사회・가정이 각각 쌓아 올렸던 담 사이에서 변화의 가능성인 틈(chance)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학교의 변화와 노력’, ‘지역사회의 변화와 노력’, ‘학부모의 변화와 노력’,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를 통한 변화와 노력의 확대’, ‘변화와 노력을 도운, 라온동 지역 교육력’ 등의 중주제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라온중 자유학기제는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를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각 주체는 다양한 변화와 노력의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그 결과 교육공동체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를 구성하고 있는 교장・교사・학생 등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연계를 통한 교육이 주는 장점을 알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천을 위한 변화와 노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학교의 경험은 지역사회와의 연계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고 지역 교육력에 대한 신뢰를 야기하였다. 또한 지역사회는 학교와 연계를 통해 학교 교육 참여 경험, 교육적 역량 강화, 다양한 학생들과의 만남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학교와의 연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홍보 등과 같은 지역사회의 노력을 야기하였다. 가정은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에 학부모가 마을활동가로서 직접 참여하거나, 활동에 참관하는 방식으로 간접적 참여 경험을 하였다. 그 결과 가정은 참여를 바탕으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변화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과정에서 발견된 교육공동체 현상은 각 주체의 변화와 노력이 확대되고, 이러한 변화와 노력을 돕는 지역 교육력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공동체 형성 후기(틈이 모여 만들어진 변화의 문)에는 담 사이에 생긴 작은 틈이 모여 변화의 문(door)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교육공동체(학교・지역사회・가정)에 관한 인식과 발견’, ‘교육공동체를 통한 채움’, ‘교육공동체에 의한 움직임의 확대’, ‘교육공동체를 위한 지속성의 고민’ 등의 중주제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후반과 이후의 시기에는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과정에서 나타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공동체를 발견하고 인식했다고 할 수 있다. 학교는 교육공동체를 통해 부족한 교육자원을 지역사회와 가정으로부터 채우고, 지역사회・가정과의 관계를 동등하게 보며, 학교 교육에 대한 지역사회와 가정의 참여 확대 및 확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지역사회는 학교와의 협력적 관계 형성을 통한 교육 참여 및 소통 등의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가 가진 교육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은 생활의 일부였기에 잘 모르고 살았던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을 정립하고,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참여를 통해 학교 교육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학교・지역사회・가정은 공통적으로 교육이라는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협력하고 소통할 수 있었던 움직임을 경험했고, 준비된 지역사회와 학교의 자유학기제가 만나 이루어진 교육 경험을 통해 교육공동체 현상을 인식할 수 있었다. 나아가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야기된 긍정적인 변화를 지속하고, 라온동에서 발견된 교육공동체를 지속하기 위한 고민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렇듯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과정에서 발견된 교육공동체 현상은 교육공동체에 ‘관한’, ‘통한’, ‘의한’, ‘위한’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은 초기에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 및 활동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문제와 한계 등이 긍정적인 신호(signal)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문제와 한계는 각 주체의 관심과 의지를 보여주었던 것이며, 교육공동체 형성의 시작점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 자유학기제가 운영되는 과정에서는 문제와 한계가 나타났다고 해서 이를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의 초기로 볼 수는 없다. 그 이유는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는 초기의 문제 및 한계를 해결하고자 하는 요구 및 필요가 있었으며, 실현가능성을 높이는 실천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는 라온중의 자유학기제 운영과 라온센터・라온동을 중심으로 구축된 지역 교육력이 원동력이 되었다. 나아가 형성과정 초기 및 중기에 나타난 모습과 특징은 자유학기제가 가져온 학교・지역사회・가정의 긍정적인 변화와 함께, 형성된 교육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고민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본 연구의 사례에서는 이러한 고민이 고민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천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례는 교육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바람으로 주민 개인, 조직 및 단체, 그리고 기관을 통해서 스스로 성장하고 이를 보호받기 위한 방안으로 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주민자치조직에서 교육팀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면담 과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단순히 연구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공론장을 마련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이들은 이 또한 실천력을 통해 이루어낼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라온중의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을 통해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이 이루어지는 데 영향을 준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의 시기별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초기에 영향을 준 요인은 개인적・공통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학교・지역사회・가정을 구성하고 있는 각 개인의 교육에 대한 관심, 의지, 헌신, 협동, 참여이며, 공통적 요인으로는 교육에 대한 공통의 가치, 규범, 신념, 감정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학교는 교사 개인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의지, 그리고 교사가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헌신이 나타났으며, 그 결과 협동과 참여 요인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지역사회는 마을활동가와 센터 구성원이 가지고 있던 청소년 교육 활동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그들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의지와 헌신의 태도가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협동과 참여를 도모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가정은 자녀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에서부터 출발하여 학부모의 협동 및 참여 가능성을 높였다. 둘째,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중기에 영향을 준 요인은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관계의 상호성, 신뢰성, 의존성, 의사소통 등의 관계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관계적 측면에서의 요인은 각 주체별 변화와 노력, 나아가 교육공동체 형성의 결실을 야기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예를 들면, 학교는 지역사회・가정 간 연계를 통해 운영된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 및 교사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주면서 이들의 태도를 적극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학교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는 지역사회 및 가정 간 연계에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학교는 지역사회와 가정에 상호성, 신뢰성 등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역사회는 의사소통을 통해 지역사회와 학교 간 상호성이 이루어졌으며, 이 경험은 지역사회가 학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신뢰성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지역사회는 센터 공간과 활동에 대한 가치를 언어로 정리하여 공유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역할은 공통의 가치, 규범, 신념, 감정을 바탕으로 관계의 상호성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데 중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은 상호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를 통해 운영되는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가정・학교・지역사회와의 상호성과 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가정의 의사소통 참여가 나타났다. 특히 가정의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영향요인은 기존의 가정 참여 및 역할의 낮은 비중을 고려했을 때,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후기에 영향을 준 요인은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의 유대 및 결속 등의 조직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조직적 측면에서 유대 및 결속 요인은 앞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의 초기 및 중기에서 나타난 공통적・개인적・관계적 측면에서의 요인이 축적된 결과로 나타났다. 즉 유대 및 결속 요인은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졌을 때 발견할 수 있는 영향요인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교는 교장 및 교사의 인식이 변화하고, 학교가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는 태도의 변화, 그리고 교육의 3주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야기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유대 및 결속의 암묵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는 자유학기제를 통한 장기간의 학교 교육 참여 경험과 지역 교육력(사람, 문화)을 바탕으로 한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의 유대 및 결속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가정은 앞서 살펴본 공통적・개인적・관계적 측면에서의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인식 변화와 참여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가정의 높아진 참여는 학교・지역사회・가정 간 연계가 유대 및 결속되고, 교육공동체가 형성되는 데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과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형성과정의 연속적’, ‘영향요인의 누적적’, ‘사례의 맥락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먼저,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은 단기적・단편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블랙박스(Black Box)처럼 보이지 않아 알지 못했던 일련의 움직임들이 장기적・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나타났다. 또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은 초기의 공통적・개인적 요인이 중기의 관계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초기(공통적・개인적)와 중기(관계적)의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후기의 조직적 유대, 결속 영향요인이 나타나는 등 누적적으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과 영향요인은 맥락적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룬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과 영향요인은 해당 사례가 가진 특정한 맥락적 환경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다른 사례와는 차이가 있음을 노정한다. 또한, 라온중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학교(라온중)・지역사회・가정 간 연계에서 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와 ‘라온중(조직)에서 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 ‘교육행정학에서 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nks between school, community, and family in the course of processing the Free Semester Policy at the Raon-Middle School. The study’s purpose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process of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its formation. In the study’s initial stages, direct and indirect approaches to the case area (Raon-Dong) were used to analyze and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the school, community, and family.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was gradually discovered the Free Semester Polic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an educational community. Later, an instrumental cas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 A study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n educational communtiy under the Free Semester Poli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here, presented by each research questio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oncerned determining the experiences of a school, community, and family, and determining what characteristics we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educational community, which emerg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of Raon-Middle School. In this regard,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course of processing the Free Semester at Raon-Middle School)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 First, the initial period of the process of forming an educational community could be explained by the “wall of boundaries.” The inclusion of boundaries meant that the school, community, and family were bounded by the walls that they had built to cover their respective spaces. The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ies were identified as “problems arising from the linkage of school, community, and family,” “problems appearing in the Free Semester programs,” and “limits due to the absence of family (school parent) participation.” Second, the middle period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could be explained as a “gap in the wall.” A gap in the wall means that a gap in change is slowly emerging in a wall that has been raised between a school, community, and family. The gap in the wall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that were named “changes and efforts in school,” “changes and efforts in community,” “changes and efforts of parents,” “expansion of change and efforts through school, community,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local educational capacity in Raon-Dong, helping changes and efforts.” Third, the later part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could be explained as “the door of change created by a gap.” The door of change refers to the creation of a door where a school, community, and family builds a gap in the walls that they have built to surround each space. As this gap gradually expands, a door is created that connects the elements on each side together. The door to change created by the gathering gaps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represented by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that were named “recognition and discovery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school, community, and family),” “filling through the educational community,” “expansion of movement by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considering sustainability for the educational community.”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of Raon-Middle School.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are presen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First, the initial period of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course of processing the Free Semester at Raon-Middle School) showed that the interest, will, commitment,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each individual who constituted the school, community, and family were important factors. These were based on the common “values, norms, beliefs, and feelings” regarding education. Second, the middle period of the process was sh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of reciprocality, reliability, depend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school, community, and family. In addition, there were changes and efforts by each subject, which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form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ird, the later part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linkage between school, community, and family. These links and solidarity factors, provided throug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ere not short-term. It can be said that this was the result of the accumulation of common “values, norms, beliefs, and feelings’ regarding the “interest, will, dedicatio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and the “reciprocality, reliability, dependence, and communication” of the relationships that emerged in the early and mid-term formation process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course of processing the Free Semester Policy at the Raon-Middle School, was that they were not discontinuous. In the early period of the formation process there were common “values, norms, beliefs, and feelings”, which had particularly important implications. There was also individual “interest, will, dedicatio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ciprocality, reliability, dependence, and communication” of relationships that could have been achieved in the mid-term. In the later part, the “link and solidarity” of organization was able to be achieved, based on the factors that appeared in the early and mid-term periods. The difference was that it gradually expanded from a personal level to an organizational level, as time went by. What we have in common is that, based on the interests of educati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mmon “values, norms, beliefs, and feelings” that have affected the overall process in which the educational community is 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formation process of an educational community was summarized during each period of the Free Semester at the Raon-Middle School,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also summarized. This was structured through the terms “continuous process of formation,” “accumulated factors of influence,” and “contextual case.” In addition,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at the Raon-Middle School. What we discussed was “the meaning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linkage between school (Raon-Middle School), community, and family,” “the meaning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at Raon-Middle School (organization),” and “the meaning of form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마을교육공동체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주민자치 실천방안 탐색연구

        홍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마을교육공동체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주민자치 실천방안 탐색연구 본 논문은 최근 교육개혁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에서 부각되고 있는 주민자치의 실천방안을 탐색하는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위해서 경기도와 서울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주민자치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민자치는 아직 학술적으로 정립된 개념은 아니지만 선행연구를 통해 많은 사례가 등장하고 있으며 역할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주민자치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례가 발견되어도 이를 체계화하여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경기도와 서울시 마을교육공동체 현황과 사례를 바탕으로 주민자치 실천의 유형, 핵심요소, 형성과정을 준거틀로 제시하였다. 또한 준거틀을 사례에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민자치 실천의 유형, 핵심요소, 형성과정, 실천사례분석을 위한 준거틀, 실천방안이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정에 대한 문헌분석, 심층면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주민자치 실천의 유형, 핵심요소, 형성과정, 주민자치 실천사례분석을 위한 준거틀,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주민자치 실천의 유형으로 교육청 및 지자체 협력 주도 유형, 지자체 주도 유형, 주민자치 주도 유형 총 3가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핵심요소는 시작점(Trigger), 리더(Key Man), 조직(Organization), 프로그램(Program), 네트워크(Network), 지역 교육력(Regional Education Power) 총 6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형성과정은 1단계 교육혁신에 대한 주체 별 요구, 2단계 참여주체의 조직화와 참여조직의 실천 활동, 3단계 조직 간 협력적 관계를 통한 의사소통, 4단계 교육혁신을 실천하는 지역의 동력, 5단계 마을교육공동체 형성 총 5단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된 주민자치 실천의 유형, 핵심요소, 형성과정을 바탕으로 실천사례분석을 위한 준거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민자치 실천방안으로 주민자치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공유를 확산시킬 수 있는 인식 개선방안, 주민자치와 기관 간 수평적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방안, 주민자치의 교육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자원화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주민자치 실천사례 준거틀과 실천방안을 통해 앞으로 등장하는 주민자치 사례가 체계적으로 연구되기를 바란다. 나아가 이와 유사한 연구와 실천사례를 통해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이 공교육 강화와 지역의 교육력 강화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exploring citizen autonomy for educational community building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the practice of citizen autonomy that has been emphasized for the educational community building which has been shown in the recent trend of educational reform. For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citizen autonomy cases for educational community building in Gyeonggi-do and Seoul. The citizen autonomy in educational community building is not yet a scholarly concept, but many cases are emerging through prior study, and the role and necessity are emphasized. Despite this importance, study on citizen autonomy is rare, and even if a case is found, it can not be systematically present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a research framework consisted of the types, core elements, and formation processes of citizen autonom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case of Gyeonggi-do and Seoul.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s the framework to case and presents a suggestion, action plan. This study has three research questions. Frist, "What are the types, core elements, and formation processes of the citizen autonomy practice.". Second, "What is the framework for analyzing case studies of citizen autonomy.”. Finally, "What is the action plan of citizen autonomy.". For the analysis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study, interview, and case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3 types, 6 core elements, and 5 formation processes of citizen autonom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case of Gyeonggi-do and Seoul. Also suggests the framework from analyzed the 3 types, 6 core elements, and 5 formation process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3 ways to implement the citizen autonomy; 1) It is a policy to improve awareness of the role and necessity of citizen autonomy in order to spread understanding and sharing, 2) It is a policy about network construction that can form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autonomy and government organization, 3) It is a policy about educational resource program for strengthening educational capacity of citizen autonomy.

      •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

        홍지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국내 벤처기업, 스타트업에 종사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리더의 진성리더십,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직무열의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리더의 진성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구성원이 지각하는 리더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것이다. 둘째, 진성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영향관계에 관한 것이다. 셋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가이다. 넷째, 구성원이 지각하는 리더의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열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국내 벤처기업, 스타트업에 종사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6년 4월 11일부터 4월 24일까지 2주일의 기간 동안 총 224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하고 206부를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 응답 결과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이 지각한 리더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가 진정성을 있다고 인식이 되면 구성원들의 직무열의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리더의 진성리더십이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리더가 구성원들과 진실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생각과 감정을 공유했을 때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는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리더와 구성원과의 사회적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은 직무열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독립변인에 대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성원이 리더가 진정성을 가지고 옳고 공정한 행동을 하고자 하는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정확하고 균형 잡힌 자기진단이 가능하다고 인식하면 구성원들은 직무열의가 높아지는데, 이 과정에서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리더의 리더십 유형을 파악하고 리더십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진성리더십은 신생기업을 키워나가야 하는 벤처기업과 스타트업 리더들에게 꼭 필요한 리더 역량으로 리더의 기술력, 지식, 경험만큼이나 진정성 있는 리더의 말과 행동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강한 신뢰와 긍정적인 태도형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구성원의 자발성과 창의성이 중요한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에서 자율적이고 긍정적으로 임하는 직무수행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구성원들이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심리상태나 정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와 구성원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교환관계(LMX)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recognized by members, leader-mem ber exchange(LMX) and job engagement of members of domestic venture and startup businesses, and to empirically verify mediation effect of LMX between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members’ job engagement.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is whether a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recognized by members affects members’ job engagement. Second is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leader-member exchange(LMX). Third is whether LMX affects members’ job engagement. Fourth is whether LMX has a meditation effect between a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member’s job engagement. In order to draw research results, we conducted surveys on members of domestic venture and startup businesses. For 2 weeks from April 11, 2016 to April 24, 2016, we collected 224 cases, of which 206 case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 cases. Answers of surveys were analyzed with SPSS 22.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recognized by member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embers’ job engagement. If members recognize that their leader has sincerity, their job engagement also enhanced. Second,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MX. If a leader shares his/her thoughts and feelings honestly and openly with the members, the quality of LMX became better. Third, LMX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Those who have better LMX appeared to have higher job engagement. Fourth, by verifying mediation effect of LMX, partial mediation on independent variables was observed. If members recognize their leader to be sincere, righteous and capable of accurate and balanced self-diagnosis, their job engagement becomes higher. During the process, it was verified that LMX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have been deducted as follows: First, it has significant importance in understanding type of leadership and demonstrating necessity of leadership, both of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survival and growth of venture and startup businesses. Second, authentic leadership is an essential ability for leaders of venture or startup businesses, for sincere speech and behavior of a leader, as well as his technical skills, knowledge and experience is pretty important in earning members’ trust and positive attitude. Third, as autonomous and positive job performance of members is a critical element in venture or startup businesses where members’ autonomy and creativity really count, paying close attention to members’ mental or emotional condi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help them stay positive in everyday life. Also, in order to improve members’ job engagement, it is required to put much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LMX, based on mutual trust between leaders and members.

      • 청각장애인을 위한 텔레비전 방송의 역할에 관한 연구 : 폐쇄자막방송의 현황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홍지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The thesis is aimed at focusing to find out the present state of the television service for the deaf and to evaluate how much they are content with the service. As television has been playing a major role in people's socialization and their information acquisition, it is quite a time to estimate' television service for the marginalized and to upgrade the provided service. Unfortunately, however, we don't have any appropriate data for the evaluation and the better service. The thesis has a purpose to render a basic data-set for television policy for a marginalized group, especially the hearing-handicapped group. The study has the point that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human rights for the people with a physical disability to ask for the better living condition to their societies not merely as some request for the social benefits. We come to some conclusion about what things could be demanded for the good of the persons in trouble with having a proper television broadcast service. The right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in field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mass media are discussed in the main part of the paper. Besides, there are comparisons of the conditions between Korea and some other countries to see how good the circumstances are in Korea and also the analysis related in the attitudes of the deaf toward television and their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The last part of the thesis shows the summary and has the suggested policy for the people who have problem with getting information from picture tube. New approach has been tried, which is made out of the existing studies and the charter of the handicapped, with statistical data from broadcasting companies, Korean Assoication of The Deaf and etc., the renewed table is mad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deaf and their families were taken for the report. In Korea, the survey says the average rate of captioned-program service provided by four-major broadcast companies points at 16.6%: MBC 26.6%, KBS 1 26.9%, EBS 7%, SBS 6%, while many of advanced countries have all the programs captioned, at least when it comes to major networks. Most of the answers, in the in-depth interviews, put 'all the programs with caption' in the first place for the urgency and show much more favour of the service of caption than that of the finger language. The rate of 4% that tells the want of caption needs to be raised. A permanent organization, it seem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s in concerned that is necessary for the budgeting and other sett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